KR101830134B1 - 충전케이블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충전케이블 권취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0134B1 KR101830134B1 KR1020160098945A KR20160098945A KR101830134B1 KR 101830134 B1 KR101830134 B1 KR 101830134B1 KR 1020160098945 A KR1020160098945 A KR 1020160098945A KR 20160098945 A KR20160098945 A KR 20160098945A KR 101830134 B1 KR101830134 B1 KR 1018301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el
- side plate
- charging cable
- terminal
- charg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65H75/442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acting on the reel or on a reel blocking mechanis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1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 B65H75/4428—Arrangements for stopping winding or unwinding; Arrangements for releasing the stop means acting on the reel or on a reel blocking mechanism
- B65H75/4431—Manual stop or release butt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36—Arrangements for yieldably braking the reel or the material for moderating speed of winding or unwinding
- B65H75/4439—Arrangements for yieldably braking the reel or the material for moderating speed of winding or unwinding acting directly on th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57—Arrangements of the frame or housing
- B65H75/4471—Housing enclosing the re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9—Other types of filamentary materials or special applications
- B65H2701/3919—USB, earphones, audio or video cables, e.g. for connecting small electronic devices such as MP3 players or mobile telephone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대향된 상태로 이격 배치된 제1측판 및 제2측판을 가지며, 제1측판에는 릴축이 형성된 본체, 외주면에 충전케이블이 권취된 상태로 릴축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탄성력에 의해 충전케이블의 감김되는 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하는 릴, 릴에 연결 설치되어, 릴이 충전케이블의 풀림되는 방향으로만 회전되게 릴을 구속시키는 래칫부, 제1측판 및 제2측판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일단이 래칫부에 연결되어, 릴이 래칫부에 의해 구속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감김버튼, 제1측판 및 제2측판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충전케이블의 충전단자부분이 본체 내측에 삽입상태로 걸림 유지시킨 상태에서 충전단자를 연결대상기기에 연결하고자 할 때, 충전단자가 본체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는 단자돌출구동부를 포함하는 충전케이블 권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 또는 태플릿이나 노트북 등의 휴대형 정보기기의 충전에 사용되는 충전케이블을 권취 상태로 각종 장치에 설치할 수 있게 하는 충전케이블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등 휴대형 정보기기의 성능이 향상되고 무선랜을 비롯한 인터넷 접속 환경이 개선됨에 따라, 통화 및 문자메시지 등 통신기기로서의 기본 기능뿐 아니라, 멀티미디어 정보의 처리 및 인터넷 접속 등 컴퓨터로 수행되던 다양한 기능이 휴대형 정보기기로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필두로 다양한 휴대형 정보기기의 사용 빈도 및 사용 시간이 증가하고 있다. 이렇듯, 휴대형 정보기기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력소모 역시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휴대형 정보기기의 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각종 장치에 충전케이블을 연결 설치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각종 장치에 연결 설치된 충전케이블의 사용 여부와 상관없이 단자 부분이 항상 노출된 상태이거나 쉽게 노출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충전케이블의 단자 부분에 대한 손상이 쉽게 발생할 수 있음과 더불어 유아 또는 아동에 의한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충전케이블이 추가로 구비된 각종 장치는,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07-0067817호(2007.06.29),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3839호(2004.02.24)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각종 장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만 단자 부분을 선택적으로 인출되게 함으로써, 케이블의 손상 및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충전케이블 권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호 대향된 상태로 이격 배치된 제1측판 및 제2측판을 가지며, 상기 제1측판에는 릴축이 형성된 본체, 외주면에 충전케이블이 권취된 상태로 상기 릴축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충전케이블의 감김되는 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하는 릴, 상기 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릴이 상기 충전케이블의 풀림되는 방향으로만 회전되게 상기 릴을 구속시키는 래칫부, 상기 제1측판 및 제2측판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일단이 상기 래칫부에 연결되어, 상기 릴이 상기 래칫부에 의해 구속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감김버튼, 상기 제1측판 및 제2측판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충전케이블의 충전단자부분이 상기 본체 내측에 삽입상태로 걸림 유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충전단자를 연결대상기기에 연결하고자 할 때, 상기 충전단자가 상기 본체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는 단자돌출구동부를 포함하는 충전케이블 권취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밀착롤러 및 압박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충전케이블은 상기 밀착롤러와 상기 압박롤러 사이를 통해 이송되면서 상기 충전케이블의 감김 또는 풀림시 상기 충전케이블의 이송속도가 감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롤러의 내측에는 중공의 삽입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간부에는 복수의 입상체를 삽입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릴은, 상기 릴축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원통형 구조의 릴몸체, 상기 릴몸체 내측에 삽입 설치하며, 일단은 상기 릴몸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릴축에 연결되어, 상기 릴몸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릴축의 외주면에는 전력을 전달하는 전원케이블과 연결되는 전원단자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릴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전원단자에 대응 접촉되는 접촉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접촉단자에는 상기 충전케이블의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릴축의 단부에는 걸림축이 형성된 래칫설치대를 결합 구비하며, 상기 래칫부는, 상기 릴의 일측에 결합되며,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톱니홈이 형성된 래칫기어, 일단이 상기 걸림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톱니홈에 걸림되는 걸림대, 일단은 상기 래칫설치대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걸림대에 연결되어 상기 걸림대의 타단이 상기 톱니홈에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측판 및 상기 제2측판에는,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직선되게 연장된 수직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가이드홈에 수직하도록 전후방향으로 직선되게 연장된 수평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단자돌출구동부는,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2측판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수평가이드홈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양측면에는 사선형으로 연장되는 압입홈이 형성되고, 'U'자형 수평단면 형상을 가지는 가압대, 상기 가압대 양측면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하며, 측면에는 상기 압입홈의 반대방향으로 사선형으로 연장되는 전진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충전케이블의 충전단자가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전진블럭, 상기 압입홈과 상기 전진홈을 관통한 상태로 양단이 각각 상기 제1측판 및 상기 제2측판의 수직가이드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진가이드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케이블 권취장치는, 본체의 내측에 충전케이블을 권취한 상태로 감김되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상시로 작용되게 하는 릴이 구비되고, 릴의 회전 구속여부를 래칫부와 감김버튼을 이용하여 조절하면서 릴에 의한 충전케이블의 풀림 또는 감김이 이루어진다. 이때, 충전케이블의 충전단자는 단자돌출구동부에 걸림된 상태에서 충전단자를 연결대상기기에 연결하고자 할 때만 본체 외측으로 노출되게 함으로써, 충전케이블의 손상이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블 권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릴 및 래칫부 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단자돌출구동부 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블 권취장치의 충전케이블 인출상태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블 권취장치의 충전케이블 인입상태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블 권취장치의 충전케이블 충전단자 삽입상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블 권취장치의 충전케이블 충전단자 돌출상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블 권취장치의 단자돌출구동부에 의한 충전케이블 충전단자 돌출 작동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블 권취장치의 콘센트 설치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블 권취장치의 멀티탭 설치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블 권취장치의 자동차 설치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블 권취장치의 냉장고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릴 및 래칫부 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단자돌출구동부 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블 권취장치의 충전케이블 인출상태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블 권취장치의 충전케이블 인입상태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블 권취장치의 충전케이블 충전단자 삽입상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블 권취장치의 충전케이블 충전단자 돌출상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블 권취장치의 단자돌출구동부에 의한 충전케이블 충전단자 돌출 작동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블 권취장치의 콘센트 설치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블 권취장치의 멀티탭 설치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블 권취장치의 자동차 설치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블 권취장치의 냉장고 설치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블 권취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릴 및 래칫부 부분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단자돌출구동부 부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충전케이블 권취장치는, 본체(100), 릴(200), 래칫부(300), 감김버튼(400), 단자돌출구동부(5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100)는 이후 설명될 릴(200), 래칫부(300), 감김버튼(400), 단자돌출구동부(500)를 연결 설치한 상태로 연결대상기기(도면미도시)에 고정 결합되는 구조체이다. 이러한, 상기 본체(100)는 상호 대향된 상태로 이격 배치되는 제1측판(110) 및 제2측판(120)을 구비하며, 상기 제1측판(110) 및 상기 제2측판(120)은 상기 제1측판(110) 및 상기 제2측판(120) 사이에 형성되는 연결대(140)에 의해 연결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대(140)에는 이후 설명될 감김버튼(400)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설치하는 버튼삽입홈(141) 및 단자돌출구동부(500)의 가압대(510)와 상기 충전케이블(20)의 충전단자(21) 부분이 인출될 수 있도록 케이블출입홈(14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2측판(120)에 대향되는 상기 제1측판(110)의 일측면에는 릴(200)의 릴몸체(21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릴축(130)이 수직하게 결합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릴축(130)의 단부에는 래칫부(300)의 걸림대(320) 및 토션스프링(330)을 설치할 수 있도록 래칫설치대(131)를 결합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래칫설치대(131)의 일측면에는 걸림대(320)의 일단을 축회전하게 연결하도록 걸림축(132)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래칫설치대(131)의 일측면에는 토션스프링(330)의 일단을 삽입상태로 걸림 설치할 수 있도록 스프링걸림홈(133)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릴축(130)의 외측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전원단자(1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전원단자(133)는 전원케이블(10)과 연결되어 전원을 전달받게 되며, 릴(200)의 접촉단자(212)와 접촉되도록 배치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측판(110)의 일측에는 상기 충전케이블(20)의 풀림 또는 감김시, 상기 충전케이블(20)의 이송을 가이드함과 더불어 상기 충전케이블(20)의 이송속도를 감속되게 하도록 밀착롤러(150) 및 압박롤러(16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밀착롤러(150)와 상기 압박롤러(160)는 상기 충전케이블(20)의 직경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상호 이격되게 배치하고, 상기 밀착롤러(150)와 상기 압박롤러(160) 사이를 통해 상기 충전케이블(20)이 이송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밀착롤러(150)와 상기 압박롤러(160)는 상기 충전케이블(20)의 이송에 따라 회전하면서, 관성에 따른 회전억지력에 의해 상기 충전케이블(20)의 이송 속도를 감소되게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밀착롤러(150)는 내측에 중공의 삽입공간부(151)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공간부(151)에 복수의 입상체(152)를 삽입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상체(152)는 내구성을 가지면서 중량을 가지는 강철볼을 사용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밀착롤러(150)의 내주면에는 상기 밀착롤러(150)의 회전시 상기 입상체(152)와 상기 밀착롤러(150)의 내주면 사이에 마찰력을 증대시켜 상기 입상체(152)에 의한 회전 억지효과를 증대시키도록 요철(153) 형성될 수 있다. 이같이, 상기 밀착롤러(150)의 삽입공간부(151)에 상기 입상체(152)를 삽입 구비할 경우, 상기 충전케이블(20)이 릴(200)에 감김되도록 이송될 때, 상기 밀착롤러(150) 내부의 입상체(152)는 상기 밀착롤러(150)와 별개로 정지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밀착롤러(150) 내주면에 지속적인 회전 억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제1측판(110) 및 제2측판(120)에는 이후 설명될 단자돌출구동부(500)의 전진가이드축(530)을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수직가이드홈(170), 및 가압대(510)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수평가이드홈(18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수직가이드홈(170)은 상기 제1측판(110) 및 상기 제2측판(120)에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연직되게 연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가이드홈(180)은 상기 수직가이드홈(170)을 수직하게 교차하도록 전후방향으로 직선되게 연장 형성된다.
상기 릴(200)은 외주면에 상기 충전케이블(20)을 권취한 상태로 탄성력을 통해 상기 충전케이블(20)이 감김되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작용되게 한다. 즉, 상기 릴(200)은 사용자에 의한 상기 충전케이블(20)의 당김힘에 의한 풀림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충전케이블(20)이 감김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릴(200)은 상기 본체(100)의 릴축(130)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릴(200)은 릴몸체(210), 탄성체(220)를 포함한다.
상기 릴몸체(210)는 상기 충전케이블(20)의 외측에 권취한 상태로 상기 본체(100)의 릴축(13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부분으로, 상기 충전케이블(20)의 권취를 용이하게 하면서 상기 릴축(13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원통형의 실린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상기 릴몸체(21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상기 충전케이블(20)을 감김 또는 풀림되게 할 때, 상기 충전케이블(20)이 이탈하지 않게 하는 플랜지(211)가 형성된다. 즉, 상기 플랜지(211)는 상기 릴몸체(210)의 외주면보다 직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충전케이블(20)의 감김 또는 풀림시 걸림되게 하면서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릴몸체(210)의 내주면에는 앞서 설명한 상기 전원단자(133)에 대응되게 접촉하는 접촉단자(212)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단자(212)에는 상기 충전케이블(20)의 단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충전케이블(20)은 상기 접촉단자(212)와 상기 전원단자(133)를 통해 상기 전원케이블(10)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으면서, 상기 릴몸체(210)는 상기 본체(100)로의 상기 전원케이블(10) 또는 상기 충전케이블(20)의 간섭없이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탄성체(220)는 상기 릴몸체(210)를 상기 릴축(130) 상에서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한다. 즉, 상기 탄성체(220)는 상기 사용자의 힘에 의해 상기 충전케이블(20)을 풀림되도록 당김시킨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당김힘이 해제될 때, 상기 릴몸체(210)가 상기 충전케이블(20)을 감김시키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탄성체(220)는 상기 릴몸체(210)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릴몸체(210) 내측에 삽입 설치하는데, 상기 탄성체(220)의 일단은 상기 릴몸체(210)에 연결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릴축(130)에 연결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220)는 스파이럴 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충전케이블(20)을 풀림되도록 당기면 압축상태가 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충전케이블(20)을 당기지 않고 놓을 경우, 즉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충전케이블(20)의 당김힘이 해제될 때 상기 탄성체(220)의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팽창되면서 상기 릴몸체(210)을 회전시키면서 상기 충전케이블(20)이 상기 릴몸체(210) 외주면에 감김된다.
상기 래칫부(300)는 상기 릴(200)의 릴몸체(210)를 상기 충전케이블(20)의 풀림되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상기 릴(200)의 릴몸체(210)를 구속되게 한다. 즉, 상기 래칫부(300)는 상기 충전케이블(20)을 연결대상기기에 연결하기 위해 풀림시킨 상태에서 다시 상기 릴(200)의 탄성체(220)에 의한 회전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릴몸체(210)를 걸림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래칫부(300)는 상기 릴(200)에 연결되게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래칫부(300)는 래칫기어(310), 걸림대(320), 토션스프링(330)을 포함한다.
상기 래칫기어(310)는 상기 릴축(130)의 일단에 고정 결합되는 링 단면형상을 가지는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래칫기어(310)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톱니홈(311)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대(320)는 상기 본체(100)의 래칫설치대(131)에 형성된 걸림축(132) 상으로 축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상기 래칫기어(310)의 톱니홈(311)에 걸림되도록 배치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걸림대(320)의 일단에는 상기 걸림축(13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회전연결홈(3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대(320)의 일측에는 토션스프링(330) 단부를 걸림상태로 연결설치할 수 있도록 스프링연결돌기(32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션스프링(330)은 상기 걸림대(320)의 타단 단부가 상기 래칫기어(310)의 톱니홈(311)에 걸림 유지되도록 상기 걸림대(320)를 탄성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토션스프링(330)의 일단은 상기 본체(100)의 래칫설치대(131)에 형성된 스프링걸림홈(133)에 삽입상태로 연결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토션스프링(330)의 타단은 상기 걸림대(320)의 일측에 형성된 스프링연결돌기(322)에 걸림상태로 연결 설치한다.
이같이, 상기 래칫부(300)는 상기 래칫기어(310)의 톱니홈(311)을 내주면에 형성하고, 상기 걸림대(320) 및 상기 토션스프링(330)을 상기 래칫기어(310)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래칫설치대(131)에 설치함으로써,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감김버튼(400)은 상기 릴(200)을 상기 래칫부(300)로 구속시킨 상태를 해제시켜, 상기 릴(200)의 릴몸체(210)가 상기 충전케이블(20)을 감김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감김버튼(400)은 상기 래칫부(300)의 걸림대(320) 타단을 상기 래칫부(310)의 톱니홈(311)에 걸림된 상태를 해제시켜, 상기 충전케이블(20)이 풀림된 상태에서 상기 릴몸체(210)가 상기 탄성체(2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충전케이블(20)을 상기 릴몸체(210)에 감김 이송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감김버튼(400)은 상기 본체(100)의 제1측판(110)과 상기 제2측판(120) 사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결대(140)에 형성된 버튼삽입홈(141)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연결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감김버튼(400)의 일단에는 상기 래칫부(300)의 걸림대(320)에 밀착되는 밀림접촉단(410)이 형성되고, 상기 감김버튼(400)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대(140)에 걸림상태로 상기 본체(100)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부(42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단자돌출구동부(500)는 상기 릴(200)의 탄성체(220)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충전케이블(20)이 상기 릴(200)의 릴몸체(210)에 감김되는 방향으로 감김힘이 발생하는 상태에서, 상기 충전케이블(20)의 충전단자(210) 부분이 상기 본체(100) 내측에 상태로 걸림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단자(210)를 상기 연결대상기기에 연결하고자 할 때, 상기 충전단자(210)가 상기 본체(100)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충전테이블(20)을 용이하게 잡은 상태로 당길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단자돌출구동부(500)는 상기 충전케이블(20)을 상기 연결대상기기에 연결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본체(100) 내측에 삽입상태로 유지되게 하고, 상기 충전케이블(20)을 상기 연결대상기기에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100) 외측으로 돌출 배치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단자돌출구동부(500)는 상기 본체9100)의 제1측판(110)과 상기 제2측판(120) 사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결대(140)의 케이블출입홈(142)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단자돌출구동부(500)는 가압대(510), 전진블럭(520), 전지가이드축(530)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대(510)는 상기 본체(100)의 제1측판(110) 및 제2측판(120)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 'U'자 수평단면 형상을 가지는 부재이다. 즉, 상기 가압대(510)는 상기 제1측판(110) 및 상기 제2측판(120)의 수평가이드홈(180)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연결 설치한다. 이러한, 상기 가압대(510)의 양측 외면에는 상기 수평가이드홈(180)에 삽입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외측가이드돌기(511)가 전후방향으로 직선되게 연장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가압대(510)의 양측 내면에는 전진블럭(520)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내측가이드홈(5120이 전후방향으로 직선되게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대(510)의 양측면에는 사선형으로 연장되는 압입홈(513)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전진블럭(520)은 상기 가압대(510) 양측면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부재이다. 즉, 상기 전진블럭(520)은 상기 가압대(510) 양측면 사이에 삽입 배치된 상태로 상기 내측가이드홈(51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게 연결 설치한다. 이러한, 상기 전진블럭(520)의 양측면에는 상기 내측가이드홈(512)에 삽입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전진가이드돌기(521)가 전후방향으로 직선되게 연장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전진블럭(520)의 측면에는 사선형으로 연장되는 전진홈(522)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진홈(522)은 상기 압입홈(513)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진 사선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진블럭(520)의 상면 선단에는 걸림턱(523)을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걸림턱(523)은 상기 충전케이블(20)의 충전단자(210) 가 걸림되게 한다. 즉, 상기 걸림턱(523)은 상기 충전단자(210) 부분을 걸림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진블럭(520)의 전진 이동시 상기 충전단자(210) 부분이 대응되게 이동하면서 상기 본체(100) 외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상기 충전케이블(20)이 풀림된 상태에서 상기 릴(200)의 릴몸체(210)에 감김시, 상기 충전단자(210)가 상기 본체(100)의 연결대(140)에 형성된 케이블출입홈(142) 상에서 더이상 상기 본체(100)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걸림 정지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523)은 상기 충전단자(21)를 걸림시킨상태에서 상기 충전케이블(20)은 상기 본체(100) 내측으로 삽입 배치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호 이격되게 한 쌍이 형성된다.
상기 전진가이드축(530)은 상기 전진블록(520)을 상기 본체(100)의 수평가이드홈(18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게 함과 더불어 상기 전진블럭(520)이 상기 가압대(510)의 내측가이드홈(51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본체(100)에 연결되게 하는 축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전진가이드축(530)은 상기 가압대(510)의 압입홈(513)과 상기 전진블럭(520)의 전진홈(522)을 관통한 상태로 길이방향 양단이 각각 상기 본체(100)의 제1측판(110) 및 제2측판(120)에 형성된 수직가이드홈(17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진가이드축(530)은 상기 가압대(510)를 수평방향으로 전후이동되게 할 때, 상기 수직방향으로 상하이동하고, 상기 전진블록(520)은 상기 가압대(510)와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일 실시예의 충전케이블 권취장치는,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콘센트(30) 또는 멀티탭(40)과 같은 옥내 배선과 연결된 장치에 삽입상태로 결합 설치하거나,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차량의 센터페시아(50) 부분 또는 냉장고(60)의 도어 부분에 삽입상태로 결합되어 차량이나 냉장고의 전원장치와 연결되어, 해당 장치의 정상적인 작동 또는 사용 도중에도 스마트폰과 같은 연결대상기기에 충전단자(21)를 연결하여 충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일 실시예의 충전케이블 권취장치는 상기 연결대상기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전원을 구비하거나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컴퓨터나 TV와 같은 가전 및 그 외의 각종 가전이나 산업용 전자/전기기기 내측에 삽입상태로 결합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 실시예의 충전케이블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충전케이블(20)의 충전단자(21)를 연결대상기기에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단자돌출구동부(500)를 통해 상기 충전단자(21)가 상기 본체(100) 외측으로 돌출되게 한 후, 사용자가 상기 충전단자(21)를 잡고 상기 충전케이블(20)을 상기 릴(200)에서 풀림되도록 당기게 된다.
이에 대해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단자돌출구동부(500)의 가압대(510)를 상기 본체(100) 내측으로 밀게 되면, 상기 전진가이드축(530)이 상기 본체(100)의 수직가이드홈(17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전진블럭(520)의 전진홈(522)을 압박하여 상기 전진블럭(520)이 상기 본체(100) 외측방향으로 전진하고, 상기 전진블럭(520)의 걸림턱(523)에 걸림 배치된 상기 충전단자(21)는 상기 본체(100) 외측으로 돌출 배치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충전단자(21)가 상기 본체(100) 내측에 완전히 수납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압대(510)는 상기 수평가이드홈(810)의 선단에 걸림되도록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전진블럭(520)은 상기 가압대(510)의 내측가이드홈(512) 후단에 걸림되도록 후방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대(510)의 압입홈(513) 상단과 상기 전진블럭(520)의 전진홈(522) 상단이 중첩됨에 따라 상기 전진가이드축(530)도 상기 수직가이드홈(170)의 상단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압대(10)를 상기 본체(100) 내측방향으로 밀게 되면서, 상기 가압대(513)의 압입홈(513)과 상기 전진블럭(520)의 전진홈(522)의 측면상 중첩부가 점차 하강하면서 상기 전진가이드축(530)도 상기 전진블럭(520)의 전진홈(522)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전진블럭(520)을 전방측으로 이동되게 하여, 상기 충전단자(21)는 상기 본체(100) 외측으로 돌출 배치된다.
이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충전단자(21)를 잡고 상기 연결대상기기로 연결하기 위해 당길 경우, 상기 릴(200)에 권취된 상기 충전케이블(20)의 풀림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대해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충전단자(21)를 잡고 상기 충전케이블(20)을 상기 본체(100) 외측으로 당기면, 상기 탄성체(22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기 릴몸체(210)가 회전하면서, 상기 릴몸체(210) 외주면에 권취되어 있던 상기 충전케이블(20)이 풀림된다. 이때, 상기 래칫기어(210) 내주면의 톱니홈(311)이 상기 걸림대(320)의 외측 표면을 상기 래칫기어(310) 중심측으로 압입함에 따라 상기 걸림대(320)가 상기 걸림축(132)을 축으로 상기 래칫기어(310) 중심측으로 회전하고, 회전하던 상기 래칫기어(310)의 톱니홈(311) 뾰족한 봉부가 상기 걸림대(320) 타단 테두리 부분을 통과한 직후, 상기 걸림축(132)에 결합된 상기 토션스프링(330)의 탄발력으로 인해 상기 걸림대(320)가 상기 래칫기어(310) 외측 방향으로 순간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걸림대(320)의 타단이 상기 래칫기어(310)의 톱니홈(311) 곡부에 안착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래칫기어(310)의 톱니홈(311)과 상기 걸림대(320)의 치합 구조 및 상기 걸림대(320)에 작용하는 상기 토션스프링(330)의 탄발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릴몸체(210)의 순방향 회전, 즉 상기 릴몸체(210)의 상기 충전케이블(20)을 풀림시키는 방향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케이블(20)이 풀림됨에 따라 회전을 지속하던 상기 릴몸체(21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충전케이블(20)의 인출을 중단함에 따라 회전이 정지하며, 상기 래칫기어(310)의 톱니홈(311)에 상기 걸림대(320)의 타단이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토션스프링(330)에 탄성력에 의해 치합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릴몸체(210)의 회전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토션스프링(330)의 탄성력으로 인해 상기 걸림대(320)는 상기 래칫기어(310)의 외측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하여, 상기 걸림대(320)의 타단 테두리 부분이 상기 래칫기어(310)의 톱니홈(311) 곡부에 안착 상태가 유지되면서, 상기 릴몸체(210)의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상기 충전케이블(20)의 사용을 완료하여 상기 충전케이블(20)을 상기 릴몸체(210)에 감김상태로 수납할 때에는 상기 감김버튼(400)을 눌러 상기 릴몸체(210)가 역방향 회전, 상기 릴몸체(210)의 상기 충전케이블(20)을 감김시키는 방향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감김버튼(400)을 상기 본체(100)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누르면, 상기 감김버튼(400)의 밀림접촉단(410)이 상기 래칫부(300)의 걸림대(320)를 밀게 되면, 상기 토션스프링(3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래칫기어(310)의 톱니홈(311)에 걸림되어 있던 상기 걸림대(320)의 걸림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릴몸체(210)는 상기 탄성체(2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충전케이블(20)을 감김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충전케이블(20)은 상기 본체(100)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상기 릴몸체(210) 외주면에 감김된다. 이때, 상기 충전케이블(20)은 상기 충전단자(21)가 상기 단자돌출구동부(500)의 전진블럭(520)에 형성된 걸림턱(523)에 걸림되는 위치까지 인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블 권취장치는,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상기 충전케이블(100)을 권취한 상태로 감김되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상시로 작용되게 하는 상기 릴(200)이 구비되고, 상기 릴(200)의 회전 구속여부를 상기 래칫부(300)와 상기 감김버튼(400)을 이용하여 조절하면서 상기 릴(200)에 의한 상기 충전케이블(100)의 풀림 또는 감김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충전케이블(20)의 충전단자(21)는 상기 단자돌출구동부(500)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단자(21)를 연결대상기기에 연결하고자 할 때만 상기 본체(100) 외측으로 노출되게 함으로써, 상기 충전케이블(20)의 손상이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10: 제1측판
120: 제2측판 130: 릴축
140: 연결대 150: 밀착롤러
160: 압박롤러 170: 수직가이드홈
180: 수평가이드홈 200: 릴
210: 릴몸체 220: 탄성체
300: 래칫부 310: 래칫기어
320: 걸림대 330: 토션스프링
400: 감김버튼 410: 밀림접촉단
420: 이탈방지돌기 500: 단자돌출구동부
510: 가압대 520: 전진블럭
530: 전진가이드축
120: 제2측판 130: 릴축
140: 연결대 150: 밀착롤러
160: 압박롤러 170: 수직가이드홈
180: 수평가이드홈 200: 릴
210: 릴몸체 220: 탄성체
300: 래칫부 310: 래칫기어
320: 걸림대 330: 토션스프링
400: 감김버튼 410: 밀림접촉단
420: 이탈방지돌기 500: 단자돌출구동부
510: 가압대 520: 전진블럭
530: 전진가이드축
Claims (7)
- 상호 대향된 상태로 이격 배치된 제1측판 및 제2측판을 가지며, 상기 제1측판에는 릴축이 형성된 본체와;
외주면에 충전케이블이 권취된 상태로 상기 릴축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충전케이블의 감김되는 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하는 릴과;
상기 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릴이 상기 충전케이블의 풀림되는 방향으로만 회전되게 상기 릴을 구속시키는 래칫부와;
상기 제1측판 및 제2측판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일단이 상기 래칫부에 연결되어, 상기 릴이 상기 래칫부에 의해 구속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감김버튼; 및
상기 제1측판 및 제2측판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충전케이블의 충전단자부분이 상기 본체 내측에 삽입상태로 걸림 유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충전단자를 연결대상기기에 연결하고자 할 때, 상기 충전단자가 상기 본체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는 단자돌출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에는 밀착롤러 및 압박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충전케이블은 상기 밀착롤러와 상기 압박롤러 사이를 통해 이송되면서 상기 충전케이블의 감김 또는 풀림시 상기 충전케이블의 이송속도가 감속되고,
상기 밀착롤러의 내측에는 중공의 삽입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간부에는 복수의 입상체를 삽입 구비하는 충전케이블 권취장치. - 상호 대향된 상태로 이격 배치된 제1측판 및 제2측판을 가지며, 상기 제1측판에는 릴축이 형성된 본체와;
외주면에 충전케이블이 권취된 상태로 상기 릴축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탄성력에 의해 상기 충전케이블의 감김되는 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하는 릴과;
상기 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릴이 상기 충전케이블의 풀림되는 방향으로만 회전되게 상기 릴을 구속시키는 래칫부와;
상기 제1측판 및 제2측판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일단이 상기 래칫부에 연결되어, 상기 릴이 상기 래칫부에 의해 구속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감김버튼; 및
상기 제1측판 및 제2측판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충전케이블의 충전단자부분이 상기 본체 내측에 삽입상태로 걸림 유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충전단자를 연결대상기기에 연결하고자 할 때, 상기 충전단자가 상기 본체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는 단자돌출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판 및 상기 제2측판에는,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상하방향으로 직선되게 연장된 수직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가이드홈에 수직하도록 전후방향으로 직선되게 연장된 수평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단자돌출구동부는,
상기 제1측판과 상기 제2측판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수평가이드홈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양측면에는 사선형으로 연장되는 압입홈이 형성되고, 'U'자형 수평단면 형상을 가지는 가압대와,
상기 가압대 양측면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하며, 측면에는 상기 압입홈의 반대방향으로 사선형으로 연장되는 전진홈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충전케이블의 충전단자가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전진블럭, 및
상기 압입홈과 상기 전진홈을 관통한 상태로 양단이 각각 상기 제1측판 및 상기 제2측판의 수직가이드홈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진가이드축을 포함하는 충전케이블 권취장치. - 삭제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릴은,
상기 릴축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원통형 구조의 릴몸체와,
상기 릴몸체 내측에 삽입 설치하며, 일단은 상기 릴몸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릴축에 연결되어, 상기 릴몸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충전케이블 권취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릴축의 외주면에는 전력을 전달하는 전원케이블과 연결되는 전원단자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릴몸체의 내주면에는 상기 전원단자에 대응 접촉되는 접촉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접촉단자에는 상기 충전케이블의 단부가 연결되는 충전케이블 권취장치.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릴축의 단부에는 걸림축이 형성된 래칫설치대를 결합 구비하며,
상기 래칫부는,
상기 릴의 일측에 결합되며,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톱니홈이 형성된 래칫기어와,
일단이 상기 걸림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톱니홈에 걸림되는 걸림대, 및
일단은 상기 래칫설치대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걸림대에 연결되어 상기 걸림대의 타단이 상기 톱니홈에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충전케이블 권취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8945A KR101830134B1 (ko) | 2016-08-03 | 2016-08-03 | 충전케이블 권취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98945A KR101830134B1 (ko) | 2016-08-03 | 2016-08-03 | 충전케이블 권취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5434A KR20180015434A (ko) | 2018-02-13 |
KR101830134B1 true KR101830134B1 (ko) | 2018-02-20 |
Family
ID=61231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98945A KR101830134B1 (ko) | 2016-08-03 | 2016-08-03 | 충전케이블 권취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013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639844B (zh) * | 2018-05-15 | 2020-04-07 | 国网山东省电力公司济南市章丘区供电公司 | 一种电力电缆辅助输送装置 |
CN109638758B (zh) * | 2018-11-08 | 2020-11-06 |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七五0试验场 | 一种拖曳缆防松绕制装置及方法 |
CN109384103B (zh) * | 2018-12-01 | 2024-08-20 | 深圳市英可瑞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新能源汽车充电桩的正反向助力绕线装置 |
KR102247806B1 (ko) * | 2019-10-16 | 2021-05-03 | 홍성진 | 배터리 충전기 |
CN111517180A (zh) * | 2020-05-14 | 2020-08-11 | 江西三川铜业有限公司 | 一种机电设备用线缆快速收纳装置 |
CN112959908A (zh) * | 2021-04-20 | 2021-06-15 | 王子浩 | 一种上置式汽车充电装置 |
CN113830408B (zh) * | 2021-10-11 | 2023-04-28 | 崔洙镐 | 一种多部位理疗光灸仪 |
CN113895260B (zh) * | 2021-10-18 | 2024-05-03 | 江苏征途电气科技有限公司 | 基于新能源汽车的汽车充电装置 |
CN113858988A (zh) * | 2021-10-27 | 2021-12-31 | 广州如虎生翼汽车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电动汽车便携式充电设备 |
CN117614289A (zh) * | 2023-11-25 | 2024-02-27 | 中山市优启科技有限公司 | 一种便于回收充电线的电源适配器及其使用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0389Y1 (ko) * | 2003-10-24 | 2004-01-31 | 이정선 | 코드릴 구조를 갖는 셀룰러폰 충전기 |
CN201570704U (zh) * | 2009-06-02 | 2010-09-01 | 温州大学 | 带充电伸缩线的墙壁插座 |
-
2016
- 2016-08-03 KR KR1020160098945A patent/KR10183013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0389Y1 (ko) * | 2003-10-24 | 2004-01-31 | 이정선 | 코드릴 구조를 갖는 셀룰러폰 충전기 |
CN201570704U (zh) * | 2009-06-02 | 2010-09-01 | 温州大学 | 带充电伸缩线的墙壁插座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15434A (ko) | 2018-02-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30134B1 (ko) | 충전케이블 권취장치 | |
US10483699B2 (en) | Retractable cable and cable rewind spool configuration | |
JP3894431B2 (ja) | 移動体のケーブル張力装置 | |
US20140224914A1 (en) | Housing device | |
EP2687470A1 (en) | Cord accommodation apparatus | |
US20030067171A1 (en) | Wire rewinding box with recharge unit | |
EP2768100B1 (en) | Cable retractor | |
KR102236551B1 (ko) | 도막 전사구 | |
US7494083B1 (en) | Reel structure | |
US8684295B2 (en) | Cord reel | |
US5255768A (en) | Cord winder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system | |
CN101459328A (zh) | 可减少摩擦阻力的电源线卷收装置 | |
JP2015182838A (ja) | 充電ケーブル収納装置 | |
KR20190097385A (ko) | 케이블 릴의 공회전 방지장치 | |
JP2012153519A (ja) | 巻取カラー | |
KR20160077690A (ko) | 케이블 권취장치 | |
JP3043585U (ja) | コード巻取装置 | |
US10773921B2 (en) | Attachment structure for cord reel, and apparatus including cord reel and holder | |
KR101630636B1 (ko) |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 |
KR101705021B1 (ko) | 사이드 푸쉬 키를 구비하는 자동 감김 장치 | |
CN114735548A (zh) | 一种收线器及具有其的物品 | |
GB2510856A (en) | A Holder | |
CN2474495Y (zh) | 回力收线盒 | |
GB0400896D0 (en) | Storage reel | |
CN108184186B (zh) | 一种卷线耳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