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341B1 - 기능성 베개 - Google Patents

기능성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341B1
KR102246341B1 KR1020200116140A KR20200116140A KR102246341B1 KR 102246341 B1 KR102246341 B1 KR 102246341B1 KR 1020200116140 A KR1020200116140 A KR 1020200116140A KR 20200116140 A KR20200116140 A KR 20200116140A KR 102246341 B1 KR102246341 B1 KR 102246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space
filler
partition
sup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표
Original Assignee
유승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표 filed Critical 유승표
Priority to KR1020200116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3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8Stabilizing container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기능성 베개가 개시된다. 개시된 기능성 베개는 베개의 폭방향 중간부를 형성하며, 앙와위 자세 용도로 사용되어 사용자의 경추와 후두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앙와위 베개부; 상기 앙와위 베개부의 좌우측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앙와위 베개부보다 큰 높이를 갖도록 구성되며, 측와위 자세용도로 사용되어 사용자의 측두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와위 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측와위 베개부 각각은 상하로 2개로 분할된 상부분할공간부와 하부분할공간부로 구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분할공간부와 상기 하부분할공간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각각의 충진재가 충진되되, 상기 하부분할공간부에 충진되는 하부충진재는 상기 상부분할공간부에 충진되는 상부충진재에 비해 하드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측두부 가압에 의한 베개 형상 변형을 억제하여 베개의 형상유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충진재에 비해 연질로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상부충진재는 사용자의 측두부에 편안한 밀착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성 베개{Functional pillow}
본 발명은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개 양측부가 상하 이중분할구조로 되어 있고, 이 상하 이중분할구조에 각각 상대적으로 경도가 서로 다른 소프트 충진재와 하드 충진재를 충진하되, 상측분할영역에는 소프트 충진재로 충진되고, 하측분할영역에는 하드 충진재로 충진되어 부드러운 밀착감을 주면서도 강한 지지력을 함께 갖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안한 수면 또는 휴식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
베개는 취침시 또는 휴식시에 머리를 받쳐 숙면을 유도하고, 또한 경추 보호를 통한 신체구조의 안정성을 확보하여 호흡과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통상적인 베개는 위를 보고 똑바로 누웠을 때 각각 높이가 다른 머리와 목부위를 일정한 높이로 받쳐주는 형상으로서, 목부분을 앞으로 밀어 올리는 역할을 하게 되어 단순 침구로서의 기능조차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여, 일생의 삼분의일을 차지하는 수면 시간에 깊은 수면을 유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건강을 오히려 해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공개특허 10-2005-0088552호. 등록실용 20-0353227호, 등록실용 20-0384141호, 등록특허 10-0718338호에 개시된 베개는 중앙부에는 반드시 누웠을 때 후두부를 지지하는 후두부지지부를 형성하고, 중앙부에 인접하는 양측부에는 옆으로 누웠을 때 귀영역 즉 측두부를 지지하는 귀지지부를 형성하여, 반드시 누운 앙와위 자세와 옆으로 누운 측와위 자세 모두 편안한 사용이 이루어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베개는 옆으로 눕는 자세(측와위 자세)로 귀지지부를 베었을 때, 측두부의 가압에 의해 귀지지부 내측에 충진된 충진재가 한쪽으로 쏠리면서 귀지지부가 너무 움푹 들어가거나 한쪽으로 급격하게 경사진 형태로 형태변형되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기존의 베개에서 귀지지부는 한 종류의 충진재만이 충진된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소프트한 경질의 충진재로 충진하는 경우 측두부의 가압에 대한 지지력이 약하기 때문에 베개가 쉽게 형태변형되고, 딱딱한 하드재질의 충진재로 충진하는 경우에는 지지력은 강하여 측두부 가압에 의한 형태변형은 억제할 수 있으나 사용자에게 편안하고 부드러운 밀착감은 주지 못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공개특허 10-2005-0088552호 등록실용 20-0353227호 등록실용 20-0384141호 등록특허 10-071833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베개 가운데에 앙와위 자세로 후두부를 지지하는 앙와위 베개부와, 베개 양측부에는 측와위 자세로 측두부를 지지하는 측와위 베개부가 구성되는 베개에서, 측와의 베개부는 상하로 하부충진영역과 상부충진영역으로 분할 구획되어 서로 다른 충진재가 충진되되, 상부충진영역에는 소프트한 충진재가 충진되고, 하부충진영역에는 상대적으로 하드한 충진재가 충진되어, 측두부가압에 의해도 베개의 형상유지가 용이하면서도 사용자의 측두부에 편안한 밀착감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이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능성 베개는, 베개의 폭방향 중간부를 형성하며, 앙와위 자세 용도로 사용되어 사용자의 경추와 후두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앙와위 베개부; 상기 앙와위 베개부의 좌우측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앙와위 베개부보다 큰 높이를 갖도록 구성되며, 측와위 자세용도로 사용되어 사용자의 측두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와위 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측와위 베개부 각각은 상하로 2개로 분할된 상부분할공간부와 하부분할공간부로 구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분할공간부와 상기 하부분할공간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각각의 충진재가 충진되되, 상기 하부분할공간부에 충진되는 하부충진재는 상기 상부분할공간부에 충진되는 상부충진재에 비해 하드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측두부 가압에 의한 베개 형상 변형을 억제하여 베개의 형상유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충진재에 비해 연질로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상부충진재는 사용자의 측두부에 편안한 밀착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분할공간부는 상기 하부분할공간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입체감을 갖도록 큰 두께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충진재가 상기 상부분할공간부 내에서 위아래로 고르게 퍼지는 충진재 분산성이 향상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분할공간부의 전후 길이방향 소정 위치에는 칸막이가 구성되어 상기 하부분할공간부 내에서 상기 하부충진재가 전후로 이동되는 이동량을 제한하여, 사용자의 측두부 가압에 의해, 상기 측와위 베개부의 급격한 경사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칸막이는 상기 하부분할공간부의 후측단으로부터 상기 하부분할공간부 전후길이의 1/3 지점에 구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칸막이의 좌우길이는 상기 하부분할공간부의 좌우 길이보다 작도록 구성되고, 상기 칸막이는 상기 하부분할공간부의 좌우 중간부분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칸막이의 양측방에는 상기 하부충진재가 이동할 수 있는 충진재 이동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칸막이의 양측단에 각각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단과 하단이 상기 하부분할공간부의 천장과 바닥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충진재 이동홀의 사이즈를 가변시켜 상기 하부충진재의 이동량을 조절하는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충진재는 폴리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소재로 이루어진 소프트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충진재는 폴리에틸렌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충진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드한 구형 충진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능성 베개는 중간에 앙와위 자세로 사용되는 앙와위 베개부와, 양측부에 측와위 자세로 사용되는 측와위 베개부가 구성되되, 측와위 베개부가 상하로 이중 분할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부에는 소프트재질의 충진재가 채워지고 하부에는 하드재질의 충진재가 채워지도록 구성되어, 측와위 자세로 사용시 측두부의 가압에 의해 베개의 형태가 흐트러지지 않고 베개형태를 용이하게 유지하면서도 측두부에 대해 부드럽고 안정적인 밀착감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게 휴식이나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측와위 베개부의 하부분할공간부에 칸막이를 설치하여 하부충진재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측와위 베개부를 측두부가 가압했을 때, 측두부의 가압에 의해 경사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여 평평한 자세로 경추가 수평자세로 바르게 정렬되는 것을 도와 건강을 도모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측와위 베개부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A-A를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B-B를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칸막이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베개(1)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베개(1)는 앙와위 베개부(10)와 측와위 베개부(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측내피(112)와 하측내피(114)의 테두리를 재봉하여 내부에 충진재를 수용가능한 베개내피(1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베개내피(110)의 길이방향에는 소정간격으로 상측내피(112)와 하측내피(114)를 맞대어 재봉한 한 쌍의 맞봉제선(116)이 형성되어, 베개 중간부분에 앙와위 베개부(10)를 구성하고, 이 앙와위 베개부(10)의 양측에 측와위 베개부(20)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앙와위 베개부(10)는 사용자가 천정을 바로 보고 눕는 자세 즉, 앙와위 자세로 사용하는 용도로서 사용자의 후두와 경추(목)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앙와위 베개부(10)는 내부에 충진재가 충진되어 볼륨감이 있도록 구성되며, 앙와위 베개부(10)의 전후 길이방향 소정위치에는 제2맞봉제선(118)이 구성되어, 앙와위 베개부(10)는 전후 두 부분으로 구획되어, 후측부에는 후두부를 지지하는 후두부지지부(12)와, 전측부에는 목, 경추를 지지하는 경추지지부(14)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후두부지지부(12)와 경추지지부(14)는 각각 독립된 충진재 수용공간을 갖도록 구성되며, 각각 별도로 후두부지지부(12) 및 경추부지지부(14)에 충진재를 투입할 수 있도록 후두부지지부(12)의 외측에는 지퍼개방식 투입구(12a)가 구비되고, 경추부지지부(114)의 외측에는 지퍼개방식 투입구(14a)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경추부지지부(114)는 후두부지지부(12)에 전후 폭이 좁도록 구성되고, 경추부지지부(114)의 상하두께가 후두부지지부(12)의 상하두께에 비해 두껍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앙와위 베개부(10)는 전후로 두 부분으로 구획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후로 3개로 구획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4개, 5개, 그 이상으로도 구획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에서 본 발명은 상측내피(112)와 하측내피(114)로 이루어진 두겹의 베개내피(110)에 맞봉제선(116,118)들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후두부지지부(12)와 경추부지지부(14)로 구획된 앙와위베개부(10)와 이 앙와위 베개부(10)의 양측에 형성된 측와위 베개부(20)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두부지지부(12), 경추부지지부(14), 한 쌍의 측와위 베개부(20)를 형성하도록 후두부지지부(12), 경추부지지부(14), 한 쌍의 측와위 베개부(20)에 대응하는 각각의 상측내피와 하측내피를 개별적으로 구성하여 테두리를 재봉해 각각의 파우치형태의 개별 내피부를 구성하고, 이 개별 내피부들을 재봉에 연결함으로써, 베개 중간부에 전후로 후두부지지부(12)와 경추지지부(14)가 구비된 앙와위 베개부(10)와, 이 앙와위 베개부(10)의 양측에 연결되는 측와위 베개부(20)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측와위 베개부(20)는 사용자가 옆으로 눕는 자세(모로 눕는 자세) 즉 측와위 자세로 사용하는 용도로서 사용자의 측두부(귀 부분을 포함하는 얼굴 측면 포함)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측와위 베개부(20)는 경추지지부(14) 및 후두부지지부(12) 보다 높은 두께를 갖도록 구성되어, 측와위 자세시 보다 편안하게 측두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측와위 베개부(20)는 내부공간이 상하로 구획되어 상부충진재(31)가 충진되는 상부충진공간부(21)와 하부충진재(33)가 충진되는 하부충진공간부(2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와위 베개부(20)는 내부공간을 상하 2공간으로 분할시키는 분할시트(25)가 구성되어, 이 분할시트(25)를 기준으로 상부에 상부충진공간부(21)가 구성되고 하부에 하부충진공간부(23)가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부분할공간부(21)와 하부분할공간부(23)에는 각각 독립, 개별적으로 각각의 서로 다른 종류의 충진재가 충진되도록 구성된다. 상부분할공간부(21)에는 상부충진재(31)가 충진되고, 하부분할공간부(23)에는 하부충진재(32)가 충진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측와위 베개부(20)의 전측부에는 상부분할공간부(21)에 충진재를 투입하기 위한 지퍼타입의 상부충진재투입구(26)가 구성되고, 측와위 베개부(20)의 후측부에는 하부분할공간부(21)에 충진재를 투입하기 위한 지퍼타입의 하부충진재투입구(27)가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부충진재(31)는 하부충진재(32)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딱딱한 재질(경도가 낮은 재질)로 이루어진 소프트 재질로 구성되고, 하부충진재(32)는 상부충진재(31)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딱딱한(경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 하드 재질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부충진재(31)는 폴리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소재로 이루어지고 파이프형태로 이루어진 소프트한 파이프형 충진재로 이루어지며, 하부충진재는 폴리에틸렌 소재로 이루어지고 중공부를 갖으며 상부충진재(31)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드한 구형 충진재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부충진재(31)는 하부충진재(32)에 비해 연하고 부드러운 소프트재질로 이루어지고, 하부충진재(32)는 상부충진재(31)에 비해 더 딱딱한 하드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하부충진재(32)는 사용자의 측두부 가압에 의해 베개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억제하여 베개의 형상유지가 이루어지고 측두부를 지지하는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기능하고, 상부충진재(31)는 사용자의 측두부 가압시 편안함 밀착감을 제공하도록 기능하여, 사용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편안하게 측와위 자세로 수면이나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분할공간부(21)는 하부분할공간부(23)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입체감을 갖도록 큰 두께로 이루어져, 상부충진재(31)가 상부분할공간부(21) 내에서 위아래로 고르게 퍼지는 충진재 분산성을 높여주어 측두부의 가압시 측두부를 안정적으로 감싸 밀착감을 향상시켜 주면서도, 상부충진재(31)가 상부분할공간부(21)의 가장자리부분으로 심하게 밀려 측두부가 하부충진재(32)가 충진된 하부분할공간부(23)에 직접적으로 닿는 것을 방지하여 상부분할공간부(21)가 본래의 형태로 복원되는 것이 용이하게 해준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분할공간부(21)의 두께가 하부분할공간부(23)의 두께에 비해 2cm 더 두껍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분할공간부(21)가 하부분할공간부(23)에 비해 2cm를 초과하도록 두껍게 되면, 밀착감 향상을 더 올라갈지 모르나 하부분할공간부(23)에 의한 베개의 형태유지력이 낮아지고, 반대로 상부분할공간부(21)가 하부분할공간부(23)에 비해 2cm 보다 미만으로 두껍게 되면, 하부분할공간부(23)에 의한 베개의 형태유지력이 크게 향상되나 밀착감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게 된다. 즉, 상부분할공간부(21)의 두께가 하부분할공간부(23)의 두께에 비해 2cm 더 두껍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만, 베개의 형태유지력과 밀착감의 향상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하부분할공간부(23)의 전후 길이방향 소정위치에 칸막이(28)가 구성되어, 하부분할공간부(23) 내의 하부충진재(32)가 하부분할공간부(23) 내에서 전후로 이동되는 이동량을 소량으로 제한하여 사용자의 측두부 가압에 의해 측와위 베개부(20)가 심한 경사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해줄 있다.
본 발명에서 칸막이(28)는 연질 또는 신축성을 갖는 섬유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좌우길이는 하부분할공간부(23)의 좌우길이보다 짧도록 구성되고, 하부분할공간부(23)의 좌우길이방향 중간부에 위치하도록 상단과 하단이 하부분할공간부(23)의 천정과 바닥에 재봉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칸막이(28)의 양측방에는 충진재 이동홀(s)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된다(여기서, 각각의 충진재 이동홀(s)의 좌우폭은 4~6cm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충진재 이동홀(s)을 통해서만 하부충진재(32)가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하부충진재(32)의 이동량이 제한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측두부 가압에 의해 칸막이(28)를 기준으로 하부분할공간부(23) 내의 전방공간에 수용된 하부충진재(32)가 칸막이(28)를 기준으로 하부분할공간부(23) 내의 후방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거나 억제하여 측와위 베개부(20)에 대한 사용자의 측두부 가압시, 측와위 베개부(20)의 급격한 경사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충진재 이동홀(s)의 좌우폭은 4~6cm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칸막이(28)는 하부분할공간부(23)의 후측단으로부터 하부분할 공간부(23)의 전체 전후길이의 1/3 지점에 설치됨으로써, 칸막이(28)를 기준으로 하부분할공간부(23)의 전방공간이 전체 하부분할공간부(23)의 2/3를 차지하고, 후방공간이 전체 하부분할공간부(23)의 1/3를 차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측와위 자세로서 측두부가 실질적으로 하부분할공간부(23)의 전방공간을 가압하게 되며, 이 경우, 충진재 이동홀(s)을 통한 하부충진재(32)가 하부분할공간부(23)의 후방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하부충진재(32)의 이동에 따른 급격한 형태변형을 막아주고 베개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한편,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칸막이(28)의 양측부 각각에서 연장형성되고, 각각의 상단과 하단이 하부분할공간부(23)의 천정과 바닥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충진재 이동홀(s)을 사이즈를 조절하는 개폐수단(41)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개폐수단(41)은 연질 또는 신축성 원단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구성되어 각각이 재봉에 의해 칸막이(28)의 양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개폐수단(41)의 상단과 하단과 하부분할공간부(23)의 천정과 바닥에는 각각 서로 마주하여 개폐수단(41)의 상단과 하단 각각이 하부분할공간부(23)의 천정과 바닥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게 하는 지퍼, 벨크로 등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43)가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43)를 통해 각각의 개폐수단(41)의 하부분할공간부(23)의 천정과 바닥에 결합시키는 경우, 도 8과 같이 충진재 이동홀(s)이 축소되게 되고, 결합부재(43)를 해제하여 개폐수단(41)을 하부분할공간부(23)의 천장과 바닥에서 분리시키는 경우, 도 4 및 도 6과 같이 충진재 이동홀(s)이 본래대로 확장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개폐수단(41)을 결합 또는 분리해 충진재 이동홀(s)의 사이즈를 축소시키거나 원래대로 확장시킨 상태에서 베개를 모두 사용해보고 사용감이 좋다고 느껴지는 상태를 확인한 후, 자신에 맞게 충진재 이동홀(s)의 사이즈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앙와위 베개부
12...후두부지지부
14...경추지지부
20...측와위 베개부
21...상부분할공간부
23...하부분할공간부
26...상부충진재투입구
27...하부충진재투입구
28...칸막이
31...상부충진재
32...하부충진재
41...개폐수단
43...결합부재

Claims (6)

  1. 베개의 폭방향 중간부를 형성하며, 앙와위 자세 용도로 사용되어 사용자의 경추와 후두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앙와위 베개부;
    상기 앙와위 베개부의 좌우측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앙와위 베개부보다 큰 높이를 갖도록 구성되며, 측와위 자세용도로 사용되어 사용자의 측두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측와위 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측와위 베개부 각각은 상하로 2개로 분할된 상부분할공간부와 하부분할공간부로 구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부분할공간부와 상기 하부분할공간부에 각각 독립적으로 각각의 충진재가 충진되되, 상기 하부분할공간부에 충진되는 하부충진재는 상기 상부분할공간부에 충진되는 상부충진재에 비해 하드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측두부 가압에 의한 베개 형상 변형을 억제하여 베개의 형상유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충진재에 비해 연질로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상부충진재는 사용자의 측두부에 편안한 밀착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분할공간부의 전후 길이방향 소정 위치에는 칸막이가 구성되어 상기 하부분할공간부 내에서 상기 하부충진재가 전후로 이동되는 이동량을 제한하여, 사용자의 측두부 가압에 의해, 상기 측와위 베개부의 급격한 경사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칸막이의 좌우길이는 상기 하부분할공간부의 좌우 길이보다 작도록 구성되고, 상기 칸막이는 상기 하부분할공간부의 좌우 중간부분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칸막이의 양측방에는 상기 하부충진재가 이동할 수 있는 충진재 이동홀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칸막이의 양측부 각각에서 연장형성되고, 상단과 하단이 상기 하부분할공간부의 천장과 바닥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충진재 이동홀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수단은 연질 또는 신축성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칸막이의 양단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폐수단의 상단과 하단 및 상기 하부분할공간부의 천장과 바닥에는 각각 서로 마주하여 상기 개폐수단의 상단과 하단 각각이 상기 하부분할공간부의 천장과 바닥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게 하는 결합부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분할공간부는 상기 하부분할공간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입체감을 갖도록 큰 두께로 이루어져 상기 상부충진재가 상기 상부분할공간부 내에서 위아래로 고르게 퍼지는 충진재 분산성이 향상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는 상기 하부분할공간부의 후측단으로부터 상기 하부분할공간부 전후길이의 1/3 지점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충진재는 폴리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소재로 이루어진 소프트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충진재는 폴리에틸렌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충진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드한 구형 충진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KR1020200116140A 2020-09-10 2020-09-10 기능성 베개 KR102246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140A KR102246341B1 (ko) 2020-09-10 2020-09-10 기능성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140A KR102246341B1 (ko) 2020-09-10 2020-09-10 기능성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6341B1 true KR102246341B1 (ko) 2021-04-28

Family

ID=75721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140A KR102246341B1 (ko) 2020-09-10 2020-09-10 기능성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3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4744A (ko) 2021-09-03 2023-03-10 서종근 다양한 자세로 사용이 가능한 베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4919U (ja) * 1994-06-03 1994-12-06 惣平 森岡
JP3017120U (ja) * 1995-01-11 1995-10-24 有限会社健友
KR200353227Y1 (ko) 2004-03-02 2004-06-22 기영숙 경추 및 어깨 결림 방지 베개
KR200384141Y1 (ko) 2005-02-23 2005-05-11 이창주 베개
KR20050088552A (ko) 2004-03-02 2005-09-07 기영숙 경추 및 어깨 결림 방지 베개
KR100718338B1 (ko) 2005-10-21 2007-05-14 기영숙 경추 및 어깨 결림 방지 높낮이 베개
JP3154563U (ja) * 2009-07-31 2009-10-22 株式会社タナカふとんサービス 寝具用枕
JP2016106908A (ja) * 2014-12-09 2016-06-20 クロスクリエイション株式会社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4919U (ja) * 1994-06-03 1994-12-06 惣平 森岡
JP3017120U (ja) * 1995-01-11 1995-10-24 有限会社健友
KR200353227Y1 (ko) 2004-03-02 2004-06-22 기영숙 경추 및 어깨 결림 방지 베개
KR20050088552A (ko) 2004-03-02 2005-09-07 기영숙 경추 및 어깨 결림 방지 베개
KR200384141Y1 (ko) 2005-02-23 2005-05-11 이창주 베개
KR100718338B1 (ko) 2005-10-21 2007-05-14 기영숙 경추 및 어깨 결림 방지 높낮이 베개
JP3154563U (ja) * 2009-07-31 2009-10-22 株式会社タナカふとんサービス 寝具用枕
JP2016106908A (ja) * 2014-12-09 2016-06-20 クロスクリエイション株式会社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4744A (ko) 2021-09-03 2023-03-10 서종근 다양한 자세로 사용이 가능한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262B1 (ko) 베개
US91137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 adjustable cervical contour pillow
US11596247B2 (en) Pillow for healthy ergonomic positioning of the neck and spine
US7926134B2 (en) Spinal supporting sleep pillow
US10441487B1 (en) Surgical recovery pillow
KR200484694Y1 (ko) 기능성 경추 및 날개 베개
JP2016106908A (ja)
KR102246341B1 (ko) 기능성 베개
US20160100701A1 (en) Pillow
KR101293259B1 (ko) 사용자 체형 맞춤 베개
KR101626126B1 (ko) 기능성 베개
US6928677B1 (en) Therapeutic pillow
CN214105085U (zh) 支撑位可调节的俯卧位头垫
KR20220054262A (ko) 경추 베개
CN208769359U (zh) 具有舒缓头、颈部压力效果的枕头
KR200226847Y1 (ko) 경추 보호용 목베개
KR102366370B1 (ko) 통기성을 구비하고 귀 눌림과 눈가 세로주름이 방지되는 기능성 베개
CN214595324U (zh) 一种组合式人机工学形态的支撑枕具
KR102630894B1 (ko) 2중 구조 베개
KR101905336B1 (ko) 베개
KR200497420Y1 (ko) 베개
CN220192674U (zh) 一种多功能分区双芯枕
KR20020092275A (ko) 다경도 다탄성 해면체 (스폰지)를 이용한 목과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주기위한 베개
KR200491545Y1 (ko) 맞춤형 기능성 베개
KR102355396B1 (ko)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