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572B1 - 화장료 도포구 - Google Patents

화장료 도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572B1
KR102244572B1 KR1020197013543A KR20197013543A KR102244572B1 KR 102244572 B1 KR102244572 B1 KR 102244572B1 KR 1020197013543 A KR1020197013543 A KR 1020197013543A KR 20197013543 A KR20197013543 A KR 20197013543A KR 102244572 B1 KR102244572 B1 KR 102244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application member
applicator
lips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3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8654A (ko
Inventor
이사오 야지마
치에 다카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90058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3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movable within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movable within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05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where the brushing material is not made of bristles, e.g. sponge, rubber or pa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1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cosmetics brushes, e.g. mascara, nail polish, eye shado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7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적량의 화장료를 확실히 떠내고, 입술 등의 적용하는 부위에 밀착하여 화장료를 균일하게 펴 바를 수 있는 화장료 도포구를 제공한다. 화장료 도포구(1)는, 막대형의 지지 부재(2)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의 축심에 대해 0~45도의 각도(θ1)로 연장되는 대략 편평 형상의 도포 부재(3)를, 연장되는 방향을 향해 나선형으로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장료 도포구
본 발명은 립스틱, 글로스, 컨실러 등의 화장료를 도포하기 위한 화장료 도포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립스틱, 글로스 등의 화장료에 있어서는, 입술에 광택을 부여하여, 입체감이 있는 입술을 연출하는 화장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기호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화장료는, 액상, 페이스트상 혹은 겔상인 경우가 많고, 화장료 용기로서는, 화장료가 새어 나오지 않고 확실히 수용할 수 있는 용기 본체와, 이러한 용기 본체에 삽입하여 화장료를 떠낼 수 있는 주걱형의 도포구를 내측에 부착한 캡을 구비한 화장료 용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화장료 용기에 있어서는, 발출한 도포구에 필요 이상의 화장료가 부착되어 있으면, 입술 등에 도포할 때, 의도하지 않은 부분으로 화장료가 비어져 나오는 등, 화장 조작에 지장을 초래하기 때문에, 통상은 용기 본체의 취출구에, 도포구를 훑어, 여분의 화장료를 긁어 떨어뜨리기 위한, 스크래퍼 파트(scraper part)를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스크래퍼 파트로 긁어 떨어뜨리는 화장료의 양을 조정하는 것은 어렵고, 용기 본체로부터 발출할 때의 도포구의 각도나 발출하는 속도에 의해, 긁어 떨어뜨리는 양에 변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발출한 도포구에 부착되어 있는 화장료는 반드시 적량이 되지는 않고, 화장의 마무리가 충분하다고 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또한, 떠내는 화장료의 양이 적은 경우에, 도포구를 용기 본체에 빼고 꽂으면서 반복해서 화장료를 떠내는 것은 화장 행위에 있어서 번거로워 사용성이 뒤떨어진다. 또한, 입술용의 도포 용구로서 사용하는 경우, 도포구의 표면이 입술에 충분히 밀착되지 않으면, 화장료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없어, 화장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이와 같이, 화장료를 도포하기 위한 도포구에 있어서는, 적량의 화장료를 확실히 떠내고, 적용하는 부위에 밀착하여 화장료를 균일하게 펴 바르는 것이 중요하며, 이들을 만족시키는 화장료 도포구의 개발이 요망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2-55548호 공보
본 발명은 적량의 화장료를 확실히 떠내고, 입술 등의 적용하는 부위에 밀착하여 화장료를 균일하게 펴 바를 수 있는 화장료 도포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자들이 검토를 행한 결과, 막대형의 지지 부재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의 축심을 따라, 혹은 축심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연장되는 대략 편평 형상의 도포 부재를 구비한 도포구에 있어서, 도포 부재를 연장되는 방향을 향해 나선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도포 부재에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경사면에 의해 적량의 화장료를 확실히 떠낼 수 있으며, 게다가 입술 등의 적용하는 부위에 밀착하여 화장료를 균일하게 펴 바를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막대형의 지지 부재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의 축심에 대해 0~45도의 각도로 연장되는 대략 편평 형상의 도포 부재를 연장되는 방향을 향해 나선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도포구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포 부재의 선단부의 편평 표면이 후단부의 편평 표면에 대해 10~120도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도포구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포 부재의 표면을 정전 식모(植毛)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도포구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량의 화장료를 확실히 떠내고, 입술 등의 적용하는 부위에 밀착하여 화장료를 균일하게 펴 바를 수 있어, 우수한 화장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도포구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화장료 도포구를 조립한 화장료 용기의 구조도(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도포 부재(제1 실시양태)의 외관도((a) 정면도, (b) 측면도)이다.
도 3은 플로키(flocky) 식모를 실시한 도포 부재의 외관도(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포 부재(제2 실시양태)의 외관도((a) 정면도, (b) 측면도)이다.
도 5는 도포 부재(제3 실시양태)의 외관도((a) 정면도, (b) 측면도)이다.
도 6은 도포 부재(제4 실시양태)의 외관도((a) 정면도, (b) 측면도)이다.
도 7은 도포 부재(제5 실시양태)의 외관도((a) 정면도, (b) 측면도)이다.
도 8은 도포 부재(제6 실시양태)의 외관도((a) 정면도, (b) 측면도)이다.
도 9는 도포 부재(제7 실시양태)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포 부재(제8 실시양태)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예시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일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료 도포구를 조립한 화장료 용기의 구조를 도시한다. 화장료 용기(8)는 화장료를 충전하는 용기 본체(9)와 캡(10)으로 이루어지고, 캡(10)에는, 화장료를 취출하고, 화장료를 입술에 도포하기 위한 화장료 도포구(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화장료 도포구(1)는, 지지 부재(2)와 도포 부재(3)가 접합되어 이루어지고, 도포 부재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지지 부재(2)의 단부는 캡(10)에 접합되어 있다. 지지 부재(2)와 도포 부재(3)의 접합은, 도포 부재(3)의 단(端)에 일체적으로 설치한 유지부(4)를 지지 부재(2)의 단부에 형성한 유지 구멍(5)에 삽입해서 고정하여 행한다. 또한, 이 화장료 도포구(1)는, 캡(10)을 용기 본체(9)의 입구부에 나사 결합하면, 용기 본체(9)에 충전되어 있는 화장료에 침지되도록, 캡(10)에 부착된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도포구는, 화장료 용기에 조립하여 사용할 뿐만이 아니라, 단독으로 화장료를 도포하기 위한 도포구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포 부재(3)는 입술 등의 적용하는 부위에의 감촉을 좋게 하고, 화장 조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적당한 탄력성을 갖는 소재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화장료와 항상 접촉하는 부위이기 때문에 화장료에 대해 상호 작용이 없는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소재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포 부재(3)를 형성하는 소재로서는, 엘라스토머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엘라스토머 수지로서, 예컨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
도포 부재(3)는, 화장료를 떠내어, 입술에 도포하는 조작의 하기 용이함으로부터, 최대폭을 약 3~8 ㎜, 길이는 약 10~20 ㎜, 두께는 약 0.5~2.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화장료에 따라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기 본체(9)의 취출구에는 스크래퍼 파트(11)가 설치되어 있고, 화장료 도포구(1)를 용기 본체(9)로부터 빼낼 때, 지지 부재(2) 및 도포 부재(3)에 부착된 여분의 화장료는, 스크래퍼 파트의 내부 구멍 가장자리(12)에 의해 긁혀 떨어진다. 그리고 스크래퍼 파트(11)의 내부 구멍 가장자리(12)는, 캡을 회전하여 화장료 도포구를 빼내기 위해서, 방향성을 갖지 않는 원형으로 하고 있다. 스크래퍼 파트(11)의 재질은, 탄력성을 구비할 필요로부터 일반적으로는, NBR(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실리콘 등의 고무나 엘라스토머가 이용된다.
화장료 도포구(1)를 이용하여 화장료를 도포할 때에는, 화장료 도포구(1)를 용기 본체(9)로부터 빼내고, 도포 부재(3) 표면에 부착된 여분의 화장료를 스크래퍼 파트(11)로 긁어 떨어뜨리며, 도포 부재의 표면에 담지하는 일정량의 화장료를 화장료 도포구(1)를 조작하면서 도포 부재를 입술 등의 적용 부위에 밀착시켜 도포한다.
화장료 도포구(1)는, 막대형의 지지 부재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의 축심을 따라, 혹은 축심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연장되는 대략 편평 형상의 도포 부재(3)를 구비한다. 이러한 도포 부재(3)는 연장되는 방향을 향해 나선형으로 형성된 것이기 때문에, 도포 부재(3)의 표리면에는, 나선의 중심이 되는 중심축(19)에 대해 소정의 경사 각도를 구비한 경사면(6a, 6a', 6b, 6b')이 형성된다(도 2). 즉 도포 부재(3) 표리면에는, 중심축(19)의 좌우에 용기 본체의 취출구 방향으로 향하는 경사면(6a, 6a')과 용기 본체의 바닥부 방향으로 향하는 경사면(6b, 6b')이 각각 형성되게 된다. 화장을 행할 때에는, 도포 부재(3)를 중심축(19)을 따라 용기 본체의 입구부로부터 빼내지만, 이때 용기 본체의 취출구 방향으로 향하는 경사면(6a, 6a')은 스크래퍼 파트와 접촉하기 쉽고, 한편, 용기 본체의 바닥부 방향으로 향하는 경사면(6b, 6b')은 스크래퍼 파트와 접촉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들 경사면에서는 담지되는 화장료의 양이 상이하다.
도포 부재(3)를 중심축(19)을 따라 용기 본체(9)로부터 빼낼 때, 용기 본체의 취출구 방향으로 향하는 경사면(6a, 6a')에 부착되는 화장료는, 스크래퍼 파트로 긁혀 떨어지는 양이 많으나, 용기 본체의 바닥부 방향으로 향하는 경사면(6b, 6b')에 부착되는 화장료는, 스크래퍼 파트에 의해 긁혀 떨어지는 양은 적고, 대부분은 도포 부재에 부착된 채로 용기 본체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의 바닥부 방향으로 향하는 경사면(6b, 6b')에는, 도포 부재(3)의 선단부(3a)로부터 후단부(3b)까지 화장료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입술 등에 도포할 때에도 용이하게 펴 바를 수 있다. 특히, 도포 부재(3)의 선단부(3a)로부터 후단부(3b)까지 중심축(19)에 대한 경사면의 경사 각도(나선각)를 일정하게 하면, 선단부(3a)로부터 후단부(3b)에 걸쳐 도포 부재(3)의 표리면에 화장료가 균일하게 부착되기 때문에, 화장료를 입술 등에 도포하기 쉬워져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도포 부재(3)를 중심축(19)을 따라 용기 본체(9)로부터 빼내면, 도포 부재(3)의 표리면에 있는, 용기 본체의 바닥부 방향으로 향하는 경사면(6b, 6b')에 소정량의 화장료를 확실히 담지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장 조작의 도중에 화장료가 부족하여, 용기 본체(9)로부터 화장료를 몇 번이나 떠내는 것과 같은 조작을 없앨 수 있다. 또한 경사면(6b, 6b')은, 입술 등에 밀착하기 쉬운 형상이기 때문에, 도포 부재(3)의 편평 표면을 입술 등에 밀착시키면서, 화장료를 균일하게 펴 바를 수 있다.
도포 부재(3)를 나선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도포 부재의 두께를 대략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도포부의 선단부로부터 후단부에 걸쳐 경사면(6a, 6a', 6b, 6b')을 형성할 수 있다(도 2). 통상, 도포 부재는 합성 수지를 사출 성형하는 등 하여 제조되지만, 도포 부재의 두께를 대략 균일하게 하여 성형하면, 도포 부재 전체에 탄력성을 구비할 수 있고, 화장료를 입술 등에 도포할 때, 도포 부재가 입술 등에 밀착하기 쉬워져, 균일한 도포 상태를 얻을 수 있으며, 입술 등에의 도포 부재의 감촉이 소프트하게 되어, 도포할 때의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포 부재의 치수는, 도포 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수지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지만, NBR(니트릴부타디엔 고무) 등의 고무나 엘라스토머이면, 도포 부재의 길이 치수를 도포 부재의 두께 치수의 약 5~40배로 하고, 도포 부재의 최대폭의 치수를 두께 치수의 약 1.5~16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부재(2)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대략 편평 형상의 도포 부재(3)의 지지 부재(2)의 축심에 대한 각도(θ1)는 0~45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각도(θ1)를 조정함으로써, 캡(혹은 지지 부재)을 손에 들고 화장을 행할 때, 도포 부재(3)를 입술 등에 밀착시켜, 화장료를 입술 등에 도포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각도(θ1)가 45도보다 크면 도포 부재를 용기 본체로부터 빼낼 때에 입구 부근에 걸리기 쉬워 빼내기 어려워질 위험성이나, 도포 부재를 입술 등에 밀착시킬 때, 도포구를 드는 손을 크게 기울이지 않으면 안 되어 원활한 화장 조작이 곤란해질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각도(θ1)는, 45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선형의 도포 부재(3)는, 후단부(3b)의 편평 표면에 대한 도포 부재의 선단부(3a)의 편평 표면의 각도(θ2)가 10~120도가 되도록 비튼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단부(3a)의 편평 표면을 이러한 각도의 범위에서 비틂으로써 경사면(6a, 6a', 6b, 6b')의 중심축(19)에 대한 경사 각도를 조정할 수 있고, 담지하는 화장료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각도(θ2)가 10~120도의 범위이면, 삼차원으로 만곡된 입술 등의 표면에 대해, 화장료 도포구를 옮겨 들지 않고 확실히 밀착시킬 수 있다. 각도(θ2)가 10도보다 작으면 경사면으로 담지할 수 있는 화장료의 양은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고, 120도보다 크면 도포 부재의 입술 등에의 밀착성이 저하되어, 화장료를 균일하게 펴 바르기 어려워질 위험성이 있다. 또한 충분한 양의 화장료를 담지하기 위해서는, 각도(θ2)는 60~120도로 하고, 후단부(3b)의 편평 표면에 대한 최광폭부(3c)의 편평 표면의 각도를 5~80도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도포 부재는, 측면의 일부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호형의 절결부(13)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략 コ자형의 절결부(14)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절결부를 형성함으로써, 절결부에 부착된 화장료는 스크래퍼 파트에 긁혀 떨어지지 않고 도포 부재에 부착된 채로 용기 본체로부터 취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포 부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3a)를 뾰족하게 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뾰족하게 한 첨형부(15)는, 선단부(3a)의 중앙에 한하지 않고, 좌우 어느 한쪽의 어긋나게 한 위치에 배치해도 좋다. 이러한 첨형부(15)를 형성함으로써, 세부(細部)에의 화장료의 도포가 용이해지고, 화장 조작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첨형부(15)는 화장 조작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얇게 성형해도 좋다.
도포 부재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3a)의 일부를 대략 V자형으로 절결하여, 두 갈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절결부를 형성함으로써, 절결부에 화장료를 담지하면서, 두 갈래 형상의 선단부로 보다 세부에 화장료를 도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포 부재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릿을 형성할 수도 있다. 슬릿은 1개에 한하지 않고 2개 혹은 그 이상 형성해도 좋다(도 10). 이러한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도포체가 휘기 쉬워지기 때문에 입술 등에의 밀착성이 증가하고, 슬릿부에 의해 많은 화장료를 담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포 부재의 표면은, 화장료를 충분히 담지할 수 있도록 정전 식모할 수 있다(도 3). 도포 부재의 평활한 표면에 정전 식모를 실시함으로써, 화장료를 식모 사이에 유지할 수 있고, 화장료를 보다 균일하게 펴 바르는 것이 가능해진다. 정전 식모(플로키 가공)에 사용하는 섬유는, 재질, 굵기에 대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장 용구의 정전 식모로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굵기 약 0.5~4.0 T(데시텍스)의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등의 수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식모하는 섬유의 길이를 0.1~2.0 ㎜로 하면, 섬유가 확실히 기립하여, 화장료를 담지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적합하다. 섬유의 길이가 0.1 ㎜보다 짧으면 식모에 의한 화장료를 담지하는 효과는 낮고, 섬유의 길이가 2.0 ㎜보다 길면 반복해서 사용하면 식모가 기립하기 어려워지고, 함침하는 화장료의 양이 감소하게도 된다. 한편, 굵기, 길이, 재질 등이 상이한 복수 종의 섬유를 혼합하여 식모함으로써, 액 함유가 향상되어 화장료를 담지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식모의 기립하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감촉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도포구는, 입술용 화장료(립스틱, 립글로스), 컨실러 등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고,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특히 입술용 화장료에 적합하다.
1: 화장료 도포구
2: 지지 부재
3: 도포 부재
3a: 선단부
3b: 후단부
3c: 최광폭부
4: 유지부
5: 유지 구멍
6: 경사면
6a: 경사면
6a': 경사면
6b: 경사면
6b': 경사면
7: 정전 식모
8: 화장료 용기
9: 용기 본체
10: 캡
11: 스크래퍼 파트
12: 내부 구멍 가장자리
13: 절결부
14: 절결부
15: 첨형부
16: 절결부
17: 슬릿
18: 슬릿
18a: 슬릿
18b: 슬릿
19: 중심축

Claims (3)

  1. 막대형의 지지 부재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지지 부재의 축심에 대해 0~45도의 각도로 연장되는 편평 형상의 도포 부재를, 상기 도포 부재의 선단부의 편평 표면이 후단부의 편평 표면에 대해 10~12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되는 방향을 향해 나선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또는 피부에 화장료를 도포하기 위한 화장료 도포구.
  2. 제1항에 있어서, 도포 부재의 표면을 정전 식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 또는 피부에 화장료를 도포하기 위한 화장료 도포구.
  3. 삭제
KR1020197013543A 2017-01-10 2017-12-19 화장료 도포구 KR1022445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01557 2017-01-10
JP2017001557A JP6832162B2 (ja) 2017-01-10 2017-01-10 化粧料塗布具
PCT/JP2017/045449 WO2018131396A1 (ja) 2017-01-10 2017-12-19 化粧料塗布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654A KR20190058654A (ko) 2019-05-29
KR102244572B1 true KR102244572B1 (ko) 2021-04-23

Family

ID=62839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3543A KR102244572B1 (ko) 2017-01-10 2017-12-19 화장료 도포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63874B2 (ko)
EP (1) EP3569098B1 (ko)
JP (1) JP6832162B2 (ko)
KR (1) KR102244572B1 (ko)
CN (1) CN110121279B (ko)
TW (1) TW201832688A (ko)
WO (1) WO20181313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46469B2 (ja) * 2018-08-10 2023-03-27 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コーポレーション チップアプリケーターおよびこれを含む化粧料塗布装置
TWI788402B (zh) * 2018-08-10 2023-01-01 南韓商愛茉莉太平洋股份有限公司 尖端塗佈器及具有該尖端塗佈器之化粧品塗佈裝置
CN116725312A (zh) * 2022-03-01 2023-09-12 洽兴包装工业(中国)有限公司 多瓣化妆品涂敷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1976B1 (ko) * 1994-12-24 2000-05-01 에스티 라우더 인코퍼레이티드 마스카라 솔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45812A (ko) * 1973-08-29 1975-04-24
JPH082301Y2 (ja) * 1990-05-07 1996-01-24 株式会社ユニークテープ タイルの仮着体
US5224787A (en) * 1992-05-05 1993-07-06 The Bridgeport Metal Goods Manufacturing Co. Threaded cosmetics applicator with feed channels
FR2715038B1 (fr) * 1994-01-14 1996-03-15 Oreal Brosse pour appliquer un produit cosmétique, notamment du mascara.
FR2722381B1 (fr) 1994-07-12 1997-02-28 Oreal Applicateur pour l'application d'un produit liquide et ensemble de maquillage muni d'un tel applicateur
FR2771077B1 (fr) 1997-11-14 2000-01-14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comportant un recipient, un applicateur ergonomique et un organe d'essorage
JP2000096802A (ja) * 1998-09-25 2000-04-04 Toray Ind Inc タイル直張り用ネット並びにネット付タイ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295994B1 (en) * 1999-12-21 2001-10-02 Color Access, Inc. Brush applicator with added helix
JP2003314033A (ja) * 2002-04-18 2003-11-06 Toto Ltd タイル
US7134799B2 (en) * 2003-01-23 2006-11-14 L'oreal Applicator including an applicator element for applying a substance, in particular a cosmetic or another care product
JP2005139896A (ja) * 2003-10-16 2005-06-02 Akiko Kawabe タイル剥落防止用連結材ジョイントネット
US7918619B2 (en) * 2005-05-24 2011-04-05 L'oreal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and method of making up skin or lips
US20070181143A1 (en) * 2005-12-30 2007-08-09 Antonio Montoli Flocked cosmetic applicators
JP5059350B2 (ja) * 2006-07-07 2012-10-24 株式会社コーセー 化粧料用塗布体付き容器
AR060194A1 (es) * 2007-03-29 2008-05-28 Esposito Aldo Ruben Revestimientos magneticos compuestos de materiales laminares
FR2918547B1 (fr) * 2007-07-11 2011-04-01 Chanel Parfums Beaute Applicateur pour le maquillage des cils et/ou des sourcils presentant un sillon.
FR2943226B1 (fr) 2009-03-20 2011-06-03 Oreal Applicateur pour appliquer un produit cosmetique, de maquillage ou de soin, et procede de fabrication
WO2011043470A1 (ja) * 2009-10-09 2011-04-14 花王株式会社 口唇化粧料塗布装置
USD641929S1 (en) * 2010-04-06 2011-07-19 Brivaplast S.R.L. Applicator for lip cosmetics
JP4840831B2 (ja) 2010-04-27 2011-12-21 株式会社 資生堂 化粧用塗布体
JP5720978B2 (ja) 2010-09-10 2015-05-20 フィグラ株式会社 液体化粧料塗布具
US9259074B2 (en) 2011-12-01 2016-02-16 Sinwa Corporation Cosmetic application instrument
JP6063685B2 (ja) * 2011-12-29 2017-01-18 花王株式会社 化粧料塗布装置
US20130276817A1 (en) 2012-04-24 2013-10-24 Thomas F. Holloway Cosmetic Applicator with Paddle-Shaped Applicator Tip
JP2014121361A (ja) 2012-12-20 2014-07-03 Yutaka Mitsuse 二重まぶた成形器具
USD739081S1 (en) * 2013-07-22 2015-09-15 Elc Management Llc Mascara package
FR3012946B1 (fr) 2013-11-12 2016-11-04 Oreal Stylo applicateur d'eyeliner
FR3014297B1 (fr) * 2013-12-06 2017-03-10 Oreal Applicateur d'un produit cosmetique, de maquillage ou de soin, sur les cils ou les paupieres.
US20150374100A1 (en) * 2014-06-26 2015-12-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sonal-care applicator
FR3031283B1 (fr) * 2015-01-05 2017-07-28 Oreal Applicateur cosmetique
FR3037781B1 (fr) * 2015-06-29 2019-04-05 L'oreal Procede de fabrication d'une brosse a mascar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1976B1 (ko) * 1994-12-24 2000-05-01 에스티 라우더 인코퍼레이티드 마스카라 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69098A4 (en) 2020-07-01
TW201832688A (zh) 2018-09-16
JP2018110638A (ja) 2018-07-19
CN110121279B (zh) 2021-12-07
EP3569098A1 (en) 2019-11-20
KR20190058654A (ko) 2019-05-29
JP6832162B2 (ja) 2021-02-24
WO2018131396A1 (ja) 2018-07-19
US11363874B2 (en) 2022-06-21
US20190374005A1 (en) 2019-12-12
CN110121279A (zh) 2019-08-13
EP3569098B1 (en) 202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442503A (en) Lip rouge applicator
KR101253463B1 (ko) 화장용 도포체
CN109198846B (zh) 化妆品涂敷器末端件以及相关的涂敷器和涂敷器组件
US11044981B2 (en) Applicator for applying a cosmetic product to keratinous materials
KR102244572B1 (ko) 화장료 도포구
US20070062551A1 (en) Instrument having walls for applying a composition on eyelashes or eyebrows
JP3774653B2 (ja) アプリケータ及びそのようなアプリケータ付きの容器
JP2015527127A (ja) 化粧品塗布具、デバイス、および関連する方法
KR102061990B1 (ko) 화장품을 도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
CN211092303U (zh) 睫毛膏
JP2015512740A (ja) 化粧品またはケア製品を包装および唇に塗布するデバイス
CN109475218B (zh) 化妆用刷头及具有该刷头的化妆工具
US11064786B2 (en) Device for applying a liquid medium
CN109843114B (zh) 化妆品的涂抹器装置
JP6394131B2 (ja) 化粧料塗布具
JP6393934B2 (ja) 唇用化粧料塗布具
JP2020110399A (ja) 化粧料塗布具
KR200387271Y1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의 노즐팁 구조
JP2004313789A (ja) アプリケーターと一体化した収容装置
MXPA00004831A (en) Device for storing and applying cosmetic products, especially for lipsti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