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183B1 - 구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183B1
KR102244183B1 KR1020197012768A KR20197012768A KR102244183B1 KR 102244183 B1 KR102244183 B1 KR 102244183B1 KR 1020197012768 A KR1020197012768 A KR 1020197012768A KR 20197012768 A KR20197012768 A KR 20197012768A KR 102244183 B1 KR102244183 B1 KR 102244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oltage
control
driving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2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4615A (ko
Inventor
유 린 리
쿠오 충 후앙
Original Assignee
유 린 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 린 리 filed Critical 유 린 리
Publication of KR20190064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3/00Pulse count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Frequency dividers comprising counting chains
    • H03K23/40Gating or clocking signals applied to all stages, i.e. synchronous counters
    • H03K23/50Gating or clocking signals applied to all stages, i.e. synchronous counters using bi-stable regenerative trigger circuits
    • H03K23/54Ring counters, i.e. feedback shift register counters
    • H03K23/542Ring counters, i.e. feedback shift register counters with crossed-couplings, i.e. Johnson coun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Operational modes, e.g. switching from manual to automatic mode or prohibiting specific oper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H05B47/19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the transmission using visible or infrared ligh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9/00Remote-control of tuned circuits; Combined remote-control of tuning and other functions, e.g. brightness, amplification
    • H03J9/06Remote-control of tuned circuits; Combined remote-control of tuning and other functions, e.g. brightness, amplification us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구동 시스템으로서, 카운팅 유닛(3), 버퍼 유닛(4) 및 전압 조절 유닛(5)을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카운팅 유닛(3)은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상이한 제1 출력단(Q1, Q2, Q3, Q4)을 순차적으로 스위칭하여 제어 신호(S1)를 출력하며, 상기 버퍼 유닛(4)에 의해 절연 제어 신호(S2)를 출력하고, 전압 조절 유닛(5)은 상기 제어 제어 신호(S2)에 따라 상이한 저항에 각각 대응하는 제어 전압(S3)을 출력하고, 상기 제어 전압(S3)은 전기 장치(7)를 구동하며, 상이한 제어 전압(S3)은 상기 전기 장치(7)의 운행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동 시스템
본 발명은 간단한 회로 구조로 트리거 타이밍에 따라 전기 장치를 구동하도록 상이한 제어 전압을 출력함으로써 상이한 운행 상태를 형성할 수 있는 구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약칭: LED)는 발광할 수 있는 반도체 전자 소자로서, 이러한 전자 부품은 일찍이 1962년에 등장하여, 초기에는 저휘도의 적색광만을 방출할 수 있었고, 그 후, 다른 단색광의 광원으로 발전하였다. 지금까지, 발광할 수 있는 빛은 이미 가시광선, 적외선 및 자외선으로 널리 퍼졌고, 휘도도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높아지고 있다. 최초에 지시등 및 디스플레이 패널에 사용되었고, 백색광 다이오드의 등장으로, 발광 다이오드는 이미 다양한 조명 장치에서 점점 보편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고휘도의 발광 다이오드는 이미 교통 신호등, 차량 지시등 및 브레이크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고전압 발광 다이오드 스트링을 사용하는 조명 장치 역시 기존의 백열 전구와 형광 전구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여기서, 사용 발광 다이오드의 조명 기기는, 휘도 변조에 대한 사용자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조명기기는 에너지 절약의 장점을 겸비하고 광 조절 제어 회로 유닛을 운용하며, 스위치와 함께 사용 및 제어되는 광 조절 기능을 더 구비한다. 또는, 원격 제어 유닛(리모컨)으로 조명기기의 상태를 조절 제어할 수 있는 무선 원격 시스템이 등장했으며, 흔히 사용되는 유사한 무선 원격 시스템은 주로 복수의 LED 광원; 상기 복수의 LED 광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 상기 제어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원격 신호 수신 유닛; 및 원격 제어 유닛을 포함하여, 작업자가 상기 원격 제어 유닛을 이용하여 LED 광원의 조명 운행 상태를 용이하게 조절 및 제어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예를 들면, 중화민국 특허 공고 번호 제M394408호의 특허 명칭이 “조명 시스템”, 중화민국 특허 공고 번호 제M383886호의 특허 명칭이 “자동 및 수동 광 조절 기능을 구비한 발광 다이오드 조명 기구 시스템”, 중화민국 특허 공고 번호 제M380683호의 특허 명칭이 “램프에 내장된 무선 광 조절 장치”, 중화민국 특허 공고 번호 제M263688호의 특허 명칭이 “원격 조종 광 조절 장치” 및 중화민국 특허 공고 번호 제M252234호의 특허 명칭이 “백색광 LED 조명등의 원격 조종 광 조절 제어 장치”인 특허는 무선 원격 조종 방식을 이용하여 광 조절 기능을 달성하는 것을 개시하였지만, 상기 원격 조종 방식은 하기와 같은 단점이 있다.
1. 상기 무선 원격 시스템의 전송 프로토콜은 적외선 전송 기술이나 블루투스 전송 기술을 막론하고, 상기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유닛과 원격 제어 유닛 사이는 페어링되어야 하는데, 즉,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유닛은 그것과 페어링된 원격 제어 유닛에서 보내는 제어 신호만 받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여전히 특정한 또는 페어링된 원격 제어 유닛(리모컨)을 사용해야만 상기 조명기기의 조명 상태를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다.
2.무선 원격 제어 시스템은 디코딩 유닛이 설치되어 있거나 복조 기능을 구비해야 하는데, 이는 원격 제어 신호 수신 유닛에서 수신한 제어 신호를 디코딩하여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LED 광원 조명 운행 상태를 더 제어하며, 또는, 필요한 작동 프로그램을 셋업하기 위해 프로그래밍된 제어 유닛을 설치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작동 프로그램을 실행해야 하므로, 전체적인 회로 설계가 복잡하고 비용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운행 상태를 제어하며, 페어링 또는 디코딩 또는 복조를 진행하지 않아도 제어가 가능한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간단한 회로 구조로도 트리거 타이밍에 따라 상이한 제어 전압을 출력하여 전기 장치를 구동하여 상이한 운행 상태의 구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시스템은 적어도 카운팅 유닛, 버퍼 유닛 및 전압 조절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카운팅 유닛은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상이한 제1 출력단을 순차적으로 스위칭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버퍼 유닛은 절연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전압 조절 유닛은 상기 절연 제어 신호에 의해 복수의 저항에 각각 대응하는 제어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제어 전압은 전기 장치를 구동하며, 상이한 제어 전압은 상기 전기 장치의 운행 상태를 제어한다.
본 발명은 카운팅 유닛, 연산 유닛 및 전압 조절 유닛을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카운팅 유닛은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상이한 제1 출력단을 순차적으로 스위칭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1 출력단에 의해 출력된 제어 신호는 상기 전압 조절 유닛 중의 저항을 통해 상기 연산 유닛에 연결되어 연산을 진행하여, 특정 제어 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제어 전압은 전기 장치를 구동하며, 상이한 제어 전압은 상기 전기 장치의 운행 상태를 제어하는 구동 시스템을 더 제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주로 간단한 회로 구조로 트리거 타이밍에 따라 전기 장치를 구동하도록 상이한 제어 전압을 출력함으로써 상이한 운행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시스템은 조명 장치의 광원 모듈을 구동할 수 있고, 상이한 제어 전압에 대응되는 설정 전압은 상기 조명 장치의 광원 모듈 운행 상태(예를 들면 온오프, 명암 및 색온도 등)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시스템은 모터를 구동할 수 있고, 제어 상기 모터의 운행 상태(예를 들면, 회전 속도 등)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 시스템에는 무선 수신 유닛 및 필터 유닛이 더 설치되고, 상기 무선 수신 유닛에 의해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무선 신호는 특정 주파수 범위에 따라, 필터 유닛에 의해 상기 무선 신호에 대해 필터링을 진행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카운팅 유닛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 유닛은 주로 다양한 적외선 프로토콜에 의해 디코딩된 적외선 신호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구동 신호는 상기 카운팅 유닛으로 전송되어, 상기 카운팅 유닛이 주파수에 따라 각 제1 출력단에서 제어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게 하며, 사용자는 사용 시, 페어링을 거치지 않고도 다양하고 상이한 원격 제어 유닛으로 상기 조명 장치를 제어하여 광 조절을 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특별한 디코딩 또는 복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사용자는 원격 제어 유닛 상의 임의의 키를 눌러 제어 작용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 시스템에는 광원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유닛이 더 설치되고, 상기 구동 유닛은, 정류 회로, 교류 전원에 연결되어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정류 회로; 1차 측 및 2차 측이 구비되고, 상기 1차 측은 상기 정류 회로 및 전압 조절 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2차 측은 상기 광원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설정 전압을 출력하는 교환식 전원 공급 장치를 적어도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 시스템에는 광원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유닛이 더 설치되고, 상기 구동 유닛은, 교류 전원을 제공받고 상기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정류 회로; 서로 직렬 연결된 저항, 제너 다이오드 및 제1 연산 회로가 설치되고, 상기 서로 직렬 연결된 저항 및 제너 다이오드는 상기 정류 회로와 연결되어 상기 직류 전원을 제공받으며, 상기 직류 전원에 따라 정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연산 회로는 상기 정전압 및 제어 전압을 제공받고 설정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안정화 회로; 및 서로 직렬 연결된 트랜지스터 및 저항이 설치되고,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광원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상기 설정 전압을 제공받는 정전류 회로를 적어도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 시스템에는 광원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유닛이 더 설치되고, 상기 구동 유닛은, 교류 전원을 제공받고 상기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정류 회로; 서로 직렬 연결된 저항, 제너 다이오드 및 제1 연산 회로가 설치되고, 상기 서로 직렬 연결된 저항 및 제너 다이오드는 상기 정류 회로와 연결되어 상기 직류 전원을 제공받으며, 상기 직류 전원에 따라 정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연산 회로는 상기 정전압 및 제어 전압을 제공받고 기준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안정화 회로; 서로 직렬 연결된 제1저항, 제2 저항 및 제2 연산 회로가 구비되고, 상기 서로 직렬 연결된 제1저항 및 제2 저항은 상기 직류 전원을 제공받아 분압을 진행하여 분압 전압을 생성하며, 상기 제2 연산 회로는 상기 기준 전압 및 분압 전압을 제공받고 설정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조절 회로; 및 서로 직렬 연결된 트랜지스터 및 저항이 설치되고, 상기 트랜지스터는 상기 광원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상기 설정 전압을 제공받는 정전류 회로를 적어도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연산 회로 또는 제2 연산 회로는 감산기이다.
상기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상기 카운팅 유닛은 존슨 카운터(Johnson counter)이다.
상기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상기 버퍼 유닛은 3 상태 버퍼(3-state buffer)이다.
상기 기술적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산 유닛은 가산기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시스템의 제1 실시예의 회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시스템의 사용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시스템의 제2 실시예의 회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유닛의 제3 실시예의 회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유닛의 제4 실시예의 회로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시스템의 제5 실시예의 회로 설명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시스템의 제6 실시예의 회로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특징, 내용 및 장점과 그 달성 가능한 효능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은 도면과 결부하여 실시예의 표현 형식으로 아래와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 사용되는 도면은 단지 예시 및 보충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실시한 후의 실제 비율 및 정확한 구성이 아니므로, 첨부된 도면의 비율과 구성 관계에 따라 해석하여 본 발명의 실제 실시되는 청구범위를 한정해서는 안 된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시스템의 제1 실시예의 회로 설명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시스템은, 카운팅 유닛(3), 버퍼 유닛(4) 및 전압 조절 유닛(5)을 적어도 포함한다. 여기서,
카운팅 유닛(3)은 제1 입력단(C) 및 복수의 제1 출력단(Q1, Q2, Q3, Q4)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입력단(C)은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상이한 제1 출력단(Q1, Q2, Q3, Q4)을 순차적으로 스위칭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카운팅 유닛(3)은 존슨 카운터(Johnson counter)을 사용하여 링 카운팅을 수행하고, 카운팅 유닛(3)에 의해 수신된 구동 신호에서 형성된 펄스파에 따라, 각 제1 출력단(Q1, Q2, Q3, Q4)에서 제어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게 한다. 물론, 제1 출력단의 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카운팅 유닛도 1 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카운팅 유닛이 서로 직렬 연결되어 더 많은 제1 출력단을 형성할 수 있다.
버퍼 유닛(4)은 상기 카운팅 유닛(3)과 연결되고, 상기 버퍼 유닛(4)은 카운팅 유닛(3) 중 복수의 제1 출력단과 연결된 복수의 3 상태 버퍼(3-state buffer)(41)이며, 상기 3 상태 버퍼(41)는 상기 제1 출력단(Q1, Q2, Q3, Q4)과 각각 연결된 제2 입력단(411) 및 복수의 제2 출력단(412)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입력단(411)은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출력단(412)은 절연(isolated)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전압 조절 유닛(5)에는 상기 제2 출력단(412)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저항(R1~R5)이 설치되고, 상기 절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저항(R1~R5)에 의해 대응하는 제어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출력단(412)과 연결된 저항(R1~R4)은 서로 병렬 연결되고 상기 저항(R5)과 직렬 연결되어 저항(R1) 및 저항(R5), 저항(R2) 및 저항(R5), 저항(R3) 및 저항(R5) 또는 저항(R4) 및 저항(R5)이 상이한 제어 전압을 형성하도록 한다.
카운팅 유닛(3)이 상기 제1 입력단(C)에 의해 구동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카운팅 유닛(3)은 트리거 타이밍에 따라 제1 출력단(Q1, Q2, Q3, Q4)이 제어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며, 여기서, 상기 제1 출력단(Q1, Q2, Q3, Q4)이 출력한 제어 신호는 그와 연결된 3 상태 버퍼(41)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3 상태 버퍼(41)의 특성에 따라, 제어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3 상태 버퍼(41)는 제2 출력단이 하이 임피던스(High Impedance: Hi-Z) 상태라면, 상기 제2 출력단은 그가 속하는 3 상태 버퍼(41)로부터 절연(isolated)될 수 있고, 제어 신호를 수신한 3 상태 버퍼(41)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압 조절 유닛(5)으로 직접 전송하는데, 이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3 상태 버퍼(41)가 하이 임피던스(Hi-Z)에 따른 절연 상태로 되게 하고, 상기 전압 조절 유닛으로 전송된 제어 신호가 간섭을 제공받지 않게 하며, 하이 임피던스에 대응하는 절연 제어 신호를 그와 연결된 저항으로 전송하고, 도통된 저항을 이용하여 이 절연 제어 신호대응하는 제어 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제어 전압은 전기 장치(7)를 구동하기 때문이다.
사용 시,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카운팅 유닛(3)은 유선 방식으로 변환 스위치(81)와 연결되고, 상기 변환 스위치(81)의 스위칭 누름 동작에 의해 구동 신호를 형성하고, 구동 신호는 상기 카운팅 유닛(3)에서 제1 입력단(C)에 의해 펄스파를 입력하여, 상기 카운팅 유닛이 주파수에 따라 각 제1 출력단이 제어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변환 스위치(81)를 한 번 눌러 형성된 펄스파에 의해 제1 출력단(Q1)에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변환 스위치(81)를 두 번 연속 눌러 형성된 펄스파는 다른 제1 출력단(Q2)에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사용자가 변환 스위치(81)를 한 번 눌러 형성된 펄스파에 의해 제1 출력단(Q1)에서 제어 신호(S1)를 출력하고, 제어 신호(S1)를 그와 연결된 3 상태 버퍼(41)로 전송하며, 절연 제어 신호(S2)를 그와 연결된 저항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도통된 저항(R1) 및 저항(R5)을 이용하여 대응되는 제어 전압(S3)을 출력하고, 상기 제어 전압(S3)에 따라 상기 전기 장치(7)를 구동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시스템은 특별한 디코딩 또는 복조 방식을 사용 하지 않고도 제어 기능을 달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전기 장치의 운행 상태를 스위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시스템은 무선 방식을 사용하여 제어를 진행할 수도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구동 시스템에는 무선 수신 유닛(1) 및 필터 유닛(2)이 더 설치되고, 상기 무선 수신 유닛(1)에 의해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무선 신호는 특정 주파수 범위에 따라, 필터 유닛(2)에 의해, 상기 무선 신호에 대해 필터링을 진행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카운팅 유닛(3)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주요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수신 유닛(1)은 적외선 전송 기술이며, 상기 필터 유닛(2)은 주로 다양한 적외선 프로토콜 디코딩에 의해 적외선 신호를 필터링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 유닛(2)은 커패시터일 수 있다. 이밖에, 상기 구동 시스템에는 상기 전기 장치를 구동할 수 있는 구동 유닛(6)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유닛(6)은 상기 전압 조절 유닛(5)과 연결되며, 상기 제어 전압에 따라 설정 전압을 출력하여 상기 전기 장치(7)를 구동한다. 상기 전기 장치는 조명 장치 중의 광원 모듈(71)일 수 있으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원 모듈(71)에는 주로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가 설치된다.
사용 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유닛(82)과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원격 제어 유닛(82)은 적외선 전송 기술을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가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임의의 가전 리모컨이며, 사용자는 원격 제어 유닛(82) 상의 임의의 버튼(821)을 눌러 구동 신호를 발송하며, 상기 구동 신호는 상이한 원격 제어 유닛에 따라 특정 전송 프로토콜이 구비되며, 또한 상이한 버튼(821)에 따라 특정 코딩 신호를 구비한다. 조명 장치는 상기 무선 수신 유닛(1)을 통해 상기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필터 유닛(2)은 적외선 프로토콜에 의해 디코딩된 적외선 신호를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구동 신호는 상기 카운팅 유닛(3)으로 전송된다.
상기 카운팅 유닛(3)에서 수신된 구동 신호는 상기 제1 입력단(C)에 의해 펄스파를 입력하여, 상기 카운팅 유닛이 각 제1 출력단에서 주파수에 따라 제어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게 하며, 예를 들면, 사용자가 버튼(821)을 한 번 눌러 형성된 펄스파에 의해 제1 출력단(Q1)에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버튼(821)을 두 번 연속 눌러 형성된 펄스파에 의해 다른 제1 출력단(Q2)에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사용자 버튼(821)을 한 번 눌러 형성된 펄스파에 의해 제1 출력단(Q1)에서 제어 신호를 출력할 경우, 제어 신호를 그와 연결된 3 상태 버퍼(41)로 전송하고, 절연 제어 신호를 그와 연결된 저항으로 전송하여, 대응하는 제어 전압을 상기 구동 유닛(6)으로 출력하며, 상기 제어 전압에 따라 설정 전압을 출력하여 상기 광원 모듈(71)을 구동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버튼을 한 번 눌러 광원 모듈이 완전 휘도 상태로 턴온되거나, 또는, 버튼을 연속 두 번 눌러 광원 모듈이 먼저 완전 휘도 상태로 턴온된 후, 휘도를 20 % 낮춘다. 또는, 버튼을 세 번 연속 눌러 광원이 먼저 완전 휘도 상태로 턴온된 후, 휘도를 20 % 낮추고, 휘도를 또 20 % 더 낮추며, 사용자는 상기 조작 모드를 통해 페어링을 거치지 않고도 다양하고 상이한 원격 제어 유닛을 사용하여 상기 광원 모듈을 제어하여 광원조명 운행 상태(온오프, 명암, 색온도 등)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특별한 디코딩 또는 복조 방식도 필요하지 않으며, 즉, 사용자는 상이한 원격 제어 유닛 상의 임의의 키를 누름으로써 제어 작용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는 단지 원격 제어 유닛(82)의 한 가지 실시예로서, 원격 제어 유닛(82)의 실시 방식은 스마트폰, 태블릿 PC일 수도 있으며, 적외선 신호를 통해 무선 제어할 수 있으며, 이렇게, 조명 장치의 광원 조명 운행 상태(온오프, 명암 및 색온도 등)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기 장치는 모터일 수 있고, 상기 모터의 운행 상태(예를 들면, 회전 속도 등)를 제어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전압 구동의 전기 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이의 운행 상태를 조절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유닛은, 정류 회로(61) 및 교환식 전원 공급 장치(62)를 적어도 포함한다. 상기 정류 회로(61)는 교류 전원에 연결되어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교환식 전원 공급 장치(62)는 1차 측(621) 및 2차 측(622)이 구비되고, 상기 1차 측(621)은 상기 정류 회로(61) 및 전압 조절 유닛(5)과 연결되며, 전압 조절 유닛(5)과 병렬 연결되고, 상기 2차 측(622)은 설정 전압을 출력하여 상기 광원 모듈(71)을 구동한다.
도 4에 도시된 구동 유닛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여기서, 구동 유닛은, 정류 회로(61), 전압 안정화 회로(63) 및 정전류 회로(64)를 적어도 포함한다. 상기 전압 안정화 회로(63)에는 서로 직렬 연결된 저항(R6), 제너 다이오드(Z) 및 제1 연산 회로(633)가 설치되고, 상기 서로 직렬 연결된 저항(R6) 및 제너 다이오드(Z)는 상기 정류 회로(61)와 연결되어 상기 직류 전원을 제공받으며, 상기 직류 전원에 따라 정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연산 회로(633)는 상기 정전압 및 제어 전압을 제공받고 설정 전압을 출력한다. 상기 정전류 회로(64)에는 서로 직렬 연결된 트랜지스터(Q) 및 저항(R7)이 설치되고, 상기 정전류 회로(64)는 광원 모듈(71)의 발광 다이오드와 직렬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는 상기 설정 전압을 제공받아 상기 광원 모듈을 구동하고, 발광 다이오드로의 전류를 제한할 수 있어, 상기 구동 전류를 고정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구동 유닛의 제4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유닛과 상기 실시예의 차이는 전압 조절 회로(65)를 더 설치한 것이며, 상기 전압 조절 회로(65)에는 서로 직렬 연결된 제1저항(R8), 제2 저항( R9) 및 제2 연산 회로(653)가 설치되고, 상기 전압 안정화 회로(63)는 상기 직류 전원에 따라 정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연산 회로(633)는 상기 정전압 및 제어 전압을 제공받고 기준 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서로 직렬 연결된 제1 저항(R8), 제2 저항(R9)은 상기 직류 전원을 제공받아 분압을 진행하여 분압 전압을 생성하며, 상기 제2 연산 회로(653)는 상기 기준 전압 및 분압 전압을 제공받고 상기 정전류 회로의 트랜지스터(Q)로 설정 전압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저항은 가변 저항일 수도 있고, 수동 광 조절 기능을 가지도록, 상기 가변 저항을 통해 수동 방식으로 광원 모듈의 휘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연산 회로 또는 제2 연산 회로는 감산기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구동 시스템의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구동 시스템은, 카운팅 유닛(3), 전압 조절 유닛(5) 및 연산 유닛(9)을 적어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와의 차이는 본 실시예는 버퍼 유닛이 설치되지 않고, 연산 유닛(9)을 상기 전압 조절 유닛(5)과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이며, 상기 전압 조절 유닛(5)에도 각 제1 출력단(Q1, Q2, Q3, Q4)과 연결되는 저항(R1~R4)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카운팅 유닛 중의 제1 출력단(Q1, Q2, Q3, Q4)에 의해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압 조절 유닛(5) 중의 저항에 의해 상기 연산 유닛(9)과 연결되어 연산을 진행하여 특정 제어 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출력된 제어 전압도 연산 유닛의 설정으로 인해 절연 작용을 가지며, 상기 연산 유닛(9)은 가산기일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 시스템도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이용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구동 시스템의 제6 실시예는 무선 수신 유닛(1) 및 필터 유닛(2)이 설치된 무선 제어 방식을 예로 든 것이며 구동 유닛(6)이 더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구동 유닛에는 정류 회로(61), 전압 안정화 회로(63), 전압 조절 회로(65) 및 정전류 회로(64)(도 5의 구동 유닛의 구조 조성과 동일함)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정류 회로(61)에 의해 직류 전원으로 변환되며, 상기 전압 안정화 회로(63)는 상기 직류 전원에 따라 정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연산 회로(633)는 상기 정전압 및 제어 전압을 제공받고 기준 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전압 조절 회로(65)도 마찬가지로 상기 직류 전원을 제공받아 분압을 진행하여 분압 전압을 생성하며, 상기 제2 연산 회로(653)는 상기 기준 전압 및 분압 전압을 제공받고 상기 정전류 회로의 트랜지스터(Q)로 설정 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트랜지스터(Q)는 상기 설정 전압을 제공받아 상기 광원 모듈을 구동하고 발광 다이오드로의 전류를 제한할 수 있어, 상기 구동 전류를 고정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저항은 가변 저항일 수도 있으며, 또한, 수동 광 조절 기능을 가지도록 상기 가변 저항을 통해 수동 방식으로 광원 모듈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도 3 또는 도 4에서 설명된 바과 같은 구조 조성일 수도 있다.
상술한 내용을 종합하면, 본 발명은 바람직하고 실현 가능한 구동 시스템을 제공하고, 법에 따라 발명 특허 출원을 제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내용 및 기술적 특징은 앞에 개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개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교체 및 수정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호범위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진행되는 교체 및 수정은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된다.
S1, S2: 제어 신호 S3: 제어 전압 1: 무선 수신 유닛
2: 필터 유닛 3: 카운팅 유닛 C: 제1 입력단
Q1, Q2, Q3, Q4: 제1 출력단 4: 버퍼 유닛
41: 3 상태 버퍼 411: 제2 입력단 412: 제2 출력단
5: 전압 조절 유닛 R1~R7: 저항 6: 구동 유닛
61: 정류 회로 62: 교환식 전원 공급 장치
621: 1차 측 622: 2차 측 63: 전압 안정화 회로
Z: 제너 다이오드 633: 제1 연산 회로 64: 정전류 회로
Q: 트랜지스터 65: 전압 R8: 제1저항
R9: 제2 저항 653: 제2 연산 회로 71: 광원 모듈
81: 변환 스위치 82: 원격 제어 유닛 821: 버튼
9: 연산 유닛

Claims (16)

  1. 제1 입력단 및 복수의 제1 출력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입력단에 의해 구동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동신호에 따라 상이한 제1 출력단을 순차적으로 스위칭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카운팅 유닛;
    상기 카운팅 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카운팅 유닛의 복수의 제1 출력단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3 상태 버퍼(3-state buffer) - 상기 3 상태 버퍼는 상기 복수의 제1 출력단에 각각 연결된 제2 입력단 및 복수의 제2 출력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입력단은 상기 제1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출력단은 절연 제어 신호를 출력함 - 를 포함하는 버퍼 유닛; 및
    상기 복수의 제2 출력단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저항이 구비되고, 상기 절연 제어 신호에 따라 상이한 저항에 의해 대응하는 제어전압을 출력하여 전기장치를 구동할 수 있는 전압 조절 유닛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 유닛은 존슨 카운터(Johnson coun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스템에는 무선 수신 유닛 및 필터 유닛이 더 설치되고, 상기 무선 수신 유닛에 의해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 유닛은 유선 방식으로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 유닛은 스위치와 유선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조절 유닛 중, 상기 제2 출력단과 연결된 복수의 저항은 서로 병렬 연결되고, 다른 저항은 상기 복수의 저항과 직렬 연결되는 구동 시스템.
  7. 제1 입력단 및 복수의 제1 출력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입력단에 의해 구동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상이한 제1 출력단을 순차적으로 스위칭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카운팅 유닛;
    상기 제1 출력단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저항이 구비되는 전압 조절 유닛; 및
    상기 전압 조절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제1 출력단에 의해 출력된 제어 신호는 상기 전압 조절 유닛 중의 저항을 통해 특정 제어 전압을 출력할 수 있고, 전기 장치를 구동할 수 있는 연산 유닛 -상기 연산 유닛은 가산기임- 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시스템은 무선 수신 유닛 및 필터 유닛이 더 설치되고, 상기 무선 수신 유닛에 의해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10. 제7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 유닛은 유선 방식으로 구동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 유닛은 스위치와 유선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 유닛은 존슨 카운터(Johnson coun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97012768A 2017-05-27 2017-05-27 구동 시스템 KR102244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86272 WO2018218400A1 (zh) 2017-05-27 2017-05-27 驱动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615A KR20190064615A (ko) 2019-06-10
KR102244183B1 true KR102244183B1 (ko) 2021-04-26

Family

ID=64454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768A KR102244183B1 (ko) 2017-05-27 2017-05-27 구동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91143B2 (ko)
EP (1) EP3562272B1 (ko)
JP (1) JP6851567B2 (ko)
KR (1) KR102244183B1 (ko)
CN (1) CN110169204B (ko)
WO (1) WO201821840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986225U (zh) * 2011-01-25 2011-09-21 上海市金山区青少年活动中心 利用继电器调整输出阻值的灯光控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5777A (en) 1976-03-29 1977-08-30 The Magnavox Company Remote control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use with a television receiver
US4151481A (en) 1977-12-22 1979-04-24 Gte Sylvania Incorporated Digital gain control system
GB8617124D0 (en) 1986-07-15 1986-08-20 Mace R J Vehicle protection apparatus
JPS645728A (en) 1987-06-29 1989-01-10 Mitsubishi Electric Corp Electric discharge processing machine
JPH01107496A (ja) 1987-10-20 1989-04-25 Sanyo Electric Co Ltd 調光回路
CA1315858C (en) 1987-10-30 1993-04-06 David Douglas Clegg Telecommunications wiring test apparatus and method
FR2656186B1 (fr) 1988-07-01 1996-08-23 Telecommunications Sa Procede de liaison d'une plaquette refroidie de pretraitement de signaux et d'une plaquette de traitement et ensemble de traitement pour la mise en óoeuvre du procede.
WO1990010140A1 (en) 1989-02-28 1990-09-07 Nauchno-Proizvodstvennoe Obiedinenie Po Sozdaniju I Vypusku Sredstv Avtomatizatsii Gornykh Mashin Device for manipulation control of a movable object
JPH065638B2 (ja) 1989-05-30 1994-01-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赤外線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式螢光ランプ器具
US5459489A (en) 1991-12-05 1995-10-17 Tv Interactive Data Corporation Hand held electronic remote control device
DE4221793C1 (de) 1992-07-03 1994-02-03 Wacker Werke Kg Infrarot-Fernsteuerung für Bodenverdichtungsgeräte
CN1087034A (zh) 1992-11-14 1994-05-25 广东省东莞市万江联大玻璃钢厂 移动式镭射音乐喷泉
JPH06203968A (ja) 1992-12-25 1994-07-22 Hitachi Lighting Ltd 照明器具
CA2153819A1 (en) * 1995-07-13 1997-01-14 Murray Bruce Corless Road marker
JPH09127918A (ja) * 1995-11-06 1997-05-16 Fujitsu Ltd 液晶表示装置の駆動回路、液晶表示装置、ならびに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US6160490A (en) 1998-02-02 2000-12-12 Motorola Apparatus for improving the battery life of a selective call receiver
TW483255B (en) 1999-11-26 2002-04-11 Fujitsu Ltd Phase-combining circuit and timing signal generator circuit for carrying out a high-speed signal transmission
US6597598B1 (en) 2002-04-30 2003-07-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Resistive cross point memory arrays having a charge injection differential sense amplifier
KR100512616B1 (ko) 2003-07-18 2005-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면 비율 가변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TWM252234U (en) 2004-01-13 2004-12-01 Yu-Hung Shie Remote light adjusting control device for white-light LED lamp
JP2005284691A (ja) 2004-03-30 2005-10-13 Koito Ind Ltd Led式信号灯器
TWM263688U (en) 2004-06-08 2005-05-01 Shr-Yung Chiou RF remote dimmer controller
JP4694801B2 (ja) 2004-08-11 2011-06-08 三洋電機株式会社 Led制御回路
JP4107287B2 (ja) 2004-12-09 2008-06-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適合する被制御装置並びに制御装置
US7400067B2 (en) 2005-10-31 2008-07-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peration of a redundant power supply without isolation devices
CN100573642C (zh) * 2006-12-08 2009-12-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Led控制电路
JP4523016B2 (ja) * 2007-05-22 2010-08-11 株式会社沖データ 駆動回路、ledヘッド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135483U (ja) 2007-05-30 2007-09-20 坂井 公一 回転表示装置
JP2009135138A (ja) 2007-11-28 2009-06-18 Texas Instr Japan Ltd Led駆動回路
US7919934B2 (en) 2008-06-28 2011-04-05 Huan-Po Li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nd adjusting light
CN101621878A (zh) 2008-07-03 2010-01-06 林焕博 一种调光驱动装置及方法
US8552658B2 (en) 2008-08-28 2013-10-08 Marvell World Trade Ltd. Light-emitting diode (LED) driver and controller
KR101046081B1 (ko) 2009-03-09 2011-07-01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Led 조명장치
JP5600456B2 (ja) * 2009-05-19 2014-10-01 ローム株式会社 発光ダイオードの駆動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駆動回路の保護方法
TW201044915A (en) 2009-06-03 2010-12-16 Richtek Technology Corp AC power line controlled light emitting device dimm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US8067904B2 (en) 2009-07-20 2011-11-29 Grenergy Opto, Inc. Electronic ballast with dimming control from power line sensing
KR20110024102A (ko) 2009-09-01 201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Led 구동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하는 led 구동 시스템 및 액정 표시 장치
US8294379B2 (en) 2009-11-10 2012-10-23 Green Mark Technology Inc. Dimmable LED lamp and dimmable LED lighting apparatus
TWM380683U (en) 2009-12-18 2010-05-11 Arc Technology Co Ltd Wireless dimming device built-in lamp
TWM383886U (en) 2010-03-08 2010-07-01 Chicony Power Tech Co Ltd Connector device with wireless transmission mode
TWM394408U (en) 2010-03-25 2010-12-11 Seg Electronics Co Ltd Illumination system
JP5466995B2 (ja) 2010-05-24 2014-04-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照明用リモコンシステム
TWM393951U (en) 2010-07-28 2010-12-01 Chicony Power Tech Co Ltd Switching LED driver
TW201218862A (en) 2010-10-26 2012-05-01 Mstar Semiconductor Inc LED driving system and driving method
TWM406148U (en) 2010-11-12 2011-06-21 Trend Lighting Corp Constant-current LED lamp
CN102173281A (zh) 2011-01-25 2011-09-07 上海市金山区青少年活动中心 镜面光栅画及利用继电器调整输出阻值的灯光控制装置
IN2012DE00358A (ko) 2011-03-07 2015-04-10 O2Micro Inc
JP5778485B2 (ja) * 2011-06-03 2015-09-16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パネル表示装置のデータドライバ
JP2013120623A (ja) 2011-12-06 2013-06-17 Panasonic Corp 照明システム
JP5984415B2 (ja) 2012-02-09 2016-09-06 三菱電機株式会社 点灯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照明器具
KR102061318B1 (ko) * 2012-10-08 2019-12-31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Led 연속구동을 위한 led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CN103066850B (zh) 2012-12-20 2016-04-2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隔离式升压电路、背光模块及液晶显示装置
CN103428962B (zh) 2013-05-28 2016-10-05 深圳市雅格朗电子有限公司 Led调光器及led调光装置
CN203691708U (zh) * 2014-01-10 2014-07-02 深圳市垅运照明电器有限公司 一种多路led输出电流采样电路
KR20160049152A (ko) * 2014-10-24 2016-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신호 평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장치
CN204119627U (zh) 2014-11-04 2015-01-21 厦门华联电子有限公司 一种调光控制系统
KR102260843B1 (ko) * 2015-01-20 2021-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임계온도 소자를 이용하는 과전류 방지용 전자 개폐기
KR102286767B1 (ko) * 2015-02-03 2021-08-10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의 제어 회로
CN105050265B (zh) 2015-07-17 2017-10-17 云南日昌隆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Led多组恒流驱动电路
CN106612577B (zh) * 2016-12-23 2018-08-10 浙江大学 一种电源开关调亮度led灯控制器及其控制方法
TWI628975B (zh) 2017-05-27 2018-07-01 李玉麟 驅動系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986225U (zh) * 2011-01-25 2011-09-21 上海市金山区青少年活动中心 利用继电器调整输出阻值的灯光控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615A (ko) 2019-06-10
WO2018218400A1 (zh) 2018-12-06
CN110169204A (zh) 2019-08-23
JP2020502750A (ja) 2020-01-23
US11191143B2 (en) 2021-11-30
EP3562272A4 (en) 2020-08-19
CN110169204B (zh) 2021-04-20
EP3562272B1 (en) 2022-09-07
JP6851567B2 (ja) 2021-03-31
US20200022237A1 (en) 2020-01-16
EP3562272A1 (en) 2019-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90618B (zh) 一种mcu控制色温切换线性驱动led照明的电路
US9119252B2 (en) Lighting device adapted for synchronous control
US20110279042A1 (en) Led lighting system with auto and manual dimming functions
CN109548240A (zh) 一种可编程自动恒定led照度的控制器及其控制方法
CN101998731A (zh) 电源开关切换式调光器及其led装置
TWI628975B (zh) 驅動系統
CN203675388U (zh) 一种led驱动控制装置
KR102244183B1 (ko) 구동 시스템
CN102752931A (zh) 遥控调光调色led面板灯用恒流驱动电源
CN110446292B (zh) 驱动装置
TWM556052U (zh) Led燈具專用智能無線遙控調光驅動裝置
CN209731641U (zh) 一种可编程自动恒定led照度的控制器
CN202652653U (zh) 遥控调光调色led面板灯用恒流驱动电源
JP2020502750A5 (ko)
JP2019197952A (ja) 負荷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設置方法
CN212163764U (zh) 一种led光源的控制装置
CN209845369U (zh) 一种开关多段变色led调光电路
CN109041345B (zh) 一种可手动设置灯具调光范围的方法及灯具系统
CN208549044U (zh) 一种mos管智能调光控制模块
KR20100010184U (ko) 구동회로가 내장된 소켓부를 가지는 엘이디램프
CN103702491A (zh) 一种led驱动控制装置
CN106555943A (zh) 一种智能led灯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