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536B1 - 어플리케이션의 내용 분석을 통해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의 내용 분석을 통해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536B1
KR102243536B1 KR1020180085827A KR20180085827A KR102243536B1 KR 102243536 B1 KR102243536 B1 KR 102243536B1 KR 1020180085827 A KR1020180085827 A KR 1020180085827A KR 20180085827 A KR20180085827 A KR 20180085827A KR 102243536 B1 KR102243536 B1 KR 102243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t room
level
chat
achievement
pub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1123A (ko
Inventor
김종민
박지현
장혁재
Original Assignee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5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536B1/ko
Priority to US16/460,041 priority patent/US11811711B2/en
Priority to JP2019132624A priority patent/JP2020017275A/ja
Priority to CN201910663693.5A priority patent/CN110852081A/zh
Publication of KR20200011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123A/ko
Priority to KR1020210050006A priority patent/KR1023785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536B1/ko
Priority to US18/467,918 priority patent/US2024000742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3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using or handling presence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1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at application loading time, e.g. accepting, rejecting, starting or inhibiting executable software based on integrity or source reliabi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06F40/211Syntactic parsing, e.g. based on context-free grammar [CFG] or unification gramma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37Lexical tools
    • G06F40/242Dictiona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04L12/1822Conducting the conference, e.g. admission, detection, selection or grouping of participants, correlating users to one or more conference sessions, prioritising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for suppor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2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geographical location information, e.g. messages transmitted or received in proximity of a certain spot or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어플리케이션의 내용 분석을 통해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접근 제어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대화 상대 별로 대화 내용을 분석하여 경어 사용에 따른 공적 정도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대화 상대 별 공적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의 내용 분석을 통해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USER ACCESS THROUGH CONTENT ANALYSIS OF APPLICATION}
아래의 설명은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입력 실수를 줄이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커뮤니케이션 도구인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는 실시간으로 메시지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서, 사용자가 메신저 상에 대화 상대를 등록하고 대화 상대 목록에 있는 상대방과 실시간으로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러한 메신저 기능은 PC 뿐만 아니라 이동 통신 단말의 모바일 환경에서도 메신저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74304호(공개일 2002년 09월 30일)에는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모바일 메신저 간에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내용 분석을 통해 사용자 접근을 제어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입력 실수를 줄일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대화 상대 별로 대화 내용을 분석하여 경어 사용에 따른 공적 정도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대화 상대 별 공적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 내용에서 존칭 어미 또는 존칭 명사를 경어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대화 내용에서 추출된 경어의 빈도와 문장 내 중요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경어의 빈도와 문장 내 중요도를 이용하여 공적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파악하는 단계는, 경어 말뭉치를 포함하는 사전 데이터베이스 또는 경어 표현으로 작성된 문서들을 대상으로 한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대화 내용에서 경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공적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 내용에 포함된 문장의 평균 길이, 비표준어의 사용 빈도, 문장 구조의 완결성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이용하여 상기 공적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공적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 상대가 속한 연락처 그룹 이름, 상기 대화 상대와의 근거리 통신, 상기 대화 상대와 공유하는 컨텐츠에 대해 부여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상기 공적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 내용이 없는 대화 상대의 경우 서비스 내에 형성된 사람들 간의 소셜 그래프를 획득하여 상기 소셜 그래프의 관계 분석을 통해 해당 대화 상대의 공적 정도를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대화방 별로 각 대화방에 포함된 대화 상대의 공적 정도를 이용하여 해당 대화방에 대한 공적 정도를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대화 상대 별로 전체 대화 수와 대화 빈도율을 이용하여 해당 대화 상대의 공적 정도에 대한 신뢰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화방에 대한 공적 정도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대화 상대 중 상기 신뢰도가 임계값 이상인 대화 상대의 공적 정도를 이용하거나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대화 상대의 공적 정도에 대해 상기 신뢰도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해당 대화방에 대한 공적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 상대 별 공적 스코어를 기준으로 대화 상대 목록을 정렬하거나 대화 상대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방의 공적 정도에 따라 해당 대화방의 입력 도구를 비활성화시키는 잠금을 자동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방의 공적 정도에 따라 해당 대화방의 입력 도구에 상기 입력 도구를 비활성화시키는 비활성 윈도우를 오버레이하고 상기 비활성 윈도우에 공적인 관계에 대한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방의 공적 정도에 따라 해당 대화방에 입력된 문구를 강조 표시하거나 자동 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방의 공적 정도에 따라 해당 대화방을 통해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해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방을 통해 해당 대화방의 공적 정도에 대응되는 이모티콘이나 스티커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대화방 전환 시 이전 대화방의 공적 정도와 현재 대화방의 공적 정도를 비교하여 공적 정도의 변화가 일정 레벨 이상이면 상기 현재 대화방에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방의 공적 정도에 따라 상기 대화방의 디스플레이 요소를 다르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방의 공적 정도를 기준으로 대화방 목록을 정렬하거나 상기 대화방을 그룹핑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컨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공유 대상 목록에 포함된 대화 상대나 대화방을 공적 정도에 따라 다른 공유 대상과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대화방에 포함된 대화 내용을 분석하여 상기 대화방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핵심 주제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대화방을 통해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분석하여 해당 대화방의 핵심 주제와의 연관성에 따라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대화 상대 별로 대화 내용을 분석하여 경어 사용에 따른 공적 정도를 파악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대화방 별로 각 대화방에 포함된 대화 상대의 공적 정도를 이용하여 해당 대화방에 대한 공적 정도를 파악하는 공적 정도 파악부; 및 상기 대화방 별 공적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대화방에 대한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접근 제어부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대화방의 공적 스코어에 따라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구체적인 예시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입력 실수를 줄이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개시되는 것들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은 어플리케이션의 내용 분석을 통해 사용자 접근을 제어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입력 실수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효율성, 서비스 품질, 편의성 등의 측면에 있어서 상당한 장점들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이 있다. 일례로 도 1에서는 전자 기기(110)의 예로 스마트폰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10)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시스템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5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1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으며, 서버(160) 역시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2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서버(150)는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목적하는 서비스(일례로, 메신저 서비스 등)를 제1 서비스로서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160)는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구동을 위한 파일을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로 배포하는 서비스를 제2 서비스로서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전자 기기에 대한 예로서 전자 기기(110), 그리고 서버(15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이나 서버(160) 역시 상술한 전자 기기(110) 또는 서버(150)와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전자 기기(110)와 서버(150)는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211, 221)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전자 기기(110)나 서버(15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전자 기기(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특정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전자 기기(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60))이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전자 기기(110)와 서버(1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전자 기기(110) 및/또는 서버(150)가 다른 전자 기기(일례로 전자 기기(120)) 또는 다른 서버(일례로 서버(160))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70)를 거쳐 전자 기기(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전자 기기(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150)의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은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전자 기기(11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입출력 장치(2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카메라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215)는 전자 기기(11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서버(15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4)는 서버(150)와 연결되거나 서버(150)가 포함할 수 있는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50)나 전자 기기(12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110) 및 서버(15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1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2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110)가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전자 기기(1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내용 분석을 통해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대화 내용 분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은 메신저, 타임라인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신저의 경우 대화 내용 분석을 통해 대화 관련 인터페이스인 대화방에 대한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메신저를 예로 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된 특징들을 메신저 이외에도 타임라인 등과 같은 각종 소셜 미디어 어플리케이션에 적용 가능하다.
메신저 서비스는 가족이나 친구와 같이 사적인 관계에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직장을 비롯하여 사업 목적 등 공적인 관계에서도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메신저 서비스는 대부분 여러 대화방이 사적인 공간과 공적인 공간으로 구별되지 않고 하나의 목록에 뒤섞여 나열되기 때문에 개인의 실수로 대화방을 착각하여 엉뚱하거나 적절하지 못한 내용을 전달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공적인 공간에서의 실수는 단순한 해프닝을 넘어서 개인의 사회적인 평판에 영향을 주거나 경우에 따라 명예 훼손 등의 제재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메신저에서 사용자의 의도치 않은 입력 실수를 방지하기 위해 대화 분석을 통해 대화방에 대한 공적 정도(public level)를 파악하여 공적 정도에 따라 대화방의 접근을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10)에는 컴퓨터로 구현된 접근 제어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접근 제어 시스템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거나, 혹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인-앱(in-app)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서버(150)와의 연동을 통해 메신저 서비스에서 대화 분석을 통해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기기(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명령에 기반하여 전자 기기(110)에 구현된 접근 제어 시스템은 접근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 따른 접근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전자 기기(110)의 프로세서(212)는 구성요소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적 정도 파악부(310), 주제 추출부(320), 및 접근 제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선택적으로 프로세서(212)에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212)의 기능의 표현을 위해 분리 또는 병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12) 및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도 4의 접근 제어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410 내지 S430)을 수행하도록 전자 기기(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및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전자 기기(110)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가 제공하는 명령(일례로, 전자 기기(110)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명령)에 따라 프로세서(212)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서(212)의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110)가 대화방에 대한 공적 정도를 파악하도록 상술한 명령에 따라 전자 기기(11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212)의 기능적 표현으로서 공적 정도 파악부(310)가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는 전자 기기(110)의 제어와 관련된 명령이 로딩된 메모리(211)로부터 필요한 명령을 읽어들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읽어들인 명령은 프로세서(212)가 이후 설명될 단계들(S410 내지 S430)을 실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410)에서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메신저에 등록된 대화 상대 별로 전자 기기(110)의 사용자와 대화 상대 간에 주고 받은 대화 내용을 분석하여 대화 상대에 대한 공적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일례로,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사용자가 대화 상대와 나눈 대화 내에서 경어를 추출하여 경어 사용에 따른 공적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전체 대화 대비 경어의 사용 빈도, 대화 내에서의 경어 중요도 등을 이용하여 공적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대화 문장 길이, 비속어나 은어 사용 빈도, 문장 완결성 등을 추가로 이용하여 공적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사용자와 대화 상대 간의 대화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대화 상대와의 공적 관계를 나타내는 공적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단계(S420)에서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대화 상대 별 공적 정도를 기반으로 메신저 내의 대화방 별 공적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대화방은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대화 상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대화방 별로 각 대화방에 포함된 개별 대화 상대의 공적 스코어를 이용하여 해당 대화방에 대한 공적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S430)에서 접근 제어부(330)는 메신저 내의 대화방 별 공적 정도에 기초하여 대화방에 대한 사용자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접근 제어부(330)는 대화방 별 공적 스코어를 기준으로 메신저의 대화방 리스트 정렬이나 표시, 대화방의 입력 잠금, 화면 표시, 알림 표시, 전송 문구 교정, 컨텐츠 추천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주제 추출부(320)는 대화방 별로 각 대화방에 포함된 대화 내용을 분석하여 해당 대화방의 핵심 주제를 추출할 수 있다. 주제 추출부(320)는 대화방의 대화 내용에 등장하는 단어의 빈도를 기반으로 대화 내용 내에서의 단어 중요도를 계산할 수 있고 이러한 단어 중요도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핵심 주제어를 찾을 수 있다. 이에, 접근 제어부(330)는 대화방에서 추출된 핵심 주제를 바탕으로 대화방의 입력을 제어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대화 상대 별 공적 스코어를 산출하는 과정(S410)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다.
공적 스코어를 산출하기 위해 대화 상대 각각에 대하여 다음의 데이터들을 활용할 수 있다.
(1) 경어의 빈도 및 문장 내 중요도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대화 내에서 경어가 얼마나 많이 사용되는지, 그리고 사용된 경어가 문장 내에서 얼마나 중요한지를 분석함으로써 공적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상세하게,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낱말 분석(Tokenizer)을 통해 사용자와 대화 상대 간에 주고 받은 대화 내용에서 문단과 문장을 구분한 후 각 문단이나 문장에서 구와 단어를 분할할 수 있다.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자연어 처리 기술(Natural Language Processing)의 형태소 분석, 품사 분석, 기본형 분석을 통해 분할된 구나 단어에서 개별 형태소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는'에 대하여 '나'(대명사)+'는'(조사), 혹은 '날'(동사, 날다)+'는'(관형형 어미) 등으로 개별 형태소를 추출할 수 있다.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사전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된 경어 말뭉치와 경어 형태소 등을 바탕으로 개별 형태소가 존칭이나 존대 등을 나타내는 경어에 해당되는지 파악할 수 있다. 일례로,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품사 분석에서 존칭 어미 또는 존칭 명사를 검출할 수 있다. 존칭은 크게 어휘(구), 접미사(또는 조사), 선어말 어미, 종결 표현 등을 통해서 나타난다. 한글에서 '어르신', '그분', '진지' 등은 어휘를 통한 존칭의 표현, '선생님'의 '님', '그대'의 '대', '께서', '께' 등은 접미사나 조사를 이용한 존칭의 표현, '진지' 등은 어휘를 통한 존칭의 표현, '~시', '~셨' 등은 어미를 통한 존칭의 표현이다. 영어의 경우 문장 끝에 이용되는 'Sir', 'madam' 등, 이름 대신 이용되는 'Mr', 'Ms', 'Dear' 등, 의문문 조동사 would, could 등이 존칭의 표현이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Thank'와 비교할 때 'appreciate', 'be obliged to' 등이, 'tell me'와 비교할 때 'let me know' 등이 보다 격식 있는 경어 표현이 될 수 있다.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사전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단어 자체의 등급을 나타내는 속성 등을 이용하여 대화 내용에서 경어를 검출하는 것은 물론이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예를 들어 외교 문서, 기업 발표문, 비즈니스 문서 등 격식을 갖춘 경어 표현이 주를 이루는 문서를 수집하여 경어와 관련된 특징을 분석할 수 있고 이러한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대화 내 경어들을 추출할 수 있다.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대화 내용 전체에 대비하여 경어의 사용 빈도를 분석할 수 있고 경어의 사용 빈도를 기반으로 대화 내용 내에서 해당 경어의 단어 중요도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빈도를 기반으로 문서 내의 단어 중요도를 계산하기 위한 TF-IDF(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와 문서 내에서 앞뒤로 존재하는 단어를 모델로 만들어 단어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확률적 언어 모델(N-gram)을 이용하여 대화 내용 내에서의 경어의 중요도를 산출할 수 있다.
(2) 경어구 비율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대화 내용을 구절 단위로 분석하여 경어구를 분류하고 대화 내 경어구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장 '이 해결책은 정말이지 여기에는 적합하지 않아'을 구절 단위 '이 해결책', '정말이지', '적합하지 않아'로 나눌 수 있다.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문장 내 구절 단위 중 경어를 포함한 경어구를 선별하여 문장의 구절 전체에 대비하여 경어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3) 문장 길이 비율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대화 상대와 주고 받은 대화 내용에서 문장의 평균 길이를 산출할 수 있으며, 대화 상대 전체 평균에 대비한 문장 길이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문장의 길이가 짧을수록 사적인 관계일 확률이 높고 반대로 문장의 길이가 길수록 공적인 관계일 확률이 높다는 점을 고려하여 문장 길이 비율을 공적 스코어를 산출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4) 비표준어 사용 비율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약어, 비속어, 은어, 방언, 유행어 등의 비표준어를 포함하는 사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대화 상대와 주고 받은 대화 내용에서 비표준어 사용 빈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대화 상대 전체 평균에 대비한 비표준어 사용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대화 문장의 비표준어 사용 빈도가 낮을수록 공적인 관계일 확률이 높다는 점을 고려하여 비표준어 사용 비율을 공적 스코어를 산출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5) 문장 완결성 비율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대화 상대와 주고 받은 대화 내용에서 완전한 구조를 가진 문장의 사용 빈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대화 상대 전체 평균에 대비한 문장 완결성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글의 문장 구조는 주어-(목적어)-서술어 형의 배열 순서를 기본으로 하게 되는데, 완전한 구조의 문장이 전체 대화에서 얼마나 차지하는지를 파악함으로써 대화 상대와의 관계를 유추할 수 있다. 사적인 관계일수록 문장 구조가 파괴되는 양상을 보인다는 점을 고려하여 문장 완결성 비율을 공적 스코어를 산출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6) 연락처 그룹 가산점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전자 기기(110)의 연락처 어플리케이션 내의 연락처 그룹 중 대화 상대가 속한 연락처 그룹의 이름을 분석하여 공적 정도를 나타내는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전자 기기(110)의 연락처 어플리케이션 내에 생성된 연락처 그룹 이름에 대해 공적 정도에 따른 가중치를 미리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화 상대가 등록된 연락처 그룹이 회사나 거래처 등 공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이름인 경우 해당 대화 상대에 대해 연락처 그룹 가산점을 부여할 수 있다.
(7) 근거리 가산점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전자 기기(110)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공적인 장소에서 사용자 주변에 위치한 대화 상대에 대해 공적 정도를 나타내는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회사에서 사용자 주변에 오래 머물렀던 대화 상대에 대해 근거리 가산점을 부여할 수 있다.
(8) 컨텐츠 가산점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대화 상대와 주고 받은 컨텐츠의 종류나 이미지 사물 인식 결과를 바탕으로 대화 상대에 대해 공적 정도를 나타내는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공적 정도가 정의된 텍스트 태그 사전이 미리 구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전을 기반으로 대화 상대와 주고 받은 사진이나 동영상의 이미지에서 사물을 인식한 후 인식된 사물의 텍스트 태그에 대해 해당 태그에 대응되는 공적 정도에 따른 컨텐츠 가산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대화 상대와 주고 받은 컨텐츠 중 특정 종류의 컨텐츠, 예를 들어 스크린샷이나 문서의 비중이 클수록 공적인 관계일 가능성이 크므로 대화 상대에 대해 해당 컨텐츠의 비중에 따른 컨텐츠 가산점을 부여할 수 있다.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상기한 데이터들 중 (1) 경어의 빈도 및 문장 내 중요도를 이용하여 대화 상대에 대한 1차 공적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1차 공적 스코어는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8073000339-pat00001
여기서, 1stScorex는 대화 상대 x에 대한 1차 공적 스코어, s는 경어에 해당되는 개별 형태소에 부여된 스코어, w는 경어에 해당되는 개별 형태소의 중요도에 따라 부여된 가중치, N은 전체 대화 수를 의미한다.
더 나아가,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2) 경어구 비율, (3) 문장 길이 비율, (4) 비표준어 사용 비율, (5) 문장 완결성 비율, (6) 연락처 그룹 가산점, (7) 근거리 가산점, (8) 컨텐츠 가산점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이용하여 대화 상대에 대한 최종 공적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종 공적 스코어는 수학식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8073000339-pat00002
여기서, Scorex는 대화 상대 x에 대한 최종 공적 스코어, Rp는 경어구 비율, Rl은 문장 길이 비율, Rs는 비표준어 사용 비율, Rc는 문장 완결성 비율, wc는 연락처 그룹 가산점, wp는 근거리 가산점, wi는 컨텐츠 가산점을 의미한다.
그리고,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대화 횟수와 대화 빈도율을 이용하여 대화 상대의 공적 스코어에 대한 신뢰도를 계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학식 3을 통해 신뢰도를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8073000339-pat00003
여기서, Confiencen은 대화 상대 n의 공적 스코어에 대한 신뢰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전체 대화 상대와 하루에 주고 받은 평균 대화 수에 대비하여 대화 상대 n과 하루에 주고 받은 평균 대화 수의 비율로 계산될 수 있다.
대화 상대의 공적 스코어에 대한 신뢰도를 계산하기 위해서 필요한 최소 대화 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최소 대화 수에 따른 신뢰도 함수는
Figure 112018073000339-pat00004
와 같다.
신뢰도가 임계값(threshold) 미만인 대화 상대의 공적 스코어는 무효 처리하고 임계값 이상의 신뢰도가 보장되는 대화 상대의 공적 스코어를 유효 데이터로서 대화방 별 공적 스코어를 산출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대화 상대의 공적 스코어에 대해 신뢰도에 따라 차등적인 가중치를 부여하여 대화방 별 공적 스코어를 산출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대화 내용을 기반으로 공적 스코어를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며, 사용자와의 대화 내용이 없는 대화 상대의 공적 스코어를 산출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서버(150)에서 사용자와 관련된 소셜 그래프(social graph)를 획득하여 관계 분석을 통해 대화 상대에 대한 공적 스코어를 예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메신저 서비스 내에 형성된 사람들 간의 소셜 그래프와 대화 빈도를 서버(150)로부터 획득한 후 사람들의 관계를 선(edge)으로 연결하고 대화 빈도를 선의 가중치로 하는 친구 관계의 네트워크 그래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네트워크 그래프 내에서 친구 관계를 클러스터링 하여 사용자와의 대화 내용이 없는 대화 상대가 속한 클러스터를 대상으로 해당 클러스터에 포함된 친구들의 공적 스코어로부터, 예를 들어 클러스터 내의 친구들의 공적 스코어를 평균한 값이나 중간 값을 해당 대화 상대에 대한 공적 스코어로 추정할 수 있다.
사용자와의 대화 내용이 없는 대화 상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한 데이터들 중 (6) 연락처 그룹 가산점과 (7) 근거리 가산점 중 적어도 하나를 공적 스코어에 추가 반영할 수 있다.
대화방 별 공적 스코어를 산출하는 과정(S420)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다.
공적 정도 파악부(310)는 메신저에 등록된 대화 상대 각각에 대해 공적 스코어 계산이 완료되면 대화방 별로 각 대화방에 포함된 대화 상대의 공적 스코어를 이용하여 해당 대화방의 공적 스코어를 산출할 수 있다.
일례로, 대화방의 공적 스코어는 수학식 4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112018073000339-pat00005
여기서, Scorex는 대화방 x에 대한 공적 스코어, Si는 대화 상대 i에 대한 공적 스코어, Ri는 대화 상대 i의 대화 수 비율, Nx는 대화방 x에 포함된 사람 수를 의미한다. Ri
Figure 112018073000339-pat00006
와 같으며, CIi는 대화 상대 i가 대화를 시작한 횟수를 의미한다.
대화방 별 핵심 주제를 추출하는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주제 추출부(320)는 대화방에서 주고 받은 대화 내용에서 텍스트와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주제 추출부(320)는 대화방에서 사용된 클립보드 내에서 텍스트와 이미지를 추출하거나 대화방을 통해 공유되는 URL를 프리페칭(prefetching)하여 해당 URL의 웹 페이지 내용에서 텍스트와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다.
주제 추출부(320)는 낱말 분석을 통해 대화 내용에서 문단과 문장을 구분한 후 각 문단이나 문장에서 구와 단어를 분할할 수 있고, 자연어 처리에 따른 형태소 분석, 기본형 분석, 품사 분석 등을 통해 개별 형태소를 추출할 수 있고, 이미지의 경우 이미지 사물 인식을 통해 이미지에 포함된 사물의 텍스트 태그를 추출할 수 있다.
주제 추출부(320)는 TF-IDF 및 확률적 언어 모델을 통해 대화 내용에서 추출된 개별 형태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핵심 주제를 선정할 수 있다. 주제 추출부(320)는 빈도를 기반으로 문서 내의 단어 중요도를 계산하기 위한 TF-IDF와 인접한 단어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확률적 언어 모델을 이용하여 자주 등장하는 명사나 대명사 중 중요도가 높은 핵심 주제어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주제 추출부(320)는 대화방 별로 각 대화방의 대화 내용 분석을 통해 해당 대화방과 관련된 핵심 주제를 추출할 수 있다. 대화방 별 핵심 주제는 해당 대화방에 대한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데에 활용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전자 기기(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명령에 기반하여 전자 기기(110)에서 공적 정도 파악 과정(S410~S420)과 핵심 주제 추출 과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서버(150)가 전자 기기(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서버(150) 측에서 상기한 과정을 직접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150)가 도 4에 따른 접근 제어 방법 중 일부를 수행하기 위해 서버(150)의 프로세서(222)는 공적 정도 파악부, 및 주제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선택적으로 프로세서(222)에 포함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222)의 기능의 표현을 위해 분리 또는 병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22) 및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공적 정도 파악 과정(S410~S420)과 핵심 주제 추출 과정을 수행하도록 서버(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2) 및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2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서버(150)의 프로세서(222)에 포함되는 공적 정도 파악부, 및 주제 추출부는 도 3을 통해 설명한 공적 정도 파악부(310), 및 주제 추출부(320)와 동일하거나 대응되게 공적 정도 파악 과정(S410~S420)과 핵심 주제 추출 과정을 수행하므로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시 말해, 공적 스코어 산출이나 핵심 주제 추출은 전자 기기(110)에서 수행되는 것은 물론이고 서버(150)에서 수행되어 결과 값을 전자 기기(110)로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공적 스코어 산출이나 핵심 주제 추출이 전자 기기(110)에서 수행될 때 경우에 따라 전자 기기(110)에서 획득할 수 없는 정보는 서버(150)로 요청하여 가져와 해당 과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기기(110)는 메신저 내의 대화 상대 별 공적 스코어를 산출하여 서버(150)로 업로드할 수 있고, 이에 서버(150)는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대화 상대 별 공적 스코어를 유지하고 있다가 요청이 있을 때 특정 사용자와 친구 관계에 있는 대화 상대 별 공적 스코어를 해당 전자 기기로 제공할 수 있다.
대화방에 대한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과정(S430)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다음과 같다.
일례로, 접근 제어부(330)는 대화방마다 대화방의 공적 스코어를 기준으로 공적 스코어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해당 대화방의 입력 도구에 대해 잠금 설정을 자동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공적 스코어가 임계값 이상인 대화방(500)에 진입하는 경우 대화 입력창을 포함한 입력 도구에 입력 도구를 비활성화 시키는 비활성 윈도우(510)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단순 텍스트 입력을 비롯하여 사진, 비디오, 이모티콘(스티커) 등 모든 입력이 불가하도록 대화방(500) 내의 입력 도구에 비활성 윈도우(510)를 오버레이할 수 있다. 대화방(500)에 잠금 설정이 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잠금 해제 요청에 따라, 예를 들어 비활성 윈도우(510)를 일정 시간 롱 터치하는 경우 비활성 윈도우(510)가 사라지고 입력 도구의 사용을 허용한다.
다른 예로, 접근 제어부(33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대화방 별로 입력 잠금 여부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때 사용자 설정 과정에서 메신저의 대화방 중 공적 스코어가 임계값 이상인 대화방을 입력 잠금 설정을 위한 대화방으로 추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접근 제어부(33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적 스코어가 임계값 이상인 대화방(500)에 진입하는 경우 해당 대화방(500) 내의 입력 도구에 비활성 윈도우(510)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함과 동시에 공적인 관계임을 나타내는 문구와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안내 정보(611)를 비활성 윈도우(510)에 표시할 수 있다. 대화방(500)의 비활성 윈도우(510)에 안내 정보(611)를 추가함으로써 공적인 관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안내 정보(611)는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문구나 이미지로 설정될 수 있으며, 공적 스코어가 임계값 이상인 대화방 전체에 일괄 설정되거나 혹은 대화방마다 개별 설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공적 스코어를 기준으로 대화방의 등급이 구분될 수 있으며, 이때 안내 정보(611)가 등급 별로 설정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 접근 제어부(330)는 대화방의 공적 스코어를 기준으로 공적 스코어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해당 대화방에 입력된 문구를 강조 표시하거나 해당 문구를 자동 교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접근 제어부(330)는 공적 스코어가 임계값 이상인 대화방(500)의 대화 입력창에 텍스트가 입력될 때 입력된 텍스트에 약어, 비속어, 은어, 방언, 유행어 등의 비표준어나 맞춤법이 틀린 문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문구에 하이라이트 요소(예컨대, 빨간 밑줄 등)(720)를 적용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 요소 이외에 전송 버튼을 기존과 다른 색상이나 이미지로 교체하거나, 혹은 전송 버튼 입력 시 텍스트 전송 이전에 문구 재확인을 요청하는 팝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접근 제어부(330)는 대화방(500)에 포함된 대화 상대의 이름이 대화 입력창에 입력되는 경우 이름 뒤나 앞에 존칭어(예를 들어, '님', '씨', 'Mr.', 'Ms.' 등)을 자동으로 추가하여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접근 제어부(330)는 대화방(500)의 대화 입력창에 멘션(mention) 기능을 이용하여 호칭을 입력한 경우 해당 호칭의 대화 상대가 대화방(500)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존재하지 않을 때 해당 호칭에 하이라이트 요소를 적용하거나, 전송 버튼을 기존과 다른 색상이나 이미지로 교체하거나, 혹은 전송 버튼 입력 시 전송 이전에 호칭 재확인을 요청하는 팝업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접근 제어부(330)는 대화방의 공적 스코어를 기준으로 공적 스코어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해당 대화방을 통해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해 알림(Notice)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접근 제어부(330)는 공적 스코어가 임계값 이상인 대화방을 통해 사진, 동영상, 텍스트(클립보드), URL 등을 공유하고자 할 때 경고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접근 제어부(330)는 공적 스코어가 임계값 이상인 대화방을 통해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 해당 대화방의 핵심 주제와 연관성이 낮은 경우 경고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RL의 웹 페이지 내용을 프리페칭하여 타이틀과 리드(lead) 등을 획득한 후 대화방의 핵심 주제와 비교하여 연관성이 떨어질 때 재확인을 요청하는 팝업을 제공할 수 있다. 문서나 스크린 샷만 존재하는 대화방에 물놀이 사진이나 음식 사진 등을 공유하는 경우, 업무 관련 내용이 주요한 주제인 대화방에 여행 정보 URL 혹은 여행 후기 텍스트가 담긴 클립보드를 공유하는 경우 등 대화방의 기존 대화 주제와 연관성이 떨어지는 주제의 컨텐츠에 대해 팝업을 통해 재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접근 제어부(330)는 대화방을 통해 해당 대화방의 공적 스코어에 따라 의사 표현용 컨텐츠를 추천할 수 있다. 의사 표현용 컨텐츠는 사용자의 기분이나 생각 등의 의사를 표현하기 위해 이용되는 상형 문자로, 예를 들어 이모티콘, 스티커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으며 공적 스코어에 대한 등급이 부여될 수 있다. 이때, 접근 제어부(330)는 대화방마다 대화방의 공적 스코어에 대응되는 등급의 이모티콘이나 스티커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대화방의 공적 스코어에 따라서 사용자가 우선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의사 표현용 컨텐츠의 집합을 설정해 놓을 수 있고, 실제 대화방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집합을 우선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배치 및 추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접근 제어부(330)는 대화 상대의 공적 스코어를 기준으로 대화 상대 목록에서 관계에 따른 대화 상대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접근 제어부(330)는 대화 상대 목록을 대화 상대의 공적 스코어를 기준으로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접근 제어부(330)는 공적 스코어가 임계값 이상인 대화 상대를 공적인 대화 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고, 공적 스코어가 임계값 미만인 대화 상대를 사적인 대화 그룹으로 생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공적 스코어를 기준으로 대화 상대의 등급이 구분될 수 있으며, 이때 대화 상대의 등급 별로 대화 상대 그룹을 생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 접근 제어부(330)는 대화방 전환 시 현재 대화방과 이전 대화방 간의 공적 스코어의 변화가 일정 레벨 이상인 경우 대화방 전환 이벤트를 발생하여 현재 대화방 상에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사적인 관계의 대화방에서 공적인 관계의 대화방으로 전환 시 실수가 많이 발생하므로 대화방 전환 모니터링으로서 대화방의 공적 스코어 레벨이 크게 달라졌을 때를 감지할 수 있다. 접근 제어부(330)는 이전 대화방의 공적 스코어(Scoreprevious)와 현재 대화방의 공적 스코어(Scorecurrent)를 비교하여
Figure 112018073000339-pat00007
(여기서, Scoremin는 대화방 중 가장 작은 공적 스코어, Scoremax는 대화방 중 가장 큰 공적 스코어, α는 0에서 1사이의 값으로 변화 민감도를 나타내는 설정 값)일 때를 감지하여 대화방 전환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공적 스코어가 임계값 미만인 사적인 대화방(800)을 이용하다가 대화방 목록(801)에서 다른 대화방(500)을 선택하여 진입하는 시점에 현재 진입한 대화방(500)과 이전 대화방(800) 간의 공적 스코어의 변화가 일정 레벨 이상일 때 현재 진입한 대화방(500)에 공적인 대화방으로의 진입을 알리는 경고창(830)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접근 제어부(330)는 대화방의 공적 스코어를 기준으로 공적 스코어에 따라 대화방의 디스플레이 요소를 다르게 적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적 스코어가 임계값 이상인 대화방(500)과 공적 스코어가 임계값 미만인 대화방(800)의 테두리 색(940)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대화방(500)(800)의 테두리 색을 공적 스코어가 낮을수록 배경색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으로 설정하는 반면에, 공적 스코어가 높을수록 배경색의 보색으로 설정할 수 있다. 대화방(500)(800) 간의 이동 시 공적 스코어에 따라 다르게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요소를 통해 현재 대화방의 공적 정도를 자연스럽고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접근 제어부(330)는 대화방 목록을 대화방의 공적 스코어를 기준으로 정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접근 제어부(330)는 공적 스코어에 따라 대화방 목록을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접근 제어부(330)는 공적 스코어를 기준으로 복수 개의 등급(예컨대, 높음, 중간, 낮음)으로 나누어 등급 별로 대화방 목록을 그룹핑하여 보여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접근 제어부(330)는 대화방 목록에서 각 대화방을 나타내는 항목의 디스플레이 요소를 대화방의 공적 스코어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면 대화방 목록(1050)에서 대화방의 공적 스코어가 높을수록 해당 항목의 배경색을 진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대화방 목록(1050)에서 공적 스코어가 임계값 이상인 대화방에 대해 해당 항목의 배경색을 다른 대화방과 다르게 표시하거나, 혹은 공적 스코어가 임계값 이상인 대화방의 항목에 별도의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접근 제어부(330)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진, 동영상, 링크 등의 컨텐츠를 메신저로 공유하고자 할 때 공유 대상 목록에 포함된 대화 상대나 대화방을 공적 스코어에 따라 다른 공유 대상과 다르게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컨텐츠 공유를 위한 공유 대상 목록(1100)이 표시되는 경우 공유 대상 목록(1100)에 포함된 메신저의 대화 상대나 대화방 중 공적 스코어가 임계값 이상인 대화 상대나 대화방의 항목을 다른 색으로 강조하여 표시하거나 별도의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대화방의 공적 스코어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적 스코어에 따라 대화 상대나 대화방의 등급을 구분하여 등급 별로 차등적인 방식으로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대화 내용을 분석하여 대화 상대와 대화방 각각에 대한 공적 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공적 정도에 따라 메신저의 대화방 리스트 정렬이나 표시, 대화방의 입력 잠금, 화면 표시, 알림 표시, 전송 문구 교정, 컨텐츠 추천 등 대화방에 대한 사용자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 개의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어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대화방 별로 대화 내용을 분석하여, 경어 사용에 따른 대화방 별 공적 정도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대화방 별 공적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대화방에 대한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각 대화방은 복수의 대화 상대들을 포함하고,
    상기 대화방 별 공적 정도를 파악하는 단계는,
    대화방 별로 상기 각 대화방에 포함된 복수의 대화 상대들 각각의 대화 내용으로부터 파악된 공적 정도를 이용하여 상기 각 대화방에 대한 공적 정도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대화방에 대한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각 대화방에 대해 산출된 공적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각 대화방에 대한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각 대화방에 포함된 대화 내용에서 존칭 어미 또는 존칭 명사를 경어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각 대화방에 포함된 대화 내용에서 추출된 경어의 빈도와 문장 내 중요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경어의 빈도와 문장 내 중요도를 이용하여 상기 각 대화방에 대한 공적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악하는 단계는,
    경어 말뭉치를 포함하는 사전 데이터베이스 또는 경어 표현으로 작성된 문서들을 대상으로 한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각 대화방에 포함된 대화 내용에서 경어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적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각 대화방에 포함된 대화 내용에 포함된 문장의 평균 길이, 비표준어의 사용 빈도, 문장 구조의 완결성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이용하여 상기 공적 스코어를 산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적 스코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각 대화방에 포함된 대화 상대가 속한 연락처 그룹 이름, 상기 대화 상대와의 근거리 통신, 상기 대화 상대와 공유하는 컨텐츠에 대해 부여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상기 공적 스코어를 산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대화 상대 별로 대화 내용을 분석하여, 경어 사용에 따른 대화 상대 별 공적 정도를 파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화 상대 별 공적 정도를 파악하는 단계는,
    대화 내용이 없는 대화 상대의 경우 서비스 내에 형성된 사람들 간의 소셜 그래프를 획득하여 상기 소셜 그래프의 관계 분석을 통해 해당 대화 상대의 공적 정도를 예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등록된 대화 상대 별로 대화 내용을 분석하여, 경어 사용에 따른 대화 상대 별 공적 정도를 파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 대화방에 대한 공적 정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각 대화방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대화 상대들의 각각에 대해 파악된 공적 정도를 이용하여 상기 각 대화방에 대한 공적 정도를 산출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대화 상대 별로 전체 대화 수와 대화 빈도율을 이용하여, 상기 대화 상대 별 공적 정도에 대한 신뢰도를 계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 대화방에 대한 공적 정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각 대화방에 포함된 대화 상대 중 상기 신뢰도가 임계값 이상인 대화 상대의 공적 정도를 이용하거나, 상기 각 대화방에 포함된 대화 상대의 공적 정도에 대해 상기 계산된 신뢰도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각 대화방에 대한 공적 정도를 산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상대 별 공적 정도를 기준으로 대화 상대 목록을 정렬하거나 대화 상대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대화방에 대한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각 대화방에 대해 산출된 공적 정도에 따라 상기 각 대화방의 입력 도구를 비활성화시키는 잠금을 자동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대화방에 대한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각 대화방에 대해 산출된 공적 정도에 따라 상기 각 대화방의 입력 도구에 상기 입력 도구를 비활성화시키는 비활성 윈도우를 오버레이하고, 상기 비활성 윈도우에 공적인 관계에 대한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대화방에 대한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각 대화방에 대해 산출된 공적 정도에 따라 상기 각 대화방에 입력된 문구를 강조 표시하거나 자동 교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대화방에 대한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각 대화방에 대해 산출된 공적 정도에 따라 상기 각 대화방을 통해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해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대화방에 대한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각 대화방을 통해 상기 각 대화방에 대해 산출된 공적 정도에 대응되는 이모티콘이나 스티커를 추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대화방에 대한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단계는,
    대화방 전환 시 이전 대화방에 대해 산출된 공적 정도와 현재 대화방에 대해 산출된 공적 정도를 비교하여 공적 정도의 차이가 일정 레벨 이상이면 상기 현재 대화방에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대화방에 대한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각 대화방에 대해 산출된 공적 정도에 따라 상기 각 대화방의 디스플레이 요소를 다르게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대화방에 대한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각 대화방에 대해 산출된 공적 정도를 기준으로 대화방 목록을 정렬하거나 대화방을 그룹핑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대화방에 대한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단계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컨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연관하여 표시되는 공유 대상 목록에 포함된 대화방을 상기 각 대화방에 대해 산출된 공적 정도에 따라 다른 공유 대상과 구분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각 대화방에 포함된 대화 내용을 분석하여 상기 각 대화방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핵심 주제를 추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 대화방에 대한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각 대화방을 통해 공유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분석하여 상기 각 대화방의 핵심 주제와의 연관성에 따라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0.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대화방 별로 대화 내용을 분석하여, 경어 사용에 따른 대화방 별 공적 정도를 파악하는 공적 정도 파악부
    를 포함하고,
    상기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각 대화방은 복수의 대화 상대들을 포함하고,
    상기 공적 정도 파악부는 대화방 별로 상기 각 대화방에 포함된 복수의 대화 상대들 각각의 대화 내용으로부터 파악된 공적 정도를 이용하여 상기 각 대화방에 대한 공적 정도를 산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각 대화방에 대해 산출된 공적 정도에 기초하여, 상기 각 대화방에 대한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접근 제어부
    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
KR1020180085827A 2018-07-24 2018-07-24 어플리케이션의 내용 분석을 통해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43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827A KR102243536B1 (ko) 2018-07-24 2018-07-24 어플리케이션의 내용 분석을 통해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6/460,041 US11811711B2 (en) 2018-07-24 2019-07-02 Method, apparatus,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ntrolling user access through content analysis of an application
JP2019132624A JP2020017275A (ja) 2018-07-24 2019-07-18 アプリケーションの内容分析を利用してユーザアクセス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201910663693.5A CN110852081A (zh) 2018-07-24 2019-07-23 通过应用程序的内容分析来控制用户访问的方法及系统
KR1020210050006A KR102378565B1 (ko) 2018-07-24 2021-04-16 어플리케이션의 내용 분석을 통해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8/467,918 US20240007424A1 (en) 2018-07-24 2023-09-15 Method, apparatus,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ntrolling user access through content analysis of an appl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827A KR102243536B1 (ko) 2018-07-24 2018-07-24 어플리케이션의 내용 분석을 통해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006A Division KR102378565B1 (ko) 2018-07-24 2021-04-16 어플리케이션의 내용 분석을 통해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123A KR20200011123A (ko) 2020-02-03
KR102243536B1 true KR102243536B1 (ko) 2021-04-23

Family

ID=69178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827A KR102243536B1 (ko) 2018-07-24 2018-07-24 어플리케이션의 내용 분석을 통해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1811711B2 (ko)
JP (1) JP2020017275A (ko)
KR (1) KR102243536B1 (ko)
CN (1) CN1108520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9103A (ko) * 2020-09-21 2022-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D972580S1 (en) * 2020-10-07 2022-12-13 LINE Plus Corporation Display panel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044218B1 (en) * 2020-10-23 2021-06-22 Slack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acting to messages
US11489793B2 (en) * 2020-11-22 2022-1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sponse qualification monitoring in real-time chats
KR20220102249A (ko) * 2021-01-13 2022-07-20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사용자 계정의 콘텐츠 관리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157792A (ko) * 2021-05-21 2022-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20160913A (ko) * 2021-05-28 2022-12-0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유사 대화방 표시 방법, 대화방 그룹 표시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
US11856145B2 (en) 2021-12-17 2023-12-26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managing breakout sessions for a conference session
US11601480B1 (en) * 2021-12-17 2023-03-07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managing breakout sessions for a conference session
US11824953B1 (en) * 2022-06-23 2023-11-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xtended status indicators for mobile device interactions
KR20240039697A (ko) * 2022-09-20 2024-03-27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819B1 (ko) * 2016-10-04 2016-12-08 어흥수 존댓말/반말 자동 변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4304A (ko) 2001-03-20 2002-09-30 엘지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모바일 메신저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8726169B2 (en) * 2006-09-05 2014-05-13 Circleup, Inc. Online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social search and structured communications among social networks
US7720853B1 (en) * 2006-12-19 2010-05-18 Imdb.Com, Inc. Flexible rule-based infrastructure for discussion board maintenance
GB0710845D0 (en) * 2007-06-06 2007-07-18 Crisp Thinking Ltd Communication system
US8539359B2 (en) * 2009-02-11 2013-09-17 Jeffrey A. Rapaport Social network driven indexing system for instantly clustering people with concurrent focus on same topic into on-topic chat rooms and/or for generating on-topic search results tailored to user preferences regarding topic
US20110258656A1 (en) * 2010-04-19 2011-10-20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elevision application channel sync (TACS)
KR20140120506A (ko) 2013-04-03 2014-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및 장치
RU2670029C2 (ru) * 2014-06-03 2018-10-1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Яндекс"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модерации сообщений
KR101679348B1 (ko) * 2014-08-29 2016-11-24 주식회사 테라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733011B1 (ko) * 2015-06-18 2017-05-08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추천 정보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US20170041263A1 (en) * 2015-08-07 2017-02-09 Oded Yehuda Shekel Location-based on-demand anonymous chatroom
WO2017099483A1 (en) * 2015-12-09 2017-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customized content
US10652196B2 (en) * 2016-05-05 2020-05-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lationship change alert
KR102426435B1 (ko) * 2016-11-29 2022-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문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819B1 (ko) * 2016-10-04 2016-12-08 어흥수 존댓말/반말 자동 변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17275A (ja) 2020-01-30
CN110852081A (zh) 2020-02-28
KR20200011123A (ko) 2020-02-03
US20200036831A1 (en) 2020-01-30
US20240007424A1 (en) 2024-01-04
US11811711B2 (en) 202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3536B1 (ko) 어플리케이션의 내용 분석을 통해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0282377B2 (en) Suggested terms for ambiguous search queries
JP6942821B2 (ja) 複数のコーパスからの応答情報取得
US9959318B2 (en) Default structured search queries on online social networks
TWI678631B (zh) 利用通訊工具服務的關鍵詞檢索方法及系統
CN105183761B (zh) 敏感词替换方法和装置
CN112313680A (zh) 助理系统中手势输入的自动完成
AU2017200341B2 (en) Suggested terms for ambiguous search queries
US20210126806A1 (en) Method for recognizing and utilizing user face based on profile picture in chatroom created using group album
EP3557498A1 (en) Processing multimodal user input for assistant systems
KR102378565B1 (ko) 어플리케이션의 내용 분석을 통해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501625B1 (ko) 어플리케이션의 내용 분석을 통해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52912A (ko) 앱 사용 패턴과 대화 분석을 통한 앱 기능 바로가기 추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