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9697A -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9697A
KR20240039697A KR1020220118326A KR20220118326A KR20240039697A KR 20240039697 A KR20240039697 A KR 20240039697A KR 1020220118326 A KR1020220118326 A KR 1020220118326A KR 20220118326 A KR20220118326 A KR 20220118326A KR 20240039697 A KR20240039697 A KR 20240039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t room
messages
receiving
messag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8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희영
조현지
김경진
양어진
Original Assignee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8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9697A/ko
Priority to PCT/KR2023/012599 priority patent/WO2024063359A1/ko
Publication of KR20240039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96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12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filtering or selective b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16Handling conversation history, e.g. grouping of messages in sessions or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 또는 상기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 및 동결이 지속되는 동결 기간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을 수신한 이후 서버로부터 특정 대화방과 연관되어 생성된 하나 이상의 메시지의 수신을 중단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특정 대화방의 동결 해제 요청을 수신 또는 상기 동결 기간 설정에 대응하는 기간이 경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OF MESSAGE ASSOCIATED WITH FREEZED CHAT ROOM IN INSTANT MESSAGING SERVICE}
본 개시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대화방의 동결이 설정된 경우, 해당 대화방과 연관되어 수신된 메시지의 출력 또는 알림을 차단하고, 해당 대화방의 동결이 해제된 경우, 동결된 기간에 수신된 메시지 또는 요약 텍스트를 출력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의 확산 및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이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 모바일 기기를 통해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와 대화방을 통해 다양한 메시지 및 컨텐츠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는 복수의 대화방에 참여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대화방에 참여하여 동시에 또는 짧은 기간 내에 다양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으나, 수신된 메시지들이 모두 해당 사용자가 신속히 확인해야 하는 중요한 내용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현재 업무 등으로 바쁜 경우, 친구와 함께 참여하는 대화방에서 가볍게 주고받는 메시지보다 현재 업무와 연관된 대화방에서 수신하는 메시지가 더 시급하게 확인될 필요가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휴가를 즐기는 중에 업무와 연관된 대화방에서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해당 대화방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여 읽는 것은 사용자의 휴식에 방해가 되거나 부담이 될 수 있다.
한편,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대화방에서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알림을 해제하더라도, 대화방 리스트 인터페이스에서 해당 대화방의 최신 신규 메시지의 일부 내용이나 신규 메시지의 개수가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해당 대화방의 메시지 전문을 확인하게 되어, 현재 실행해야 하는 다른 중요한 일에 집중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 및 장치(시스템)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방법, 장치(시스템) 또는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을 수신한 이후 서버로부터 특정 대화방과 연관되어 생성된 하나 이상의 메시지의 수신을 중단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특정 대화방의 동결 해제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특정 대화방의 테마 배경을 대화방의 동결을 나타내는 테마 배경 또는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대화방 리스트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특정 대화방의 표시를 시인 가능한 형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특정 대화방의 동결 해제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특정 대화방의 테마 배경을 기존에 사용자가 설정한 테마 배경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대화방 리스트 인터페이스에서 특정 대화방의 영역을 대화방의 동결을 나타내는 영역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특정 대화방에서 사용자의 메시지 입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특정 대화방 내의 메시지의 출력이 중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특정 대화방 내의 메시지 수신을 나타내는 알림의 출력이 중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특정 대화방의 동결 해제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와 연관된 요약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메시지와 연관된 요약 텍스트는, 인공신경망 기반의 모델에 의해 하나 이상의 메시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하나 이상의 요약 문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요약 텍스트는 사용자의 이름이 포함된 메시지로부터 우선적으로 추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메시지와 연관된 요약 텍스트는, 인공신경망 기반의 모델에 의해 하나 이상의 메시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하나 이상의 메시지와 연관된 요약 텍스트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요약 텍스트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가 생성된 순서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가 생성된 순서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메시지의 출력 속도 조절과 연관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메시지의 출력 속도에 따라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가 생성된 순서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메시지의 출력 중단과 연관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하나 이상의 메시지의 출력 또는 제거를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가 생성된 시간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메시지의 출력과 연관된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가 생성된 시간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메시지의 출력 되감기와 연관된 제4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4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가장 최근에 출력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순차적으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은, 하나 이상의 메시지 중 출력되지 않은 메시지의 개수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컨텐츠 인덱싱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컨텐츠 인덱싱하는 장치는, 통신 모듈, 메모리, 디스플레이 및 메모리와 연결되고,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사용자로부터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을 수신하고,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을 수신한 이후 서버로부터 특정 대화방과 연관되어 생성된 하나 이상의 메시지의 수신을 중단하고, 사용자로부터 특정 대화방의 동결 해제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서버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대화방을 동결하여 메시지 출력 및/또는 메시지 수신 알림의 출력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의 업무 또는 휴가에 집중할 수 있다. 또한, 동결된 대화방에서 수신된 메시지는 유실되지 않고 별도의 저장소 또는 서버에 저장되었다가, 대화방 동결이 해제된 경우 디스플레이 상에 순차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대화방 동결과 동결 해제를 설정하여 메시지의 출력을 자유롭게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특정 대화방을 동결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호 사항 또는 우선 순위에 따라 특정 대화방의 메시지 수신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가 중인 경우, 업무와 연관된 대화방을 동결함으로써 사용자는 업무와 휴가를 분리하여 온전히 휴가를 즐길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가 선순위의 업무를 진행하는 경우, 후순위의 업무와 연관된 대화방을 동결함으로써 사용자는 선순위의 업무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동결이 해제된 대화방의 메시지 내용에 대한 요약 텍스트를 제공받음으로써, 해당 대화방의 동결 기간 동안에 수신된 수많은 메시지를 모두 일일이 확인하지 않고도, 대화의 흐름 및 대화의 내용을 전반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요약 텍스트가 해당 대화방에서 수신된 메세지들 중에서 사용자의 이름이 포함된 메시지로부터 우선적으로 추출되므로, 사용자가 중요한 대화 내용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동결이 해제된 대화방과 연관된 메시지의 출력을 제어함에 따라, 사용자는 메시지의 내용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대화방 동결 상태에서 이루어진 대화의 흐름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통상의 기술자"라 함)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대화방을 동결하고, 대화방 동결을 해제한 경우 메시지가 출력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4)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에서 대화방이 동결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에서 대화방의 동결을 해제하고, 대화방에 수신된 메시지와 연관된 요약 텍스트가 출력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결이 해제된 대화방에서 사용자가 메시지 출력을 제어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900)의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하 설명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또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 또는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 또는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또는 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은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 또는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 또는 '부'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 '프로세서'는 주문형 반도체(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프로세서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본 개시에서, '시스템'은 서버 장치와 클라우드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클라우드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시스템은 서버 장치와 클라우드 장치가 함께 구성되어 동작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디스플레이'는 컴퓨팅 장치와 연관된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칭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제어되거나 컴퓨팅 장치로부터 제공된 임의의 정보/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복수의 A의 각각' 또는 '복수의 A 각각'은 복수의 A에 포함된 모든 구성 요소의 각각을 지칭하거나, 복수의 A에 포함된 일부 구성 요소의 각각을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대화방'은, 컴퓨팅 장치에 설치된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또는 사용자 계정)가 참여할 수 있는 가상의 공간 또는 그룹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사용자 계정이 대화방에 참여 또는 연관되어 다양한 형태의 메시지, 파일 등을 서로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대화방에서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통화 또는 VoIP 그룹 통화 기능을 지원하여 사용자 계정 간의 음성 통화 및/또는 영상 통화가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대화방 동결'은, 해당 대화방의 메시지의 출력 또는 메시지가 수신됨을 나타내는 알림을 차단하면서 수신된 메시지의 유실을 방지하는 것을 지칭할 수 있다. 따라서, 대화방 동결을 해제하는 경우, 대화방 동결 상태에서 수신된 메시지는 대화방 인터페이스에서 재생 또는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대화방 동결 상태의 경우,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대화방 리스트 인터페이스에서 동결된 대화방의 메시지 수신 알림 또는 읽지 않은 메시지 수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대화방을 동결하고, 대화방 동결을 해제한 경우 메시지가 출력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에서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된 다양한 종류의 대화방에서 다른 사용자와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은 대화방에서 수신되는 신규 메시지(또는 신규 메시지와 연관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신규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대화방 리스트 인터페이스에서 신규 메시지가 포함된 대화방에 신규 메시지의 수 및/또는 최신 신규 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신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은 신규 메시지의 수신을 알리는 푸시 알림 형태로 신규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인스턴트 메시징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에 신규 메시지의 수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신규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신규 메시지가 포함된 대화방 내에 진입한 경우, 또는 사용자가 신규 메시지 수신 전에 해당 대화방에 진입해 있었던 경우, 해당 대화방 내에서 신규 메시지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신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110)은 신규 메시지가 수신된 대화방 순서에 따라 대화방 리스트 인터페이스 상에서 대화방들을 정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대화방을 동결할 수 있다. 제1 동작(120)은 동결된 대화방을 나타내는 예시이다. 대화방이 동결되는 경우, 해당 대화방 내의 신규 메시지 출력은 중단될 수 있다. 또한, 신규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 수신 알림의 출력도 중단될 수 있다. 이 경우, 동결된 대화방과 연관된 신규 메시지는 유실되지 않고 별도의 저장소 또는 서버에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동결된 대화방에서 사용자의 신규 메시지 입력이 차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결된 대화방의 테마 배경은 대화방의 동결을 나타내는 테마 배경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결된 대화방의 테마 배경은 해당 대화방이 비활성화되었음을 나타내는 회색톤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대화방 리스트 인터페이스에서 동결된 대화방 영역도 대화방의 동결 또는 비활성화를 나타내기 위해 회색톤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대화방 리스트 인터페이스에서 동결된 대화방의 표시가 시인 가능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변경된 테마 배경 또는 대화방 리스트 상의 동결된 대화방의 표시 변경을 통해 해당 대화방이 동결되었음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대화방 동결을 해제할 수 있다. 제2 동작(130)은 대화방 동결이 해제된 이후의 대화방을 나타내는 예시이다. 예를 들어, 동결된 대화방이 해제되는 경우, 대화방의 테마 배경은 기존에 사용자가 설정한 테마 배경으로 복구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대화방 리스트 상의 동결된 대화방의 표시가 동결 해제되었음을 나타내는 시인 가능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대화방이 동결된 상태에서 수신된 메시지(132)는 서버로부터 수신되어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 상에 순차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아직 출력되지 않은 메시지의 개수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화방 동결이 해제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10)은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132)와 연관된 요약 텍스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요약 텍스트는 인공신경망 기반의 모델에 의해 동결된 대화방에서 수신된 메시지(132)에 기초하여 생성된 하나 이상의 요약 문장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요약 텍스트는, 인공신경망 기반의 모델에 의해 동결된 대화방에서 수신된 메시지(132)에 기초하여 생성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요약 텍스트가 출력되는 예시는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의 디스플레이 상에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메시지(132)의 출력 방식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대화방의 상단에 표시된 출력 컨트롤러 또는 메뉴를 이용하여 메시지 출력 시작, 메시지 출력 정지, 메시지 출력 되감기, 메시지 출력 속도 조절 등의 기능을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출력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메시지(132)의 출력을 제어하는 예시는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된다.
이상 설명된 방식에 따라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대화방을 동결하여 메시지 출력 및/또는 메시지 수신 알림의 출력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의 업무 또는 휴가에 집중할 수 있다. 또한, 동결된 대화방에서 수신된 메시지는 유실되지 않고 별도의 저장소 또는 서버에 저장되었다가, 대화방 동결이 해제된 경우 디스플레이 상에 순차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대화방의 동결과 동결 해제를 설정하여 메시지의 출력을 자유롭게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은 네트워크(220)를 통해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은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서비스 제공 등과 연관된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예를 들어,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저장, 제공 및 실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 및/또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기반의 하나 이상의 분산 컴퓨팅 장치 및/또는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의해 제공되는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서비스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의 각각에 설치된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저 또는 웹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로부터 수신되는 대화방 동결 및 대화방 동결 해제 요청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은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2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과 정보 처리 시스템(230)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220)는 설치 환경에 따라,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유선 홈 네트워크(Power Line Communication), 전화선 통신 장치 및 RS-serial 통신 등의 유선 네트워크, 이동통신망, WLAN(Wireless LAN), Wi-Fi, Bluetooth 및 ZigBee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22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서 휴대폰 단말(210_1), 태블릿 단말(210_2) 및 PC 단말 (210_3)이 사용자 단말의 예로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브라우저 등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는 임의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AI 스피커, 스마트폰,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셋톱 박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3개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이한 수의 사용자 단말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210)은 애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저 등이 실행 가능하고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컴퓨팅 장치를 지칭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의 휴대폰 단말(210_1), 태블릿 단말(210_2), PC 단말(210_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10)은 메모리(312), 프로세서(314), 통신 모듈(316)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메모리(332), 프로세서(334), 통신 모듈(336)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33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각각의 통신 모듈(316, 336)을 이용하여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장치(32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통해 사용자 단말(210)에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생성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312, 332)는 비-일시적인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312, 332)는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210) 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12, 332)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312, 332)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이러한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직접 연결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316, 336)을 통해 메모리(312, 332)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메모리(312, 332)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314, 334)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312, 332) 또는 통신 모듈(316, 336)에 의해 프로세서(314, 334)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4, 334)는 메모리(312, 332)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316, 336)은 네트워크(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10)과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서로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10) 및/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다른 사용자 단말 또는 다른 시스템(일례로 별도의 클라우드 시스템 등)과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314)가 메모리(312) 등과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 또는 데이터(예를 들어, 대화방 동결 요청 등)는 통신 모듈(316)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프로세서(334)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이 통신 모듈(336)과 네트워크(220)를 거쳐 사용자 단말(210)의 통신 모듈(316)을 통해 사용자 단말(210)에 수신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는 입출력 장치(32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입력 장치는 오디오 센서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키보드, 마이크로폰,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는 터치스크린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314)가 메모리(312)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나 다른 사용자 단말이 제공하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 등이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입출력 장치(320)가 사용자 단말(210)에 포함되지 않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210)과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338)는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연결되거나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포함할 수 있는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 338)가 프로세서(314, 334)와 별도로 구성된 요소로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입출력 인터페이스(318, 338)가 프로세서(314, 334)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도 3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10)은 상술된 입출력 장치(32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10)은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0)이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마이크 모듈,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사용자 단말(2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프로그램이 동작되는 동안에, 프로세서(31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와 연결된 터치 스크린, 키보드, 오디오 센서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마이크로폰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되거나 선택된 텍스트, 이미지, 영상, 음성 및/또는 동작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텍스트, 이미지, 영상, 음성 및/또는 동작 등을 메모리(312)에 저장하거나 통신 모듈(316) 및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314)는 입출력 장치(320), 다른 사용자 단말, 정보 처리 시스템(230) 및/또는 복수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관리, 처리 및/또는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314)에 의해 처리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는 통신 모듈(316) 및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31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통해 입출력 장치(320)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14)는 수신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21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프로세서(334)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 및/또는 복수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관리, 처리 및/또는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334)에 의해 처리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는 통신 모듈(336) 및 네트워크(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1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314)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314)는 대화방 동결부(410), 메시지 저장부(420), 메시지 요약부(430) 및 메시지 출력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대화방 동결부(410)는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감지하여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대화방 동결부(410)는 해당 대화방을 동결하여 대화방 내의 메시지의 출력 및 메시지 수신 알림의 출력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대화방 동결부(410)는 동결된 대화방에서 사용자의 메시지 입력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화방 동결부(410)는 동결된 대화방의 테마 배경을 대화방의 동결을 나타내는 테마 배경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화방 동결부(410)는 동결된 대화방의 테마 배경을 회색톤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대화방 동결부(410)는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대화방 리스트 인터페이스에서 동결된 대화방 영역을 대화방의 동결을 나타내는 영역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화방 동결부(410)는 동결된 특정 대화방의 동결 해제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감지하여 수신할 수 있다. 동결된 특정 대화방의 동결 해제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대화방 동결부(410)는 동결된 대화방의 테마 배경을 기존에 사용자가 설정한 테마 배경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대화방의 동결이 해제된 경우, 대화방 동결부(410)는 대화방에서 사용자의 메시지 입력을 허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대화방 동결부(410)는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대화방 리스트 인터페이스에서 동결된 대화방의 표시를 시인 가능한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화방 동결부(410)는 사용자가 설정한 기간동안 대화방을 동결할 수 있다. 또한, 대화방 동결 기간이 경과한 경우, 대화방 동결부(410)는 대화방의 동결을 해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동결이 해제되는 경우, 대화방 동결부(410)는 대화방의 동결이 해제되었음을 나타내는 알림을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메시지 저장부(420)는 동결된 대화방 내의 메시지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메시지 저장부(420)는 수신된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45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된 복수의 메시지는 해당 메시지가 수신 또는 생성된 시간 순서에 따라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저장부(420)는 대화방 동결이 해제된 경우 저장된 메시지를 메시지 요약부(430) 및/또는 메시지 출력부(440)로 전송할 수 있다.
메시지 요약부(430)는 수신된 메시지에 기초하여 요약 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 요약부(430)는 인공신경망 기반의 언어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요약부(430)는 언어 모델로써 BERT(bidirectional encoder representations from transformers), 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 BART(bidirectional and auto-regressive transformers) 등과 같은 트랜스포머 기반의 인코더-디코더 또는 디코더 모델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으로, 메시지 요약부(430)는 대화방 동결이 해제된 경우, 생성된 요약 텍스트를 메시지 출력부(44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 요약부(430)는 인공신경망 기반의 모델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요약 문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결된 대화방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약속 일정을 정하는 것인 경우, 메시지 요약부(430)는 요약 텍스트로서 “약속 일정에 대해 논의됨”과 같은 요약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이름이 언급된 메시지는 사용자에게 중요할 확률이 높으므로, 요약 문장은 사용자의 이름이 포함된 메시지로부터 우선적으로 추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 요약부(430)는 인공신경망 기반의 모델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를 하나 이상의 키워드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결된 대화방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약속 일정을 정하는 것인 경우, 메시지 요약부(430)는 요약 텍스트로서 “#약속”과 같은 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이름이 언급된 메시지는 사용자에게 중요할 확률이 높으므로, 키워드는 사용자의 이름이 포함된 메시지로부터 우선적으로 추출될 수 있다.
메시지 출력부(440)는 동결된 대화방에서 대화방을 동결한 사용자를 언급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해당 사용자가 부재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자동으로 동결된 대화방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결된 대화방에서 다른 사용자가 대화방을 동결한 사용자를 멘션(mention) 기능 등을 활용하여 언급하는 경우, 메시지 출력부(440)는 대화방을 동결한 사용자는 현재 부재중이라는 내용의 자동 응답 메시지를 해당 대화방에 출력할 수 있다.
메시지 출력부(440)는 대화방 동결이 해제된 경우 메시지 저장부(42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대화방에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 출력부(440)는 메시지 요약부(430)로부터 수신한 요약 텍스트를 대화방에 출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메시지 출력부(440)는 아직 출력되지 않은 메시지의 개수를 대화방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시지 출력부(440)는 메시지의 출력 제어와 연관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메시지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메시지 출력 속도 조절과 연관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메시지 출력부(440)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메시지의 출력 속도에 따라 메시지를 대화방에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시지 출력 중단과 연관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메시지 출력부(440)는 대화방에 메시지의 출력 또는 제거를 중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시지 출력부(440)는 메시지 출력과 연관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다시 메시지를 대화방에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메시지의 출력 되감기와 연관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메시지 출력부(440)는 가장 최근에 출력된 메시지를 대화방에서 순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한 프로세서(314)의 내부 구성은 예시일 뿐이며, 일부 실시예에서는 도시한 내부 구성 외 다른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도 있으며, 일부 과정이 다른 구성 또는 외부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저장부(420) 또는 메시지 요약부(430)는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프로세서(334)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프로세서(314)의 내부 구성들을 기능별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은 내부 구성들이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510)은 정보 처리 시스템(520)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처리 시스템(520)은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와 연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510)은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에서 특정 대화방의 동결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510)은 특정 대화방을 동결할 수 있다(512). 이 경우, 해당 대화방에서 메시지 출력 및 메시지 수신 알림의 출력은 차단될 수 있다. 또한, 해당 대화방의 테마 배경은 대화방 동결을 나타내는 테마 배경으로 변경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대화방 리스트의 대화방 영역은 대화방 동결을 나타내는 영역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화방이 동결된 경우, 사용자 단말(510)은 동결된 대화방에서 수신된 메시지(514)를 정보 처리 시스템(5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동결된 대화방에서 수신된 메시지(514)는 수신된 시간 순서 또는 생성된 시간 순서에 따라 정보 처리 시스템(52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보 처리 시스템(520)은 수신된 메시지를 시간 순서에 따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510)은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에서 대화방 동결의 해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510)은 대화방의 동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대화방에서 메시지 출력 및 메시지 수신 알림 출력의 중단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해당 대화방의 테마 배경은 사용자가 기존에 설정한 테마 배경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510)은 정보 처리 시스템(520)으로부터 동결된 대화방에서 수신된 메시지와 연관된 요약 테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522). 여기서, 요약 텍스트는 동결된 대화방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인공신경망 기반의 모델에 의해 생성된 하나 이상의 요약 문장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요약 텍스트는 동결된 대화방에서 수신된 메시지에서 인공신경망 기반의 모델에 의해 생성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10)은 수신된 요약 텍스트를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510)은 정보 처리 시스템(520)으로부터 동결된 대화방에서 수신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524). 또한, 사용자 단말(510)은 메시지가 수신된 시간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 상에 수신된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510)은 디스플레이 상에 아직 출력되지 않은 메시지의 개수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510)은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에서 대화방 동결 상태에서 수신된 메시지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510)은 메시지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출력 속도 조절과 연관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510)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메시지의 출력 속도에 따라 메시지를 대화방에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시지 출력 중단과 연관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510)은 대화방에 메시지를 출력 또는 제거를 중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510)은 메시지 출력과 연관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다시 메시지를 대화방에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메시지의 출력 되감기와 연관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510)은 가장 최근에 출력된 메시지를 대화방에서 순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에서 대화방이 동결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동작(610)은 사용자가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기획팀" 대화방을 동결 상태로 전환하는 예시이다. 사용자는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대화방 리스트 인터페이스에서 동결하고자 하는 대화방 영역을 길게 터치(또는, 우클릭 등)하여 대화방 관련 메뉴에 진입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대화방 내에서 대화방 관련 메뉴에 진입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대화방 관련 메뉴 중 대화방 동결(612)을 터치 입력 등으로 선택함으로써 해당 대화방을 동결할 수 있다.
제2 동작(620)은 사용자가 "기획팀" 대화방이 동결되는 기간을 설정하는 예시이다. 사용자는 "기획팀" 대화방의 동결이 시작되는 시간 및 동결이 해제되는 시간을 터치 입력 등으로 선택함으로써, "기획팀" 대화방이 동결되는 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대화방이 동결되는 기간을 설정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동결 해제 요청을 수신할 때까지 "기획팀" 대화방이 동결될 수 있다.
제3 동작(630)은 대화방이 동결됨에 따라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대화방 리스트 인터페이스에서 "기획팀" 대화방 영역(632)이 변경되는 예시이다. 이 경우, 대화방 리스트의 "기획팀" 대화방 영역(632)은 대화방이 동결 또는 비활성화되었음을 나타내는 회색톤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대화방 리스트에서 동결된 대화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제4 동작(640)은 대화방이 동결됨에 따라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기획팀" 대화방 내의 테마 배경이 변경되는 예시이다. 이 경우, "기획팀" 대화방의 테마 배경은 대화방이 동결 또는 비활성화되었음을 나타내는 회색톤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기획팀" 대화방이 동결되었음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획팀" 대화방이 동결됨에 따라, "기획팀" 대화방 내에 수신되는 메시지의 출력 및 메시지 수신 알림의 출력은 중단될 수 있다. 이 경우, "기획팀" 대화방과 연관된 신규 메시지의 수 및 최신 신규 메시지의 내용은 대화방 리스트 인터페이스에 표시가 중단될 수 있다. 또한, "기획팀" 대화방 내의 신규 메시지 출력은 중단될 수 있다. 이 경우, "기획팀" 대화방의 신규 메시지는 유실되지 않고, 별도의 저장소 또는 서버에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기획팀" 대화방 내에서 사용자의 메시지 입력이 차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결된 "기획팀" 대화방에서 대화방을 동결한 사용자를 언급하는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해당 사용자가 부재중임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자동으로 동결된 "기획팀" 대화방에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결된 "기획팀" 대화방에서 다른 사용자가 대화방을 동결한 사용자를 멘션(mention) 기능(예를 들어, “@사용자이름”) 등을 활용하여 언급하는 경우, 대화방을 동결한 사용자는 현재 부재중이라는 내용의 자동 응답 메시지가 대화방에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특정 대화방을 동결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호 사항 또는 우선 순위에 따라 특정 대화방의 메시지 수신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휴가 중인 경우, 업무와 연관된 대화방을 동결함으로써 사용자는 업무와 휴가를 분리하여 온전히 휴가를 즐길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사용자가 선순위의 업무를 진행하는 경우, 후순위의 업무와 연관된 대화방을 동결함으로써 사용자는 선순위의 업무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에서 대화방의 동결을 해제하고, 대화방에 수신된 메시지와 연관된 요약 텍스트가 출력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동작(710)은 사용자가 동결된 "기획팀" 대화방의 동결 상태를 해제하는 예시이다. 사용자는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대화방 리스트 인터페이스에서 동결을 해제하고자 하는 대화방 영역을 길게 터치(또는, 우클릭 등)하여 대화방 관련 메뉴에 진입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대화방 내에서 대화방 관련 메뉴에 진입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대화방 관련 메뉴 중 대화방 동결 해제(712)를 터치 입력 등으로 선택함으로써 해당 대화방 동결을 해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가 "기획팀" 대화방의 동결 기간을 설정한 경우, 동결 기간 설정에 대응하는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기획팀" 대화방의 동결이 자동으로 해제될 수 있다.
제2 동작(720)은 "기획팀" 대화방의 동결이 해제된 경우 알림이 출력되는 예시이다. 여기서, "기획팀" 대화방의 동결 해제 알림은 디스플레이 상에 팝업(pop-up)되어 출력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기획팀" 대화방의 동결 해제 알림은 배너 형태로 디스플레이 상단에 출력될 수 있다.제3 동작(730)은 동결된 "기획팀" 대화방의 동결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동결 상태에서 수신된 메시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요약 문장(732)이 출력되는 예시이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요약 문장(732)은 인공신경망 기반의 모델에 의해 대화방이 동결된 상태에서 수신된 메시지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결된 “기획팀” 대화방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팝업 스토어 행사를 준비하는 것과 연관된 경우, “팝업 스토어 행사 준비에 대해서 논의됨”과 같은 요약 문장(732)이 인공신경망 기반의 모델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이름이 포함된 메시지는 사용자에게 중요할 확률이 높으므로, 요약 문장(732)은 사용자의 이름이 포함된 메시지로부터 우선적으로 추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생성된 요약 문장(732)은 디스플레이 상에 팝업(pop-up)되어 출력될 수 있다.
제4 동작(740)은 동결된 "기획팀" 대화방의 동결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동결 상태에서 수신된 메시지에 기초하여 키워드(742)가 출력되는 예시이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키워드(742)는 인공신경망 기반의 모델에 의해 대화방이 동결된 상태에서 수신된 메시지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결된 “기획팀” 대화방에서 수신된 메시지가 팝업 스토어 행사를 준비하는 것과 연관된 경우, “#팝업 스토어”, “예산서” 등과 같은 키워드(742)가 인공신경망 기반의 모델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이름이 언급된 메시지는 사용자에게 중요할 확률이 높으므로, 키워드(742)는 사용자의 이름이 포함된 메시지에 우선적으로 추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생성된 키워드(742)는 디스플레이 상에 팝업되어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동결이 해제된 대화방의 메시지 내용에 대한 요약 텍스트를 제공받음으로써, 해당 대화방의 동결 기간 동안에 수신된 수많은 메시지를 모두 일일이 확인하지 않고도, 대화의 흐름 및 대화의 내용을 전반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요약 텍스트가 해당 대화방에서 수신된 메세지들 중에서 사용자의 이름이 포함된 메시지로부터 우선적으로 추출되므로, 사용자가 중요한 대화 내용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결이 해제된 대화방에서 사용자가 메시지 출력을 제어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결된 대화방이 해제되는 경우, 대화방이 동결된 상태에서 수신된 메시지(812)가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1 동작(810), 제2 동작(820) 및 제3 동작(830)과 같이 메시지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동작(810)은 "기획팀" 대화방의 동결이 해제됨에 따라, 동결된 "기획팀" 대화방에서 수신된 메시지(812)가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되는 예시이다. 동결된 "기획팀" 대화방에서 수신된 메시지(812)는 신규 메시지와 같이 순차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812)는 사용자가 지정한 메시지 출력의 시간 간격(예를 들어, 3초)에 따라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아직 출력되지 않은 메시지의 개수(814)가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력되는 메시지를 제어하기 위한 출력 컨트롤러(816)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 컨트롤러(816)에서 메시지의 출력 속도 조절 버튼(818)을 터치 입력 등으로 선택함으로써 메시지의 출력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현재 메시지 출력 속도의 배수(예를 들어, 1.5배)를 설정하여 메시지의 출력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메시지가 출력되는 시간 간격(예를 들어, 2초)을 설정하여 메시지의 출력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동작(820)은 동결이 해제된 "기획팀" 대화방에서 메시지의 출력을 중단하는 예시이다. 빠르게 출력되는 메시지들에 포함된 중요한 메시지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는 출력 컨트롤러에서 메시지 출력 중단 버튼(822)을 터치 입력 등으로 선택함으로써 메시지의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이 경우, "기획팀" 대화방에서 메시지 출력이 중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출력 컨트롤러에서 메시지 출력 버튼(824)을 터치 입력 등으로 선택함으로써, 메시지는 다시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될 수 있다.
제3 동작(830)은 동결이 해제된 "기획팀" 대화방에서 메시지 출력을 되감기하는 예시이다. 여기서, 메시지 출력 되감기는 것은 가장 최근에 출력된 메시지를 대화방에서 순차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지칭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 컨트롤러에서 메시지의 출력 되감기 버튼(832)을 터치 입력 등으로 선택함으로써 메시지의 출력을 되감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획팀" 대화방에서 가장 최근에 출력된 메시지가 “L 빌딩 괜찮을까요?”인 경우, 메시지의 출력 되감기와 연관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해당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상에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출력 컨트롤러에서 메시지 출력 중단 버튼(822)을 터치 입력 등으로 선택함으로써 메시지의 출력 되감기를 중단할 수 있다.
제4 동작(840)은 출력되는 메시지를 제어하기 위한 출력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다른 예시이다. 사용자는 스크롤바(842)를 이용하여 메시지의 출력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메시지의 출력 속도 게이지를 나타내는 스크롤바(842)를 슬라이드하여 메시지의 출력 속도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크롤바(842)를 디스플레이 상의 하단으로 내리는 경우, 메시지의 출력 속도는 느려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스크롤바(842)를 디스플레이 상의 상단으로 올리는 경우, 메시지의 출력 속도는 빨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동결이 해제된 대화방과 연관된 메시지의 출력을 제어함에 따라, 사용자는 메시지의 내용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대화방 동결 상태에서 이루어진 대화의 흐름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900)의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900)은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900)은 사용자로부터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을 수신 또는 상기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 및 동결이 지속되는 동결 기간을 설정하는 것으로 개시될 수 있다(S910).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프로세서는 특정 대화방의 테마 배경을 대화방의 동결을 나타내는 테마 배경으로 변경 또는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대화방 리스트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특정 대화방의 표시를 시인 가능한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프로세서는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대화방 리스트 인터페이스에서 특정 대화방의 영역을 대화방의 동결을 나타내는 영역으로 변경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서는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특정 대화방에서 사용자의 메시지 입력을 차단할 수 있다.
그 후,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을 수신한 이후 서버로부터 특정 대화방과 연관되어 생성된 하나 이상의 메시지의 수신을 중단할 수 있다(S920). 이 경우,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특정 대화방 내의 메시지의 출력이 중단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특정 대화방 내의 메시지 수신을 나타내는 알림의 출력이 중단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특정 대화방의 동결 해제 요청을 수신 또는 상기 동결 기간 설정에 대응하는 기간이 경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930). 또한, 특정 대화방의 동결 해제 요청을 수신 또는 상기 동결 기간 설정에 대응하는 기간이 경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프로세서는 특정 대화방의 테마 배경을 기존에 사용자가 설정한 테마 배경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와 연관된 요약 텍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메시지와 연관된 요약 텍스트는, 인공신경망 기반의 모델에 의해 하나 이상의 메시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하나 이상의 요약 문장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메시지와 연관된 요약 텍스트는, 인공신경망 기반의 모델에 의해 하나 이상의 메시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요약 텍스트는 사용자의 이름이 포함된 메시지로부터 우선적으로 추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가 생성된 순서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메시지의 출력 속도 조절과 연관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프로세서는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메시지의 출력 속도에 따라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메시지 중 출력되지 않은 메시지의 개수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메시지의 출력 중단과 연관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출력 또는 제거를 중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메시지의 출력과 연관된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프로세서는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메시지의 출력 되감기와 연관된 제4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4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프로세서는 가장 최근에 출력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순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제공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 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 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방법, 동작 또는 기법들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법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의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대체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구성요소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 지의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요구사항들에 따라 달라진다. 통상의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으나, 그러한 구현들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하드웨어 구현에서, 기법들을 수행하는 데 이용되는 프로세싱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ASIC들, 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들(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들), 프로그램가능 논리 디바이스들(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컴퓨터,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DSP, ASIC, FPGA나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나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것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계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기법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비휘발성 RAM(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NVRA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플래시 메모리,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 가능할 수도 있고,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의 특정 양태들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법들은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상에 저장되거나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여 컴퓨터 저장 매체들 및 통신 매체들 양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들일 수도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스토리지 디바이스들, 또는 소망의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이송 또는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칭해진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디스크(disk) 와 디스크(disc)는, 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들(disks)은 보통 자기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하고, 반면 디스크들(discs) 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위의 조합들도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ASIC은 유저 단말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유저 단말에서 개별 구성요소들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실시예들이 하나 이상의 독립형 컴퓨터 시스템에서 현재 개시된 주제의 양태들을 활용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나 분산 컴퓨팅 환경과 같은 임의의 컴퓨팅 환경과 연계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나아가, 본 개시에서 주제의 양상들은 복수의 프로세싱 칩들이나 장치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스토리지는 복수의 장치들에 걸쳐 유사하게 영향을 받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PC들, 네트워크 서버들, 및 휴대용 장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10: 사용자 단말
120: 제1 동작
130: 제2 동작
132: 메시지

Claims (20)

  1. 사용자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 또는 상기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 및 동결이 지속되는 동결 기간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을 수신한 이후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대화방과 연관되어 생성된 하나 이상의 메시지의 수신을 중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특정 대화방의 동결 해제 요청을 수신 또는 상기 동결 기간 설정에 대응하는 기간이 경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대화방의 테마 배경을 대화방의 동결을 나타내는 테마 배경으로 변경 또는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대화방 리스트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특정 대화방의 표시를 시인 가능한 형태로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대화방의 동결 해제 요청 수신 또는 상기 동결 기간 설정에 대응하는 기간이 경과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대화방의 테마 배경을 기존에 사용자가 설정한 테마 배경으로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인스턴트 메시징 애플리케이션의 대화방 리스트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특정 대화방의 영역을 대화방의 동결을 나타내는 영역으로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대화방에서 상기 사용자의 메시지 입력을 차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상기 특정 대화방 내의 메시지의 출력이 중단되는,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을 수신한 이후에 상기 특정 대화방 내의 메시지 수신을 나타내는 알림의 출력이 중단되는,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특정 대화방의 동결 해제 요청을 수신 또는 상기 동결 기간 설정에 대응하는 기간이 경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와 연관된 요약 텍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와 연관된 요약 텍스트는, 인공신경망 기반의 모델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하나 이상의 요약 문장을 포함하는,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요약 텍스트는 상기 사용자의 이름이 포함된 메시지로부터 우선적으로 추출되는,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와 연관된 요약 텍스트는, 인공신경망 기반의 모델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에 기초하여 생성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와 연관된 요약 텍스트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요약 텍스트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가 생성된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가 생성된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메시지의 출력 속도 조절과 연관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메시지의 출력 속도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가 생성된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메시지의 출력 중단과 연관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의 출력 또는 제거를 중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가 생성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메시지의 출력과 연관된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가 생성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는,
    메시지의 출력 되감기와 연관된 제4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가장 최근에 출력된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순차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 중 출력되지 않은 메시지의 개수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0. 사용자 단말로서,
    통신 모듈;
    메모리;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사용자로부터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 또는 상기 특정 대화방의 동결 요청 및 동결이 지속되는 동결 기간 설정 요청을 수신한 이후 서버로부터 상기 특정 대화방과 연관되어 생성된 하나 이상의 메시지의 수신을 중단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특정 대화방의 동결 해제 요청을 수신 또는 상기 동결 기간 설정에 대응하는 기간이 경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KR1020220118326A 2022-09-20 2022-09-20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3969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326A KR20240039697A (ko) 2022-09-20 2022-09-20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 및 시스템
PCT/KR2023/012599 WO2024063359A1 (ko) 2022-09-20 2023-08-24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326A KR20240039697A (ko) 2022-09-20 2022-09-20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9697A true KR20240039697A (ko) 2024-03-27

Family

ID=90454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326A KR20240039697A (ko) 2022-09-20 2022-09-20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39697A (ko)
WO (1) WO202406335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40151B2 (en) * 2017-12-05 2021-10-05 Jae Ho SUNG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hidden services in chatting windows
KR102243536B1 (ko) * 2018-07-24 2021-04-23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내용 분석을 통해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96304A (ko) * 2019-07-29 2019-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화 내용에 대한 요약문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336952B1 (ko) * 2020-01-28 2021-12-09 베스트스토리 주식회사 날짜, 시간 및 요일별 활성화 기능을 포함하는 위치 기반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41548B1 (ko) * 2020-12-18 2023-06-12 주식회사 시소 메신저 대화 분석에 기반한 프로젝트 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서버 및 컴퓨터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63359A1 (ko) 202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80603A1 (en) User attention and activity in chat systems
US859910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multiple display mode
US20160050165A1 (en) Quick navigation of message conversation history
WO2017041617A1 (zh) 移动终端通知栏的控制方法、装置和移动终端
JP5826753B2 (ja) モバイル通信装置のためのユーザーが選択可能な環境
EP2639695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entralized application notifications
US10243906B2 (en)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information selectively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JP2018156646A (ja) 外部デバイスを利用したモバイルデバイスにおけるチャット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23003101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essages on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
JP2019528513A (ja) メッセージ基盤の通知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140100396A (ko) 기기 알림 동기화 장치 및 방법
US20220263781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vatar usage rights
EP3262506B1 (en) Dynamic adjustment of user experience based on system capabilities
US11902225B2 (en) Method for entering group event through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
US2023021509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virtual space at various point-in-times
KR20240039697A (ko)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대화방 동결과 연관된 메시지 출력 방법 및 시스템
US20230047600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content on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 during calls
US20220180893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multimedia content
RU2631269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телефонного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KR20240010351A (ko)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에서 대화방 배경 화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12558915A (zh) 语音播报的方法及装置、电子设备、介质和产品
JPWO2020153251A1 (ja) ボイスチャット装置、ボイスチャット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600688B1 (ko) 메신저 상에서 자동 응답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57029A (ko)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와 메타버스 서비스 연동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28013A (ko) 대화방 내의 콘텐츠를 요약한 요약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