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348B1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9348B1
KR101679348B1 KR1020140114522A KR20140114522A KR101679348B1 KR 101679348 B1 KR101679348 B1 KR 101679348B1 KR 1020140114522 A KR1020140114522 A KR 1020140114522A KR 20140114522 A KR20140114522 A KR 20140114522A KR 101679348 B1 KR101679348 B1 KR 101679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ex
information
intimacy
affinity
re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4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7491A (ko
Inventor
조인제
조훈제
김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라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라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라클
Priority to KR1020140114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348B1/ko
Publication of KR20160027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7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서는 소셜 네트워크에 등록된 서로 다른 제1 객체 및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정보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지수를 생성하는 관계 지수 생성 단계; 상기 관계 지수를 고려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 사이의 친밀도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로, 상기 친밀도 지수는, 제1 시점에 수신된 제1 관계 지수에 대응하는 제1 친밀도 지수와, 상기 제1 시점보다 늦은 제2 시점에 수신된 제2 관계 지수에 대응하는 제2 친밀도 지수와, 제1 친밀도 지수에 제2 친밀도 지수를 더한 제3 친밀도 지수를 포함하는 친밀도 지수 산출 단계; 및 상기 친밀도 지수를 고려하여 상기 제2 객체와 관련한 상기 제1 객체의 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로,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제1 시점에서 상기 제1 친밀도 지수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1 상태 정보와,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제3 친밀도 지수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2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DEVICE, METHOD FOR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개인의 표현욕구가 강해지면서 사람들 사이의 사회적 관계를 맺게 하고, 친분관계를 유지시키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또한 점점 발달하고 있다. 웹 상의 카페, 동호회 등의 커뮤니티 서비스가 특정 주제에 관심을 가진 집단이 그룹화하여 폐쇄적인 서비스를 공유한다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나 자신 즉 개인이 중심이 되어 자신의 관심사와 개성을 공유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개인의 사적인 포스팅이 사적으로 친분이 없고, 단지 전화번호만 알고 있는 공적 관계의 사람과도 공유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0-0086394호
전술한 문제점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에 등록된 객체에게 공개될 수 있는 상기 객체 이외의 객체의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는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다른 제1 객체 및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정보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지수를 생성하는 관계 지수 생성부; 상기 관계 지수를 고려하여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 사이의 친밀도 지수를 산출하는 것으로, 상기 친밀도 지수는, 제1 시점에 생성된 제1 관계 지수에 대응하는 제1 친밀도 지수와, 상기 제1 시점보다 늦은 제2 시점에 수신된 제2 관계 지수에 대응하는 제2 친밀도 지수와, 제1 친밀도 지수에 제2 친밀도 지수를 더한 제3 친밀도 지수를 포함하는 친밀도 지수 산출부; 및 상기 친밀도 지수를 고려하여 상기 제2 객체와 관련한 상기 제1 객체의 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것으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제1 시점에서 상기 제1 친밀도 지수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1 상태 정보와,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제3 친밀도 지수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2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표시 정보를 설정하는 것으로,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시점에서 상기 제1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제1표시 정보와,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제2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제2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계 지수 생성부는,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정보의 횟수를 상기 관계 지수로서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관계 지수 생성부는,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정보의 종류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관계 지수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친밀도 지수 산출부는, 상기 제2 관계 지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일 경우 상기 제2 친밀도 지수를 음의 값으로 설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전자 장치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 장치가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다른 제1 객체 및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정보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지수를 생성하는 관계 지수 생성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관계 지수를 고려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 사이의 친밀도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로, 상기 친밀도 지수는, 제1 시점에 수신된 제1 관계 지수에 대응하는 제1 친밀도 지수와, 상기 제1 시점보다 늦은 제2 시점에 수신된 제2 관계 지수에 대응하는 제2 친밀도 지수와, 제1 친밀도 지수에 제2 친밀도 지수를 더한 제3 친밀도 지수를 포함하는 친밀도 지수 산출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친밀도 지수를 고려하여 상기 제2 객체와 관련한 상기 제1 객체의 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로,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제1 시점에서 상기 제1 친밀도 지수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1 상태 정보와,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제3 친밀도 지수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2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생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표시 정보를 설정하는 표시 정보 설정 단계로,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시점에서 상기 제1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제1표시 정보와,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제2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제2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계 지수 생성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정보의 횟수를 상기 관계 지수로서 할 수 있다.
상기 관계 지수 생성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종류의 종류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관계 지수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친밀도 지수 산출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관계 지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일 경우 상기 제2 친밀도 지수를 음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에 등록된 객체에게 공개될 수 있는 상기 객체 이외의 객체의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에 등록된 하나 이상의 객체들의 관계 정보의 일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에 등록된 제1 객체에게 제공되는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표시 정보의 일 예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을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100), 클라이언트(200), 통신망(300)을 포함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Social Network Service)(100)는 인터넷 상에서 친구, 선후배, 동료 등 지인 과의 인맥 관계를 강화시키고, 또 새로운 인맥을 쌓으며 폭넓은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등록되어 서로 연결된 2 이상의 객체 중 객체 사이의 관계 정보를 고려하여 각 객체 사이의 친밀도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해당 소셜 네트워크에 등록된 서로 연결된 임의의 2개의 객체를 제1 객체, 제2 객체라고 한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제1 객체의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친밀도 지수를 산출할 수 있고, 상기 제1 객체의 제2 객체에 대한 친밀도 지수를 고려하여 상기 제2 객체에 대한 정보 중 상기 제1 객체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정보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객체 및 제2 객체는 적어도 하나의 소셜 네트워크에 등록된 임의의 독립된 2개의 객체이며, 제1 및 제2 는 서로 구별되는 객체임을 나타내기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셜 네트워크에 등록된 임의의 객체를 제1 객체라고 할 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제1 객체와 연결된 객체를 포함하고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에서 제1 객체와 제2 객체 사이의 과정 및 동작은 제1 객체와 연결된 모든 다른 객체와도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는 과정 및 동작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는 의미는 임의의 객체가 다른 객체와 친구 관계, 팔로잉 관계 등으로 관련되어 있는 것을 말하며, 적어도 최소한의 정보가 한 객체에서 다른 객체로 전달될 수 있는 상태이면 족하다. 본 명세서에서 '객체'라는 의미는 임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최소 단위를 의미하는 데, 이는 이용자 자체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는 아이디 단위가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객체'는 반드시 하나의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이용자 또는 아이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어떠한 형태의 연결이든 가능한 복수 소셜 네트워크에 가입된 이용자 또는 아이디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상기 제1 객체는 제1 소셜 네트워크에 등록된 이용자 또는 아이디가 될 수 있고, 상기 제2 객체는 제1 소셜 네트워크와 연결된 제2 소셜 네트워크에 등록된 이용자 또는 아이디가 될 수 있다.
종래의 특정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는, 임의의 일 객체가 다른 객체들과 친구 관계를 설정하고, 각 객체는 자신의 정보에 대해서 전체 공개, 친구만 공개, 비공개 중 하나로 공개 등급을 설정할 수 있고, 각 객체는 자신과 친구인 모든 객체에게 자신의 정보를 공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로는 1인 1스마트폰의 사용으로 거의 모든 사람들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게 되면서 가족, 친구, 회사 동료, 비즈니스적 인맥까지 친구로 맺어지게 되고 친구에만 공개된 자신의 정보가 자신과 친구 관계인 친구, 가족 뿐만 아니라 공적인 인맥 관계에 있는 사람에게 공개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하면, 제1 객체는 자신의 정보에 대해서 일정 친밀 등급 이상에만 공개와 같이 공개 등급이 설정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제1 객체와 일정 친밀 등급 이상인 객체에게만 자신의 정보가 공개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통해, 정보에 대한 공개 등급이 좀더 세분화되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정보를 친구인 객체 중에서도 상기 정보를 공개하고 싶지 않은 객체에게 공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인터넷 및/또는 인트라넷과 같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에 의하여 복수의 클라이언트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클라이언트와 구별되고, 클라이언트와 분리된 채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클라이언트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각각의 단말기(클라이언트)에 포함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내에 본 실시예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포함되도록 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들 각각이 단말기 내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클라이언트)에 설치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클라이언트에 오프라인을 통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가 설치될 수 도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형태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클라이언트 내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일부 구성요소는 클라이언트(200) 내에 포함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통신망을 통하여 클라이언트(200)와 연결될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구성요소 중 데이터베이스(110)는 장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분리되어 통신망(300)을 통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클라이언트(200)는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 일 수 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일 수 있다.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은 스마트 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등 일 수 있고, 이외의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한 단말은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200)는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 장치를 구비한다. 입력 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마이크, 버튼, 터치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애플리케이션 서버(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400)는 포털, 은행, 회사, 게임, 채팅, 쇼핑몰, 소셜 커머스 등 인터넷에서 상기 객체들과 관련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말하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서버(400)로부터 상기 소셜 네트워크에 등록된 객체들의 관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서버(400)는 반드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 내에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시스템(10)과 구별된 별도의 시스템으로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관계 지수 생성부(120), 친밀도 지수 산출부(121), 상태 정보 생성부(122), 표시 설정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관계 지수 생성부(120)는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다른 제1 객체 및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정보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지수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관계 정보는 상기 제1 및 제2 객체 사이의 단방향, 또는 양방향 통신 정보를 말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문자, 편지, 유무선 전화, 이메일, 모바일 메신져, 인터넷 메신져, 모바일 쪽지, 소셜 네트워크 활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정보는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 사이의 통화 횟수,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 사이의 온라인 대화 횟수, 상기 제2 객체의 상태 정보에 대한 상기 제1 객체의 댓글 횟수,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 사이의 문자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관계 지수 생성부(120)는 상기 제1 및 제2 객체 사이의 주고 받은 문자, 편지, 전화, 이메일, 메신져, 쪽지, 소셜 네트워크 활동 등의 관계 정보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지수를 생성한다. 관계 지수는 관계 정보와 비례 관계, 또는 2차 방정식의 관계에 있을 수 있다. 관계 지수는 양의 실수 또는 음의 실수로 생성되거나, 상중하 등의 등급으로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상기 제1 객체와 연결된 제2 객체, 제3 객체에 대한 관계 지수를 생성한다고 한다면, 관계 지수 생성부(120)는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정보인 문자 10회, 통화 15회를 고려한 제1 및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지수를 생성하고, 상기 제1 객체와 제3 객체 사이의 관계 정보인 문자 1회, 통화 5회를 고려한 제1 및 제3 객체 사이의 관계 지수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관계 정보를 고려하면, 제1 및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지수는 상기 제1 및 제3 객체 사이의 관계 지수보다 클 수 있다.
관계 지수 생성부(120)는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정보의 횟수를 관계 지수로서 그대로 변환하여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정보인 문자의 횟수가 10이면,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지수는 10일 수 있다.
관계 지수 생성부(120)는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정보의 종류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관계 정보를 가중 합산하여 관계 지수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정보가 문자 10회, 통화 15회이면, 문자의 가중치는 0.5, 통화의 가중치는 1로 하여 관계 지수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지수는 20(10X0.5+15X1)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는 대화 정보, 통화 정보, 작성 댓글 정보를 관계 정보로 고려하여, 관계 지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대화 정보, 통화 정보, 댓글에 대해서 매체의 친밀 정도를 고려하여 각각 다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온라인 대화보다는 통화가 좀더 번거롭고, 실시간으로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매체인 점을 감안하여 통화 정보에 대해서는 대화 정보에 대한 가중치인 0.5 보다 더 큰 1을 가중치로 할 수 있고, 실시간 양방향 통신 수단으로 볼 수 없는 댓글에 대해서는 0을 가중치로 할 수 있다. 상기에 기재된 대로 제1 객체 및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지수는 2.5(5X0.5+0X1+30X0) 일 수 있다. 제1 객체 및 제3 객체 사이의 관계 지수는 10.5(15X0.5+3X1+10X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관계 지수 생성부(120)는 상기 제1 객체와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정보의 서로 다른 방향성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관계 정보를 가중 합산하여 관계 지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2 객체와 관련한 제1 객체의 관계 지수를 설정함에 있어서, 제1 객체의 제2 객체를 향한 관계 정보보다 제2 객체의 제1 객체를 향한 관계 정보에 보다 큰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객체가 제2 객체에게 연락한 또는 연락을 시도한 통신 정보는 가중치를 0.5로, 제2 객체가 제1 객체에게 연락한 또는 연락을 시도한 통신 정보는 가중치를 1로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방향성에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객체와 관련한 제1 객체의 상태 정보를 추출함에 있어서 제2 객체의 의사가 자동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향성에 대한 가중치는 모든 객체들에게 일관되게 부여될 수 있으나, 사용자는 특정 객체에게 더 적거나 큰 가중치를 부여하도록 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음의 가중치를 부여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토커와 같은 특정 객체의 접근 및/또는 해당 특정 객체에게 자신의 정보가 공개되는 것을 점진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관계 지수 생성부(120)는 기 설정된 관계 정보 횟수의 임계치에 대한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정보의 횟수의 비율을 반영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지수를 생성할 수 있다. 관계 지수가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임계치에 대한 비율로 객체 사이의 관계 지수를 생성하고, 관계 지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일 경우에는 객체 사이의 관계 지수를 최대값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관계 정보를 가진다고 가정하면, 온라인 상에서의 대화와 통화는 임계치를 10, 댓글의 경우에는 임계치를 10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객체와 제2 객체 사이의 대화 정보를 고려한 관계 지수는 기 설정된 대화 임계치, 10에 대한 제1 객체와 제2 객체 사이의 대화 횟수 5의 비율인 0.5 일 수 있다. 제1 객체와 제3 객체 사이의 통화 정보를 고려한 관계 지수는 기 설정된 통화 임계치, 10에 대한 제1 객체와 제3 객체 사이의 통화 횟수인 3의 비율인 0.3 일 수 있다. 제1 객체와 제2 객체 사이의 댓글 정보를 고려한 관계 지수는 기 설정된 댓글 임계치, 100에 대한 제1 객체와 제2 객체 사이의 댓글 횟수 15의 비율인 0.15 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통화 횟수가 10 이상, 대화 횟수가 10 이상, 댓글 횟수가 100 이상인 객체에 대해서는 매우 친밀한 객체라고 판단될 수 있도록 최대값의 관계 지수를 부여할 수 있다.
전술된 관계 정보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100) 내에서 생성된 관계 정보 또는 외부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수신한 관계 정보일 수 있고, 관계 지수 생성부(120)는 서로 다른 장치로부터의 관계 정보를 고려하여 관계 지수를 생성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관계 지수 생성부(120)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100) 내에서 생성된 관계 정보로서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 간의 온라인 채팅에서 온라인 대화 횟수, 및 외부의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객체의 상태 정보에 대한 상기 제1 객체가 작성한 통화 횟수를 근거로 생성된 관계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지수를 생성할 수 있다.
친밀도 지수 산출부(121)는 상기 관계 지수를 고려하여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 사이의 친밀도 지수를 산출한다. 상기 친밀도 지수 산출부(121)는 제1 시점에 생성된 제1 관계 지수에 대응하는 제1 친밀도 지수, 및 상기 제1 시점보다 늦은 제2 시점에 생성된 제2 관계 지수에 대응하는 제2 친밀도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친밀도 지수에 제2 친밀도 지수를 더한 제3 친밀도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관계 지수는 소정의 시점부터 상기 제1 시점까지의 기간 동안에 발생한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고, 제2 관계 지수는 상기 제1 시점부터 상기 제2 시점까지의 기간 동안에 발생한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정보를 고려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제1 시점에 생성된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 사이의 제1 관계 지수에 대응하는 제1 친밀도 지수가 예를 들어, 5이고, 상기 제1 시점보다 늦은 제2 시점에 생성된 제2 관계 지수에 대응하는 제2 친밀도 지수가 예를 들어, 2라면, 제2시점에서 제3 친밀도 지수는 7(5+2)이 될 수 있고, 상기 제3 친밀도 지수인 7이 현재 상태인 제2 시점에서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 사이의 친밀도 지수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친밀도 지수와 관계 지수는 비례 관계, 2차 방정식의 관계에 있을 수 있고, 친밀도 지수는 실수로 산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친밀도 지수 산출부(121)는 상기 제2 관계 지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일 경우, 상기 제2 친밀도 지수를 음의 값으로 설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관계 정보가 기 설정된 임계치, 예를 들어 3 이하인 경우, 상기 제2 관계 지수에 대응하는 제2 친밀도 지수를 음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2 친밀도 지수가 음의 값인 경우에는 제3 친밀도 지수는 제1 친밀도 지수와 제2 친밀도 지수의 합이므로, 제1 친밀도 지수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 제2 시점에서 제1 객체와 제2 객체 사이의 친밀도 지수가 제1 시점에서의 친밀도 지수보다 낮아짐을 의미한다.
다른 예로서, 친밀도 지수 산출부(121)는 상기 제2 관계 지수가 상기 제1 관계 지수 미만이면 상기 제1 친밀도 지수를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들에 따라 친밀도 지수 산출부(121)는 최근 형성된 객체 간의 관계 정보를 더 크게 반영하여 친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 임의의 2명의 객체 사이의 관계가 최초 연결된 시점 이후의 관계 정보를 고려한 친밀도 지수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에 등록된 임의의 2명의 객체 사이의 상태 정보를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기적으로 소셜 네트워크에 등록된 임의의 2명의 객체 사이의 친밀도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 시점과 제2 시점은 정기적인 산출 시점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친밀도 지수를 산출하고자 하는 특정 시점이 될 수도 있다.
상태 정보 생성부(122)는 상기 친밀도 지수를 고려하여 상기 제2 객체와 관련한 상기 제1 객체의 상태 정보를 추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태 정보 생성부(122)는 상기 제1 시점에서 상기 제1 친밀도 지수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1 상태 정보와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제3 친밀도 지수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2 상태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상태 정보는 상기 제1 시점부터 상기 제2 시점까지의 기간 동안 제2 객체에 대한 제1 객체의 상태 정보가 되고, 제2 상태 정보는 상기 제2 시점부터 상태 정보를 요청한 시점까지의 기간 동안 제2 객체에 대한 제1 객체의 상태 정보가 된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 객체들 상호 간, 더욱 구체적으로 객체들 1:1간의 관계 등급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객체에 대하여 제1 객체는 '매우 친한' 상태일 수 있고, 제3 객체는 '조금 아는' 상태일 수 있으며, 제4 객체는 '단지 아는' 상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친밀도 지수를 고려하여 상기 상태 정보가 자동으로 추출될 수 있고, 이러한 상태 정보는 친밀도 지수가 변함에 따라 자동으로 변경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 정보와 관련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은 일 객체의 다른 객체에 대한 표시 정보가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다.
표시 설정부(123)는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표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표시 설정부는 상기 제1 시점에서 상기 제1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제1 표시 정보와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제2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제2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시점부터 상기 제2 시점까지의 기간 동안의 상태 정보 중에서 추출된 제1 상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객체에게 표시될 제2 객체의 정보로서,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표시되며, 상기 제2 표시 정보는 상기 제2 시점부터의 기간 동안의 상태 정보 중에서 추출된 제2 상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객체에게 표시될 제2 객체의 정보로서,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정보는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 객체로부터 작성되고 게시될 수 있는 정보를 말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객체의 프로필 정보, 근황 정보, 방문한 장소, 현재 위치, 및/또는 현재 기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정보는 텍스트, 소리, 이미지, 영상, 및/또는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경도,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정보는 저장된 상태 정보가 표시부를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가공한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100)은 등록된 객체에 의한 접속 요청이 있을 때 마다 상기 객체와 관련된 타 객체 간의 관계 정보로부터 관계 지수를 생성하고, 친밀도 지수를 산출할 수 있는데, 친밀도 지수를 산출하는데 있어서는, 가장 최신의 접속 요청이 있을 시에 산출된 친밀도 지수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현재 접속 요청한 객체를 위한 표시 정보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이전의 특정 시점에서 접속 요청 시에 설정되었던 표시 정보를 활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객체가 소셜 네트워크 상에 등록된 이후의 모든 관계 정보를 고려하여 관계 지수를 생성하고, 친밀도 지수를 산출하는 것보다 훨씬 신속하게 친밀도 지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표시 정보 역시 신속하게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저장 관리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11),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사용자 프로필 데이터베이스(112),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13), 사용자의 관계 지수, 친밀도 지수를 저장 관리하는 지수 데이터베이스(1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전자 장치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관계 지수 생성 단계(S110), 친밀도 지수 산출 단계(S120), 상태 정보 생성 단계(S130), 표시 정보 설정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전술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일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반드시 하나의 장치일 필요는 없으며, 복수 개의 전자 장치가 전기적 및/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된 장치일 수 있다.
S110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다른 제1 객체 및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정보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지수를 생성한다. 상기 관계 지수의 생성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120에서는 상기 관계 지수를 고려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 사이의 친밀도 지수를 산출한다. 상기 친밀도 지수는 제1 시점에 수신된 제1 관계 지수에 대응하는 제1 친밀도 지수와 상기 제1 시점 보다 늦은 제2 시점에 수신된 제2 관계 지수에 대응하는 제2 친밀도 지수와, 상기 제1 친밀도 지수에 상기 제2 친밀도 지수를 더한 제3 친밀도 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은 접속 요청 시점이거나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단위에 따라 정해진 시점일 수 있다. 상기 친밀도 지수의 산출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130에서는 상기 친밀도 지수를 고려하여 상기 제2 객체와 관련한 상기 제1 객체의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상기 제1 시점에서 상기 제1 친밀도 지수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1 상태 정보와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제3 친밀도 지수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2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의 생성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140에서는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표시 정보를 설정한다.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시점에서 상기 제1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제1 표시 정보와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제2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제2 표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정보의 설정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1 객체에게 제공되는 표시 정보의 일 예로서, 도 3과 같이 제1 객체 내지 제5 객체가 상호 관계 정보를 형성한 경우, 제1 객체에게 제공되는 제2 객체 내지 제5 객체의 표시 정보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객체에게는 상기 제1 객체와 관계된 객체들(제2 객체, 제3 객체, 제4 객체, 제5 객체)에 대한 표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 객체에게는 제2 내지 제5 객체의 표시 정보들 중 공개 등급이 각 객체와의 상태 정보보다 낮은 표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의 예에서, 제2 객체의 표시 정보 중에서 제1 객체와 제2 객체 사이의 상태 정보보다 낮은 공개 등급의 표시 정보(501)가 제1 객체에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객체의 표시 정보 중에서 제1 객체와 제3 객체 사이의 상태 정보보다 낮은 공개 등급의 표시 정보(502, 503, 505)가 제1 객체에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5 객체의 표시 정보 중에서 제1 객체와 제5 객체 사이의 상태 정보보다 낮은 공개 등급의 표시 정보(504, 506) 가 제1 객체에게 제공될 수 있다. 제4 객체와 제1 객체 사이의 관계 지수가 0이므로, 제4 객체의 표시 정보 중에서 아무런 표시 정보도 제1 객체에게 제공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
200: 클라이언트 300: 통신망
110: 데이터베이스 120: 관계 지수 생성부
121: 친밀도 지수 산출부 122: 상태 정보 생성부
123: 표시 설정부

Claims (11)

  1.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다른 제1 객체 및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정보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지수를 생성하는 관계 지수 생성부;
    상기 관계 지수를 고려하여 상기 제1 객체 및 상기 제2 객체 사이의 친밀도 지수를 산출하는 것으로, 상기 친밀도 지수는, 제1 시점에 생성된 제1 관계 지수에 대응하는 제1 친밀도 지수와, 상기 제1 시점보다 늦은 제2 시점에 수신된 제2 관계 지수에 대응하는 제2 친밀도 지수와, 제1 친밀도 지수에 제2 친밀도 지수를 더한 제3 친밀도 지수를 포함하는 친밀도 지수 산출부; 및
    상기 친밀도 지수를 고려하여 상기 제2 객체와 관련한 상기 제1 객체의 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것으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제1 시점에서 상기 제1 친밀도 지수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1 상태 정보와,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제3 친밀도 지수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2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계 지수 생성부는,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정보의 횟수에 각 관계 정보의 종류 및 방향성을 고려한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관계 지수를 생성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표시 정보를 설정하는 것으로,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시점에서 상기 제1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제1표시 정보와,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제2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제2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밀도 지수 산출부는,
    상기 제2 관계 지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일 경우 상기 제2 친밀도 지수를 음의 값으로 설정하도록 구비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
  6. 전자 장치로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 장치가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다른 제1 객체 및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정보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지수를 생성하는 관계 지수 생성 단계;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관계 지수를 고려하여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 사이의 친밀도 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로, 상기 친밀도 지수는, 제1 시점에 수신된 제1 관계 지수에 대응하는 제1 친밀도 지수와, 상기 제1 시점보다 늦은 제2 시점에 수신된 제2 관계 지수에 대응하는 제2 친밀도 지수와, 제1 친밀도 지수에 제2 친밀도 지수를 더한 제3 친밀도 지수를 포함하는 친밀도 지수 산출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친밀도 지수를 고려하여 상기 제2 객체와 관련한 상기 제1 객체의 상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로, 상기 상태 정보가 상기 제1 시점에서 상기 제1 친밀도 지수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1 상태 정보와,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제3 친밀도 지수에 대응하여 생성된 제2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생성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계 지수 생성 단계는, 상기 제1 객체 및 제2 객체 사이의 관계 정보의 횟수에 각 관계 정보의 종류 및 방향성을 고려한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관계 지수를 생성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표시 정보를 설정하는 표시 정보 설정 단계로, 상기 표시 정보는, 상기 제1 시점에서 상기 제1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제1표시 정보와,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제2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제2표시 정보를 포함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친밀도 지수 산출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관계 지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하일 경우 상기 제2 친밀도 지수를 음의 값으로 설정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6항, 제7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114522A 2014-08-29 2014-08-29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679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522A KR101679348B1 (ko) 2014-08-29 2014-08-29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4522A KR101679348B1 (ko) 2014-08-29 2014-08-29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491A KR20160027491A (ko) 2016-03-10
KR101679348B1 true KR101679348B1 (ko) 2016-11-24

Family

ID=55538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4522A KR101679348B1 (ko) 2014-08-29 2014-08-29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3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565B1 (ko) * 2018-07-24 2022-03-24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내용 분석을 통해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243536B1 (ko) * 2018-07-24 2021-04-23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내용 분석을 통해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151505B1 (ko) * 2018-11-13 2020-09-03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딥러닝 기반의 sns 역기능 개선을 위한 소셜 매쉬업 로직 구현 시스템 및 방법
KR102501625B1 (ko) * 2021-04-16 2023-02-21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내용 분석을 통해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899B1 (ko) * 2005-11-15 2006-11-24 (주) 엘지텔레콤 대인 관계 관리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대인 관계 관리 방법
KR101363609B1 (ko) * 2011-10-25 2014-03-03 주식회사 이노스파크 사회적 관계정보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899B1 (ko) * 2005-11-15 2006-11-24 (주) 엘지텔레콤 대인 관계 관리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대인 관계 관리 방법
KR101363609B1 (ko) * 2011-10-25 2014-03-03 주식회사 이노스파크 사회적 관계정보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7491A (ko)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8352B2 (en) Managing digital forums and networking groups utilizing a group activity indicator
JP6828204B2 (ja) 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10819841B2 (en) Avatar-based communications launching system
US1062803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user feedback using an emotion scale
US10104020B2 (en) Authentication of service requests initiated from a social networking site
WO2015099664A1 (en) Context-aware privacy meter
US11412011B1 (en) Methods, systems, apparatuse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interaction between users viewing same webpages and virtual locations
KR101679348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4216947A (zh) 一种邀请用户加入群组的方法及装置
US20210049721A1 (en) User security awareness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100130003A (ko)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9857943B (zh) 权限等级确定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11429833B2 (en) Cognitive communication assistant services
US11245649B2 (en) Personalized low latency communication
WO2017032076A1 (zh) 一种组建朋友圈以及基于朋友圈进行通信的方法及装置
US8903914B2 (en) Selecting user accounts in social network to answer question
CN111557014A (zh) 提供多个个人资料的方法及系统
US10084742B2 (en) Social media threat monitor
KR101488153B1 (ko) 단말 장치에서 사용자 프로필을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
Mayer et al. Common attributes in an unusual context: predicting the desirability of a social match
US8838832B1 (en) Network address clustering
CN103684981B (zh) 即时通信互动方法、系统及服务器
KR20220062661A (ko) 제 3 자 시스템들로부터의 증강 현실 데이터의 효과적인 스트리밍
US10348512B2 (en) Amorphous ad-hoc groups based on swarming behavior
KR20210022966A (ko) 익명 기반 프로필을 통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표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