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0506A -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0506A
KR20140120506A KR1020130036342A KR20130036342A KR20140120506A KR 20140120506 A KR20140120506 A KR 20140120506A KR 1020130036342 A KR1020130036342 A KR 1020130036342A KR 20130036342 A KR20130036342 A KR 20130036342A KR 20140120506 A KR20140120506 A KR 20140120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conversation
dialog
messag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화영
김은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6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0506A/ko
Priority to US14/243,226 priority patent/US20140304346A1/en
Publication of KR20140120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5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12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filtering or selective blo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묶음인 대화를 분석하여 대화 레벨에 따라 적합한 대화 레벨에 따른 메시지를 추천하고 UI를 통해 레벨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대화창을 로딩하면, 상기 대화창의 대화 레벨에 적합한 대화 레벨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대화창에 메시지를 입력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 전송을 입력하면, 전송될 메시지를 대화 레벨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대화 레벨을 업데이트하는 과정;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고 전송된 메시지를 대화창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대화에 레벨을 부여하여 메시지가 잘못 전송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보다 정확하게 원하는 상대방에게 원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A CONVERSATION LEVEL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기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묶음인 대화를 분석하여 대화 레벨에 따라 적합한 대화 레벨에 따른 메시지를 추천하고 UI(User Interface)를 통해 레벨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에서 SMS 메시지, 채팅 메시지 등의 송수신은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기능이며, 입력장치로서 터치스크린이 보편화 되면서 보다 빠르게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빠른 메시지 전송에 의해 잘못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그리고, 메시지를 발송시에 필터링이나 경고 없이 전송하므로 잘못된 메시지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대화가 어색해지거나 또는 잘못된 메시지 전송에 의해 사람 간에 관계까지도 어색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대화창에서 대화를 하는 경우에도 메시지를 발송시에 필터링이나 경고 없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메시지 전송시 또는 대화시에 메시지 전송 대상이나 또는 대화 대상에 따라 메시지를 필터링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회사내 상사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친구로 오인하여 메시지를 격식없이 쓰여진 메시지를 잘못 전송하게 되면 오해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제3자에게 회사 내 상사로 오해하여 격식을 갖춘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어도 오해가 생기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를 입력하고 첨부서류 등을 첨부하여 전송하는 경우에도 첨부서류를 전송하게 되면, 잘못된 수신자에게 전송된 첨부서류로 인하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화의 레벨을 부여하여 메시지가 잘못 전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화의 레벨에 적합한 추천어를 제공하므로 선택된 언어를 사용하면 메시지를 오전송하는 것을 방지하며 편리하게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화의 문장을 분석하여 레벨을 부여하고 부여된 대화 레벨을 계속적으로 관리하여 대화 레벨을 상향시키거나 하향시켜 적절한 대화 레벨을 관리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은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대화창을 로딩하면, 상기 대화창의 대화 레벨에 적합한 대화 레벨을 표시하는 과정;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대화창에 메시지를 입력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 전송을 입력하면, 전송될 메시지를 대화 레벨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대화 레벨을 업데이트하는 과정;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고 전송된 메시지를 대화창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장치는 상기 대화 레벨에 따라 대응하는 GUI를 다르게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대화창에 따른 대화의 대화 레벨을 저장하고, 상기 대화 레벨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대화 레벨에 적합한 추천어를 제시하고, 상기 대화 레벨 변화가 일정 횟수 이상 발생했을 경우 대화 레벨을 상향 또는 하향시키는 대화 레벨 업데이트 진행하며, 발신하려는 메시지 레벨과 대화 레벨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레벨에 맞지 않은 메시지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로부터 확인을 받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및 장치는 대화에 레벨을 부여하여 메시지가 잘못 전송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보다 정확하게 원하는 상대방에게 원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화 레벨에 적합한 추천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메시지를 오전송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며 추천어를 선택하여 전송하므로 편리하게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화의 문장을 분석하여 레벨을 부여하고 부여된 대화 레벨을 관리하여 대화 레벨을 상향시키거나 하향시켜 적절한 대화 레벨을 관리하므로 대화창의 관계가 바뀌는 경우에도 적응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화 레벨 부여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 2에 따라 메시지를 비교하고 비교된 메시지에 따라 레벨을 업데이트 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 3에 따라 대화 레벨을 하향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도 3에 따라 대화 레벨을 상향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메시지는 텍스트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의미하며, 한번에 전송된 텍스트 데이터를 의미한다. 따라서, 메시지는 적게는 하나의 아이콘이나 단어에서부터 다수의 문장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화는 특정한 사람 또는 특정 사람들(그룹) 간에 주고받은 메시지의 묶음을 의미한다.
대화 레벨은 대화하는 격식의 수준을 의미하며, 대화 상대 또는 대화 그룹에 따라, 예컨대, 해라체, 하게체, 하오체, 합쇼체 등과, 해체, 해요체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대화 레벨의 예를 들기 위해 어미에 대해서만 분류했을 뿐 대화 레벨을 어미로만 분류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대화 레벨 부여하기 위한 휴대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100)는 표시부(110), 저장부(120), 무선통신부(130), 입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밖에도 휴대단말기(100)는 운용과정에서 출력이 요구되는 다양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디오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사진/동영상 촬영 기능을 위한 카메라 모듈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 구성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표시부(110)는 휴대단말기(100)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화면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파일 표시 기능, 파일 검색 기능, 메시지 기능, 전자메일 기능, 인터넷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사진 보기 기능, 음악 재생 기능 등의 실행화면을 제어한다. 표시부(11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표시부(110)는 대화 레벨에 따라 대응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대화창이 빨강을 진한색으로 표시되면, 대화 레벨이 높은 대화창임을 의미하도록 할 수 있으며, 대화창이 빨강색의 연한색으로 표시되면, 대화 레벨이 낮은 대화창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즉, 색의 농도를 조정하여 대화 레벨을 직관적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대화창이 파란색에 가까우면 대화 레벨이 높은 대화창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빨강색에 가까우면 대화 레벨이 낮은 대화창으로 인식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두 경우에 있어서 반대의 실시예도 가능하다. 한편, 이와 더불어 대화 레벨을 메시지 형태로 대화창의 위나 반투명한 메시지를 대화창의 안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표시부(110)는 대화 레벨에 따라 적합한 추천단어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10)는 메시지 또는 대화를 표시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메시지를 입력하고 입력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표시부(110)는 대화 레벨이 맞지 않는 경우면, 이를 그대로 전송할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럼, 제어부(150)는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취소하거나, 삭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휴대단말기(100)에서 실행되고 처리되는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 예컨대 D램과,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예컨대, 플래시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운영체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20)는 대화를 저장하고, 저장된 대화에 따라 분석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대화 레벨 또는 디폴트(default) 대화 레벨을 저장한다. 대화 레벨을 저장시에 메타 데이터로서 대화 내용, 대화에 참여했던 각각의 그룹원에 대한 정보, 즉 메시지 수신자들에 대한 정보 및 날짜 시간 등도 같이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대화창에 채팅명이나 그룹명이 있는 경우에는 메타 데이터에 이 정보도 추가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130)는 휴대단말기(100)의 통신 기능 지원을 위하여 기지국과의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이동통신 모듈의 형태로 구성되고, 사용자 제어에 따라 또는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외부로부터 메시지와 함께 파일을 수신하거나, 휴대단말기(100)에서 입력된 메시지 또는 휴대단말기(100)가 수집한 파일이나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30)는 근거리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타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특히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파일등을 전송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입력부(140)는 휴대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입력부(140)는 홈키, 사이드키, 메뉴키 백키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입력부(140)는 휴대단말기(100)의 호환 가능 여부에 따라 키보드나 키패드, 키버튼 등의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메시지를 입력하고 전송하는 등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휴대단말기(100)의 전반에 걸친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150)는 대화 분석 및 대화 레벨을 판단하고 업데이트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150)는 입력되는 메시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대화에 레벨을 부여하고 대화 레벨에 적합한 추천어를 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대화 레벨이 높은 대화창에 '하이'를 입력하면, 추천단어로 '안녕하세요'를 추천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대화 레벨 업데이트를 위한 저장부(120)를 관리하여 대화 레벨 변화가 일정 횟수 이상 발생했을 경우 레벨 업데이트 진행하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발신하려는 메시지 레벨과 대화 레벨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레벨에 맞지 않은 메시지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송을 확인한 경우, 또는 메시지 입력 중에 사용자에게 재확인 받기 위하여, 발신하려는 메시지 레벨을 판단할 수 있다.
발신하려는 메시지의 레벨과 대화창의 대화 레벨과 비교하고 이 때, 입력된 메시지가 허용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전송 여부 메시지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대화 레벨을 업데이트 하는 경우에 있어서 대화 메시지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예컨대, 극존칭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대화 레벨을 상향하는 가중치가 높게 선택될 수 있고, 비속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대화 레벨을 하향하는 가중치가 높게 선택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해당 휴대단말기(100) 사용자는 (S201)과정에서 채팅 어플리케이션 또는 메시지 대화창 또는 기타 SNS 등과 같은 메시지를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메시지 입력모드로 진입한다.
사용자는 (S202)과정에서 대화 상대를 선택하거나, 또는 대화 그룹을 선택하는 과정을 통해 대화창을 로딩한다. 이 때, 대화 상대에 대한 대화 레벨은 설정에 따라 이전에 저장된 대화 레벨을 호출하여 대화창을 구분하여 보여줄 수도 있고 대화창이 폐쇄되는 경우, 대화 레벨이 삭제될 수도 있다. 대화 레벨이 삭제되는 경우에는 디폴트 값의 대화 레벨을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디폴트 값의 대화 레벨은 매우 어려움, 어려움, 보통, 친함, 매우 친함으로 구분된 경우면, '보통'이 디폴트의 대화 레벨일 수 있다. 또는 상, 중, 하로 구분된 경우면, '중'이 디폴트의 대화 레벨일 수 있다. 또는 대화 레벨이 삭제된 경우 사용자가 직접 대화 레벨을 설정하거나, 메시지가 축적되면 제어부(150)가 대화 레벨을 자동으로 부여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S203)과정에서 대화 레벨에 따라 대화창의 대화 레벨을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대화 레벨에 따라 대화창의 테두리 색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대화창의 대화 레벨을 대화창의 상부에 문자 형태로 표시하거나, 또는 대화창 안에 반투명하게 문자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S204)과정에서 대화창의 입력창에 메시지를 입력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S205)과정에서 입력되는 메시지에 따라 추천어를 표시한다. 이 때 추천어의 표시는 메시지 입력창의 이외의 영역, 예컨대, 메시지 입력창의 상부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대화 레벨이 높은 대화창에 '하이'를 입력하면, 추천단어로 '안녕하세요'를 추천할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대화 레벨이 낮은 대화창에 '안녕하세요'를 입력하면 '하이'라는 메시지를 추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로부터 (S205)과정에서 추천된 메시지를 (S206)과정에서 사용자가 선택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50)는 (S206)과정에서 판단하여 추천된 메시지가 선택된 경우면, (S207)과정에서 추천된 메시지를 메시지 입력창에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S206)과정에서 사용자가 추천된 메시지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면, 메시지를 입력하는 (S204)과정으로 진행한다.
제어부(150)는 (S208)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입력이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50)는 (S208)과정에서 판단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 아닌 경우면, (S204)과정으로 진행하여 사용자로부터 메시지 입력을 대기하고 메시지를 입력받는다.
제어부(150)는 (S208)과정에서 판단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면, (S209)과정에서 전송될 메시지를 대화 레벨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대화 레벨을 업데이트한다. 한편, (S209)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50)는 (S210)과정에서 메시지를 대화창을 통해 전송하고 표시한다.
제어부(150)는 (S211)과정에서 사용자가 대화창을 종료하는 것인지를 판단한다. (S211)과정에서 판단하여 사용자가 대화창을 종료하는 것이 아닌 경우면, 메시지를 입력하는 (S204)과정으로 진행한다.
제어부(150)는 (S211)과정에서 판단하여 사용자가 대화창을 종료하는 경우면, (S212)과정에서 대화 레벨을 저장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대화창에 대한 대화 레벨의 저장에 대한 판단은 설정에 의해 자동 수행할 수 있다. 설정은 대화창을 폐쇄하는 경우 대화 레벨을 저장하거나, 저장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대화창을 종료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대화 레벨을 저장할 지를 문의하여 그 결과에 따라 대화 레벨을 저장하거나, 저장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150)는 (S212)과정에서 판단하여 대화 레벨을 저장하지 않는 경우면, (S213)과정에서 대화 레벨을 삭제한다. 대화 레벨이 삭제된 이후에 동일한 상대방 또는 동일한 그룹으로 대화창이 개설되면, 해당 대화창에 대해서는 디폴트 값의 대화 레벨을 지정하거나, 또는 대화 레벨을 지정하지 않고, 메시지가 축적됨에 따라 대화 레벨을 지정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S212)과정에서 판단하여 대화 레벨을 저장하는 경우면, (S214)과정에서 대화창에 따른 레벨, 즉, 대화 상대 또는 대화 그룹에 따른 대화 레벨을 저장한다. 대화 레벨을 저장시, 메타 데이터로서 대화 내용, 대화창의 개설 날짜 및 폐쇄 날짜, 대화창에 참여한 상대방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도 2에 따라 메시지를 비교하고 비교된 메시지에 따라 레벨을 업데이트 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제어부(150)는 (S301)과정에서 메시지를 분석한다. 메시지 분석은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 규칙기반 추론(Rule-Based Reasoning) 또는 사례기반 추론(Case Based Reasoning)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S302)과정에서 분석된 메시지와 현 대화창의 대화 레벨을 비교한다. 이 때, 대화창의 대화 레벨은 대화창의 대상이 그룹 대화, 그룹 채팅인 경우 그룹에 설정된 대화 레벨일 수 있으며, 1:1 대화인 경우에는 대화 상대에 따라 설정된 대화 레벨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S302)과정에서 분석된 메시지와 대화창의 대화 레벨을 비교하여 대화창에 대응하는 대화 레벨과 같은 레벨이거나, 대화창의 대화 레벨과 다른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50)는 (S302)과정에서의 비교 결과 분석된 메시지가 대화창의 대화 레벨과 동일한 경우면,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인 (S210)과정으로 진행한다. 이 때, 메시지에 허용 범위를 설정하여 메시지와 대화창의 대화 레벨이 다른 경우라도 메시지가 대화창에서 허용한 허용 범위 내에 있다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시지가 대화 레벨의 허용범위에 있는 경우에는 대화 레벨의 변경은 없도록 설정한다.
제어부(150)에서의 비교 결과 분석된 메시지가 대화창의 대화 레벨과 다른 경우면, 즉,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면, 제어부(150)는 (S303)과정에서 입력된 메시지가 대화창의 대화 레벨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50)는 (S303)과정에서 판단하여 입력된 메시지가 대화창의 대화 레벨 이하인 경우면, (S304)과정에서 전송확인 메시지를 표시한다. 전송확인 메시지는 전송, 수정, 취소 중 택일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S305)과정에서 사용자가 표시된 전송 확인 메시지 중 메시지에 대한 전송, 수정, 취소 중 어떤 것을 선택하였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50)는 (S305)과정에서 판단하여 메시지 전송 취소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되면, (S306)과정에서 메시지를 삭제하고 메시지를 입력하는 과정인 (S204)과정으로 진행한다. 제어부(150)는 (S305)과정에서 판단하여 메시지 수정을 선택한 것으로 판단되면, (S307)과정에서 메시지를 수정하고 메시지에 대한 추천어를 제공하는 (S205)과정으로 진행한다. (S305)과정에서 판단하여 메시지 전송을 선택한 것으로 판단되면, (S308)과정에서 대화 레벨을 하향 설정하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인 (S210)과정으로 진행한다.
한편, 제어부(150)는 (S303)과정에서 판단하여 입력된 메시지가 대화창의 대화 레벨 이상인 경우면, (S309)과정에서 대화 레벨을 상향 설정하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인 (S210)과정으로 진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도 3에 따라 대화 레벨을 하향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S401)과정에서 대화 레벨 설정값을 n으로 설정하고, 가중치를 w로 설정한다.
제어부(150)는 (S402)과정에서 대화 레벨 설정값을 1만큼 차감한다. 이 때, 메시지에 가중치가 붙은 경우에는 1에 가중치(w, 자연수)를 곱하여 차감한다. 가중치가 붙지 않은 경우에는 가중치는 1의 값으로 설정된다. 예컨대, 이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수학식 1]
n=n-(1*w)
전술한 가중치는 도 3의 (S301)과정에서 메시지 분석시에 메시지에 어미 또는 단어들에 대하여 분석하고 메시지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대화 레벨이 매우 어려움, 어려움, 보통, 친함, 매우 친함 등의 5가지로 구분된 경우, '어려움'의 대화 레벨로 설정된 대화 그룹에서 메시지 중의 단어에서 '어려움'의 대화 레벨에 맞지 않는 비속어 비율이 높고, 메시지가 '어려움'의 어미에 맞지 않는 해라체가 쓰여진 경우면, 가중치(w)를 2이상의 값으로 설정하여 대화 레벨 설정값의 차감 비율을 높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S403)과정에서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해 변경된 대화 레벨 설정값이 하향임계값(N)보다 작거나 같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하향임계값(N)은 -1 보다 작은 마이너스의 정수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향임계값(N)은 -4보다 작은 정수 값으로 설정한다.
제어부(150)는 (S403)과정에서 판단하여 대화 레벨 설정값이 하향임계값(N)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면, (S404)과정에서 대화 레벨을 하향시켜 업데이트 한다.
제어부(150)는 (S405)과정에서 대화 레벨 설정값을 초기화한다(n=0).
제어부(150)는 (S403)과정에서 판단하여 대화 레벨 설정값이 하향임계값(N) 보다 큰 경우면, (S406)과정에서 대화 레벨 설정값(n)을 저장한다. 이 때, (S406)과정에서 대화 레벨 설정값(n)을 저장하는 것으로 설정하였지만, 도 2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화창을 폐쇄하는 경우 대화 레벨을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특히 (S213)과정에서 대화 레벨을 삭제하는 경우에는 대화 레벨 설정값도 함께 삭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도 3에 따라 대화 레벨을 상향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S501)과정에서 대화 레벨 설정값을 n으로 설정하고, 가중치를 w로 설정한다. 대화 레벨을 업데이트 시 필요한 값으로 대화 레벨 설정값이 일정값 이상이 되거나, 이하가 되면 대화 레벨이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S502)과정에서 대화 레벨 설정값을 1만큼 증가시킨다. 이 때, 메시지에 가중치가 붙은 경우에는 1에 가중치(w, 자연수)를 곱하여 증가시킨다. 가중치가 붙지 않은 경우에는 가중치는 1의 값으로 설정된다. 예컨대, 이를 수학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수학식 2]
n=n+(1*w)
이와 같은 가중치는 (S301)과정에서 메시지 분석시에 메시지에 어미 또는 단어들에 대하여 분석하고 메시지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가중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대화 레벨이 매우 상, 중, 하 등의 3가지로 구분된 경우, '하'의 대화 레벨로 설정된 대화 그룹에서 메시지 중의 단어에서 '하'의 대화 레벨에 맞지 않는 존칭어 비율이 높고, 메시지가 '하'의 어미에 맞지 않는 합쇼체가 쓰여진 경우면, 가중치(w)를 2이상의 값으로 설정하여 대화 레벨 설정값의 증가 비율을 높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S503)과정에서 다음의 수학식 2에 의해 변경된 대화 레벨 설정값이 상향임계값(M)보다 크거나 같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상향임계값(M)은 1보다 큰 자연수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향임계값(M)은 4보다 큰 자연수값으로 설정한다.
제어부(150)는 (S503)과정에서 판단하여 대화 레벨 설정값이 상향임계값(M)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면, (S504)과정에서 대화 레벨을 상향시켜 업데이트 한다.
제어부(150)는 (S505)과정에서 대화 레벨 설정값을 초기화한다(n=0).
제어부(150)는 (S503)과정에서 판단하여 대화 레벨 설정값이 상향임계값(M)보다 작은 경우면, (S506)과정에서 대화 레벨 설정값을 저장한다.
도 5에 도시된 대화 레벨 설정값(n)은 도 4에 도시된 대화 레벨 설정값(n)과 동일한 값이거나, 또는 별도로 관리되는 상이한 값일 수 있다. 예컨대, 도 4와 도 5의 대화 레벨 설정값(n)이 상이한 값인 경우면, 상향의 대화 레벨 설정값과 하향의 대화 레벨 설정값은 각각 카운트되며, 둘 중 하나의 대화 레벨 설정값이 임계값 이상, 이하이거나, 같은 값을 가지는 경우, 상향 및 하향의 대화 레벨 설정값을 모두 초기화시킨다. 즉, 상향 및 하향의 대화 레벨 설정값을 초기화, 즉 0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휴대단말기 110 : 표시부
120 : 저장부 130 : 무선통신부
140 : 입력부 150 : 제어부

Claims (16)

  1.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자가 대화창에 메시지를 입력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 전송을 입력하면, 전송될 메시지를 대화 레벨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대화 레벨을 업데이트하는 과정;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고 전송된 메시지를 대화창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과정 이전에,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대화창을 로딩하면, 상기 대화창의 대화 레벨에 적합한 대화 레벨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입력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입력되는 메시지 및 상기 대화 레벨에 따라 추천어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추천어를 선택하면 상기 추천어가 메시지 입력창에 표시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메시지를 대화창에 표시하는 과정 이후,
    대화창을 종료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판단 과정에서 대화창을 종료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대화창의 대화 레벨을 저장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대화 레벨을 저장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상기 대화 레벨을 저장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대화창의 대화 레벨 및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
    상기 대화창의 대화 레벨을 저장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상기 대화 레벨을 저장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대화창의 대화 레벨을 삭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창의 대화 레벨을 삭제하는 과정 이후, 상기 삭제된 대화방과 동일한 대화창이 개설되면, 상기 대화창에 대해서는 디폴트 값의 대화 레벨을 지정하는 것, 또는 상기 대화창에 대하여 대화 레벨을 지정하지 않고, 메시지가 축적됨에 따른 대화 레벨을 지정하는 것 중 하나에 의해 상기 대화방의 대화 레벨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과정에서의 상기 메타 데이터는 대화 내용, 상기 대화창의 개설 날짜, 폐쇄 날짜, 대화창에 참여한 상대방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창의 상기 대화 레벨을 저장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단말기에 대화 레벨 설정에 의해 자동 결정되는 것, 사용자에게 상기 대화 레벨을 저장할지에 대해 문의하고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결정되는 것 중 하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대화 레벨을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대화 레벨에 따라 대화창을 다르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레벨에 따라 대화창을 다르게 표시하는 것은 대화창의 색, 농도를 다르게 표시하거나, 또는 대화창의 대화 레벨을 문자 형태로 대화창의 상부나, 대화창 안에 표시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레벨을 업데이트하는 과정은,
    상기 메시지를 분석하는 과정;
    상기 분석하는 과정에서 분석된 상기 메시지와 상기 대화창의 대화 레벨을 비교하는 과정;
    상기 비교하는 과정에서의 비교 결과 분석된 메시지가 대화창의 대화 레벨과 다른 경우면, 입력된 메시지가 대화창의 대화 레벨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입력된 메시지가 대화창의 대화 레벨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입력된 메시지가 대화창의 대화 레벨 이하인 경우면, 전송을 할 것인지를 문의하는 전송확인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
    상기 전송확인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에서 전송을 확인한 경우면, 대화 레벨을 하향 설정하는 과정;
    상기 입력된 메시지가 대화창의 대화 레벨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입력된 메시지가 대화창의 대화 레벨 이상인 경우면, 대화 레벨을 상향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하는 과정에서의 비교 결과 분석된 메시지가 대화창의 대화 레벨과 같은 경우, 또는 다른 경우라도 상기 메시지가 상기 대화창의 허용한 대화 레벨의 허용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면,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레벨을 하향 설정하는 과정은,
    기설정된 대화 레벨 설정값과 가중치를 설정하는 과정;
    상기 대화레벨 설정값에서 1에 가중치를 곱한 결과값을 차감하는 과정;
    상기 차감하는 과정에서의 결과값이 상기 기설정된 하향임계값 보다 작거나 같은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작거나 같은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판단하여 상기 대화 레벨 설정값이 하향임계값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면, 상기 대화 레벨을 하향시켜 업데이트 하는 과정;
    대화 레벨 설정값을 초기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작거나 같은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판단하여 상기 대화 레벨 설정값이 하향임계값 보다 큰 경우면, 상기 대화 레벨 설정값을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 레벨을 상향 설정하는 과정은,
    기설정된 대화 레벨 설정값과 가중치를 설정하는 과정;
    상기 대화레벨 설정값에서 1에 가중치를 곱한 결과값을 증가시키는 과정;
    상기 증가시키는 과정에서의 결과값이 상기 기설정된 상향임계값 보다 크거나 같은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크거나 같은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판단하여 상기 대화 레벨 설정값이 상향임계값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면, 상기 대화 레벨을 상향시켜 업데이트 하는 과정;
    대화 레벨 설정값을 초기화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크거나 같은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판단하여 상기 대화 레벨 설정값이 상향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면, 상기 대화 레벨 설정값을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16.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화 레벨에 따라 대응하는 대화창의 GUI를 다르게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대화창에 따른 대화의 대화 레벨을 저장하고, 상기 대화 레벨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대화 레벨에 적합한 추천어를 제시하고, 상기 대화 레벨 변화가 일정 횟수 이상 발생했을 경우 대화 레벨을 상향 또는 하향시키는 대화 레벨 업데이트 진행하며, 발신하려는 메시지 레벨과 대화 레벨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레벨에 맞지 않은 메시지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로부터 확인을 받아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장치.
KR1020130036342A 2013-04-03 2013-04-03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및 장치 KR2014012050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342A KR20140120506A (ko) 2013-04-03 2013-04-03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및 장치
US14/243,226 US20140304346A1 (en) 2013-04-03 2014-04-02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gning conversation level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342A KR20140120506A (ko) 2013-04-03 2013-04-03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506A true KR20140120506A (ko) 2014-10-14

Family

ID=51655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342A KR20140120506A (ko) 2013-04-03 2013-04-03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304346A1 (ko)
KR (1) KR2014012050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837A (ko) * 2018-07-24 2021-04-30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내용 분석을 통해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38655A (ko) * 2021-04-16 2022-03-29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내용 분석을 통해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1811711B2 (en) 2018-07-24 2023-11-07 LINE Plus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ntrolling user access through content analysis of an applic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7580A1 (zh) * 2016-12-15 2018-06-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提示的方法及装置
WO2018128403A1 (en) * 2017-01-06 2018-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tent
US11019001B1 (en) * 2017-02-20 2021-05-25 Snap Inc. Selective presentation of group messages
CN113535021B (zh) * 2021-07-21 2022-12-06 上海掌门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发送会话消息的方法、设备、介质及程序产品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0489B2 (ja) * 2004-03-31 2007-06-13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チャットシステム、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70198645A1 (en) * 2006-02-21 2007-08-23 Yen-Fu Chen Method for providing in-context responses to instant messaging conversations
US20090113315A1 (en) * 2007-10-26 2009-04-30 Yahoo! Inc. Multimedia Enhanced Instant Messaging Engine
US20100304862A1 (en) * 2009-05-29 2010-12-02 Coleman J Todd Collectable card-based game in a massively multiplayer role-playing game that presents real-time state information
US20110282662A1 (en) * 2010-05-11 2011-11-17 Seiko Epson Corporation Customer Service Data Recording Device, Customer Service Data Recor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9489657B2 (en) * 2012-02-21 2016-11-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ggregation and visualization of multiple chat room information
US10880609B2 (en) * 2013-03-14 2020-12-2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ntent event messaging
US10742577B2 (en) * 2013-03-15 2020-08-11 Disney Enterprises, Inc. Real-time search and validation of phrases using linguistic phrase component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837A (ko) * 2018-07-24 2021-04-30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내용 분석을 통해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1811711B2 (en) 2018-07-24 2023-11-07 LINE Plus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ntrolling user access through content analysis of an application
KR20220038655A (ko) * 2021-04-16 2022-03-29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의 내용 분석을 통해 사용자 접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304346A1 (en) 2014-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20506A (ko) 휴대단말기에서의 대화 레벨 부여 방법 및 장치
US10152207B2 (en) Method and device for changing emoticons in a chat interface
US7359688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a status of a portable terminal by using a character image
KR101942308B1 (ko) 메시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770937B1 (ko) 민감 정보의 보안 스크린 공유를 갖는 전자 통신
WO2016086581A1 (zh) 即时通讯的方法和装置
US20120166569A1 (en) Creating rich experiences in mail through attachments
JP2017526074A (ja) メッセージングおよび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キング・アプリケーションのためのユーザ表情ライブラリを生成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8038102B (zh) 表情图像的推荐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1200503B (zh) 聊天信息的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4391626B (zh) 设备列表动态显示的方法及装置
KR20150003652A (ko) 전자 디바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상태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관리하는 방법 및 그 전자 디바이스
KR102558111B1 (ko) 액티브 프렌드 정보의 표시방법, 장치, 전자설비 및 저장매체
KR20150039943A (ko) 인스턴트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302465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Quickly Adding Recipient and Mobile Terminal
US20140039874A1 (en) Automatically Changing a Language for Electronic Messages
JP2009246881A (ja) コンテンツ受信装置
KR20160075457A (ko) 채팅 메시지를 그룹화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서버
KR20150141123A (ko) 인스턴트 메세지를 관리하는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6603381B (zh) 处理聊天信息的方法及装置
KR20220133146A (ko) 사용자 단말, 사용자 단말의 룰 실행 방법, 서버 장치 및 룰 실행 시스템
US2015018886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dat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EP2555127A2 (en) Display apparatus for translating conversations
US20200404039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navigating through a stream of content items
KR20150138513A (ko) 채팅 메시지를 그룹화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