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2362B1 - 위치 지시기 - Google Patents

위치 지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362B1
KR102242362B1 KR1020167022144A KR20167022144A KR102242362B1 KR 102242362 B1 KR102242362 B1 KR 102242362B1 KR 1020167022144 A KR1020167022144 A KR 1020167022144A KR 20167022144 A KR20167022144 A KR 20167022144A KR 102242362 B1 KR102242362 B1 KR 102242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osition indicator
opening
disposed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2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2729A (ko
Inventor
다카유키 아라이
다케노리 가네다
신야 아오키
야스히로 바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Publication of KR20160122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Abstract

위치 지시기의 케이스의 방수(防水) 및 방진(防塵)을 실현한다. 위치 지시기(1a)는, 길이 방향의 일단에 개구부(2a)를 가지는 통 모양의 케이스(2)와, 일단이 개구부(2a)와 대향하도록 케이스(2) 내에 배치되는 막대 모양의 심체(3)와, 케이스(2) 내에 배치되며, 심체(3)의 움직임으로부터 필압을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필압 검출부(4)와, 케이스(2) 내에 배치되며, 케이스(2)의 외부에 대해서 신호의 송신을 행하는 신호 송신부와, 케이스(2)의 내면을 주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덮고, 또한, 심체(3)의 상기 일단의 근방에서 개구부(2a)를 막도록 배치되는 탄성부(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치 지시기{POSITION INDICATOR}
본 발명은 위치 지시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위치 검출 장치에 대해서 포인팅 조작이나 문자 및 도면 등의 입력을 행하는 위치 지시기에 관한 것이다.
판상(板狀)의 입력 유닛인 위치 검출 장치와, 전자(電子) 펜이나 커서(cursor) 등의 위치 지시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터치식의 입력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위치 검출 장치에 따라서는, 단순한 봉(棒)이나 인간의 손가락을 위치 지시기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도 있다. 이러한 입력 시스템은, 일반적으로는 태블릿이나 디지타이저(digitizer) 등의 명칭으로 불리며, PC나 태블릿 단말 등의 컴퓨터에 문자나 일러스트레이션(illustration)을 입력하는 목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위치 검출 장치는, 매트릭스 모양으로 배치된 복수의 선상(線狀) 도체(이하, '루프(loop) 코일'을 포함함)를 가지고 있고, 위치 지시기의 접근에 따라서 이들에 발생하는 전압 또는 그 변화에 근거하여, 위치 지시기의 위치를 검출 가능하게 구성된다.
위치 검출 장치가 위치 지시기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조로서는, 정전(靜電) 방식이나 전자(電磁) 유도 방식 등 각종의 것이 알려져 있다. 정전 방식은, 위치 지시기와, 위치 검출 장치 내의 선상(線狀) 도체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을 이용하는 것이며, 선상 도체마다 전압 변화를 검출하는 자기(自己) 용량 방식과, 교차하는 선상 도체 사이의 전위차의 변화를 검출하는 상호 용량 방식으로 세분화된다. 자기 용량 방식은 또, 위치 검출 장치측에서 선상 도체에 전압을 인가하는 방식과, 위치 지시기로부터 신호를 송신하는 것에 의해서 선상 도체에 전압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분류된다. 전자는, 위치 지시기가 손가락 등의 신호를 송신할 수 없는 것인 경우에 이용되며, 후자는, 위치 지시기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것인 경우에 이용된다. 한편, 전자 유도 방식은, 먼저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 위치 지시기에 대해, 선상 도체를 송신 안테나로서 이용하여 전자파를 송신하고, 그것을 받는 위치 지시기가 송신하는 신호를, 위치 검출 장치에 의해 선상 도체를 수신 안테나로서 이용하여 수신하는 것이다. 전자 유도 방식에서의 송신과 수신은, 시분할(時分割)로 행하여진다.
특허 문헌 1에는, 전자 펜인 위치 지시기의 예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도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전자 펜인 위치 지시기는 일반적으로, 막대 모양의 심체(芯體)와, 이 심체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필압을 검출하는 필압 검출부와,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와, 이들을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를 가지고 구성된다. 케이스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는, 지시부를 돌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마련된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 제5286609호 공보
최근, 상기 입력 시스템의 이용 신(scene)이 옥외로도 확대되고 있고, 그것에 따라 위치 지시기에 방수성(防水性) 및 방진성(防塵性)이 요구되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위치 지시기는, 위에서 설명한 개구부를 외측으로부터 고무 캡에 의해 덮는 것에 의해서, 높은 방수성 및 방진성을 실현하고 있다. 고무 캡에는, 심체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공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위치 지시기와는 다른 방식으로, 위치 지시기의 케이스의 방수 및 방진을 실현할 수 있는 위치 지시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위치 지시기는, 길이 방향의 일단에 제1 개구부를 가지는 통 모양의 케이스와, 일단이 상기 제1 개구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막대 모양의 심체(芯體)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심체의 움직임으로부터 필압(筆壓)을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필압 검출부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대해서 신호의 송신을 행하는 신호 송신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면을 주방향(周方向, 둘레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덮고, 또한, 상기 심체와 상기 제1 개구부의 사이에 상기 제1 개구부를 막도록 배치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의 내면을 주방향(周方向)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덮는 탄성부에 의해서 제1 개구부가 막혀져 있으므로, 물이나 먼지가 제1 개구부를 통해서 케이스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위치 지시기(1a)를 이용하는 전자 기기(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위치 지시기(1a)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b)는, 케이스(2)를 투과적으로 그린 위치 지시기(1a)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도 2의 (b)를 위치 지시기(1a)의 선단 부분의 근방에서 확대한 도면이며, (b)는, 선단 부분의 근방에서의 위치 지시기(1a)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의한 위치 지시기(1a)의 선단 부분 근방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도 2의 (b)를 압하부(壓下部)(9)의 근방에서 확대한 도면이며, (b)는, 압하부(9)의 근방에서의 위치 지시기(1a)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압하부(9)의 형성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의 (a)는, 도 2의 (b)를 위치 지시기(1a)의 말단 부분의 근방에서 확대한 도면이며, (b)는, 위치 지시기(1a)의 내부 구성 중 부품 유지부(11) 및 그 근방에 있는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낸 위치 지시기(1a)의 내부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위치 지시기(1b)의 선단 부분 근방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0의 (a)는, 도 9에 나타낸 위치 지시기(1b)의 내부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b)는, (a)에 나타낸 컨트롤러(40)의 기능 블록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의한 위치 지시기의 선단 부분 근방에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도 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위치 지시기(1a)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위치 지시기(1a)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펜 형상의 장치(전자(電子) 펜)이며, 위에서 설명한 입력 시스템으로서의 전자 기기(200)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전자 기기(200)는, 최근 보급이 진행되고 있는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단말이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화면(200D)을 가지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표시 장치와, 사용하지 않을 때의 위치 지시기(1a)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오목 구멍(201)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 표시 화면(200D)의 뒤측에는, 위치 검출 장치(202)가 배치된다.
위치 검출 장치(202)는, 표시 화면(200D) 내에서의 위치 지시기(1a)의 위치를 검출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위치 지시기(1a)로부터, 표시 화면(200D)으로의 꽉 누르는 힘(필압(筆壓)) 등의 각종 정보를 수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전자 기기(200) 내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미도시)는, 이렇게 하여 위치 검출 장치(202)가 취득한 위치 및 각종 정보에 근거하여, 표시 화면(200D)에 대한 표시 처리를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위치 검출 장치(202)가 위치 지시기(1a)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조로서, 위에서 설명한 전자(電磁) 유도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후술하는 제2 실시 형태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전 방식 등의 다른 방식에도 적용 가능하다.
위치 지시기(1a)는, 도 2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 모양의 케이스(2)의 내부 및 표면에 각종의 부품이 배치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렇게 하여 배치되는 부품에는, 도 2의 (b) 및 도 3의 (b)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체(芯體)(3), 필압 검출부(4), 신호 송수신부(5), 탄성부(6), 펜 선단 칩(7), 페라이트 코어(ferrite core)(8), 압하부(壓下部)(9), 부품 유지부(11), 기판(13), 스위치부(14), 코일(15),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twisted-pair cable)(16), 케이스 캡부(17) 등이 포함된다.
케이스(2)에는, 도 2의 (b) 및 도 5의 (b)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2a~2c)가 마련된다. 이하, 개구부(2a~2c)에 주목하면서, 위치 지시기(1a)의 내외에 배치되는 상기 각 부품에 대해 설명한다.
개구부(2a)(제1 개구부)는 펜 선단 칩(7)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이며, 도 2의 (a) 및 도 3의 (b)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2)의 길이 방향의 일단(도 2의 (a)의 좌측에 위치하는 단부. 이하, 「선단」이라고 칭함)에 마련된다. 유저가 위치 지시기(1a)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펜 선단 칩(7)을 표시 화면(200D)에 맞닿게 하게 된다. 케이스(2)의 선단 부근의 형상은,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을 향해 좁아진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은, 위치 지시기(1a)의 형상을 볼펜이나 연필과 비슷하게 하고, 그것에 의해서 위치 지시기(1a)의 유저에게 볼펜이나 연필과 동등한 사용감을 부여하기 위한 형상이다.
펜 선단 칩(7)은,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기둥 모양의 본체부(7a)와, 본체부(7a)의 일단에 접속되는 원반(圓盤) 모양의 차양부(7b)와, 본체부(7a)의 타단에 접속되는 반구 모양의 돌출 단부(7c)를 가지고 구성된다. 본체부(7a)는, 개구부(2a)를 통과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2a)를 통과시키도록 배치된다. 한편, 차양부(7b)는, 개구부(2a)를 통과시킬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원판의 중심축 방향이 케이스(2)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펜 선단 칩(7)은, 차양부(7b)를 가지고 있는 것에 의해, 케이스(2)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돌출 단부(7c)는, 실리콘 고무 등의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유저에게 쾌적한 필기감을 부여하고 있다. 한편, 본체부(7a) 및 차양부(7b)는, 경질(硬質) 수지 등의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펜 선단 칩(7)에 표시 화면(200D)으로부터 부여되는 작용력(필압)을, 후술하는 심체(3)에 대해서 효율 좋게 전하기 위한 구성이다.
차양부(7b)는,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부(6)와 인접하여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부(7a)와 반대측의 표면에서, 탄성부(6)와 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차양부(7b)에는, 이 탄성부(6)를 매개로 하여 심체(3)의 일단이 부딪히게 된다. 심체(3)는, 일단이 개구부(2a)와 대향하도록 케이스(2) 내에 배치되는 막대 모양의 부재이며, 일단에서 탄성부(6)와 접착되고, 타단에서 필압 검출부(4)에 접속되어 있다. 심체(3)는, 펜 선단 칩(7)의 본체부(7a) 및 차양부(7b)와 동일의 단단한 재료에 의해서 구성되며, 일례로서, 금속과 수지(樹脂)의 혼합 재료에 의해서 구성된다.
펜 선단 칩(7)은, 개구부(2a)로부터 케이스(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심체(3)의 일단을 향하는 방향의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케이스(2)의 안쪽측을 향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 이동에 의해, 상기 외력은, 탄성부(6)를 매개로 하여 심체(3)에도 전달된다. 심체(3)도 또한, 상기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케이스(2)의 안쪽측을 향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필압 검출부(4)는, 심체(3)의 이 움직임을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검출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외력의 크기, 즉 필압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력이 없어진 경우의 펜 선단 칩(7) 및 심체(3)는, 탄성부(6)의 탄력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진다.
탄성부(6)는, 케이스(2)의 내면을 주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덮고, 또한, 심체(3)와 개구부(2a)의 사이에 개구부(2a)를 막도록 배치된 탄성 부재이며, 도 3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킹부(6a), 가압부(6b), 및 홀더부(6c)를 가지고 구성된다. 탄성부(6)는, 전체로서 보면 볼(bowl) 모양의 형상을 하고 있고, 패킹부(6a)가 볼의 가장자리부에, 가압부(6b)가 볼의 저부에 각각 상당하고 있다. 탄성부(6)의 구체적인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고무나 수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패킹부(6a)는, 케이스(2)의 내면을 주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덮도록 구성되는 링 모양의 부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2)의 내면에 주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패킹부(6a)의 구성과, 위에서 설명한 볼 모양으로 되어 있는 탄성부(6)의 전체 형상에 의해, 탄성부(6)는, 개구부(2a)로부터 케이스(2) 내로 침입한 물이나 먼지가 더 안쪽까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防水)·방진(防塵)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가압부(6b)는, 저면이 평면 형상으로 된 볼 모양의 부재이며, 저면에서 펜 선단 칩(7)에 맞닿고 있다. 또, 홀더부(6c)는, 일단에서 패킹부(6a)의 전체 둘레에 접속하고, 타단에서 가압부(6b)의 가장자리부의 전체 둘레에 접속하는 링 모양의 부재이다. 이들 각 부의 구성에 의해, 탄성부(6)는, 위에서 설명한 외력이 펜 선단 칩(7)에 가해진 경우에, 상기 외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펜 선단 칩(7)을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또, 특히 홀더부(6c)는, 링의 중앙을 향해 수축하려고 하는 힘에 의해서, 케이스(2) 내에 배치되는 위치 지시기(1a)의 내부 부품, 구체적으로는 심체(3)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페라이트 코어(8)(상세하게는 후술함)를 유지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홀더부(6c)에 의해 유지되는 내부 부품(페라이트 코어(8))은, 케이스(2)에 대해서 고정된다.
또, 도 3에는 홀더부(6c)의 내경이 일정치인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라이트 코어(8)의 형상에 따라서는, 홀더부(6c)의 일부분 또는 전부의 내경을, 개구부(2a)측으로부터 케이스(2)의 안쪽측에 걸쳐 서서히 확대되도록 구성해도 괜찮다.
다음으로, 개구부(2b)(제2 개구부)는 압하부(9)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이며,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2)의 길이 방향의 측면에 마련된다. 케이스(2)의 길이 방향의 측면에는, 케이스(2)를 관통하지 않는 깊이의 구멍인 오목부(2d)도 마련되어 있고, 개구부(2b)는 이 오목부(2d)의 저면의 내측에 마련된다. 또, 여기서 말하는 「내측」이란, 개구부(2b)의 가장자리부가, 그 전체 둘레에 걸쳐서, 오목부(2d)의 가장자리부보다 내측으로 들어가 있는 것을 말한다. 오목부(2d)의 평면적인 형상은,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서리가 둥근 장방형으로 되어 있다.
압하부(9)는, 도 5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2)의 측면의 외측을 따라서 배치되는 평면부(9a)와, 평면부(9a)의 하면(케이스(2)측의 면)에 배치되는 기둥 모양부(9b)를 가지고 구성된다. 평면부(9a)와 기둥 모양부(9b)는 원래는 별체의 부품이지만, 양면 테이프(10)(접착 수단)에 의해서 서로 접착되는 것에 의해, 일체의 부품을 구성하고 있다. 평면부(9a)는, 오목부(2d)보다 약간 작은 평면 형상을 가지고 있고, 오목부(2d)에 끼워 넣어져 있다. 위에서 설명한 양면 테이프(10)는 평면부(9a)의 하면의 전체에 붙여져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평면부(9a)는, 기둥 모양부(9b)와의 접속 부분을 제외한 하면의 전체에서 오목부(2d)의 저면과 접착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 기둥 모양부(9b)는 케이스(2)에 접착되어 있지 않고, 따라서, 개구부(2b)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평면부(9a)의 상면에는, 도 5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9aa)가 마련된다. 이 돌기부(9aa)는,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부(9a)의 상면의 내측에 배치된다. 「내측」의 의미는, 위에서 설명한 개구부(2b)의 경우와 동일하다. 기둥 모양부(9b)는, 평면적인 형상 및 배치에 관해서 돌기부(9aa)와 동일 형상 및 배치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기둥 모양부(9b)는, 평면부(9a)의 하면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상의 압하부(9)의 구성에 의하면, 기둥 모양부(9b)가 평면부(9a)의 하면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게다가, 평면부(9a)가 기둥 모양부(9b)와의 접속 부분을 제외한 하면의 전체에서 오목부(2d)의 저면과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물이나 먼지는 개구부(2b)를 통해서 케이스(2) 내로 침입할 수 없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한 압하부(9) 및 양면 테이프(10)의 구성은, 개구부(2b)를 통해서 케이스(2) 내로 물이나 먼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방진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돌기부(9aa)를 포함하는 평면부(9a)는 상대적으로 탄성이 높은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고, 기둥 모양부(9b)는 상대적으로 탄성이 낮은 부재에 의해서 구성된다. 구체적인 예에서는, 평면부(9a)는 실리콘 고무에 의해서 구성되며, 기둥 모양부(9b)는 ABS 수지 등의 경질(硬質) 수지에 의해서 구성된다. 또,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둥 모양부(9b)의 하부에는 스위치부(14)가 배치된다. 스위치부(14)는, 기판(13) 상에 재치(載置)되어 있고, 압하되는 것에 의해서 온/오프를 제어 가능하게 구성된다. 게다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둥 모양부(9b)는 케이스(2)에 접착되어 있지 않고, 개구부(2b)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가 돌기부(9aa)를 압하하면, 그 압압력(押壓力)이 평면부(9a)를 매개로 하여 기둥 모양부(9b)에 전달되어, 기둥 모양부(9b)가 하부로 이동한다. 그리고, 그것에 의해서 스위치부(14)가 압하되므로, 스위치부(14)의 온/오프 상태를 전환하는 것이 실현된다. 유저가 돌기부(9aa)를 압하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평면부(9a)의 탄력에 의해서 기둥 모양부(9b)가 상부로 이동하기 때문에, 스위치부(14)는 압하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여기서, 도 6을 참조하면서, 압하부(9)의 형성 및 조립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방법에서는, 먼저 평면부(9a)와, 평면부(9a)와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가지는 양면 테이프(10)를 형성한다. 그리고, 평면부(9a)의 하면에 양면 테이프(10)를 붙이고, 그 상태에서 평면부(9a)의 하면에 기둥 모양부(9b)를 꽉 누른다. 이 때, 평면부(9a)와 기둥 모양부(9b)의 평면적인 위치 관계가, 오목부(2d)와 개구부(2b)의 평면적인 위치 관계와 동일하게 되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하여 평면부(9a)의 하면에 꽉 눌러진 기둥 모양부(9b)는, 양면 테이프(10)에 의해서 평면부(9a)의 하면과 접착한다. 이것에 의해, 압하부(9)가 형성된다. 그 후, 기둥 모양부(9b)가 개구부(2b)를 통과시키도록 하면서, 오목부(2d) 내에 압하부(9)를 끼워 넣는다. 평면부(9a)의 하면에 양면 테이프(10)가 붙여져 있기 때문에, 이렇게 하여 끼워 넣어진 압하부(9)는, 기둥 모양부(9b)와의 접속 부분을 제외한 평면부(9a)의 하면의 전체에서, 오목부(2d)의 저면과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이것 이후, 개구부(2b)를 통해서 케이스(2) 내로 물이나 먼지가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평면부(9a)와 기둥 모양부(9b)를 따로 성형하고, 양면 테이프(10)에 의해서 이들을 접착하는 것에 의해, 하나의 부품으로서의 압하부(9)를 형성하고 있지만, 압하부(9)의 전체를 일체 성형하는 것으로 해도 괜찮다. 이 경우의 압하부(9)의 재료로서는, 평면부(9a)와 기둥 모양부(9b)를 따로 성형한 경우의 평면부(9a)와 동일한, 탄성이 높은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개구부(2c)(제3 개구부)는,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되는 위치 지시기(1a)의 부품(내부 부품)을 케이스(2) 내에 삽입하기 위한 개구이며,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2)의 길이 방향의 타단(도 2의 (a)의 우측에 위치하는 단부. 이하, 「말단」이라고 칭함)에 마련된다. 개구부(2c)에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지시기(1a)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내부 부품)을 유지하고, 케이스(2)에 대해서 고정하기 위한 부품 유지부(11)가 감합(嵌合, 끼워 맞춤)하고 있다. 또, 개구부(2c)의 전체는, 부품 유지부(11)에 감합하는 케이스 캡부(17)에 의해서 씰링되어 있다.
부품 유지부(11)에는,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치는 홈(11a)이 마련된다. 이 홈(11a)에는, O링(12)(밀폐용 부재)이 끼워 넣어져 있고, 부품 유지부(11)는, 이 O링(12)에 의해서 케이스(2)의 내면과 그 주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밀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O링(12)은, 개구부(2c)로부터 케이스(2) 내로 침입한 물이나 먼지가 더 안쪽까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방진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 O링(12)은, 부품 유지부(11)를 케이스(2)에 대해서 고정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또, 부품 유지부(11)는, 도 7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2c)측의 단부에서 케이스 캡부(17)와 접합됨과 아울러, 그 반대측의 단부에서 기판(13)과 접합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품 유지부(11)가 O링(12)에 의해서 케이스(2)에 대해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케이스 캡부(17) 및 기판(13), 또는 기판(13) 상에 형성되는 각종 부품도 케이스(2)에 대해서 고정된다. 또, 부품 유지부(11)와 케이스 캡부(17)를 일체의 부품으로서 구성해도 괜찮다.
이상, 개구부(2a~2c)에 주목하면서, 위치 지시기(1a)의 내외에 배치되는 각종 부품에 대해 설명했다. 다음으로, 아직 설명하고 있지 않은 나머지의 부품의 구성 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라이트 코어(8)는 통 모양의 자성체이며, 통의 내부를 심체(3)가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코일(15)은, 페라이트 코어(8)의 주위에 권회(卷回)된 와이어에 의해서 구성되는 코일이며, 그 중심(中心)을 심체(3)가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코일(15)은,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16)에 의해서, 기판(13)의 상면에 배치되는 신호 송수신부(5)(도 2의 (b)를 참조)와 접속된다.
신호 송수신부(5)(신호 송신부)는, 케이스(2)의 외부에 있는 위치 검출 장치(202)(도 1을 참조)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는 회로 블록이다. 구체적으로는, 위치 검출 장치(202)로부터 위치 지시기(1a)에 대해서 보내어지는 신호를 코일(15)을 매개로 하여 수신하는 기능과, 위치 지시기(1a)로부터 위치 검출 장치(202)에 대해서 보내는 신호를 생성하고, 코일(15)을 매개로 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가지고 구성된다. 송신과 수신은, 시분할로 행하여진다.
신호 송수신부(5)는, 기판(13) 상에 형성되는 배선에 의해 필압 검출부(4) 및 스위치부(14)와 접속되어 있고, 이들로부터, 필압 검출부(4)에 의해서 검출되는 필압을 나타내는 필압 정보와, 스위치부(14)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사이드 스위치(side switch) 정보와의 공급을 받도록 구성된다. 신호 송수신부(5)가 상기와 같이 하여 송신하는 신호에는, 이들 필압 정보 및 사이드 스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신호나, 위치 검출 장치(202)가 위치 지시기(1a)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위치 검출용의 연속 신호 등이 포함된다.
신호 송수신부(5)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60), 전원 회로(61), 및 공진(共振) 회로(62)를 가지고 구성된다. 공진 회로(62)는, 위에서 설명한 코일(15)과, 각각 코일(15)에 병렬로 접속된 콘덴서(64) 및 가변 용량 콘덴서(65)로 구성된다. 또, 공진 회로(62)에는, 스위치(67)를 매개로 하여 콘덴서(66)가 접속되어 있다.
공진 회로(62)는, 위치 검출 장치(202)로부터 송신되는 특정의 주파수의 전자파에 대해서, 공진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공진 회로(62)는, 컨트롤러(60)에 대해, 위치 검출 장치(202)가 송신한 신호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또, 컨트롤러(60)는, 공진 회로(62)를 통해서, 공진에 의해서 발생한 유도 전력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컨트롤러(60)는, 이렇게 하여 송신하는 신호를, 위에서 설명한 필압 정보나 사이드 스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변조(變調)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신호 송수신부(5)로부터 위치 검출 장치(202)로의 정보의 송신이 실현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위치 지시기(1a)에 의하면, 케이스(2)의 내면을 주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덮는 탄성부(6)에 의해서 개구부(2a)가 막히고, 압하부(9)의 일부인 평면부(9a) 및 그 하면에 붙여진 양면 테이프(10)에 의해서 개구부(2b)가 막히며, 부품 유지부(11)와 케이스(2)의 내면을 밀폐하는 O링(12)에 의해서 개구부(2c)가 막혀 있으므로, 개구부(2a~2c)를 통해서 물이나 먼지가 케이스(2) 내로 침입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위치 지시기(1b)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위치 지시기(1b)는, 정전 방식에 의한 위치 검출에 대응하고 있는 점에서, 전자 유도 방식에 의한 위치 검출에 대응하고 있는 위치 지시기(1a)와 다르다. 정전 방식에 대응하는 위치 지시기(1b)는, 위치 검출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수신을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3의 (b)에 나타낸 위치 지시기(1a)의 구성과는 달리, 위치 지시기(1b)에는 코일(15) 및 페라이트 코어(8)가 마련되지 않는다. 따라서, 탄성부(6)의 홀더부(6c)는, 달리 무엇인가를 유지하는 구성으로는 되어 있지 않다. 또, 위치 지시기(1b)에는, 신호 송수신부(5)를 대신하여, 수신 기능이 없는 신호 송신부(미도시)가 마련된다. 이 신호 송신부에 의한 신호의 송신은, 코일(15)을 통해서가 아니라, 안테나로서의 심체(3)를 통해서 행하여진다. 따라서, 위치 지시기(1b)의 심체(3)는, 안테나의 재료에 적합한 금속 재료 등에 의해서 구성된다.
그 외의 점에서는, 위치 지시기(1b)는, 위치 지시기(1a)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위치 지시기(1b)의 개구부(2a~2c)는, 위치 지시기(1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각 대응하는 부재에 의해서 막혀져 있으며, 그 결과로서 위치 지시기(1b)에서도, 개구부(2a~2c)를 통해서 물이나 먼지가 케이스(2) 내로 침입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있다.
이하, 도 10의 (a), (b)를 참조하면서, 심체(3)를 안테나로서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위치 지시기(1b)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위치 지시기(1b)는,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40), 전압 변환 회로(41), 다이오드(42), 콘덴서(43~46), 저항 소자(47), 발진자(發振子)(50), 및 충전용 단자(53)를 가지고 구성된다. 이들은 모두, 위에서 설명한 기판(13)(도 3의 (b)를 참조) 상에 배치된다.
컨트롤러(40)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하는 프로세서이며, 발진자(50)가 생성하는 클록(clock) 신호에 동기(同期)하고, 또한 ROM 내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의 기술(記述)에 따라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클록 신호의 주기는, 예를 들면 60μ초이다. 컨트롤러(40)에는, 발진자(50)에 접속되는 단자 외에, 전원 단자(Vcc), 접지 단자(GND), 및 제어 단자(P1~P5)가 마련된다.
컨트롤러(40)는,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능적으로, 고유 ID 기억부(40a), 정보 취득부(40b), 발진 제어부(40c), 및 발진기(40d)를 가지고 구성된다. 이들 중 정보 취득부(40b), 발진 제어부(40c), 및 발진기(40d)는, 위에서 설명한 신호 송신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 정보 취득부(40b)는, 콘덴서(45) 및 저항 소자(47)와 함께, 필압 검출부(4)(도 3의 (b)를 참조)로서의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40)의 전원 단자(Vcc)에는, 전압 변환 회로(41)를 매개로 하여 콘덴서(43)가 접속된다. 콘덴서(43)는, 위치 지시기(1b)의 전원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전기 이중층 콘덴서이며, 양극(陽極)이 전압 변환 회로(41)의 입력단에 접속되고, 음극(陰極)이 접지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전압 변환 회로(41)는 DCDC 컨버터이며, 콘덴서(43)의 양단 전압을 컨트롤러(40)의 정격(定格) 전압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콘덴서(43)의 양극은, 다이오드(42)를 매개로 하여, 충전용 단자(53)에도 접속된다. 충전용 단자(53)는 플러스측과 마이너스측의 2단자로 이루어지며, 콘덴서(43)의 양극에 접속되는 것은 플러스측의 단자이다. 마이너스측의 단자는, 위치 지시기(1b) 내에서 접지된다. 충전용 단자(53)는 전원 공급 장치가 접속되는 단자이며, 충전용 단자(53)에 전원 공급 장치가 접속된 상태에서는, 콘덴서(43)의 충전이 실행된다. 전원 공급 장치로서는, 케이스(2) 내에 수납 가능한 사이즈의 전지(電池) 등(미도시)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 단자(Vcc)와 접지 단자(GND)의 사이에는, 콘덴서(44)가 접속된다. 콘덴서(44)는, 전압 변환 회로(41)로부터 컨트롤러(40)에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마련하고 있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수십~수백μF 정도의 알루미늄 전해(電解) 콘덴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압 변환 회로(41)는, 콘덴서(44)의 양단 전압에 따라서, 강압(降壓) 동작과 승압(昇壓) 동작 중 어느 하나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콘덴서(44)의 양단 전압의 최대 전압은 컨트롤러(40)의 정격 전압을 상회하는 값으로 설계되어 있고, 따라서, 콘덴서(44)가 충분히 충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콘덴서(44)의 양단 전압은 컨트롤러(40)의 정격 전압을 상회하고 있다. 그래서, 이 경우에서의 전압 변환 회로(41)는, 전원 단자(Vcc)에 공급되는 전압이 컨트롤러(40)의 정격 전압이 되도록, 강압 동작을 행한다. 한편, 콘덴서(44)의 충전이 부족한 경우에는 콘덴서(44)의 양단 전압이 컨트롤러(40)의 정격 전압을 하회하는 경우가 있고, 그러한 경우의 전압 변환 회로(41)는, 전원 단자(Vcc)에 공급되는 전압이 컨트롤러(40)의 정격 전압이 되도록, 승압 동작을 행한다.
전압 변환 회로(41)는, 컨트롤러(40)의 제어 단자(P1, P2)에도 접속된다. 컨트롤러(40)가, 제어 단자(P1)를 통해서 전압 변환 회로(41)에 대해 소정의 제어 신호를 공급하면, 전압 변환 회로(41)는, 콘덴서(44)의 양단 전압을 검출하여, 그 전압값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 단자(P2)로 출력한다.
컨트롤러(40)의 정보 취득부(40b)는, 이렇게 하여 제어 단자(P2)에 공급된 신호에 근거하여 콘덴서(44)의 충전이 필요한지 아닌가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나타내는 충전 요구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충전 요구 정보는,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 1,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0이 되는 1비트의 정보이다.
제어 단자(P3)는, 콘덴서(45) 및 저항 소자(47)의 각각을 매개로 하여, 접지단(接地端)에 접속된다. 콘덴서(45)는, 심체(3)와 연결된 가변 용량 콘덴서이며, 위치 지시기(1b)를 표시 화면(200D)(도 1을 참조)에 꽉 눌렀을 때에 표시 화면(200D)으로부터 펜 선단 칩(7)(도 9를 참조)에 부여되는 작용력(필압)에 따라서, 그 용량이 변화하도록 구성된다.
컨트롤러(40)의 정보 취득부(40b)는, 제어 단자(P3)의 전압 상태로부터, 위에서 설명한 필압을 나타내는 필압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이 취득은, 위치 지시기(1b)의 신호 송신부가, 위에서 설명한 위치 검출용의 연속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동안에 행하여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정보 취득부(40b)는 먼저, 신호 송신부가 연속 신호의 송신을 개시한 직후로부터 소정 시간에 걸쳐서, 제어 단자(P3)의 전위(電位)를 전원 전위로 한다. 전원 전위는, 예를 들면 1.5V이다. 이 동작은, 그 시점에서의 필압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 동작에 의해 콘덴서(45)에는 전하가 축적되게 되지만, 그 축적량은, 그 시점에서의 콘덴서(45)의 용량에 따라 변화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덴서(45)의 용량은 필압에 따라 변화하므로, 콘덴서(45)에 축적된 전하의 양은 필압을 반영한 것이 된다.
다음으로, 정보 취득부(40b)는, 제어 단자(P3)를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콘덴서(45)에 축적된 전하가 저항 소자(47)를 매개로 하여 방전된다. 정보 취득부(40b)는, 이 방전의 결과, 제어 단자(P3)의 전위가 전원 전위 1.5V의 절반인 전위 0.75V에 이를 때까지의 경과 시간을 측정한다. 이렇게 하여 측정된 경과 시간은, 콘덴서(45)의 용량이 클수록 긴 시간이 된다. 따라서, 정보 취득부(40b)는, 측정된 경과 시간으부터 필압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취득되는 필압 정보는, 10~12비트의 정보가 된다.
제어 단자(P4)는, 스위치부(14)를 매개로 하여, 접지단에 접속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치부(14)의 온/오프 상태는, 유저에 의한 압하부(9)(도 5의 (a), (b)를 참조)의 압하에 의해서 제어된다. 컨트롤러(40)의 정보 취득부(40b)는, 제어 단자(P4)의 전압 상태로부터 스위치부(14)의 온/오프 상태를 판정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스위치부(14)의 온/오프 상태를 나타내는 사이드 스위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위치부(14)가 1개뿐이므로, 사이드 스위치 정보는 1비트의 정보가 된다. 또, 위치 지시기(1b)에 복수의 스위치부(14)를 마련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그 경우에는, 스위치부(14)마다 위에서 설명한 방수·방진 수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제어 단자(P5)는, 콘덴서(46)를 매개로 하여 심체(3)에 접속된다. 또, 심체(3)의 주위에 위치하는 케이스(2)는, 접지되어 있다.
컨트롤러(40)의 고유 ID 기억부(40a)는, 상기 위치 지시기(1b)에 미리 부여된 고유 ID를 기억하고 있다. 고유 ID는, 다른 위치 지시기(1b)에 부여된 것과는 다른 당해 위치 지시기(1b)에 대한 고유의 정보이며, 예를 들면, 위치 지시기(1b)의 개체 번호, 위치 지시기(1b)의 소유자 식별 코드(전자 펜의 소유자에 할당되어지는 유저 ID 등), 위치 지시기(1b)의 종류, 제조자 번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유 ID의 사이즈는, 일례에서는 51비트이다. 고유 ID 기억부(40a)에 기억되는 고유 ID는, 정보 취득부(40b)에 의해서 취득된다.
컨트롤러(40)의 발진 제어부(40c)는, 발진기(40d)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발진기(40d)에 2치(値) ASK(Amplitude Shift Keying)에 의한 변조 신호를 출력시키는 회로이다. 발진기(40d)는, 소정 주파수의 정현파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 단자(P5)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발진 제어부(40c)는, 이러한 발진기(40d)의 출력을, 정보 취득부(40b)가 취득한 각종 정보(고유 ID, 충전 요구 정보, 필압 정보, 사이드 스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온 또는 오프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 단자(P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2치 ASK(Amplitude Shift Keying)에 의해서 변조된 신호가 된다.
이렇게 하여 생성된 변조 신호는, 콘덴서(46)를 매개로 하여 심체(3)에 공급된다. 또, 콘덴서(46)는, 변조 신호로부터 직류 바이어스(bias)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심체(3)에 도달한 변조 신호는 전자파로서 공중으로 송출되고, 도 1에 나타낸 위치 검출 장치(202)에 의해서 수신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에 하등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이,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부(6)를 볼 모양으로 성형하고 있었지만, 방수·방진을 실현하는 관점에서는, 링 모양의 패킹부의 중앙 부분에 막(膜) 모양의 탄성 부재가 펼쳐져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렇게 해도, 개구부(2a)로부터 케이스(2) 내로 침입한 물이나 먼지가, 탄성부(6)를 넘어 더 안쪽까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부(6)의 중앙 부분(평판상(平板狀)의 가압부(6b)의 중앙에 상당하는 부분)에 구멍(6d)을 형성함과 아울러, 차양부(7b)를 제외하고 구성한 펜 선단 칩(7)과 심체(3)를 일체로 하여 형성하며, 구멍(6d)에 심체(3)를 관통시키는 것으로 해도 괜찮다. 이 경우, 펜 선단 칩(7)의 직경을 심체(3)의 직경보다 크게 함으로써 펜 선단 칩(7)과 심체(3)의 결합 부분에 단차(S)를 마련함과 아울러, 구멍(6d)의 가장자리에 상당하는 탄성부(6)의 일부를 패킹부(6e)(내측 패킹부)로 하고, 게다가 단차(S)에 이 패킹부(6e)를 맞닿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바람직한 방수·방진을 실현할 수 있다. 또, 패킹부(6e)의 구성(구체적으로는 직경, 재질 등)은, 가압부(6b)에 가압부로서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고, 또한, 펜 선단 칩(7) 및 심체(3)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 심체(3)를 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체결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a, 1b : 위치 지시기 2 : 케이스
2a~2c : 케이스의 개구부 2d : 케이스 표면의 오목부
3 : 심체 4 : 필압 검출부
5 : 신호 송수신부 6 : 탄성부
6a, 6e : 탄성부의 패킹부 6b : 탄성부의 가압부
6c : 탄성부의 홀더부 6d : 탄성부의 구멍
7 : 펜 선단 칩 7a : 펜 선단 칩의 본체부
7b : 펜 선단 칩의 차양부 7c : 펜 선단 칩의 돌출 단부
8 : 페라이트 코어 9 : 압하부
9a : 압하부의 평면부 9aa : 평면부의 돌기부
9b : 압하부의 기둥 모양부 10 : 양면 테이프
11 : 부품 유지부 11a : 부품 유지부의 홈
12 : O링 13 : 기판
14 : 스위치부 15 : 코일
16 :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17 : 케이스 캡부
40 : 컨트롤러 40a : 고유 ID 기억부
40b : 정보 취득부 40c : 발진 제어부
40d : 발진기 41 : 전압 변환 회로
42 : 다이오드 43~46, 64~66 : 콘덴서
47 : 저항 소자 50 : 발진자
53 : 충전용 단자 60 : 컨트롤러
61 : 전원 회로 62 : 공진 회로
67 : 스위치 200 : 전자 기기
200D : 표시 화면 201 : 수납 오목 구멍
202 : 위치 검출 장치 GND : 접지 단자
P1~P5 : 제어 단자 S : 단차
Vcc : 전원 단자

Claims (16)

  1. 길이 방향의 일단에 제1 개구부를 가지는 통 모양의 케이스와,
    일단이 상기 제1 개구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막대 모양의 심체(芯體)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심체의 움직임으로부터 필압(筆壓)을 검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필압 검출부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대해서 신호의 송신을 행하는 신호 송신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면을 주방향(周方向)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덮고, 또한, 상기 심체의 상기 일단의 근방에서 상기 제1 개구부를 막도록 배치되는 탄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을 주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덮는 링 모양의 패킹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심체의 상기 일단과 상기 제1 개구부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를 통과시키도록 배치되는 본체부, 및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차양부를 가지는 펜 선단 칩을 더 구비하며,
    상기 차양부는, 상기 제1 개구부를 통과시킬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탄성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기 심체의 일단을 향하는 방향의 외력이 상기 본체부에 가해진 경우에, 상기 외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상기 펜 선단 칩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펜 선단 칩은, 상기 외력이 상기 본체부에 가해진 경우에, 상기 탄성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외력을 상기 심체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외력이 상기 본체부에 가해진 경우에, 상기 외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상기 펜 선단 칩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내부 부품을 더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내부 부품을 유지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내부 부품을 상기 케이스에 대해서 고정하는 홀더부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내부 부품을 더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면을 주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덮는 링 모양의 패킹부와,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상기 심체의 일단을 향하는 방향의 외력이 상기 본체부에 가해진 경우에, 상기 외력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상기 펜 선단 칩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와,
    상기 내부 부품을 유지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내부 부품을 상기 케이스에 대해서 고정하는 홀더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내부 부품은, 페라이트 코어(ferrite cor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단에서 상기 심체와의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면서 상기 심체의 상기 일단과 일체화하고, 또한, 상기 제1 개구부를 통과시키도록 배치되는 펜 선단 칩을 더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는, 중앙 부분에 구멍을 가지고,
    상기 탄성부 중 상기 구멍의 가장자리에 상당하는 일부는 내측 패킹부를 구성하며,
    상기 심체는, 상기 구멍을 통과시키도록 배치되고,
    상기 내측 패킹부는, 상기 단차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11. 청구항 1, 2, 3, 4, 6, 7, 8, 9,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측면의 외측을 따라서 배치되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의 상기 케이스측의 표면의 내측에 배치되는 기둥 모양부를 가지는 압하부(壓下部)를 더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는, 길이 방향의 측면에 제2 개구부를 더 가지고,
    상기 평면부는, 상기 제2 개구부를 통과시킬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기둥 모양부는, 상기 제2 개구부를 통과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는 상대적으로 탄성이 높은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고,
    상기 기둥 모양부는 상대적으로 탄성이 낮은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와 상기 케이스를 접착하는 접착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접착 수단은, 상기 평면부와 상기 기둥 모양부의 접착도 더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15. 청구항 1, 2, 3, 4, 6, 7, 8, 9,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길이 방향의 타단에 제3 개구부를 더 가지며,
    상기 위치 지시기는,
    상기 제3 개구부에 감합(嵌合)하는 부품 유지부와,
    상기 부품 유지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면을 밀폐하는 밀폐용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는 내부 부품을 더 구비하며,
    상기 부품 유지부는, 상기 내부 부품을 유지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내부 부품을 상기 케이스에 대해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지시기.
KR1020167022144A 2014-02-12 2015-01-29 위치 지시기 KR1022423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23970 2014-02-12
JP2014023970 2014-02-12
PCT/JP2015/052446 WO2015122280A1 (ja) 2014-02-12 2015-01-29 位置指示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729A KR20160122729A (ko) 2016-10-24
KR102242362B1 true KR102242362B1 (ko) 2021-04-20

Family

ID=53800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144A KR102242362B1 (ko) 2014-02-12 2015-01-29 위치 지시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61406B2 (ko)
EP (1) EP3106966B1 (ko)
JP (1) JP6476140B2 (ko)
KR (1) KR102242362B1 (ko)
CN (1) CN106415449B (ko)
WO (1) WO20151222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68804B2 (en) * 2015-09-08 2019-01-01 Apple Inc. Stylus for electronic devices
JP6403181B2 (ja) 2016-03-01 2018-10-10 株式会社ワコム 電子ペン、電子ペン本体部及び電子ペン本体部の製法
JP6694347B2 (ja) 2016-07-25 2020-05-13 株式会社ワコム 電子ペン
JP6945034B2 (ja) * 2016-07-25 2021-10-06 株式会社ワコム 電子ペン
KR101859035B1 (ko) * 2017-03-21 2018-05-18 주식회사 더한 방수 기능을 갖는 위치 지시기용 전자펜
WO2018230077A1 (ja) * 2017-06-13 2018-12-20 株式会社ワコム 電子ペン
TWI709019B (zh) * 2018-03-30 2020-11-01 日商京瓷股份有限公司 電感用芯、電子筆用芯體部、電子筆及輸入裝置
TWI709020B (zh) * 2018-03-30 2020-11-01 日商京瓷股份有限公司 電感用芯、電子筆用芯體部、電子筆及輸入裝置
TWI709021B (zh) * 2018-03-30 2020-11-01 日商京瓷股份有限公司 電感用芯、電子筆用芯體部、電子筆及輸入裝置
CN112236742B (zh) 2018-07-20 2024-02-23 株式会社和冠 防水型电子笔
CN110825246B (zh) * 2018-08-07 2023-05-23 深圳普赢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侧压式位置指示装置
WO2021065791A1 (ja) * 2019-09-30 2021-04-08 京セラ株式会社 インダクタ用コア、電子ペンおよび入力装置
JP1663478S (ko) * 2019-10-17 2020-07-13
JP1663475S (ko) * 2019-10-17 2020-07-13
JP7171861B2 (ja) * 2020-04-17 2022-11-15 株式会社ワコム 電子ペン
KR20230095912A (ko) 2020-11-06 2023-06-29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전자 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8193A (ja) * 2009-02-24 2010-09-09 Wacom Co Ltd 位置指示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0685B2 (ja) * 1990-08-06 2001-03-26 株式会社ワコム 可変容量コンデンサ
JPH0635592A (ja) * 1992-07-13 1994-02-10 Fujikura Rubber Ltd スタイラスペン
US6985138B2 (en) * 2003-08-29 2006-01-10 Motorola, Inc. Input writing device
JP4857451B2 (ja) * 2007-09-28 2012-01-18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
CN201142064Y (zh) * 2008-01-10 2008-10-29 环隆电气股份有限公司 触控笔
US8212795B2 (en) * 2008-05-21 2012-07-03 Hypercom Corporation Payment terminal stylus with touch screen contact detection
JP5888838B2 (ja) * 2010-04-13 2016-03-22 グリッドマーク株式会社 手書き入力ボードを用いた手書き入力システム、手書き入力ボード、スキャナーペンおよび手書き入力ボードを用いた情報処理システム
JP5991735B2 (ja) * 2012-04-13 2016-09-14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
EP2690529B1 (en) * 2012-07-24 2017-03-15 BlackBerry Limited Force sensing stylus
US20140347327A1 (en) * 2013-05-24 2014-11-27 Chi-Ming Wu Touch pen structure
CN203338261U (zh) * 2013-05-31 2013-12-11 梁徽湖 具有防水功能的触控笔
CN204044768U (zh) * 2014-08-22 2014-12-24 昆盈企业股份有限公司 防水触控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8193A (ja) * 2009-02-24 2010-09-09 Wacom Co Ltd 位置指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61406B2 (en) 2018-08-28
WO2015122280A1 (ja) 2015-08-20
US20160349865A1 (en) 2016-12-01
CN106415449B (zh) 2019-08-09
EP3106966A4 (en) 2017-12-27
JPWO2015122280A1 (ja) 2017-03-30
KR20160122729A (ko) 2016-10-24
CN106415449A (zh) 2017-02-15
EP3106966B1 (en) 2019-12-11
JP6476140B2 (ja) 2019-02-27
EP3106966A1 (en)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2362B1 (ko) 위치 지시기
JP6487694B2 (ja) 位置指示器及び信号処理装置
KR102655772B1 (ko) 전자 펜
CN107521259B (zh) 书写工具和电子笔主体部
KR102414407B1 (ko) 전자 펜 및 전자 펜 본체부
CN110007783B (zh) 电子笔及电子笔主体部
JP6544791B2 (ja) 位置指示器、信号処理回路、信号供給制御方法及び信号処理方法
JP6452185B2 (ja) 電子ペンおよび電子ペン本体部
US9513719B2 (en) Pen pressure detecting module and position indicator
KR102405865B1 (ko) 입력 장치와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40192030A1 (en) Stylus and related human interface devices with dynamic power control circuits
EP3605283B1 (en) Position indicator
KR102476127B1 (ko) 전자 장치와 연결된 스타일러스 펜과 연관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KR102475781B1 (ko) 배터리를 충전하는 디지털 펜 및 그 동작 방법
KR20200039959A (ko) 펜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861081B2 (en) Stylus pen, electronic device for recognizing stylus pen,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1200971B1 (ko) 터치스크린용 터치부재
US11941186B2 (en) Electronic pen
US11941194B2 (en) Electronic pen cartridge
TWI837019B (zh) 電子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