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2291B1 - 진동기를 이용한 마장대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진동기를 이용한 마장대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291B1
KR102242291B1 KR1020200138453A KR20200138453A KR102242291B1 KR 102242291 B1 KR102242291 B1 KR 102242291B1 KR 1020200138453 A KR1020200138453 A KR 1020200138453A KR 20200138453 A KR20200138453 A KR 20200138453A KR 102242291 B1 KR102242291 B1 KR 102242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vibrator
pair
cylinders
ho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상옥
이재환
오하늘
백영숙
최옥인
민병주
Original Assignee
(주) 연안관리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연안관리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주) 연안관리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200138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2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진동기를 이용한 마장대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정 길이의 원통이 세로로 절단되어 내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한쌍의 반원통; 상기 한쌍의 반원통의 일측 절단부에 각각 원통형상으로 번갈아 돌출형성된 경첩부; 상기 경첩부의 내부에 삽입된 힌지핀; 상기 한쌍의 반원통의 타측 절단부측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U"자 형상의 포크부; 일측 "U"자 형상의 포크부의 돌출된 단부 사이에 형성된 걸이막대; 상기 걸이막대에 고리부가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아이볼트; 상기 아이볼트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잠금너트; 하부가 막힌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반원통의 일측에 고정된 타격홀더; 및 상기 타격홀더에 타격봉을 삽입하여 단속적인 타격을 가하는 진동기;가 포함되어, 마장대를 반원통에 끼워넣고 아이볼트를 포크부에 걸고 잠금너트로 잠근 후, 진동기로 상기 타격홀더를 가격하는 방법으로 갯벌에 마장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동기를 이용한 마장대 설치장치{A mudflat pole driving equipment using a vibrator}
본발명은 진동기를 이용한 마장대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힌지결합된 한쌍의 반원통에 원통형 타격홀더가 구비된 마장대고정구를 마장대에 결합하고, 진동기로 타격홀더를 가격하면서 마장대를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마장대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장대는 양식장 등에서 스티로폼 부구나 그물망 등의 양식용 설비들을 바다에 고정하기 위해 갯벌에 삽입되는 대나무나 파이프로 제작되는 장대의 일종으로 보통 마장대, 부동대, 간답대, 지주대나 지지대 등으로 불리우고 있다.
마장대는 곧고 긴 대나무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대나무는 해수에 의해 부식이 쉽게 발생하고 물기가 대나무 내부에 스며들어 쉽게 부러지므로 요즘에는 대나무를 폴리에틸렌(PE),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합성수지로 피복하여 내구력을 증진시킨 마장대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마장대는 갯벌에 깊숙하게 꽂아두지 않으면 자체의 부력에 의해 쉽게 떠올라 유실될 수 있어 유지보수에 어려움이 있으며, 풍랑에 의해서 지주목이 빠져 양식장 설비와 함께 유실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격심한 풍랑에 의해 지주목 자체가 심하게 흔들려 부러지고, 마장대와 양식설비 사이의 마찰로 인해 합성수지 피복이 벗겨져 내부에 부식이 발생하여 수명이 짧아지는 경우도 흔히 있다.
이와 같이 수명이 짧고, 자체 부력에 의해 쉽게 뽑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29312호에서는 마장대가 갯벌에 쉽게 꼽히도록 하측 단부를 예각으로 구성하고, 합성수지재로 코팅된 몸체의 내부에 부력을 상쇄시킬 수 있는 철심을 삽입하고, 하부를 실링처리하여 철심의 부식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마장대가 부력에 의해 쉽게 뽑히지 않게 하는데 기여한바 있으나 폐기시 적절한 수거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환경훼손이 초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23686호에서는 마장대의 하광부에 스파이럴앵커(Spiral Anchor)와 날카로운 첨부를 형성함으로서, 마장대를 갯바닥에 설치할때 마장대의 몸통만을 나사식으로 돌리면, 스파이럴앵커가 갯바닥을 파고들어 마장대가 갯바닥에 깊숙히 삽입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마장대는 길이가 길어 쉽게 휘어지므로 상측 단부를 망치로 때려 박을 수 없고, 마장대를 갯벌에 설치할 때 처음에 얕은 깊이로 꽂을 때는 마장대 자체의 무게를 받아 쉽게 꽂아지지만, 마장대를 해수에 의해 뽑히지 않을 정도의 깊이로 꽂기 위해서 마장대의 하부에 가로대를 묶어 두사람이 마장대를 잡고 가로대를 밟고 체충을 실으면서 마장대를 설치하고 있으나, 갯벌의 탄성으로 밟은 만큼 다시 튀어 나오는 성질이 있어 마장대를 안정적으로 설치하는 일이 쉽지 않다. 스파이럴앵커가 부착된 마장대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마장대에 가로대를 먼저 묶고, 보통 두사람이 마장대를 잡고 가로대를 이용해 마장대를 돌리면서 갯벌에 깊게 삽입할 수 있지만, 금속으로 제작된 스파이럴앵커가 마장대마다 부착되어 마장대의 단가가 올라가고, 마장대에 가로대를 묶었다 풀어야 하는 번잡한 작업을 반복해야 하며, 사용후 폐기시 환경훼손의 우려가 있으며, 인건비가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2931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23686호
본 발명은 종래의 마장대 설치작업을 개선하기 위하여 마장대를 박을 때 갯벌의 탄성이 작용되지 않는 방법을 찾고, 이를 수행할 설치장치를 개발하여, 마장대 설치를 단순화하여 번잡한 작업이 소요되는 가로대 설치를 생략할 수 있으며, 사용후 환경훼손이 최소화 되는 마장대 설치방법과 설치장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정 길이의 원통이 세로로 절단되어 내부에 개구부(230)가 형성된 한쌍의 반원통(200); 상기 한쌍의 반원통(200)의 일측 절단부에 각각 원통형상으로 번갈아 돌출형성된 경첩부(250); 상기 경첩부(250)의 내부에 삽입된 힌지핀(270); 상기 한쌍의 반원통(200)의 타측 절단부측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U"자 형상의 포크부(300); 일측 "U"자 형상의 포크부(300)의 돌출된 단부 사이에 형성된 걸이막대(350); 상기 걸이막대(350)에 고리부가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아이볼트(400); 상기 아이볼트(400)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잠금너트(450); 하부가 막힌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반원통(200)의 일측에 고정된 타격홀더(500); 및 상기 타격홀더(500)에 타격봉을 삽입하여 단속적인 타격을 가하는 진동기(600);가 포함되어, 마장대를 반원통(200)에 끼워넣고 아이볼트(400)를 포크부(300)에 걸고 잠금너트(450)로 잠근 후, 진동기(600)로 상기 타격홀더(500)를 가격하여 갯벌에 마장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마장대를 갯벌에 박을 때 갯벌의 탄성이 작용되지 않아 힘들이지 않고 마장대 설치할 수 있고, 설치와 해체가 번잡한 가로대 설치를 생략하여 능률적으로 작업이 가능하며, 마장대 해체 후에도 환경을 훼손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이용해 갯벌에 마장대를 설치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장대고정구를 마장대에 결합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장대고정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장대고정구의 분해도
이하 상기에 첨부한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기를 이용한 마장대 설치장치와 설치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이용해 갯벌에 마장대를 설치하는 설명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장대고정구를 마장대에 결합하는 설명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장대고정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장대고정구의 분해도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갯벌에 마장대를 설치하는 것이 갯벌의 탄성으로 쉽지 않고, 설치된 마장대가 파도나 바람에 흔들려 뽑혀 시설물과 함께 유실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유실을 막기위해 수많은 마장대를 주기적으로 보수해야 하는 어려움을 개선하고자 마장대에 가로대 설치와 해체 작업을 간소화하고, 갯벌의 탄성을 이겨내고 마장대를 설치하는 여러가지 방법을 시도하다가 마장대에 막대기를 세로 방향으로 간단하게 묶어두고, 콘크리트를 다질 때 사용되는 진동기로 막대기를 누르면서 마장대를 삽입하면 갯벌의 탄성을 이겨내고 마장대가 쉽게 박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종래의 방법은 갯벌에 마장대를 밀어 넣는 작용에 의해 마장대를 받아 들여 압축되는 주변 토사가 한 덩어리로 안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압축에 대응되는 반발력이 발생하여 마장대를 밀어내는 반작용이 작용되고, 이러한 작용과 반작용에 일정한 주기가 있어 한번 밀어 넣으면 이에 대응되는 시간에 반작용이 발생하는데, 진동기로 마장대를 박을 때에는 매우 짧은 시간에 수많은 타격을 가하여 마장대에 반발력이 작용될 주기가 깨어져 반발력이 작용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크기가 큰 진동기(600)를 소형 진동기로 교체하고, 마장대를 묶는 로프와 막대기를 금속으로 바꾼 마장대고정구(150)에 타격홀더(500)를 부착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갯벌에 박는 마장대, 마장대를 고정하기 위한 마장대고정구(150), 진동기(600)와 필요시 간격메꿈 벨트(700)로 구성되며, 진동기(600)는 토목공사에 쓰이는 콘크리트 시공용의 진동기(振動機)로 동력은 전동식(電動式)과 공기식(空氣式)이 있는데 매분 5,000~12,000번의 진동을 주어 액체상태인 콘크리트의 빈틈을 없앰과 동시에 잘 다져서 치밀한 조직이 되게 한다. 진동기에는 내부진동기와 외부진동기가 있는데, 내부진동기의 진동체는 봉상(棒狀)이다. 외부진동기에는 형틀진동기 ·테이블진동기 및 표면진동기 등이 있으며, 외부로부터 진동을 주어 다지게 되어 있다. 동력은 전동식(電動式)과 공기식(空氣式)이 있는데 매우 빠른 진동을 주어 액체상태인 콘크리트의빈틈을 없앰과 동시에 잘 다져서 치밀한 조직이 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진동기(600)은 공지된 것이 사용되므로 진동기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마장대고정구(15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마장대고정구(150)의 몸체는 일정 길이의 원통이 세로로 절단되어 내부에 개구부(230)가 형성된 한쌍의 금속제 반원통(200)으로 구성된다. 반원통(200)의 일측 절단부에는 창문의 힌지부에 쓰이는 경첩과 같은 2개 이상의 짧은 원통이 서로 번갈아 돌출되는 형태의 경첩부(250)가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고, 원통의 내부에는 머리부가 있는 힌지핀(270)이 회동가능하게 삽입되어 타단부에 너트를 결합하여 고정하거나 타측을 망치로 가격해 뭉툭하게 가공하여 빠지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한쌍의 반원통(200)은 경첩부(250)의 힌지작용에 의해 열리고 닫히는 구조가 되고, 반원통(200)의 내부는 마장대를 감싸는 개구부(230)가 형성된다.
열리고 닫히는 반원통(200)을 잠그는 작용을 하기 위해 양측 반원통(200)의 타측 절단부의 상하부에 "U"자 형상의 포크부(300)가 외측으로 수직이 되게 용접 등에 의해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일측 "U"자 형상 포크부(300)의 양단부에는 걸이막대(350)가 설치되는데, 한쪽에 고리부가 형성된 아이볼트(400)가 각각 설치되므로, 미리 준비된 아이볼트(400)를 걸이막대(350)에 끼운 상태로 "U"자 형상 포크부(300)의 양단부에 용접하거나. 돌출된 포크부(300)의 측면을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하여 핀 형태의 걸이막대(350)를 끼워 고정할 수도 있다.
아이볼트(400)가 결합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통(200)의 개구부(230)에 마장대를 삽입하고 반원통(200)을 닫은 후 아이볼트(400)를 타측 포크부(300)에 끼워 넣고 아이볼트(400)의 단부에 잠금너트(450)를 체결하여 잠글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잠금너트(450)는 손으로 체결하기 편리하도록 손잡이가 달린 것이 좋은데, 손잡이의 형태가 고리형태인 아이너트를 사용하면, 미관도 좋을 뿐만 아니라 사람과 접촉시 충격을 완화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진동기(600)가 작용하는 타격홀더(500)는 하부가 막힌 파이프 형상으로 제작되어 일측 반원통(200)의 측면에 세로로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반원통과 타격홀더가 분리된 것을 용접에 의해 결합시키지만 많은 분량을 양산한다면 금형에 의해 반원통과 함께 한꺼번에 통째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진동기의 타격봉을 타격홀더의 구멍 속에 넣고 타격을 가하므로 타격봉이 미끌어지는 일이 없어 안정적으로 작업을 할 수 있다.
마장대고정구(150)는 금속으로 제작되어 개구부(230)의 크기를 임으로 변경할 수 없는데, 마장대는 굵기가 서로 달라 개구부(230)의 크기 보다 마장대가 굵거나 작은 경우가 발생하는데, 반원통(200)의 개구부(230) 지름이 약간 큰 7cm 정도로 하고, 마장대의 굵기가 작은 경우 마장대에 천, 가죽, 고무 등으로 제작된 간격메꿈 벨트(700)를 감은 후 마장대고정구(150)를 체결하면 마장대에 입혀진 피복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을 이용한 마장대 설치방법은 마장대의 체결위치에 마장대와 반원통의 개구부 사이의 간격을 메꾸는 간격메꿈 벨트(700)를 감은 후, 마장대고정구(150)의 개구부(230)에 마장대를 넣은 후 아이볼트(400)를 포크부(300)에 걸고 잠금너트(450)로 잠궈 마장대를 고정한 후, 마장대를 갯벌에 세우고 진동기(600)의 타격봉을 타격홀더(500)에 꼽은 후 진동기(600)를 작동시키면서 누르면 갯벌의 탄성을 극복하고 마장대를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마장대를 갯벌에 박을 때 갯벌의 탄성이 작용되지 않아 힘들이지 않고 마장대 설치할 수 있고, 설치와 해체가 번잡한 가로대 설치를 생략하여 능률적으로 작업이 가능하며, 마장대 해체 후에도 환경을 훼손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어 그러한 균등범위까지 포함할 수 있다.
10 : 마장대 100 : 마장대 설치장치
150 : 마장대고정구 200 : 반원통
230 : 개구부 250 : 경첩부
270 : 힌지핀 300 : 포크부
350 : 걸이막대 400 : 아이볼트
450 : 잠금너트 500 : 타격홀더
600 : 진동기 700 : 간격메꿈 벨트

Claims (4)

  1. 일정 길이의 원통이 세로로 절단되어 내부에 개구부(230)가 형성된 한쌍의 반원통(200);
    상기 한쌍의 반원통(200)의 일측 절단부에 각각 원통형상으로 번갈아 돌출형성된 경첩부(250);
    상기 경첩부(250)의 내부에 삽입된 힌지핀(270);
    상기 한쌍의 반원통(200)의 타측 절단부측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U"자 형상의 포크부(300);
    일측 "U"자 형상의 포크부(300)의 돌출된 단부 사이에 형성된 걸이막대(350);
    상기 걸이막대(350)에 고리부가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아이볼트(400);
    상기 아이볼트(400)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잠금너트(450);
    하부가 막힌 파이프 형상으로 상기 반원통(200)의 일측에 고정된 타격홀더(500); 및
    상기 타격홀더(500)에 타격봉을 삽입하여 단속적인 타격을 가하는 진동기(600);가 포함되어, 마장대를 반원통(200)에 끼워넣고 아이볼트(400)를 포크부(300)에 걸고 잠금너트(450)로 잠근 후, 진동기(600)로 상기 타격홀더(500)를 가격하여 갯벌에 마장대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기(600)를 이용한 마장대 설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마장대와 반원통(200)의 개구부(230) 사이의 간격을 메꾸기 위해 간격메꿈 벨트(7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기(600)를 이용한 마장대 설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너트(450)는 손잡이의 형태가 고리형태인 아이너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기(600)를 이용한 마장대 설치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진동기를 이용한 마장대 설치장치를 이용해 갯벌에 마장대를 설치하는 진동기를 이용한 마장대 설치방법.



KR1020200138453A 2020-10-23 2020-10-23 진동기를 이용한 마장대 설치장치 KR102242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453A KR102242291B1 (ko) 2020-10-23 2020-10-23 진동기를 이용한 마장대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453A KR102242291B1 (ko) 2020-10-23 2020-10-23 진동기를 이용한 마장대 설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291B1 true KR102242291B1 (ko) 2021-04-20

Family

ID=75743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453A KR102242291B1 (ko) 2020-10-23 2020-10-23 진동기를 이용한 마장대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29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0668U (ko) * 1984-09-28 1986-04-24
JPH0610349A (ja) * 1993-02-13 1994-01-18 Hitachi Constr Mach Co Ltd 杭打装置
KR100223686B1 (ko) 1996-09-20 1999-10-15 신용기 김양식장용마장대제조방법
KR200313499Y1 (ko) * 2003-02-15 2003-05-16 배상열 파이프 고정구
KR200329312Y1 (ko) 2003-07-16 2003-10-08 이성주 마장대
KR20050007875A (ko) * 2003-07-12 2005-01-21 박복임 고막양식그물의 고정지주
JP2008263827A (ja) * 2007-04-18 2008-11-06 Daiichi Vinyl Kk 枝状部材を具える打ち込み式支柱装置
KR20110096276A (ko) * 2010-02-22 2011-08-30 노화준 지주 설치용 공구 유닛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0668U (ko) * 1984-09-28 1986-04-24
JPH0610349A (ja) * 1993-02-13 1994-01-18 Hitachi Constr Mach Co Ltd 杭打装置
KR100223686B1 (ko) 1996-09-20 1999-10-15 신용기 김양식장용마장대제조방법
KR200313499Y1 (ko) * 2003-02-15 2003-05-16 배상열 파이프 고정구
KR20050007875A (ko) * 2003-07-12 2005-01-21 박복임 고막양식그물의 고정지주
KR200329312Y1 (ko) 2003-07-16 2003-10-08 이성주 마장대
JP2008263827A (ja) * 2007-04-18 2008-11-06 Daiichi Vinyl Kk 枝状部材を具える打ち込み式支柱装置
KR20110096276A (ko) * 2010-02-22 2011-08-30 노화준 지주 설치용 공구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62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communication cable support structure
US103645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e stake mounting
JP5140747B2 (ja) 拡孔支圧型アンカー構造
US20140053476A1 (en) Ground Anchor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2242291B1 (ko) 진동기를 이용한 마장대 설치장치
KR200425700Y1 (ko)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토류벽 충전재
KR101864383B1 (ko) 흙막이 지보공의 어스앵커
JP2011080195A (ja) アンカー装置およびアンカーの施工法
KR101903699B1 (ko) 앵커 어셈블리
KR100690014B1 (ko) 나선판을 갖는 강재 구조
JP3160202U (ja) 型枠連結金物
JP3936989B2 (ja) コンクリート躯体の補強工法
KR102159398B1 (ko) 소일네일링공법을 적용한 옹벽 구조물 고정장치
JP3278419B2 (ja) コア穴の修復方法
KR100447967B1 (ko) 앵커공법용 인장부재 해체장치
JP5070087B2 (ja) 木杭用引抜き装置
KR20030074099A (ko) 앵커공법용 인장재의 체결 및 해체장치
KR100494011B1 (ko) 인장부재 해체장치용 앵커
JPH11510230A (ja) 地中にグランドアンカーを入れる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アンカー
CN214245778U (zh) 一种土体预应力锚固构件
KR100997426B1 (ko) 지중앵커파일의 심재 접속용 고정구
KR101696169B1 (ko) 진동항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굴착방법
JP4014030B2 (ja) 杭圧入装置
KR101284182B1 (ko) 프리스트레스트를 이용한 지반강화 록볼트와 이의 제작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86937B1 (ko) 지반보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