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747B1 - IoT 통신기능을 가진 부단수 물방향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IoT 통신기능을 가진 부단수 물방향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747B1
KR102241747B1 KR1020210003032A KR20210003032A KR102241747B1 KR 102241747 B1 KR102241747 B1 KR 102241747B1 KR 1020210003032 A KR1020210003032 A KR 1020210003032A KR 20210003032 A KR20210003032 A KR 20210003032A KR 102241747 B1 KR102241747 B1 KR 102241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flap
water
resistance valu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용관
Original Assignee
안용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용관 filed Critical 안용관
Priority to KR1020210003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7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5Arrangement of devices for control of pressure or flow rat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의 일측에 마련된 밸브에 체결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수밀상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가이드봉, 상기 가이드봉의 일측 말단부에 마련된 플랩홀더, 상기 플랩홀더에 축 결합하여, 상기 관로 내 유체 흐름을 따라 젖혀지는 플랩, 및 상기 플랩이 젖혀진 모습을 출력하거나, 젖혀진 방향을 감지한 결과를 출력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물방향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IoT 통신기능을 가진 부단수 물방향 표시장치 {WATER DIRECTION INDICATOR HAVING IoT COMMUNICATION FUNCTION WITHOUT WATER OUTAGE}
본 발명은 물방향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내부에 유체가 흐르는 관로에 단수(斷水) 없이 체결되어 유체의 흐름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물방향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관로 내 물이 흐르는 방향을 확인하기 위해 여러가지 방법이 고안되고 있다.
일 예로, 관로 내 흐르는 물 따위의 유체에 대한 흐름방향을 확인하기 위해 관로 내 유수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를 넣고 관로에 투명창을 설치함으로써, 육안으로 직접 물방향을 확인하는 방법 등이 고안되었으나, 관로를 단수하여야 하는 불편함 등에 의해 실제 적용에 문제가 있었다.
또 부단수 내시경 장치의 경우 관로 내 물방향만을 확인하기에는 해당 장치가 너무 고가이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어사, 관로 내부의 물방향만을 알 수 있는 장치는 현재 전무한 실정이다.
상수관로의 모든 관은 불투명한 재질로 관 내부가 보이질 않아 물이 흐르는 방향을 육안으로는 확인할 수가 없기 때문에, 작업자는 지식이나 경험 따위에 의해 수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가압장에서 시작하는 방향으로, 배수지에서 내려오는 방향으로 물이 흐르는 것으로 판단하여, 수계 구성이나 유수율을 높이기 위한 블록 고립 등을 계획하고 있다.
그러나 복잡한 격자 구조의 수계(상수관망)이거나 사용량에 따라 양방향으로 물이 흐르는 곳에서는 정확한 물방향을 알 수가 없어, 블록 고립 작업시 출구쪽의 밸브를 닫아야 하는데 물방향을 잘못 판단하여 입구 쪽의 밸브를 닫아서 급수 불량 민원이 발생하거나, 수압이 약해 경계밸브를 열 경우 물방향이 바뀌어 적수 현상이 발생하거나, 계량기에서 역방향 유량을 측정하지 못하거나, 정방향과 역방향을 혼동하여 계산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유수율 계산에 혼동을 주는 사례가 발생하곤 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실시간으로 정확한 물방향을 확인하여 최적의 물공급 조건을 형성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안정적인 물공급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KR 10-1547959 B1 "유체 흐름 발광표시장치" KR 10-0608158 B1 "유체 흐름 확인 장치" KR 10-0878037 B1 "유체흐름 표시 기능을 구비한 밸브" KR 10-0989067 B1 "상수도용 부단수 내시경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조사방법" KR 10-0807391 B1 "부단수 관로 촬영장치"
본 발명은, 외부에서 육안으로 관로 내부를 확인할 수 없는 관로 내 물방향을 부단수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물방향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관로의 일측에 마련된 밸브에 체결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수밀상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가이드봉, 상기 가이드봉의 일측 말단부에 마련된 플랩홀더, 상기 플랩홀더에 축 결합하여, 상기 관로 내 유체 흐름을 따라 젖혀지는 플랩, 및 상기 플랩이 젖혀진 모습을 출력하거나, 젖혀진 방향을 감지한 결과를 출력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물방향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 내 상기 가이드봉을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나사,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 내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하우징 내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감압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플랩은, 전도성의 기준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플랩홀더는, 상기 플랩이 일측 방향으로 젖혀졌을 때 상기 기준접점과 마주하는 정방향접점과, 상기 플랩이 타측 방향으로 젖혀졌을 때 상기 기준접점과 주하는 역방향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접점과 상기 정방향접점 간, 또는 상기 기준접점과 상기 역방향접점 간의 저항을 측정하여 상기 관로 내 유체의 방향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접점과 상기 정방향접점 간의 저항값(F)이 상기 기준접점과 상기 역방향접점 간의 저항값(R)보다 작고, 상기 기준접점과 상기 역방향접점 간의 저항값(R)이 상기 기준접점과 상기 정방향접점 간의 저항값(F)의 n배수 이상이면, 상기 관로 내 유체의 방향이 정방향임을 판단하고, 상기 기준접점과 상기 정방향접점 간의 저항값(F)이 상기 기준접점과 상기 역방향접점 간의 저항값(R)보다 작고, 상기 기준접점과 상기 역방향접점 간의 저항값(R)이 상기 기준접점과 상기 정방향접점 간의 저항값(F)의 n배수 미만이면, 상기 관로 내 유체가 정지되어 있음을 판단하되, 상기 n은 2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이드봉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플랩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랩의 양면은 서로 다른 외관을 갖되,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기존 수압계가 설치된 곳에 부단수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방향 표시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수관로에 물방향 표시장치를 설치해 놓으면 필요시 이동단말기에 케이블을 연결하여 손쉽게 물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방향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을 일단부에 포함한 가이드봉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홀더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방향을 판단하는 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물방향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을 일단부에 포함한 가이드봉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통신기능을 가진 부단수 물방향 표시장치는, 관로(1)의 일측에 마련된 밸브에 체결되는 하우징(30)와, 하우징(30)의 내측에 수밀상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가이드봉(60)과, 가이드봉(60)의 일측 말단부에 마련된 플랩홀더(20a)와, 플랩홀더(20a)에 축 결합하여 관로(1) 내 유체 흐름을 따라 젖혀지는 플랩(20b)과, 플랩(20b)이 젖혀진 모습을 출력하거나, 젖혀진 방향을 감지한 결과를 출력하는 표시장치(110, 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물방향 표시장치의 하우징은 종래 관로(1)의 일측에 마련된 니플(11)이나 이에 체결된 분수밸브(12)에 부단수로 설치할 수 있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표시장치를 통해 작업자는 손쉽게 관로 내 물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방향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물방향 표시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을 일단부에 포함한 가이드봉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방향 표시장치의 하우징(30)은 관로(1)의 일측에 마련된 분수밸브(12)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관로(1)는 내부에 유체가 흘러 유로를 형성하는 관이면,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주철관이나 PE관, 강관이나 STS관 등일 수 있다.
분수밸브(12)는 관로(1)에서 분기된 관로 상에 마련되어 분기된 관로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나, 일 예로 관로(1) 내 수압 등을 확인하기 위해 체결되는 새들분수전의 볼밸브나, 강관 등의 일측에 연통 가능하도록 고정된 니플(11)에 체결된 볼밸브 등일 수 있다.
분수밸브(12)의 폐쇄하고 하우징(30)을 분수밸브(12)에 체결하거나 분리함으로써, 관로(1)의 단수 없이 하우징(30)을 관로(1)에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분수밸브(12) 내, 밸브의 개폐에 따라 자전하는 관통공을 가진 볼(b1)의 내경은, 후술하는 가이드봉(60)의 외경 이상이어서, 가이드봉(60)은 밸브 개방시 분수밸브(12) 내 볼(b1)을 관통하여 관로(1) 측으로 슬라이등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하우징(30)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관의 형태로, 내측에는 하우징(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봉(60)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은 플랩(20b)이 관로(1) 내로 도입되도록 가이드봉(60)이 관로(1) 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반대로 가이드봉(60)이 관로(1)로부터 인출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30)의 일측단부는 개방되어 분수밸브(12)에 연통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나, 하우징(30)의 타측단부는 방수용 어댑터(4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어댑터(40)는 하우징(30)의 타측단부에 결합되되, 하우징(30) 내 가이드봉(60)이 어댑터(40)와 수밀상태를 유지하면서 하우징(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어댑터(40) 내 상기 가이드봉(60)이 삽입되는 관통공의 내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오링(41, 42)이 마련될 수 있다. 어댑터(40)의 관통공 내주면에 마련된 오링홈에 오링(41, 42)이 끼워지고, 오링(41, 42)의 내주면이 가이드봉(60)의 외주면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누수 없이 가이드봉(60)을 하우징(30) 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관로(1)의 내부와 연통가능하도록 체결된 하우징(30) 내에서 하우징(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봉(60)이 이동할 때, 관로(1)로부터 유입된 유체에 의한 압력으로 가이드봉(60)의 이동이 저지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30) 내 압력을 낮추기 위해 하우징(30)의 일측에는 하우징(30) 내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감압밸브(31)가 마련될 수 있다.
즉, 감압밸브(31)의 개방시 하우징(30) 내 유체가 감압밸브(3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하우징(30) 내 압력이 낮아져, 가이드봉(60)의 이동에 대한 간섭을 줄일 수 있다. 감압밸브(31)는 가이드봉(60)의 이동시 압력에 따른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개방되고, 이 이외에는 폐쇄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어댑터(40)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나사(35a, 35b)가 관통 체결될 수 있다.
고정나사(35a, 35b)에 상응하여 가이드봉(60)의 소정 높이에는, 외주면에 고정나사(35a, 35b)의 말단부가 압입되어 가이드봉(60)을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홈의 높이는 플랩(20b)이 관로(1) 내에 도입된 상태일 때, 고정나사(35a, 35b)가 홈에 끼워질 수 있는 높이일 수 있다.
가이드봉(60)은 관로(1) 내 유체의 압력에 의해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압력에 밀리지 않도록 고정나사(35a, 35b)를 체결 조작함으로써 가이드봉(6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가이드봉(60)의 이동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봉(60)의 일측 말단부에는 플랩홀더(20a)가 마련될 수 있고, 플랩홀더(20a)에는 관로(1) 내 유체의 흐름에 따라 젖혀지도록 플랩(20b)이 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봉(60)의 타측 말단부에는 봉캡(62)이 체결되어 가이드봉(60)의 말단부를 밀봉 마감할 수 있고,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봉캡(62)에는 외관상 서로 구분될 수 있는 정방향손잡이(65a)와 역방향손잡이(65b)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봉(60)의 내부에는, 관로(1) 내로부터의 유체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에폭시 따위의 충진재가 충진될 수 있다.
다시 돌아와, 가이드봉(60)의 관로(1) 측을 향한 말단부에는 플랩홀더(20a)가 끼움 결합 등으로 결합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홀더(20a)에는 플랩(20b)의 일측 가장자리가 가이드봉(60)의 관경을 가로지르도록 핀 고정 방식 등으로 축 결합되어, 플랩(20b)이 관로(1) 내 도입되면, 플랩(20b)은 물흐름에 따라 회전축(a1)을 기준으로 자유 회동할 수 있다.
결국, 제어부(미도시)는 플랩(20b)이 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 즉 플랩(20b)이 젖혀진 방향을 감지하거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젖혀진 플랩(20b)의 모습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플랩(20b)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로(1) 내 유체의 흐름에 따라 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동이 용이하도록 두께가 얇은 대략 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플랩(20b)의 일측 가장자리는 플랩홀더(20a)의 일측 말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판상의 플랩(20b)은 양면에 돌출되도록 마련된 전도성의 기준접점(21)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랩(20b)이 회전축(a1)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양면 각각에 돌출된 기준접점(21)이 회전방향에 따라 정방향접점(22)과 접하거나 또는 이와 반대로 역방향접점(23)과 접할 수 있다.
회전축(a1)은 플랩홀더(20a)의 횡방향 단면의 중심을 지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정방향접점(22)과 역방향접점(23) 각각은 회동하는 플랩(20b)의 기준접점(21)과 대향하는 위치에 돌출형성될 수 있다.
기준접점(21), 정방향접점(22) 및 역방향접점(23)은 각각 통전 가능하도록 도선이 연결되어, 제어부(미도시)는 기준접점(21)과 정방향접점(22) 간의 저항을 측정하거나, 또는 기준접점(21)과 역방향접점(23) 간의 저항을 측정하고, 이렇게 측정된 저항값을 이용으로써, 관로(1) 내 물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방향을 판단하는 방법의 단계별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는 먼저 기준접점(21)과 정방향접점(22), 그리고 기준접점(21)과 역방향접점(23) 간의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S10 단계). 그 다음 기준접점(21) 및 정방향접점(22) 간의 저항값(F)과, 기준접점(21) 및 역방향접점(23) 간의 저항값(R)을 서로 비교(S20 단계)하여, 그 중 현저하게 낮은 저항값을 가진 접점측에 대응하는 방향을 관로(1) 내 물방향으로 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는 기준접점(21)과 정방향접점(22)이 접하여 저항값이 현저히 낮은 경우, 관로(1) 내 물방향이 정방향임을 판단할 수 있다. 정방향접점(22)과 역방향접점(23)을 가진 플랩홀더(20a)는 관로(1) 내 위치하면 외부에서 육안으로 이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정방향접점(22)이 위치한 방향과 상응하는 방향에는 정방향손잡이(65a)가 마련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역방향접점(23)이 위치한 방향과 상응하는 방향에는 역방향손잡이(65b)가 마련될 수 있다.
만약, 제어부는 기준접점(21)과 정방향접점(22) 간의 저항값(F)이 기준접점(21)과 역방향접점(23) 간의 저항값(R)보다 작았으나, 두 저항값(R, F) 간의 차이가 크지 않으면, 관로(1) 내 물방향이 정방향도 아니고 역방향도 아닌, 정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가 두 저항값(R, F) 간의 차이가 큰지 혹은 그렇지 않은지에 대한 판단은 상대적으로 작은 저항값에 2 이상의 정수인 n을 곱한 값이 상대적으로 큰 저항값 이하인지 여부로 할 수 있다(S31 및 S32 단계).
일 예로, 기준접점(21)과 정방향접점(22) 간의 저항값(F)이 기준접점(21)과 역방향접점(23) 간의 저항값(R)보다 작았으나, 기준접점(21)과 역방향접점(23) 간의 저항값(R)이 기준접점(21)과 정방향접점(22) 간의 저항값(F)의 2배 이상 크다면 두 저항값의 차이가 현저히 큰 것으로 판단하여, 관로(1) 내 물방향이 정방향이라고 판단(S41 단계)할 수 있지만, 이와 달리, 기준접점(21)과 역방향접점(23) 간의 저항값(R)이 기준접점(21)과 정방향접점(22) 간의 저항값(F)의 2배에 미치지 않으면 두 저항값의 차이가 현저히 크지 않아 관로(1) 내 물방향이 정지된 것으로 판단(S43 단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기준접점(21)과 역방향접점(23) 간의 저항값(R)이 기준접점(21)과 정방향접점(22) 간의 저항값(F)보다 작았으나, 기준접점(21)과 정방향접점(22) 간의 저항값(F)이 기준접점(21)과 역방향접점(23) 간의 저항값(R)의 2배 이상 크다면 두 저항값의 차이가 현저히 큰 것으로 판단하여, 관로(1) 내 물방향이 역방향이라고 판단(S42 단계)할 수 있지만, 이와 달리, 기준접점(21)과 정방향접점(22) 간의 저항값(F)이 기준접점(21)과 역방향접점(23) 간의 저항값(R)의 2배에 미치지 않으면 두 저항값의 차이가 현저히 크지 않아 관로(1) 내 물방향이 정지된 것으로 판단(S43 단계)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기준접점(21)과 정방향접점(22) 간, 그리고 기준접점(21)과 역방향접점(23) 간의 저항을 측정하여 저항값이 작은 방향을 물방향으로 하기 때문에, 스케일 등의 이유로 접점 간 접촉하지 않은 경우라도 물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110)는 제어부와 케이블(61a) 따위나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물방향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 등으로 외부 출력할 수 있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장치로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라, 표시장치(110)는 상기 제어부가 접점들에 대하여 측정한 저항값을 근거로 판단한 물방향 결과를 복수의 LED를 포함한 LED 모듈(111)을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가 관로(1) 내 물방향이 정방향이라고 판단하면 정방향 LED를 점멸할 수 있고, 반대로 관로(1) 내 물방향이 역방향이라고 판단하면 역방향 LED를 점멸할 수 있으며, 관로(1) 내 물방향이 정지라고 판단하면, 정방향 LED와 역방향 LED 모두를 점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표시장치(110)에 출력된 LED 점멸 상태로부터 관로(1) 내 물방향을 인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낮은 저항값을 갖는 방향(정방향 또는 역방향)은 물론, 그 저항값이나, 그 저항값에 대응하는 수질척도를 표시장치(110)에 전송하여, 표시토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봉(60)의 일측 말단부에 마련된 플랩홀더(20a)에는 관로(1) 내 유체의 흐름에 따라 젖혀지도록 플랩(20b)이 축 결합될 수 있으나, 이때 플랩(20b)이 젖혀져 있는지 여부를 접점 방식이 아닌 카메라를 이용하여 그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물방향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랩을 일단부에 포함한 가이드봉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7은 플랩(72b)이 관로(1) 내로 도입되도록 가이드봉(60)이 관로(1) 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는 반대로 가이드봉(60)이 관로(1)로부터 인출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랩(20b)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91)가 가이드봉(60) 내부에 개재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91)는 카메라하우징(90) 내부에 방수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카메라(91), 구체적으로 카메라(91)의 렌즈는 관로(1) 내 플랩(20b)을 바라보도록 설치되어, 카메라(91)에 의해 획득된 영상은 케이블(61b)로 연결된 표시장치(120)에 출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이드봉(60)의 관로(1) 측을 향한 말단부에 마련된 플랩홀더(71)에, 플랩(72)의 일측 가장자리가 가이드봉(60)의 관경을 가로지르도록 핀 고정 방식 등으로 축 결합되어, 플랩(72)이 관로(1) 내 도입되면, 플랩(72)은 물흐름에 따라 회전축(a2)을 기준으로 자유 회동할 수 있다. 즉, 두께가 얇은 대략 판 형상의 플랩(72)은 일측 가장자리가 플랩홀더(71)의 일측 말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축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91)에 의해 획득한 영상만으로 관로(1) 내 물방향을 작업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유체 흐름에 따라 ?뽀賤測? 플랩(72)의 양면(72a, 72b)은 서로 다른 외관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플랩(72)의 양면(72a, 72b)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거나, 서로 다른 모양 또는 글자를 갖거나, 이들이 조합된 모습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플랩(72)의 일면(72a)에는 정방향을 나타내는 파란색 화살표가 도안화 될 수 있고, 그 반대면(72b)에는 역방향을 나타내는 빨간색 화살표가 도안화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카메라(91)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나타난 그래픽을 보고 관로(1) 내 물방향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정방향의 플랩(72)의 일면(72a)과 상응하는 방향에는 정방향손잡이(65a)가 마련될 수 있고, 이와 반대로 역방향의 플랩(72)의 타면(72b)과 상응하는 방향에는 역방향손잡이(65b)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120)는 카메라(91)(또는 제어부)와 케이블(61b) 따위나 무선으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카메라(91)에 의해 획득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장치로서,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표시장치(120)가 출력하는 화면의 예시를 도 10에 도시하였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120)는 가이드봉(60)에 대응하는 그래픽(121a)과, 그 안에 플랩(121b)의 일 면에 대응하는 그래픽(121b)을 화면에 출력할 수 있고, 작업자는 표시장치(120)에 실시간으로 출력된 플랩(72)에 대한 영상을 이용하여 관로(1) 내 물방향을 인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관로 11: 니플
12: 분수밸브 20a: 플랩홀더
20b: 플랩 21: 기준접점
22: 정방향접점 23: 역방향접점
30: 하우징 31: 감압밸브
35a, 35b: 고정나사 40: 어댑터
41, 42: 오링 60: 가이드봉
61a, 61b: 케이블 62: 봉캡
65a: 정방향손잡이 65b: 역방향손잡이
71: 플랩홀더 72: 플랩
90: 카메라하우징 91: 카메라
110, 120: 표시장치

Claims (5)

  1. 관로의 일측에 마련된 밸브에 체결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수밀상태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가이드봉;
    상기 가이드봉의 일측 말단부에 마련된 플랩홀더;
    상기 플랩홀더에 축 결합하여, 상기 관로 내 유체 흐름을 따라 젖혀지는 플랩; 및
    상기 플랩이 젖혀진 모습을 출력하거나, 젖혀진 방향을 감지한 결과를 출력하는 표시장치;
    를 포함하는 물방향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 내 상기 가이드봉을 고정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나사;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 내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하우징 내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감압밸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방향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은, 전도성의 기준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플랩홀더는, 상기 플랩이 일측 방향으로 젖혀졌을 때 상기 기준접점과 마주하는 정방향접점과, 상기 플랩이 타측 방향으로 젖혀졌을 때 상기 기준접점과 주하는 역방향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기준접점과 상기 정방향접점 간, 또는 상기 기준접점과 상기 역방향접점 간의 저항을 측정하여 상기 관로 내 유체의 방향을 판단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방향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접점과 상기 정방향접점 간의 저항값(F)이 상기 기준접점과 상기 역방향접점 간의 저항값(R)보다 작고, 상기 기준접점과 상기 역방향접점 간의 저항값(R)이 상기 기준접점과 상기 정방향접점 간의 저항값(F)의 n배수 이상이면, 상기 관로 내 유체의 방향이 정방향임을 판단하고,
    상기 기준접점과 상기 정방향접점 간의 저항값(F)이 상기 기준접점과 상기 역방향접점 간의 저항값(R)보다 작고, 상기 기준접점과 상기 역방향접점 간의 저항값(R)이 상기 기준접점과 상기 정방향접점 간의 저항값(F)의 n배수 미만이면, 상기 관로 내 유체가 정지되어 있음을 판단하되,
    상기 n은 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방향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플랩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랩의 양면은 서로 다른 외관을 갖되,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방향 표시장치.
KR1020210003032A 2021-01-11 2021-01-11 IoT 통신기능을 가진 부단수 물방향 표시장치 KR102241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032A KR102241747B1 (ko) 2021-01-11 2021-01-11 IoT 통신기능을 가진 부단수 물방향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032A KR102241747B1 (ko) 2021-01-11 2021-01-11 IoT 통신기능을 가진 부단수 물방향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747B1 true KR102241747B1 (ko) 2021-04-16

Family

ID=75743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032A KR102241747B1 (ko) 2021-01-11 2021-01-11 IoT 통신기능을 가진 부단수 물방향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7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326B1 (ko) 2021-09-09 2022-07-14 (주)유수 부단수 회전형 관로 내부 촬영장치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6245A1 (en) * 1997-02-14 1998-08-20 Resmed Limited An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flow rate of a fluid through a conduit
JP2001311739A (ja) * 2000-04-28 2001-11-09 Kurimoto Ltd 流向計
KR100608158B1 (ko) 2001-11-27 2006-08-02 김효태 관로의 유체흐름확인장치
KR100807391B1 (ko) 2007-07-27 2008-02-28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부단수 관로 촬영장치
KR100878037B1 (ko) 2008-07-21 2009-01-13 주식회사현대밸브 유체흐름 표시 기능을 구비한 밸브
KR20090008772U (ko) * 2008-02-27 2009-09-01 한국중부발전(주) 유량 검출 장치
JP2010107430A (ja) * 2008-10-31 2010-05-13 Yamari Sangyo Kk 流体の温度測定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保護管
KR100989067B1 (ko) 2008-10-13 2010-10-25 주식회사 티디아이앤씨 상수도용 부단수 내시경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조사방법
KR101547959B1 (ko) 2014-11-19 2015-09-01 김호철 유체 흐름 발광표시장치
US20170139170A1 (en) * 2014-06-25 2017-05-18 International Moisture Analysers Limited Sight glass apparatus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36245A1 (en) * 1997-02-14 1998-08-20 Resmed Limited An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flow rate of a fluid through a conduit
JP2001311739A (ja) * 2000-04-28 2001-11-09 Kurimoto Ltd 流向計
KR100608158B1 (ko) 2001-11-27 2006-08-02 김효태 관로의 유체흐름확인장치
KR100807391B1 (ko) 2007-07-27 2008-02-28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부단수 관로 촬영장치
KR20090008772U (ko) * 2008-02-27 2009-09-01 한국중부발전(주) 유량 검출 장치
KR100878037B1 (ko) 2008-07-21 2009-01-13 주식회사현대밸브 유체흐름 표시 기능을 구비한 밸브
KR100989067B1 (ko) 2008-10-13 2010-10-25 주식회사 티디아이앤씨 상수도용 부단수 내시경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조사방법
JP2010107430A (ja) * 2008-10-31 2010-05-13 Yamari Sangyo Kk 流体の温度測定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保護管
US20170139170A1 (en) * 2014-06-25 2017-05-18 International Moisture Analysers Limited Sight glass apparatus
KR101547959B1 (ko) 2014-11-19 2015-09-01 김호철 유체 흐름 발광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326B1 (ko) 2021-09-09 2022-07-14 (주)유수 부단수 회전형 관로 내부 촬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1747B1 (ko) IoT 통신기능을 가진 부단수 물방향 표시장치
US8279278B2 (en) Apparatus for photographing pipe without suspension of water supply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4433999A (zh) 送气装置
KR101886152B1 (ko) 관로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0807391B1 (ko) 부단수 관로 촬영장치
EP2976614A1 (de) Vorrichtung zum prüfen von leitungen
US9513146B2 (en) Insertion mount device
ITMI20131047A1 (it) Valvola di by-pass
CN211573919U (zh) 一种挖掘机液压系统压力检测装置
CN203672749U (zh) 超高压、高温下测试接触角和界面张力的测试装置
CN107619900B (zh) 副枪探头组件以及转炉用副枪
CN210372896U (zh) 一种点式泄漏报警系统
JP2002513901A (ja) 制御弁内のピストン用封入インジケータ
KR102420326B1 (ko) 부단수 회전형 관로 내부 촬영장치
JP4789680B2 (ja) 計測装置
KR101521073B1 (ko) 휴대용 수압계
JP3124895U (ja) 管路点検カメラ
CN210019266U (zh) 半硬体弯头内窥镜
CN110853469B (zh) 一种通过液体流向模拟电流方向的演示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296836B1 (ko) 원격 위치 검출장치
KR101835113B1 (ko) 관로 내시진단 장치
CN220851099U (zh) 带有密封垫圈的螺纹接头
CN219694238U (zh) 楔形流量计
KR100494139B1 (ko) 염분측정장치용 전극봉 홀더
CN219316939U (zh) 一种地热井水温水量测试辅助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