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152B1 - 관로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관로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152B1
KR101886152B1 KR1020170052071A KR20170052071A KR101886152B1 KR 101886152 B1 KR101886152 B1 KR 101886152B1 KR 1020170052071 A KR1020170052071 A KR 1020170052071A KR 20170052071 A KR20170052071 A KR 20170052071A KR 101886152 B1 KR101886152 B1 KR 101886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member
cable
inspection unit
ai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4086A (ko
Inventor
송인홍
Original Assignee
송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인홍 filed Critical 송인홍
Publication of KR20170124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3Visual insp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6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 G01N29/265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by moving the sensor relative to a stationary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65Method using an image detector and processing of image signal
    • G01N2021/177Detector of the video camera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28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tubes, pip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ipeline System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관로 검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검사 장치는, 관로 내부를 검사하는 검사유닛; 상기 검사유닛에 결합되며, 내부로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된 케이블부재; 및 상기 케이블부재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블부재에 연결되는 제1 공기주입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관로 검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PIPE}
본 발명은, 관로 검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유닛에 결합된 검사유닛이 관로 내부를 이동하여 관로 내부를 검사할 수 있는 관로 검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는 취수장 및 정수장에서 처리된 상수를 대직경의 상수관로를 통하여 지역별로 공급된 후 해당 지역별로 분지된 중직경 또는 소직경의 상수도 관로를 통하여 소비자에게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상수를 공급하는 상수도 관로는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부식이 발생하거나, 슬러지 등이 내부에 침적되며, 또는 관로에서 누수가 발생되어 상수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상수도 관로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작업은, 작업자가 들어갈 수 있는 큰 직경의 관로인 경우 작업자에 의해 확인이 가능하지만, 작업자가 들어갈 수 없을 정도의 작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상수도 관로의 경우 작업자에 의한 직접적인 확인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하수도의 경우 내부 상태를 촬영하여 관찰할 수 있는 하수도용 촬영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상수도 관로는 항상 상수가 공급되는 상태이므로, 수중에서 동작할 수 없는 하수도 촬영 장치의 경우 상수도 관로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하수도 촬영 장치는 촬영 거리가 200m 이내이기 때문에 점검 구간의 거리가 1km 이상인 상수도 관로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제20-2000-0017316호(공고일자:2000년09월25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작업자에 의하지 않고 관로 내부를 검사할 수 있는 관로 검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관로의 길이에 관계없이 관로를 검사할 수 있는 관로 검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관로 내부를 촬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로의 누설음을 획득할 수 있는 관로 검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관로 내부를 검사하는 검사유닛; 상기 검사유닛에 결합되며, 내부로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된 케이블부재; 및 상기 케이블부재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블부재에 연결되는 제1 공기주입기를 포함하는 관로 검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로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재로 공기가 주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재에 결합되는 제2 공기주입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관로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케이블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삽입부재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부재; 및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로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부재에 결합되는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부재의 이동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블부재에 결합되는 거리측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유닛은, 본체; 상기 본체가 상기 관로 내부의 수중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부력부재;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관로를 촬영하는 촬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사유닛은,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관로의 누설음을 획득하는 누설음획득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유닛은, 상기 관로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조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사유닛에 연결되는 전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선이 상기 케이블부재 내부의 공간을 통해 상기 검사유닛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유닛과 상기 케이블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검사유닛을 밀폐하며, 상기 검사유닛 내부로 상기 전선이 연결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커넥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부재가 권취되는 권취기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유닛에 연결되는 전선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권취기에 결합되는 슬립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부재는 상기 권취기에 포함된 회전축을 관통하여 상기 제1 공기주입기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부재를 상기 관로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부재에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삽입보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보조기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회동축; 및 상기 한 쌍의 회동축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케이블부재가 접촉되는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의 둘레에는 상기 케이블부재가 접촉될 수 있도록 접촉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서로 이격되며, 상기 한 쌍의 롤러 각각이 상기 케이블부재에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공기주입기를 통해 케이블부재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단계; 상기 케이블부재에 결합된 검사유닛을 관로 내부로 인입시키는 단계; 및 공기가 주입된 상기 케이블부재를 통해 상기 검사유닛을 이동시키면서 관로 내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로 검사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공기주입기를 통해 상기 관로에 결합되는 삽입부재로 공기를 주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검사유닛을 상기 삽입부재에 삽입하여 상기 관로 내부로 인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제2 가이드부재를 통해 상기 검사유닛을 상기 관로 내부로 인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사유닛이, 관로 촬영 및 관로 누설음 획득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작업자에 의하지 않고, 관로 내부를 검사하는 검사유닛이 관로 내부의 수중을 이동하면서 관로 내부를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검사유닛이 결합된 케이블부재가 권취기에 권취되어 계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으므로, 관로의 길이에 관계없이 관로를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촬영부재를 통해 관로 내부를 촬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설음획득부재를 통해 관로 내부의 누설음도 획득하여 누설부위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검사 장치에서 관로에 삽입된 관로 검사 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은 도 1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검사 장치에서 검사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B-B'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는 케이블부재에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경우 수압에 의해 케이블부재가 흐트러지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검사 장치를 사용하여 관로를 검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검사 장치에서 권취기에 권취된 케이블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 검사 장치에서 관로에 삽입된 관로 검사 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 검사 장치의 삽입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 검사 장치의 삽입보조기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관로 검사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검사 장치에서 관로에 삽입된 관로 검사 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2은 도 1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검사 장치에서 검사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B-B' 방향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검사 장치(10)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공기가 주입된 케이블부재(200)를 움직여서 케이블부재(200)에 결합된 검사유닛(100)을 다양한 방향과 다양한 위치로 이동시키며 이에 의해 관로(700) 내부를 검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검사유닛(100)은 관로(700) 내부에 유체가 흐르거나 정지해 있는 경우 유체를 따라 이동하면서 관로(700) 내부를 검사한다. 여기서, 관로(700)는 상수도 관로, 하수도 관도 등의 다양한 관로(700)를 포함할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체가 관로(700) 내부에 가득차 있는 상태로 흐르거나 정지해 있는 상수도 관로(700)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관로(700) 내부에 존재하는 유체는 다양한 종류일 수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유체가 상수도 관로(700)를 흐르는 물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검사유닛(100)은 후술하는 케이블부재(200)에 결합되어 관로(700) 내부의 수중에서 이동이 가능하며, 관로(700)의 다양한 부분을 촬영하거나 누설음을 녹음하여 관로(700) 내부의 이상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검사유닛(100)은 본체(110)와, 부력부재(120)와, 촬영부재(130)와, 누설음획득부재(140)와, 광조사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케이블부재(200)에 결합되어 상수도 관로(700) 내부의 수중에서 이동하며, 본체(110) 내부로 물이 새어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부재로 제작되거나, 본체(110)의 여러 측벽에 씰링부재(160)가 결합될 수 있다. 부력부재(120)는 본체(110) 내부에 결합되며,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어 본체(110)가 상수도 관로(700) 내부의 수중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본체(110)에 부력을 제공한다. 부력부재(120)는 발포수지,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력부재(120)는 부력이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부력부재(120)가 결합된 본체(110)는 상수도 관로(700) 내부에서 물에 뜬채 이동할 수도 있고, 또는 부력부재(120)의 부력 조절에 의해 물속에 잠수한채 이동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부력부재(120)는 본체(110)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부력부재(120)의 조절에 따라 본체(110)는 물속의 다양한 깊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촬영부재(130)는 본체(110) 내부에 장착되어 상수도 관로(700)를 촬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촬영부재(130)는 카메라본체(131)와, 카메라렌즈(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카메라렌즈(132)가 배치된 위치에서의 본체(110)에는 투명한 재질로 제작된 윈도우(170)가 구비될 수 있다. 누설음획득부재(140)는 본체(110) 내부에 장착되어 관로(700)의 누설음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상수도 관로(700)의 누설이 발생된 부분에서 촬영이 누락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촬영부재(130)의 촬영 누락부분을 보충하기 위해 누설음획득부재(140)가 누설음을 획득한다. 다만, 누설음획득부재(140)가 반드시 촬영부재(130)를 보충할 필요는 없으며, 누설음획득부재(140) 단독으로 관로 내부의 누설음을 획득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누설음획득부재(140)는 녹음본체(141)와, 마이크(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마이크(142)를 통해 누설음의 음파가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고, 이러한 음파의 전기적 신호가 녹음본체(141)에 녹음된다. 녹음본체(141)는 누설음의 녹음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920)와 같은 외부 장치에 전기적 신호를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촬영부재(13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과, 누설음획득부재(140)에 의해 획득된 누설음을 통해 상수도 관로(700)의 이상 유무를 검사할 수 있다. 광조사부재(150)는 관로(700)를 향해 빛을 조사한다. 즉, 상수도 관로(700) 내부는 어두울 수 있으므로, 광조사부재(150)가 상수도 관로(700)를 향해 빛을 제공하여 내부를 보다 명확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광조사부재(15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형광등, 백열등, LED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수도 관로(700) 내부로 빛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다양한 발광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검사유닛(100)은 전원 공급, 정보 또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전선(220)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전선(220)이 촬영부재(130)에 연결되어 촬영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고,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에 대한 정보의 전기적 신호를 검사유닛(100) 외부의 제어부(910)로 전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선(220)이 누설음획득부재(140)에 연결되어 녹음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고, 녹음된 정보의 전기적 신호를 검사유닛(100) 외부의 제어부(91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910)는 디스플레이부(92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촬영부재(13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과, 누설음획득부재(140)에 의해 녹음된 누설음은 디스플레이부(920)를 통해 확인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선(220)이 광조사부재(150)와 전원공급부(930)에 연결되어 발광을 위한 전원을 광조사부재(150)에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검사유닛(100)에 연결되는 전선(220)은 물과의 직접 접촉이 회피될 수 있도록 케이블부재(200) 내부의 공간을 통해 검사유닛(1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커넥터부재(230)는 검사유닛(100)과 케이블부재(200) 사이에 개재되어 검사유닛(100)을 밀폐하여 검사유닛(100) 내부로 물이 새어들어오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케이블부재(200) 내부에 삽입된 전선(220)이 검사유닛(100) 내부의 촬영부재(130), 누설음획득부재(140) 또는 광조사부재(15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부재(230)에는 관통홀(231a, 231b, 231c, 231d)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검사유닛(100)이 반드시 전선(220)에 연결될 필요는 없으며, 내장 배터리와 무선 통신에 의해서도 작동될 수 있다.
도 5는 케이블부재에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경우 수압에 의해 케이블부재가 흐트러지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검사 장치를 사용하여 관로를 검사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케이블부재(200)는 검사유닛(100)에 결합되며 내부로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중공(2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케이블부재(200)의 내부로 주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케이블부재(200)의 일측 단부는 막혀 있다. 여기서, 공기는 압축 공기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케이블부재(200)에 검사유닛(100)이 결합되어 상수관 내부로 삽입되면 상수관을 흐르는 물의 수압때문에 케이블부재(200)가 랜덤하게 움직이면서 검사유닛(100)의 이동을 조절할 수가 없게 된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케이블부재(200)에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경우를 고려한다면, 케이블부재(200)는 상수도 관로(700) 내부에 인입되는 경우 상수도 관로(700) 내부를 흐르는 물의 수압에 의해 흐트러지게 되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케이블부재(2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없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6을 참조하면, 케이블부재(20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210)에 공기를 주입하는 경우 공기압에 의해 케이블부재(200)가 빳빳하게 되므로, 상수관을 흐르는 물의 수압에 의해 케이블부재(200)가 랜덤한 방향으로 흐트러지는 것이 방지되며, 작업자가 케이블부재(200)를 수작업으로 조정하여 검사유닛(100)을 다양한 방향 및 다양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작업자가 빳빳해진 케이블부재(200)를 밀거나 당겨서, 또는 상하좌우로 움직여서 검사유닛(100)을 다양한 방향 및 다양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케이블부재(200)가 빳빳해질 수 있도록 케이블부재(200)에 공기를 주입 후 작업자가 케이블부재(200)를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여 케이블부재(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공기주입기(310)는 제1 파이프(311)를 통해 케이블부재(200)에 연결되어 케이블부재(200)에 형성된 중공(210) 내부로 공기를 주입한다. 제1 공기주입기(31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컴프레샤로 마련되어 제너레이터(33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삽입부재(400)는 관로(700)에 결합되고, 케이블부재(200)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케이블부재(200)는 상수도 관로(700) 내부로 직접 삽입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수압에 의해 상수도 관로(700) 내부를 흐르는 물이 역류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수도 관로(700)에 결합된 삽입부재(400)를 통해 케이블부재(200)가 상수도 관로(7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수도 관로(700)는 새들분수전(800)에 의해 분기관(810)이 형성될 수 있고, 삽입부재(400)는 분기관(8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부재(400)는 제2 파이프(321)를 통해 제2 공기주입기(3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공기주입기(320)에 의해 삽입부재(400) 내부로 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 즉, 새들분수전(800)에는 새들밸브(미도시)가 결합되어 있으며, 새들밸브(미도시)가 오픈되어 새들분수전(800)에 의해 형성된 분기관(810)과 삽입부재(400) 사이가 개방되면 상수도 관로(700) 내부를 흐르는 물이 삽입부재(400)의 상측으로 역류하게 된다. 이때, 제2 공기주입기(320)를 통해 삽입부재(400)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가 물의 상측에서 가압하여 물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공기주입기(320)를 통해 삽입부재(400)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의 압력이, 삽입부재(400)의 상측으로 역류하는 물의 압력보다 크거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수도 관로(700) 내부를 흐르는 물이 삽입부재(400)의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하게 되면 물이 윤활 역활을 제공하여 케이블부재(200)의 삽입이 원활할 수 있으므로, 물의 상승 압력을 고려하여 제2 공기주입기(320)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공기주입기(320)는 밸브(410)가 구비된 제2 파이프(321)를 통해 삽입부재(400)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공기주입기(310)와 마찬가지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컴프레샤로 마련되어 제너레이터(33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공기주입기(310)와 제2 공기주입기(320)는 하나의 제너레이터(330)에 연결될 수도 있고, 또는 별개의 제너레이터(330)에 각각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삽입부재(400)는 케이블부재(200)를 상수도 관로(700)에 삽입할 때의 삽입의 용이성을 위해 상수도 관로(700)에 교차하는 방향, 예를 들어, 상수도 관로(700)에 수직인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유닛(500)은 케이블부재(200)가 삽입되며, 케이블부재(200)가 삽입부재(400)를 통해 상수도 관로(700) 내로 정확하게 인입되도록 케이블부재(200)를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유닛(500)은 제1 가이드부재(510)와, 제2 가이드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가이드부재(510)는 예를 들어 직선 형상으로 제작되어 삽입부재(400)에 배치되며 케이블부재(200)가 삽입된다. 그리고, 제2 가이드부재(520)는 새들분수전(800) 내부에 배치되어 제1 가이드부재(510)에 연결되며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블부재(200)의 곡선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즉, 검사유닛(100)이 결합된 케이블부재(200)가 제1 가이드부재(510)에 삽입되고 제2 가이드부재(520)를 통해 이동하면서 상수도 관로(700) 내부에 인입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거리측정부재(240)는 케이블부재(200)에 결합되어 케이블부재(200)의 이동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케이블부재(200)의 이동 거리를 측정해서 상수도 관로(700)의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거리측정부재(240)가 케이블부재(200)에 결합되어 케이블부재(200)의 이동 거리를 측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검사 장치에서 권취기에 권취된 케이블부재의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권취기(600)는 케이블부재(200)가 권취되도록 구성된다. 권취기(600)는 케이블부재(200)가 권취되는 권취바디(610)와, 권취바디(610)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축(62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슬립링(630)은 검사유닛(100)에 연결되는 전선(220)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 권취기(6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슬립링(630)이 권취기(600)로부터 분리되어 있지만, 슬립링(630)은 권취기(600)에 결합된 상태로 전선(220)의 꼬임을 방지한다. 즉, 케이블부재(200)는 권취기(600)의 회전축(620)을 관통하여 권취기(600)의 외부에서 제1 공기주입기(3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축(620)이 회전하면 전선(220) 역시 회전하면서 꼬이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슬립링(630)이 회전축(620)에 결합되어 회전축(62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하고 전선(220)은 슬립링(630)을 통해 권취기(600)의 외부로 인출된다. 여기서, 슬립링(630)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바와 공통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케이블부재(200)와 전선(220)은 연결관(640), 예를 들어 T형관 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T형관의 어느 하나의 측면을 통해 전선(220)이 제어부(910)에 연결되고, T형관의 다른 측면을 통해 케이블부재(200)가 제1 공기주입기(31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연결관(640)이 반드시 T 형상으로 구성될 필요는 없음을 밝혀 둔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검사유닛(100)은 케이블부재(200)에 결합되어 있으며, 공기가 주입된 케이블부재(200)를 수작업으로 움직여 검사유닛(100)의 방향과 위치를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부재(200)가 권취기(600)에 감겨 있는 경우 권취된 케이블부재(200)를 계속적으로 풀게되면 검사할 수 있는 거리에 제한없이 상수도 관로(700) 내부를 검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하수관 촬영 장치는 촬영 거리가 200m 이내이기 때문에 점검 구간의 거리가 1km인 상수도 관로(700)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검사 장치(10)의 경우 최초 1km 이상의 케이블부재(200)를 권취기(600)에 권취한 경우 구간의 거리가 1km인 상수도 관로(700)에서도 검사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수도 관로(700)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케이블부재(200)를 다양하게 권취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의 관로 검사 장치(10)는 검사 거리의 제한을 받지 않고 관로(700)를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검사 장치(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 공기주입기(310)를 통해 케이블부재(200)에 공기가 주입되며, 주입된 공기에 의해 빳빳해진 케이블부재(200)가 삽입부재(400)를 통해 상수도 관로(700) 내부로 인입된다. 여기서, 케이블부재(200)는 직선 형상의 제1 가이드부재(510)와, 곡선 형상의 제2 가이드부재(520)를 따라 용이하게 상수도 관로(700) 내부에 인입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블부재(200)에는 검사유닛(100)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케이블부재(200)가 상수도 관로(700) 내부에 인입되면 검사유닛(100)도 상수도 관로(700) 내부에 인입될 수 있다. 그리고, 권취기(600)를 풀거나 감는 것에 의해 케이블부재(200)의 이동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주입된 공기에 의해 빳빳해진 케이블부재(200)를 밀고 당겨서, 또는 상하좌우로 움직여서 검사유닛(100)을 다양한 방향 및 다양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검사유닛(100)에는 부력부재(120)와, 촬영부재(130)와, 누설음획득부재(14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케이블부재(200)를 움직이면 검사유닛(100)은 상수도 관로(700) 내부의 수중에서 이동하게 되며, 촬영부재(130)를 통해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거나, 누설음획득부재(140)를 통해 상수도 관로(700) 내부의 누설음을 녹음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관로(700)의 길이에 관계없이 관로(700)를 검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 검사 장치에서 관로에 삽입된 관로 검사 장치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 검사 장치의 삽입보조기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 검사 장치의 삽입보조기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로 검사 장치(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검사 장치(1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삽입보조기(940)를 더 구비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삽입보조기(940)는 케이블부재(200)에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삽입부재(400)를 통해 관로(700) 내부에 케이블부재(200)를 삽입하는 것이 수압 등에 이유에 의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삽입보조기(940)가 케이블부재(200)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케이블부재(200)를 관로(700)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시킨다.
삽입보조기(940)는 받침대(941)와, 지지체(942)와, 한 쌍의 회동축(943a, 943b)과, 한 쌍의 롤러(944a, 944b)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941)는 지지체(942)의 하측에서 지지체(942)에 결합된다. 받침대(941)는 새들분수전(800)에 결합될 수도 있고, 또는 삽입부재(400)의 예를 들어 상측에 결합될 수도 있다. 받침대(941)는 예를 들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체(942)는 받침대(941)에 볼트, 나사 등의 체결부재 또는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며, 회동축(943)을 지지한다. 즉, 회동축(943)은 지지체(942)에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지지체(942)에는 회동축(943)이 삽입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회동축(943)은 한 쌍으로 마련되고 지지체(942)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한다. 한 쌍의 회동축(943a, 943b)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회동축(943a, 943b)은 나란하게 예를 들어, 평행하게 배치되며, 한 쌍의 회동축(943a, 943b) 각각에 롤러(944a, 944b)가 결합된다.
롤러(944)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회동축(943a, 943b)에 각각 결합된다. 한 쌍의 롤러(944a, 944b)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한 쌍의 롤러(944a, 944b) 사이로 케이블부재(200)가 삽입된다. 여기서, 한 쌍의 롤러(944a, 944b) 각각이 케이블부재(200)에 접촉된채 회전한다. 그리고, 한 쌍의 롤러(944a, 944b)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한 쌍의 롤러(944a, 944b) 사이에 개재되어 한 쌍의 롤러(944a, 944b) 각각에 접촉되어 있는 케이블부재(200)가 한 쌍의 롤러(944a, 944b)의 회전에 연동되어 이동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한 쌍의 롤러(944a, 944b)가 각각 소정 방향으로 회전하면 케이블부재(200)는 아래로 이동하여 관로(700) 내부로 삽입되며, 한 쌍의 롤러(944a, 944b)가 상기 소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케이블부재(200)는 위로 이동하여 관로(700) 내부로부터 배출된다.
롤러(944)의 둘레, 예를 들어 둘레의 중심부에는 접촉홈(94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블부재(200)는 롤러(944)의 접촉홈(945)에 접촉된다. 롤러(944)의 접촉홈(945)은 케이블부재(2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롤러(944)와 케이블부재(200)의 접촉 면적이 넓으지므로 롤러(944)의 회전시 미끄럼없이 케이블부재(200)가 이동할 수 있다.
한 쌍의 회동축(943a, 943b) 중 어느 하나에는 사용자가 회동축(943a)을 직접 회동시킬 수 있는 핸들(946)이 결합될 수도 있고, 또는 각종 모터가 결합되어 전자적으로 제어되어 회동축(943)이 회전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회동축(943a)에 핸들(946)이 결합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 쌍의 회동축(943a, 943b) 중 어느 하나의 회동축(943a)에만 핸들(946)이 결합된 경우 케이블부재(200)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핸들(946)을 회전시키면 한 쌍의 회동축(943a, 943b) 중 어느 하나의 회동축(943a)만 회전한다. 여기서, 한 쌍의 회동축(943a, 943b) 사이에 케이블부재(200)가 삽입되는 경우 케이블부재(200)는 한 쌍의 회동축(943a, 943b) 모두에 접촉되므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회동축(943a)만 회전시키더라도, 어느 하나의 회동축(943a)에 접촉되어 이동하는 케이블부재(200)가 이동하면서 맞은 편의 다른 하나의 회동축(943b)을 회동시키므로, 사용자가 핸들(946)을 조작하게 되면 한 쌍의 회동축(943a, 943b)이 모두 회전하고, 이러한 회동축(943a, 943b)의 회전에 연동되어 케이블부재(200)가 이동한다.
회동축(943a, 943b)은 한 쌍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쌍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또는 그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회동축(943a, 943b, 943c, 943d)이 두 쌍으로 마련되는 경우 도 9에서와 같이 상하로 배치되어 풀리(947)와 벨트(948), 예를 들어 타이밍 벨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상하로 배치된 회동축(943a, 943c)이 풀리(947)와 벨트(948)로 연결되면 사용자가 핸들(946)을 사용하여 하나의 회동축(943a)을 회전시키더라도 상하로 배치된 회동축(943a, 943c)은 풀리(947)와 벨트(948)에 의해 연결되므로 상하로 배치된 2개의 회동축(943a, 943c)이 모두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하 2개의 회동축(943a, 943c)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케이블부재(200)를 이동시키면 맞은편에 상하로 배치된 2개의 회동축(943b, 943d)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동축(943)의 개수가 증가하면 수압이 높은 지역에서도 케이블부재(200)를 관로(700) 내부로 안정적으로 삽입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700) 검사 방법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1 공기주입기(310)를 통해 케이블부재(200) 내부로 공기를 주입한다. 케이블부재(200)에 형성된 중공(210)으로 공기가 주입되면 케이블부재(200)가 빳빳해진다. 그리고, 삽입부재(400)에 결합된 제2 공기주입기(320)를 통해 관로(700)에 결합되는 삽입부재(400)로 공기를 주입시킨다. 그리고, 새들분수전(800)에 결합되어 있는 새들밸브(미도시)를 오픈하면 제2 공기주입기(320)를 통해 삽입부재(400)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수도 관로(700)를 흐르는 물의 역류가 방지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검사유닛(100)과 케이블부재(200)를 삽입부재(400)에 삽입하여 관로(700) 내부로 인입시킨다. 여기서, 새들분수전(800) 내부에는 곡선 형상의 제2 가이드부재(520)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2 가이드부재(520)를 통해 검사유닛(100)을 관로(700) 내부로 인입시키는 경우 제2 가이드부재(520)가 케이블부재(200)의 곡선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공기가 주입된 케이블부재(200)를 움직여 다양한 위치로 검사유닛(100)을 이동시키며 촬영부재(130)에 의한 상수도 관로(700)의 찰영과, 누설음획득부재(140)에 의한 상수도 관로(700)의 누설음 획득을 통해 관로(700) 내부를 검사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관로 검사 장치 100 : 검사유닛
110 : 본체 120 : 부력부재
130 : 촬영부재 131 : 카메라본체
132 : 카메라렌즈 140 : 누설음획득부재
141 : 녹음본체 142 : 마이크
150 : 광조사부재 160 : 씰링부재
170 : 윈도우 200 : 케이블부재
210 : 중공 220 : 전선
230 : 커넥터부재 231 : 관통홀
240 : 거리측정부재 310 : 제1 공기주입기
311 : 제1 파이프 320 : 제2 공기주입기
321 : 제2 파이프 330 : 제너레이터
400 : 삽입부재 410 : 밸브
500 : 가이드유닛 510 : 제1 가이드부재
520 : 제2 가이드부재 600 : 권취기
610 : 권취바디 620 : 회전축
630 : 슬립링 640 : 연결관
700 : 관로 800 : 새들분수전
810 : 분기관 910 : 제어부
920 : 디스플레이부 930 : 전원공급부
940 : 삽입보조기 941 : 받침대
942 : 지지체 943 : 회동축
944 : 롤러 945 : 접촉홈
946 : 핸들 947 : 풀리
948 : 벨트

Claims (22)

  1. 관로 내부를 검사하는 검사유닛;
    상기 검사유닛에 결합되며, 내부로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된 케이블부재; 및
    상기 케이블부재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블부재에 연결되는 제1 공기주입기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유닛은,
    본체;
    상기 본체가 상기 관로 내부의 수중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부력부재;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관로를 촬영하는 촬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부재의 내부로 주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블부재의 일측 단부는 막혀 있으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공기가 주입된 상기 케이블부재를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케이블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을 통해 공기가 주입되면 공기압에 의해 상기 케이블부재가 빳빳하게 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검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로 공기가 주입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재에 결합되는 제2 공기주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검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관로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검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케이블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검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삽입부재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부재; 및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로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부재에 결합되는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검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부재의 이동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블부재에 결합되는 거리측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검사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유닛은,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관로의 누설음을 획득하는 누설음획득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검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유닛은, 상기 관로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광조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검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유닛에 연결되는 전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전선이 상기 케이블부재 내부의 공간을 통해 상기 검사유닛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검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유닛과 상기 케이블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검사유닛을 밀폐하며, 상기 검사유닛 내부로 상기 전선이 연결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커넥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검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부재가 권취되는 권취기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유닛에 연결되는 전선의 꼬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권취기에 결합되는 슬립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검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부재는 상기 권취기에 포함된 회전축을 관통하여 상기 제1 공기주입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검사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부재를 상기 관로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해 상기 케이블부재에 접촉되어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삽입보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검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보조기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결합되는 지지체;
    상기 지지체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적어도 한 쌍의 회동축; 및
    상기 적어도 한 쌍의 회동축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하며, 상기 케이블부재가 접촉되는 적어도 한 쌍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검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둘레에는 상기 케이블부재가 접촉될 수 있도록 접촉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검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롤러는 서로 이격되며, 상기 한 쌍의 롤러 각각이 상기 케이블부재에 접촉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검사 장치.
  19. (a) 제1 공기주입기를 통해 케이블부재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는 단계;
    (b) 상기 케이블부재에 결합된 검사유닛을 관로 내부로 인입시키는 단계; 및
    (c) 공기가 주입된 상기 케이블부재를 통해 상기 검사유닛을 이동시키면서 관로 내부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유닛은,
    본체;
    상기 본체가 상기 관로 내부의 수중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부력부재; 및
    상기 본체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관로를 촬영하는 촬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부재의 내부로 주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블부재의 일측 단부는 막혀 있으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공기가 주입된 상기 케이블부재를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케이블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을 통해 공기가 주입되면 공기압에 의해 상기 케이블부재가 빳빳하게 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검사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제2 공기주입기를 통해 상기 관로에 결합되는 삽입부재로 공기를 주입시키는 단계; 및
    (b2) 상기 검사유닛을 상기 삽입부재에 삽입하여 상기 관로 내부로 인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검사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제2 가이드부재를 통해 상기 검사유닛을 상기 관로 내부로 인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검사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검사유닛이, 관로 촬영 및 관로 누설음 획득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검사 방법.
KR1020170052071A 2016-04-29 2017-04-24 관로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18861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820 2016-04-29
KR20160052820 2016-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086A KR20170124086A (ko) 2017-11-09
KR101886152B1 true KR101886152B1 (ko) 2018-08-07

Family

ID=60385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071A KR101886152B1 (ko) 2016-04-29 2017-04-24 관로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1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180A (ko) * 2021-04-05 2022-10-12 김성국 청음 가능한 관로 검사용 내시경 장치
KR20220138181A (ko) * 2021-04-05 2022-10-12 김성국 관로 검사용 반자동 내시경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713B1 (ko) 2019-01-11 2021-03-02 오토시맨틱스 주식회사 입출력 음향 데이터 기반의 딥러닝을 활용한 하수관 상태 판별 방법
WO2020176996A1 (en) * 2019-03-06 2020-09-10 Pure Technologies Ltd. A rotatable inspection module and method for inspecting the conditions of the wall of a pipeline
KR102233166B1 (ko) * 2019-11-29 2021-03-2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차집관로 건전성 조사 기기
KR102340306B1 (ko) * 2021-06-15 2021-12-16 (주)서용엔지니어링 비금속관로 탐사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355B1 (ko) 2005-01-21 2006-08-11 주식회사 비즈탑 상수도 관로 검사 장치
JP3818797B2 (ja) * 1999-06-03 2006-09-06 環 浦 管内検査装置
KR200467681Y1 (ko) * 2013-03-21 2013-06-27 이영무 내시경 방식의 부단수 상수도관 누수탐사 및 내부 검사장치
KR101303778B1 (ko) 2013-03-06 2013-09-06 한국환경공단 실시간 관로 내 부단수 진단 모니터링 시스템
JP2014228658A (ja) 2013-05-21 2014-12-08 学校法人 中央大学 管体内探査装置
JP5846814B2 (ja) 2011-09-07 2016-01-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
KR101608785B1 (ko) 2014-12-24 2016-04-04 김성환 전선 권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6046A (ja) * 1988-04-28 1989-11-06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装置
JPH08220002A (ja) * 1995-02-14 1996-08-30 Ougiya Koji Kk 地中埋設管路内の点検方法
JPH11128864A (ja) * 1997-10-24 1999-05-18 Shonan Gosei Jushi Seisakusho:Kk 枝管清掃・点検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8797B2 (ja) * 1999-06-03 2006-09-06 環 浦 管内検査装置
KR100611355B1 (ko) 2005-01-21 2006-08-11 주식회사 비즈탑 상수도 관로 검사 장치
JP5846814B2 (ja) 2011-09-07 2016-01-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
KR101303778B1 (ko) 2013-03-06 2013-09-06 한국환경공단 실시간 관로 내 부단수 진단 모니터링 시스템
KR200467681Y1 (ko) * 2013-03-21 2013-06-27 이영무 내시경 방식의 부단수 상수도관 누수탐사 및 내부 검사장치
JP2014228658A (ja) 2013-05-21 2014-12-08 学校法人 中央大学 管体内探査装置
KR101608785B1 (ko) 2014-12-24 2016-04-04 김성환 전선 권취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180A (ko) * 2021-04-05 2022-10-12 김성국 청음 가능한 관로 검사용 내시경 장치
KR20220138181A (ko) * 2021-04-05 2022-10-12 김성국 관로 검사용 반자동 내시경 장치
KR102581778B1 (ko) * 2021-04-05 2023-09-21 김성국 관로 검사용 반자동 내시경 장치
KR102581774B1 (ko) * 2021-04-05 2023-09-21 김성국 청음 가능한 관로 검사용 내시경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086A (ko) 2017-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6152B1 (ko) 관로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1993980B1 (ko) 이중관 삽입기를 이용한 부단수 대구경 상수도 내시경 촬영장치
RU208290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мотра отвод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US9410654B2 (en) Apparatus for rehabilitating an underground water conduit and detecting and drilling a service entrance in the conduit
KR20090114742A (ko) 부단수 관입장치
KR101035687B1 (ko) 부단수 관로 촬영 장치
KR100807391B1 (ko) 부단수 관로 촬영장치
CN110282504A (zh) 用于带压液体管道内部作业机器人的线缆收放装置
KR102581778B1 (ko) 관로 검사용 반자동 내시경 장치
KR101506815B1 (ko) 소화전을 이용한 비굴착형 부단수 내시경 장치
JP2006114962A (ja) 管内検査用カメラ装置
JP5038211B2 (ja) 液中調査機器へのケーブル繰り出し機構及び液中調査機器へのケーブル繰り出し方法
JP2019049485A (ja) 水道管の漏水検査装置
JP2005279128A (ja) 体内挿入型検査装置
CN106707440B (zh) 适用于长距离连续油管的光缆敷设系统及方法
KR20180050920A (ko) 관로 내부조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내부조사방법
JP2001197636A (ja) グロメット用止水検査装置
CN108631218B (zh) 一种导引装置、电子线路敷设装置及敷设方法
CN205451790U (zh) 一种用于小管道的水浸超声检查定位驱动装置
JP2005265058A (ja) 配管内部点検装置
KR102410534B1 (ko) 방향전환 및 장력을 최소화 한 상ㆍ하수관 관로점검장치
KR102581774B1 (ko) 청음 가능한 관로 검사용 내시경 장치
ATE324578T1 (de) Einrichtung zum inspizieren eines rohrabzweigs
JPH10223057A (ja) 水中ケーブル
KR101715797B1 (ko) 상하수도관 지하시설물의 현지 검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