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549B1 - 의류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의류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549B1
KR102241549B1 KR1020210005613A KR20210005613A KR102241549B1 KR 102241549 B1 KR102241549 B1 KR 102241549B1 KR 1020210005613 A KR1020210005613 A KR 1020210005613A KR 20210005613 A KR20210005613 A KR 20210005613A KR 102241549 B1 KR102241549 B1 KR 102241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anger
bar
buffer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가영
Original Assignee
정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가영 filed Critical 정가영
Priority to KR1020210005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00Patterns for cutting-out; Methods of drafting or marking-out such patterns, e.g. on the cloth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3/00Other methods, machines or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의, 상의 등의 여러 종류의 견본 뿐만 아니라, 견본 제작에 필요한 각종 공구(예를 들어, 가위 또는 칼 등)을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제작된 견본을 분실하거나 찢어지는 등의 파손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의류 제조에 따른 공정이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의류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작된 의류의 견본을 거치시키는 견본 거치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 제조 시스템{CLOTHING MANUFACTURING SYSTEM}
본 발명은 의류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의, 상의 등의 여러 종류의 견본 뿐만 아니라, 견본 제작에 필요한 각종 공구(예를 들어, 가위 또는 칼 등)을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제작된 견본을 분실하거나 찢어지는 등의 파손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의류 제조에 따른 공정이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의류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품종 또는 단일품종 의류의 대량생산에 비해 다품종 의류의 소량생산은 몇 가지 구별되는 특성이 있다. 다양한 의복 스타일의 소량 생산은 기존의 수백 내지 수천 장 단위의 원단 재단에서 수 내지 수십 장 단위의 원단재단이 요구된다. 수천 내지 수만 벌의 의류를 대량 생산하기 위해서는 수 십일 내지 수 개월간 동일 제품 생산 라인을 유지해야 하지만, 다품종 의복 소량생산을 위해서는 각 품종별로 1일 내지 수일의 짧은 기간 동안 생산라인이 유지됨에 따라, 신속하고 유연한 생산라인의 전환이 필요하다. 기존의 대량생산에서는 생산라인의 생산수준을 위한 품질향상을 위한 기간의 운용이 가능하나, 다품종 소량생산에서는 이러한 품질향상을 위한 기간의 운용이 불가하여 상시적으로 높은 수준의 전문화된 작업인력이 요구된다.
종래의 소품종 대량생산을 위한 봉제 생산라인은 대부분 일자 라인으로 설계된다. 원단을 수 십장씩 적층해두고 재단 작업을 별도로 실시하고, 부자재와 재단물을 일자형 생산라인으로 이동시켜 그 생산라인을 따라 재단물이 이동하며 조립되는 형태로 봉제작업이 이루어진다. 일자 라인으로 공정을 설계하는 이유는 대량 생산의 경우 봉제 작업자가 같은 작업을 일정 기간 이상(예를 들어 아웃도어 자켓의 경우 1 개월)지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생산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82184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37321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의하의, 상의 등의 여러 종류의 견본 뿐만 아니라, 견본 제작에 필요한 각종 공구(예를 들어, 가위 또는 칼 등)을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제작된 견본을 분실하거나 찢어지는 등의 파손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의류 제조에 따른 공정이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한 의료 제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제조 시스템은, 의류의 견본을 거치하기 위한 견본 거치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견본 거치대는, 상기 의류의 견본의 제작에 사용되는 물품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선반; 상기 의류의 견본이 하의일 경우 거치해 둘 수 있도록 상기 다수 개의 선반의 일측에 설치되는 하의 행거; 상기 하의 행거 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며, 상기 의류의 견본이 상의일 경우 거치해 둘 수 있도록 상기 다수 개의 선반의 타측에 설치되는 상의 행거; 바닥면과 수평이 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의 행거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 행거 지지대; 바닥면과 수평이 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의 행거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 행거 지지대; 및 최하단에 설치되는 상기 선반, 제1 행거 지지대, 및 제2 행거 지지대의 각 하측에 형성되는 바퀴 설치홈에 설치되며, 상기 선반, 제1 행거 지지대, 및 제2 행거 지지대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선반, 제1 행거 지지대, 및 제2 행거 지지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설치되는 충격 완충 바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격 완충 바퀴부는, 상기 바퀴 설치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반, 제1 행거 지지대, 및 제2 행거 지지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바퀴 설치부; 및 상기 바퀴 설치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퀴 설치부는, 상기 바퀴 설치홈의 천장면을 지지하는 받침 플레이트;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완충부; 및 하측에 바퀴의 상부가 설치되며, 상기 완충부의 각 하부가 상측을 통해 삽입되어 내측에 설치되는 완충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부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며, 하부가 상기 완충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지지 바아;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직립된 상태로 상기 완충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완충 케이스의 내측 천장면과 바닥면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며, 내측 공간에 상기 지지 바아의 하부가 안착되는 이너 각관; 상기 이너 각관의 내측 형태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이너 각관의 내측을 따라 다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지지 바아가 통과할 수 있도록 원형의 상하 관통홀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수평 격벽; 상기 상하 관통홀과 대향하는 상기 지지 바아의 하부 마다 각각 설치되며, 상기 상하 관통홀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중간 마디; 및 상기 이너 각관의 내측 각 벽체 마다 설치되며, 각각의 일측이 상기 지지 바아의 하부에 체결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바아의 하부를 지지하는 바아 지지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바아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상부 바아; 하부가 상기 완충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하부 바아; 및 상기 상부 바아와 상기 하부 바아를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하 관통홀은, 내주면을 따라 경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회전 유도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간 마디는, 상기 상하 관통홀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유도홈에 안착되어 상기 회전 유도홈을 따라 경사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회전 유도 돌기가 외측면을 따라 상기 회전 유도홈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견본 제작에 필요한 각종 공구(예를 들어, 가위 또는 칼 등)을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제작된 견본을 분실하거나 찢어지는 등의 파손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의류 제조에 따른 공정이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제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견본 거치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4의 바퀴 설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5의 완충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 제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견본 거치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견본 거치대(10)는, 다수 개의 선반(100), 하의 행거(200), 상의 행거(300), 제1 행거 지지대(400), 제2 행거 지지대(500) 및 충격 완충 바퀴부(600)를 포함한다.
선반(100)은, 의류의 견본의 제작에 사용되는 물품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일측에 하의 행거(200)가 설치되고, 타측에 상의 행거(300)가 설치된다.
하의 행거(200)는,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 개의 직선형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의류의 견본이 하의일 경우 거치해 둘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선반(100)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의 행거(300)는,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 개의 직선형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하의 행거(200) 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며, 의류의 견본이 상의일 경우 거치해 둘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선반(100)의 타측에 설치된다.
제1 행거 지지대(400)는, 바닥면과 수평이 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하의 행거(200)의 하측에 설치된다.
제2 행거 지지대(500)는, 바닥면과 수평이 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의 행거(300)의 하측에 설치된다.
충격 완충 바퀴부(600)는, 최하단에 설치되는 선반(100), 제1 행거 지지대(400), 및 제2 행거 지지대(500)의 각 하측에 형성되는 바퀴 설치홈(H)에 설치되며, 선반(100), 제1 행거 지지대(400), 및 제2 행거 지지대(500)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선반(100), 제1 행거 지지대(400), 및 제2 행거 지지대(50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충격 완충 바퀴부(600)는, 바퀴 설치부(610) 및 바퀴(620)를 포함할 수 있다.
바퀴 설치부(610)는, 바퀴 설치홈(H)의 상측에 설치되어 선반(100), 제1 행거 지지대(400), 및 제2 행거 지지대(50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바퀴(620)는, 바퀴 설치부(610)의 하측에 설치되는 바퀴 지지대(621)과, 바퀴 지지대(62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롤러(622)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견본 거치대(10)는, 하의, 상의 등의 여러 종류의 견본 뿐만 아니라, 견본 제작에 필요한 각종 공구(예를 들어, 가위 또는 칼 등)을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며, 제작된 견본을 분실하거나 찢어지는 등의 파손으로부터 보호함으로써, 의류 제조에 따른 공정이 안정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바퀴 설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바퀴 설치부(700)는, 받침 플레이트(710), 완충부(720) 및 완충 케이스(730)를 포함한다.
받침 플레이트(71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바퀴 설치홈(H)의 천장면을 지지하며, 하측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완충부(720)에 의해 지지된다.
완충부(720)는, 견본 거치대(10)가 이동함에 따라 받침 플레이트(71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도록 받침 플레이트(710)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어 받침 플레이트(710)를 지지하며, 완충 케이스(730)의 상부에 연결 설치된다.
완충 케이스(730)는, 하측에 바퀴(620)의 상부가 설치되며, 완충부(720)의 각 하부가 상측을 통해 삽입되어 내측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바퀴 설치부(700)는, 받침 플레이트(710)와 완충 케이스(730) 사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완충부(720)에 의해 견본 거치대(10)가 이동함에 따라 받침 플레이트(7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견본 거치대(10)에 거치되어 있는 의류들이 흔들림 또는 충격에 의해 떨어지거나 정렬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견본 거치대(10) 자체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5의 완충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완충부(720)는, 지지 플레이트(721), 지지 바아(722), 이너 각관(723), 수평 격벽(724), 중간 마디(725) 및 바아 지지 탄성체(726)를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721)는, 받침 플레이트(710)의 하측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하부에 지지 바아(722)의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지지 바아(722)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부가 지지 플레이트(721)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지지 플레이트(721)를 지지하며, 하부가 완충 케이스(73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이너 각관(723)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바아(722)는, 상부 바아(7221), 하부 바아(7222) 및 베어링(72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바아(7221)는, 지지 플레이트(721)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에 베어링(7223)이 설치된다.
하부 바아(7222)는, 하부가 완충 케이스(73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부가 베어링(7223)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다수 개의 중간 마디(725)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베어링(7223)은, 상부 바아(7221)와 하부 바아(7222)를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한다.
이너 각관(723)은,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직립된 상태로 완충 케이스(730)의 내측에 설치되어 완충 케이스(730)의 내측 천장면(731)과 바닥면(732)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며, 내측 공간에 지지 바아(722)의 하부가 안착되며, 내측을 따라 다수 개의 수평 격벽(724)이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수평 격벽(724)은, 이너 각관(723)의 내측 형태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이너 각관(723)의 내측을 따라 다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되, 지지 바아(722)가 통과할 수 있도록 중간 마디(725)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의 상하 관통홀(724a)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하 관통홀(724a)은, 내주면을 따라 경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회전 유도홈(724b)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중간 마디(725)는, 상하 관통홀(724a)과 대향하는 지지 바아(722)의 하부 마다 각각 설치되며, 상하 관통홀(724a)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중간 마디(725)는, 상하 관통홀(724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 유도홈(724b)에 안착되어 회전 유도홈(724b)을 따라 경사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회전 유도 돌기(725a)가 외측면을 따라 회전 유도홈(724b)의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바아 지지 탄성체(726)는, 이너 각관(723)의 내측 각 벽체 마다 설치되며(726-1, 726-2, 726-3, 726-4), 각각의 일측이 지지 바아(722)의 하부에 체결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 바아(722)의 하부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완충부(7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가 받침 플레이트(710)의 하측을 개별적으로 지지하면서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받침 플레이트(710)가 일측 또는 타측, 전단 또는 후단 방향 등과 같이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우에 있어서도 안정적으로 받침 플레이트(710)를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이 상하 수직 방향으로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줌으로써 견본 거치대(10)에 거치되어 있는 의류들이 흔들림 또는 충격에 의해 떨어지거나 정렬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견본 거치대(10) 자체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견본 거치대
100: 선반
200: 하의 행거
300: 상의 행거
400: 제1 행거 지지대
500: 제2 행거 지지대
600: 충격 완충 바퀴부

Claims (2)

  1. 의류의 견본을 거치시키는 견본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견본 거치대는,
    상기 의류의 견본의 제작에 사용되는 물품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선반;
    상기 의류의 견본이 하의일 경우 거치해 둘 수 있도록 상기 다수 개의 선반의 일측에 설치되는 하의 행거;
    상기 하의 행거 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며, 상기 의류의 견본이 상의일 경우 거치해 둘 수 있도록 상기 다수 개의 선반의 타측에 설치되는 상의 행거;
    바닥면과 수평이 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의 행거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 행거 지지대;
    바닥면과 수평이 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의 행거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 행거 지지대; 및
    최하단에 설치되는 상기 선반, 제1 행거 지지대, 및 제2 행거 지지대의 각 하측에 형성되는 바퀴 설치홈에 설치되며, 상기 선반, 제1 행거 지지대, 및 제2 행거 지지대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선반, 제1 행거 지지대, 및 제2 행거 지지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설치되는 충격 완충 바퀴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 완충 바퀴부는,
    상기 바퀴 설치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선반, 제1 행거 지지대, 및 제2 행거 지지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바퀴 설치부; 및
    상기 바퀴 설치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바퀴 설치부는,
    상기 바퀴 설치홈의 천장면을 지지하는 받침 플레이트;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완충부; 및
    하측에 바퀴의 상부가 설치되며, 상기 완충부의 각 하부가 상측을 통해 삽입되어 내측에 설치되는 완충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완충부는,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 플레이트;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부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지지하며, 하부가 상기 완충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지지 바아;
    사각 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직립된 상태로 상기 완충 케이스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완충 케이스의 내측 천장면과 바닥면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며, 내측 공간에 상기 지지 바아의 하부가 안착되는 이너 각관;
    상기 이너 각관의 내측 형태에 대응하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이너 각관의 내측을 따라 다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되, 상기 지지 바아가 통과할 수 있도록 원형의 상하 관통홀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수평 격벽;
    상기 상하 관통홀과 대향하는 상기 지지 바아의 하부 마다 각각 설치되며, 상기 상하 관통홀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중간 마디; 및
    상기 이너 각관의 내측 각 벽체 마다 설치되며, 각각의 일측이 상기 지지 바아의 하부에 체결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바아의 하부를 지지하는 바아 지지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바아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상부 바아;
    하부가 상기 완충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하부 바아; 및
    상기 상부 바아와 상기 하부 바아를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의류 제조 시스템.
  2. 삭제
KR1020210005613A 2021-01-14 2021-01-14 의류 제조 시스템 KR102241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613A KR102241549B1 (ko) 2021-01-14 2021-01-14 의류 제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613A KR102241549B1 (ko) 2021-01-14 2021-01-14 의류 제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549B1 true KR102241549B1 (ko) 2021-04-16

Family

ID=75743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613A KR102241549B1 (ko) 2021-01-14 2021-01-14 의류 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54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006B1 (ko) * 2006-11-20 2007-09-03 (주)이환 진열장 고정장치
KR101627114B1 (ko) * 2015-11-19 2016-06-03 정태섭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의류 제작 시스템
JP3205906U (ja) * 2016-06-09 2016-08-18 株式会社すばる 緩衝機能を有するキャスター
KR20180067381A (ko) * 2016-12-12 2018-06-20 주식회사 씨에스지 의류보관용 행거시스템
KR101975169B1 (ko) * 2018-08-09 2019-05-03 주식회사 멋들어진 맞춤의류 전자 발주 방법
KR102009253B1 (ko) * 2018-02-14 2019-08-09 호전실업 주식회사 다품종 소량 의복 생산을 위한 모듈화 의류 제조 방법 및 모듈화 의류 제조 시스템
KR20190137321A (ko) 2018-06-01 2019-12-11 주식회사 라포르인터내셔널 의류원단 제조방법과 이를 활용한 의류제조방법
KR102082184B1 (ko) 2017-11-22 2020-04-28 주식회사 다해줘테크 의류 제조 업체 중개 연결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006B1 (ko) * 2006-11-20 2007-09-03 (주)이환 진열장 고정장치
KR101627114B1 (ko) * 2015-11-19 2016-06-03 정태섭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의류 제작 시스템
JP3205906U (ja) * 2016-06-09 2016-08-18 株式会社すばる 緩衝機能を有するキャスター
KR20180067381A (ko) * 2016-12-12 2018-06-20 주식회사 씨에스지 의류보관용 행거시스템
KR102082184B1 (ko) 2017-11-22 2020-04-28 주식회사 다해줘테크 의류 제조 업체 중개 연결시스템
KR102009253B1 (ko) * 2018-02-14 2019-08-09 호전실업 주식회사 다품종 소량 의복 생산을 위한 모듈화 의류 제조 방법 및 모듈화 의류 제조 시스템
KR20190137321A (ko) 2018-06-01 2019-12-11 주식회사 라포르인터내셔널 의류원단 제조방법과 이를 활용한 의류제조방법
KR101975169B1 (ko) * 2018-08-09 2019-05-03 주식회사 멋들어진 맞춤의류 전자 발주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1137420A (ru) Регулируемая подставка в сборе для корзины посудомоечной машины
KR102241549B1 (ko) 의류 제조 시스템
JPWO2015004694A1 (ja) 収納装置
US954805A (en) Rack or cabinet.
JP7233280B2 (ja) ラックの制振構造
ES2366246T3 (es) Sistema antepuesto para un sistema de presentación de mercancías.
JP2015208593A (ja) ブラケ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商品陳列什器
JP7196576B2 (ja) 商品載置棚及びショーケース
JP3132898U (ja) 押入収納ユニット
US790440A (en) Revolving window-shade-display case.
CN210055447U (zh) 一种服装陈列架
KR102545663B1 (ko) 컨베이어 벨트용 시트
JP2011245036A (ja) 天板支持用の脚、及び天板付家具
JP6137504B2 (ja) モジュール型片持ち梁タイプの棚保管装置
JP2007209644A (ja) 物品収納棚
KR101850399B1 (ko) 소파용 장식장
KR20220159222A (ko) 스퀘어 박스 조합형 스탠드 행거
KR200357806Y1 (ko) 옷장
JP2016064023A (ja) 収納システム
KR20110007636U (ko) 접이식 공구대
CN211229048U (zh) 墙板
US719164A (en) Display-holder.
JP7314496B2 (ja) 収納用什器
JP2006168854A (ja) 収納部可変型ラック式自動倉庫
CN209737511U (zh) 一种用于流水线生产的工作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