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169B1 - 맞춤의류 전자 발주 방법 - Google Patents

맞춤의류 전자 발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5169B1
KR101975169B1 KR1020180092801A KR20180092801A KR101975169B1 KR 101975169 B1 KR101975169 B1 KR 101975169B1 KR 1020180092801 A KR1020180092801 A KR 1020180092801A KR 20180092801 A KR20180092801 A KR 20180092801A KR 101975169 B1 KR101975169 B1 KR 101975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ustomized
virtual fitting
pattern
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경덕
안제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멋들어진
변경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멋들어진, 변경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멋들어진
Priority to KR1020180092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5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5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5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전자원단 변환기가, 실물 원단을 센싱하여 원단 정보를 측정하는 원단 정보 측정 과정; 발주자 단말기가, 각 원단의 원단 정보를 표시하여 발주자로부터 원단선택 및 디자인 선택받아 원단 맵핑된 가상 피팅이 이루어지는 가상 피팅 과정; 상기 발주자 단말기가, 가상 피팅 완료된 내용이 반영된 작업 지시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맞춤의류 발주 서버로 발주하는 가상피팅 발주 과정; 상기 맞춤의류 발주 서버가, 미리 등록된 보정패턴을 이용하여 작업 지시 전자문서에 기록된 가상 피팅을 보정하여 보정 패턴을 생성하는 보정 패턴 생성 과정; 상기 맞춤의류 발주 서버가, 의류 제작을 가장 빨리할 수 있는 생산자를 검색하여, 검색된 생산자에게 보정 패턴을 전송하여 맞춤의류을 발주하는 맞춤의류 발주 과정; 및 상기 맞춤의류 발주 서버가, 발주된 맞춤형 의류에 대하여 생산부터 출고까지 추적하여 상기 발주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생산/출고 추적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맞춤의류 전자 발주 방법{Method for electric ordering clothes}
본 발명은 맞춤의류 전자 발주 방법으로서, 맞춤의류를 전자 발주할 수 있는 맞춤의류 전자 발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 혁명 이후 많은 기업들은 대량 생산으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해 원가를 낮추는데 그 초점을 두었다. 그러나 시장이 발달함에 따라 소비자는 대량 생산된 제품/서비스에 대한 욕구보다는 개별화된 제품/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기업은 고객을 만족시키기 위한 고객화(customization)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기업들은 고객화가 원가의 상승을 초래한다고 믿었기 때문에 이를 기피하였다 많은 기업들이 대량생산에서 오는 규모의 경제를 포기할 수 없었기 때문에 고객화를 시도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90년대에 들어서면서 원가의 상승 없이 고객화가 가능한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mass customization) 기법이 등장하여 기업들은 원가 상승 없이도 고객화를 추구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이러한 매스 커스터마이제이션의 구현이 보다 손쉬워지고 있다.
한편, 현재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의류의 제작과정과 유통과정을 살펴보면, 의류 도매업자는 디자인 업자에게 디자인을 의뢰하고, 디자인 업자는 디자인 내용을 제작자에게 주어 샘플이 제작된다 제작된 샘플은 디자인 업자의 검토를 통해 의류 도매업자에게 인도되어 도매업자로부터 최종 승인되면, 제작자에 의해 대량 생산이 이루어지고, 생산된 의류는 도매업자에서 소매업자에게 넘겨져 개인 구매자에게 판매된다.
이러한 의류 제작 과정은 여러 사업자가 복잡하게 연계되어 있으므로, 상품 제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하청업체 중 어느 한 곳에서 제품 하자가 발생하는 경우 책임소재가 불분명하여 수습이 어려우며, 디자인의 변경 및 량 생산이 어렵다.
한편, 온라인상에서도 의류 관련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현재 서비스하고 있는 의류 디자인 정보 사이트는 대부분 고정 주문 의류만을 서비스하고 있다. 즉, 서비스 가능한 제품이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어 의류를 구성하는 여러 측면이 다양하게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의류 디자인 정보와 주문 티나 맞춤복이 한곳에서 서비스되지 않고 있으며, 종합적인 위탁 판매의 형식으로 낱장 판매 및 이미 만들어져 있는 상품을 판매하거나 종합적인 쇼핑몰 위주로 서비스되고 있다.
의류 맞춤복 사이트도 유명 디자이너들의 상품과 정장 위주의 제품만을 판매하는데 그치고 있어, 개인 취향에 따라 디자인된 제품을 구매하길 원하는 구매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다.
즉, 현재 인터넷 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서비스를 통해서도 의류 주문과 제작 시 발생하는 시간과 비용 소모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구매자가 능동적으로 의류 제작에 참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한국공개특허 10-2011-0045137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맞춤형 의류를 가상 피팅할 수 있도록 원단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생산불량률을 대폭 낮출 수 있는 맞춤의류 발주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전자원단 변환기가, 실물 원단을 센싱하여 원단 정보를 측정하는 원단 정보 측정 과정; 발주자 단말기가, 각 원단의 원단 정보를 표시하여 발주자로부터 원단선택 및 디자인 선택받아 원단 맵핑된 가상 피팅이 이루어지는 가상 피팅 과정; 상기 발주자 단말기가, 가상 피팅 완료된 내용이 반영된 작업 지시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맞춤의류 발주 서버로 발주하는 가상피팅 발주 과정; 상기 맞춤의류 발주 서버가, 미리 등록된 보정패턴을 이용하여 작업 지시 전자문서에 기록된 가상 피팅을 보정하여 보정 패턴을 생성하는 보정 패턴 생성 과정; 상기 맞춤의류 발주 서버가, 의류 제작을 가장 빨리할 수 있는 생산자를 검색하여, 검색된 생산자에게 보정 패턴을 전송하여 맞춤의류을 발주하는 맞춤의류 발주 과정; 및 상기 맞춤의류 발주 서버가, 발주된 맞춤형 의류에 대하여 생산부터 출고까지 추적하여 상기 발주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생산/출고 추적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단 정보는, 원단 신축력, 섬유 함유량, 원단 색상, 원단 패턴, 원단 두께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원단 변환기는, 복수의 방향에서 원단을 담기는 압력을 센싱하여 원단 신축력을 측정하며, 측정하고자 하는 원단의 어느 한 부분을 밀폐한 후 열을 가해 PH, O2, CO2, 녹는점, 수분변화도를 센싱하여 섬유 함유량을 측정하며, 측정하고자 하는 원단에 일정한 조도(LUX)의 조명을 비추어 원단 색상, 원단 패턴을 이미지화하여 측정하며,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원단의 두께를 측정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원단 패턴을 이미지화하여 측정하는 것은, 원단의 반복패턴 비율을 산출하여 재배율된 원단 반복패턴 비율을 이미지화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상 피팅 과정은, 원단 정보 측정 과정에서 측정되는 원단 신축력, 섬유 함유량, 원단 색상, 원단 패턴, 원단 두께, 원단 반복패턴 비율을 하나 이상 변경하여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보정 패턴 생성 과정은, 발주자로부터 제공받은 가상 피팅 사이즈 데이터, 체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정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산/출고 추적 과정은, 작업지시서와 추적용 스마트카드를 생성하여 RFID 방식의 위치 추적이 이루어져, 생산품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발주를 통해 가상피팅 작업 지시서를 생산자에게 일관되고 체계화된 작업 지시서로 제공하여 생산불량률을 대폭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의류 전자 발주 구상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의류 전자 발주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원단 변환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의류 전자 발주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 맵핑에 따른 가상 피팅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정 패턴을 생성하는 예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 의류 발주를 위한 매칭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산/출고 추적 모습을 도시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의류 전자 발주 구상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의류 전자 발주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원단 변환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맞춤의류 전자 발주를 위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단계, 제2단계, 제3단계, 제4단계, 제5단계, 제6단계, 및 제7단계를 가진다.
제1단계에서 전자원단 변환기(300)는 원단을 자동으로 원단정보를 감별/도출하고 재고관리 및 가상 피팅에 맵핑할 수 있는 전자원단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제2단계의 가상피팅에서는 전자원단 변환기(300)에서 추출한 맵핑 가능 전자원단을 발주자가 보고 디자인과 원단을 변경하면서 가상으로 피팅할수 있다.
제3단계에서는, 발주가 시작되면 가상피팅 작업지시서를 생산자에게 일관되고 체계화된 작업지시서로 제공하여 생산불량률을 대폭 낮출 수 있다.
제4단계에서는 보정패턴을 함께 생성하여 패턴생성/보정작업을 활용하여 기존 작업부분을 생략해 생산시간을 추가로 단축할 수 있다.
제5단계에서는 생산자마다 출고 스케줄이 달라 제일 빠르게 생산 가능한 생산자에서 선 매칭 / 생산하여, 현재 생산속도보다 2배 빠른 생산을 기대할 수 있다.
제6단계에서는 생산자는 생산추적시스템(기술4)으로 내부 생산관리를 할 수 있고, 발주자는 자신의 발주현황을 추적할 수 있다.
제7단계에서는 완료 혹은 진행 중 클레임 발생시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빠르고 정확한 클레임 처리를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맞춤의류 전자 발주 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망(100), 전자원단 변환기(300), 발주자 단말기(200), 및 맞춤의류 발주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100)은, 발주자 단말기(200)와 맞춤의류 발주 서버(400)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망이다.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100)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100)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원단 변환기(300)는, 실물 원단을 센싱하여 원단 정보를 측정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원단 정보는, 원단 신축력, 섬유 함유량, 원단 색상, 원단 패턴, 원단 두께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원단 변환기(3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력 측정 모듈, 섬유 함유량 측정 모듈, 원단 이미지 측정 모듈, 원단 두께 측정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신축력 측정 모듈은, 복수의 방향에서 원단을 담기는 압력을 센싱하여 원단 신축력을 측정하는 모듈이다.
섬유 함유량 측정 모듈은, 측정하고자 하는 원단의 어느 한 부분을 밀폐한 후 열을 가해 PH, O2, CO2, 녹는점, 수분변화도를 센싱하여 섬유 함유량을 측정하는 모듈이다.
원단 이미지 측정 모듈은, 측정하고자 하는 원단에 일정한 조도(LUX)의 조명을 비추어 원단 색상, 원단 패턴을 이미지화하여 측정하는 모듈이다. 나아가 원단의 반복패턴 비율을 산출하여 재배율된 원단 반복패턴 비율을 이미지화할 수 있다.
원단 두께 측정 모듈은,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원단의 두께를 측정하는 모듈이다.
이와 같이 전자원단 변환기(300)는, 원단 신축력, 섬유 함유량, 원단 색상, 원단 패턴, 원단 두께를 측정할 수 있는 각각의 모듈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구비함으로써, 발주자는 손쉽게 다양한 원단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참고로, 전자원단 변환기(300)는 측정되는 원단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발주자 단말기(200)로 전달할 수 있는데, 이러한 유무선 통신 방식은, 이더넷(Ethernet),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직렬통신(serial communication) 및 병렬 통신(parallel communication)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적외선 통신(Infrared Radiation), 블루투스(Bluetooth), 홈 RF(Radio Frequency) 및 무선 랜(Wireless LAN)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발주자 단말기(200)는, 맞춤의류를 발주하는 발주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도면에서는 스마트폰으로 도시하였지만,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데스크탑 PC(desktop PC),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발주자 단말기(200)는, 전자원단 변환기(300)로부터 수신하는 각 원단의 원단 정보를 표시하여 발주자로부터 원단선택 및 디자인 선택받아 원단 맵핑된 가상 피팅을 수행하며, 가상 피팅 완료된 내용이 반영된 작업 지시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맞춤의류 발주 서버(400)로 발주한다.
맞춤의류 발주 서버(4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맞춤의류 발주 서버(400)는, 미리 등록된 보정패턴을 이용하여 작업 지시 전자문서에 기록된 가상 피팅을 보정하여 보정 패턴을 생성한다. 그리고 의류 제작을 가장 빨리할 수 있는 생산자를 검색하여, 검색된 생산자에게 보정 패턴을 전송하여 맞춤의류를 발주한다. 또한 발주된 맞춤형 의류에 대하여 생산부터 출고까지 추적하여 발주자 단말기(200)에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맞춤의류 발주 서버(400)는, 다수의 발주자 단말기(200)를 관리하면서, 각 발주자 단말기(200)로부터 발주되는 발주 정보를 가장 빠른 생산이 가능한 생산자에게 제공하여 발주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맞춤 의류 제작이 가능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의류 전자 발주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단 맵핑에 따른 가상 피팅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정 패턴을 생성하는 예시 그림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맞춤 의류 발주를 위한 매칭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산/출고 추적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의 맞춤의류 전자 발주 방법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단 정보 측정 과정(S410), 가상 피팅 과정(S420), 가상피팅 발주 과정(S430), 보정패턴 생성 과정(S440), 맞춤의류 발주 과정(S450), 및 생산/출고 추적 과정(S4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반품교환 처리 과정(S4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원단 정보 측정 과정(S410)은, 전자원단 변환기(300)가 실물 원단을 센싱하여 원단 정보를 측정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원단 정보는, 원단 신축력, 섬유 함유량, 원단 색상, 원단 패턴, 원단 두께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방향에서 원단을 담기는 압력을 센싱하여 원단 신축력을 측정하며, 측정하고자 하는 원단의 어느 한 부분을 밀폐한 후 열을 가해 PH, O2, CO2, 녹는점, 수분변화도를 센싱하여 섬유 함유량을 측정하며, 측정하고자 하는 원단에 일정한 조도(LUX)의 조명을 비추어 원단 색상, 원단 패턴을 이미지화하여 측정하며,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원단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 조명을 비추어 원단 색상, 원단 패턴을 이미지화하여 측정함에 있어서, 원단의 반복패턴 비율을 산출하여 재배율된 원단 반복패턴 비율을 이미지화할 수 있다. 원단의 반복패턴 비율을 이미지화함으로써, 추후에 발주자가 디자인 선택 및 피팅시에 자신이 원하는 반복패턴을 선택함에 있어서 편하게 된다.
결국, 하나의 전자원단 변환기(300)라는 장치가, 다양한 측정 모듈을 구비하여 원단 신축력, 섬유 함유량, 원단 색상, 원단 패턴, 원단 두께를 하나 이상 측정할 수 있어, 맞춤의류 발주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가상 피팅 과정(S420)은, 발주자 단말기(200)가, 각 원단의 원단 정보를 표시하여 발주자로부터 원단선택 및 디자인 선택받아 원단 맵핑된 가상 피팅이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이러한 가상 피팅 과정(S42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단 정보 측정 과정(S410)에서 측정되는 원단 신축력, 섬유 함유량, 원단 색상, 원단 패턴, 원단 두께, 원단 반복패턴 비율을 하나 이상 변경하여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다.
가상피팅 발주 과정(S430)은, 발주자 단말기(200)가, 가상 피팅 완료된 내용이 반영된 작업 지시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맞춤의류 발주 서버(400)로 발주하는 과정이다. 발주를 통해 가상피팅 작업 지시서를 생산자에게 일관되고 체계화된 작업 지시서로 제공하여 생산불량률을 대폭 낮출 수 있다.
보정패턴 생성 과정(S440)은, 맞춤의류 발주 서버(400)가 미리 등록된 보정패턴을 이용하여 작업 지시 전자문서에 기록된 가상 피팅을 보정하여 보정 패턴을 생성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보정 패턴 생성 과정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주자로부터 제공받은 가상 피팅 사이즈 데이터, 체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정 패턴을 생성한다.
맞춤의류 발주 과정(S450)은, 맞춤의류 발주 서버(400)가 의류 제작을 가장 빨리할 수 있는 생산자를 검색하여, 검색된 생산자에게 보정 패턴을 전송하여 맞춤의류를 발주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산률이 가장 좋은 YY섬유 생산 2라인을 매칭하여 맞춤 의류를 발주할 수 있다.
생산/출고 추적 과정(S460)은, 맞춤의류 발주 서버(400)가 발주된 맞춤형 의류에 대하여 생산부터 출고까지 추적하여 발주자 단말기(200)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생산/출고 추적 과정(S460)은, 작업지시서와 추적용 스마트카드를 생성하여 RFID 방식의 위치 추적이 이루어져, 생산품의 위치를 추적하도록 한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RFID 방식의 위치 추적기(10)를 복수개 구비하여 라인을 따라 이동되는 맞춤의류 생산품을 투입부터 출고될때까지 실시간 추적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생산되는 맞춤의류에 RFID태그를 부착해놓음으로써, 생산된 맞춤의류를 실시간으로 RFID 방식의 위치 추적기(10)를 통하여 RFID 태깅을 통해 추적할 수 있게 된다.
반품교환 처리 과정(S470)은, 완료 혹은 진행 중 클레임 발생시에 반품 또는 교환 등의 클레임 처리를 수행한다. 즉, 클레임 발생 시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빠르고 정확한 반품 또는 교환 등의 클레임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200:발주자 단말기
300:전자원단 변환기
400:맞춤의류 발주 서버

Claims (7)

  1. 전자원단 변환기가, 실물 원단을 센싱하여 원단 정보를 측정하는 원단 정보 측정 과정;
    발주자 단말기가, 각 원단의 원단 정보를 표시하여 발주자로부터 원단선택 및 디자인 선택받아 원단 맵핑된 가상 피팅이 이루어지는 가상 피팅 과정-상기 가상 피팅 과정은 원단 정보 측정 과정에서 측정되는 원단 신축력, 섬유 함유량, 원단 색상, 원단 패턴, 원단 두께, 원단 반복패턴 비율을 하나 이상 변경하여 디자인을 변경하는 과정을 포함함-;
    상기 발주자 단말기가, 가상 피팅 완료된 내용이 반영된 작업 지시 전자문서를 생성하여 맞춤의류 발주 서버로 발주하는 가상피팅 발주 과정;
    상기 맞춤의류 발주 서버가, 미리 등록된 보정패턴을 이용하여 작업 지시 전자문서에 기록된 가상 피팅을 보정하여 보정 패턴을 생성하는 보정 패턴 생성 과정-상기 보정 패턴 생성 과정은 발주자로부터 제공받은 가상 피팅 사이즈 데이터, 체형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정 패턴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함-;
    상기 맞춤의류 발주 서버가, 의류 제작을 가장 빨리할 수 있는 생산자를 검색하여, 검색된 생산자에게 보정 패턴을 전송하여 맞춤의류을 발주하는 맞춤의류 발주 과정;
    상기 맞춤의류 발주 서버가, 발주된 맞춤형 의류에 대하여 생산부터 출고까지 추적하여 상기 발주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생산/출고 추적 과정-상기 생산/출고 추적 과정은 작업지시서와 추적용 스마트카드를 생성하여 RFID 방식의 위치 추적이 이루어져, 생산품의 위치를 추적함을 특징으로 함-; 및
    상기 원단 정보 측정 과정, 상기 가상 피팅 과정, 상기 가상피팅 발주 과정, 상기 보정 패턴 생성 과정, 상기 맞춤의류 발주 과정 및 상기 생산/출고 추적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을 진행하는 도중에 클레임이 발생되면 기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맞춤의류의 반품 또는 교환을 수행하는 클레임 처리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원단 정보는 원단 신축력, 섬유 함유량, 원단 색상, 원단 패턴, 원단 두께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전자원단 변환기는,
    복수의 방향에서 원단을 담기는 압력을 센싱하여 원단 신축력을 측정하며,
    측정하고자 하는 원단의 어느 한 부분을 밀폐한 후 열을 가해 PH, O2, CO2, 녹는점, 수분변화도를 센싱하여 섬유 함유량을 측정하며,
    측정하고자 하는 원단에 일정한 조도(LUX)의 조명을 비추어 원단 색상, 원단 패턴을 이미지화하여 측정하되, 원단의 반복패턴 비율을 산출하여 재배율된 원단 반복패턴 비율을 이미지화하며,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원단의 두께를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의류 전자 발주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92801A 2018-08-09 2018-08-09 맞춤의류 전자 발주 방법 KR101975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801A KR101975169B1 (ko) 2018-08-09 2018-08-09 맞춤의류 전자 발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801A KR101975169B1 (ko) 2018-08-09 2018-08-09 맞춤의류 전자 발주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5169B1 true KR101975169B1 (ko) 2019-05-03

Family

ID=66582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801A KR101975169B1 (ko) 2018-08-09 2018-08-09 맞춤의류 전자 발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51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317B1 (ko) 2019-09-09 2020-03-02 도기환 화장품 원료검색을 통한 비교 견적 제공 및 자동 발주 관리방법
KR102130709B1 (ko) * 2019-12-02 2020-07-06 김태경 디지털 패션 기반 제품 미리보기를 이용한 커스텀 의류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41549B1 (ko) * 2021-01-14 2021-04-16 정가영 의류 제조 시스템
KR20230130313A (ko) 2022-03-03 2023-09-12 권혜란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여성복 주문 제작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819A (ko) * 2001-05-14 2001-07-25 주용민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의류 제작 중개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39070B1 (ko) * 2000-06-30 2004-07-05 김지승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상에서 이루어지는 의류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106846A (ko) * 2006-05-01 2007-11-06 이성화 상품 추적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45137A (ko) 2009-10-26 2011-05-04 김민기 의류 판매 중개 서버 및 그 의류 판매 중개 서버를 포함하는 의류 판매 중개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627114B1 (ko) * 2015-11-19 2016-06-03 정태섭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의류 제작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070B1 (ko) * 2000-06-30 2004-07-05 김지승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상에서 이루어지는 의류 유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69819A (ko) * 2001-05-14 2001-07-25 주용민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한 의류 제작 중개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106846A (ko) * 2006-05-01 2007-11-06 이성화 상품 추적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10045137A (ko) 2009-10-26 2011-05-04 김민기 의류 판매 중개 서버 및 그 의류 판매 중개 서버를 포함하는 의류 판매 중개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627114B1 (ko) * 2015-11-19 2016-06-03 정태섭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의류 제작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317B1 (ko) 2019-09-09 2020-03-02 도기환 화장품 원료검색을 통한 비교 견적 제공 및 자동 발주 관리방법
KR102130709B1 (ko) * 2019-12-02 2020-07-06 김태경 디지털 패션 기반 제품 미리보기를 이용한 커스텀 의류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41549B1 (ko) * 2021-01-14 2021-04-16 정가영 의류 제조 시스템
KR20230130313A (ko) 2022-03-03 2023-09-12 권혜란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여성복 주문 제작 방법,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169B1 (ko) 맞춤의류 전자 발주 방법
US10776861B1 (en) Displaying garments on 3D models of customers
US10664901B2 (en) Garment fitting system and method
CN106663277B (zh) 基于用户兴趣的交互显示器
US9799064B2 (en) Garment fitting system and method
CN106570716B (zh) 提供商品对象信息的方法及装置
US11030574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tail planning with smart product attributes
CN108090801A (zh) 商品推荐方法、移动终端及服务器
JP6659901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07011543A (ja) 商品着用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商品着用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等
CA2986436C (en) Identifying home decor items and paint colors based on colors in an image
US20180150898A1 (en) Online product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Pal et al. Digitalization in the textiles and clothing sector
JP6300677B2 (ja) コーディネート提案装置及び方法
US20220343275A1 (en) Production and logistics management
Bauer et al. Smart factory–Mobile computing in production environments
CN102542455A (zh) 一种利用物联网信息技术远程选购订制个性化服装的方法
US20170103405A1 (en) Statistical data generation server device, statistical data generation system, and statistical data generation method
CA2986452C (en) Home decor color matching
US20150363760A1 (en) Interactive vending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goods in both actual exhibit spot and online shop
KR20110019087A (ko) 전자가격표시기를 이용한 구매자의 패턴 검출장치 및 방법
KR20110045137A (ko) 의류 판매 중개 서버 및 그 의류 판매 중개 서버를 포함하는 의류 판매 중개 시스템의 제어방법
CN111784267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商品交易可视化系统及商品交易方法
CN111340604A (zh) 基于蓝牙定位实现的加油站地图系统
KR20150083171A (ko) 스마트 마케팅 솔루션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