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472B1 - 소화기용 안전핀 - Google Patents

소화기용 안전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472B1
KR102241472B1 KR1020190048083A KR20190048083A KR102241472B1 KR 102241472 B1 KR102241472 B1 KR 102241472B1 KR 1020190048083 A KR1020190048083 A KR 1020190048083A KR 20190048083 A KR20190048083 A KR 20190048083A KR 102241472 B1 KR102241472 B1 KR 102241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rotrusion
fire extinguisher
safety p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4812A (ko
Inventor
김민수
이중희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48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472B1/ko
Publication of KR20200124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소화기용 안전핀은 소화약품이 충전된 소화기의 상부와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뻗는 하부레버, 하부레버와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상부레버로 구성되는 소화기 손잡이에 있어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뻗고, 제2 방향으로 상부레버 및 하부레버를 관통하는 본체부, 상부레버의 상부에 위치하고, 본체부의 상부와 연결되어 본체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본체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하부레버의 관통홀에 삽입 또는 고정되는 걸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화기용 안전핀{SAFETY PIN FOR FIRE EXTINGUISHER}
소화기용 안전핀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소화기는 내부에 소화약품이 충전되는 본체 및 소화약품을 분사하는 손잡이 레버로 구성되며, 화재 상황에서 손잡이를 가압하면 소화기 내부의 소화약품이 외부로 분사된다. 화재발생시가 아닌 평상시에는 손잡이가 작동되지 않도록 손잡이 레버에 안전핀이 결합된다.
그러나 종래의 소화기용 안전핀은 손잡이 레버의 가압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소화기의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안전핀의 제거를 수행하기 어려우므로 소화기를 바닥에 내려놓고 안전핀을 제거해야 한다. 이에, 사용자가 안전핀을 제거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으며, 초기진압이 중요한 화재 상황에서 안전핀이 손쉽게 빠지기 어려워 대처가 늦어질 수 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 한국등록특허 1,610,186는 "소화기 안전핀 자동제거장치"를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1,610,186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소화기용 안전핀이 손잡이의 가압 방향으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소화기의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안전핀의 열림과 닫힘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소화기용 안전핀을 회전시켜 손잡이의 열림과 닫힘을 손쉽게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사용자가 손잡이에 설치된 안전핀의 열림과 닫힘을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용 안전핀은 소화약품이 충전된 소화기의 상부와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뻗는 하부레버, 하부레버와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상부레버로 구성되는 소화기 손잡이에 있어서,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뻗고, 제2 방향으로 상부레버 및 하부레버를 관통하는 본체부, 상부레버의 상부에 위치하고, 본체부의 상부와 연결되어 본체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본체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하부레버의 관통홀에 삽입 또는 고정되는 걸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소화기용 안전핀을 회전시켜 손잡이의 열림과 닫힘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으며, 손잡이의 가압 방향으로 안전핀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소화기의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안전핀의 열림과 닫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잡이에 설치된 안전핀의 열림과 닫힘을 직관적으로 파악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용 안전핀이 적용된 소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용 안전핀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용 안전핀의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용 안전핀의 열림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소화기용 안전핀의 표시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소화기용 안전핀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용 안전핀이 적용된 소화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용 안전핀의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용 안전핀의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용 안전핀의 열림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소화기용 안전핀의 표시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y축, z축 그리고 x축은 서로 수직이며, 각각 제1 방향, 제2 방향 및 제3 방향을 의미한다. 제1 방향은 도 1에서 하부레버(62)가 뻗은 방향(도 1에서 세로 방향)을 의미하고, 제2 방향은 제1 방향에 수직이며, 본체부(10)가 뻗은 방향(도 1에서 높이 방향)을 의미하고, 제3 방향은 제1 방향과 제2 방향에 모두 수직이며, 걸쇠부(30)와 결착부(40)가 돌출된 방향(도 1에서 가로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소화기용 안전핀(1)은 소화약품이 충전된 소화기(60)에 적용된다. 소화기(60)는 소화약품이 분사되는 분사호스(66) 및 소화약품의 분사를 제어하는 레버(61, 62)를 포함한다. 하부레버(62)는 y축 방향을 따라 길게 뻗으며 z축 방향으로 하부레버(62)를 관통하는 관통홀(64)을 포함한다. 상부레버(61)는 상부레버(61)가 뻗은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부레버(61)를 관통하는 관통홀(63)을 포함한다.
상부레버(61)의 일측은 힌지부(65)를 통해서 하부레버(62)와 서로 연결되고, 상부레버(61)의 타측은 하부레버(62)와 서로 각을 이루며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다가, 사용자의 의해 가압되면 소화기(60)의 내부에 충전된 소화약품이 분사호스(66)를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소화기용 안전핀(1)은 상부레버(61)의 가압 방향인 z축 방향으로 상부레버(61) 및 하부레버(62)를 관통하며 설치된다. 소화기용 안전핀(1)은 상부레버(61)와 하부레버(62)가 서로 각을 이루며 이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화재가 발생할 경우 사용자는 소화기용 안전핀(1)을 회전시켜 잠금을 해제하고 소화약품을 분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소화기용 안전핀(1)의 닫힘 상태는 상부레버(61)와 하부레버(62)가 서로 각을 이루며 이격된 상태로, 소화기(60)의 내부에 충전된 소화약품이 분사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하고, 소화기용 안전핀(1)의 열림 상태는 상부레버(61)가 하부레버(62)를 향해 가압할 수 있는 상태로, 소화기(60)의 내부에 충전된 소화약품이 분사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종래의 안전핀은 레버의 가압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소화기의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안전핀의 제거하기 어려워 소화기를 바닥에 내려놓고 안전핀을 제거해야 하므로, 제거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또한, 화재 상황에서 안전핀이 손쉽게 빠지기 어려워 초기 진압이 늦어질 수 있다.
반면에, 소화기용 안전핀(1)은 사용자의 가압 방향으로 레버(61, 62)에 설치되므로, 사용자가 소화기의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안전핀의 잠금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화재 발생시, 안전핀을 빠르게 제거하여 초기 대처를 즉각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소화기용 안전핀(1)은 본체부(10), 회전부(20), 걸쇠부(30), 결착부(40) 및 표시부(50)를 포함한다. 본체부(10)는 z축 방향을 따라 길게 뻗고 봉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부(10)의 상부는 회전부(20)와 연결되고 하부는 걸쇠부(30)와 연결된다.
회전부(20)는 본체부(10)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본체부(10)를 회전시킨다. 회전부(20)는 원형의 고리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부(20)가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가질 경우, 사용자는 손가락을 원형의 고리에 삽입하여 회전부(20)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걸쇠부(30)는 본체부(10)의 하부와 연결되고, 본체부(10)를 하부레버(62)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걸쇠부(30)는 제1 돌출부(31), 제2 돌출부(32), 제1 이격부(33)를 포함한다. 제1 돌출부(31)는 한 쌍으로, 본체부(10)를 중심으로 x축을 따라 일측으로 돌출된 제1 일측돌출부(31a)와 타측으로 돌출된 제1 타측돌출부(31b)를 포함한다. 제1 돌출부(31a, 31b)는 닫힘 상태에서 하부레버(62)의 상단부와 맞닿으며 본체부(10)를 하부레버(62)에 고정시키고 상부레버(61)와 하부레버(62)가 서로 각을 이루며 이격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제2 돌출부(32)는 본체부(10)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x축 방향을 따라 뻗으며 위치한다. 제2 돌출부(32)는 제1 돌출부(31)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1 돌출부(31)와 이격되며 위치한다. 제2 돌출부(32)와 제1 돌출부(31)의 사이에는 제1 이격부(33)가 위치한다. 소화기용 안전핀(1)이 닫힘 상태일 경우, 제1 돌출부(31a, 31b)는 하부레버(62)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2 돌출부(32)는 하부레버(62)의 하부에 위치하고, 제1 이격부(33)는 하부레버(62)의 관통홀(64)에 위치하면서 하부레버(62)와 연결된다.
제1 일측돌출부(31a)는 제1 타측돌출부(31b)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제1 돌출부(31a, 31b)는 상호 단차를 이루며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타측돌출부(31b)와 제2 돌출부(32) 사이의 제1 이격부(33)의 넓이는 제1 일측돌출부(31a)와 제2 돌출부(32) 사이의 제1 이격부(33)의 넓이 보다 그 단차 만큼 클 수 있다.
제1 돌출부(31a, 31b)의 단차는 본체부(10)의 상부 또는 회전부(20)에서 걸쇠부(30) 향해 외부 압력이 발생될 경우, 압력을 분산시키고 쿠셔닝 효과를 가질 수 있으므로, 소화기 보관 시 사람의 실수나 전도, 충격 등으로 인하여 손잡이가 눌려 소화제가 방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레버(62)에 대한 걸쇠부(30)의 고정 안전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화재 장소로 소화기(60)를 이동시킬 때 소화기 레버(61, 62)를 잡은 상태에서 소화기(60)의 이동이 가능하다.
결착부(40)는 본체부(10)의 상부와 연결되고, 본체부(10)를 상부레버(6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결착부(40)는 제3 돌출부(41), 제4 돌출부(42) 및 제2 이격부(43)를 포함한다. 제3 돌출부(41)는 한 쌍으로, 본체부(10)를 중심으로 x축을 따라 일측으로 돌출된 제3 일측돌출부(41a)와 타측으로 돌출된 제3 타측돌출부(41b)를 포함한다. 제3 일측돌출부(41a)는 제3 타측돌출부(41b)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제3 돌출부(41a, 41b)는 상호 단차를 이루며 연결되거나, x축 방향으로 일자로 뻗으며 위치할 수도 있다.
제4 돌출부(42)는 한 쌍으로, 본체부(10)를 중심으로 x축을 따라 일측으로 돌출된 제4 일측돌출부(42a)와 타측으로 돌출된 제4 타측돌출부(42b)를 포함한다. 제4 일측돌출부(42a)는 제4 타측돌출부(42b)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제4 돌출부(42a, 42b)는 상호 단차를 이루며 연결되거나, x축 방향으로 일자로 뻗으며 위치할 수도 있다. 제3 돌출부(41)와 제4 돌출부(42) 사이에는 제2 이격부(43)가 위치하고, 제2 이격부(43)는 상부레버(61)의 관통홀(63)에 위치하면서 상부레버(61)와 연결된다.
소화기용 안전핀(1)이 평상시 닫힘 상태일 경우, 제1 돌출부(31a, 31b)는 하부레버(62)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2 돌출부(32)는 하부레버(62)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1 이격부(33)는 하부레버(62)의 관통홀(64)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3 돌출부(41a, 41b)는 상부레버(61)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4 돌출부(42a 42b)는 상부레버(61)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2 이격부(43)는 상부레버(61)의 관통홀(63)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소화기용 안전핀(1)이 열림 상태일 경우, 제1 돌출부(31)는 회전하여 하부레버(62)의 관통홀(64)과 평행하며 위치한다. 즉, 하부레버(62)의 상부와 맞닿아 있던 제1 돌출부(31)가 관통홀(64)을 통과하면서 하부레버(62)에 고정되어 있던 본체부(10)의 고정력이 해제된다. 이 경우, 제3 돌출부(41), 제4 돌출부(42) 및 제2 이격부(43)는 닫힘 상태와 동일하게, 각각 상부레버(61)의 상부, 상부레버(61)의 하부 및 상부레버(61)의 관통홀(63)에 위치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재 발생시, 회전부(20)를 일방향으로 돌려 열림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부(20)의 회전에 따라 하부레버(62)의 상부와 맞닿아 있던 제1 돌출부(31)가 회전하면서 하부레버(62)의 관통홀(64)과 평행하며 위치한다. 사용자가 열림 상태에서 상부레버(61)를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면 제1 돌출부(31)는 하부레버(62)의 관통홀(64)을 통과하고, 레버(61, 62)의 이격거리가 작아지면서 소화약품이 분사된다.
한편, 소화기용 안전핀(1)은 일반적인 소화기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상하부의 소화기 레버에 각각 관통홀(63, 64)을 가공하고, 관통홀(63, 64)에 본체부(10)를 삽입하고 상부레버(61)의 관통홀(63)에 결착부(40)를 고정시키고, 하부레버(62)의 관통홀(64)에 걸쇠부(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표시부(50)를 상부레버(61)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회전부(20)를 본체부(10)의 상부와 연결시켜 소화기용 안전핀(1)을 소화기 레버에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소화기용 안전핀(1)은 일상 생활에서 사용되는 소화기에 대한 호환성이 높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표시부(50)는 상부레버(61)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1 표식(51) 및 제2 표식(52)을 포함한다. 제1 표식(51)은 열림일 수 있으며, 제2 표식(52)은 닫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표식(51)은 분사이거나, 제2 표식(52)은 고정일 수도 있다. 제1 표식(51) 및 제2 표식(52)은 어두운 곳에서도 식별이 가능하도록 야광 또는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돌출부(41)는 표시부(50)의 상부에 위치하고 회전부(20)의 회전에 따라 제1 표식(51)과 제2 표식(52)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3 돌출부(41)는 본체부(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닫힘 또는 열림 상태를 나타내므로,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본체부(10)의 회전상태를 알 수 있다.
정리 하면, 소화기용 안전핀(1)은 사용자의 가압 방향으로 레버(61, 62)에 설치되고, 회전부(20)를 이용하여 본체부(10)를 회전시켜 레버(61, 62)의 열림과 닫힘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소화기를 잡은 상태에서 소화기용 안전핀(1)의 해제가 가능하다. 또한 소화기용 안전핀(1)은 표시부(5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치된 안전핀의 열림과 닫힘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화재시 빠른 대처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소화기용 안전핀 10: 본체부
20. 회전부 30. 걸쇠부
31. 제1 돌출부 32. 제2 돌출부
33. 제1 이격부 40. 결착부
41. 제3 돌출부 42. 제4 돌출부
43. 제2 이격부 50. 표시부
60. 소화기 61. 상부레버
62. 하부레버 63. 상부 관통홀
64. 하부 관통홀 65. 힌지
66. 분사호스

Claims (7)

  1. 소화약품이 충전된 소화기의 상부와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뻗는 하부레버, 상기 하부레버와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상부레버로 구성되는 소화기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뻗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상부레버 및 상기 하부레버를 관통하는 본체부,
    상기 상부레버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부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부레버의 관통홀에 삽입 또는 상기 하부레버의 관통홀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레버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되는 걸쇠부,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레버의 관통홀에 삽입 또는 상기 상부레버의 관통홀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레버의 상부와 하부에 고정되는 결착부를 포함하는 소화기용 안전핀.
  2. 제1항에서,
    상기 걸쇠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
    상기 제1 돌출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 그리고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이격부를 포함하는 소화기용 안전핀.
  3. 제2항에서,
    상기 걸쇠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돌출부가 상기 하부레버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하부레버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이격부는 상기 하부레버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레버의 관통홀에 고정되는 소화기용 안전핀.
  4. 제2항에서,
    상기 걸쇠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상기 하부레버의 관통홀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하부레버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소화기용 안전핀.
  5. 제2항에서,
    상기 결착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3 돌출부,
    상기 제3 돌출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4 돌출부, 그리고
    상기 제3 돌출부와 상기 제4 돌출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이격부를 포함하는 소화기용 안전핀.
  6. 제5항에서,
    상기 제3 돌출부는 상기 상부레버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4 돌출부는 상기 상부레버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이격부는 상기 상부레버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레버의 관통홀에 고정되는 소화기용 안전핀.
  7. 제1항에서,
    상기 상부레버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소화기용 안전핀.
KR1020190048083A 2019-04-24 2019-04-24 소화기용 안전핀 KR102241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083A KR102241472B1 (ko) 2019-04-24 2019-04-24 소화기용 안전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083A KR102241472B1 (ko) 2019-04-24 2019-04-24 소화기용 안전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812A KR20200124812A (ko) 2020-11-04
KR102241472B1 true KR102241472B1 (ko) 2021-04-19

Family

ID=73571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083A KR102241472B1 (ko) 2019-04-24 2019-04-24 소화기용 안전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4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4041B2 (ja) * 1992-03-24 2001-10-02 ソニー株式会社 立体プラネタリウム装置
JP2010200818A (ja) * 2009-02-27 2010-09-16 Hatsuta Seisakusho Co Ltd 消火器用安全栓及び消火器
CN202909349U (zh) * 2012-11-16 2013-05-01 湖州师范学院 一种灭火器把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186B1 (ko) 2009-06-17 2016-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진 먼지 제거 기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JP3214041U (ja) * 2017-10-04 2017-12-14 日本ドライケミカル株式会社 粉末消火薬剤散布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4041B2 (ja) * 1992-03-24 2001-10-02 ソニー株式会社 立体プラネタリウム装置
JP2010200818A (ja) * 2009-02-27 2010-09-16 Hatsuta Seisakusho Co Ltd 消火器用安全栓及び消火器
CN202909349U (zh) * 2012-11-16 2013-05-01 湖州师范学院 一种灭火器把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812A (ko)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052B1 (ko)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하는 자동소화기
JP4987852B2 (ja) 注入器具(改良型トリガ)
US6832417B1 (en) Safety snap hook
JP2003514638A (ja) 消火器
KR102241472B1 (ko) 소화기용 안전핀
KR20200102942A (ko) 관리 및 사용이 편리한 소화기
JP6681469B2 (ja) 消火器の安全ハンドル及びその安全ハンドルを備えた消火器
JP2017086202A (ja) 消火器ユニット
JP7144622B2 (ja) 管理及び使用が便利な消火器
KR100669638B1 (ko) 커버 힌지구조
KR20120003523A (ko) 안전기능이 강화된 분사용 캡구조
KR102208905B1 (ko) 안전핀 제거가 용이한 소화기
KR100981646B1 (ko) 사물함 잠금장치
JP2004358043A (ja) 消火器の安全装置
KR20210001511U (ko) 산업용 안전후크
KR20140078388A (ko) 안전 고리
KR102530276B1 (ko) 소화기 헤드
KR100232530B1 (ko) 분말소화기
JP4603827B2 (ja) 消火器の安全装置
KR200334185Y1 (ko) 소화기의 봉인구조
KR200400910Y1 (ko) 소화기용 안전핀의 복귀장치
KR101143657B1 (ko) 카라비너
KR102108639B1 (ko)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
JP5593348B2 (ja) ドアストッパ
JPS5825134Y2 (ja) 安全装置付きフツ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