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276B1 - 소화기 헤드 - Google Patents
소화기 헤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0276B1 KR102530276B1 KR1020200129188A KR20200129188A KR102530276B1 KR 102530276 B1 KR102530276 B1 KR 102530276B1 KR 1020200129188 A KR1020200129188 A KR 1020200129188A KR 20200129188 A KR20200129188 A KR 20200129188A KR 102530276 B1 KR102530276 B1 KR 1025302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n
- lever
- upper lever
- pin hole
- stopp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 A62C13/64—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released by means of a val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를 움켜쥔 상태에서도 안전핀이 쉽게 뽑히는 소화기 헤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소화기 본체용기 내에 담긴 소화약제를 밸브 스템의 누름 조작에 따라 분사하는 밸브, 제1핀구멍이 가로질러 형성된 밑레버, 상기 밑레버와 힌지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밑레버 방향으로 가압 시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포개어 덮듯이 접히면서 상기 밸브 스템을 눌러주고, 상기 제1핀구멍과 통하는 제2핀구멍이 가로질러 형성된 윗레버, 상기 윗레버의 상기 제2핀구멍 아래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받침부, 상기 받침부 위쪽의 상기 윗레버에 형성된 걸림구멍, 상기 밑레버의 제1핀구멍과 상기 윗레버의 제2핀구멍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윗레버의 회전을 방지하는 안전핀 및 상기 걸이부와 상기 받침부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윗레버와 마주보는 안쪽면에 상기 받침부를 떠받쳐서 상기 윗레버의 가압 시 상기 밸브 스템이 눌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핀이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핀구멍과 통하는 제3핀구멍이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소화기 헤드를 개시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소화기 본체용기 내에 담긴 소화약제를 밸브 스템의 누름 조작에 따라 분사하는 밸브, 제1핀구멍이 가로질러 형성된 밑레버, 상기 밑레버와 힌지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밑레버 방향으로 가압 시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포개어 덮듯이 접히면서 상기 밸브 스템을 눌러주고, 상기 제1핀구멍과 통하는 제2핀구멍이 가로질러 형성된 윗레버, 상기 윗레버의 상기 제2핀구멍 아래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받침부, 상기 받침부 위쪽의 상기 윗레버에 형성된 걸림구멍, 상기 밑레버의 제1핀구멍과 상기 윗레버의 제2핀구멍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윗레버의 회전을 방지하는 안전핀 및 상기 걸이부와 상기 받침부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윗레버와 마주보는 안쪽면에 상기 받침부를 떠받쳐서 상기 윗레버의 가압 시 상기 밸브 스템이 눌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핀이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핀구멍과 통하는 제3핀구멍이 형성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소화기 헤드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화기의 오작동을 막기 위하여 밸브 스템이 눌러지지 않도록 하는 안전핀을 구비한 소화기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진압을 위해 소화기의 위아래 손잡이를 움켜쥔 상태에서도 안전핀이 쉽게 뽑히는 구조의 소화기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말소화기는 본체용기(소화기 용기) 안에 분말소화약제를 가압 또는 축압해서 방사하는 것으로, 크게 가압식 분말소화기와 축압식 분말소화기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 가압식 분말소화기는 분말소화약제가 담긴 본체용기와 별도의 가압용 가스용기에 압축가스를 봉입하여 장치하고, 소화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윗레버와 밑레버를 함께 모아 힘껏 움켜쥐면 가압용 가스용기(CO2충전)의 봉판이 뚫리고, 이때 가압용 가스용기 압력이 본체용기 내로 유도되어 분말소화약제를 밖으로 방출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압력 확인이 어렵고 본체용기가 부식되거나 분출구가 막힌 상태에서 사용할 경우 폭발 위험이 있어 현재는 생산이 중단되었다.
축압식 분말소화기는 본체용기에 분말소화약제와 함께 압력원인 불연성 가스를 같이 압축 충전하여 안전핀을 제거한 후, 소화기 헤드의 윗레버와 밑레버(손잡이)를 함께 모아 힘껏 움켜쥐어 밸브 스템을 개방 작동시키면 질소, 이산화탄소 등 불연성 가스의 가압작용에 의해 분말소화약제가 사이폰관(약제방출관)을 통해 밖으로 방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화기 헤드에는 불연성 가스의 충압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압력계가 부착되어 있다.
즉, 축압식 분말소화기는 본체용기의 주둥이를 통해 소화약제를 일정량 주입하고, 그 주둥이에 소화기 헤드(윗레버와 밑레버 및 압력계를 포함하는 밸브 전체를 통칭함)를 장착하여 화재발생 시 안전핀을 뽑고 윗레버와 밑레버를 함께 모아 힘껏 움켜쥠으로써 본체용기 내의 소화약제를 사이펀관과 밸브, 호스 및 노즐을 통해 방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축압식 분말소화기에서 안전핀은 사용자의 실수나 소화기의 전도, 충격 등으로 인하여 윗레버가 눌러져서 소화약제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윗레버와 밑레버를 관통하는 구멍에 삽입되어 있다.
즉, 안전핀은 평상시 윗레버가 밑레버 방향으로 회전하여 밸브 스템이 눌러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아울러 일정한 힘(10kg) 이내에서 뽑히는 구조로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화재발생 시 등 현장의 긴급한 상황에서 사용자가 당황하여 무의식적으로 윗레버와 밑레버를 함께 움켜질 경우 윗레버가 안전핀을 눌러 큰 전단력이 전달되고, 이로 인해 안전핀을 힘껏 잡아 당겨도 윗레버의 구멍에서 빠지지 않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화재발생 시 등에 사용자가 손잡이를 움켜쥔 상태에서는 안전핀을 신속하게 뽑지 못하여 초기 진압 등을 위해 소화기를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에는 '손잡이를 움켜잡아도 안전핀이 빠지는 소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약제를 외부로 분사시키기 위한 배출핀(310)이 형성된 결합구(300)와, 상기 결합구(300)에 제1회동축(210)으로 고정되는 하부손잡이(200)와, 상기 제1회동축(210)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손잡이(200)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배출핀(310)을 가압하는 상부손잡이(100)와, 상기 하부손잡이(200)와 상기 상부손잡이(100) 사이의 제2회동축(220)에 결합되고 안전핀(500)의 삽입 시 상기 상부손잡이(100)의 회동을 방지하여 상기 배출핀(310)이 가압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블록(400)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상부손잡이(100)에 하중을 가하더라도 상기 안전핀(500)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손잡이(100)에 가해지는 힘은 상기 안전블록(400)의 상단에서 수직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제2회동축(220)에 전달되면서 상기 하부손잡이(200)로 분산되고, 상기 안전핀(500)이 삽입되는 제2관통홀(420)에는 일부 힘만 전달되어 전단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소화기 기술은 사용자가 손잡이를 움켜쥘 때 안전블록(400)이 제1회동축(210)을 받침점으로 하는 지렛대 작용으로 안전핀(500)을 가압하여 하중을 전달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급박한 상황에서 안전핀(500)을 뽑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히며, 아울러 종래기술에서의 도면 부호는 본 발명에서의 도면 부호와 상호 무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소화기용 안전장치 기술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를 움켜쥔 상태에서도 안전핀을 쉽게 뽑을 수 있고, 아울러 소화기의 보관 및 이동하는 과정에서 전도나 충격 등으로 인해 안전핀이 저절로 빠지면서 손잡이가 눌러져 소화약제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소화기 헤드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손잡이를 움켜쥔 상태에서도 안전핀을 쉽게 뽑을 수 있도록 하는 소화기 헤드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소화기의 미사용 시 안전핀이 저절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소화기 헤드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소화기의 본체용기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용기 내에 담긴 소화약제를 밸브 스템(valve stem)의 누름 조작에 따라 분사하도록 형성된 밸브, 스토퍼를 받치기 위해 상기 밸브의 한쪽에 수평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걸이대, 상기 밸브의 상부에 고정되고, 제1핀구멍이 가로질러 형성된 밑레버, 상기 밑레버와 힌지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밑레버 방향으로 가압 시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포개어 덮듯이 접히면서 상기 밸브 스템을 눌러주고, 상기 제1핀구멍과 통하는 제2핀구멍이 가로질러 형성된 윗레버, 상기 윗레버의 상기 제2핀구멍 아래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받침부, 상기 받침부 위쪽의 상기 윗레버에 형성된 걸림구멍, 상기 밑레버의 제1핀구멍과 상기 윗레버의 제2핀구멍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윗레버의 회전을 방지하는 안전핀, 상기 받침부와 상기 밸브의 걸이대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윗레버와 마주보는 안쪽 면에 상기 받침부를 떠받쳐서 상기 윗레버의 가압 시 상기 밸브 스템이 눌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핀이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핀구멍과 통하는 제3핀구멍이 형성된 스토퍼, 상기 지지턱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구멍에 삽입 시 탄성 변형되면서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받침부와 상기 밸브의 걸이대 사이에 상기 스토퍼의 장착 상태를 유지시키는 결합후크 및 상기 결합후크 중 상기 스토퍼와 인접하는 부분에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고, 상기 안전핀을 상기 제1 내지 제3핀구멍에서 뽑은 상태에서 상기 윗레버를 가압하면 전단력에 의해 끊기면서 상기 받침부와 상기 밸브의 걸이대 사이에 상기 스토퍼의 장착 상태를 해제하는 파단부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헤드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화재발생 시에 사용자가 당황하거나 자칫 소화기 사용법을 몰라 허둥대어 윗레버와 밑레버를 함께 모아 움켜쥐더라도 안전핀을 쉽게 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소화기의 본체용기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용기 내에 담긴 소화약제를 밸브 스템(valve stem)의 누름 조작에 따라 분사하도록 형성되고, 한쪽에 걸이대가 형성된 밸브, 상기 밸브의 상부에 고정되고, 제1핀구멍이 가로질러 형성된 밑레버, 상기 밑레버와 힌지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밑레버 방향으로 가압 시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포개어 덮듯이 접히면서 상기 밸브 스템을 눌러주고, 상기 제1핀구멍과 통하는 제2핀구멍이 가로질러 형성된 윗레버, 상기 윗레버의 상기 제2핀구멍 아래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받침부, 상기 밑레버의 제1핀구멍과 상기 윗레버의 제2핀구멍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윗레버의 회전을 방지하는 안전핀, 상기 받침부와 상기 밸브의 걸이대 사이에 장착되고, 안쪽 면에 상기 받침부를 떠받쳐서 상기 윗레버의 가압 시 상기 밸브 스템이 눌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핀이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핀구멍과 통하는 제3핀구멍이 형성된 스토퍼, 상기 스토퍼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윗레버와 접촉으로 상기 받침부와 상기 밸브의 걸이대 사이에 상기 스토퍼의 장착 상태를 유지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끝부분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안전핀의 선단과 접촉력에 의해 상기 안전핀이 상기 제1 내지 제3핀구멍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핀홀더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헤드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화재발생 시에 사용자가 당황하거나 자칫 소화기 사용법을 몰라 허둥대어 윗레버와 밑레버를 함께 모아 움켜쥐더라도 안전핀을 쉽게 뽑을 수 있고, 아울러 소화기의 미사용 시(평상시)에 전도나 충격 등으로 인해 안전핀이 저절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은, 상기 안전핀을 상기 제1 내지 제3핀구멍에서 뽑은 상태에서 상기 윗레버를 가압 시 상기 스토퍼가 미끄러지면서 상기 받침부와 상기 밸브의 걸이대 사이에서 이탈되도록 유도하는 경사면이 상기 지지턱의 가장자리에 형성됨으로써, 안전핀이 완전히 뽑힌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윗레버가 밸브 스템을 누르도록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은, 상기 안전핀이 상기 제3핀구멍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3핀구멍과 접촉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제3핀구멍의 내경이 상기 안전핀의 단면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3핀구멍에 상기 안전핀의 삽입이 원활하도록 상기 제3핀구멍을 가로질러 슬릿이 형성됨으로써, 소화기의 미사용 시에 전도나 충격 등으로 인해 안전핀이 쉽게 또는 저절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화재발생 시 사용자가 당황하거나 자칫 소화기 사용법을 몰라 허둥대어 윗레버와 밑레버를 함께 모아 움켜쥐더라도 스토퍼가 안전핀에 전달되는 전단력을 방지 또는 최소화하여 안전핀을 쉽게 뽑을 수 있고, 이로 인해 화재의 초기 진압을 위해 소화기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소화기의 보관 및 이동 또는 미사용 시 전도나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해 안전핀이 저절로 빠지면서 손잡이가 눌러져 소화약제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소화기 헤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소화기 헤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소화기 헤드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소화기 헤드를 구성하는 스토퍼와 결합후크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소화기 헤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소화기 헤드를 구성하는 윗레버와 스토퍼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소화기 헤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소화기 헤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소화기 헤드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소화기 헤드를 배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소화기 헤드를 구성하는 스토퍼와 연결부 및 핀홀더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소화기 헤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소화기 헤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소화기 헤드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소화기 헤드를 구성하는 스토퍼와 결합후크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소화기 헤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소화기 헤드를 구성하는 윗레버와 스토퍼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소화기 헤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소화기 헤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소화기 헤드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소화기 헤드를 배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소화기 헤드를 구성하는 스토퍼와 연결부 및 핀홀더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소화기 헤드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실시 예 1>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 1에 따른 소화기 헤드는 소화기의 본체용기 상부에 장치하여 윗레버(30) 및 밸브 스템(11)의 작동에 의해 본체용기 내부에 충전된 소화약제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것으로, 이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는 밸브(10), 밑레버(20), 윗레버(30), 안전핀(40), 스토퍼(50) 및 결합후크(60)를 포함하고 있다.
밸브(10)는 소화기의 본체용기(도시하지 않음) 내에 담긴 소화약제를 밸브 스템(11)의 누름 조작에 따라 분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10)의 내부에는 밸브 스템(11)이 배치되어 있고, 그 밸브 스템(11)의 하단에는 밸브(10)의 폐쇄 상태를 유지시키는 오링 및 스프링이 구비되어 있다.
즉, 윗레버(30)가 밸브 스템(11)을 아래로 누르게 되면 밸브(10)의 내부가 열리고, 그 틈을 통하여 본체용기 내에 충전된 소화약제가 분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10)의 한쪽 측면에는 벽 등에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스토퍼(50)를 받치기 위해 걸이대(12)가 수평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10)의 하부에는 소화기의 본체용기 주둥이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플러그형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밑레버(20)는 밸브(10)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중간 부분에는 안전핀(40)이 관통하는 제1핀구멍(21)이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다.
즉, 밑레버(20)는 윗레버(30)의 내부로 들어가듯이 포개지도록 마치 'U' 자형 단면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밑레버(20) 중 그 길이 방향의 선단에 위치하는 양쪽 측벽에는 힌지핀(22)을 삽입하기 위한 너클(24)이 형성되어 있다.
즉, 밑레버(20)의 한쪽 끝부분은 밸브(10)와 힌지핀(22)에 의해 핀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고, 중간 부분은 밸브(10)에 끼워져 구속되어 있다.
여기서 밑레버(20)의 제1핀구멍(21)과 인접하는 위치에는 결합후크(60)를 끼우기 위한 관통구멍(23)이 윗레버(30)의 걸림구멍(33)과 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윗레버(30)는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밸브 스템(11)을 쉽게 누를 수 있도록 밑레버(20)와 힌지핀(2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즉, 윗레버(30)는 밑레버(20)의 상측에서 힌지핀(2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밑레버(20) 방향으로 가압 시 힌지핀(2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포개어 덮듯이 접히면서 밸브 스템(11)을 눌러주기 위해 밑레버(20)의 단면이 갖는 폭보다 폭이 더 넓은 마치 'U' 자형 단면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윗레버(30)의 중간 부분에는 안전핀(40)이 관통하는 제2핀구멍(31)이 제1핀구멍(21)과 통하도록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윗레버(30)의 제2핀구멍(31) 아래쪽 가장자리에는 스토퍼(50)와 접촉 간섭을 일으키는 받침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윗레버(30)의 받침부(32) 위쪽에는 결합후크(60)를 끼우기 위한 걸림구멍(33)이 뚫려 있다.
그리고 윗레버(30) 중 그 길이 방향의 선단에 위치하는 양쪽 측벽에는 힌지핀(22)을 삽입하기 위한 너클(34)이 형성되어 있다.
즉, 윗레버(30)의 한쪽 끝부분은 밸브(10) 및 밑레버(20)와 힌지핀(22)에 의해 핀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윗레버(30)의 받침부(32)는 윗레버(30)와 밑레버(20)를 함께 모아 움켜쥘 때 지지턱(51)과의 접촉 상태가 수월하게 해제되도록 하기 위해 힌지핀(22)에서 윗레버(30)의 자유단 쪽으로 갈수록 비스듬히 기울어지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전핀(40)은 평상시 윗레버(30)의 회전을 방지하여 밸브 스템(11)이 눌러지지 않도록 밑레버(20)의 제1핀구멍(21)과 윗레버(30)의 제2핀구멍(31)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있다.
스토퍼(50)는 안전핀(40)이 밑레버(20)의 제1핀구멍(21)과 윗레버(30)의 제2핀구멍(31)을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에서 윗레버(30)가 밑레버(20) 방향으로 회전하여 밸브 스템(11)을 누르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밸브(10)의 걸이대(12)와 윗레버(30)의 받침부(32)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스토퍼(50)의 윗레버(30)와 마주보는 안쪽 면에는 윗레버(30)의 받침부(32)를 떠받쳐서 사용자가 윗레버(30)를 움켜쥐거나 가압 시 밸브 스템(11)이 눌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턱(51)이 그 받침부(3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지지턱(51)의 위쪽에는 안전핀(40)이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제1 및 제2핀구멍(21)(31)과 통하는 제3핀구멍(5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턱(51)의 가장자리 모서리에는 안전핀(40)을 제1 내지 제3핀구멍(21)(31)(53)에서 뽑은 상태에서 윗레버(30)를 가압 시 스토퍼(50)가 전단력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밸브(10)의 걸이대(12)와 윗레버(30)의 받침부(32) 사이에서 이탈되도록 유도하는 경사면(52)이 형성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윗레버(30)를 움켜쥐거나 가압하더라도 스토퍼(50)의 지지턱(51)이 윗레버(30)의 받침부(32)를 떠받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안전핀(40)에는 전단력이 전달 또는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핀(40)을 쉽게 뽑을 수 있다.
아울러 화재발생 시 등 소화기를 사용하기 위해 안전핀(40)을 뽑은 상태에서는 윗레버(30)를 움켜쥐거나 가압하면 스토퍼(50)의 유격과 윗레버(30)가 가하는 전단력에 의해 윗레버(30)의 받침부(32)가 경사면(52)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윗레버(30)가 밑레버(20) 방향으로 힌지핀(2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밸브 스템(11)을 눌러줄 수 있다.
여기서 제3핀구멍(53)의 내경은 안전핀(40)이 끼워진 상태에서 접촉력이 발생하도록 안전핀(40)의 단면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고, 또 제3핀구멍(53)의 양쪽에는 안전핀(40)의 삽입 시 원활하게 벌어지면서 안전핀(40)을 안정적으로 잡아주기 위해 슬릿(54)이 가로질러 형성되어 있다.
결합후크(60)는 걸이대(12)와 윗레버(30)의 받침부(32) 사이에 스토퍼(50)의 장착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윗레버(30)의 걸림구멍(33)에 삽입 시 탄성 변형으로 오므려졌다가 벌어지면서 탄력적으로 끼움 결합되도록 지지턱(51)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결합후크(60)는 윗레버(30)의 걸림구멍(33)에 결합되어 있어 평상시 스토퍼(50)가 의도하지 않게 밸브(10)의 걸이대(12)와 윗레버(30)의 받침부(32) 사이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결합후크(60) 중 스토퍼(50)와 인접하는 부분에는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파단부(61)가 형성되어 있다.
즉, 파단부(61)는 사용자가 안전핀(40)을 제1 내지 제3핀구멍(21)(31)(53)에서 뽑은 상태에서 윗레버(30)를 가압하면 그 전단력에 의해 쉽게 끊기면서 밸브(10)의 걸이대(12)와 윗레버(30)의 받침부(32) 사이에서 이탈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스토퍼(50)의 장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50)와 결합후크(60) 및 파단부(61)는 약간의 탄성을 갖는 난연성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화기 헤드의 주요 작용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안전핀(40)을 뽑지 않은 상태에서 윗레버(30)와 밑레버(20)를 함께 모아 움켜쥐더라도 안전핀(40)이 제1 내지 제3핀구멍(21)(31)(53)을 관통하여 윗레버(30)를 구속하고 있으므로 밸브 스템(11)을 누를 수 없다.
아울러 결합후크(60)가 걸림구멍(33)에 걸림 결합되어 있고, 안전핀(40)이 스토퍼(50)의 제3핀구멍(53)에 접촉력을 발생하도록 끼워져 있기 때문에 소화기의 전도나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해 안전핀(40)이 저절로 빠지면서 본체용기 내의 소화약제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50)의 지지턱(51)이 윗레버(30)의 받침부(32)를 떠받치고 있으므로 안전핀(40)에는 전단력이 작용하지 않아 쉽게 뽑을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발생 시 등 사용자가 소화기를 사용하기 위해 안전핀(40)을 제1 내지 제3핀구멍(21)(31)(53)에서 뽑고, 윗레버(30)를 가압하면 윗레버(30)의 받침부(32)를 떠받치고 있던 스토퍼(50)가 그 경사면(52)과 전단력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유연하게 미끄러지고, 이와 동시에 결합후크(60)의 파단부(61)가 윗레버(30)의 전단력과 외력 작용에 의해 끊어지면서 스토퍼(50)는 밸브(10)의 걸이대(12)와 윗레버(30)의 받침부(32)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이탈되고, 이렇게 되면 윗레버(30)가 밑레버(20) 방향으로 힌지핀(2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밸브 스템(11)을 눌러주어 본체용기 내의 소화약제가 밸브(10)의 분출구를 통해 분사된다.
즉, 사용자가 윗레버(30)와 밑레버(20)를 움켜쥔 상태에서 안전핀(40)을 뽑을 경우 윗레버(30)의 받침부(32)에 발생하는 집중하중이 스토퍼(50)의 지지턱(51)으로 전달 또는 지지턱(51)에 의해 일부 분산되면서 안전핀(40)에 전달되는 전단력을 최소화 또는 방지하기 때문에 손쉽게 안전핀(40)을 뽑을 수 있고, 이로 인해 화재발생 시 초기 진압을 위해 소화기를 좀더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실시 예 2>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소화기 헤드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는 밸브(10), 밑레버(20), 윗레버(30), 안전핀(40), 스토퍼(50), 연결부(70) 및 핀홀더(71)를 포함하고 있다.
연결부(70)는 윗레버(30)와 접촉으로 밸브(10)의 걸이대(12)와 윗레버(30)의 받침부(32) 사이에 스토퍼(50)가 장착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스토퍼(5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70)는 화재발생 시 등 소화기를 사용하기 위해 안전핀(40)을 뽑고 윗레버(30)를 움켜쥐어 누를 때 스토퍼(50)가 밸브(10)의 걸이대(12)와 윗레버(30)의 받침부(32)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빠질 수 있도록 윗레버(30)와 일정한 간격(유격)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연결부(70)는 윗레버(30)의 상측에서 윗레버(30)의 상면과 양쪽 측벽을 감싸서 덮듯이 장착할 수 있도록 그 단면의 형상이 마치 '∩'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핀홀더(71)는 안전핀(40)이 제1 내지 제3핀구멍(21)(31)(53)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연결부(70)의 자유단 끝부분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핀홀더(71)는 평상시 안전핀(40)의 선단과 접촉력에 의해 안전핀(40)이 제1 내지 제3핀구멍(21)(31)(53)에 끼워진 상태를 구속하여 저절로 빠지거나 윗레버(30) 및 밸브 스템(11)이 눌러져 본체용기 내의 소화약제가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전핀(40)의 단면 지름보다 약간 작은 내경의 중공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스토퍼(50)와 연결부(70) 및 핀홀더(71)는 약간의 탄성을 갖는 난연성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소화기 헤드는 화재발생 시 사용자가 당황하거나 자칫 소화기 사용법을 몰라 허둥대어 윗레버(30)와 밑레버(20)를 함께 모아 움켜쥐더라도 스토퍼(50)의 지지턱(51)이 윗레버(30)의 받침부(32)를 떠받치고 있으므로 안전핀(40)에는 전단력이 작용하지 않아 쉽게 뽑을 수 있다.
그리고 평상시(소화기 미사용 시)에는 연결부(70)가 스토퍼(50)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있고, 아울러 안전핀(40)의 선단 부분이 핀홀더(71)의 접촉력에 의해 구속되어 있으므로 안전핀(40)이 제1 내지 제3핀구멍(21)(31)(53)에 끼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소화기의 미사용 시에 전도나 충격 등으로 인해 안전핀(40)이 저절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소화기를 사용하기 위해 안전핀(40)을 제1 내지 제3핀구멍(21)(31)(53)에서 뽑고, 윗레버(30)를 가압하면 윗레버(30)의 받침부(32)를 떠받치고 있던 스토퍼(50)가 그 경사면(52)과 전단력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미끄러지면서 밸브(10)의 걸이대(12)와 윗레버(30)의 받침부(32) 사이에서 이탈되고, 이렇게 되면 윗레버(30)가 밑레버(20) 방향으로 힌지핀(2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밸브 스템(11)을 눌러주어 본체용기 내의 소화약제가 밸브(10)의 분출구를 통해 분사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 2에 따른 소화기 헤드와 관련한 구성요소 중 상술한 실시 예 1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밸브 11: 밸브 스템
12: 걸이대 20: 밑레버
21: 제1핀구멍 22: 힌지핀
30: 윗레버 31: 제2핀구멍
32: 받침부 33: 걸림구멍
40: 안전핀 50: 스토퍼
51: 지지턱 52: 경사면
53: 제3핀구멍 54: 슬릿
60: 결합후크 61: 파단부
70: 연결부 71: 핀홀더
12: 걸이대 20: 밑레버
21: 제1핀구멍 22: 힌지핀
30: 윗레버 31: 제2핀구멍
32: 받침부 33: 걸림구멍
40: 안전핀 50: 스토퍼
51: 지지턱 52: 경사면
53: 제3핀구멍 54: 슬릿
60: 결합후크 61: 파단부
70: 연결부 71: 핀홀더
Claims (3)
- 소화기의 본체용기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용기 내에 담긴 소화약제를 밸브 스템(11)의 누름 조작에 따라 분사하도록 형성된 밸브(10);
스토퍼(50)를 받치기 위해 상기 밸브(10)의 한쪽에 수평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걸이대(12);
상기 밸브(10)의 상부에 고정되고, 제1핀구멍(21)이 가로질러 형성된 밑레버(20);
상기 제1핀구멍(21)과 인접하는 위치에 상기 밑레버(20)를 가로질러 꿰뚫린 관통구멍(23);
상기 밑레버(20)와 힌지핀(22)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밑레버(20) 방향으로 가압 시 상기 힌지핀(2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포개어 덮듯이 접히면서 상기 밸브 스템(11)을 눌러주고, 상기 제1핀구멍(21)과 통하는 제2핀구멍(31)이 가로질러 형성된 윗레버(30);
상기 윗레버(30)의 상기 제2핀구멍(31) 아래쪽 가장자리에 형성된 받침부(32);
상기 받침부(32)의 위쪽에 상기 관통구멍(23)과 통하도록 상기 윗레버(30)를 가로질러 꿰뚫린 걸림구멍(33);
상기 밑레버(20)의 제1핀구멍(21)과 상기 윗레버(30)의 제2핀구멍(31)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윗레버(30)의 회전을 방지하는 안전핀(40);
상기 걸이대(12)와 상기 받침부(32) 사이에 장착하되, 상기 윗레버(30)와 마주보는 안쪽 면에 상기 받침부(32)를 떠받쳐서 상기 윗레버(30)의 가압 시 상기 밸브 스템(11)이 눌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턱(51)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핀(40)이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핀구멍(21)(31)과 통하는 제3핀구멍(53)이 형성된 스토퍼(50);
상기 스토퍼(50)의 지지턱(51)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구멍(33)에 삽입 시 탄성 변형으로 오므려졌다가 벌어지면서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걸이대(12)와 상기 받침부(32)의 사이에 상기 스토퍼(50)가 장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결합후크(60);
상기 결합후크(60) 중 상기 스토퍼(50)와 인접하는 부분에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핀구멍(21)(31)(53)에서 상기 안전핀(40)을 뽑고 상기 윗레버(30)를 가압 시 발생하는 전단력에 의해 끊어지면서 상기 스토퍼(50)로부터 상기 결합후크(60)를 분리하여 상기 걸이대(12)와 상기 받침부(32)의 사이에 상기 스토퍼(50)가 장착된 상태를 해제하는 파단부(61);
상기 지지턱(51)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안전핀(40)을 상기 제1 내지 제3핀구멍(21)(31)(53)에서 뽑은 상태에서 상기 윗레버(30)를 가압 시 상기 스토퍼(50)가 미끄러지면서 상기 걸이대(12)와 상기 받침부(32)의 사이에서 이탈되도록 유도하는 경사면(52); 및
상기 제3핀구멍(53) 속에 상기 안전핀(4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3핀구멍(53)을 가로질러 형성된 슬릿(54);
을 포함하며,
상기 제3핀구멍(53)의 내경은 상기 안전핀(40)이 끼워진 상태에서 접촉력이 발생하도록 상기 안전핀(40)의 단면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헤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9188A KR102530276B1 (ko) | 2020-10-07 | 2020-10-07 | 소화기 헤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9188A KR102530276B1 (ko) | 2020-10-07 | 2020-10-07 | 소화기 헤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6126A KR20220046126A (ko) | 2022-04-14 |
KR102530276B1 true KR102530276B1 (ko) | 2023-05-10 |
Family
ID=81211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9188A KR102530276B1 (ko) | 2020-10-07 | 2020-10-07 | 소화기 헤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30276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9316878U (zh) * | 2018-07-24 | 2019-08-30 | 鹤山联塑实业发展有限公司 | 具有使用识别的灭火器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05064A (en) * | 1986-08-12 | 1987-11-10 | Freddy Self | Safety seal for an operating lever |
JPH0746276Y2 (ja) * | 1989-07-17 | 1995-10-25 | 株式会社初田製作所 | 消火器 |
KR101355661B1 (ko) | 2013-02-16 | 2014-01-28 | 김무궁 | 소화기의 손잡이 구조 |
KR101444688B1 (ko) | 2014-05-12 | 2014-09-29 | 한국소방산업기술원 | 안전 손잡이를 갖는 소화기 |
KR101513426B1 (ko) | 2015-01-08 | 2015-04-22 | 박난병 | 손잡이를 움켜잡아도 안전핀이 제거되는 패닉 방지용 소화기 |
KR101808080B1 (ko) | 2016-06-16 | 2017-12-13 | (주)탑이엔씨건축사사무소 | 손잡이를 움켜잡아도 안전핀이 빠지는 소화기 |
KR101915713B1 (ko) | 2016-11-28 | 2018-11-06 | (주)탑이엔씨건축사사무소 | 소화기의 안전 손잡이 |
-
2020
- 2020-10-07 KR KR1020200129188A patent/KR10253027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9316878U (zh) * | 2018-07-24 | 2019-08-30 | 鹤山联塑实业发展有限公司 | 具有使用识别的灭火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6126A (ko) | 2022-04-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73322B1 (ko) | 관리 및 사용이 편리한 소화기 | |
US9144699B1 (en) | Gas inlet structure for a fire extinguisher | |
KR20170027658A (ko) | 안전장치 해제 시 자동으로 분사호스가 쳐들어질 수 있는 소화기 | |
KR102530276B1 (ko) | 소화기 헤드 | |
US5816331A (en) | Fire extinguisher and harness for fixing this extinguisher, when portable, to a support | |
JP2006333892A (ja) | 消火ガス噴射器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6681469B2 (ja) | 消火器の安全ハンドル及びその安全ハンドルを備えた消火器 | |
KR101513426B1 (ko) | 손잡이를 움켜잡아도 안전핀이 제거되는 패닉 방지용 소화기 | |
KR101533302B1 (ko) | 손잡이를 움켜잡아도 안전핀이 제거되는 패닉 방지용 소화기 | |
KR102194180B1 (ko) | 가스 어댑터가 구비되는 소화기 | |
NO117091B (ko) | ||
KR20200099289A (ko) | 안전핀 파지(把持) 없는 소화기 m | |
KR200327645Y1 (ko) | 소화기 | |
JP7144622B2 (ja) | 管理及び使用が便利な消火器 | |
KR102208905B1 (ko) | 안전핀 제거가 용이한 소화기 | |
KR20040015847A (ko) | 질소가스에 의해 포말액이 방출되는 이동 가능한 긴급화재진압용 소화장치 | |
US2796135A (en) | Fire extinguisher | |
CN102614609A (zh) | 一种灭火器阀门压把安全防护装置 | |
KR102111511B1 (ko) | 소화기가 구비된 대중교통 안전 손잡이 조립체 | |
JP4304011B2 (ja) | 消火器の安全装置 | |
US3016097A (en) | Safety device for a fire extinguisher | |
KR102212658B1 (ko) | 소화약제 토출유닛 및 이것이 구비된 안전소화기 | |
JP2021054509A (ja) | ヒンジキャップ | |
KR20190099448A (ko) | 소화 장치 및 소화 방법 | |
KR20200124812A (ko) | 소화기용 안전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