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1460B1 -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 - Google Patents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1460B1
KR102241460B1 KR1020190069125A KR20190069125A KR102241460B1 KR 102241460 B1 KR102241460 B1 KR 102241460B1 KR 1020190069125 A KR1020190069125 A KR 1020190069125A KR 20190069125 A KR20190069125 A KR 20190069125A KR 102241460 B1 KR102241460 B1 KR 102241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vity filter
insertion hole
signal connection
electrode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0858A (ko
Inventor
박남신
김정회
장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JP2020568964A priority Critical patent/JP7245852B2/ja
Priority to PCT/KR2019/007081 priority patent/WO2019240489A1/ko
Publication of KR20190140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858A/ko
Priority to US17/119,530 priority patent/US1148280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460B1/ko
Priority to US17/948,385 priority patent/US11817643B2/en
Priority to JP2023038650A priority patent/JP2023060361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6Cavity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04Fixed j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04Fixed joints
    • H01P1/045Coaxial j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01P1/20309Strip line filters with dielectric reson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2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invariable factor of coupling
    • H01P5/022Transitions between lines of the same kind and shape, but with different dimensions
    • H01P5/026Transitions between lines of the same kind and shape, but with different dimensions between coaxial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8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for linking dissimilar lines or devices
    • H01P5/085Coaxial-line/strip-line tran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8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for linking dissimilar lines or devices
    • H01P5/1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for linking dissimilar lines or devices for coupling balanced lines or devices with unbalanced lines or devices
    • H01P5/103Hollow-waveguide/coaxial-line trans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76Coupling devices for connection between PCB and component, e.g.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meander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6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 H01R13/247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point spher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2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in or to a pane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티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면에 전극 패드가 구비된 외부 부재에 대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된 RF 신호 연결부 및 상기 외부 부재의 전극 패드와 상기 RF 신호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되, 상기 소정 거리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전극 패드와 상기 RF 신호 연결부 간 전기적 흐름의 단절을 예방하는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전극 패드와 상기 RF 신호 연결부 사이에 위치되는 어느 일부가 탄성 변형되는 동작으로 단자 삽입구 내의 조립 공차를 흡수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조립 설계를 통해 발생하는 조립 공차를 효율적으로 흡수하고, 전기적인 흐름의 단절을 방지하여 안테나 장치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CAVITY FILTER AND CONNECTOR INCLUDEDE IN THE SAME}
본 발명은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성 및 크기를 고려하여 필터와 인쇄회로기판 간의 커넥터 체결 구조를 개선한 Massive MIMO 안테나용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은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용량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기술로서, 송신기에서는 각각의 송신 안테나를 통해 서로 다른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기에서는 적절한 신호처리를 통해 송신 데이터들을 구분해 내는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 기법이다. 따라서, 송수신 안테나의 개수를 동시에 증가시킴에 따라 채널 용량이 증가하여 더욱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안테나 수를 10개로 증가시키면 현재의 단일 안테나 시스템에 비해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약 10배의 채널 용량을 확보하게 된다.
4G LTE-advanced에서는 8개의 안테나까지 사용하고 있으며, 현재 pre-5G 단계에서 64 또는 128개의 안테나를 장착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고, 5G에서는 훨씬 더 많은 수의 안테나를 갖는 기지국 장비가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Massive MIMO 기술이라고 한다. 현재의 셀(Cell) 운영이 2-Dimension인데 반해, Massive MIMO 기술이 도입되면 3D-Beamforming이 가능해지므로 Massive MIMO 기술은 FD-MIMO(Full Dimension)라고도 불린다.
Massive MIMO 기술에서는 안테나 소자의 개수가 늘어나면서 이에 따른 송수신기와 필터의 개수도 함께 증가한다. 또한, 2014년 기준 전국적으로 20만 개소 이상의 기지국이 설치되어 있는 상황이다. 즉, 실장 공간을 최소화하며 실장이 손쉬운 캐비티 필터의 구조가 필요하며, 개별적으로 튜닝된 캐비티 필터가 안테나에 실장된 후에도 동일한 필터 특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RF 신호선 연결 구조가 요구된다.
캐비티 구조를 가진 RF 필터는 금속성 도체로 형성된 박스 구조 내부에 도체인 공진봉 등으로 구성된 공진기가 구비되어 고유 주파수의 전자기장만이 존재하게 함으로써 공진에 의해 초고주파의 특성 주파수만 통과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캐비티 구조의 대역통과 필터는 삽입손실이 적고 고출력에 유리하여 이동통신 기지국 안테나의 필터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슬림하고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며 RF커넥터가 몸체 내에 두께 방향으로 내장된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 개의 필터의 조립 시에 발생하는 조립 공차의 누적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립 방식과 실장이 용이하면서도 필터의 주파수 특성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RF 신호 연결 구조를 가진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RF 핀의 분리 타입의 경우, 상대적인 움직임을 허용하면서도 측면 텐션을 부가하여 신호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적인 연결이 필요한 두 부재 사이의 조립 공차를 흡수하면서 일정한 접점 면적을 유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그 설치가 매우 간명한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실시예는, 일면에 전극 패드가 구비된 외부 부재에 대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된 RF 신호 연결부 및 상기 외부 부재의 전극 패드와 상기 RF 신호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되, 상기 소정 거리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전극 패드와 상기 RF 신호 연결부 간 전기적 흐름의 단절을 예방하는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전극 패드와 상기 RF 신호 연결부 사이에 위치되는 어느 일부가 탄성 변형되는 동작으로 단자 삽입구 내의 조립 공차를 흡수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단자 삽입구 내에 단수 개의 단일 단자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전극 패드에 접촉되게 구비되고, 조립자가 제공하는 조립력에 의하여 탄성 변형되는 일측 단자 및 상기 일측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단자 삽입구 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며, 하단부가 상기 RF 신호 연결부에 솔더 고정된 타측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전극 패드에 접촉되게 구비되되, 조립자가 제공하는 조립력에 의하여 상기 단자 삽입구 내에서 움직이도록 구비된 일측 단자 및 상기 일측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일측 단자로부터 제공되는 조립력에 의하여 탄성 변형되며, 상기 RF 신호 연결부에 솔더 고정된 타측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 단자의 상단부는, 기호문자인 '물음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 단자 및 상기 타측 단자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 삽입구 내에 삽입 배치되되, 상기 단자부의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된 유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 삽입구 내에 삽입 배치되되, 상기 단자부의 일부를 고정시키는 보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측 단자와 상기 타측 단자 중 어느 하나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텐션 절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텐션 절개부는, 상기 일측 단자에 구비되되, 상기 타측 단자의 상단부가 상기 일측 단자의 하단부의 내부로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일 단자부로 구비된 상기 단자부는, 상기 단자 삽입구의 직하방의 일측에 구비된 RF 신호 연결부에 연결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일 단자부로 구비된 상기 단자부는, 상기 조립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 변형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변형부는, 일부가 절개된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변형부는, 상하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다른 실시예는, 일면에 전극 패드가 구비된 외부 부재에 대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된 RF 신호 연결부, 상기 외부 부재의 전극 패드와 상기 RF 신호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되, 상기 소정 거리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전극 패드와 상기 RF 신호 연결부 간 전기적 흐름의 단절을 예방하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가 삽입 배치되도록 상기 RF 신호 연결부가 내부에 구비된 단자 삽입구 및 상기 단자 삽입구 내에서 상기 조립 공차를 흡수하도록 움직이는 상기 단자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삽입되되 상기 단자 삽입구 내에서의 임피던스가 정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계 배치된 유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전극 패드와 상기 RF 신호 연결부 사이에 위치되는 어느 일부가 탄성 변형되는 동작으로 단자 삽입구 내의 조립 공차를 흡수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팅 구조체의 일 실시예는, 일면에 전극 패드가 구비된 외부 부재에 대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된 RF 신호 연결부 및 상기 외부 부재의 전극 패드와 상기 RF 신호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되, 상기 소정 거리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전극 패드와 상기 RF 신호 연결부 간 전기적 흐름의 단절을 예방하는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전극 패드와 상기 RF 신호 연결부 사이에 위치되는 어느 일부가 탄성 변형되는 동작으로 단자 삽입구 내의 조립 공차를 흡수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RF커넥터가 몸체 내에 두께 방향으로 내장되어 보다 슬림하고 컴팩트한 구조 설계가 가능하고, 다수 개의 필터의 조립 시에 발생하는 조립 공차의 누적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립 방식과 실장이 용이하면서도 필터의 주파수 특성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RF 신호 연결 구조 설계가 가능하며, 상대적인 움직임을 허용하면서도 측면 텐션을 부가하여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한 바 안테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Massive MIMO 안테나의 적층구조를 도식화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가 안테나 보드와 제어 보드 사이에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구조를 바닥 측에서 바라본 평면 투시도이고,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3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6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1은 도 19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4는 도 22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7은 도 25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29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0은 도 28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1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2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3은 도 10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4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5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6은 도 34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7은 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8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9는 도 37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팅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예시적인 Massive MIMO 안테나의 적층구조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가 포함된 안테나 어셈블리가 내장되는 안테나 장치(1)의 예시적인 외형을 도시한 것일 뿐이고, 실제 적층 시의 외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안테나 장치(1)는, 히트싱크(Heat sink)가 형성된 하우징(2)과, 하우징(2)에 결합된 레이돔(radome)(3)을 포함한다. 하우징(2)과 레이돔(3) 사이에는 안테나 어셈블리가 내장될 수 있다.
하우징(2)의 하부에는, 예컨대 도킹(docking) 구조를 통해 파워 서플라이 유닛(PSU, Power Supply Unit)(4)이 결합되고, 파워 서플라이 유닛(4)은 안테나 어셈블리에 구비된 통신부품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전원을 제공한다.
통상 안테나 조립체는 전면에 복수의 안테나 소자(6)가 배열되는 안테나 보드(5)의 배면에 캐비티 필터(Cavity filter)(7)가 안테나의 개수만큼 배치되고, 관련된 PCB보드(8)가 이어서 적층되는 구조를 가진다. 캐비티 필터(7)는 실장 전에 개별적으로 사양에 맞는 주파수 특성을 갖도록 세부적으로 튜닝 및 검증되어 준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튜닝 및 검증 과정은 실장 상태와 동일한 특성인 환경에서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가 안테나 보드와 제어 보드 사이에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통상의 RF커넥터(90)를 배제할 수 있으므로, 그 연결이 용이해지고, 더 낮은 높이 프로파일을 가지는 안테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높이 방향의 양면에 RF 연결부를 갖추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로 연결함으로써 안테나 보드(5) 혹은 PCB 보드(8)에 진동 및 열변형이 발생하더라도 RF 연결이 동일하게 유지되어 주파수 특성의 변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구조를 바닥 측에서 바라본 평면 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RF 신호 연결부(31)(도 4이하의 도면부호 31 참조)를 포함하고, 내부가 중공인 제1케이스(도면부호 미표기), 제1케이스를 덮는 제2케이스(도면부호 미표기), 제1케이스의 길이 방향 양측에 캐비티 필터(20)의 높이 방향으로 구비된 단자부(도 4의 도면부호 40 참조), 단자부(40)의 양측에 구비된 조립 구멍(23)을 포함하는 필터 모듈(30)을 포함한다. 단자부(40)는 제1케이스에 구비된 단자 삽입구(25)를 관통하여 외부 부재(8), 예컨대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의 전극패드(도면부호 미표기)와 RF 신호 연결부(31)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와 같은 단자부(40)는, RF 신호 연결부(31)에 의해 도면상 그 하단이 지지되고, 상측에서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가 밀착 결합될 때, 안테나 보드 또는 PCB 보드와 같은 외부 부재(8)의 일면에 형성된 전극 패드에 대하여 상시 접점되면서 단자 삽입구(25) 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에 있어서, 단자부(40)는,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자부(40)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경우에는, 조립자에 의한 소정의 조립력을 공급받게 되면, 상술한 조립 공차의 해소를 위해, 단자부(40)를 이루는 일부가 탄성 변형되는 탄성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단자부(40)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필터는, 그 일단과 타단 사이까지 전기적인 흐름의 단절이 예견되지 않는 바 별도로 측면 텐션을 부가하기 위한 별도의 형상 설계를 요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자부(40)가 반드시 일체형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2개의 부재로 분리된 분리형 필터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자부(40)가 2개의 부재로 분리된 분리형 필터로 구비된 경우, 조립 공차의 해소는, 분리된 일측 단자(50)와 타측 단자(60)가 상술한 소정의 조립력에 의하여 상호 오버랩되게 이동되면서 전체 길이가 수축 가능하게 구비되고, 조립력이 제거될 때 그 전체 길이가 신장되어 복원되도록 별도의 탄성부재(80)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단자부(40)가 일측 단자(50)와 타측 단자(60)로 분리되게 구비되는 바, 상호 오버랩되게 이동될 때 전기적인 흐름의 단절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일측 단자(50) 및 타측 단자(60) 중 어느 하나가 탄성체로 구비되거나, 측면 텐션을 부가하기 위한 별도의 형상 변경이 필수적으로 요구될 수 있다.
여기서, '측면 텐션'이라는 용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측 단자(50)와 타측 단자(60) 사이의 전기적인 흐름의 단절을 방지하기 위해, 일측 단자(50) 및 타측 단자(60)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향하여 길이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전달하는 힘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안테나 장치의 특성상, 상술한 단자부(40)의 형상 변경의 설계 시에는, 상술한 단자 삽입구(25) 내에서의 임피던스 매칭 설계가 병행되어야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단자 삽입구(25) 내에서의 임피던스가 정합된 상태임을 전제로 기술하기로 한다. 따라서, 도 4 이하의 도면들을 통해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실시예들의 구성 중 단자 삽입구(25) 내에 단자부(40)와 함께 삽입되는 유전체 또는 보강 플레이트와 같은 구성의 외형은 임피던스 매칭 설계에 따라 각각 상이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자 삽입구(25) 내에 삽입 배치되는 단자부(40)의 외형은 조립 공차를 흡수하거나 전극 패드와 RF 신호 연결부(31) 간 전기적 흐름의 단절을 예방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단자부(40)의 다양한 외형 설계는 유전체 또는 보강 플레이트의 형상 설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유전체는, 상술한 단자 삽입구(25) 내에서의 조립 공차를 흡수하도록 움직이는 단자부(40)의 일부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됨으로써 임피던스를 유지하도록 한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도 4 내지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외부 부재(8)의 일면에(특히, 전극 패드(도면부호 미표기))에 대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된 RF 신호 연결부(31) 및 외부 부재(8)의 전극 패드와 RF 신호 연결부(31)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되, 상기 소정 거리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의 해소가 가능함과 동시에, 전극 패드와 RF 신호 연결부 간 전기적인 흐름이 단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지는 단자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외부 부재(8)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타면에 안테나 소자들이 배치된 안테나 보드 또는 증폭기(Power Amplifier, PA), 디지털보드(Digital board) 및 TX Calibration이 일체의 원보드(one-board)로 구비된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를 통칭하는 용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실시예들을 구성하는 외관 구성을 제1케이스 및 제2케이스로 구분하지 않고, 단자 삽입구(25)가 구비된 필터 본체(21)로 통칭하며, 도면부호 21로 지시하기로 한다.
필터 본체(21)에는, 도 4 및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단자 삽입구(25)가 중공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단자 삽입구(25)의 형태는, 후술하는 다수의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임피던스 매칭 설계에 따라 상이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필터 본체(21)의 일면, 특히, 후술하는 단자부(40) 중 일측 단자(50)가 구비된 측의 일면에는 와셔 설치부(27)가 홈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와셔 설치부(27)는 후술하는 스타 와셔(90)의 외측 테두리 부위가 걸림되어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단자 삽입구(25)보다 더 큰 내경을 갖도록 홈 가공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와셔 설치부(27)에 설치 고정되는 스타 와셔(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들에 공통적으로 스타 와셔(90)가 구비되는 것으로 전제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제1 실시예 이외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스타 와셔(9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없더라도 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스타 와셔(90)는, 링 형상으로 구비된 고정단(91)이 와셔 설치부(27)에 고정되고, 고정단(91)으로부터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의 전극 패드 측의 중심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의 지지단(9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타 와셔(90)는, 조립자에 의하여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에 본 발명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실시예들을 조립할 경우, 상술한 조립 구멍을 통한 미도시의 체결부재 등에 의한 체결력에 대하여 다수의 지지단(92)이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의 일면에 지지되면서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수의 지지단(92)의 탄성력 부가는, 단자부(40)의 전극 패드에 대한 접촉 면적을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타 와셔(90)의 링 형상의 고정단(91)이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비된 단자부(40)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일종의 접지단자(Ground terminal)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스타 와셔(90)는, 본 발명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실시예들의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 사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스타 와셔(90)에 의하여 흡수되는 조립 공차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자 삽입구(25)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서, 단자부(40)에 의하여 흡수되는 조립 공차와는 구별되는 개념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캐비티 필터는, 단일의 조립 과정에서 별도의 부재에 의해 적어도 2 개소에서 전체적인 조립 공차를 흡수하도록 설계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에서 단자부(40)는, 도 4 내지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의 전극 패드와 RF 신호 연결부(31) 사이에 배치되어, 조립자의 조립력이 제공되면 전부 또는 일부 형상이 변형되면서 단자 삽입구(25) 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흡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에서는, 단자부(40)가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되 단수 개인 단일 단자부로 구비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력에 의한 형상 변형을 위한 탄성 변형부(54)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단자 삽입구(25) 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흡수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으로서, 단자부(40)를 2개 이상으로 구비하되, 단자부(40)를 구성하는 각 단자(가령, 일측 단자 및 타측 단자의 2개로 구분되는 것으로 함)가 조립력에 의하여 상호 오버랩되도록 이동되게 배치되는 구조를 채택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에서와 같이, 단자부(40)를 단수 개의 단일 단자부로 구비하되, 그 일부가 조립력에 의하여 형상 변형되는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단자부(40)를 단일 단자부로 구비할 경우, 2개 이상의 단자로 나뉘는 경우와는 달리, 전기적인 흐름의 단절 문제는 예견되지 않으므로 2개 이상의 단자 사이에 측면 텐션을 부가하기 위한 별도의 텐션 절개부는 구비할 필요가 없다.
다만, 단자부(40)를 단일 단자부로 채용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단자 삽입구(25) 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의 흡수를 위하여 그 자체적으로 길이방향에 대하여 신축 가능한 탄성 변형부(54)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에 있어서, 단자부(40)는, 도 4 내지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전달되는 조립력에 의하여 단자부(40)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거리가 신축되도록 외주면 일부가 모따임된 다수의 탄성 변형부(54)가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탄성 변형부(54)는, 단자부(40)의 원주 형태의 외주면 일부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소정 높이만큼 모따임 형성되되,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되고, 인접하는 탄성 변형부(54)의 모따임 방향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인접하는 탄성 변형부(54)의 모따임 부위는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자에 의한 조립력에 의해, 단자부(1140)의 상단부인 접점부(53)가 눌림될 경우, 탄성 변형부(54)의 모따임된 입구 부위가 적층된 판 스프링과 같이 근접되도록 형상 변형되면서 단자 삽입구(25) 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흡수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도 4 내지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단자 삽입구(25) 내에 배치되고, 단자부(40)의 하단부(56)가 관통하여 지지되는 보강 플레이트(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95)에는, 단자부(40)의 하단부(56)가 관통하는 단자 관통홀(97)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 플레이트(95)는 단자 삽입구(25) 내에 구비된 삽입구 지지단(28)에 그 테두리 하면이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강 플레이트(95)는, 단자부(40)의 하단부를 지지함으로써, 조립자가 제공하는 조립력에 의하여 단자부(40)가 과도하게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결과적으로 RF 신호 연결부(31)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단일 단자부로 구비된 단자부(40)에 의하여 전기적인 흐름이 단절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단자 삽입구(25) 내에서 조립력에 의한 신축이 가능한 바, 단자 삽입구(25) 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단자 삽입구(25) 내에서 단자부(40) 자체가 신축 가능하게 구비될 경우, 반드시 단일의 단자부로 구비되는 것에 한정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자부(40)를 전극 패드에 접점되는 일측 단자와 RF 신호 연결부(31)에 고정되는 타측 단자로 나누어 구비되되, 둘 중 어느 하나가 자체적으로 예상되는 조립 공차만큼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면 족하다고 볼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는 도 7의 구성 중 단자 삽입구에의 단자부 삽입 설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도 7 내지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와 대비하여,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의 전극 패드에 접점되도록 라운딩지게 형성된 라운딩 접점부(152)와, 라운딩 접점부(152)로부터 직하방으로 연장되고 RF 신호 연결부(31)로부터 연장 형성된 플레이트 부위에 형성된 솔더홀(32)에 솔더 고정되는 수직 연결부(151)를 포함하는 단자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라운딩 접점부(152)는, 대략 기호 문자인 '물음표(?)'의 상부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라운딩지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단자 삽입구(25) 내에는 임피던스 매칭 설계를 위한 유전체(170)가 삽입될 수 있고, 유전체(170)에는 수직 연결부(151)가 관통하는 단자 관통홀(17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에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조립자의 조립력이 단자부(150)로 제공될 경우, 탄성 변형부에 해당하는 라운딩 접점부(152)의 선단이 하방으로 눌림되면서 탄성 변형되는 동작으로, 단자 삽입구(25) 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흡수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구성 중 단자 삽입구에의 단자부 삽입 설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도 10 내지 도 1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의 전극 패드에 접점되도록 라운딩지게 형성된 라운딩 접점부(252)와, 라운딩 접점부(252)로부터 직하방으로 연장된 연결 단자부(251)와, 연결 단자부(251)의 하단으로부터 단자 삽입구(25)의 직하방 일측에 구비된 RF 신호 연결부(도면부호 미표기)를 향하여 절곡 연장된 절곡 연결부(253)를 포함하는 단자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별도로 RF 신호 연결부로부터 수평되게 연장 형성되는 플레이트와 같은 구성은 삭제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라운딩 접점부(252)는, 대략 기호 문자인 '물음표(?)'의 상부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라운딩지게 형성되고, 연결 단자부(251)와 절곡 연결부(253)는, 라운딩 접점부(252)를 제외하고, 하단부가 대략 직교되게 절곡된 영문 문자인 'L'자의 하부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단자 삽입구(25) 내에는 임피던스 매칭 설계를 위한 유전체(270)가 삽입될 수 있고, 유전체(270)에는 연결 단자부(251)가 관통하는 단자 관통홀(27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에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조립자의 조립력이 단자부(240)로 제공될 경우, 탄성 변형부에 해당하는 라운딩 접점부(252)의 선단이 하방으로 눌림되면서 탄성 변형되는 동작으로, 단자 삽입구(25) 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흡수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구성 중 단자 삽입구에의 단자부 삽입 설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3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도 13 내지 도 1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의 전극 패드에 접점되도록 상하 수직되게 형성된 수직 접점부(352)와, 수직 접점부(352)와 일체로 형성되되 RF 신호 연결부(31)로서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된 부위에 형성된 솔더홀(32)에 솔더 고정되는 수직 연결부(351) 및 수직 접점부(352)와 수직 연결부(351) 사이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부(353)를 포함하는 단자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에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조립자의 조립력이 단일 단자부(340)로 제공될 경우, 탄성 변형부에 해당하는 절곡부(353)가 상하 방향으로 접히면서 탄성 변형되는 동작으로, 단자 삽입구(25) 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흡수할 수 있다.
그 외 단자 관통홀(371)이 형성된 유전체(370)의 구성 및 기타 구성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와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구비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구성 중 단자 삽입구에의 단자부 삽입 설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8은 도 16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도 16 내지 도 18에 참조된 바와 같이,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의 전극 패드에 접점되도록 상하 수직되게 형성된 수직 접점부(451)와, 수직 접점부(451)의 하단으로부터 단자 삽입구(25)의 직하방 일측에 구비된 RF 신호 연결부(31)를 향하여 절곡 연장된 수평 연결부(453)를 포함하는 단자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별도로 RF 신호 연결부(31)로부터 수평되게 연장 형성되는 플레이트와 같은 구성은 삭제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단자부(440)의 구성 중 수직 접점부(451)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단자부(340)의 구성 중 수직 접점부(352)와 대응되고, 제5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수평 연결부(453)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단자부(240)의 구성 중 절곡 연결부(253)와 대응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수평 연결부(453)가 RF 신호 연결부(31)에 대하여 외팔보 형상으로 고정되는 바, 조립자의 조립력에 의해 수직 접점부(451)의 눌림력은 일종의 모멘트로 작용되면서 수평 연결부(453)가 하방으로 처짐되는 동작으로 탄성 변형되어 단자 삽입구(25) 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제5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에 있어서, 단자부(440)는 별도의 탄성 변형부가 가시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수평 연결부(453)의 고정점을 제외한 단자부(440) 전체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조립 공차를 흡수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구성 중 단자 삽입구에의 단자부 삽입 설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1은 도 19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도 19 내지 도 2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조립자가 제공하는 조립력에 의하여 자체 탄성 변형되고, 단자 삽입구(25) 중 상측에 배치되되,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에 형성된 전극 패드에 접점 가능하게 배치된 일측 단자(550)와, 단자 삽입구(25) 중 하측에 배치되되, RF 신호 연결부(31)의 플레이트에 형성된 솔더홀(32)에 솔더 고정되는 타측 단자(560)를 포함하는 단자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측 단자(550)는, 전극 패드에 상측이 접촉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접점부(551)와, 접점부(551)의 하단으로부터 수평되게 연장되고, 타측 단자(560)에 고정되는 단자 고정부(55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타측 단자(560)의 상단부(561)에는, 일측 단자(550)의 단자 고정부(552)가 삽입되는 고정홈(564)이 형성될 수 있고, 타측 단자(560)의 하단부(562)는 RF 신호 연결부(31)의 플레이트에 형성된 솔더홀(32)에 삽입되어 솔더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타측 단자(560)의 고정홈(564)의 하측에 해당하는 외주면에는 일측 단자(550)의 과도한 탄성 변형을 방지하는 스톱 리브(563)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일측 단자(550)는, 단자 고정부(552)가 타측 단자(560)의 고정홈(564)에 고정된 상태로써, 조립자의 조립력이 제공되지 않은 경우에는, 접점부(551)의 선단부가 스톱 리브(563)의 리브면에 대하여 소정거리 상측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었다가, 조립자의 조립력이 제공되면서 탄성 변형되면서 스톱 리브(563)에 걸림되게 된다.
따라서, 조립자의 조립력이 제공되지 않는 상태에서 스톱 리브(563)의 리브면과 접점부(551)의 선단부 사이의 이격 거리는 적어도 단자 삽입구(25) 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전부 흡수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도 19 및 도 20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단자 삽입구(25) 내에 배치되되, 타측 단자(560)가 관통하여 고정되는 단자 관통홀(571)이 형성된 유전체(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조립자의 조립력이 제공되면, 일측 단자(550)가 탄성 변형부로서, 라운딩지게 형성된 접점부(551)가 탄성 변형되는 동작으로 단자 삽입구(25) 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일측 단자(550)와 타측 단자(560)는 모두 도전성 재질로 구비되고, 타측 단자(560)의 고정홈(564)에 일측 단자(550)의 단자 고정부(552)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바, 별도로 측면 텐션을 부가하기 위한 텐션 절개부의 구비가 요구되지 않는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구성 중 단자 삽입구에의 단자부 삽입 설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4는 도 22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도 22 내지 도 2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조립자가 제공하는 조립력에 의하여 자체 탄성 변형되고, 단자 삽입구(25) 중 상측에 배치되되,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에 형성된 전극 패드에 접점 가능하게 배치된 일측 단자(650)와, 단자 삽입구(25) 중 하측에 배치되되, RF 신호 연결부(31)의 플레이트에 형성된 솔더홀(32)에 솔더 고정되는 타측 단자(660)를 포함하는 단자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와 대비하여, 일측 단자(650)의 단자 고정부(652)가 타측 단자(660)의 상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일측 단자(650)와 타측 단자(660)의 고정 방법은 솔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론, 기타 체결부재 등을 이용한 여하한 방식에 의한 고정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와 대비하여, 스톱 리브(663)가 타측 단자(660)의 상면(661) 일부가 하방으로 절개된 단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자 삽입구(25) 내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삽입되는 유전체(670) 및 그 외의 기타 구성은 제6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와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구비되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6은 도 25의 구성 중 단자 삽입구에의 단자부 삽입 설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27은 도 25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도 25 내지 도 27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단자 삽입구(25) 중 상측에 배치되되,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에 형성된 전극 패드에 접점 가능하게 배치된 일측 단자(750)와, 단자 삽입구(25) 중 하측에 배치되되, RF 신호 연결부(31)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구비되고, 조립자가 제공하는 조립력에 의하여 자체 탄성 변형되는 타측 단자(760)를 포함하는 단자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단자 삽입구(25) 내에 배치되고, 일측 단자(750)가 관통하도록 배치된 단자 관통홀(797)이 형성된 보강 플레이트(7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에 있어서, 단자부(740)는 조립자로부터 제공되는 조립력에 의하여 보강 플레이트(795)에 형성된 단자 관통홀(797)의 가이드를 받으면서 도면상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즉, 일측 단자(750)는, 상술한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의 전극 패드에 접점되는 소정의 접점면을 형성하는 접점부(753)를 포함하고, 조립자가 제공하는 조립력에 의해 보강 플레이트(795)의 단자 관통홀(797)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일측 단자(50)의 외주면에는, 보강 플레이트(795)의 단자 관통홀(797)의 하면 테두리 부위에 걸림되어 외측으로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리브(75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타측 단자(760)는, 일측 단자(750)의 하단면에 고정되는 고정단(762)과, 고정단(762)의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라운딩지게 연장되고, RF 신호 연결부(31)의 상면에 탄성 지지되는 탄성지지부(761)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761)의 선단은, 조립자의 조립력이 제공되면, 일측 단자(750)가 하방으로 눌림되는 동작으로 탄성 변형되되, 일측 단자(750)의 하단부에 단차지게 절개 형성된 스톱 리브(755)의 리브면을 한도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제7 실시예의 캐비티 필터(20)와 비교하면, 일측 단자(750)와 타측 단자(760)가 상하 반전된 형태를 취한다. 아울러, 제8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에 있어서, 유전체(77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보강 플레이트(95)와 임피던스 정합 설계가 가능한 범위에서 그대로 대체될 수 있는 구성이다.
그 외의 구성은 모두 제7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으로 구비되는 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9는 도 28의 구성 중 단자 삽입구에의 단자부 삽입 설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0은 도 28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도 28 내지 도 30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단자 삽입구(25) 중 상측에 배치되되,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에 형성된 전극 패드에 접점 가능하게 배치된 일측 단자(850)와, 단자 삽입구(25) 중 하측에 배치되되, RF 신호 연결부(31)의 상면에 고정되고, 조립자가 제공하는 조립력에 의하여 자체 탄성 변형되는 타측 단자(860)를 포함하는 단자부(8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자부(840) 중 타측 단자(860)는, RF 신호 연결부(31)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단(861)과, 일측 단자(850)의 하부면에 탄성 지지되도록 라운딩지게 구비되어 탄성 변형되는 탄성지지부(86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타측 단자(760)의 탄성지지부(762)가 RF 신호 연결부(31)의 상면을 지지하는 상술한 제8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와는 달리, 타측 단자(860)의 탄성지지부(862)가 일측 단자(850)의 하단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외, 단자 삽입구(25) 내에 배치되는 단자 관통홀(897)이 형성된 보강 플레이트(895)는 제9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으로 구비되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2는 도 31의 구성 중 단자 삽입구에의 단자부 삽입 설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3은 도 31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도 31 내지 도 33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단자 삽입구(25) 중 상측에 배치되되,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에 형성된 전극 패드의 일면에 고정된 일측 단자(950)와, 상단부(961)가 단자 삽입구(25) 내에 고정되고 하단부(962)가 RF 신호 연결부(31)의 플레이트에 형성된 솔더홀(32)에 솔더 고정되는 타측 단자(9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측 단자(950)는,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의 전극 패드와 상시 접점이 이루어지도록 그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단(952)과, 고정단(952)의 일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절곡 연장되어 타측 단자(960)의 상단부(961) 상면에 탄성 지지되어 조립자가 제공하는 조립력에 의하여 탄성 변형되는 탄성지지부(95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타측 단자(960)는, 도 3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단부(961)가 단자 삽입구(25) 내에 구비된 보강 플레이트(995)의 단자 관통홀(997)을 통해 관통하도록 배치되되, 하단부(962)가 RF 신호 연결부(31)의 플레이트에 형성된 솔더홀(32)에 솔더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타측 단자(960)의 외주면에는 보강 플레이트(995)의 단자 관통홀(997)의 하면 테두리 측에 걸림되어 단자 삽입구(25)의 외측으로 타측 단자(96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 리브(96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그 단자부(940)가 제9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단자부(840)가 상하 반전된 형태를 취한다.
즉,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에서, 단자부(940) 중 일측 단자(950)의 고정단(952)은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의 일면에 형성된 전극 패드에 대하여 밀착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일측 단자(950)와 타측 단자(960)은 물리적으로 상호 분리된 형태로 구비되나, 도 3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조립자의 조립력이 제공되면, 일측 단자(950)의 탄성지지부(951)가 탄성 변형되는 탄성 변형부로서, 지속적으로 타측 단자(960)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바, 단자 삽입구(25) 내의 조립 공차를 흡수함과 동시에 전기적인 흐름의 단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5는 도 34의 구성 중 단자 삽입구에의 단자부 삽입 설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6은 도 34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도 34 내지 도 36을 참조하면, 단자 삽입구(25) 내에 배치되되, 상측에 배치된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의 일면에 형성된 전극 패드와 접점 가능하게 배치된 접점부(1051)와, 접점부(1051)의 하단으로부터 단자 삽입구(25)의 직하방 일측에 구비된 RF 신호 연결부(31)를 향하여 절곡 연장된 수평 연결부(1052) 및 접점부(1051)와 수평 연결부(1052) 사이에 배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지그재그 절곡 연결된 탄성 단자부(1053)를 포함하는 단자부(10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별도로 RF 신호 연결부(31)로부터 수평되게 연장 형성되는 플레이트와 같은 구성은 삭제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단자부(1040)의 구성 중 접점부(1051)의 상단부 및 수평 연결부(1052)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를 감싸도록 단자 삽입구(25) 내에 배치되는 유전체(10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전체(1060)의 상면(1061)에는, 접점부(1051)의 상단부가 상부로 관통되어 돌출되도록 접점부측 관통홀(1065)이 형성되고, 유전체(1070)의 하측(1062) 외주면에는 수평 연결부(1052)가 수평으로 관통하는 연결부측 관통홀(1064)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유전체(1060)의 접점부측 관통홀(1065)에는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 가이드 바(1063)이 구비되고, 가이드 바(1063)는 접점부(1051)가 형성된 상단부에 상하로 길게 절개 형성된 가이드 슬롯(1054)을 관통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조립자가 제공하는 조립력에 의한 탄성 단자부(1053)의 탄성 변형시 접점부(1051)의 상하 방향 이동이 안정적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 단자부(1053)는 조립자가 제공하는 조립력에 의한 단자 삽입구(25) 내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흡수하는 탄성 변형부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일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8은 도 37의 구성 중 단자 삽입구에의 단자부 삽입 설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9는 도 37의 구성 중 단자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는, 도 37 내지 도 39에 참조된 바와 같이, 단자 삽입구(25) 중 상측에 배치되고, 안테나 보드 및 PCB 보드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 외부 부재(8)의 일면에 형성된 전극 패드에 접점 가능하게 구비된 일측 단자(1550)와, 단자 삽입구(25) 중 하측에 배치되고, RF 신호 연결부(31)의 플레이트에 형성된 솔더홀(32)에 솔더 고정되는 타측 단자(1160)를 포함하는 단자부(1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일측 단자(1150)는, 이미 설명하였던 제6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와 마찬가지로, 전극 패드에 상측이 접촉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 접점부(1151)와, 접점부(1151)의 하단으로부터 수직되게 연장되고, 타측 단자(1160)에 고정되는 단자 고정부(115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와 제6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의 차이점은, 일측 단자(1150)의 접점부(1151)가 적어도 3갈래로 나뉘어지도록 다수의 단자 절개부(1153)가 형성된다는 점이다. 즉, 일측 단자(1150)의 접점부(1151)는, 도 39에 참조된 바와 같이, 3개의 갈래로 나뉘어지도록 2개의 단자 절개부(1153)가 형성되어, 조립자가 제공하는 조립력에 의한 탄성 변형 가능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아울러, 일측 단자(1150)의 단자 고정부(1152)는, 타측 단자(1160)의 상단부(1161)의 측면에 솔더 방식 또는 체결부재에 의한 체결 방식 등 다양한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타측 단자(1160)의 외주면에는, 일측 단자(1150) 중 접점부(1151)의 과도한 탄성 변형을 방지하는 스톱 리브(1163)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단자 삽입구(25) 내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해 삽입되는 유전체(1170) 및 그 외의 기타 구성은 제6 실시예에 따른 캐비티 필터(20)와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구비되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제6 실시예에 따른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팅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캐비티 필터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의 모듈로 제작되어 안테나 보드 또는 PCB 보드와 같은 외부 부재(8)의 일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에 한정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40에 참조된 바와 같이, 모듈 형태로의 제작 여부와 관계 없이 외부 부재(8)의 일면에 구비된 전극 패드와의 사이에 구비되어 다른 연결부재(31')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도모하는 단자부(40)가 구비된 커넥팅 구조체(1')로써 구현되는 변형 실시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캐비티 필터 21: 필터 본체
25: 단자 삽입구 27: 설치홈
30: 필터 모듈 31: RF 신호 연결부
32: 솔더홀 40: 단자부
50: 일측 단자 60: 타측 단자
70: 유전체 71: 단자 관통홀
80: 탄성부재 95: 보강 플레이트

Claims (15)

  1. 일면에 전극 패드가 구비된 외부 부재에 대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된 RF 신호 연결부; 및
    상기 외부 부재의 전극 패드와 상기 RF 신호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되, 상기 소정 거리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전극 패드와 상기 RF 신호 연결부 간 전기적 흐름의 단절을 예방하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가 삽입 배치되도록 상기 RF 신호 연결부가 내부에 구비된 단자 삽입구를 포함하는 필터 본체; 및
    상기 단자 삽입구 내에서 상기 조립 공차를 흡수하도록 움직이는 상기 단자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삽입되되 상기 단자 삽입구 내에서 임피던스가 정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계 배치된 유전체; 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단자 삽입구 내에 단수 개의 단일 단자부로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전극 패드와 상기 RF 신호 연결부 사이에 위치되는 어느 일부가 탄성 변형되는 동작으로 단자 삽입구 내의 조립 공차를 흡수하도록 구비된, 캐비티 필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기호문자인 '물음표' 형상으로 형성된, 캐비티 필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캐비티 필터.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자 삽입구 내에 삽입 배치되되, 상기 단자부의 일부를 고정시키는 보강 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는 캐비티 필터.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단자 삽입구의 직하방의 일측에 구비된 RF 신호 연결부에 연결되도록 절곡 형성된, 캐비티 필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조립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 변형부가 형성된, 캐비티 필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부는, 일부가 절개된 링 형상으로 형성된, 캐비티 필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변형부는, 상하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캐비티 필터.
  14. 삭제
  15. 일면에 전극 패드가 구비된 외부 부재에 대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된 RF 신호 연결부; 및
    상기 외부 부재의 전극 패드와 상기 RF 신호 연결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되, 상기 소정 거리에 존재하는 조립 공차를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전극 패드와 상기 RF 신호 연결부 간 전기적 흐름의 단절을 예방하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가 삽입 배치되도록 상기 RF 신호 연결부가 내부에 구비된 단자 삽입구를 포함하는 필터 본체; 및
    상기 단자 삽입구 내에서 상기 조립 공차를 흡수하도록 움직이는 상기 단자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삽입되되 상기 단자 삽입구 내에서 임피던스가 정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계 배치된 유전체; 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단자 삽입구 내에 단수 개의 단일 단자부로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전극 패드와 상기 RF 신호 연결부 사이에 위치되는 어느 일부가 탄성 변형되는 동작으로 단자 삽입구 내의 조립 공차를 흡수하도록 구비된, 커넥팅 구조체.
KR1020190069125A 2018-06-12 2019-06-12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 KR102241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568964A JP7245852B2 (ja) 2018-06-12 2019-06-12 キャビティフィルタおよびこれに含まれるコネクティング構造体
PCT/KR2019/007081 WO2019240489A1 (ko) 2018-06-12 2019-06-12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
US17/119,530 US11482803B2 (en) 2018-06-12 2020-12-11 Cavity filter and connecting structure included therein
US17/948,385 US11817643B2 (en) 2018-06-12 2022-09-20 Cavity filter and connecting structure included therein
JP2023038650A JP2023060361A (ja) 2018-06-12 2023-03-13 キャビティフィルタおよびこれに含まれるコネクティング構造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398 2018-06-12
KR20180067398 2018-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858A KR20190140858A (ko) 2019-12-20
KR102241460B1 true KR102241460B1 (ko) 2021-04-19

Family

ID=69062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125A KR102241460B1 (ko) 2018-06-12 2019-06-12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82803B2 (ko)
EP (1) EP3809520A4 (ko)
JP (1) JP7245852B2 (ko)
KR (1) KR102241460B1 (ko)
CN (3) CN11584223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7782A (ko) * 2019-05-03 2020-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Rf 구성요소들을 위한 연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6368690A (zh) * 2020-12-24 2023-06-30 华为技术有限公司 天线的馈电结构、天线及通讯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994B1 (ko) * 2009-10-16 2011-11-16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회로기판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rf 캐비티 필터
JP2017535183A (ja) * 2014-10-11 2017-11-24 中興通訊股▲ふん▼有限公司Zte Corporation Rf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4868U (ko) * 1989-09-07 1991-04-25
US5618205A (en) * 1993-04-01 1997-04-08 Trw Inc. Wideband solderless right-angle RF interconnect
JP3005425B2 (ja) * 1994-07-13 2000-01-31 株式会社ピーエフユー 多接点コネクタ
GB2330009B (en) * 1997-09-27 2001-11-28 Nec Technologies Method of electrically connecting a component to a PCB
US6166615A (en) * 1998-09-16 2000-12-26 Raytheon Company Blind mate non-crimp pin RF connector
JP4065145B2 (ja) 2002-03-05 2008-03-19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電子部品用ソケットの製造方法
JP2004227948A (ja) 2003-01-23 2004-08-12 Yokowo Co Ltd 同軸コネクタ
US7224248B2 (en) * 2004-06-25 2007-05-29 D Ostilio James P Ceramic loaded temperature compensating tunable cavity filter
JP2007305531A (ja) 2006-05-15 2007-11-22 Fujikura Ltd 配線基板用コネクタ
JP4083778B2 (ja) 2006-09-07 2008-04-30 富士通株式会社 超伝導フィルタ
US7692508B2 (en) * 2007-04-19 2010-04-06 Raytheon Company Spring loaded microwave interconnector
KR101036127B1 (ko) 2008-06-27 2011-05-23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Rf 필터의 공진기 제조 방법 및 그 공진기를 구비한 rf필터
JP5243946B2 (ja) * 2008-12-24 2013-07-2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同軸コネクタ
KR101569730B1 (ko) 2009-03-18 2015-11-18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튜닝 볼트 접지 연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rf 캐비티 필터
JP5726651B2 (ja) 2011-06-22 2015-06-0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ンタクトおよびソケット
CN102623829A (zh) * 2012-03-09 2012-08-01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腔体滤波器、连接器及相应的制造工艺
CN204632890U (zh) * 2014-12-31 2015-09-09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腔体滤波器、连接器、双工器、射频拉远设备
US10181692B2 (en) 2016-11-07 2019-01-15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Rf Llc Coaxial connector with translating grounding collar for establishing a ground path with a mating connector
WO2018093176A2 (ko) * 2016-11-16 2018-05-24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적층구조의 mimo 안테나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994B1 (ko) * 2009-10-16 2011-11-16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회로기판 연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rf 캐비티 필터
JP2017535183A (ja) * 2014-10-11 2017-11-24 中興通訊股▲ふん▼有限公司Zte Corporation Rf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98912A1 (en) 2021-04-01
CN112703637A (zh) 2021-04-23
EP3809520A4 (en) 2022-03-16
EP3809520A1 (en) 2021-04-21
CN115842230A (zh) 2023-03-24
KR20190140858A (ko) 2019-12-20
US11482803B2 (en) 2022-10-25
CN112703637B (zh) 2022-11-29
CN211404697U (zh) 2020-09-01
JP2021527981A (ja) 2021-10-14
JP7245852B2 (ja) 2023-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1461B1 (ko) 캐비티 필터
KR102241462B1 (ko) 캐비티 필터
KR102241459B1 (ko)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
KR102241460B1 (ko)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
US11522260B2 (en) Cavity filter
US20210098850A1 (en) Cavity filter and connecting structure included therein
KR20230146501A (ko) 캐비티 필터
US11967749B2 (en) Cavity filter and connecting structure included therein
JP7430230B2 (ja) キャビティフィルタ
KR102474589B1 (ko)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
US11817643B2 (en) Cavity filter and connecting structure included there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