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620B1 -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620B1
KR102239620B1 KR1020190025330A KR20190025330A KR102239620B1 KR 102239620 B1 KR102239620 B1 KR 102239620B1 KR 1020190025330 A KR1020190025330 A KR 1020190025330A KR 20190025330 A KR20190025330 A KR 20190025330A KR 102239620 B1 KR102239620 B1 KR 102239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resin
acid
coating composition
polyfunctiona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6740A (ko
Inventor
박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90025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620B1/ko
Publication of KR20200106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6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내후성 및 부착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우수한 외관 특성을 갖는 클리어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료 조성물{Coat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우수한 내후성 및 부착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우수한 외관 특성을 갖는 클리어(clear)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외장재에 적용되는 도료 조성물은 피도장물의 표면에 도막을 형성하여, 외부 충격 및 이물질로부터 표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최근 환경오염 및 오존층의 감소로 투과되는 자외선의 양이 증가되면서, 자외선에 의한 도막의 훼손 문제가 많이 발생한다. 자외선에 노출되는 경우 도막의 박리가 발생하거나 색상이 쉽게 바래져 미관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자외선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도료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자외선 차단 효과를 높이기 위해, 종래 외장재에 적용되는 도료 조성물은 과량의 안료를 포함하였다. 그러나 안료를 과량으로 포함하는 경우 소재의 미려한 외관이 은폐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우수한 내후성 및 부착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우수한 외관 특성을 갖는 클리어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관능산 및 4관능 이상의 다관능 알코올을 포함하는 모노머로부터 제조된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 다관능산 및 3관능 알코올을 포함하는 모노머로부터 제조된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내후성 및 부착성이 우수한 클리어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초고내후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과량의 안료를 포함하지 않고서도 도막의 내후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자외선 등에 장시간 노출되더라도 열화로 인한 소재와의 부착성이 열세해지는 현상을 개선하고, 소재의 미려한 외관을 살리는 동시에 장기간 보존할 수 있어서, 외장재에 클리어 도료로 적용되기에 적절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내용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각 구성요소가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선택적으로 혼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다관능산 및 4관능 이상의 다관능 알코올을 포함하는 모노머로부터 제조된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 다관능산 및 3관능 알코올을 포함하는 모노머로부터 제조된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용제, 촉매 및 도료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의 조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주(主) 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한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경화제와 반응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도막의 기본 물성과 고내식성, 가공성, 내약품성, 경도 및 부착성 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다관능산 및 다관능 알코올을 촉매 및 용매 하에서 중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다관능산은 2관능 이상의 다관능산, 예를 들어 2 내지 3 관능의 다관능산일 수 있다. 상기 다관능산은 지방족 다관능산, 지환족 다관능산, 방향족 다관능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다관능산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숙신산(succinic acid), 아디픽산(adipic acid), 세바식산(sebacic acid), 푸마릭산(fumaric acid), 시트릭산(citric acid), 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시산(cyclohexanedicarboxylic acid), 말레산 무수물(maleic anhydride), 헥사히드로프탈산 무수물(hexahydrophthalic anhydride), 테트라하이드로 무수프탈산(tetrahydrophthalic anhydride), 프탈산(phthalic acid),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디메틸테라프탈산(dimethylterephthalate), 나프탈산(naphthalic acid), 무수프탈산(phthalic anhydride), 트리멜리트산무수물(trimellitic anhydride)과 같은 다관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 알코올은 2관능 이상, 예를 들어 2 내지 6 관능의 다관능 알코올일 수 있다. 상기 다관능 알코올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메틸프로판디올(methylpropanediol), 1,3-부탄디올(1,3-butandiol), 1,4-부탄디올(1,3-butandiol), 1,5-펜탄디올(1,5-pentandiol), 1,6-헥산디올(1,6-hexandiol), 헥실렌글리콜(hexyleneglycol), 네오펜틸글리콜(neopentylglycol),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2-butyl-2-ethyl-1,3-propandiol), 트리메틸펜탄디올(trimethylpentandiol),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glycol),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glycol), 트리메틸렌글리콜(trimethyleneglycol), 트리에틸렌글리콜(triethyleneglycol),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cyclohexandimethanol), 비스페놀에이(bisphenol a), 글리세린(glycerine), 트리메티롤에탄(trimethylolethane), 트리메티롤프로판(trimethylolpropane), 펜타에리트리톨(pentaerythritol), 디펜타에리트리톨(dipentaerythritol), 리비톨(ribitol), 솔비톨(sorbitol) 및 만니톨(mannitol)과 같은 다관능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관능기 수가 상이한 다관능 알코올을 사용하여 제조한 2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용한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다관능산 및 4관능 이상, 예를 들어 4 내지 6 관능의 다관능 알코올을 포함하는 모노머로부터 제조된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다관능산 및 3관능 알코올을 포함하는 모노머로부터 제조된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관능기 수가 상이한 다관능 알코올을 사용하여 제조한 2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용함으로써, 도료의 고내후성과 부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평균분자량(Mn)은 1,000 내지 3,000 g/mol, 예를 들어 2,000 내지 3,000 g/mol이고, 수산기가(OHv)는 40 내지 85 mgKOH/g, 예를 들어 55 내지 75 mgKOH/g이고, 유리전이온도(Tg)는 20 내지 40 ℃, 예를 들어 20 내지 30 ℃이고, 고형분은 60 내지 80%일 수 있다. 상기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평균분자량(Mn)은 3,500 내지 8,000 g/mol, 예를 들어 3,500 내지 6,500 g/mol이고, 수산기가(OHv)는 5 내지 30 mgKOH/g, 예를 들어 10 내지 25 mgKOH/g이고, 유리전이온도(Tg)는 5 내지 25 ℃, 예를 들어 5 내지 20 ℃이고, 고형분은 55 내지 75%일 수 있다. 상기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물성이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광택 구현이 용이한 동시에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배합비는 50 : 50 내지 90 : 10, 예를 들어 65 : 35 내지 85 : 15 중량비일 수 있다. 2종의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전술한 범위의 비율로 혼용할 경우, 우수한 내식성, 내후성 및 경도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도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90 중량%, 예를 들어 60 내지 85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에 해당될 경우, 도막의 기본 물성이 양호하며, 우수한 내식성, 내약품성 및 외관 특성을 발현하고, 다른 기재층과의 부착성을 개선할 수 있다.
경화제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조성물에서, 경화제는 전술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성분을 경화시켜 안정한 도막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화제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경화제로 멜라민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멜라민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메톡시 멜라민 수지, 메톡시/부톡시 혼합형 멜라민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톡시 멜라민 수지는 메탄올과 포름알데히드의 중합에 의해 얻어질 수 있고, 상기 메톡시/부톡시 혼합형 멜라민 수지는 메탄올과 이소부탄올 또는 노르말부탄올의 혼합물과 포름알데히드의 중합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멜라민 수지의 수평균분자량(Mn)은 200 내지 500 g/mol, 예를 들어 300 내지 450 g/mol이고, 고형분은 80 내지 100%, 예를 들어 90 내지 100%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이소시아네이트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 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지방족 또는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중합하여 제조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테트라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 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 폴리페닐 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4,4',4''-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경화제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도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5 중량%. 예를 들어 2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경화제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 도막의 경화도, 내식성, 내화학성 등이 저하될 수 있고, 15 중량%를 초과할 경우 도막의 가공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산촉매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산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산촉매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경화제와의 경화를 촉진시킴으로써 도막의 치밀도를 개선시키는 경화촉진제 역할을 한다.
사용 가능한 산촉매로는 술폰산계 화합물이 있으며, 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아민이나 에폭시로 차폐된 파라톨루엔 술폰산(p-TSA, para-toluene sulfonic acid), 디노닐나프탈렌 술폰산(DNNSA, dinonylnaphthalene sulfonic acid), 디노닐나프탈렌 디술폰산, 도데실벤젠 술폰산(DDBSA, dodecylbenzene sulfonic acid) 등이 있다.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산촉매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산촉매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미경화되어 경도, 내화학성이 저하될 수 있고, 3 중량%를 초과할 경우 미반응 산촉매가 도막에 남아 부착성과 내화학성이 저하될 수 있다.
용제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제로는 당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유기용제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제로는 방향족 탄화수소계, 에스테르계 용제, 에테르계 용제, 알코올계 용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유기용제의 비제한적인 예를 들면 사이클로헥사논, 자일렌, 톨루엔,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 디베이직에스터,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n-부틸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아세테이트, 3-메톡시 부틸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에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아밀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제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용제의 함량은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만족시키는 잔량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용제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에 해당될 경우 작업성이 개선되고 도막의 우수한 물성을 발휘할 수 있다.
첨가제
본 발명에 따른 도료 조성물은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도료 조성물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적인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첨가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분산제, 레벨링제, 부착 증진제, 경화지연제, 광안정제, 표면조정제, 소포제, 계면활성제, 유연제, 증점제, 내후성 첨가제, 건조제, 외관 조절제, 흡습제, 소광제, 커플링제, 침강 방지제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이 있다.
레벨링제는 조성물이 평탄하고 매끄럽게 코팅되도록 레벨링함으로써, 조성물 내의 접착력을 증진시키면서 도막의 외관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레벨링제로는 당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아크릴계, 실리콘계, 폴리에스테르계, 아민계 레벨링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안정제로는 당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비스(1-옥틸옥시-2,2,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부착 증진제는 도막의 소지와의 부착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투입되는 것이다. 사용 가능한 부착 증진제의 예로는, 실란계 부착 증진제, 폴리에스테르계 부착 증진제, 인산에폭시계 부착 증진제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침강 방지제는 재료들의 침강을 막아 도막이 균일한 성상으로 형성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당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인산에폭시계, 실리카, 클레이(clay) 타입의 침강 방지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함량은 당 분야에 공지된 함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일례로 도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5 중량%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6]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수지, 경화제, 산촉매, 용제 및 첨가제를 혼합하여, 실시예 1-6의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에서의 각 성분의 사용량 단위는 중량%이다.
[비교예 1-3]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수지, 경화제, 산촉매, 용제 및 첨가제를 혼합하여, 비교예 1-3의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에서의 각 성분의 사용량 단위는 중량%이다.
Figure 112019022589550-pat00001
Figure 112019022589550-pat00002
폴리에스테르 수지 1: 네오펜틸글리콜(neopentylglycol), 펜타에리트리톨(pentaerythritol), 무수프탈산(phthalic anhydride) 및 헥사히드로프탈산무수물(hexahydrophthalic anhydride)을 중합하여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수평균분자량: 2,000 g/mol, 수산기가: 65 mgKOH/g, 유리전이온도: 24 ℃, 고형분: 70 %)
폴리에스테르 수지 2: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네오펜틸글리콜(neopentylglycol), 트리메티롤프로판(trimethylolpropane),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cyclohexandimethanol), 메틸프로판디올(methylpropanediol),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헥사히드로프탈산무수물(hexahydrophthalic anhydride), 아디픽산(adipic acid) 및 말레산무수물(maleic anhydride)을 중합하여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수평균분자량: 6,500 g/mol, 수산기가: 15 mgKOH/g, 유리전이온도: 17 ℃, 고형분: 65 %)
폴리에스테르 수지 3: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네오펜틸글리콜(neopentylglycol), 펜타에리트리톨(pentaerythritol),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무수프탈산(phthalic anhydride)을 중합하여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수평균분자량: 2,500 g/mol, 수산기가: 75 mgKOH/g, 유리전이온도: 23 ℃, 고형분: 80 %)
폴리에스테르 수지 4: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네오펜틸글리콜(neopentylglycol), 트리메티롤프로판(trimethylolpropane), 메틸프로판디올(methylpropanediol),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무수프탈산(phthalic anhydride), 아디픽산(adipic acid) 및 푸마릭산(fumaric acid)을 중합하여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수평균분자량: 4,500 g/mol, 수산기가: 20 mgKOH/g, 유리전이온도: 10 ℃, 고형분: 70 %)
폴리에스테르 수지 5: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네오펜틸글리콜(neopentylglycol),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무수프탈산(phthalic anhydride), 아디픽산(adipic acid) 및 세바식산(sebacic acid)을 중합하여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수평균분자량: 4,500 g/mol, 수산기가: 30 mgKOH/g, 유리전이온도: 16 ℃, 고형분: 65 %)
경화제: 멜라민 수지(MR-603, CHANG CHUN PLASTICS CO., LTD, 수평균분자량 390 g/mol, 고형분 97%)
산촉매: 파라톨루엔 술폰산(p-TSA, NACURE 2500, KING INDUSTRIES, INC)
용제: RHODIASOLV RPDE-K(SOLVAY社)
첨가제 1: 아크릴계 레벨링제
첨가제 2: 광안정제 1(TINUVIN 123, BASF社)
첨가제 3: 광안정제 2(TINUVIN 400, BASF社)
첨가제 4: 인산에폭시계 부착 증진제
첨가제 5: 침강 방지제(FUMED SILICA)
[실험예 - 물성 평가]
실시예 1-6 및 비교예 1-3에 따라 제조된 도료 조성물의 물성을 하기와 같이 측정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편 제조
알루미늄 헤어라인 소재에 실시예 1-6 및 비교예 1-3의 도료를 도장하여(도막 두께 10 ㎛) 224 ℃에서 경화한 후, 상기 도막 위에 실시예 1-6 및 비교예 1-3의 도료 조성물을 한번 더 도장하여(도막 두께 10 ㎛) 232 ℃에서 경화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광택
도장된 시편을 BYK 광택기로 측정하였다.
촉진 내후성
ASTM D 4587 규격에 의하여 Q-LAB社 QUV-A TEST로 5,000 시간 평가 후 색차 및 광택유지율을 평가하였다.
(◎: 광택유지율 80% 이상, ○: 광택유지율 50% 이상 80% 미만, X: 광택유지율 50% 미만)
내식성
ASTM B117 규격에 의하여 내식성을 측정하였다. 칼로 시편의 중앙에 X자 흠집을 낸 후 500 시간 내식성을 시험한 후, X자 흠집을 중심으로 백청의 발생 길이와 Edge의 Blister 발생 길이를 측정하였다.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다.
(◎: X-CUT 1 mm 미만, Edge 3 mm 미만, ○: X-CUT 1 mm 이상 2 mm 미만, Edge 3 mm 이상 5 mm 미만, X: X-CUT 2 mm 이상, Edge 5 mm 이상)
가공성
실온에서 180도 가공하여, 크랙 상태 및 부착 정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다.
(◎: 크랙 및 박리 없음, ○: 크랙 20% 미만, X: 크랙 20% 이상)
내충격성
1/2 inch ball을 500 g 하중으로 50 cm 거리에서 떨어뜨려 도막의 크랙 발생 유무를 측정하였다.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다.
(◎: Crack 발생 없음, X: Crack 발생 있음)
경도
Mitsubishi uni pencil로 5줄 그어서 발생하는 흔적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다.
(◎: 흔적 없음, ○: 1 내지 2줄 흔적 있음, X: 3줄 이상 흔적 있음)
C.C.E.T
시편을 1 mm 간격으로 가로, 세로 100개의 Cross cut을 한 후, 6 mm 압입하여 테이프로 떼어낸 후 박리상태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다.
(◎: 박리 없음, X: 박리 있음)
내용제성
메틸에틸케톤(M.E.K)를 거즈에 묻혀 1 kg 하중으로 왕복한 횟수를 측정하였다. 평가 기준은 하기와 같다.
(◎: 100회 이상, ○: 50회 이상 100회 미만, X: 50회 미만)
Figure 112019022589550-pat00003
Figure 112019022589550-pat00004
상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6의 도료 조성물로 형성된 도막은 측정한 항목 전반적으로 물성이 우수하였다. 반면, 비교에 1-3의 도료 조성물로 형성된 도막은 특히 가공성 및 부착성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4)

  1. 다관능산 및 4관능 이상의 다관능 알코올을 포함하는 모노머로부터 제조된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다관능산 및 3관능 알코올을 포함하는 모노머로부터 제조된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3,000 g/mol이고, 수산기가는 40 내지 85 mgKOH/g이고, 유리전이온도는 20 내지 40 ℃이고, 고형분은 60 내지 80%이고,
    상기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평균분자량은 3,500 내지 8,000 g/mol이고, 수산기가는 5 내지 30 mgKOH/g이고, 유리전이온도는 5 내지 25 ℃이고, 고형분은 55 내지 70%인 도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제2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배합비는 50 : 50 내지 90 : 10 중량비인 도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도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폴리에스테르 수지 5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
KR1020190025330A 2019-03-05 2019-03-05 도료 조성물 KR102239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330A KR102239620B1 (ko) 2019-03-05 2019-03-05 도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330A KR102239620B1 (ko) 2019-03-05 2019-03-05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740A KR20200106740A (ko) 2020-09-15
KR102239620B1 true KR102239620B1 (ko) 2021-04-13

Family

ID=7245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330A KR102239620B1 (ko) 2019-03-05 2019-03-05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62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1118A (ja) 2008-01-31 2011-04-07 サイテック サーフェース スペシャリティーズ、エス.エイ. 粉末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932B1 (ko) * 2005-09-01 2007-03-12 유니온스틸 주식회사 자기세정 가전용 칼라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37484B1 (ko) * 2010-04-29 2016-07-08 주식회사 케이씨씨 육안 선영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를 함유하는 pcm용 도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1118A (ja) 2008-01-31 2011-04-07 サイテック サーフェース スペシャリティーズ、エス.エイ. 粉末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740A (ko) 202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336B1 (ko) 내화학성, 내스크래치성 및 스크래치 복원성이 우수한 1액형 자동차 상도용 투명 도료 조성물
KR20150005828A (ko) 스크래치 자가복원 도료 조성물
US10239986B2 (en) Highly elastic polyester modified urethane resin and clear coat composition containing same
KR102239620B1 (ko) 도료 조성물
KR102340545B1 (ko) 클리어 도료 조성물
JP6003089B2 (ja) バイオマスプラスチック塗料
KR102291233B1 (ko) 클리어 코트 조성물
KR101783122B1 (ko) 카르복실 폴리에스터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분체도료 조성물
JP2014122361A (ja) ポリエステルコイル被覆組成物
EP2152815B1 (en) Resin compositions for wrinkle-pattern paint purposes
JP5316426B2 (ja) 塗料用樹脂組成物および塗装金属板
KR20140115828A (ko) 스크래치 자가복원 도료 조성물
US10822518B2 (en) Curable coating compositions using succinic acid
JP5158412B2 (ja) ビニル変性ポリエステル樹脂水性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水性塗料組成物
JP6003088B2 (ja) バイオマスプラスチック塗料
CN115948104B (zh) 涂料组合物
KR20080088256A (ko) 변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도료조성물
KR102583105B1 (ko) 클리어 코트 조성물
KR102602457B1 (ko) 도료 조성물
KR102263132B1 (ko) 수성 베이스 코트 조성물
KR102656627B1 (ko) 클리어 코트 조성물
KR102567354B1 (ko) 클리어 코트 조성물
KR102349182B1 (ko) 방열기능을 갖는 피씨엠용 도료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피씨엠 도장강판
KR101992531B1 (ko) 바이오 클린 기능을 갖는 피씨엠용 도료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도장강판
KR20090073469A (ko) 이소비드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도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