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8375B1 - 관로 내부 시공 부산물 진공 흡입 시스템 - Google Patents

관로 내부 시공 부산물 진공 흡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8375B1
KR102238375B1 KR1020200111869A KR20200111869A KR102238375B1 KR 102238375 B1 KR102238375 B1 KR 102238375B1 KR 1020200111869 A KR1020200111869 A KR 1020200111869A KR 20200111869 A KR20200111869 A KR 20200111869A KR 102238375 B1 KR102238375 B1 KR 102238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pipeline
fastened
suction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원
하인우
윤호장
박진욱
이재혁
Original Assignee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1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3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cleaning or refurbishing water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2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Abstract

본 발명 관로 내부 시공 부산물 진공 흡입 시스템은 관로 내부를 이동하는 관로 갱생 로봇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하는 것으로 관로 갱싱 로봇과 함께 이동하며 관로 외부의 윈치에 연결된 와이어에 의하여 이동되고 하부에 바퀴부가 장착되는 전원 컨트롤러부와 제1차단부, 세관 노즐부 및 제2차단부를 동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진 관로 갱생 로봇과, 전원컨트롤러부의 제어 및 관로 갯생 로봇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며 흡입부가 구성된 제1차단부, 관로 내부에서 작업 구간을 설정하고 작업 구간에 시공 부산물이 쌓이도록 하며 시공 부산물을 흡입하여 배출 호스로 배출하는 흡입부가 체결되는 제1차단부와, 흡입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진공 파괴 수단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배출 호스와, 상기 배출 호스 끝단에 체결 구성되는 것으로 2개의 탱크가 교차로 운전되는 진공 흡입부와, 상기 제1차단부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고 작업 구간의 관로 내부에 수압을 노즐로 분사하는 세관 노즐부와, 상기 세관 노즐부에 체결되고 관로를 밀폐하여 작업 구간에 진공도를 높여주는 제2차단부와, 상기 전원 컨트롤러부와 체결되는 제1와이어와 체결되어 로봇의 견인력을 보완하는 제1윈치와, 워터젯 탱크로부터 고압수를 세관 노즐부로 공급하는 고압 호스부와, 제2차단부의 일측에 체결되는 제2와이어로 연결되는 것으로 로봇의 견인력을 보완하는 제2윈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관로 내부 시공 부산물 진공 흡입 시스템{Vaccum Inhalation System of Pipe Rehabilitation by-product}
본 발명은 노후 상수관 갱생을 위하여 추진하는 과정에서 노후 관로를 고압수를 이용하여 관로를 세척한 후 세척 시 생성되는 시공 부산물 처리를 위하여 별도의 관내 잔수 소거와 부산물 제거를 위한 공정이 필요하여 공사기간이 연장되고 공사비용이 증대되므로 관로 세척과 동시에 시공 부산물을 배출하고 배출되는 시공 부산물을 진공흡입하여 시공 부산물 처리 탱크에 저장하였다가 처리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79166호(2020. 04. 08. 공고)에 게시되어 있는 것이다. 도 1은 상기 종래의 관로 내부를 이동하면서 관로 내부 표면처리 및 세정과 동시에 처리물질을 실시간으로 배출하는 원뿔대 형상의 셕션스크레이퍼를 구비한 처리 물질 배출시스템 구성도이다. 상기도 1에서 종래의 관로 내부를 이동하면서 관로 내부 표면처리 및 세정과 동시에 처리물질을 실시간으로 배출하는 원뿔대 형상의 셕션스크레이퍼를 구비한 처리 물질 배출시스템은 관로(1000) 내부를 이송하는 구동 로봇(200)과, 구동 로봇에 연결되어 관로 내부 표면 처리를 하는 갱생 모듈 고정기구부(300)와, 상기 갱생 모듈 고정기구부에 연결된 것으로 관로 내부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 모듈(400)과, 일측이 세정모듈의 각 와어어 고정부(430)에 연결되고 타측은 석션 스크레이퍼의 연결 조인트에 체결되는 로프 와이어(500)와, 상기 로프 와이어에 체결되는 것으로 베어링이 내부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형상의 연결 조인트(710)와, 상기 연결 조인트에 체결되는 것으로 하부 일측에 석션 파이프가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석션 스크레이퍼(700)와, 관로 바닥면을 통하여 석션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동 로봇의 이동에 따라서 동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석션 스크레이퍼 하부에 체결되는 석션 파이프(800)와, 상기 석션 파이프에 체결되는 진공 펌프(9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석션 스크레이퍼(700)는 구동 로봇(200)이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구동 로봇에 연결된 갱생 모듈 고정기구부(300)가 따라서 이동하게 되고, 또한 갱생모듈 고정기구부(300)에 연결된 세정 모듈(400)이 따라서 이동하게 되며, 또한, 세정 모듈(400)에 연결된 석션 스크레이퍼(700)도 구동 로봇의 진행방향과 동일하게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동 로봇이 이동하면서 세정 모듈(400)이 관로 표면 도막을 제거하고 관로 내부를 세정을 하게 되면 관로 바닥면에 잔존물인 처리 물질이 고이게 되고 이때 석션 파이프(800)에 연결된 진공 펌프(900)를 구동하면 석션 스크레이퍼의 이동에 따라 점점 세정물질이 모여 증가한 처리 물질을 석션 스크레이퍼(700)에 체결된 석션 파이프(800)를 통하여 구동 로봇의 진행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석션 스크레이퍼(700)는 관로 내부를 밀착하여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내부에 일부만 채워진 원뿔대 형상의 피그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피그 형상의 석션 스크레이퍼(700)에 석션 파이프(800)가 체결된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관로 내부를 이동하면서 관로 내부 표면처리 및 세정과 동시에 처리물질을 실시간으로 배출하는 원뿔대 형상의 셕션스크레이퍼를 구비한 처리 물질 배출시스템은 배출된 시공 부산물의 흡입에 대하여는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지 아니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 부산물 배출 시에 배출 호스에 진공파괴수단을 구성하여 시공 부산물 배출하면서 동시에 진공 흡입을 하도록 하되 공사의 계속 진행을 위하여 2대의 탱크가 교차로 시공 부산물을 흡입하여 처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퀴부를 캐터필러 방식으로 하여 관로 내부면에 밀착하여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진공 흡입 탱크가 지상에 위치하는 경우 배출 호스의 길이가 장거리인 경우에 대비하여 배출 호스에 진공 파괴 수단을 구비하여 시공 부산물의 배출과 진공 흡입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흡입부의 형상을 배관의 곡면부와 면접하도록 곡면 형상을 갖도록하여 시공 부산물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관로 내부 시공 부산물 진공 흡입 시스템은 관로 내부를 이동하는 관로 갱생 로봇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하는 것으로 관로 갱싱 로봇과 함께 이동하며 관로 외부의 윈치에 연결된 와이어에 의하여 이동되고 하부에 바퀴부가 장착되는 전원 컨트롤러부와 제1차단부,세관 노즐부 및 제2차단부를 동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진 관로 갱생 로봇과, 전원컨트롤러부의 제어 및 관로 갯생 로봇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며 흡입부가 구성된 제1차단부, 관로 내부에서 작업 구간을 설정하고 작업 구간에 시공 부산물이 쌓이도록 하며 시공 부산물을 흡입하여 배출 호스로 배출하는 흡입부가 체결되는 제1차단부와, 흡입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진공 파괴 수단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배출 호스와, 상기 배출 호스 끝단에 체결 구성되는 것으로 2개의 탱크가 교차로 운전되는 진공 흡입부와, 상기 제1차단부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고 작업 구간의 관로 내부에 수압을 노즐로 분사하는 세관 노즐부와, 상기 세관 노즐부에 체결되고 관로를 밀폐하여 작업 구간에 진공도를 높여주는 제2차단부와, 상기 전원 컨트롤러부와 체결되는 제1와이어와 체결되어 로봇의 견인력을 보완하는 제1윈치와, 워터젯 탱크로부터 고압수를 세관 노즐부로 공급하는 고압 호스부와, 제2차단부의 일측에 체결되는 제2와이어로 연결되는 것으로 로봇의 견인력을 보완하는 제2윈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관로 내부 시공 부산물 진공 흡입 시스템은 배출된 시공 부산물을 신속히 그리고 계속적으로 진공 흡입하도록 한쌍의 진공 흡입 탱크를 구비하여 배출 호스가 장거리인 경우에도 관로 내부의 시공 부산물을 신속히 배출하고 관로 갱생 작업을 중단 없이 계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부가 관로 하부 곡면과 면접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구성하여 시공 부산물 흡입 시에 손실이 없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바퀴부를 캐터필러로 구성하여 관경이 상이한 관로에서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관로 내부를 이동하면서 관로 내부 표면처리 및 세정과 동시에 처리물질을 실시간으로 배출하는 원뿔대 형상의 셕션스크레이퍼를 구비한 처리 물질 배출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관로 내부 시공 부산물 진공 흡입 시스템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공 흡입부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공 흡입 탱크의 상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단부, 세관노즐 및 흡입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단부, 세관 노즐 및 흡입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흡입부 사시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세관 노즐부 사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공 파괴 수단 사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공 파괴수단의 단면 구성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 관로 내부 시공 부산물 진공 흡입 시스템을 도 2 내지 도 10을 기초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관로 내부 시공 부산물 진공 흡입 시스템 전체 구성도이다. 상기도 2에서 본 발명 관로 내부 시공 부산물 진공 흡입 시스템은 관로 내부를 이동하는 관로 갱생 로봇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하는 것으로 관로 갱싱 로봇과 함께 이동하며 관로 외부의 윈치에 연결된 와이어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고 하부에 바퀴부가 장착되는 전원 컨트롤러부(10)와 전원 컨트롤러부의 제어에 따라 관로 내부를 이동하며 흡입부가 구성된 제1차단부, 세관 노즐부 및 제2차단부를 동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10-1)로 이루어진 관로 갱생 로봇(20)과, 관로 내부에서 작업 구간을 설정하고 작업 구간에 시공 부산물이 쌓이도록 하며 시공 부산물을 흡입하여 배출 호스로 배출하는 흡입부가 체결되는 제1차단부(30)와, 흡입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진공 파괴 수단(47)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배출 호스(40)와, 상기 배출 호스 끝단에 체결 구성되는 진공 흡입부(80)와, 상기 제1차단부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고 작업 구간의 관로 내부에 수압을 노즐로 분사하는 세관 노즐부(50)와, 상기 세관 노즐부에 체결되고 관로를 밀폐하여 작업 구간에 진공도를 높여주는 제2차단부(60)와, 상기 전원 컨트롤러부(10)와 체결하는 제1와이어(70)와 체결되어 로봇의 견인력을 보완하는 제1윈치(75)와, 워터젯 탱크(52)로부터 고압수를 세관 노즐부(50)로 공급하는 고압 호스부(54)와, 제2차단부(60)의 일측에 체결되는 제2와이어(70-1)로 연결되는 것으로 로봇의 견인력을 보완하는 제2윈치(75-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관로 갱생 로봇의 전 후단에 카메라와 같은 영상 장비를 구비하여 관로 내부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관로 갱생 로봇은 공지된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1윈치(75)와 제2윈치(75-1)는 로봇의 견인력을 보완하며, 로봇 고장 시에 관로 갱생 로봇을 대신하여 시스템을 견인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관로 갱생 로봇의 제어 케이블은 상기 제1와이어(70)와 함께 구성될 수 있고 별도의 제어 케이블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공 흡입부 상세 구성도이다. 상기도 3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공 흡입부는 2대의 진공 흡입 탱크로 구성되고 컨트롤러 1(89-1)과 연동하는 메인 제어부(미도시)가 메인 밸브(82)를 개방하고, 밸브 1(84)을 개방하며 밸브 2(86)를 닫아서 시공 부산물을 진공 흡입 탱크 1(80-1)에 시공 부산물을 흡입구(83-1)을 통하여 진공 흡입 하고 배출구(83-2)로 배출되도록 진공 펌프 1(80-2)을 구동 제어하고, 진공 흡입 탱크 1(80-1)의 수위가 기준 설정치 이상인 경우, 수위 센서 1(80-4)가 센싱 정보를 메인 제어부로 전송하며, 컨트롤러 2(89-2)와 연동하는 메인 제어부가 밸브 2(86)를 개방하고 밸브 1(84)을 폐쇄하여 시공 부산물이 진공 흡입 탱크 2(80-6)로 흡입구(83-1")를 통하여 흡입되고 배출구(83-2')로 배출되도록 진공 펌프 2(80-8)를 제어하고, 진공 흡입 탱크 2(80-6)의 수위가 기준 설정치 이상인 경우 수위 센서 2(80-9)가 수위 정보를 메인 제어부로 전송하여 시공 부산물이 진공 흡입탱크 1(80-1)로 흡입구(83-1)을 통하여 흡입되고 배출구(83-2)로 배출되도록 밸브 1(84)을 개방하고 밸브 2(86)를 닫으며, 진공 펌프 1(80-2)을 구동하고 진공펌프 2(80-8)를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즉 메인 제어부는 진공 흡입 탱크 1(80-1)과 진공 흡입 탱크 2(80-6)가 교차로 흡입되도록 밸브 및 진공 펌프를 각각 제어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공 흡입 탱크의 상세 구성도이다. 상기도 4에서 진공 흡입탱크 1(80-1)과 진공 흡입 탱크 2(80-6)는 동일 구조이며, 진공 흡입 탱크는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는 진공 탱크부(81)와 진공 탱크 일측에 구성되는 흡입구(83-1)와, 진공 탱크 내부에서 시공 부산물이 하부에 쌓이는 것을 도와주며 시공 부산물 흡입물질과 배출물질을 격리하는 내부 격벽(85)과, 진공 흡입 탱크에 부설되고 시공 부산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83-2)와, 진공 흡입 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80-4)와, 진공 탱크 내부의 진동도를 계측하고 계측 정보를 메인 제어부로 전송하는 진공 게이지(87)와, 배출 호스에 진공 형성을 위한 진공 펌프 1(80-2)와, 메인 제어부와 네크워크를 구성하여 밸브 및 진공 펌프를 구동하고 수위 정보를 메인 제어부로 전송하는 컨트롤러(8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진공 흡입 탱크는 탱크 일측에 외부에서 관측할 수 있는 아날로그 수위 게이지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단부, 세관노즐 및 흡입부 사시도이다. 상기도 5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단부는 제1차단부(30)와 상기 제1차단부로부터 관로 내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게 구성되는 제2차단부(60)로 구성되고, 제1차단부(30)는 원판 형상의 제1차단부의 일측에 체결되는 제1-1캐터 필러부(31)와, 상기 제1차단부 타측에 구성되는 제1-2 캐터 필러부(32)와 상기 제1차단부 일측에서 상기 제1-1캐터 필러부 하부에서 제1차단부를 관통하여 구성되고 배관의 곡면에 면접하는 형상을 가지는 흡입부(33)로 구성되고, 제2차단부(60)는 제1차단부의 제1-2캐터필러부와 링크 방식으로 체결되는 세관 노즐부(50)와, 상기 세관 노즐부가 일측에서 체결되고 타측은 원판 형상의 제2차단부(60)와 체결되는 제2-1캐터 필러부(61)와, 상기 제2-1 캐터 필러부에 체결되는 제2차단부(60)와, 상기 제2차단부에 체결되는 제2-2 캐터 필러부(62)로 구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단부와 , 세관 노즐 및 흡입부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도 6에서 제1차단부(30)는 제1-1차단막 지지부(30-1)와 상기 제1-1 차단막 지지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1-1 차단막 지지부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어 관로 내부면에 면접하는 제1차단막(30-2)과, 상기 제1차단막(30-2)에 체결되는 제1-2 차단막 지지부(30-3)로 이루어지고, 일측에는 제1-1 캐터 필러부(31)가 체결되며, 상기 제1차단부(30)의 일측에서 배출호스와 체결되는 배출 호스 연결부(41)와, 배출호스 연결부를 지지하고 제1차단부에 체결되는 배출호스 연결부 지지부(42)와, 제1-2 캐터필러부(32)에 체결되는 흡입부 연결링크(33-1)와, 흡입부 연결링크(33-1)와 흡입부 링크(33-2)에 의하여 체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배출호스에 체결되는 흡입부 연결관(43)과 상기 흡입부 연결관에 체결되는 곡면 형상의 부산물 흡입부(33-3)로 이루어지는 흡입부(33)가 구성되고, 제1차단부(30)의 타측에는 링크(32-1) 및 링크 지지대(32-2)에 의하여 제1-2 캐터 필러부(32)가 체결 구성되고, 상기 링크에 체결되는 것으로 연결링크 고정부(32-3), 상기 연결 링크 고정부에 체결되는 유니버설 조인트 링크(32-4) 및 스위벨 고정부(32-5)에 의하여 체결되는 세관 노즐부(50)와, 상기 세관 노즐부(50)와 연결링크 고정부(51)에 의하여 체결되는 제2-1 캐터 필러부(61)와, 제2-1캐터 필러부(61)와 연결 링크(52)와 링크 지지대(52-1)에 의하여 체결되는 제2차단부(60)와, 상기 제2차단부에 체결되는 제2-2 캐터 필러(62)로 구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차단부(60)는 제2-1차단막 지지부(60-1)와 상기 제2-1 차단막 지지부(60-1)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2-1 차단막 지지부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어 관로 내부면에 면접하는 제2차단막(60-2)과, 상기 제2차단막(60-2)에 체결되는 제2-2 차단막 지지부(60-3)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에서 제1차단부와 제2차단부는 중앙의 제1차단막(30-2)과 제2차단막(60-2)이 관로 내부면에 접하도록 하여 관로 내부에서 이동시에도 진공도를 높이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흡입부 사시 구성도이다. 상기도 7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흡입부(33)는 배출 호스와 체결되는 배출호스 연결부(41)와, 상기 배출호스 연결부와 체결되는 배출호스 연결부 지지부(42)와, 제1차단부의 제1-2 캐터필러부에 체결구성되는 흡입부 연결링크(33-1)와, 상기 흡입부 연결링크(33-1)와 일측이 체결되고 타측이 부산물 흡입부와 체결되는 흡입부 링크(33-2)에 체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배출호스에 체결되어 공기를 흐르도록 하는 것으로 제1차단부를 관통하는 흡입부 연결관(43)과 관로의 곡면에 면접하는 곡면 형상의 부산물 흡입부(3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세관 노즐부 사시 구성도이다. 상기도 8에서 세관 노즐부(50)는 일측이 제1차단부에 구성되는 제1-2 캐터필러부(32)와 유니버설 조인트 링크(32-4)와 스위벨 고정부(32-5)에 의하여 체결되고 타측이 제2차단부(60)의 제2-1 캐터 필러부(61)와 체결되는 세관 노즐부(50)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공 파괴 수단 사시 구성도이다. 상기도 9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공 파괴 수단(47)은 흡입부(33)에 연결되는 배출 호스의 길이가 장거리인 경우에는 배출 호스와 흡입부가 진공으로 가득차서 시공 부산불이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배출 호스에 일정 간격으로 진공 파괴 수단을 설치하여 배출 호스의 완전 진공을 파괴함으로써 진동도를 낮추어 시공 부산물이 배출호스로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의 진공 파괴 수단(47)은 내부 중공부의 형상이 모래 시계 형상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인 몸체부(47-1)와, 몸체부 일측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 배관(47-2)과, 공기 흡입 배관(47-2) 내측으로 구성되는 가이드부(47-3)와, 몸체부 내부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 호스로 주입되는 공기 배출 배관(47-6)과, 몸체부 하부에 일체로 구성되는 스프링 가이드부(47-4)와, 스프링 가이드부(47-4)의 목부에 설치되고 진공도에 따라서 확장과 축소를 하는 스프링(47-5)으로 구성된 것으로 배출 호스 내부의 공기가 진공이 낮은 경우에는 스프링 가이드부(47-4)의 스프링(47-5)이 확장되어 밀폐되고 진공 시에는 진공 흡인력으로 인하여 스프링 가이드부(47-4)의 스프링(47-5)이 축소되어 배출 호스의 진공을 파괴하는 진공 파괴 수단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공 파괴수단의 단면 구성도이다. 상기도 10에서 (a)는 진공시 상태도이고, (b)는 진공 파괴시의 상태도로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공 파괴수단은 내부 중공부가 모래 형상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인 몸체부(47-1)와, 몸체부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 배관(47-2)과 공기 흡입 배관 내측으로 구성되는 가이드부(47-3)와, 공기 흡입 배관으로 공기가 주입되고 몸체부 내부를 통과하여 공기가 배출 호스로 주입되는 공기 배출 배관(47-6)과, 몸체부 하부에 일체로 구성되는 스프링 가이드부(47-4)와, 스프링 가이드부(47-4)의 목부에서 진공도(공기 압)에 따라서 확장과 축소를 하는 스프링(47-5)으로 구성된 것으로 배출 호스 내부의 진공도가 낮은 경우에는 스프링 가이드부(47-4)의 스프링(47-5)이 확장되어 밀폐되고 진공 시에는 진공 흡인력으로 인하여 스프링 가이드부(47-4)의 스프링(47-5)이 축소되어 배출 호스의 진공을 파괴하는 진공 파괴 수단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상기도 10에서 화살표는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다.
10 : 전원 컨트롤러부, 20 : 관로 갱생 로봇,
30 : 제1차단부, 40 : 배출 호스부,
50 : 세관 노즐부, 60 : 제2차단부,
70 : 와이어, 80 : 시공 부산물 처리 탱크부

Claims (11)

  1. 노후 상수관 갱생을 위하여 관로 세척과 동시에 시공 부산물을 제거하기 위한 관로 내부 시공 부산물 진공 흡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로 내부 시공 부산물 진공 흡입 시스템은,
    관로 내부를 이동하는 관로 갱생 로봇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하는 것으로 관로 갱싱 로봇과 함께 이동하며 관로 외부의 윈치에 연결된 와이어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고 하부에 바퀴부가 장착되는 전원 컨트롤러부(10)와 전원 컨트롤러부의 제어에 따라 관로 내부를 이동하며 흡입부가 구성된 제1차단부, 세관 노즐부 및 제2차단부를 동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부(10-1)로 이루어진 관로 갱생 로봇(20)과;
    관로 내부에서 작업 구간을 설정하고 작업 구간에 시공 부산물이 쌓이도록 하며 시공 부산물을 흡입하여 배출 호스로 배출하는 흡입부(33)가 체결되는 제1차단부(30)와;
    흡입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내부 중공부가 모래 형상으로 원통형인 몸체부(47-1)와 몸체부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 배관(47-2)과 공기 흡입 배관 내측으로 구성되는 가이드부(47-3)와 공기 흡입 배관으로 흡입된 공기가 몸체부 내부를 통과하여 배출 호스로 주입되는 공기 배출 배관(47-6)과 몸체부 하부에 일체로 구성되는 스프링 가이드부(47-4) 및 스프링 가이드부(47-4)의 목부에서 진공도에 따라서 확장과 축소를 하는 스프링(47-5)으로 구성된 진공 파괴 수단(47)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배출 호스(40)와;
    배출 호스에 연결되어 시공 부산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진공 흡입부(80)와;
    상기 제1차단부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고 작업 구간의 관로 내부에 수압을 노즐로 분사하는 세관 노즐부(50)와;
    상기 세관 노즐부에 체결되고 관로를 밀폐하여 작업 구간에 진공도를 높여주는 제2차단부(60);
    및 워터젯 탱크(52)로부터 고압수를 세관 노즐부(50)로 공급하는 고압 호스부(5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부 시공 부산물 진공 흡입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부(30)는,
    제1-1차단막 지지부(30-1)와 상기 제1-1 차단막 지지부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1-1 차단막 지지부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어 관로 내부면에 면접하는 제1차단막(30-2)과, 상기 제1차단막(30-2)에 체결되는 제1-2 차단막 지지부(30-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부 시공 부산물 진공 흡입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단부(60)는,
    제2-1차단막 지지부(60-1)와 상기 제2-1 차단막 지지부(60-1)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2-1 차단막 지지부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어 관로 내부면에 면접하는 제2차단막(60-2)과, 상기 제2차단막(60-2)에 체결되는 제2-2 차단막 지지부(60-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부 시공 부산물 진공 흡입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흡입부(33)는,
    제1차단부와 제1차단부의 제1-2 캐터필러부에 체결구성되고 상기 배출호스에 체결되어 공기가 흐르도록 하는 것으로 제1차단부를 관통하는 흡입부 연결관(43)과 관로의 곡면에 면접하는 곡면 형상의 부산물 흡입부(3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부 시공 부산물 진공 흡입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호스에 연결되어 시공 부산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진공 흡입부(80)는,
    진공 흡입 탱크 1(80-1)과 진공 흡입 탱크 2(80-6)로 구성되고 상기 2대의 진공 흡입 탱크가 교차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부 시공 부산물 진공 흡입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호스에 연결되어 시공 부산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진공 흡입부(80)는,
    컨트롤러 1(89-1)과 연동하는 메인 제어부가 메인 밸브(82)를 개방하고, 밸브 1(84)을 개방하며 밸브 2(86)를 닫아서 시공 부산물을 진공 흡입 탱크 1(80-1)에 시공 부산물을 흡입구(83-1)을 통하여 진공 흡입 하고 배출구(83-2)로 배출되도록 진공 펌프 1(80-2)을 구동 제어하고, 진공 흡입 탱크 1(80-1)의 수위가 기준 설정치 이상인 경우, 수위 센서 1(80-4)가 센싱 정보를 메인 제어부로 전송하며, 컨트롤러 2(89-2)와 연동하는 메인 제어부가 밸브 2(86)를 개방하고 밸브 1(84)을 폐쇄하여 시공 부산물이 진공 흡입 탱크 2(80-6)로 흡입구(83-1")를 통하여 흡입되고 배출구(83-2')로 배출되도록 진공 펌프 2(80-8)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부 시공 부산물 진공 흡입 시스템.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흡입부의 진공 흡입 탱크 1(80-1)은,
    진공 탱크부(81)와;
    진공 탱크 일측에 구성되는 흡입구(83-1)와;
    진공 흡입 탱크에 부설되고 시공 부산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83-2)와;
    진공 흡입 탱크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80-4)와;
    진공 탱크 내부의 진동도를 계측하는 진공 게이지(87)와;
    배출 호스에 진공 형성을 위한 진공 펌프 1(80-2);
    및 메인 제어부와 네크워크를 구성하여 밸브 및 진공 펌프를 구동하고 수위 정보를 메인 제어부로 전송하는 컨트롤러(89-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부 시공 부산물 진공 흡입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흡입부의 진공 흡입 탱크 1(80-1)은,
    탱크 일측에 외부에서 관측할 수 있는 아날로그 수위 게이지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부 시공 부산물 진공 흡입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탱크부(81)는,
    내부 격벽이 부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부 시공 부산물 진공 흡입 시스템.


KR1020200111869A 2020-09-02 2020-09-02 관로 내부 시공 부산물 진공 흡입 시스템 KR102238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869A KR102238375B1 (ko) 2020-09-02 2020-09-02 관로 내부 시공 부산물 진공 흡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869A KR102238375B1 (ko) 2020-09-02 2020-09-02 관로 내부 시공 부산물 진공 흡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375B1 true KR102238375B1 (ko) 2021-04-12

Family

ID=75439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869A KR102238375B1 (ko) 2020-09-02 2020-09-02 관로 내부 시공 부산물 진공 흡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3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4899A (zh) * 2021-12-08 2022-03-11 安徽明泉水设备有限公司 一种空化射流自洁净的无负压供水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7589A (ja) * 1996-04-17 1997-11-04 Yoshikura Kogyo Kk 立軸ポンプ装置及び運転方法
JPH10103257A (ja) * 1996-09-27 1998-04-21 Anlet Co Ltd 汚水・へどろ類の吸排水装置
KR102020807B1 (ko) * 2018-09-13 2019-09-11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관로 갱생로봇을 활용한 노후 상수관 세관 부산물 흡입 및 모니터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세관 부산물 흡입 및 모니터링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7589A (ja) * 1996-04-17 1997-11-04 Yoshikura Kogyo Kk 立軸ポンプ装置及び運転方法
JPH10103257A (ja) * 1996-09-27 1998-04-21 Anlet Co Ltd 汚水・へどろ類の吸排水装置
KR102020807B1 (ko) * 2018-09-13 2019-09-11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관로 갱생로봇을 활용한 노후 상수관 세관 부산물 흡입 및 모니터링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세관 부산물 흡입 및 모니터링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64899A (zh) * 2021-12-08 2022-03-11 安徽明泉水设备有限公司 一种空化射流自洁净的无负压供水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58589A (en) Catch basin and sewer pipe cleaner
US5372162A (en) Repair device for the in situ repair of pipes, and a method of repairing pipes
KR102238375B1 (ko) 관로 내부 시공 부산물 진공 흡입 시스템
KR101236341B1 (ko) 관로 청소용 이동 대차
KR100350961B1 (ko) 탱크 세척 장치 및 방법
JP2014114653A (ja) ロボット利用埋設管工事用装置
CN106826868A (zh) 捕捞机器人及水产品自动捕捞系统
KR102212017B1 (ko) 진공 파괴 수단을 구비한 관로 시공 부산물 배출 시스템
WO2018128309A1 (ko) 구형상의 상수도관 세척장치
KR101364473B1 (ko) 다목적 수중 청소로봇
EP1100631B1 (en) Spray cleaner for interior surface of pipeline
KR101671200B1 (ko) 배관 청소로봇
JP6977917B2 (ja) 管内清掃ロボット
KR101726660B1 (ko) 관내부 무인 준설 처리 시스템
KR102295242B1 (ko) 관로용 방역로봇
KR102393601B1 (ko) 하수관 비굴착 보수 시스템의 전처리 장치
KR102393599B1 (ko) 비굴착형 하수관 보수 시스템
KR102406859B1 (ko) 양방향 세척수 고압 압입 및 진공 흡입 방식 관로 세척 시스템
KR102400181B1 (ko) 터널 세척 및 도색장치
CN210234924U (zh) 一种履带清洗系统
JPH04115039A (ja) 吸引式清掃作業車
CN110974577A (zh) 自动护理机器人
JPH05263427A (ja) 通水孔内の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KR102497337B1 (ko) 관 세척 장치 및 관 세척 방법
KR102528600B1 (ko) 공중부양 하수관 세척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