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225B1 -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225B1
KR102237225B1 KR1020150132181A KR20150132181A KR102237225B1 KR 102237225 B1 KR102237225 B1 KR 102237225B1 KR 1020150132181 A KR1020150132181 A KR 1020150132181A KR 20150132181 A KR20150132181 A KR 20150132181A KR 102237225 B1 KR102237225 B1 KR 102237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lowable
geo
map
fenc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4026A (ko
Inventor
김남준
박언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2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225B1/ko
Publication of KR20170034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4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61Preferred or disfavoured areas, e.g. dangerous zones, toll or emission zones, intersections, manoeuvre types, segments such as motorways, toll roads, fer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네비게이션에 지오펜스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는 지도맵의 출발지 및 목적지 사이에 형성된 허용 가능한 소정의 허용 반경을 갖는 지오펜스 영역을 설정하거나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지도맵의 출발지 및 목적지에 기초하여 자동 탐색된 경로 정보를 네비게이션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지오펜스 영역이 동기화되도록 하며, 동기화 이후 소정의 허용 반경으로부터 차량이 이탈할 경우, 알람을 발생시켜 네비게이션 서버로 전송하는 지오펜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에, 본 실시예는 특정 지점 근방으로 한정될 때 모니터링할 수 없는 경로를 지오펜스 영역(예: 허용 반경)으로 설정하고, 동기화시킴으로써, 장거리/장시간의 등하교와 출퇴근하는 대상 지역에서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GEOFENCE SERVICES METHOD AND PROGRAM, AND NAVIGATION DEVICE, SERVER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THE SAME}
본 개시는 지오펜스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네비게이션에 지오펜스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지오펜스 기술(GeoFence technology)은 보호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영역을 차량이 벗어날 경우 영역 밖의 차량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지오펜스 범위를 벗어났다는 위반 사항을 사용자 또는 보호자에게 알려주는 기술을 가리킨다.
이러한 지오펜스 기술은 사용자에게 미리 설정해 놓은 영역에 대해 효과적으로 사전 인지시켜 줌으로써, 차량의 진입 방지 영역('IN 영역'이라 지칭하기도 함)과 이탈 방지 영역('OUT 영역'이라 지칭하기도 함)을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차량의 진입 방지 영역과 이탈 방지 영역과 같은 지오펜스 영역이 설정되면, 기존의 지오펜스 기술은 장거리 운행을 통한 등하교 또는 출퇴근 시에는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이 경우, 운행 중인 시간이 많아 관리가 필요함에도 영역이 커서 출발지 내지 도착지 외에는 지오펜스 영역으로 설정이 어려워 관리가 쉽지 않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기존의 지오펜스 기술은 시간대별 지오펜스 영역을 달리 하는 식으로 보완을 하고자 하였으나, 이 또한 장시간 장거리 운행시에는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서는 출발지 내지 목적지 사이의 경로 주변을 지오펜스 영역으로 자동 설정하여 일부 장소를 제외하고는 경로 이탈시 알람을 발생시키도록 하기 위한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도맵의 출발지 및 목적지 사이에 형성된 허용 가능한 소정의 허용 반경을 갖는 지오펜스 영역을 네비게이션 단말기 또는 네비게이션 서버에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지도맵의 출발지 및 목적지에 기초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자동 탐색된 경로 정보를 네비게이션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지오펜스 영역을 동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 이후, 상기 소정의 허용 반경으로부터 차량이 이탈할 경우,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알람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상기 알람을 네비게이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지오펜스 영역이, 네비게이션 서버에서 설정될 경우, 상기 지오펜스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에서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을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허용 반경은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의 주변에 형성된 제1 허용 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오펜스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허용 반경의 주변에 형성된 제1 이탈 허용 장소를 상기 지오펜스 영역으로 더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이탈 허용 장소에 상기 차량이 접근하더라도 상기 알람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허용 반경은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 사이의 차량 이동 경로의 주변에 형성된 제2 허용 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오펜스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허용 반경의 주변에 형성된 제2 이탈 허용 장소를 상기 지오펜스 영역으로 더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이탈 허용 장소에 상기 차량이 접근하더라도 상기 알람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제공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지도맵의 출발지 및 목적지 사이에 형성된 허용 가능한 소정의 허용 반경을 갖는 지오펜스 영역을 설정하거나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지도맵의 출발지 및 목적지에 기초하여 자동 탐색된 경로 정보를 네비게이션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지오펜스 영역이 동기화되도록 하며, 상기 동기화 이후, 상기 소정의 허용 반경으로부터 차량이 이탈할 경우, 알람을 발생시켜 네비게이션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허용 반경은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의 주변에 형성된 제1 허용 반경과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 사이의 차량 이동 경로의 주변에 형성된 제2 허용 반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허용 반경의 주변에 형성된 제1 이탈 허용 장소, 또는 상기 제2 허용 반경의 주변에 형성된 제2 이탈 허용 장소를 상기 지오펜스 영역으로 더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이탈 허용 장소 또는 상기 제2 이탈 허용 장소에 상기 차량이 접근하더라도 상기 알람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도맵의 출발지 및 목적지 사이에 형성된 허용 가능한 소정의 허용 반경을 갖는 지오펜스 영역을 설정하는 지오펜스 영역 설정부,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을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대응하여 상기 지도맵의 출발지 및 목적지에 기초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자동 탐색된 경로 정보를 수신하는 경로 정보 수신부, 상기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오펜스 영역을 동기화하는 지오펜스 동기화부, 및 상기 동기화 이후, 상기 소정의 허용 반경으로부터 차량이 이탈할 경우,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발생된 알람을 수신하는 알람 수신부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서버를 제공한다.
상기 허용 반경은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의 주변에 형성된 제1 허용 반경과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 사이의 차량 이동 경로의 주변에 형성된 제2 허용 반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오펜스 영역 설정부는 상기 제1 허용 반경의 주변에 형성된 제1 이탈 허용 장소, 또는 상기 제2 허용 반경의 주변에 형성된 제2 이탈 허용 장소를 상기 지오펜스 영역으로 더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알람 수신부는 상기 제1 이탈 허용 장소 또는 상기 제2 이탈 허용 장소에 상기 차량이 접근하면, 상기 알람을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는 특정 지점 근방으로 한정될 때 모니터링할 수 없는 경로를 지오펜스 영역(예: 허용 반경)으로 설정하고, 동기화시킴으로써, 장거리/장시간의 등하교와 출퇴근하는 대상 지역에서도 모니터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허용 가능한 카테고리를 지정할 수 있어서 실질적인 예외 경우를 관리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의 데이터 처리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지오펜스 서비스와 관련한 지도맵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의 이탈 허용 알고리즘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지오펜스 서비스와 관련한 지도맵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과 다른 형태의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일례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버의 일례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이 적용된 다양한 방법, 장치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접미사인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및/또는'은 열거되는 관련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한 임의의 및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개시되는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의 예>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의 데이터 처리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지오펜스 서비스와 관련한 지도맵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를 설명할 때 보조적으로 참조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S100)은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통해 지오펜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GPS 및 네비게이션 서버 및/또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되어, 지오펜스 서비스를 알고리즘화 하고, 이를 네비게이션 서버 및 GPS로부터 실시간 수신된 지도맵에 차량의 위치 정보와 함께 적용하여 사용자(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알고리즘 동작 주체를 가리킨다.
반면, 네비게이션 서버는 지도맵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지도맵과 함께 지오펜스 서비스와 관련한 지오펜스 영역을 동기화시켜주는 주체를 가리킨다.
GPS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위성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제공하는 주체를 가리킨다.
이를 토대로,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S100)은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통해 지오펜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S110 단계 내지 S13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S110 단계는 지도맵의 출발지 및 목적지 사이에 형성된 허용 가능한 소정의 허용 반경을 갖는 지오펜스 영역을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설정한다. 지오펜스의 설정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됨으로써,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설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S110 단계는 지도맵의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수신하고(S111), GPS로부터 위성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며(S112), 수신된 지도맵에 출발지, 목적지 및 지오펜스 영역, 차량의 위치 정보 등을 맵핑시킴으로써(S113), 지오펜스 영역의 설정을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완료할 수 있다.
여기에 적용된 무선 네트워크는 셀룰러 네트워크, 예컨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분할(Time Division)-CDMA(TD-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다른 셀룰러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데이터 액세스 요소(들)가 GSM 네트워크의 일부인 경우, 네트워크 데이터 액세스 요소(들)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 BSC(Base Station Controller), MSC(Mobile Switching Center),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맵(101)의 출발지(102)와 목적지(103)의 주변에 형성된 제1 허용 반경(104)을 포함하고, 지도맵(101)의 출발지(102) 및 목적지(103) 사이의 차량 이동 경로(105)의 주변에 형성된 제2 허용 반경(10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허용 반경 및 제2 허용 반경은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지오펜스 영역인 차량의 진입 방지 영역과 이탈 방지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은 네비게이션 서버로 전송되어(S114), 네비게이션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120 단계는 차량 운행이 시작되면, 지도맵(101)에 맵핑된 출발지(102) 및 목적지(103)에 기초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를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자동 탐색하면, 자동 탐색된 경로 정보를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생성할 수 있다(S121).
이어서, S120 단계는 생성된 경로 정보를 네비게이션 서버로 전송함과 동시에, 동기화 요청을 네비게이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122).
이에 따라, 네비게이션 서버는 수신된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지도맵 및/또는 지오펜스 영역을 동기화시켜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알려준다. 이로써, S120 단계는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동기화 응답을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S123).
일 실시예에서, S130 단계는 동기화를 확인후, 지도맵(101)에 맵핑된 소정의 허용 반경, 예컨대 제1 허용 반경(104) 또는/및 제2 허용 반경(106)으로부터 차량의 이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31).
차량이 이탈했다고 확인되면, S130 단계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S132). 그러나, 차량의 이탈 여부가 확인되지 않으면, 계속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후, S130 단계는 발생된 알람을 네비게이션 서버로 전송한다(S133).
이에 따라, 사용자, 예컨대 보호자는 이동 단말기와 같은 기기를 통해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전송된 알람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운전자가 허용 반경을 이탈했는지의 여부를 정확히 체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허용 반경안에서 차량의 이탈 여부만을 체크하는 것은 아니다. 즉, 이탈 허용 장소를 더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도 1의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의 이탈 허용 알고리즘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지오펜스 서비스와 관련한 지도맵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S110 단계는 지도맵(101)에 맵핑된 제1 허용 반경(104)의 주변에 형성된 제1 이탈 허용 장소(107, 예 : 주유소, 휴게소, 도서관 등)를 지오펜스 영역으로 더 설정하거나 및/또는 제2 허용 반경(106)의 주변에 형성된 제2 이탈 허용 장소(108, 예 : 주유소, 휴게소, 도서관 등)를 지오펜스 영역으로 더 설정할 수 있다(S115).
이와 같이 설정된 제1 이탈 허용 장소(107) 및/또는 제2 이탈 허용 장소(108)는 도 1과 마찬가지로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네비게이션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S120 단계는 제1 이탈 허용 장소(107) 및/또는 제2 이탈 허용 장소(108)를 포함한 지오펜스 영역을 도 1과 마찬가지로 동기화시키고, 이를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S124).
이후, 일 실시예에 따른 S130 단계는 지도맵(101)에 맵핑된 제1 이탈 허용 장소(107)에 차량(차량의 위치 정보가)이 접근하고 있는지의 접근 여부를 확인하거나, 및/또는 지도맵(101)에 맵핑된 제2 이탈 허용 장소(108)에 차량(차량의 위치 정보가)이 접근하고 있는지의 접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34).
확인 결과, S130 단계는 차량의 위치 정보가 제1 이탈 허용 장소(107) 및/또는 제2 이탈 허용 장소(108)에 접근하더라도 알람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를 위해, S130 단계는 비록 알람이 발생되는 제1 허용 반경(104) 및/또는 제2 반경(106)의 주변 또는 그 안에 있더라도 예외로 인정하여, 접근시 알람을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의 다른 예>
도 6은 도 1과 다른 형태의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전술한 도 3 및 도 5는 도 6을 설명할 때 보조적으로 참조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S200)은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통해 지오펜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GPS 및 네비게이션 서버와 연결되어, 지도맵의 지오펜스 서비스를 실현하고, 또 지도맵에 차량의 위치 정보를 적용하여 사용자(운전자)에게 제공하는 알고리즘 동작 주체를 가리킨다.
반면, 네비게이션 서버는 지도맵의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지오펜스 서비스와 관련한 지오펜스 영역을 지도맵에 맵핑시켜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요청시 지오펜스 서비스를 동기화시켜주는 주체를 가리킨다.
GPS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위성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제공하는 주체를 가리킨다.
이를 토대로,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S200)은 네비게이션 단말기를 통해 지오펜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S210 단계 내지 S23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210 단계는 지도맵의 출발지 및 목적지 사이에 형성된 허용 가능한 소정의 허용 반경을 갖는 지오펜스 영역을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수신한다(S211).
지오펜스의 설정은 네비게이션 서버에 연결된 단말기 예컨대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됨으로써, 네비게이션 서버에서 설정될 수 있다.
이어서, S210 단계는 지도맵에 맵핑된 지오펜스 설정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수신하고(S212), GPS로부터 위성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며(S213), 수신된 지도맵에 출발지, 목적지 및 차량의 위치 정보 등을 맵핑시킬 수 있다(S214).
지도맵에 미리 맵핑된 지오펜스 영역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맵(101)의 출발지(102)와 목적지(103)의 주변에 형성된 제1 허용 반경(104)을 포함하고, 지도맵(101)의 출발지(102) 및 목적지(103) 사이의 차량 이동 경로(105)의 주변에 형성된 제2 허용 반경(10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허용 반경 및 제2 허용 반경은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지오펜스 영역인 차량의 진입 방지 영역과 이탈 방지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S220 단계는 차량의 운행이 시작되면, 지도맵(101)에 맵핑된 출발지(102) 및 목적지(103)에 기초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를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자동 탐색할 경우, 자동 탐색된 경로 정보를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생성할 수 있다(S221).
이어서, S220 단계는 생성된 경로 정보를 네비게이션 서버로 전송함과 동시에, 동기화 요청을 네비게이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222).
이에 따라, 네비게이션 서버는 수신된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지도맵 및/또는 지도맵의 지오펜스 영역을 동기화시켜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알려줄 수 있다.
이로써, S220 단계는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동기화 응답을 수신하여 확인할 수 있다(S223).
일 실시예에서, S230 단계는 동기화를 확인후, 지도맵(101)에 맵핑된 소정의 허용 반경, 예컨대 제1 허용 반경(104) 또는/및 제2 허용 반경(106)으로부터 차량의 이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231).
차량이 이탈했다고 확인되면, S230 단계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S232). 그러나, 차량의 이탈 여부가 확인되지 않으면, 계속하여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후, S230 단계는 발생된 알람을 네비게이션 서버로 전송한다(S233).
이에 따라, 사용자, 예컨대 보호자는 이동 단말기와 같은 기기를 통해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전송된 알람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허용 반경을 이탈했는지의 여부를 정확히 체크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제1 허용 반경(104)의 주변에 형성된 제1 이탈 허용 장소(107, 예 : 주유소, 휴게소, 도서관 등)를 지오펜스 영역으로 더 설정하고, 제2 허용 반경(106)의 주변에 형성된 제2 이탈 허용 장소(108, 예 : 주유소, 휴게소, 도서관 등)를 지오펜스 영역으로 더 설정하는 주체가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것이 아닌, 네비게이션 서버에서 수행되고, 이를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활용하는 차이가 있을뿐, 알람을 발생시키는 않는 원리는 전술한 도 4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S100, S200)은 전술한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언급된 기록 매체는 ROM, 자기 디스크 혹은 콤팩트 디스크 등 일 수 있으나, 이에 받드시 국한되지는 않는다.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예>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일례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전술한 도 3 및 도 5는 도 7를 설명할 때 보조적으로 참조하기로 한다.
도 7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지오펜스 서비스를 알고리즘화 하고,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수신된 지도맵 데이터에 적용하고, GPS로부터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지도맵에 맵핑하여, 사용자(예: 운전자, 도보자 등)에게 제공하는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을 처리한다.
또는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지도맵에 맵핑된 지오펜스 서비스의 지오펜스 설정 데이터를 수신하고, GPS로부터 수신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지도맵에 맵핑하여, 사용자(예: 운전자, 도보자 등)에게 제공하는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을 처리한다.
이를 위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입력부(110), 무선 통신부(120), 적어도 하나의 코어를 처리하는 프로세서(130), 메모리(140), 표시부(150) 및 출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터치 패널(111) 및 기타 입력 장치(11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111)은 지오펜스 서비스의 지오펜스 영역 설정 또는 수신 및 경로 탐색 동작 등과 관련한 터치 동작(예를 들면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터치팬 등의 임의의 적합한 물건이나 부속품을 사용하여 터치 센시티브 표면 혹은 터치 센시티브 표면 부근에 대하여 터치를 진행하는 조작)을 인식하거나, 이와 동시에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관련된 접속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111)은 터치 검출 수단 및 터치 제어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검출 수단은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검출함과 동시에 터치 동작에 의한 신호를 검출하고 그 터치 정보를 터치 제어기에 송신할 수 있다.
터치 제어기는 터치 검출 수단으로부터 터치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하는 정보를 접촉점 좌표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30)에 송신함과 동시에, 프로세서(130)로부터의 명령어를 수신하여 실행할 수 있다.
기타 입력 장치(112)는 지오펜스 서비스의 지오펜스 영역을 설정, 수신 및 경로 탐색 시작 등을 인식하기 위한 물리적인 키보드, 기능키(예를 들면 볼륨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 볼, 마우스, 조이 스틱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입력 장치(112)는 터치 패널(111)의 보조적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부(120)는 GPS 및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지도맵 데이터, 지오펜스 영역 설정 데이터 및/또는 차량의 위치 정보 등을 수집하기 위하여 GPS 및 네비게이션 서버 등과 무선 네트워크(위성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여기에 적용된 무선 네트워크는 셀룰러 네트워크, 예컨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분할(Time Division)-CDMA(TD-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다른 셀룰러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데이터 액세스 요소(들)가 GSM 네트워크의 일부인 경우, 네트워크 데이터 액세스 요소(들)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 BSC(Base Station Controller), MSC(Mobile Switching Center),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30)는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의 제어 센터이며 각종 인터페이스 및/또는 회로를 경유하여 각 부분에 접속되며, 메모리(140)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와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메모리(140)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는 것을 통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의 각종 기능 실행 및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전술한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지오펜스 알고리즘)을 코드화한 결과를 지칭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30)는 지도맵의 출발지 및 목적지 사이에 형성된 허용 가능한 소정의 허용 반경을 갖는 지오펜스 영역을 설정하거나 이를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지도맵의 출발지 및 목적지에 기초하여 자동 탐색된 경로 정보를 네비게이션 서버로 전송하여 지도맵 및/또는 지도맵의 지오펜스 영역이 동기화되도록 하며, 동기화 이후, 소정의 허용 반경으로부터 차량이 이탈할 경우, 알람을 발생시켜 네비게이션 서버로 전송한다.
여기서, 설정되거나, 수신된 지오펜스 영역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맵(101)의 출발지(102)와 목적지(103)의 주변에 형성된 제1 허용 반경(104)을 포함하고, 지도맵(101)의 출발지(102) 및 목적지(103) 사이의 차량 이동 경로(105)의 주변에 형성된 제2 허용 반경(1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허용 반경 및 제2 허용 반경은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지오펜스 영역인 차량의 진입 방지 영역과 이탈 방지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서는 특정 지점 근방으로 한정될 때 모니터링할 수 없는 경로를 지오펜스 영역(예: 허용 반경)으로 알고리즘화 하고,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서버간 동기화시킴으로써, 장거리/장시간의 등하교와 출퇴근하는 대상 지역에서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프로세서(130)는 제1 허용 반경(104)의 주변에 형성된 제1 이탈 허용 장소(107, 예 : 주유소, 휴게소, 도서관 등), 및/또는 제2 허용 반경(106)의 주변에 형성된 제2 이탈 허용 장소(108, 예 : 주유소, 휴게소, 도서관 등)를 지오펜스 영역으로 더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지오펜스 영역들도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네비게이션 서버간 동기화가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이런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1 이탈 허용 장소(107) 및/또는 제2 이탈 허용 장소(108)에 차량이 접근하더라도 알람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지도맵의 지오펜스 영역 설정을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경로 탐색 과정에 필요한 출발지, 목적지 및 차량의 위치 정보 등을 지도맵에 맵핑하거나 지오펜스 영역을 자체적으로 설정하는 경우,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수신된 지도맵에 지오펜스 영역 및 차량의 위치 정보 등을 맵핑하는 일련의 과정을 더 처리함은 물론이다.
전술한 처리들을 위하여, 프로세서(130)는 선택적으로 1 개 또는 복수 개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오펜스 알고리즘(서비스)를 처리하는 동작 프로세서와 모뎀 프로세서를 집적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하기의 메모리(140)를 내장할 수도 있다.
동작 프로세서는 주로 OS,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지오펜스 서비스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130)에 집적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140)는 전술한 프로세서(130)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저장하거나, 및/또는 각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 예컨대 지도맵 데이터, 차량의 위치 데이터, 출발지, 목적지 데이터 등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조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 (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부(150)는 지오펜스 서비스(알고리즘)와 관련한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나 사용자에게 제공된 정보, 및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의 각 종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도형, 텍스트, 아이콘, 비디오 및 그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50)는 표시 패널(151)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151)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및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터치 패널(111)과 표시 패널(151)은 2 개의 독립적인 부품으로서 출력 및 입력 기능이 실현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하나로 구성하여 입력 및 출력 기능을 실현시킬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출력부(160)는 프로세서(140)에 의해 처리된 결과, 예컨대 발생된 알람을 음성 형태로 처리하고, 이를 출력시키기 위하여 오디오 회로(161) 및 스피커(16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출력부(160)는 생성된 알람을 문자 형태로 만들어 출력시킬 수도 있다.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다른 예>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버의 일례를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5는 도 8을 설명할 때 보조적으로 참조하기로 한다.
도 8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서버(200)는 지오펜스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지오펜스 영역 설정부(210), 경로 정보 수신부(220), 지오펜스 동기화부(230), 알람 수신부(240) 및 데이터베이스(25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지오펜스 영역 설정부(210)는 지도맵의 출발지 및 목적지 사이에 형성된 허용 가능한 소정의 허용 반경을 갖는 지오펜스 영역을 설정한다. 이러한 지오펜스 영역의 설정은 네비게이션 서버(200)에 연결된 단말기, 예컨대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정보가 입력됨으로써 수시로 변경되어 네비게이션 서버(200)에서 설정될 수 있다.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도맵(101)의 출발지(102)와 목적지(103)의 주변에 형성된 제1 허용 반경(104)을 포함하고, 지도맵(101)의 출발지(102) 및 목적지(103) 사이의 차량 이동 경로(105)의 주변에 형성된 제2 허용 반경(10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허용 반경(104) 및 제2 허용 반경(106)은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 지오펜스 영역인 차량의 진입 방지 영역과 이탈 방지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지오펜스 영역 설정부(210)는 도 5에서와 같이 제1 허용 반경(104)의 주변에 형성된 제1 이탈 허용 장소(107), 및/또는 제2 허용 반경(106)의 주변에 형성된 제2 이탈 허용 장소(108)를 지오펜스 영역으로 더 설정할 수 있다.
제1 이탈 허용 장소(107) 및/또는 제2 이탈 허용 장소(108)는 주유소, 휴게소, 도서관 등과 같이 안전한 장소를 의미할 수 있다.
경로 정보 수신부(220)는 지도맵과 함께, 지도맵에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전송하고, 전송에 대응하여 지도맵의 출발지 및 목적지에 기초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자동 탐색된 경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 적용된 무선 네트워크는 셀룰러 네트워크, 예컨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Rates for GSM Evolution),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분할(Time Division)-CDMA(TD-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다른 셀룰러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데이터 액세스 요소(들)가 GSM 네트워크의 일부인 경우, 네트워크 데이터 액세스 요소(들)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 BSC(Base Station Controller), MSC(Mobile Switching Center),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경로 정보는 지도맵에서 이동중인 차량의 위치 정보, 지도맵에 맵핑된 출발지, 목적지, 지오펜스 영역 정보(예: 허용 반경, 허용 장소 등)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지오펜스 동기화부(230)는 네비게이션 단말기로부터 동기화 요청이 오면, 네비게이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지도맵 및 지오펜스 영역, 허용 영역 등을 동기화시켜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실시간으로 경로 진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서는 특정 지점 근방으로 한정될 때 모니터링할 수 없는 경로를 지오펜스 영역(예: 허용 반경)으로 알고리즘화 하고,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서버간 동기화시킴으로써, 장거리/장시간의 등하교와 출퇴근하는 대상 지역에서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알람 수신부(240)는 동기화 이후, 소정의 허용 반경으로부터 차량이 이탈할 경우,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발생된 알람을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알람 수신부(240)는 지도맵(101)에 맵핑된 소정의 허용 반경, 예컨대 제1 허용 반경(104) 또는/및 제2 허용 반경(106)으로부터 차량의 이탈 여부를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확인할 경우, 차량이 이탈되어 발생된 알람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네비게이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수신된 알람은 사용자, 예컨대 보호자 등이 소유한 이동 단말기로 전송됨으로써, 보호자는 알람을 즉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차량의 이탈 여부가 확인되지 않으면, 알람 수신부(240)는 이탈 여부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더욱이, 알람 수신부(240)는 지오펜스 영역을 더 설정된 제1 이탈 허용 장소(107) 및/또는 제2 이탈 허용 장소(108)에 차량이 접근하면, 전술한 알람을 네비게이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알람의 예외로 인정하여 설정하였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데이터베이스(250)는 지오펜스 영역 설정부(210), 경로 정보 수신부(220), 지오펜스 동기화부(230) 및 알람 수신부(240) 등에서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각 처리에 필요한 설정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25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 기반한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데이터베이스도 포함하여 지칭하며, 단순한 로그의 집합이라도 이를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 말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범주안에 포함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 네비게이션 단말기 101 : 지도맵
102 : 출발지 103 : 목적지
104 : 제1 허용 반경 105 : 차량의 위치 정보
106 : 제2 허용 반경 107 : 제1 이탈 허용 장소
108 : 제2 이탈 허용 장소 110 : 입력부
120 : 무선 통신부 130 : 프로세서
140 : 메모리 150 : 표시부
160 : 출력부 200 : 네비게이션 서버
210 : 지오펜스 영역 설정부 220 : 경로 정보 수신부
230 : 지오펜스 동기화부 240 : 알람 수신부
25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6)

  1. 지도맵의 출발지 및 목적지 사이에 형성된 허용 가능한 소정의 허용 반경을 갖는 지오펜스 영역을 네비게이션 단말기 또는 네비게이션 서버에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지도맵의 출발지 및 목적지에 기초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자동 탐색된 경로 정보를 네비게이션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지오펜스 영역을 동기화하는 단계; 및
    상기 동기화 이후, 상기 소정의 허용 반경으로부터 차량이 이탈할 경우,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알람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상기 알람을 네비게이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허용 반경은,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의 주변에 형성된 제1 허용 반경을 포함하는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오펜스 영역이, 네비게이션 서버에서 설정될 경우,
    상기 지오펜스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네비게이션 서버에서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을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오펜스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허용 반경의 주변에 형성된 제1 이탈 허용 장소를 상기 지오펜스 영역으로 더 설정하는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이탈 허용 장소에 상기 차량이 접근하더라도 상기 알람을 발생시키지 않는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 반경은,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 사이의 차량 이동 경로의 주변에 형성된 제2 허용 반경을 포함하는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오펜스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허용 반경의 주변에 형성된 제2 이탈 허용 장소를 상기 지오펜스 영역으로 더 설정하는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을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2 이탈 허용 장소에 상기 차량이 접근하더라도 상기 알람을 발생시키지 않는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
  9.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지도맵의 출발지 및 목적지 사이에 형성된 허용 가능한 소정의 허용 반경을 갖는 지오펜스 영역을 설정하거나 네비게이션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지도맵의 출발지 및 목적지에 기초하여 자동 탐색된 경로 정보를 네비게이션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지오펜스 영역이 동기화되도록 하며,
    상기 동기화 이후, 상기 소정의 허용 반경으로부터 차량이 이탈할 경우, 알람을 발생시켜 네비게이션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허용 반경은,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의 주변에 형성된 제1 허용 반경을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 반경은,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의 주변에 형성된 상기 제1 허용 반경과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 사이의 차량 이동 경로의 주변에 형성된 제2 허용 반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허용 반경의 주변에 형성된 제1 이탈 허용 장소, 또는 상기 제2 허용 반경의 주변에 형성된 제2 이탈 허용 장소를 상기 지오펜스 영역으로 더 설정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이탈 허용 장소 또는 상기 제2 이탈 허용 장소에 상기 차량이 접근하더라도 상기 알람을 발생시키지 않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13. 지도맵의 출발지 및 목적지 사이에 형성된 허용 가능한 소정의 허용 반경을 갖는 지오펜스 영역을 설정하는 지오펜스 영역 설정부;
    설정된 지오펜스 영역을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에 대응하여 상기 지도맵의 출발지 및 목적지에 기초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자동 탐색된 경로 정보를 수신하는 경로 정보 수신부;
    상기 경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오펜스 영역을 동기화하는 지오펜스 동기화부; 및
    상기 동기화 이후, 상기 소정의 허용 반경으로부터 차량이 이탈할 경우,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발생된 알람을 수신하는 알람 수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허용 반경은,
    상기 출발지와 목적지의 주변에 형성된 제1 허용 반경과 상기 출발지 및 목적지 사이의 차량 이동 경로의 주변에 형성된 제2 허용 반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서버.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오펜스 영역 설정부는,
    상기 제1 허용 반경의 주변에 형성된 제1 이탈 허용 장소, 또는 상기 제2 허용 반경의 주변에 형성된 제2 이탈 허용 장소를 상기 지오펜스 영역으로 더 설정하는 네비게이션 서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수신부는,
    상기 제1 이탈 허용 장소 또는 상기 제2 이탈 허용 장소에 상기 차량이 접근하면, 상기 알람을 수신하지 않는 네비게이션 서버.
KR1020150132181A 2015-09-18 2015-09-18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237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181A KR102237225B1 (ko) 2015-09-18 2015-09-18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2181A KR102237225B1 (ko) 2015-09-18 2015-09-18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026A KR20170034026A (ko) 2017-03-28
KR102237225B1 true KR102237225B1 (ko) 2021-04-07

Family

ID=58495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181A KR102237225B1 (ko) 2015-09-18 2015-09-18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2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51390B2 (ja) * 2017-11-22 2022-04-11 古野電気株式会社 航路設定装置、自動操縦装置及び航路設定方法
CN113115211A (zh) * 2021-04-23 2021-07-13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多层围栏构建方法、云服务器及第一终端设备
CN113532460A (zh) * 2021-07-05 2021-10-22 上海星融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车辆远程定位电子围栏的偏航处理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595B1 (ko) * 2009-04-29 201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389014B1 (ko) * 2012-05-25 2014-04-28 (주)유비퍼스트대원 차고지 또는 경유지 영역 이탈을 실시간으로 경보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4026A (ko) 201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436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о дорожном движении
KR101780283B1 (ko) 지오펜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KR101786737B1 (ko) 사용자 동선 기반 지도데이터 부분 업데이트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548078B1 (ko) 분실된 차량을 찾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911311B1 (en) Tracking device location and management
WO2017181905A1 (zh) 路况预警方法、设备、服务器、控制设备及操作系统
US11089438B2 (en) Locating tracking device by user-guided trilateration
US9338747B1 (en) Wireless coverage assist
KR20150103070A (ko) 모바일 장치를 위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KR101820288B1 (ko) 지오펜스 설정 방법, 텔레매틱스 단말기 및 그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JP2017167982A (ja) 情報処理装置、車載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GB2528169A (en) Vehicle generated social network updates
KR102237225B1 (ko)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11885500B (zh) 基于窄带物联网的路况提醒方法、装置及存储介质
EP3449619A1 (en) Mobile device in-motion proximity guidance system
CN105526944A (zh) 驾驶过程中的信息提示方法及装置
US10015839B1 (en) Tracking device distress mode configuration
KR101867548B1 (ko) 무선 신호 특성들에 기초한 이동 기기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컨텍스트를 검색하는 방법
JP2007127447A (ja) 経路案内装置、情報センタ、経路案内システム、及び経路案内方法
US20150099547A1 (en) Geo-based detection of border violation
KR101181737B1 (ko) 내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854071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CN109682384B (zh) 导航方法和导航设备
KR101704570B1 (ko)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9980093B1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