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910B1 - 부동액 주입용 건 - Google Patents

부동액 주입용 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910B1
KR102234910B1 KR1020190062637A KR20190062637A KR102234910B1 KR 102234910 B1 KR102234910 B1 KR 102234910B1 KR 1020190062637 A KR1020190062637 A KR 1020190062637A KR 20190062637 A KR20190062637 A KR 20190062637A KR 102234910 B1 KR102234910 B1 KR 102234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freeze
injection
gun
injection pip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6716A (ko
Inventor
김윤관
Original Assignee
김윤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관 filed Critical 김윤관
Priority to KR1020190062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910B1/ko
Publication of KR20200136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 B67D7/44Filling nozzles automatically 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 B67D7/54Filling nozzles with means for preventing escape of liquid or vapour or for recovering escaped liquid or vapo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P1/00 - F01P9/00
    • F01P11/02Liquid-coolant filling, overflow, venting, or draining devices
    • F01P11/0204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 B67D7/54Filling nozzles with means for preventing escape of liquid or vapour or for recovering escaped liquid or vapour
    • B67D2007/545Additional means for preventing dispensing of liquid by incorrect sealing engagement with the tank opening of the vapour recovering means, e.g. bellows, shrou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부동액 주입용 건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종류, 부동액 탱크의 종류 및 부동액 탱크의 만수위 위치가 다르더라도 그에 맞게 주입관의 스크로크를 가변시켜 부동액 탱크의 만수위에 맞게 부동액 주입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불필요하게 많은 부동액 주입용 건이 필요없어 설치 및 유지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조작의 용이성을 통하여 부동액 주입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으로서;
부동액주입라인과 에어라인을 가지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어퍼바디에 로어바디를 결합하여 형성하는 건바디와; 상기 건바디의 중앙에 부동액을 부동액 탱크로 주입하기 위한 주입팁을 선단에 가지고 설치하는 주입관과; 상기 주입관의 하단 외측과 로어바디 사이에 부동액 탱크에 구비되는 주입포터와 연접되어 기밀을 유지하여 소정의 스크로크로 움직이는 기밀유지구와; 상기 로어바디 외측 주입관의 하단부 외측에 주입포터에 진입하여 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주입포터와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는 단속핑거를 가지고 장착되는 클램퍼로 구성되는 부동액 주입용 건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을 부동액 탱크의 종류와 만수위 위치에 대응하여 스크로크를 가변시켜 부동액을 주입할 수 있도록 주입관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부동액 주입용 건{INJECTING GUN FOR LIQUID}
본 발명은 부동액 주입용 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동액 탱크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최고수위 위치에 관계없이 부동액을 부동액 탱크의 최고수위에 맞게 부동액을 주입할 수 있도록 개선한 부동액 주입용 건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생산라인에서 엔진룸에 엔진과 라디에이터 등과 같은 연관부품의 장착이 완료된 후에는 라디에이터의 내부에 부동액을 주입하여 충진하게 되는 데, 라디에이터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주입용 건을 라디에이터에 구비되는 주입포터와 결합시킨 후 부동액이 공급하면 부동액이 진공과 펌핑작동에 의하여 라디에이터 내부로 채워지게 되도록 하고 있다.
물론, 부동액 탱크에 부동액을 주입하는 용도 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액체를 액체저장용 탱크에 주입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므로 부동액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부동액 주입용 건의 경우에는 본원 출원인 또한 특허로 출원하여 특허를 득한 바 있으며 이를 특허문헌을 통하여 그 기술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손잡이와 부동액주입구를 가지는 어퍼바디에 로어바디를 결합하여 형성하는 건바디와; 상기 건바디의 중앙에 부동액을 라디에이터로 주입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주입관과; 상기 주입관의 하단 외측에 고정하여 라디에이터의 주입포터 내경부와 연접되는 내측기밀구와; 상기 주입관의 외측에 설치되어 주입포터의 외경부와 연접되는 외측기밀구와; 상기 로어바디의 하단부에 돌출되게 설치하여 주입포터에 형성되는 출입홈으로 진입하여 제 위치를 유지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주입포터와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여 단속하기 위한 클램퍼를 설치하여 부동액 주입용 건을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는, 출입홈으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하단부의 폭은 상단부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하고; 상기 상단부의 양측으로는 주입포터의 상단림과 연접되어 가이드가 필요 이상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출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퍼는, 가이드와 중첩되지 않은 위치에 주입포터의 출입홈 양측으로 형성한 상부단속턱과 걸림되는 한쌍의 어퍼핑거와; 상기 주입포터의 내경부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부단속턱과 걸림되는 한 쌍의 로어핑거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특허 제 10 - 1342788 - 0000 호
없슴.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의 경우에는 주입용 건이 부동액 탱크의 주입포터와 2중으로 단속되면서 정위치를 미세하게 벗어난 상태에서 결합하더라도 단속과정에서 정위치 상태로 전환되어 부동액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주입용 건이 주입포터를 이탈하는 현상을 배제하여 부동액 주입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은 주입용 탱크의 주입포터와 주입용 건의 결합력을 높여주는 것은 가능할 것이나, 차종이나 등에 따라 부동액 탱크의 만수위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하나의 차종에만 적용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발생한다.
자동차의 생산라인이 종래와는 달리 하나의 라인에서 여러 종류의 차종이 생상되고, 차량의 특성, 엔진의 종류에 따라 하나 또는 2개의 부동액탱크를 가지는 차량이 있기 때문에 생산라인에 부동액 탱크의 수, 또는 부동액 탱크의 만수위 차이에 맞게 부동액을 주입하는 위치에 많은 수의 부동액 주인용 건을 비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부동액 주입위치에 많은 수의 부동액 주입용 건을 비치할 경우에는 신호(시각 또는 청각)를 통하여 사용하여야 할 부동액 주입용 건을 알려 주지만 반복적인 작업 과정에서 다른 부동액 주입용 건을 채택하였을 경우에는 부동액 탱크에 부동액을 만수위 위치까지 주입하지 못하거나 또는 오버되도록 주입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여러 종류의 주입용 건이 비치되어 있기 때문에 숙력된 작업자라 하더라도 차종이 변경될 때마다 이를 숙지하여 정상적인 주입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고, 비숙련자의 경우에는 더욱 오작업의 우려가 높아지게 되고, 주입용 건을 신속하게 채택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전체 생산라인에 차질을 가져오게 되는 등 좋지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차량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부동액을 적정한 위치까지 정상적으로 주입하지 못한 상태에서 출고시에는 차량을 운행하는 초기에 엔진 등을 정상적으로 냉각시키지 못하여 이상을 초래시키게 되는 안전사고의 우려가 매우 높은 등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부동액주입라인(101)과 에어라인을 가지는 손잡이(102)를 포함하는 어퍼바디(103)에 로어바디(104)를 결합하여 형성하는 건바디(105)와;
상기 건바디(105)의 중앙에 부동액을 부동액 탱크(106)로 주입하기 위한 주입팁(107)을 선단에 가지고 설치하는 주입관(108)과;
상기 주입관(108)의 하단 외측과 로어바디(104) 사이에 부동액 탱크(106)에 구비되는 주입포터(109)와 연접되어 기밀을 유지하여 소정의 스크로크로 움직이는 기밀유지구(110)와;
상기 로어바디(104) 외측 주입관(108)의 하단부 외측에 주입포터(109)에 진입하여 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111)와, 상기 가이드(111)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주입포터(109)와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는 단속핑거(112)를 가지고 장착되는 클램퍼(113)로 구성되는 부동액 주입용 건(100)에 있어서;
상기 주입관(108)을 부동액 탱크(106)의 종류와 만수위 위치에 대응하여 스크로크를 가변시켜 부동액을 주입할 수 있도록 주입관조절수단(1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입관조절수단(120)은, 어퍼바디(103)의 상부에 기밀을 강구하여 설치하는 조절실린더(121)와;
상기 조절실린더(121)의 내부까지 연장된 주입관(108)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하여 조절실린더(121)의 상,하측으로 움직여 주입관(108)의 스트로크를 조절하는 피스톤(122)과;
상기 주입관(108)의 상단에 주입하고자 하는 부동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단속하는 밀폐팁(123)과;
상기 피스톤(122)에 에어의 누설로 인한 작동방해가 없도록 형성하는 기밀홈(124)에 개재하여 조절실린더(121)의 내벽면과 연접되는 기밀링(125)을 포함하여;
하나의 부동액 주입용 건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종류, 부동액 탱크의 종류 및 부동액 탱크의 만수위 위치가 다르더라도 그에 맞게 주입관의 스크로크를 가변시켜 부동액 탱크의 만수위에 맞게 부동액 주입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불필요하게 많은 부동액 주입용 건이 필요없어 설치 및 유지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조작의 용이성을 통하여 부동액 주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주입관은 일정 스크로크 범위 내에서 가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차종이나 부동액 탱크의 종류에 관계없이 목적하는 수위에 맞게 부동액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하나의 부동액 주입용 건을 이용하여 여러 차종 및 여러 종류의 부동액 탱크에 대응하여 목적하는 수위로 부동액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부동액 주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하나의 부동액 주입용 건을 이용하여 차종과 부동액 탱크에 대응하여 부동액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자동차 생산라인에 많은 수의 부동액 주입용 건의 비치가 필요 없어 전체 생산라인을 간결하게 할 수 있고 선택 미스로 야기될 수 있는 주입불량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하나의 주입용 건을 이용하여 여러 종류의 부동액 탱크의 수위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부동액 주입용 건의 품질 향상으로 대외적인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부동액 주입용 건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부동액 주입용 건을 도시한 파절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부동액 주입용 건을 도시한 단면상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부동액 주입용 건의 중요부를 발췌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부동액 주입용 건의 사용상태도로서 고수위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부동액 주입용 건의 사용상태도로서 저수위 상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부동액 주입용 건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부동액 주입용 건을 도시한 파절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부동액 주입용 건을 도시한 단면상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부동액 주입용 건의 중요부를 발췌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부동액 주입용 건의 사용상태도로서 고수위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부동액 주입용 건의 사용상태도로서 저수위 상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부동액 주입용 건(100)은, 부동액주입라인(101)과 작동을 위한 에어라인을 가지는 손잡이(102)를 가지는 어퍼바디(103)에 로어바디(104)를 결합하여 건바디(105)를 형성하고, 상기 건바디(105)의 중앙에는 부동액을 부동액 탱크(106)로 주입하기 위한 주입팁(107)을 선단에 가지는 주입관(108)을 설치한다.
상기 주입관(108)의 하단 외측과 로어바디(104) 사이에는 부동액 탱크(106)에 구비되는 주입포터(109)와 연접되어 기밀을 유지하여 소정의 스크로크로 움직이는 기밀유지구(110)를 구비한다.
상기 로어바디(104) 외측 주입과(108)의 하단부 외측에는 주입포터(109)에 진입하여 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111)와, 상기 가이드(111)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주입포터(109)와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는 단속핑거(112)를 가지는 클램퍼(113)를 장착하여 구성한다.
상기 로어바디(104)와 주입관(108), 기밀유지구(110) 및 클램퍼(113)의 내경부와 외경부에는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오링과 같은 기밀재(114)를 가지도록 하고, 기밀유지구(110)와 클램퍼(113)는 공압에 의하여 로어바디(104)에 대하여 소정의 스크로크를 가지고 움직이면서 주입포터(109)와 연접 및 이탈함과 아울러 주입포터(109)를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주입관(108)을 부동액 탱크(106)의 종류에 대응하여 소정의 스크로크로 가변시켜 만수위 위치에 맞게 조절한 후 부동액을 부동액 탱크(106)의 종류에 맞게 주입할 수 있도록 주입관조절수단(120)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입관조절수단(120)은, 어퍼바디(103)의 상부에 기밀을 강구하여 조절실린더(121)를 설치하고, 상기 조절실린더(121)의 내부까지 주입관(108)의 상부를 연장하고, 상기 주입관(108)의 상단에는 피스톤(122)을 일체로 형성하여 손잡이(102)를 통하여 공급되는 에어에 의하여 피스톤(122)을 조절실린더(121)의 상,하측으로 이동시켜 주입관(108)의 스트로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피스톤(122)이 형성되는 주입관(108)의 상단에는 주입하고자 하는 부동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폐팁(123)으로 단속하고, 상기 피스톤(122)에는 작동을 위한 에어의 누설로 인한 작동방해가 없도록 요입된 형태의 기밀홈(124)을 형성한 후 조절실린더(121)의 내벽면과 연접되는 기밀링(125)을 개재한다.
상기 어퍼바디(103)의 내부에는 손잡이(102)에 형성되는 부동액주입라인(101)과 연결되는 부동액주입챔버(127)를 형성하는 데, 상기 부동액주입챔버(127)의 길이(L)는 주입관(108)의 스트로크(L1)보다 크게 형성하여 주입관(108)이 상사점(P)에 위치하거나 하사점(P1)에 위치할 경우에도 부동액의 주입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상기 부동액주입챔버(127)에 위치하는 주입관(108)에는 주입하고자 하는 부동액을 부동액주입챔버(127)로부터 공급받아 부동액 탱크(106)로 주입하기 위한 인계홀(130)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인계홀(130)은 주입관(108)의 원주면 양방향에 형성하는 형태, 원주면에 다수개 형성하는 형태, 원주면에 장공으로 형성하는 형태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며, 부동액주입챔버(127)로 유입된 부동액이 로어바디(104) 또는 조절실린더(12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밀을 강구하는 것 또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 주입관(108)의 스트로크는 부동액 탱크(106)의 종류와 크기 및 부동액 탱크(106)의 만수위 위치를 고려하여 조절실린더(121)의 크기를 결정하여 조절할 수 있을 것이며, 손잡이(102)에 별도로 구비되는 스위치를 조작하여 피스톤(122)의 움직임을 상사점(P)과 하사점(P1)만 왕복하도록 하거나, 상사점(P)과 하사점(P1)사이를 다단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부동액 주입용 건(100)을 이용하여 부동액 탱크(106)에 부동액을 주입하는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부동액 주입용 건(100)을 잡고 손잡이(102)에 구비되는 스위치를 조작하여 주입관(108)을 부동액 탱크(106)의 주입포터(109)에 위치하도록 하고, 가이드(111)를 하강시켜 주입포터(109)와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클램퍼(113)를 작동시켜 주입포터(109)와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시켜 부동액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없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입관조절수단(120)을 이용하여 부동액 탱크(106)의 만수위 위치에 맞게 주입관(108)을 하강시켜 주입관(108)의 하단의 주입팁(107)이 만수위 위치와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주입관(108)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 부동액을 주입한다.
부동액이 부동액 탱크(106)에 만충됨을 감지하면, 다시 역으로 부동액을 부동액 탱크(106)로부터 이탈시키고 이 과정에서 주입팁(107) 위치까지 부동액이 배출되므로 부동액 탱크(106)의 만수위 위치까지 정확하게 부동액의 주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주입관조절수단(120)의 정확한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초기에는 어퍼바디(103)의 상부에 장착된 조절실린더(121)까지 연장된 주입관(108)의 상단에 형성되는 피스톤(122)이 조절실린더(121)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공압이 피스톤(122)의 상측에 공급되므로 피스톤(122)을 조절실린더(121)의 아래방향으로 하강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피스톤(122)과 연결된 주입관(108)은 하강할 수 있게 되며 피스톤(122)의 움직이는 거리만큼의 스트로크를 가지게 되고, 최 상측에 위치할 때의 상사점(P)에서 촤 하측에 위치할 때의 하사점(P1) 까지 주입팁(107)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게 되므로 이 거리만큼의 부동액 탱크(106)의 만수위 위치만큼 대응하여 부동액을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피스톤(122)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주입관(108)이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부동액이 주입될 수 있는 것은, 어퍼바디(103)에 기밀을 유지하여 부동액주입챔버(127)를 형성하고, 이 부동액주입챔버(127) 위치에 있는 주입관(108)에 부동액을 공급받을 수 있는 인계홀(130)을 형성함으로서 가능하게 된다.
특히, 인계홀(130)이 피스톤(122)의 움직임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더라도 이 움직임 보다 부동액주입챔버(127)의 길이가 더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동액을 공급받는 데 지장이 없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하나의 부동액 주입용 건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종류, 부동액 탱크의 종류 및 부동액 탱크의 만수위 위치가 다르더라도 그에 맞게 주입관의 스크로크를 가변시켜 부동액 탱크의 만수위에 맞게 부동액 주입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불필요하게 많은 부동액 주입용 건이 필요없어 설치 및 유지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조작의 용이성을 통하여 부동액 주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부동액 주입용 건 101; 부동액주입라인
103; 로어바디 104; 어퍼바디
106; 부동액 탱크 107; 주입팁
108; 주입관 110; 기밀유지구
111; 가이드 113; 클램퍼
120; 주입관조절수단 121; 조절실린더
122; 피스톤 125; 기밀링
127; 부동액주입챔버 130; 인계홀

Claims (3)

  1. 부동액주입라인(101)과 에어라인을 가지는 손잡이(102)를 포함하는 어퍼바디(103)에 로어바디(104)를 결합하여 형성하는 건바디(105)와;
    상기 건바디(105)의 중앙에 부동액을 부동액 탱크(106)로 주입하기 위한 주입팁(107)을 선단에 가지고 설치하는 주입관(108)과;
    상기 주입관(108)의 하단 외측과 로어바디(104) 사이에 부동액 탱크(106)에 구비되는 주입포터(109)와 연접되어 기밀을 유지하여 소정의 스크로크로 움직이는 기밀유지구(110)와;
    상기 로어바디(104) 외측 주입관(108)의 하단부 외측에 주입포터(109)에 진입하여 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111)와, 상기 가이드(111)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주입포터(109)와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하는 단속핑거(112)를 가지고 장착되는 클램퍼(113)와;
    상기 주입관(108)을 부동액 탱크(106)의 종류와 만수위 위치에 대응하여 스크로크를 가변시켜 부동액을 주입할 수 있도록 주입관조절수단(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부동액 주입용 건(100)에 있어서;
    상기 어퍼바디(103)의 내부에 손잡이(102)에 형성되는 부동액주입라인(101)과 연결되게 형성하는 부동액주입챔버(127)를 포함하고;
    상기 부동액주입챔버(127)의 길이(L)는 주입관(108)의 스트로크(L1)보다 크게 형성하여 주입관(108)이 상사점(P)에 위치하거나 하사점(P1)에 위치할 경우에도 부동액의 주입에 지장이 없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액 주입용 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동액주입챔버(127)에 위치하는 주입관(108)에는 주입하고자 하는 부동액을 부동액주입챔버(127)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도록 형성하는 인계홀(1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액 주입용 건.
KR1020190062637A 2019-05-28 2019-05-28 부동액 주입용 건 KR102234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637A KR102234910B1 (ko) 2019-05-28 2019-05-28 부동액 주입용 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637A KR102234910B1 (ko) 2019-05-28 2019-05-28 부동액 주입용 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716A KR20200136716A (ko) 2020-12-08
KR102234910B1 true KR102234910B1 (ko) 2021-04-01

Family

ID=73779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637A KR102234910B1 (ko) 2019-05-28 2019-05-28 부동액 주입용 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9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628B1 (ko) * 2023-05-02 2023-10-26 인수기계주식회사 자동차 부동액 리저브 탱크에 적용되는 주입용 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788B1 (ko) * 2012-11-02 2013-12-19 김윤관 부동액 주입용 건
JP6043039B1 (ja) * 2015-02-09 2016-12-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9299U (ko) * 1981-03-16 1982-09-18
JPH0643039Y2 (ja) * 1989-03-15 1994-1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液体注入ガン
KR20090114215A (ko) * 2008-04-29 2009-1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연료주입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788B1 (ko) * 2012-11-02 2013-12-19 김윤관 부동액 주입용 건
JP6043039B1 (ja) * 2015-02-09 2016-12-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716A (ko)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278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assembly of precision components
US8307840B2 (en) Valve device
CA2559019A1 (en) Pressure control device
RU2014147691A (ru) Контейнер с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ым клапаном
KR102234910B1 (ko) 부동액 주입용 건
CN106115585B (zh) 一种用于灌装阀的液位修正装置
EP2676766B1 (en) Positioning device
US20170138316A1 (en) Valve device
EP3599121B1 (en) Valve device for fuel tank
CN209309334U (zh) 流量控制阀
US7357279B2 (en) Portable fuel tank
CA2620233C (en) Flow control valve
JP5781826B2 (ja) タイヤ修理用修理液ボトル用アダプター
JP4750363B2 (ja) 光学レンズを得る方法並びにその実施のためのシール及び装置
CN205649376U (zh) 用于豆浆机的水箱、单向阀以及豆浆机
KR102201130B1 (ko) 실러 펌프 조립체 및 그 제어 방법
CN112649156A (zh) 集成控制阀气密检测装置和检测方法
JP2008232367A (ja) ダイヤフラム型アキュムレータ
CN106895258B (zh) 一种密封性强的二氧化碳气瓶充装接头
KR20190092634A (ko) 압축 공기를 이용한 드럼통용 펌프
US9366359B2 (en) Float apparatus
JPH10152198A (ja) 液体充填バルブ
CN216784978U (zh) 吸附头装置
CN204083216U (zh) 一种水泵压力控制器控制面板的密封结构
CN213932992U (zh) 集成控制阀气密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