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386B1 - 감속클러치의 클러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감속클러치의 클러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386B1
KR102232386B1 KR1020177002436A KR20177002436A KR102232386B1 KR 102232386 B1 KR102232386 B1 KR 102232386B1 KR 1020177002436 A KR1020177002436 A KR 1020177002436A KR 20177002436 A KR20177002436 A KR 20177002436A KR 102232386 B1 KR102232386 B1 KR 102232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fork
clutch
fork bar
support
axle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6527A (ko
Inventor
페이쉬 뤼
강진 장
윤 티안
Original Assignee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26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1/00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 F16D11/14Clutches in which the members have interengaging parts with clutching members movable only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8/00Electrically-actuated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16D2023/123Clutch actuation by cams, ramps or ball-screw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12Mechanical clutch-actuating mechanisms arranged outside the clutch as such
    • F16D23/14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Actuating members directly connected to 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 F16D2023/141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Actuating members directly connected to clutch-actuating sleeves or bearings characterised by using a fork; Details of f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감속클러치의 클러치 구동장치로서 구동모터(1), 구동륜(2), 시프트 포크막대(3), 클러치 액슬 슬리브(14)를 포함한다. 구동륜(2)은 직접 구동모터(1) 축에 설치되어 있고 구동륜(2)축선과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의 축선은 서로 평행하며 구동륜(2)에는 축의 방향에 높이차이가 있는 지지단면이 설치되어 있다. 시프트 포크막대(3)의 윗부분은 클러치 액슬 슬리브(14)를 위아래로 움직이게 하는 시프트 포크(6)이며 아랫부분은 지지단면 위의 구동말단(7)이다. 구동모터(1)는 구동륜(2)의 회전을 이끌어 시프트 포크막대(3)의 아랫부분이 지지단면에서의 상대적인 슬라이딩으로 인해 아랫부분의 높이를 변화시키며 시프트 포크막대(3)의 윗부분을 이끌어 시프트 포크(6)의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써 클러치 액슬 슬리브(14)를 위아래로 움직이게 한다. 또는 구동륜(2)의 원주방향에 축에 따라 높낮이 차이가 있는 지지활주로를 설치하거나 또는 해당 구동륜(2)이 볼록륜 구조로서 볼록륜 원주가 점차적으로 변화하거나 또는 해당 구동륜(2)이 축과 수직되는 단면의 편심위치에 지지막대(27)를 설치한다. 이 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안전성이 높으며 작동과정이 간편하고 구조가 밀집되어 있음으로 차지하는 공간이 작고 실행 가능성이 높으며 고장발생율이 낮다.

Description

감속클러치의 클러치 구동장치{CLUTCH DRIVING DEVICE FOR DECELERATING CLUTCH}
본 발명은 세탁기분야에 속한 것으로 특히 일종 감속클러치의 클러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기술에 의한 시장의 세탁기는 감속클러치와 단상모터(single-phase asynchronous motor)를 나란히 설치하고 제동륜과 제동띠에 의해 동력을 전달한다. 해당 감속클러치는 효율이 낮고 소음이 크며 실용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동력전달부품의 고장발생율 또한 높은 편이다. 하여 해당 기술자는 모터와 클러치를 동축으로 설치하는 기술방법을 제안하였다. 특허번호가 ZL00234747.4인 특허는 Brushless DC Motor로 직접 구동하는 세탁기의 감속클러치를 공개하였는바 해당 특허는 Brushless DC Motor를 사용하여 세탁기 클러치를 직접 구동함으로써 단상모터의 효율이 낮은 문제를 해결하였으나 이런 구조의 모터는 연결이 복잡하기에 일반적인 세탁방식만 실현할 뿐 주요부품의 연결부품이 많고 클러치 설치에 대한 요구가 높으며 고장발생율이 높은 단점들을 갖고 있다. 하기에 해당 특어의 기술방법은 양산하는데 적합하지 못하다.
특허번호가 CN201120257375. 8인 중국특허는 일종의 손빨래식 변속감속클러치를 공개하였는바 그중에는 그에 알맞는 케이스와 입력축이 포함되어 있다. 하단케이스에는Brushless DC Motor의 고정자가 설치되어 있고 입력축의 끝부부애는Brushless DC Motor 의 외부 회전자가 연결되어 있으며 Brushless DC Motor 고정자는 외전자의 내부강실에 위치하고 있다. 입력축은 그에 알맞게 구성된 입력 액슬 슬리브, 클러치 축, 클러치 슬라이딩 블록과 리턴 스프링을 포함한 슬라이딩 유닛이 있으며 액슬 슬리브는 입력축 위에 씌워져 있고 클러치 축은 액슬 슬리브의 윗부분에 회전가능하게끔 입력축에 씌워져 있다. 액슬 슬리부와 클러치 축의 외부원주에는 스플라인이 설치되어 있으며 클러치 슬라이딩 블록의 내부 스플라인과 액슬 슬리브, 클러치 축의 외부 스플라인은 서로 맞물려 연결되어 있다. 리턴 스프링은 슬라이딩 블록 외부원주의 고리형 돌출대 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클러치 슬라이딩 블록은 클러치 제어유닛이 연결되어 있다. 하지만 클러치 제어유닛은 복잡하고 제어가 번거롭다.
기존의 클러치 액슬 슬리브 또는 슬라이딩 블록은 시프트 포크와 클러치 스프링이 맞물려 위아래로 이동하는바 시프트 포크는 회전핀에 의해 감속클러치의 하단케이스에 직접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클러치 액슬 슬리브에 대한 제어를 실현한다. 기존 기술은 대부분 견인모터를 사용하여 사슬로 시프트 포크의 한쪽을 견인하고 다른 한 쪽은 클러치 액슬 슬리브 또는 클러치 슬라이딩 블록을 위아래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견인모터는 대부분 외부실린더 바닥에 설치하나 위에서 서술한 클러치 액슬 슬리브를 위아래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은 정확도가 떨어지고 고장발생율이 높으며 차지하는 공간이 크고 부품의 밀집도가 낮다.
위에서 서술한 내용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제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종 감속클러치의 클러치 구동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기술방법들을 응용한다. 일종 감속클러치의 클러치 구동장치로서 구동모터, 구동륜, 시프트 포크막대, 클러치 액슬 슬리브를 포함한다. 구동륜은 직접 구동모터 축에 설치되어 있고 구동륜 축선과 클러치 액슬 슬리브의 축선은 서로 평행되며 구동륜에는 축의 방향에 높이차이가 있는 지지단면이 설치되어 있다. 시프트 포크막대의 윗부분은 클러치 액슬 슬리브를 위아래로 움직이게 하는 시프트 포크이며 아랫부분은 지지단면 위의 구동말단이다. 구동모터는 구동륜의 회전을 이끌어 시프트 포크막대의 아랫부분이 지지단면에서 상대적인 슬라이딩으로 인해 아랫부분의 높이를 변화시키며 시프트 포크막대의 윗부분을 이끌어 시프트 포크의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써 클러치 액슬 슬리브를 위아래로 움직이게 한다.
해당 구동륜은 한 원기둥 본체를 포함하며 해당 구동륜의 원주 또는 단면은 축의 방향을 따라 높낮이가 다른 지지단면이 설치되어 있다. 최적화 한 것은 원기둥 본체가 일부 원주면의 지름방향으로부터 밖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원호모양의 돌출부를 적어도 하나 갖춘 것이다. 돌출부의 축의 방향의 한 표면은 지지단면이며 최적화한 것은 해당 지지단면이 원주방향을 따라 차례로 연결된 1번전환단면, 최고지지단면 그리고 1번전환단면과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진 2번전환단면인 것이다.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 아랫부분의 구동말단의 꼭대기 또는 바닥은 구동륜의 지지단면과 접촉되어 있으며 해당 접촉면은 평면 또는 지지단면에 대응하는 곡선면이다. 최적화 한 것은 해당 접촉면이 지지단면과 대응하는 곡선면인 것이며 더욱 최적화 한 것은 접촉면이 원주방향에서 차례로 연결된 기울어진 3번전환단면, 최고접촉단면, 3번전환단면과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진 4번전환단면을 포함하는 것이다. 나아가서 더 최적화한 것은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의 아랫부분이 구동말단의 단면이 구동륜의 원기둥 본체에 대응하는 원호형 홈이다.
해당 구동륜의 돌출부의 축방향의 윗표면은 지지단면이고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의 아랫부분의 아랫표면은 지지단면과 접촉되고 있는 접촉면이다. 해당 지지단면은 위로 기울어진 1번전환단면, 최고지지단면 그리고 아래로 기울어진 2번전환다면을 포함한다. 해당 접촉면은 아래로 기울어진 3번전환단면, 최고접촉면 그리고 위로 기울어진 4번전환단면을 포함한다.
해당 구동륜의 돌출부의 축방향의 아랫표면은 지지단면이고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의 아랫부분의 윗표면은 지지단면과 접촉되고 있는 접촉면이다. 해당 지지단면은 아래로 기울어진 1번전환단면, 최고지지단면 그리고 아래로 기울어진 2번전환다면을 포함한다. 해당 접촉면은 위로 기울어진 3번전환단면, 최고접촉면 그리고 아래로 기울어진 4번전환단면을 포함한다.
해당 구동륜의 최고지지단면과 시프트 포크의 최고접촉단면이 접촉할 때 단면접촉일수 있으며 원호형 접촉일수도 있다.
해당 구동륜의 끝부분의 일부 원주면은 지름방향으로부터 밖으로 연장하여 돌출부를 형성하고 해당 끝부분의 기타 원주면은 원기둥 본체의 원주면이다.
해당 구동륜의 끝부분의 전체 원주면은 지름방향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하여 돌출부를 형성하고 해당 돌출부는 최고지지단면과 최저지지단면을 포함하며 해당 최고지지단면과 최저지지단면은 원주방향에서 180°사이두고 있다. 최고지지단면과 최저지지단면은 기울어진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는 지레대 구조이며 가운데에는 고정지점이 설치되어 있다. 최적화 한 것은 가운데 고정거치대를 설치하여 회전대우를 구성하는 것이다. 해당 고정거치대는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에 고정되어 있거나 해당 고정거치대가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의 가운데 1번설치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해당 고정거치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2번설치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설치구멍은 회전핀과 경첩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시프트 포크막대의 고정지점을 형성한다. 해당 회전핀에는 시프트 포크막대를 원위치로 복위시키는 작용력을 제공하는 비틀림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으며 최적화 한 것은 해당 고정지점이 시프트 포크막대 가운데에서 꼬리부분에 가까운 한쪽에 위치하는 것이다.
일종 감속클러치의 클러치 구동장치로서 구동모터, 구동륜, 시프트 포크막대를 포함하며 그 특징은 아래와 같다. 해당 구동륜은 직접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되어 있고 구동륜 축선과 클러치 액슬 슬리브의 축선은 서로 평행되며 구동륜의 원주에는 축의 방향을 따라 높낮이가 다른 지지활주로가 설치되어 있다. 시프트 포크막대의 윗부분은 클러치 액슬 슬리브를 위아래로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시프트 포크이며 시프트 포크막대의 아랫부분은 지지활주로 내부에 지탱하고 있는 구동말단이다. 구동모터는 구동륜의 회전을 이끌어 시프트 포크막대의 아랫부분이 지지활주로 내에서의 상대적인 슬라이딩을 통하여 그 높이를 변화시키며 시프트 포크막대의 윗부분의 시프트 포크의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써 클러치 액슬 슬리브를 위아래로 움직이게 한다.
해당 구동륜은 하나의 원기둥 본체를 포함하며 원기둥 본체의 원주면은 지름방향에서 축으로 점차 꺼져들어가며 높이가 변화된 한바퀴의 오목홈을 형성한다. 해당 오목홈은 지지활주로이며 해당 지지활주로는 축의 방향을 따라 높이가 변화되며 매끄럽게 이어져 있다.
해당 지지활주로는 원주방향을 따라 차례로 연결된 최저지지단면, 기울어진 1번전환단면, 최고지지단면 그리고 1번전환단면과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진 2번전환단면을 포함하며 각 연결부분은 매끄럽게 이어져 있다.
해당 최고지지단면과 최저지지단면은 원주방향에서 180°사이두고 있다.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 아랫부분의 구동말단의 지지활주로 내부까지 닿아있으며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 아랫부분은 적어도 최저지지단면과 접촉하는 1번면, 최고지지단면과 접촉하는 2번면을 포함한다. 그리고 해당 최저지지단면은 1번면과 접촉하고 해당 최고지지단면은 2번면과 서로 접촉한다.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 아랫부분의 구동말단에는 하나의 구름 베어링이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구름 베어링은 구동륜의 지지활주로 내부까지 삽입되어 있다.
해당 구동모터 축의 축선과 클러치 액슬 슬리브의 축선은 서로 평행되며 해당 구동모터는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에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해당 구동모터가 감속클러치의 설치판에 설치되어 있다.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는 지레대 구조이며 가운데에는 고정지점이 설치되어 있다. 최적화 한 것은 가운데 고정거치대를 설치하여 회전대우를 구성하는 것이다. 해당 고정거치대는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에 고정되어 있거나 해당 고정거치대가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의 가운데 1번설치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해당 고정거치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2번설치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설치구멍은 회전핀과 경첩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시프트 포크막대의 고정지점을 형성한다. 최적화 한 것은 해당 고정지점이 시프트 포크막대 가운데에서 꼬리부분에 가까운 한쪽에 위치하는 것이다.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의 아랫부분에는 원호형 홈이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원호형 홈은 구동륜의 원기둥 본체와 맞물린다. 원호형 홈의 중간부분은 원호형 홈과 수직을 이루며 바깥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구동륜의 지지활주로 내부까지 삽입되어 지지활주로와 연결되어 있다.
해당 구동륜은 볼록륜구조로서 볼록륜의 원주방향이 점진적으로 변화하며 시프트 포크막대의 윗부분은 클러치 액슬 슬리브를 위아래로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시프트 포크이며 시프트 포크막대의 아랫부분은 볼록륜의 원주단면에 의지하며 슬라이딩 접촉단면이 설치되어 있는 구동말단이다. 구동모터는 구동륜의 회전을 이끌어 시프트 포크막대의 슬라이딩 접촉면이 볼록륜의 다른 반경의 원주와 접촉되게 함으로써 높이를 변화시키며 시프트 포크막대의 윗부분의 시프트 포크의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써 클러치 액슬 슬리브를 위아래로 움직이게 한다.
해당 볼록륜은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직접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구동모터 축의 축선은 클러치 액슬 슬리브의 축선과 수직된다.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의 아랫부분의 윗측면 또는 아랫측면은 볼록륜의 원주면과 접촉되어있고 시프트 포크막대의 아랫부분과 볼록륜 원주면이 접촉하는 측면위에 볼록륜 원주면과 대응하는 위치는 아래로 오목하게 꺼져들어가 홈을 형성한다. 또는 시프트 포크막대의 아랫부분과 볼록륜 원주면이 접촉하는 측면위에 볼록륜 원주면과 대응하는 위치의 양쪽 끝이 위로 튀어나와 하나의 홈을 형성한다.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는 지레대 구조이며 가운데에는 고정지점이 설치되어 있다. 최적화 한 것은 가운데 고정거치대를 설치하여 회전대우를 구성하는 것이다. 해당 고정거치대는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에 고정되어 있거나 해당 고정거치대가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의 가운데 1번설치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해당 고정거치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2번설치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설치구멍은 회전핀과 경첩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시프트 포크막대의 고정지점을 형성한다. 해당 회전핀에는 시프트 포크막대를 원위치로 복위시키는 작용력을 제공하는 비틀림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으며 최적화 한 것은 해당 고정지점이 시프트 포크막대 가운데에서 꼬리부분에 가까운 한쪽에 위치하는 것이다.
해당 볼록륜은 시프트 포크막대 아랫부분 구동말단의 아랫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 아랫부분 구동말단의 아래측면에는 홈이 설치되어 있다. 해당 홈은 볼록륜 원주면 위에 의지해 있으며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에는 시프트 포크막대의 윗부분을 윗쪽으로 복위시키는 작용력을 제공하는 비틀림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해당 볼록륜은 시프트 포크막대 아랫부분 구동말단의 윗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 아랫부분 구동말단의 윗측면에는 홈이 설치되어 있다. 해당 홈은 볼록륜 원주면 위에 의지해 있으며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에는 시프트 포크막대의 윗부분을 아랫쪽으로 복위시키는 작용력을 제공하는 비틀림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해당 볼록륜 원주윤각의 최대반경과 최소반경의 위치는 원주방향에서 180°사이두고 있다.
해당 구동모터는 설치커버 속에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설치커버는 감속클러치 외부케이스 또는설치판에 고정되어 있다. 해당 설치커버는 구동모터를 수용하며는s적 네모모양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치커버의 한쪽은 설치옆벽이고 해당 설치옆벽에는 바깥방향으로 튀어나온 설치변두리가 설치되어 있다. 해당 설치변두리는 볼트에 의해 분해가능하게끔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 또는 설치판에 연결되어 있다.
해당 구동륜의 축선은 클러치 액슬 슬리브의 축선과 수직되며 해당 구동륜과 해당 축선의 수직단면의 편심에는 지지막대가 설치되어 있다. 시프트 포크막대의 윗부분은 클러치 액슬 슬리브를 위아래로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시프트 포크이며 시프트 포크막대의 아랫부분은 지지단면에 의지하는 구동말단이다. 해당 구동모터가 회전하면 지지막대의 클러치 액슬 슬리브 축선의 방향에서 그 높이가 변화됨으로써 시프트 포크막대의 구동말단의 높이가 변화되며 윗부분의 시프트 포크의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써 클러치 액슬 슬리브를 위아래로 움직이게 한다.
해당 구동모터 축의 축선은 해당 클러치 액슬 슬리브의 축선과 수직되며 해당 구동륜은 원기둥 본체를 포함하고 원기둥 본체 한 단면은 구동모터 축에 직접 설치되어 있고 또 다른 단면의 편심에는 지지막대가 설치되어 있다.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 아랫부분의 단면에는 안쪽으로 파여든 직선 슬라이딩 홈이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슬라이딩 홈은 시프트 포크막대의 회전축과 평행되고 해당 지지막대는 시프트 포크막대의 슬라이딩 홈 내부까지 삽입되어 있다.
해당 지지막대의 끝부분에는 구름 베어링이 설치되어 있고 해당 구름 베어링은 시프트 포크막대 아랫부분의 구동말단의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어 있다.
해당 슬라이딩 홈의 길이는 해당 지지막대 편심거리의 2배보다 크며 해당 슬라이딩 홈의 너비는 해당 지지대 또는 구름 베어링의 외부직경의 1. 05~1. 2배이다.
해당 구동모터는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에 고정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해당 구동모터가 감속클러치의 설치판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최적화 한 것은 모터가 감속클러치의 설치판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는 지레대 구조이며 가운데에는 고정지점이 설치되어 있다. 최적화 한 것은 시프트 포크막대 가운데의 고정지점에 고정거치대를 설치하여 회전대우를 구성하는 것이다. 해당 고정거치대는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에 고정되어 있거나 해당 고정거치대가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의 가운데 1번설치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해당 고정거치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2번설치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설치구멍은 회전핀과 경첩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시프트 포크막대의 고정지점을 형성한다. 최적화한 것은 해당 고정지점이 시프트 포크막대 가운데에서 꼬리부분에 가까운 한쪽에 위치하는 것이다.
해당 구동모터는 설치커버 속에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설치커버는 감속클러치 외부케이스 또는 설치판에 고정되어 있다. 해당 설치커버는 구동모터를 수용하는 불규칙적인 네모모양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치커버의 한쪽은 설치옆벽이고 해당 설치옆벽에는 바깥방향으로 튀어나온 설치변두리가 설치되어 있다. 해당 설치변두리는 볼트에 의해 분해가능하게끔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 또는 설치판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기술방법을 사용할 경우 아래와 같은 유익한 효과들을 가져오게된다.
1. 본 발명은 구동륜으로 시프트 포크를 구동하는 방법을 사용하기에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간편하며 안정성이 강하고 실행거리가 짧으며 구조가 밀집되어 있어 차지하는 공간이 적다.
2. 본 발명의 구동륜 지지단면은 시프트 포크와 접촉됨으로써 시프트 포크를 구동하기에 안정성이 강하고 고장발생율이 낮으며 구동할 때 구동륜과 시프트 포크의 단면은 안정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3. 본 발명은 구동륜의 회전만으로 시프트 포크의 움직임을 실현할수 있기에 제어과정이 간단하다.
4. 구동모터를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 위에 또는 감속클러치의 설치판에 고정하되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와 가까운 곳에 설치하는바 부품의 밀집도가 높다. 구동모터는 설치커버의 내부공간에 설치함으로써 구동모터를 외계와 격리시켜 물방울이나 수증기가 구동모터 속에 들어가지 못하게 하는 동시에 구동모터가 부딪혀서 파손되는 확율을 낮춘다.
5. 본 발명은 구동륜의 회전만으로 시프트 포크의 움직임을 실현할수 있기에 제어과정이 간단하며 지지활주로는 시프트 포크막대를 양쪽방향으로 구동할수 있을뿐만 아니라 디자인에 따라 복위 스프링을 취소할수도 있다. 양산하는데 제작과정을 크게 간소화하였고 부품의 수량을 줄였기에 원가 또한 절감되였다.
6. 본 발명은 구동륜의 회전만으로 시프트 포크의 움직임을 실현할수 있기에 제어과정이 간단하고 볼록륜의 구조 또한 간단하고 밀집되어 있으며 설계가 간편하다.
7. 본 발명은 구동륜의 회전만으로 시프트 포크의 움직임을 실현할수 있기에 제어과정이 간단하며 지지막대는 시프트 포크막대를 양쪽방향으로 구동할수 있을뿐만 아니라 디자인에 따라 복위 스프링을 취소할수도 있다. 양산하는데 제작과정을 크게 간소화하였고 부품의 수량을 줄였기에 원가 또한 절감되였다.
아래에 첨부도면을 결부시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행방식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1:본 발명의 감속클러치 조립구조투시도
도면2:본 발명의 감속클러치 조립구조설명도
도면3:본 발명의 감속클러치의 클러치부분 구조설명도
도면4:본 발명의 감속클러치의 클러치부분 분해도
도면5:본 발명의 구동륜 구조설명도
도면6:본 발명의 또 다른 실행사례의 감속클러치의 클러치부분 구조설명도
도면7:본 발명의 또 다른 실행사례의 감속클러치의 클러치부분 분해도
도면8:본 발명의 또 다른 실행사례의 감속클러치의 클러치부분 분해도
도면9:본 발명의 또 다른 실행사례의 감속클러치 클러치부분의 시프트 포크막대 구동말단 설명도
도면10:본 발명의 또 다른 실행사례의 감속클러치의 클러치부분 분해도
도면11:본 발명의 또 다른 실행사례의 감속클러치 클러치부분의 시프트 포크막대 구동말단설명도
본 발명은 세탁기 감속클러치의 클러치 구동장치를 설명하는바 도면1에서 보다시피 해당 감속클러치는 회전자17와 고정자18로 이루어진 외부회전자모터, 회전자17과 고정연결된 입력축15을 포함한다. 해당 입력축15은 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끔 입력 액슬 슬리브16내에 위치하고 있다. 감속클러치 외부케이스와 회전자17 사이에는 클러치 액슬 슬리브14가 설치되어 있고 해당 클러치 액슬 슬리브14눈 축방향을 따라 위아래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입력 액슬 슬리브16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원주방향에서는 회전이 불가능하다.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와 감속클러치 외부케이스의 사이에는 리셋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 액슬 슬리브14는 클러치 구동장치의 작용하에 클러치 액슬 슬리브14는 1번위치와 2번위치 사이를 위아래로 슬라이딩하는바 출력축30은 회전날개 축이고 출력 액슬 슬리브31는 탈수축이다.
클러치 액슬 슬리브14가 1번위치에 있을 때 입력 액슬 슬리브16는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에 의해 감속클러치 외부케이스 하단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고정되고 이때 세탁상태이다.
클러치 액슬 슬리브14가 2번위치에 있을 때 회전자17는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에 의해 입력 액슬 슬리브16의 회전을 이끌며 이때 세탁기의 상태는 탈수상태이다.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의 내벽에는 가이드 스플라인이 설치되어 있고 해당 입력 액슬 슬리브16의 외벽에는 슬라이딩 홈이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가이드 스플라인과 슬라이딩 홈은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와 입력 액슬 슬리브16가 축방향을 따라 상대적 슬라이딩 운동을 하되 원주방향에서는 회전불가한 스플라인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감속클러치 외부케이스의 하단에는 고정거치대12가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고정거치대12의 하단과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의 윗부분은 각각 맞물리는 스플라인 기어가 설치되어있다. 클러치 액슬 슬리브14가 1번위치에 있을 때 고정거치대12와 클러치 액슬 슬리브14가 상대적인 회전이 불가한 스플라인구조로 연결되어 있다.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의 하단에는 연장설치된 스플라인 기어가 있으며 해당 회전자17또는 회전자17와 연결된 탈수대32 위에는 클러치 액슬 슬리브14 하단에 설치된 스플라인과 맞물리는 오목구조 또는 스플라인 기어가 설치되어 있다. 클러치 액슬 슬리브14가 2번위치에 있을 때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와 회전자17는 상대적 회전이 불가한 스플라인 구조로 연결되어있다.
해당 고정거치대12 하단과 클러치 액슬 슬리브14 사이에는 신축성이 있는 리셋 스프링이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와 클러치 구동장치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클러치 액슬 슬리브14는 클러치 구동장치의 작용하에 클러치 액슬 슬리브14가 1번위치와 2번위치 사이에서 위치가 위아래로 전환된다.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의 외부원주에는 하나의 돌출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클러치 구동장치에는 시프트 포크막대3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있다.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3는 해당 돌출대에 의해 클러치 액슬 슬리브14를 위로 지탱해주며 시프트 포크막대가 해당 돌출대에 작용력을 공급하지 않을 때 클러치 액슬 슬리브14는 리셋 스프링과 자체의 중력에 의해 아래로 움직인다.
실행사례1
도면2-5에서 보다시피 본 실행사례는 일종 감속클러치의 클러치 구동장치를 서술하는 바, 구동모터1, 구동륜2, 시프트 포크막대3를 포함한다. 구동륜1은 구동모터1의 축에 설치되어 있고 구동륜2의 원주에는 지지단면이 설치되어 있으며 지지단면은 축방향에서 높낮이 차이가 있다. 시프트 포크막대3는 지레대 구조이며 가운데 고정지점이 설치되어 있고 시프트 포크막대3의 윗부분은 시프트 포크6이고 시프트 포크6는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의 아랫쪽에 위치하여 리셋 스프링과 함께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의 상하이동을 제어한다. 시프트 포크막대3의 아랫부분은 구동말단7이며 구동말단7에는 슬라이딩 접촉단면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지지단면과 맞물린다. 구동모터1는 구동륜2의 회전을 이끌어 시프트 포크막대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이 지지단면 위에서 상대적인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하며 아랫부분 구동말단7의 높이가 변화됨에 따라 시프트 포크막대 윗부분의 시프트 포크6의 높이가 변화된다. 윗부분 시프트 포크6와 리셋 스프링의 작용하에 클러치 액슬 슬리브14가 위아래로 이동한다. 구동륜2은 구동모터1의 축에 직접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륜2의 축선과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의 축선은 평행되며 구동륜2의 축방향에서는 정지하고 원주방향에서 회전하며 시프트 포크막대3는 원주방향에선 정지한다. 구동륜2이 원주방향에서 회전할 때 구동륜2의 지지단면을 의지하던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의 높이는 지지단면이 회전할 때 클러치 액슬 슬리브가 축방향에서 발생하는 높이변화에 따라 변화된다.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 구동말단7의 높이가 변화하면 시프트 포트막대3 윗부분의 시프트 포크6의 높이도 그에 따라 변화함으로써 클러치액슬 슬리브14가 이동한다. 해당 클러치 구동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이 높으며 설치가 간편하고 모듈통합정도가 높다.
해당 구동모터는 스태핑 모터(Stepping motor)이며 하나의 충격신호(Pulsing signal)를 제공하고 구동모터 축은180°회전한다.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은 최고위치에서 최저위치로 이동하거나 또는 최저위치에서 최고위치로 이동한다. 구동모터가 다시 180°회전하면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은 최저위치에서 최고위치로 이동하거나 또는 최고위치에서 최저위치로 이동한다.
클러치 액슬 슬리브14는 시프트 포크6와 리셋 스프링의 구동하에 입력 액슬 슬리브16를 따라 위아래로 이동하며 가장 아래쪽까지 이동할 때 클러치 액슬 슬리브14 하단의 스플라인 기어와 모터 회전자17 위의 스플라인 기어가 맞물리게 되고 입력축15와 입력 액슬 슬리브16는 같은 속도로 같은 방향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회전날개 축과 탈수축을 같은 속도, 같은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며 이때 세탁기는 탈수상태이다. 클러치 액슬 슬리브14가 가장 윗쪽까지 이동할 때 윗부분의 스플라인 기어는 감속글러치 외부케이스 또는 고정거치대12 위의 스플라인 기어와 맞물리고 입력 액슬 슬리브16는 원주방향에서 회전불가하며 입력축15는 감속클러치에 의해 회전축과 탈수축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쌍방동력세탁을 이루거나 또는 탈수축은 회번하지 않고 회전날개 축만 회전하여 일반적인 와류식 세탁방식을 실현하는데 이는 감속클러치 내부설치에 의해 결정되며 이때 세탁기는 세탁상태이다.
본 실행사례에서 서술하는 구동륜2은 한 원기둥 본체4를 포함하며 원기둥 본체4가 일부 원주면의 지름방향으로부터 밖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원호모양의 돌출부5를 적어도 하나 갖춘 것이다. 돌출부5의 축방향의 한 표면은 지지단면이며 해당 지지단면은 원주방향을 따라 차례로 연결된 1번전환단면8, 최고지지단면9 그리고 1번전환단면8과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진 2번 전환단면10인 것이다.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3 구동말단7의 단면은 원호형 홈이며 해당 홈은 구동륜의 원기둥 본체와 맞물리며 시프트 포크막대의 원주방향에서의 회전을 돕는다. 운행과정이 안정적이기에 연결부품의 충격을 완화시킨다. 시프트 포크막대3의 끝부분에 해당 원호형 홈이 없을 경우 구동륜2이 회전할 때 지지단면과 시프트 포크막대 아랫부분의 말단부분의 한 측면이 상대적인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되는데 마찰력으로 인해 시프트 포크막대가 지지단면에 따라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시프트 포크막대의 고정부분의 연결부품의 충격을 더함으로써 쉽게 파손되어 감속클러치의 고장발생율을 야기시킨다.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3 구동말단의 한 측면은 구동륜2의 지지단면과 접촉하고 해당 접촉단면은 원주방향을 따라 차례로 연결된 3번전환단면19, 최고접촉단면20, 3번전환단면19과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진 4번전환단면21을 포함한다. 해당 최고지지단면9, 최고접촉단면20은 면의 접촉으로써 접촉할 때의 힘이 접촉부분으로 집중되어 파손을 일으키는 현상을 방지하며 부속품의 사용수명을 연장한다.
해당 구동륜2의 끝부분의 일부 원주단면은 지름방향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 돌출부5를 선택할수 있으며 기타 원주단면은 원기둥 본체4의 원주단면이다. 최적화한 것은 해당 구동륜2의 끝부분이 전체 원주면의 1/3~2/3가 지름방향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부5를 이루며 기타 원주면은 원기둥 본체의 원주면을 이루는 것이다. 해당 돌출부5의 지지단면과 시프트 포크막대3의 구동말단7이 접촉할 때 시프트 포크막대의 이동을 구동한다. 구동륜2이 시프트 포크막대3의 구동말단의 옆벽까지 회전하여 돌출부5의 지지단면과 분리할 때 아랫부분의 구동말단의 원호형 홈이 원기둥 본체4의 원주면과 접촉함으로써 시프트 포크막대의 상하방향에서 위치제한의 작용을 일으키지 못하며 시프트 포크막대는 리셋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해당 구동륜2의 끝부분의 1/2의원주단면이 지름방향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하여 돌출부5를 이루며 나머지 1/2의 원주단면은 원기둥 본체2의 원주면이다. 또는 해당 구동륜의 끝부분의 1/3의 원주단면이 지름방향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하여 돌출부를 형성하며 나머지 2/3의 원주단면은 원기둥 본체의 원주단면이다. 또는 해당 구동륜의 끝부분의 2/3의 원주단면이 지름방향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하여 돌출부를 형성하며 나머지 1/3의 원주단면은 원기둥 본체의 원주단면이다.
해당 구동륜의 끝부분의 전체 원주면은 지름방향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연장하여 돌출부를 형성할수 있다. 해당 돌출부는 최고지지단면과 최저지지단면을 포함하며 해당 최고지지단면과 최저지지단면은 원주방향에서 180°사이두고 있다. 최고지지단면과 최저지지단면은 기울어진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프트 포크막대의 리셋 스프링은 시종 작용을 일으킨다.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3는 지레대 구조이며 가운데에는 고정지점이 설치되어 있다. 시프트 포크막대3의 가운데 고정거치대12를 설치하여 회전대우를 구성한다. 해당 고정거치대12는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13에 고정되어 있거나 해당 고정거치대12가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13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최적화 한 것은 고정거치대12가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13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며 고정거치대12와 시프트 포크막대3가 경첩연결된 부분에 고장날 경우 고정거치대12를 교환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할수 있으며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13를 몽땅 교환할 필요가 없다.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3의 가운데 1번설치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해당 고정거치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2번설치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설치구멍은 회전핀과 경첩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시프트 포크막대3의 고정지점을 형성한다. 해당 회전핀에는 시프트 포크막대를 원위치로 회복시키는 작용력을 제공하는 비틀림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비틀림 스프링은 시프트 포크막대의 리셋 스프링이다. 최적화 한 것은 해당 고정지점이 시프트 포크막대3 가운데에서 구동말단7에 가까운 한쪽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말단7은 짧은 이동거리로 윗부분의 큰 이동을 이끌어낸다.
해당 구동륜2의 돌출부5의 축방향의 윗표면은 지지단면이고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3의 아랫부분 구동말단7의 아랫표면은 지지단면과 접촉되고 있는 접촉면이다. 해당 지지단면은 위로 기울어진 1번전환단면8, 최고지지단면9 그리고 아래로 기울어진 2번전환단면10을 포함한다. 해당 접촉면은 아래로 기울어진 3번전환단면19, 최고접촉면20 그리고 위로 기울어진 4번 전환단면21을 포함한다.
해당 구동륜2의 회전이 클러치 액슬 슬리브14를 2번위치로 이끌 때 최고지지단면9은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을 위로 밀며 시프트 포크막대 윗부분의 시프트 포크6는 아래로 이동한다.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의 축방향에 대한 위치제한작용이 사라지고 클러치 액슬 슬리브14는 리셋 스프링과 중력의 작용하에 아래로 이동한다. 구동륜이 180° 회전하여 구동륜2의 회전이 클러치 액슬 슬리브14를 1번위치로 이끌 때 리셋 스프링은 압축상태에 처하고 시프트 포크막대 아랫부분의 구동말단은 자유상태에 처하게 된다. 또는 최저지지단면과 최고접촉단면이 접촉하게 됨으로써 시프트 포크는 비틀림 스프링의 작용하에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이 아래로 이동하고 윗부분의 시프트 포크는 위로 이동하며 시프트 포크막대3의 윗부분의 시프트 포크6는 클러치 액슬 슬리브14를 밀어올린다.
해당 구동륜2의 돌출부5의 축방향의 아랫표면은 지지단면이고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3의 아랫부분 구동말단7의 윗표면은 지지단면과 접촉되고 있는 접촉면이다. 해당 지지단면은 아래로 기울어진 1번전환단면8, 최고지지단면9 그리고 아래로 기울어진 2번전환단면10을 포함한다. 해당 접촉면은 위로 기울어진 3번전환단면19, 최고접촉면20 그리고 아래로 기울어진 4번전환단면21을 포함한다.
구동륜2이 회전하고 최고지지단면9은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을 아래로 누르고 시프트 포크막대3 윗부분의 시프트 포크는 위로 이동함으로써 클러치 액슬 슬리브14를 위로 밀어올린다. 구동륜2이 180° 회전하면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에서 원호형 홈만 구동륜과 맞물리고 축방향에서 시프트 포크막대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은 자유상태에 처하게 된다. 또는 최저지지단면과 최고지지단면의 접촉면이 접촉하게 되면서 시프트 포크막대3는 비틀림 스프링의 작용하에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은 위로 이동하고 윗부분은 아래로 이동하며 클러치 액슬 슬리브14는 리셋 스프링과 중력의 작용하에 아래로 이동한다.
실행사례2
도면6, 도면7에서 보다시피 본 실행사례에서 서술하는 일종 감속클러치의 클러치 구동장치는 구동모터1, 구동륜2, 시프트 포크막대3를 포함한다. 해당 구동륜2은 직접 구동모터1의 모터축에 설치되어 있고 구동륜2 축선과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의 축선은 서로 평행되며 구동륜2의 원주에는 지지활주로가 설치되어으며 지지활주로는 축의 방향을 따라 높낮이가 다르다. 시프트 포크막대3는 지레대구조이며 가운데에는 고정지점이 설치되어 있고 시프트 포크막대3의 윗부분은 시프트 포크6이고 시프트 포크6는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의 아랫쪽에 위치하여 리셋 스프링과 함께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의 상하이동을 제어한다. 시프트 포크막대3의 아랫부분은 구동말단7이고 구동말단7에는 미끄럼 접촉면이 설치되어 있어 지지활주로 내부에 지탱하고 있다. 구동모터는 구동륜을 이끌어주고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이 지지활주로 내에서의 상대적인 슬라이딩을 통하여 그 높이를 변화시키며 시프트 포크막대3의 윗부분의 시프트 포크6의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윗부분의 시프트 포크6와 리셋 스프링가 함께 작용하여 클러치 액슬 슬리브14를 위아래로 움직이게 한다.
클러치 액슬 슬리브14는 시프트 포크6와 리셋 스프링의 구동하에 입력 액슬 슬리브16를 따라 위아래로 이동하며 가장 아래쪽까지 이동할 때 클러치 액슬 슬리브14 하단의 스플라인 기어와 모터 회전자17 위의 스플라인 기어가 맞물리게 되고 입력축15와 입력 액슬 슬리브16는 같은 속도로 같은 방향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회전날개 축과 탈수축을 같은 속도, 같은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며 이때 세탁기는 탈수상태이다. 클러치 액슬 슬리브14가 가장 윗쪽까지 이동할 때 윗부분의 스플라인 기어는 감속글러치 외부케이스 또는 고정거치대12 위의 스플라인 기어와 맞물리고 입력 액슬 슬리브16는 원주방향에서 회전불가하며 입력축15는 감속클러치에 의해 회전축과 탈수축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쌍방동력세탁을 이루거나 또는 탈수축은 회전하지 않고 회전날개 축만 회전하여 일반적인 와류식 세탁방식을 실현하는데 이는 감속클러치 내부설치에 의해 결정되며 이때 세탁기는 세탁상태이다.
구동륜2은 구동모터1의 축에 직접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륜2의 축선과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의 축선은 평행되며 구동륜2의 축방향에서는 정지하고 원주방향에서 회전하며 시프트 포크막대3는 원주방향에선 정지한다. 구동륜2이 원주방향에서 회전할 때 구동륜2의 지지단면을 의지하던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의 높이는 지지단면이 회전할 때 클러치 액슬 슬리브가 축방향에서 발생하는 높이변화에 따라 변화된다.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 구동말단7의 높이가 변화하면 시프트 포트막대3 윗부분의 시프트 포크6의 높이도 그에 따라 변화함으로써 클러치 액슬 슬리브14가 이동한다. 해당 클러치 구동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이 높으며 설치가 간편하고 모듈통합정도가 높다.
해당 구동륜2은 하나의 원기둥 본체4를 포함하며 원기둥 본체4의 원주면은 지름방향에서 축으로 점차 꺼져들어가며 높이가 변화된 한바퀴의 오목홈23을 형성한다. 해당 오목홈23은 지지활주로이며 해당 지지활주로는 축의 방향을 따라 높이가 변화되며 매끄럽게 이어져 있다. 해당 지지활주로는 원주방향을 따라 차례로 연결된 최저지지단면, 기울어진 1번전환단면, 최고지지단면 그리고 1번전환단면과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진 2번전환단면을 포함하며 각 연결부분은 매끄럽게 이어져 있다. 구동륜2이 회전할 때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은 지지활주로 내부에 있으며 지지활주로 축방향에서의 높이에 따라 변화하며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은 축방향을 따라 높이가 변화한다.
해당 최고지지단면과 최저지지단면은 원주방향에서 180°사이두고 있다. 해당 구동모터는 스태핑 모터이며 하나의 충격신호를 제공하고 구동모터 축은 180°회전한다.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은 최고위치에서 최저위치로 이동하거나 또는 최저위치에서 최고위치로 이동한다. 구동모터가 다시 180°회전하면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은 최저 위치에서 최고위치로 이동하거나 또는 최고위치에서 최저위치로 이동한다. 상태가 매번 바뀔 때마다 구동모터1의 회전각도는 동일하며 간격이 서로 다른 각도로 설치할수도 있는바 그렇게 설치할 경우 구동모터가 매번 회전하는 각도가 다르게 된다.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은 지지활주로 내부까지 닿아있으며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 아랫부분은 적어도 최저지지단면과 접촉하는 1번면, 최고지지단면과 접촉하는 2번면을 포함한다. 그리고 해당 최저지지단면과 1번면은 면과면이 접촉되어 있고 해당 최고지지단면과 2번면은 면과 면이 접촉되어 있다. 접촉할 때의 힘이 접촉부분으로 집중되어 파손을 일으키는 현상을 방지하며 부속품의 사용수명을 연장한다.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에는 하나의 구름 베어링34이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구름 베어링34은 구동륜2의 지지활주로 내부까지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말단7과 지지활주로는 안정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구름 베어링34을 추가하면 저항을 줄일뿐만 아니라 작동을 원활하게 하고 마찰을 줄여준다.
해당 구동모터1 모터축의 축선과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의 축선은 서로 평행되며 해당 구동모터1는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13에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해당 구동모터가 감속클러치의 설치판에 설치되어 있다(이러한 상황은 도면에 표시되지 않음). 외부실린더의 바닥에 설치하는 기존의 견인모터와 비교할 때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감속클러치의 구동모터1 는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에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클러치 설치판에 설치되어 있어 구조가 밀집되어 있고 차지하는 공간이 작다.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3는 지레대 구조이며 가운데에는 고정지점이 설치되어 있다. 시프트 포크막대3의 가운데 고정거치대12를 설치하여 회전대우를 구성한다. 해당 고정거치대12는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13에 고정되어 있거나 해당 고정거치대12가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13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최적화 한 것은 고정거치대12가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13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며 고정거치대12와 시프트 포크막대3가 경첩연결된 부분에 고장날 경루 고정거치대12를 교환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할수 있으며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13를 몽땅 교환할 필요가 없다.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3의 가운데 1번설치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해당 고정거치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2번설치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설치구멍은 회전핀과 경첩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시프트 포크막대3의 고정지점을 형성한다. 최적화 한 것은 해당 고정지점이 시프트 포크막대3 가운데에서 구동말단7에 가까운 한쪽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말단7은 짧은 이동거리로 윗부분의 큰 이동을 이끌어낸다.
본 실행사례에서 서술하는 시프트 포크막대3에는 시프트 포크막대3의 리셋 스프링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구동륜의 오목홈이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의 위아래양측을 구동하여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을 위로 혹은 아래로 이동하게 한다. 한 부속품 구조를 절감함으로써 설치과정을 간소화하며 생산원가를 절감시킨다.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3의 아랫부분에는 원호형 홈이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원호형 홈은 구동륜의 원기둥 본체4와 맞물린다. 원호형 홈의 중간부분은 원호형 홈과 수직을 이루며 바깥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구동륜2의 지지활주로 내부까지 삽입되어 지지활주로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작동과정은 더욱 안정적이며 연결부품의 충격을 완화시킨다. 시프트 포크막대3의 끝부분에 이러한 원호형 홈이 설치되지 않을 경우 구동륜2이 회전할 때 지지단면은 시프트 포크 아랫부분의 구동말단의 한쪽과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마찰력이 시프트 포크막대3에 작용하여 지지활주로를 따라 움직이게 할수 있으므로 시프트 포크막대3의 고정부분의 연결부품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연결부품이 쉽게 파손되고 감속클러치이 고장나기 쉽다.
해당 구동륜2의 회전이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과 구동륜2의 오목수조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을 이끌 경우 최고지지단면9이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을 위로 밀어올리며 시프트 포크막대 윗부분의 시프트 포크6는 아래로 이동함으로써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의 볼록대와 멀어지게 되며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의 축방향의 위치제한 작용이 사라진다. 클러치 액슬 슬리브14는 리셋 스프링과 중력의 작용하에 아래로 이동하게 되고 구동륜이 180° 회전하면 최저지지단면이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을 아래로 누르며 윗부분의 시프트 포크는 위로 이동하고 시프트 포크막대3 윗부분의 시프트 포크6는 클러치 액슬 슬리브14를 위로 밀어올린다. 하여 위치상태의 전환을 완성한다.
실행사례3
도면8, 도면9에서 보다시피 본 실행사례에서 서술하는 일종 감속클러치의 클러치 구동장치는 구동모터1, 구동륜2, 시프트 포크막대3를 포함하며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3는 지레대 구조이며 가운데 고정지점이 설치되어 있다. 시프트 포크막대3의 윗부분은 시프트 포크6이고 시프트 포크6는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의 아랫쪽에 위치하여 리셋 스프링과 함께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의 상하이동을 제어한다. 시프트 포크막대의 아랫부분은 구동말단7이며 구동륜2과 연결되어 있고 구동륜2의 축선과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의 축선은 서로 수직된다. 해당 구동륜2은 볼록륜 구조이고 볼록륜26의 원주는 지름방향에서 점진적으로 변화한다. 해당 시프트 포크 아랫부분은 볼록륜 원주면에 지지하고 있으며 구동모터는 볼록륜의 회전을 이끌고 시프트 포크막대는 볼록륜의 서로 다른 반경의 원주와 접촉하고 높이가 변화됨으로써 시프트 포크막대 윗부분의 시프트 포크의 높이를 변화시키며 윗부분의 시프트 포크6와 리셋 스프링은 함께 작용하여 클러치 액슬 슬리브14를 위아래로 이동시킨다.
클러치 액슬 슬리브14는 시프트 포크6와 리셋 스프링의 구동하에 입력 액슬 슬리브16를 따라 위아래로 이동하며 가장 아래쪽까지 이동할 때 클러치 액슬 슬리브14 하단의 스플라인 기어와 모터 회전자17 위의 스플라인 기어가 맞물리게 되고 입력축15와 입력 액슬 슬리브16는 같은 속도로 같은 방향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회전날개 축과 탈수축을 같은 속도, 같은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며 이때 세탁기는 탈수상태이다. 클러치 액슬 슬리브14가 가장 윗쪽까지 이동할 때 윗부분의 스플라인 기어는 감속글러치 외부케이스 또는 고정거치대12 위의 스플라인 기어와 맞물리고 입력 액슬 슬리브16는 원주방향에서 회전불가하며 입력축15는 감속클러치에 의해 회전축과 탈수축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쌍방동력세탁을 이루거나 또는 탈수축은 회번하지 않고 회전날개 축만 회전하여 일반적인 와류식 세탁방식을 실현하는데 이는 감속클러치 내부설치에 의해 결정되며 이때 세탁기는 세탁상태이다.
볼록륜26은 구동모터1의 모터축에 직접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구동모터1모터축의 축선은 클러치액슬 슬리브14의 축선과 수직된다. 볼록륜26이 축방향에서는 정지하고 원주방향에서 회전하며 시프트 포크막대3는 원주방향에선 정지한다. 볼록륜26이 원주방향에서 회전할 때 볼록륜26의 지지단면을 의지하던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의 높이는 볼록륜26 반경의 변화에 따라 변화된다.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 구동말단7의 높이가 변화하면 시프트 포트막대3 윗부분의 시프트 포크6의 높이도 그에 따라 변화함으로써 클러치 액슬 슬리브14가 이동한다. 해당 클러치 구동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이 높으며 설치가 간편하고 모듈통합정도가 높다. 볼록륜의 구동방식은 구조가 치밀라고 안정성이 높다.
해당 구동모터1는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13에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해당 구동모터가 감속클러치의 설치판에 설치되어 있다. 외부실린더의 바닥에 설치하는 기존의 견인모터와 비교할 때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감속클러치의 구동모터1 는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에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클러치 설치판에 설치되어 있어 설치과정이 간단하고 구조가 치밀하며 차지하는 공간이 작다.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의 윗측면 또는 아랫측면은 볼록륜26의 원주면과 접촉되어 있고 시프트 포크막대3의 아랫부분과 볼록륜26 원주면이 접촉하는 측면위에 볼록륜 원주면과 대응하는 위치는 아래로 오목하게 꺼져들어가 홈33을 형성하거나 또는 시프트 포크막대3의 아랫부분과 볼록륜26 원주면이 접촉하는 측면위에 볼록륜 원주면과 대응하는 위치의 양쪽 끝이 위로 튀어나와 하나의 홈을 형성한다. 이런 구조는 볼록륜26이 축방향에서의 운동을 제한하는데 작용한다.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3는 지레대 구조이며 가운데에는 고정지점이 설치되어 있다. 시프트포크막대3의 가운데 고정거치대12를 설치하여 회전대우를 구성한다. 해당 고정거치대12는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13에 고정되어 있거나 해당 고정거치대12가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13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최적화 한 것은 고정거치대12가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13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며 고정거치대12와 시프트 포크막대3가 경첩연결된 부분에 고장날 경우 고정거치대12를 교환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할수 있으며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13를 몽땅 교환할 필요가 없다.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3의 가운데 1번설치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해당 고정거치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2번설치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설치구멍은 회전핀과 경첩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시프트 포크막대3의 고정지점을 형성한다. 해당 회전핀에는 시프트 포크막대를 원위치로 회복시키는 작용력을 제공하는 비틀림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비틀림 스프링은 시프트 포크막대의 리셋 스프링이다. 최적화 한 것은 해당 고정지점이 시프트 포크막대3 가운데에서 구동말단7에 가까운 한쪽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말단7은 짧은 이동거리로 윗부분의 큰 이동을 이끌어낸다.
볼록륜26은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 구동말단7의 아랫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 구동말단7의 아래측면에는 홈이 설치되어 있다. 해당 홈은 볼록륜 원주면 위에 의지해 있으며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에는 시프트 포크막대의 윗부분을 윗쪽으로복위시키는 작용력을 제공하는 비틀림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볼록륜26이 회전할 때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과 접촉하는 볼록륜26의 원주면의 반경은 점차 커진다. 하여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을 아래로 누르며 시프트 포크막대3 윗부분의 시프트 포크는 위로 이동함으로써 클러치 액슬 슬리브14를 밀어올리는바 볼록륜26의 최대반경 원주면까지 밀러올린다. 다시 회전할 때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과 접촉하는 볼록륜26의 원주면의 반경이 점차 작아지며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과 점차 멀어지며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에 대한 위치제한작용이 점차 사라진다. 시프트 포크막대3는 자체 비틀림 스프링의 작용하에 아랫부분 구동말단7은 위로 이동하고 윗부분은 아래로 이동하며 클러치 액슬 슬리브14는 리셋 스프링과 중력의 작용하에 아래로 이동한다.
볼록륜26은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 구동말단7의 윗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 구동말단7의 아래측면에는 홈이 설치되어 있다. 해당 홈은 볼록륜 원주면 위에 의지해 있으며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에는 시프트 포크막대의 아랫부분을 윗쪽으로 회복시키는 작용력을 제공하는 비틀림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볼록륜26이 회전할 때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과 접촉하는 볼록륜26의 원주면의 반경은 점차 커진다. 하여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을 위로 밀어올리며 시프트 포크막대 윗부분의 시프트 포크6는 위로 이동함으로써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와 멀어지고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의 축방향에서의 위치제한작용이 사라진다. 클러치 액슬 슬리브14는 리셋 스프링과 중력의 작용을 아래로 이동시키는바 볼록륜26의 최대반경 원주면까지 이동시킨다. 다시 회전할 때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과 접촉하는 볼록륜26의 원주면의 반경이 점차 작아지고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과 점차 멀어지며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데 대한 위치제한작용이 점차 사라진다. 시프트 포크막대3는 자체 비틀림 스프링의 작용하에 아랫부분 구동말단7은 아래로 이동하고 윗부분은 위로 이동하며 클러치 액슬 슬리브14를 위로 밀어올리며 볼록륜26의 최대반경의 원주면까지 밀어올린다.
볼록륜 원주윤곽의 최대반경과 최소반경의 위치는 원주방향에서 최대 180°사이두고 있다. 해당 구동모터는 스태핑 모터이며 하나의 충격신호를 제공하고 구동모터 축은 180°회전한다. 시프트 포크막대3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은 최고위치에서 최저위치로 이동하거나 또는 최저위치에서 최고위치로 이동한다. 구동모터가 다시 180°회전하면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은 최저위치에서 최고위치로 이동하거나 또는 최고위치에서 최저위치로 이동한다. 볼록륜26은 시프트 포크막대26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을 한쪽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다른 방향의 운동은 시프트 포크막대의 리셋 스프링을 통해 실현된다. 상태가 매번 바뀔 때마다 구동모터1의 회전각도는 동일하며 간격이 서로 다른 각도로 설치할수도 있는바 그렇게 설치할 경우 구동모터가 매번 회전하는 각도가 다르게 된다.
실행사례4
도면10, 도면11에서 보다시피 본 실행사례에서 서술하는 일종 감속클러치의 클러치 구동장치는 구동모터1, 구동륜2, 시프트 포크막대3를 포함한다. 해당 구동륜2의 축선은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의 축선과 수직되며 해당 구동륜2과 해당 축선의 수직단면의 편심에는 지지막대27가 설치되어 있다.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3는 지레대 구조이며 가운데 고정지점이 설치되어 있고 시프트 포크막대3의 윗부분은 시프트 포크6이며 리셋 스프링과 함께 클러치 액슬 슬리브를 위아래로 이동시킨다. 시프트 포크막대3의 아랫부분은 구동말단7이며 지지막대27에 지탱하고 있다. 해당 구동륜2이 회전하면 지지막대27의 클러치 액슬 슬리브 축선의 방향에서 그 높이가 변화됨으로써 시프트 포크막대3의 구동말단7의 높이가 변화되며 시프트 포크막대3 윗부분의 시프트 포크6의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윗부분의 시프트 포크6와 리셋 스프링은 함께 클러치 액슬 슬리브를 위아래로 움직이게 한다.
클러치 액슬 슬리브14는 시프트 포크6와 리셋 스프링의 구동하에 입력 액슬 슬리브16를 따라 위아래로 이동하며 가장 아래쪽까지 이동할 때 클러치 액슬 슬리브14 하단의 스플라인 기어와 모터 회전자17 위의 스플라인 기어가 맞물리게 되고 입력축15와 입력 액슬 슬리브16는 같은 속도로 같은 방향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회전날개 축과 탈수축을 같은 속도, 같은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며 이때 세탁기는 탈수상태이다. 클러치 액슬 슬리브14가 가장 윗쪽까지 이동할 때 윗부분의 스플라인 기어는 감속글러치 외부케이스 또는 고정거치대12 위의 스플라인 기어와 맞물리고 입력 액슬 슬리브16는 원주방향에서 회전불가하며 입력축15는 감속클러치에 의해 회전축과 탈수축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쌍방동력세탁을 이루거나 또는 탈수축은 회번하지 않고 회전날개 축만 회전하여 일반적인 와류식 세탁방식을 실현하는데 이는 감속클러치 내부설치에 의해 결정되며 이때 세탁기는 세탁상태이다.
해당 구동모터1모터축의 축선은 해당 클러치액슬 슬리브14의 축선과 수직된다. 해당 구동륜2은 구동모터1의 모터축에 직접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륜2의 다른 한 단면의 편심에는 지지대27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륜2은 축방향에서 정지하고 원주방향에서 회전하며 시프트 포크막대3는 원주방향에서 정지하고 구동륜2이 원주면에서 회전할 때 구동륜2의 지지단면을 의지하던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의 높이는 지지단면이 회전할 때 클러치 액슬 슬리브14가 축방향에서 발생하는 높이변화에 따라 변화된다.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 구동말단7의 높이가 변화하면 시프트 포트막대3 윗부분의 시프트 포크6의 높이도 그에 따라 변화함으로써 클러치 액슬 슬리브14가 이동한다. 해당 클러치 구동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안정성이 높으며 설치가 간편하고 모듈통합정도가 높다.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의 단면에는 안쪽으로 파인 슬라이딩 홈28이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슬라이딩 홈28은 시프트 포크막대3의 회전축과 평행되고 해당 지지막대27는 시프트 포크막대의 슬라이딩 홈28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구동륜2이 회전할 때 지지막대27는 구동륜2의 축심을 에워싸면서 회전하고 지지막대27는 슬라이딩 홈28 안에서 슬라이딩하기에 시프트 포크막대3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작용함으로써 회전운동을 상하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킨다.
최적화한 것은 지지막대27의 끝부분에 구름 베어링34을 설치하는 것인바 해당 구름 베어링34은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의 슬라이딩 홈28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하여 지지막대27와 슬라이딩 홈28이 안정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구름 베어링34을 추가하면 저항을 줄일뿐만 아니라 작동을 원활하게 하고 마찰을 줄여준다.
해당 슬라이딩 홈28의 길이는 해당 지지막대 편심거리의 2배이기에 구동륜이 180°회전한 다음 지지막대27가 슬라이딩 홈28의 방향에 따른 운행거리를 확보함으로써 슬라이딩 홈28과 지지막대27 사이의 간격이 너무 좁아 지지막대27가 슬라이딩 홈28 내부에서 원활하게 움직이지 못해 마찰이 커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간격이 지나치게 클 경우 방향을 전환할 때의 충격이 커지기 때문에 해당 슬라이딩 홈의 너비는 해당 지지막대27 직경의 1. 05~1. 2배이다.
해당 구동모터1는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13에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해당 구동모터가 감속클러치의 설치판에 설치되어 있으며 최적화한 것은 감속클러치의 설치판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는 외부실린더의 바닥에 설치하는 기존의 견인모터와 비교할 때 본 발명에서 서술하는 감속클러치의 구동모터1 는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에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클러치 설치판에 설치되어 있어 설치과정이 간단하고 구조가 치밀하며 차지하는 공간이 작다.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3는 지레대 구조이며 가운데에는 고정지점이 설치되어 있다. 시프트 포크막대3의 가운데 고정거치대12를 설치하여 회전대우를 구성한다. 해당 고정거치대12는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13에 고정되어 있거나 해당 고정거치대12가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13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최적화 한 것은 고정거치대12가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 13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며 고정거치대12와 시프트 포크막대3가 경첩연결된 부분에 고장날 경우 고정거치대12를 교환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할수 있으며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13를 몽땅 교환할 필요가 없다.
해당 시프트 포크막대3의 가운데 1번설치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해당 고정거치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2번설치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설치구멍은 회전핀과 경첩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시프트 포크막대3의 고정지점을 형성한다. 해당 회전핀에는 시프트 포크막대를 원위치로 회복시키는 작용력을 제공하는 비틀림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비틀림 스프링은 시프트 포크막대의 리셋 스프링이다. 최적화 한 것은 해당 고정지점이 시프트 포크막대3 가운데에서 구동말단7에 가까운 한쪽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말단7은 짧은 이동거리로 윗부분의 큰 이동을 이끌어낸다.
본 실행사례에서 서술하는 시프트 포크막대3에는 시프트 포크막대3의 리셋 스프링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구동륜의 지지막대27가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의 슬라이딩 홈 28의 위아래 양측을 구동하여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을 위로 혹은 아래로 이동하게 한다. 한 부속품 구조를 절감함으로써 설치과정을 간소화하며 생산원가를 절감시킨다.
해당 구동륜2이 회전하면 구동륜2의 지지막대27는 구동륜2의 축심을 에워싸고 회전하고 지지막대27는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의 슬라이딩 홈28속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홈28속에서상대적인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된다. 만약 지지막대27가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의 축방향을 따라 위로 작용하면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을 위로 밀어올리고 이때 시프트 포크막대 윗부분의 시프트 포크6는 아래로 이동하여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의 볼록대와 멀어지게 되며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에 대한 위치제한의 작용이 사라진다. 클러치 액슬 슬리브14는 리셋 스프링과 중력의 작용하에 아래로 이동한다. 구동륜2이 계속 회전하면 지지막대27가 클러치 액슬 슬리브14의 축방향을 따라 아래로 작용하며 시프트 포크막대3 아랫부분의 구동말단7을 아래로 밀어올리고 윗부분이 위로 이동하여 시프트 포크막대3 윗부분의 시프트 포크6는 클러치 액슬 슬리브14를 위로 밀어올린다. 하여 위치상태의 전환을 완성한다.
실행사례5
본 실행사례는 일종 클러치 구동장치의 설치구조를 설명하는바 해당 클러치 구동장치는 구동모터1, 구동륜2, 시프트 포크막대3를 포함한다. 구동륜2은 구동모터1의 출력축에 설치되어 있고 구동모터1는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13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최적화한 것은 해당 구동모터1가 설치커버 속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며 해당 설치커버는 외부케이스13에 고정되어 있다.
해당 설치커버는 구동모터1를 수용하는 불규칙적인 네모모양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설치커버의 한쪽은 설치옆벽이고 해당 설치옆벽에는 바깥방향으로 튀어나온 설치변두리가 설치되어 있다. 해당 설치변두리는 볼트에 의해 분해가능하게끔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13에 연결되어 있다.
설치커버의 설치옆벽과 설치변두리는 모두 외부케이스13의 옆벽과 서로 맞물리는 원호면을 이루고 있음으로써 설치커버와 외부케이스의 옆벽은 꼭 맞물린 상태로 접촉되어 있어 외부케이스13와 설치커버 사이의 틈새에 이물질이 끼는 현상을 방지한다.
본 실행사례에서 설치옆벽의 좌우양쪽은 각각 바깥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변두리를 이루고 설치변두리에는 볼트를 설치하는 설치구멍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행사례에서 설치커버의 외벽에는 설치변두리까지 연장된 여러갈래의 돌출된 강화부품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설치변두리의 구조를 강화하고 설치커버의 견고정도를 높인다. 최적화한 것은 설치커버 설치옆벽의 왼쪽 꼬는 오른쪽의 설치커버 옆벽은 설치커버의 오른쪽 옆벽 또는 왼쪽 옆벽인 것이다. 해당 왼쪽 옆벽 또는 오른쪽 옆벽에는 여러갈래의 강화부품이 설치되어 있고 해당 강화부품은 왼쪽 옆벽 또는 오른쪽 옆벽의 외부에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각 강화부품은 각각 수평방향을 따라 대응하는 측면의 설치변두리 밖까지 연장되어 있다.
설치커버의 설치옆벽 하단에는 외부케이스13의 방향을 따라 돌출된 위치고정 변두리가 설치되어 있다. 해당 위치고정 변두리는 외부케이스13의 아래표면과 맞물려 있음으로써 설치커버가 외부케이스13에 고정설치시켜 설치커버와 외부케이스13의 상대적인 위치고정을 실현한다. 동시에 설치변두리의 윗쪽과 위치고정 변두리에 각각 설치구멍을 배치함으로써 위치고정 변두리와 설치구멍이 상대적으로 대응되게 설치하여 설치커버의 견고성을 높여준다. 본 실행사례에서 각 강화부품를 같은 간격에 따라 설치커버의 가운데 수평으로 설치하는바 최적화한 것은 각 강화부품을 위치고정 변두리와 설치변두리 윗쪽의 설치구멍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다.
해당 구동모터1의 출력축은 설치커버의 윗측면 또는 아랫측면에 수직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출력축의 관통끝에는 출력축과 함께 회전하는 구동륜2이 설치되어 있다. 최적화한 것은 설치커버의 아랫측면 또는 윗측면이 분해가능한 옆벽으로 구성되어 분해가능한 옆벽이 블록 버튼에 의해 설치커버와 서로 연결됨으로써 설치커버의 내부공간을 오픈할수 있어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구동모터1의 보수 및 교환작업이 편리해지는 것이다. 나아가서 더 최적화한 것은 구동륜2과 분해가능한 옆벽은 각각 설치커버의 서로 다른 측면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감속클러치의 보수작업의 편리성을 높여준다.
위에서 서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최적화한 실행방식일뿐 본 기술분야의 일반기술자가 본 발명의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 여러가지 변형과 개선을 시도할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주에 속한다.
1. 구동모터, 2. 구동륜, 3. 시프트 포크막대, 4. 원기둥본체, 5. 돌출부, 6. 시프트 포크, 7. 구동말단, 8. 1번전환단면, 9. 최고전환단면, 10. 2번전환단면, 11. 원호형 홈, 12. 고정지지대, 13. 외부케이스, 14. 액슬 슬리브, 15. 입력축, 16. 입력 액슬 슬리브, 17. 회전자, 18. 고정자, 19. 3번전환단면, 20. 최고접촉단면, 21. 4번전환단면, 23. 오목홈, 26. 돌출륜, 27. 지지막대, 28. 슬라이딩 홈, 30. 출력축, 31. 출력 액슬 슬리브, 32. 탈수대, 33. 홈, 34. 구름 베어링.

Claims (38)

  1. 감속 클러치용 클러치 구동장치로써, 구동모터, 구동륜, 시프트 포크 막대 및 클러치 액슬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륜은 직접 구동모터 축에 설치되어 있고 구동륜 축과 클러치 액슬 슬리브의 축선은 서로 평행하며, 구동륜에는 축의 방향으로 높이 차이가 있는 지지 단면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시프트 포크 막대의 윗부분은 클러치 액슬 슬리브를 위아래로 움직이게 하는 시프트 포크이며, 상기 시프트 포크 막대의 아랫부분은 지지 단면 위에 지지된 구동 말단이고, 상기 구동모터는 구동륜의 회전을 이끌어 시프트 포크 막대의 아랫부분이 지지 단면에서 상대적인 슬라이딩으로 인해 아랫부분의 높이를 변화시키며 이는 시프트 포크 막대의 윗부분에서 시프트 포크의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써 클러치 액슬 슬리브가 위아래로 움직이게 하고,
    상기 구동륜은 하나의 원기둥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륜의 원주면 또는 단면에는 축의 방향을 따라 높낮이가 다른 지지 단면이 설치되어 있고, 원기둥 본체의 적어도 일부 원주면이 방사상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원호 모양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 원호 모양의 돌출부의 축 방향의 한 표면이 지지 단면인,
    감속 클러치용 클러치 구동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포크 막대의 구동 말단의 꼭대기면 또는 바닥면은 구동륜의 지지 단면과 접촉되어 있으며, 접촉면은 평면 또는 지지 단면에 대응하는 곡선면인,
    감속 클러치용 클러치 구동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륜의 돌출부의 축방향 윗표면은 지지 단면이고 상기 시프트 포크 막대의 구동 말단의 아랫 표면은 지지 단면과 접촉하고 있는 접촉면이며, 상기 지지 단면은 위로 기울어진 1번전환단면, 최고지지단면 및 아래로 기울어진 2번전환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은 아래로 기울어진 3번전환단면, 최고접촉면 및 위로 기울어진 4번전환단면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구동륜의 돌출부의 축방향 아랫표면은 지지 단면이고 상기 시프트 포크 막대의 구동 말단의 윗 표면은 지지 단면과 접촉하고 있는 접촉면이며, 상기 지지 단면은 아래로 기울어진 1번전환단면, 최고지지단면 그리고 위로 기울어진 2번전환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은 위로 기울어진 3번전환단면, 최고접촉면 그리고 아래로 기울어진 4번전환단면을 포함하는,
    감속 클러치용 클러치 구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륜의 최고지지단면과 시프트 포크의 최고접촉 단면이 단면 접촉 또는 원호면 접촉인,
    감속 클러치용 클러치 구동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륜의 끝부분의 일부 원주면은 방사상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끝부분의 기타 원주면은 원기둥 본체의 원주면인,
    감속 클러치용 클러치 구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륜의 끝부분의 전체 원주면은 방사상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는 최고지지단면과 최저지지단면을 포함하며 상기 최고지지단면과 최저지지단면은 원주방향으로 180°간격을 두고 있고, 최고지지단면과 최저지지단면 사이의 전환부는 기울어진 상태인,
    감속 클러치용 클러치 구동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포크 막대는 지렛대 구조이며 가운데에는 고정지점이 설치되어 있고, 시프트 포크 막대의 가운데에 고정거치대를 설치하여 회전대우(revolute joint)를 구성하고, 상기 고정거치대는 감속 클러치의 외부케이스에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고정거치대가 감속클러치의 외부케이스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감속 클러치용 클러치 구동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포크 막대의 가운데에 1번설치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거치대의 대응 위치에 2번설치구멍이 설치되어 있으며, 설치구멍은 회전핀과 경첩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시프트 포크 막대의 고정 지점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핀에는 시프트 포크막대를 원위치로 복위시키는 작용력을 제공하는 비틀림 스프링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 지점이 시프트 포크막대의 가운데와 꼬리부분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는 것인,
    감속 클러치용 클러치 구동 장치.
  10. 구동모터, 구동륜, 시프트 포크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륜은 직접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되어 있고 구동륜 축과 클러치 액슬 슬리브의 축은 서로 평행하고 구동륜의 원주 방향에는 축의 방향을 따라 높낮이가 다른 지지활주로가 설치되어 있고, 시프트 포크 막대의 윗부분은 클러치 액슬 슬리브를 위아래로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시프트 포크이며 시프트 포크 막대의 아랫부분은 지지활주로 내에서 지지되고 있는 구동 말단이며, 구동모터는 구동륜의 회전을 이끌어 시프트 포크 막대의 아랫부분이 지지활주로 내에서의 상대적인 슬라이딩을 통하여 그 높이를 변화시키며 시프트 포크 막대의 윗부분의 시프트 포크의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써 클러치 액슬 슬리브를 위아래로 움직이게 하고,
    상기 구동륜은 하나의 원기둥 본체를 포함하고, 이 원기둥 본체의 원주면에는 방사상 내측으로 홈이 파여 있어, 지지활주로인 축방향 높이 구배 홈의 환(circle)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활주로는 축 방향을 따라 높이가 변화되며 매끄럽게 이어져 있는,
    감속 클러치용 클러치 구동 장치.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활주로는 원주방향을 따라 차례로 연결된, 최저지지단면, 기울어진 1번전환단면, 최고지지단면 그리고 1번전환단면과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진 2번전환단면을 포함하며 각 연결부분은 매끄럽게 이어져 있는,
    감속 클러치용 클러치 구동 장치.
  13.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포크 막대 아랫부분이 구동륜의 지지활주로 내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시프트 포크 막대 아랫부분은 적어도 최저지지단면과 접촉하는 1번 면 및 최고지지단면과 접촉하는 2번 면을 포함하고, 상기 최저지지단면은 1번면과 단면 접촉하고 있고 상기 최고지지단면은 2번면과 서로 단면 접촉하고 있는,
    감속 클러치용 클러치 구동 장치.
  14. 제10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포크 막대의 구동 말단에는 하나의 구름(rolling) 베어링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름 베어링은 구동륜의 지지활주로 내로 연장되어 있는,
    감속 클러치용 클러치 구동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포크 막대의 아랫부분에는 원호형 홈(arc wall)이 설치되어 있고 이 원호형 홈은 구동륜의 원기둥 본체와 맞물리고, 원호형 홈의 중간부분이 원호형 홈에 수직으로 연장하여 구동륜의 지지활주로 내로 연장하고 있고 지지활주로와 연결되어 있는,
    감속 클러치용 클러치 구동 장치.
  16. 구동모터, 구동륜 및 시프트 포크 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륜은 볼록륜(cam) 구조이고, 이 볼록륜의 원주는 방사상 경사를 이루고 있고, 시프트 포크 막대의 윗부분은 클러치 액슬 슬리브를 위아래로 움직이도록 제어하는 시프트 포크이며, 시프트 포크 막대의 아랫부분은 볼록륜 원주 단면에 지지되어 있는 슬라이딩 접촉단면이 있는 구동 말단이고, 상기 구동모터는 볼록륜의 회전을 이끌어 시프트 포크 막대의 슬라이딩 접촉단면이 볼록륜의 다른 반경의 원주와 접촉하게 함으로써 높이를 변화시키며 시프트 포크 막대의 윗부분의 시프트 포크의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써 클러치 액슬 슬리브를 위아래로 움직이게 하고,
    시프트 포크 막대의 구동 말단의 윗측면 또는 아랫측면은 볼록륜 원주면과 접촉하고 있고, 시트프 포크 막대의 아랫부분과 볼록륜 원주면이 접촉하는 측면은 볼록륜 원주면과 대응하는 위치가 아래로 오목하게 꺼져들어가 조임 홈(clamping slot)을 형성하고, 또는 시프트 포크 막대의 아랫부분과 볼록륜 원주면이 접촉하는 측면의 양쪽 끝이 볼록륜 원주면과 대응하는 위치가 위로 튀어나와 하나의 조임 홈을 형성하는,
    감속 클러치용 클러치 구동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볼록륜이 구동모터의 모터 축에 직접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 축의 축은 클러치 액슬 슬리브의 축에 수직인,
    감속 클러치용 클러치 구동 장치.
  18. 삭제
  19. 제16항에 있어서,
    볼록륜이 시프트 포크 막대의 구동 말단의 아랫쪽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시프트 포크 막대의 구동 말단의 아랫측면에는 조임 홈이 설치되어 있고, 이 홈은 볼록륜 원주면 위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시프트 포크 막대에는 시프트 포크 막대의 윗부분을 윗쪽으로 복위시키는 작용력을 제공하는 비틀림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볼록륜이 시프트 포크 막대의 구동 말단의 윗쪽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시프트 포크 막대의 구동 말단의 윗측면에는 조임 홈이 설치되어 있고, 이 홈은 볼록륜 원주면 위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시프트 포크 막대에는 시프트 포크 막대의 윗부분을 아랫쪽으로 복위시키는 작용력을 제공하는 비틀림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감속 클러치용 클러치 구동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구동 모터는 설치 커버 속에 설치되어 있고, 설치커버는 감속클러치 외부케이스 또는 설치판에 고정되어 있으며, 설치커버는 구동모터를 수용하는 불규칙적인 네모모양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고 설치커버의 한쪽은 설치 옆벽이고 상기 설치 옆벽에는 바깥방향으로 튀어 나온 설치 변두리(flange)가 설치되어 있으며, 설치 변두리는 볼트에 의해 분해 가능하게끔 감속 클러치의 외부케이스 또는 설치판에 연결되어 있는,
    감속 클러치용 클러치 구동 장치.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KR1020177002436A 2014-06-30 2014-09-30 감속클러치의 클러치 구동장치 KR102232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308632.4A CN105239314B (zh) 2014-06-30 2014-06-30 一种减速离合器离合驱动装置
CN201410308632.4 2014-06-30
PCT/CN2014/087882 WO2016000335A1 (zh) 2014-06-30 2014-09-30 一种减速离合器离合驱动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527A KR20170026527A (ko) 2017-03-08
KR102232386B1 true KR102232386B1 (ko) 2021-03-29

Family

ID=55018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436A KR102232386B1 (ko) 2014-06-30 2014-09-30 감속클러치의 클러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422391B2 (ko)
EP (1) EP3162941B1 (ko)
JP (1) JP2017521208A (ko)
KR (1) KR102232386B1 (ko)
CN (1) CN105239314B (ko)
AU (1) AU2014399520B2 (ko)
WO (1) WO20160003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45844B (zh) * 2017-05-31 2023-05-30 广东威灵电机制造有限公司 洗衣机及其减速离合器
CN107385787B (zh) * 2017-09-11 2023-08-11 宁波市利鼎电子有限公司 洗衣机的洗涤与脱水转换装置
JP2019127983A (ja) * 2018-01-24 2019-08-0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クラッチ装置、および洗濯機
CN112144238B (zh) * 2019-06-27 2022-11-2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减速离合装置
CN112747042B (zh) * 2019-10-29 2024-05-14 沪东重机有限公司 一种中速柴油机盘车机拨叉装置
CN113152027B (zh) * 2020-01-06 2023-03-31 浙江三星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减速离合装置及洗衣机
CN113957668B (zh) * 2020-07-20 2024-05-24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减速离合装置、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14079338B (zh) * 2020-08-10 2023-10-20 北京金风科创风电设备有限公司 转子支架模块及加强组件
CN111998010B (zh) * 2020-09-15 2022-04-01 嘉兴爱克斯机械技术有限公司 用于盘车装置自动脱离齿式离合器的新型摩擦块联动机构
CN114635930B (zh) * 2022-02-23 2022-09-30 浙江鑫可传动科技有限公司 离合器的操纵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2087A (ja) * 1999-12-14 2001-06-19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1126122A (en) * 1911-11-22 1912-06-27 Arthur Hammer Improvements in Ironing Machines.
FR1230700A (ko) * 1958-05-28 1960-09-19
US4291556A (en) * 1979-05-04 1981-09-29 Whirlpool Corporation Automatic washer transmission shift mechanism
US5353902A (en) * 1992-06-16 1994-10-11 Dana Corporation Electric actuator assembly for clutch
JP3572623B2 (ja) * 1992-08-31 2004-10-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クラッチの制御装置
CN2443980Y (zh) 2000-05-13 2001-08-22 浙江三星洗衣机配件厂 无刷电机直接驱动的洗衣机减速离合器
AU777010B2 (en) * 2002-01-17 2004-09-30 Lg Electronics Inc. Direct-drive washing machine
DE10235906A1 (de) * 2002-08-06 2004-02-19 Zf Sachs Ag Drehmomentübertragungsvorrichtung in einem Kraftfahrzeug
CN201924194U (zh) * 2011-01-04 2011-08-10 江苏联动轴承有限公司 全自动搅拌式洗衣机用大容量减速离合器
CN202157204U (zh) * 2011-07-20 2012-03-07 宁波普尔机电制造有限公司 洗衣机仿生手搓变频减速离合器
DE102012213780A1 (de) * 2012-08-03 2014-02-0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Hebelaktor
CN203475166U (zh) * 2013-08-15 2014-03-12 海尔集团公司 一种高效变频电机减速离合装置及洗衣机
CN104878564B (zh) * 2014-02-28 2018-08-10 安徽聚隆传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洗衣机减速离合器机械离合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2087A (ja) * 1999-12-14 2001-06-19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4399520A1 (en) 2017-02-16
US10422391B2 (en) 2019-09-24
JP2017521208A (ja) 2017-08-03
EP3162941A4 (en) 2018-04-04
KR20170026527A (ko) 2017-03-08
WO2016000335A1 (zh) 2016-01-07
CN105239314B (zh) 2019-02-15
AU2014399520B2 (en) 2020-02-20
EP3162941A1 (en) 2017-05-03
CN105239314A (zh) 2016-01-13
EP3162941B1 (en) 2019-02-20
US20170159723A1 (en) 201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2386B1 (ko) 감속클러치의 클러치 구동장치
CN105734910B (zh) 一种洗衣机直驱电机及减速离合器
CN105274784A (zh) 一种离合驱动装置
CN105220405B (zh) 一种减速离合器离合驱动装置
CN1366583A (zh) 起动装置
CN204434985U (zh) 一种洗衣机减速离合器及洗衣机
CN105316904B (zh) 一种减速离合器的离合装置及减速离合器
CN105734904B (zh) 一种洗衣机用减速离合器及洗衣机
CN105734902A (zh) 一种洗衣机用减速离合器及洗衣机
CN105734909B (zh) 一种洗衣机减速离合器及洗衣机
CN105274783B (zh) 一种减速离合器的离合装置及减速离合器
CN105734885B (zh) 一种洗衣机用减速离合器及洗衣机
CN105463772B (zh) 一种减速离合器离合驱动装置
CN204434984U (zh) 一种洗衣机减速离合器及洗衣机
CN101332963A (zh) 吊篮用提升机工作机构
CN105463774A (zh) 一种离合装置
CN107287830B (zh) 洗衣机的离合机构和洗衣机
CN105200718B (zh) 一种离合驱动装置
CN214630716U (zh) 一种用于升降桌的线性致动器
CN204434983U (zh) 一种洗衣机直驱电机及减速离合器
CN105734901B (zh) 一种洗衣机用减速离合器及洗衣机
CN105463768B (zh) 一种减速离合器离合驱动装置
CN206234354U (zh) 一种基于滚动摩擦副的鼓式凸轮机构
CN105463773B (zh) 一种减速离合器离合驱动装置
CN113152027B (zh) 一种洗衣机减速离合装置及洗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