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264B1 -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264B1
KR102231264B1 KR1020190088041A KR20190088041A KR102231264B1 KR 102231264 B1 KR102231264 B1 KR 102231264B1 KR 1020190088041 A KR1020190088041 A KR 1020190088041A KR 20190088041 A KR20190088041 A KR 20190088041A KR 102231264 B1 KR102231264 B1 KR 102231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nt
wire rope
cleaner
filt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1101A (ko
Inventor
김수호
Original Assignee
김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호 filed Critical 김수호
Priority to KR1020190088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264B1/ko
Publication of KR20210011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1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9/00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f lubricants in the lubricating system
    • F16N39/06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f lubricants in the lubricating system by filt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conical gear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1/00Means for collecting, retaining, or draining-off lubricant in or on machines or apparatus
    • F16N31/02Oil catchers; Oil wi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5/00Apparatus with hand-positioned nozzle supplied with lubricant under pressure
    • F16N5/02Nozzles or nozzle-valve arrangements therefor, e.g. high-pressure grease gu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14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the lubricant being conveyed from the reservoir by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210/00Applications
    • F16N2210/34Cables and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로프 표면의 오래된 윤활제를 제거하는 클리너 모듈,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 컴프레셔(air compressor)와 연결되어 일정 압력의 공기가 분사되는 에어 분사 노즐 및 제거된 윤활제가 배출되는 폐윤활제 배출구를 포함하는 폐윤활제 제거 모듈, 일단은 상기 클리너 모듈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폐윤활제 제거 모듈에 삽입되어 상기 클리너 모듈을 상기 폐윤활제 제거 모듈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는 플랜지, 윤활제가 주입되는 윤활제 주입구, 상기 와이어 로프에 도포되지 않은 남은 윤활제가 배출되는 윤활제 배출구를 포함하여 내부에 수용된 상기 와이어 로프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윤활제 도포 모듈, 상기 와이어 로프에 과다한 윤활유의 도포를 방지하기 위하여 와이어 로프를 브러슁(brushing) 하는 필터모듈 및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와 무선통신하여 윤활제 도포 작업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으로 구성된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이다.

Description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Wire Rope Lubricant Feeder with ICT Function}
본 발명은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 로프에 도포되어 있는 오래된 윤활제를 제거하고 새로운 윤활제를 고르게 도포하여 와이어 로프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하는 윤활제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와이어 로프는 크레인, 엘리베이터 등 리프트를 사용하는 많은 장치에서 사용되고 있다. 와이어 로프는 지속적인 움직임에 의해 마찰이 발생하여 마모가 발생하거나 외부환경에 의해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 로프의 부식이나 응력 집중현상을 완화시켜 와이어 로프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그리스(grease) 등 윤활제를 도포가 요구된다. 와이어 로프의 윤활제 도포 작업을 소홀히 할 경우 와이어의 내구성이 저하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윤활제 도포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주기적인 윤활제 도포 작업을 할 수 없는 환경에서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와이어 로프를 조기에 교체해야 하므로 주기적으로 와이어 로프에 윤활제 도포작업을 하여 관리하는 경우에 비하여 훨씬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와이어 로프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장치와 관련하여 종래 다양한 장치들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와이어 로프는 다양한 꼬임과 다양한 규격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종래의 윤활제 도포 장치들은 특정 꼬임과 규격에만 사용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와이어 로프의 종류에 맞는 장치만 사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 일정, 내용, 주기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없어 주기적인 작업을 소홀히 하게 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존재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19-0060310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와 무선통신 하여 도포 작업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와이어 로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와이어 로프의 규격에 상관없이 다양한 규격의 와이어 로프에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가지는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모듈을 구성하여 효과적으로 윤활제를 와이어 로프 표면에 도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로서, 와이어 로프 표면의 오래된 윤활제를 제거하는 클리너 모듈, 일정 압력의 공기가 분사되는 에어 분사 노즐 및 제거된 윤활제가 배출되는 폐윤활제 배출구를 포함하는 폐윤활제 제거 모듈, 클리너 모듈을 폐윤활제 제거 모듈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는 플랜지, 내부에 수용된 상기 와이어 로프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윤활제 도포 모듈, 와이어 로프에 과다한 윤활유의 도포를 방지하기 위하여 와이어 로프를 브러슁(brushing) 하는 필터모듈 및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와 무선통신하여 윤활제 도포 작업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리너 모듈은 복수개의 클리너 날개, 브러쉬, 클리너 날개가 연결되는 클리너 고정링, 클리너 날개가 회동하는 홈이 구비된 클리너 조작기어 및 클리너 조작기어가 수용되는 클리너 하우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클리너 조작기어는 클리너 날개들이 연결된 링 및 링의 바깥 표면에 형성된 요철으로 구성되고, 요철에 맞물리는 클리너 베벨기어 및 클리너 베벨기어를 조작하는 클리너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여 클리너 구동수단을 정회전 하면 클리너 조작기어가 회전하여 클리너 날개들이 구동함으로써 수용공간의 직경이 증가하고, 역회전 하면 수용공간의 직경이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폐윤활제 제거 모듈 및 윤활제 도포 모듈은 상호 힌지결합된 한 쌍의 반원통으로 구성되고 체결고리에 의해 결합하여 원통을 형성하여 내부에 상기 와이어 로프가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윤활제 도포 모듈은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및 내부에 수용된 와이어 로프의 주위에 주입된 윤활제를 고르게 도포하기 위한 노즐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는 내부에 수용된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가이드 날개 및 가이드 날개를 조작하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와이어 로프의 직경에 맞게 상기 가이드 날개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모듈은, 일정 곡면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 구멍이 구비되며 내주면에 와이어 로프를 수용할 수 있는 복수개의 필터 날개, 필터 날개가 연결되는 고정링, 필터 날개가 회동하는 홈이 구비된 필터 조작기어 및 필터 조작기어가 수용되는 필터 하우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 조작기어는 필터 날개들이 연결된 링 및 링의 바깥 표면에 형성된 요철로 구성되고, 필터모듈은 요철에 맞물리는 필터 베벨기어 및 필터 베벨기어를 조작하는 필터 구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터 날개의 재질은 고무,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와이어 로프의 윤활제 도포 작업에 대한 작업 정보가 제어부와 관리서버에 의해 저장되어 주기적인 관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둘째, 와이어 로프의 직경에 상관없이 다양한 직경의 와이어 로프에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하여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셋째, 윤활제 도포 과정에서 기존에 도포되어 있는 오래된 윤활제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과다한 도포를 방지하여 와이어 로프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를 구성하는 각 모듈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의 클리너 모듈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의 클리너 모듈과 폐윤활제 제거 모듈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의 폐윤활제 제거 모듈 및 윤활제 도포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의 필터모듈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의 필터모듈을 작동시키는 구동장치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10)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는 클리너 모듈(100), 폐윤활제 제거 모듈(200), 윤활제 도포 모듈(300), 필터모듈(400), 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리너 모듈(100)은 와이어 로프(W)에 도포되어 있는 오래된 윤활제를 제거하기 위한 구성이다. 와이어 로프(W)에 윤활제를 도포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도포되어 있는 오래된 윤활제의 제거가 필요하다. 클리너 모듈(100)에 의하여 기존 윤활제를 제거하여 와이어 로프(W)에 새로운 윤활제를 도포할 수 있게 된다.
폐윤활제 제거 모듈(200)에는 클리너 모듈(100)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170)부가 수용될 수 있다.
기존에 도포된 오래된 윤활제가 클리너 모듈(100)에 의하여 와이어 로프(W)의 표면에서 제거 되면 제거된 윤활제와 각종 이물질이 섞인 폐윤활제 찌꺼기가 발생하게 된다. 폐윤활제 제거 모듈(200)은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공기가 분사되는 에어 분사 노즐(210)과 제거된 폐윤활제 찌꺼기가 배출되는 폐윤활제 배출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분사 노즐(210)은 별도의 에어 컴프레셔(C)와 에어 주입 호스(20)에 의해 연결되어 와이어 로프(W)에 일정 압력의 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일정 압력의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와이어 로프(W)에 잔존하는 기존의 윤활제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분사된 공기에 의해 와이어 로프(W)에서 벗겨진 폐윤활제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폐윤활제 배출구(220)에는 폐윤활제 배출 호스(30)에 의해 수거통(B)과 연결될 수 있다. 제거된 폐윤활제 찌꺼기와 기타 이물질은 폐윤활제 제거모듈에서 폐윤활제 배출구(220)를 통해 수거통(B)으로 배출된다.
윤활제 도포 모듈(300)은 내부에 수용된 와이어 로프(W)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장치이다. 윤활제가 주입되는 윤활제 주입구(313)가 구비되어 내부에 수용된 와이어 로프(W)의 표면에 윤활제를 도포할 수 있다.
필터모듈(400)은 과다하게 도포된 윤활제를 브러슁(brushing)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인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의 끝단에 결합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10)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등 스마트 기기와 무선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로프(W)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윤활제 도포 작업이 필요한데, 관리가 소홀하여 관리 주기를 놓치게 되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주기적인 관리를 위하여 보빈에 와이어 로프(W)에 대한 정보, 즉 와이어 로프(W)의 직경, 길이, 심선의 수, 꼬임종류 등이 저장된 바코드 또는 RFID 태그 등이 구비되고, 사용자는 작업을 하는 경우 스마트폰 등 스마트 기기로 해당 바코드 또는 RFID 태그를 읽어 해당 와이어 로프(W)에 대한 정보를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와이어 로프(W)에 윤활제 도포 작업을 완료하면 사용한 윤활제의 양, 종류, 작업날짜,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정보를 전송하면 사용자는 해당 정보를 별도의 서버를 가진 어플리케이션 등에 저장하여 주기적인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10)를 구성하는 각 모듈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클리너 모듈(100), 폐윤활제 제거 모듈(200), 윤활제 도포 모듈(300) 및 필터모듈(400)이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10)의 클리너 모듈(100)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10)의 클리너 모듈(100)은 조리개 원리를 이용하여 와이어 로프(W)의 표면에 존재하는 오래된 윤활제를 제거할 수 있다.
클리너 모듈(100)은 클리너 날개(110), 클리너 브러쉬(120), 클리너 고정링(180), 클리너 조작기어(130), 클리너 하우징(160)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리너 날개(110)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힌지 구멍이 구비되고 복수개의 클리너 날개(110)는 힌지 구멍에 의해 상호간 힌지 결합된다. 클리너 날개(110)들을 결합하면 가운데 와이어 로프(W)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와이어 로프(W)의 직경에 맞게 조리개 원리에 따라 클리너 날개(1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클리너 날개(110)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와이어 로프(W)의 심선의 개수에 맞추어 구성될 수 있다.
클리너 브러쉬(120)는 클리너 날개(110)에 구비되며, 클리너 날개(110)와 와이어 로프(W)가 맞닿는 면에 구비될 수 있다. 클리너 브러쉬(120)의 재질은 poly carbonate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클리너 날개(110)의 위치를 조절하여 클리너 브러쉬(120)와 와이어 로프(W)가 맞닿게 한 후 와이어 로프(W)를 이동시키면 클리너 브러쉬(120)와 와이어 로프(W)의 마찰에 의해 기존에 도포되어 있던 윤활제가 벗겨질 수 있다.
클리너 날개(110)의 전면에는 클리너 고정링(180)이 배치되어 클리너 날개(110)와 연결됨으로써 클리너 날개(110)를 고정시키고, 클리너 날개(110)의 후면에는 클리너 날개(110)가 회동하는 홈이 구비된 클리너 조작기어(130)가 배치될 수 있다. 클리너 하우징(160)은 클리너 조작기어(130)가 수용될 수 있다.
클리너 조작기어(130)는 클리너 날개(110)들이 연결된 링 및 링의 바깥 표면에 형성된 요철로 이루어질 수 있다.
클리너 모듈(100)은 클리너 조작기어(130)에 형성된 요철에 맞물리는 클리너 베벨기어(140), 상기 베벨기어와 연결되어 클리너 베벨기어(140)를 조작할 수 있는 클리너 구동수단(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리너 구동수단(150)을 회전하면 연결된 클리너 베벨기어(140)가 회전하고, 클리너 베벨기어(140)와 연결된 클리너 조작기어(130)가 회전하면서 클리너 날개(110)가 회동함으로써 수용공간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클리너 구동수단(150)을 정회전 하면 수용공간의 직경이 증가하고, 역회전 하면 수용공간의 직경이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이로써 클리너 모듈(100)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의 직경을 조절하여 와이어 로프(W)의 직경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직경의 와이어 로프(W)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을 갖게 된다. 기존에 와이어 로프(W)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경우에는 와이어 로프(W)의 직경 크기에 맞는 장치를 구비해야 하므로, 직경이 다른 와이어 로프(W)에는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사이즈에 따라 각각 윤활제 도포장치를 필요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와이어 로프(W)의 직경에 상관없이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클리너 구동수단(150)은 클리너 베벨기어(140)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어떠한 수단이라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게 하는 것은 물론 모터를 이용하여 베벨기어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또한, 와이어 로프(W)에 윤활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클리너 모듈(100)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 경우에는 클리너 구동수단(150)에 의해 클리너 날개(110)를 조절하여 수용공간의 직경을 크게 함으로써 클리너 브러쉬(120)가 와이어 로프(W)에 맞닿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클리너 모듈(100)은 하나 이상 복수개를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 이상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복수개를 사용하는 경우, 클리너 날개(110)의 위치가 서로 90도 어긋나게 배치하여 사용하면 와이어 로프(W)에 도포되어 있는 윤활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10)의 클리너 모듈(100)과 폐윤활제 제거 모듈(200)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클리너 모듈(100)은 플랜지(170)와 연결될 수 있다. 플랜지(170)의 일부는 클리너 모듈(100)의 내면 일부와 연결되고 일부는 폐윤활제 제거 모듈(200)에 삽입된다. 즉, 플랜지(170)의 일부는 클리너 모듈(100)과 나사 결합 등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결합되고 일부는 폐윤활제 제거 모듈(200)에 삽입되므로 폐윤활제 제거 모듈(2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클리너 모듈(100)은 와이어 로프(W)의 이동에 의하여 와이어 로프(W)의 꼬임방향을 따라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클리너 모듈(100)이 회전하면 일체로 연결된 플랜지(170)도 함께 회전할 수 있으므로 폐윤활제 제거 모듈(200)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클리너 모듈(100)은 와이어 로프(W)의 꼬임 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기존에 도포된 윤활제를 효과적으로 벗겨낼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10)의 폐윤활제 제거 모듈(200) 및 윤활제 도포 모듈(3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윤활제 제거 모듈(200)과 윤활제 도포 모듈(300)은 한 쌍의 반원통(3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반원통(310)은 힌지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하며 한 쌍의 반원통(310)을 체결고리(311, 312)에 의해 결합하면 원통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윤활제 도포 작업을 하기 위해서 와이어 로프(W)의 특정 지점에 윤활제 도포 모듈(300)의 반원통(310)을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폐윤활제 제거 모듈(200)에는 와이어 로프(W)가 수용된 방향으로 공기가 분사되는 에어 분사 노즐(210)이 구비될 수 있다. 에어 분사 노즐(210)은 에어 주입 호스(20)에 의하여 에어 컴프레셔(C)와 연결된다. 클리너 모듈(100)에 의해 와이어 로프(W) 표면에 오래된 윤활제가 벗겨지게 되고 에어 분사 노즐(210)을 통해 일정 압력의 공기가 분사되면 와이어 로프(W) 표면에서 완전히 제거된다.
윤활제 도포 모듈(3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320)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320)는 윤활제가 도포되는 와이어 로프(W)가 윤활제 도포 모듈(300)의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320)는 내부에 수용된 와이어 로프(W)를 고정하는 가이드 날개(321) 및 가이드 날개(321)를 조작하는 가이드 구동수단(322)을 구비할 수 있다. 즉, 가이드(320)는 클리너 모듈(100)과 동일하게 조리개 원리를 이용하여 내부에 수용되는 와이어 로프(W)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와이어 로프(W)의 직경에 맞도록 구동수단에 의해 가이드 날개(321)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직경의 와이어 로프(W)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가이드 구동수단(322)은 각 가이드(320) 마다 별개로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의 가이드(320)를 한번에 조절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가이드(320)와 연결된 가이드 구동수단(322)이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윤활제 도포 모듈(300)에는 윤활제가 주입되는 윤활제 주입구(313)가 구비될 수 있다. 윤활제 주입구(313)는 윤활제 주입 호스(40)를 통해 외부의 윤활제 주입 펌프(P) 등과 연결되어 윤활제가 주입될 수 있다. 윤활제 도포 모듈(300)의 내면에는 주입된 윤활제를 와이어 로프(W) 표면에 고르게 도포하기 위하여 노즐 브러쉬(330)가 구비될 수 있다. 윤활제가 와이어 로프(W) 주위에 주입되면 노즐 브러쉬(330)에 의하여 와이어 로프(W) 표면에 골고루 도포될 수 있다.
도 6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10)의 필터모듈(400)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10)의 필터모듈(400)을 작동시키는 구동장치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필터모듈(400)은 윤활제 도포 모듈(30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모듈(400)은 클리너 모듈(100), 가이드와 동일하게 조리개 원리를 이용하여 와이어 로프(W)를 수용하게 된다. 필터모듈(400)은 필터 날개(410), 필터 고정링(470), 필터 조작기어(430), 필터 하우징(4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모듈(400)은 과다하게 도포된 윤활제를 브러슁(brushing)하여 적절한 양의 윤활제가 와이어 로프(W)에 도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필터모듈(400)의 필터 날개(410)가 와이어 로프(W)에 맞닿은 상태에서 와이어 로프(W)가 이동하면 와이어 로프(W)의 표면에 과다하게 도포된 윤활제를 닦게 된다. 닦여진 윤활제는 윤활제 도포모듈의 윤활제 배출구(31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윤활제 배출구(314)는 윤활제 배출 호수에 의하여 수거통(B)과 연결되어 배출된 윤활제는 수거통(B)으로 모이게 된다. 사용자는 윤활제 배출 호수를 통해 배출되는 윤활제의 양을 보고 윤활제가 과다하게 투입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윤활제의 적정한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필터 날개(410)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힌지 구멍이 구비되고 복수개의 필터 날개(410)는 힌지 구멍에 의해 상호간 힌지 결합된다. 필터 날개(410)들을 결합하면 가운데 와이어 로프(W)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와이어 로프(W)의 직경에 맞게 조리개 원리에 따라 필터 날개(4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필터 날개(410)의 전면에는 필터 고정링(470)이 배치되어 필터 날개(410)와 연결됨으로써 필터 날개(410)를 고정시키고, 필터 날개(410)의 후면에는 필터 날개(410)가 회동하는 홈이 구비된 필터 조작기어(430)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 하우징(460)은 필터 조작기어(430)가 수용되어 필터 고정링(470)과 연결될 수 있다.
필터 조작기어(430)는 필터 날개(410)들이 연결된 링, 링의 바깥 표면에 형성된 요철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 모듈은 필터 조작기어(430)에 형성된 요철에 맞물리는 필터 베벨기어(440), 상기 필터 베벨기어(440)와 연결되어 필터 베벨기어(440)를 조작할 수 있는 필터 구동수단(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구동수단(450)을 회전하면 연결된 필터 베벨기어(440)가 회전하고, 필터 베벨기어(440)와 연결된 필터 조작기어(430)가 회전하면서 필터 날개(410)가 회동함으로써 수용공간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필터 구동수단(450)을 정회전 하면 수용공간의 직경이 증가하고, 역회전 하면 수용공간의 직경이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이로써 필터 모듈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의 직경을 조절하여 와이어 로프(W)의 직경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직경의 와이어 로프(W)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을 갖게 된다.
필터 구동수단(450)은 필터 베벨기어(440)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어떠한 수단이라도 가능하다.
조리개 날개의 재질은 고무,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10)의 구성 중 클리너 모듈(100), 가이드(320), 필터모듈(400)은 모두 조리개 원리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W: 와이어 로프 C: 에어 컴프레셔
B: 수거통 P: 윤활제 주입 펌프
10: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
20: 에어 주입 호스 30: 폐윤활제 배출 호스
40: 윤활제 주입 호스 50: 윤활제 배출 호스
100: 클리너 모듈 110: 클리너 날개
120: 클리너 브러쉬 130: 클리너 조작기어
140: 클리너 베벨기어 150: 클리너 구동수단
160: 클리너 하우징 170: 플랜지
180: 클리너 고정링 200: 폐윤활제 제거 모듈
210: 에어 분사 노즐 220: 폐윤활제 배출구
300: 윤활제 도포 모듈 310: 반원통
311, 312: 체결고리 313: 윤활제 주입구
314: 윤활제 배출구 320: 가이드
321: 가이드 날개 322: 가이드 구동수단
330: 노즐 브러쉬 400: 필터모듈
410: 필터 날개 420: 수용공간
430: 필터 조작기어 440: 필터 베벨기어
450: 필터 구동수단 460: 필터 하우징
470: 필터 고정링

Claims (11)

  1. 와이어 로프에 윤활제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복수의 클리너 날개 및 상기 클리너 날개가 상기 와이어 로프와 맞닿는 면에 구비된 브러쉬를 포함하고, 조리개 원리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 로프를 직경에 맞도록 고정하여 상기 와이어 로프 표면의 오래된 윤활제를 제거하는 클리너 모듈;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 컴프레셔(air compressor)와 연결되어 일정 압력의 공기가 분사되는 에어 분사 노즐 및 제거된 윤활제가 배출되는 폐윤활제 배출구를 포함하는 폐윤활제 제거 모듈;
    일단은 상기 클리너 모듈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폐윤활제 제거 모듈에 삽입되어 상기 클리너 모듈을 상기 폐윤활제 제거 모듈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는 플랜지;
    윤활제가 주입되는 윤활제 주입구, 상기 와이어 로프에 도포되지 않은 남은 윤활제가 배출되는 윤활제 배출구를 포함하여 내부에 수용된 상기 와이어 로프에 윤활제를 도포하는 윤활제 도포 모듈;
    상기 와이어 로프에 과다한 윤활유의 도포를 방지하기 위하여 와이어 로프를 브러슁(brushing) 하는 필터모듈; 및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와 무선통신하여 윤활제 도포 작업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모듈은,
    일정 곡면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 구멍이 구비되며 내주면에 상기 와이어 로프를 수용할 수 있는 복수개의 필터 날개;
    상기 필터 날개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 날개가 연결되는 고정링;
    상기 필터 날개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 날개가 회동하는 홈이 구비된 필터 조작기어; 및
    상기 필터 조작기어가 수용되는 필터 하우징;
    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필터 날개들은 힌지 구멍에 의해 상호간 힌지 결합되어 가운데 상기 와이어 로프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 날개는 일정 곡면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힌지 구멍이 구비되며 내주면에 상기 와이어 로프를 수용할 수 있고,
    상기 클리너 모듈은,
    상기 클리너 날개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클리너 날개가 연결되는 클리너 고정링;
    상기 클리너 날개의 후면에 배치되어 상기 클리너 날개가 회동하는 홈이 구비된 클리너 조작기어; 및
    상기 클리너 조작기어가 수용되는 클리너 하우징;
    으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클리너 날개들은 힌지 구멍에 의해 상호간 힌지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 로프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 조작기어는,
    상기 클리너 날개들이 연결된 링; 및
    상기 링의 바깥 표면에 형성된 요철;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 모듈은,
    상기 요철에 맞물리는 클리너 베벨기어; 및
    상기 클리너 베벨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클리너 베벨기어를 조작하는 클리너 구동수단;
    을 더 포함하여, 상기 클리너 구동수단을 정회전 하면 상기 클리너 조작기어가 회전하여 상기 클리너 날개들이 구동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의 직경이 증가하고, 역회전 하면 상기 수용공간의 직경이 감소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윤활제 제거 모듈 및 상기 윤활제 도포 모듈은,
    상호 힌지결합된 한 쌍의 반원통으로 구성되고 체결고리에 의해 결합하여 원통을 형성하여 내부에 상기 와이어 로프가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제 도포 모듈은,
    상기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및
    내부에 수용된 상기 와이어 로프의 주위에 주입된 윤활제를 고르게 도포하기 위한 노즐 브러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내부에 수용된 상기 와이어 로프를 고정하는 가이드 날개; 및
    상기 가이드 날개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날개를 조작하는 구동수단;
    으로 구성되어 와이어 로프의 직경에 맞게 상기 가이드 날개를 조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조작기어는,
    상기 필터 날개들이 연결된 링; 및
    상기 링의 바깥 표면에 형성된 요철;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모듈은,
    상기 요철에 맞물리는 필터 베벨기어; 및
    상기 필터 베벨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필터 베벨기어를 조작하는 필터 구동수단;
    을 더 포함하여, 상기 필터 구동수단을 정회전 하면 상기 필터 조작기어가 회전하여 상기 필터 날개들이 구동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의 직경이 증가하고, 역회전 하면 상기 수용공간의 직경이 감소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


  11. 삭제
KR1020190088041A 2019-07-22 2019-07-22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 KR102231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041A KR102231264B1 (ko) 2019-07-22 2019-07-22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8041A KR102231264B1 (ko) 2019-07-22 2019-07-22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101A KR20210011101A (ko) 2021-02-01
KR102231264B1 true KR102231264B1 (ko) 2021-03-23

Family

ID=74571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041A KR102231264B1 (ko) 2019-07-22 2019-07-22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2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2958B1 (ko) 2022-10-25 2023-03-22 미르이엔지 주식회사 선박용 도삭기 커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731B1 (ko) * 2009-12-28 2010-09-03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와이어로프의 그리스 자동세척 및 도포장치
CN106586832A (zh) * 2017-01-23 2017-04-26 武汉理工大学 一种起重机钢丝绳润滑装置
KR101747857B1 (ko) * 2016-02-29 2017-06-19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스크레이퍼를 구비한 와이어로프의 이동식 세척 및 진단시스템
CN107420727A (zh) * 2017-05-27 2017-12-01 蛇口集装箱码头有限公司 一种岸边集装箱起重机钢丝绳自动润滑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7321B2 (en) * 2007-02-08 2011-03-15 Canon Kabushiki Kaisha Light-amount adjusting apparatus, optical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light-amount adjusting apparatus
KR102042694B1 (ko) 2017-11-24 2019-11-08 주식회사 포스코 와이어로프 급지 장치 및 급지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731B1 (ko) * 2009-12-28 2010-09-03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와이어로프의 그리스 자동세척 및 도포장치
KR101747857B1 (ko) * 2016-02-29 2017-06-19 수자원기술 주식회사 스크레이퍼를 구비한 와이어로프의 이동식 세척 및 진단시스템
CN106586832A (zh) * 2017-01-23 2017-04-26 武汉理工大学 一种起重机钢丝绳润滑装置
CN107420727A (zh) * 2017-05-27 2017-12-01 蛇口集装箱码头有限公司 一种岸边集装箱起重机钢丝绳自动润滑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1101A (ko) 202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1264B1 (ko) Ict 기능을 적용한 와이어 로프 윤활제 공급 장치
CN105605393A (zh) 一种钢丝绳润滑装置
CN201305753Y (zh) 绣花机中旋梭的润滑机构
DE202009013337U1 (de) Spritzpistole mit drehbarer gebogener Röhre
CN111762660A (zh) 一种智能电梯运行拽引钢丝绳日常维护处理方法
KR100695804B1 (ko) 트렌치 벽 절단기
CN112846251A (zh) 数控机床用传动主轴
KR101626511B1 (ko)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US6098755A (en) Brushing device for lubricating and cleaning guide and/or drive elements
CN108584744B (zh) 一种绞车钢丝绳自动加油装置
CN107420727A (zh) 一种岸边集装箱起重机钢丝绳自动润滑装置及方法
US4383345A (en) Hand-held buffing-polishing machine
CN211112342U (zh) 一种化纤丝用上油装置
CN117230646A (zh) 一种钢丝绳放劲、涂油保养设备
CN110731604A (zh) 炮筒除铜刷
CN110735259A (zh) 一种棉纱喷染装置
CN107350187B (zh) 一种钢丝绳清洗设备
KR101271628B1 (ko) 베어링 구조체
CN210106427U (zh) 一种轴承端盖
CN207887402U (zh) 用于钻杆丝扣的丝扣油喷涂机构
CN110081135A (zh) 一种针梳机齿形带传动结构
KR20150060168A (ko)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윤활을 위한 오일 분사식 윤활 시스템 및 그 방법
CN217800990U (zh) 一种光纤陶瓷插芯倒角祛胶装置
CN207013226U (zh) 自动洗缆机
CN209359896U (zh) 涂料自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