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511B1 -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511B1
KR101626511B1 KR1020150169894A KR20150169894A KR101626511B1 KR 101626511 B1 KR101626511 B1 KR 101626511B1 KR 1020150169894 A KR1020150169894 A KR 1020150169894A KR 20150169894 A KR20150169894 A KR 20150169894A KR 101626511 B1 KR101626511 B1 KR 101626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ubricating oil
universal joint
cross
cross k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인수
이상필
김효석
김수군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69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5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14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the lubricant being conveyed from the reservoir by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9/00Special means in lubricating arrangements or systems providing for the indication or detection of undesired conditions; Use of devices responsive to conditions in lubricating arrangeme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14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the lubricant being conveyed from the reservoir by mechanical means
    • F16N7/16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the lubricant being conveyed from the reservoir by mechanical means the oil being carried up by a lift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니버설 조인트의 크로스 킷에 쉽게 장착하여 크로스 킷 내부로 윤활유를 자동 공급할 수 있으며, 윤활유 재활용이 가능하고, 공급 가능한 윤활유의 잔량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는, 2개의 요크 사이에 끼워져 일정한 각도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십자(+) 형태의 크로스 킷을 구비한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킷 내부의 윤활유 통로와 연통되는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크로스 킷의 외면에 결합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주입구와 연통되며 내부에 윤활유가 저장되는 저장챔버를 구비하여, 상기 크로스 킷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저장챔버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저장챔버 내의 윤활유를 주입구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판과; 상기 하우징에 대해 가압판에 주입구 쪽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Appratus for Automatically Feeding Lubrication Oil in Universal Joint}
본 발명은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크로스 킷(cross kit)(일명 '십자축' 또는 'journal cross assembly'라고도 함) 부품 내측에 자동으로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는 윤활유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니버설 조인트란 두 축이 비교적 떨어진 위치에 있거나 이 두 축의 각도가 유동적일 경우에 이 두 축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동력전달장치이다. 현재 시중에 생산 판매되어지는 유니버설 조인트는 산업현장에서 동력전달이 필요한 대부분의 기계시스템에 주로 사용되며, 특히 제철소에서 후판, 열연 등 이송을 위한 컨베어에 널리 사용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작업장은 일반적으로 작업 공간이 협소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큰 곳이 많다.
통상의 유니버설 조인트는 '+' 형태의 크로스 킷(cross kit) 부품이 스냅 링에 의하여 플랜지 요크(flange yoke)에 고정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냅 링의 역할은 크로스 킷이 일정 자세를 유지하면서 동력전달을 할 수 있게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크로스 킷의 십자 형태로 된 끝단부는 회전가능한 니들베어링이 포함된 캡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유니버설 조인트는 니들베어링이나 기타 회전부위에 마모가 발생하거나 그 마모로 인해 소음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리스 등의 윤활유의 충진이 필수적이고 일정한 주기 또는 수시로 보충을 해주어야 한다. 제철소 등에서는 이 윤활유의 교체는 전체 시스템(작업)을 정지한 후 윤활유 주입구를 통하여 윤활유를 주입한다.
하지만 전술한 것과 같이, 유니버설 조인트가 제철소의 후판, 열연 강판 등의 이송에 사용되는 경우 작업 공간이 협소하여 작업이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지며, 작업중단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등록실용 제20-0419323호 등에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크로스 킷 부품에 윤활유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윤활유 공급장치(급유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유니버설 조인트 윤활유 공급장치는 대부분 유니버설 조인트의 연결축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윤활유를 저장하거나 호스를 통해 외부에서 윤활유를 공급받을 수 있는 용기를 설치하고, 상기 용기의 윤활유를 요크를 통과하는 공급관을 통해 크로스 킷 내부로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종래에 개발된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실제 적용이 어렵고, 한 번 사용 후 재활용이 안되어 저장된 윤활유의 사용이 종료되면 다시 윤활유 공급장치를 분리하여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윤활유의 사용 상태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공급장치의 교체 시기를 알 수 없어 윤활유가 모두 소진된 상태에서 계속 유니버설 조인트를 사용하여 유니버설 조인트가 파손되거나 소음, 진동이 심하게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 제20-0419323호(2006년 06월 13일 등록)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29741호(1999년 07월 26일 공개) 등록특허 제10-0428192호(2004년 04월 09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니버설 조인트의 크로스 킷에 쉽게 장착하여 크로스 킷 내부로 윤활유를 자동 공급할 수 있으며, 재활용이 가능하여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공급 가능한 윤활유의 잔량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는, 2개의 요크 사이에 끼워져 일정한 각도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십자(+) 형태의 크로스 킷을 구비한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킷 내부의 윤활유 통로와 연통되는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크로스 킷의 외면에 결합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주입구와 연통되며 내부에 윤활유가 저장되는 저장챔버를 구비하여, 상기 크로스 킷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저장챔버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저장챔버 내의 윤활유를 주입구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판과; 상기 하우징에 대해 가압판에 주입구 쪽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따른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는, 2개의 요크 사이에 끼워져 일정한 각도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십자(+) 형태의 크로스 킷을 구비한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킷 내부의 윤활유 통로와 연통되는 주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크로스 킷의 외면에 결합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주입구와 연통되며 내부에 윤활유가 저장되는 저장챔버를 구비하여, 상기 크로스 킷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저장챔버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저장챔버 내의 윤활유를 주입구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판과; 상기 하우징에 대해 가압판에 주입구 쪽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접속부의 반대편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해 상기 가압판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가 감겨지는 스풀과; 상기 하우징의 접속부와 인접한 부분에 저장챔버 내부의 윤활유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기 위해 설치되는 투명한 윈도우와; 상기 하우징을 크로스 킷과 분리했을 때 상기 접속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주입구를 폐쇄하는 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챔버 내의 윤활유가 소진되어 가압판이 주입구와 인접한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와이어를 당김으로써 가압판이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니버설 조인트의 크로스 킷의 외면에 하우징을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여 크로스 킷 내부의 윤활유 통로로 윤활유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윤활유 공급을 위해 유니버설 조인트가 연결된 장비의 가동을 중단하는 일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윤활유의 주입이 매우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에 형성된 투명한 윈도우를 통해 하우징 내부의 윤활유의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윤활유 공급장치의 교체 시기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윤활유가 모두 소진된 상태에서 유니버설 조인트가 장시간 동안 동작하여 유니버설 조인트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윤활유 공급장치의 하우징 내의 윤활유를 모두 소진한 다음, 하우징을 크로스 킷에서 분리하고 와이어를 이용하여 가압판을 후방으로 당겨서 복귀시킴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윤활유 공급장치의 교체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윤활유 공급장치가 적용된 유니버설 조인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공급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윤활유 공급장치의 작동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공급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공급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윤활유 공급장치가 적용된 유니버설 조인트를 나타낸 것으로, 유니버설 조인트(1)는 구동축(2)에 위치하는 요크(4)의 결합공(6)과 종동축(3)에 위치하는 요크(4)의 결합공(6)에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로스 킷(10)(cross kit)을 포함한다. 상기 2개의 요크(4) 중 어느 하나는 축에 연결되지 않고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또는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부의 부품에 연결되는 플랜지 요크(flange yoke)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크로스 킷(10)은 상기 요크(4)의 결합공(6)에 삽입되도록 사방으로 뻗은 원통형의 축결합부(11a)를 갖는 십자 형태의 크로스 킷 본체(10)('스파이더'라고도 함)와, 상기 크로스 킷 본체(11)의 축결합부(11a)의 외측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니들베어링(17)을 매개로 결합되어 회전하는 캡(15)과, 상기 캡(15)이 상기 요크(4)의 결합공(6)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공(6)의 내주면에 형성된 스냅홈(7)에 끼움고정되어 일측면이 캡(5)에 접촉되는 스냅링(21), 및 캡(15) 내의 오일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일실(2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크로스 킷 본체(11)의 내부에는 윤활유가 저장 및 이동하는 윤활유 통로(12)가 상기 축결합부(11a)의 내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크로스 킷 본체(11)의 중앙부에는 상기 윤활유 통로(12)의 중앙부와 연통되는 입구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입구부(13)의 내주면에는 본 발명의 윤활유 공급장치와의 결합을 위하여 나사산(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크로스 킷(10)의 일면에는 상기 입구부(13)를 통해 윤활유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윤활유 공급장치(10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윤활유 공급장치(100)는 상기 2개의 요크(4) 중 어느 하나와 크로스 킷(10) 사이의 공간에서 크로스 킷(10)의 일면에 결합되어 크로스 킷(10) 내부의 윤활유 통로(12)로 윤활유를 점진적으로 자동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윤활유 공급장치(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통형상의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구성되어 윤활유를 외측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수행하는 가압판(120)과 탄성부재(130), 상기 하우징(110)의 후방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와이어(140), 상기 하우징(110)의 후방면에 설치된 와이어 권취용 고정스풀(150), 상기 하우징(110)을 크로스 킷(10)과 분리했을 때 상기 접속부(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주입구(112)를 폐쇄하는 마개(160)(도 1 참조) 등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10)은 속이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전방면에는 상기 크로스 킷 본체(11)의 입구부(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속부(1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111)의 중심부에는 상기 크로스 킷 본체(11) 내에 형성된 윤활유 통로(12)와 연통되는 주입구(112)가 전후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은 윤활유가 저장되는 저장챔버(113)를 이루며, 상기 저장챔버(113)는 상기 접속부(111)의 주입구(112)와 연통된다.
상기 접속부(111)의 외면에는 상기 입구부(13)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선 결합되면서 착탈될 수 있도록 나사산(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접속부(111)와 인접한 부분, 즉 하우징(110)의 전방부에는 저장챔버(113) 내부의 윤활유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기 위한 투명한 윈도우(115)가 설치된다. 상기 윈도우(115)는 투명한 수지 또는 유리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가압판(120)은 상기 저장챔버(113)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원반형으로 되어, 저장챔버(113)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저장챔버(113) 내의 윤활유를 주입구(112) 쪽으로 가압하여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가압판(120)의 테두리 부분에는 하우징(110)의 내면과 밀착되면서 윤활유가 가압판(120)의 테두리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재(125)가 설치된다. 상기 실링재(125)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유연한 수지로 된 오링(O-ring)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30)는 상기 하우징(110)에 대해 가압판(120)에 주입구(112) 쪽으로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가압판(120)이 윤활유를 주입구(112) 쪽으로 밀어내게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탄성부재(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우징(110)의 후방면과 가압판(120)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거나,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하우징(110)의 전방면과 가압판(120)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인장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후방면 중앙에는 상기 와이어(140)가 통과하는 관통공(1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140)는 가압판(120)의 후방면 중앙에 결합된다. 따라서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상기 와이어(140)를 당기면 가압판(120)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되어 재활용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에 위치하는 와이어(140)의 일단부에는 와이어(140)를 고정스풀(150)에 감았을 때 고정스풀(150)에 걸려서 고정되는 걸림편(142)이 구비되어, 와이어(140)가 고정스풀(150)에 완전히 감긴 후 걸림편(142)을 고정스풀(150)에 걸어서 고정하여 와이어(140)가 풀리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걸림편(142)은 관통공(114)보다는 큰 크기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와이어(140)가 하우징(110) 내측으로 딸려 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재활용을 위해 와이어(140)를 당길 경우에는 사용자가 걸림편(142)을 잡아 당김으로써 더욱 쉽게 와이어(140)에 당기는 힘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140)는 상기 하우징(110)의 후방면 외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스풀(150)에 감겨진다. 따라서, 윤활유 공급장치(100)를 크로스 킷(10)에 결합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와이어(140)를 고정스풀(150)에 감아서 가압판(120)이 하우징(110)의 후방에서 전진하지 않게 하고, 윤활유 공급장치(100)를 크로스 킷(10)에 결합하여 사용할 때에 와이어(140)를 고정스풀(150)에서 풀어서 가압판(120)이 자유롭게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와 다르게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우징(110)의 후방면에 와이어(140)가 감겨지는 회전스풀(151)을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면, 가압판(120)이 하우징(110)의 전방으로 이동할 때 와이어(140)가 점차적으로 회전스풀(151)에서 풀리면서 가압판(120)이 자연스럽게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가압판(120)이 하우징(110)의 최전방으로 이동하여 윤활유가 소진되었을 때 회전스풀(151)을 회전시키면 와이어(140)가 회전스풀(151)에 감기면서 가압판(120)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편리하게 가압판(120)을 하우징(110)의 후방으로 복귀시켜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스풀(151)의 끝단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돌리기 용이하도록 손잡이(152)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마개(160)는 상기 하우징(110)을 크로스 킷(10)과 분리했을 때 상기 접속부(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주입구(112)를 폐쇄하여 윤활유가 외부로 누출되는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마개(160)의 내주면에는 접속부(111) 외면의 나사산과 나선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윤활유 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하우징(110) 내부에 윤활유가 가득 채워진 상태에서 하우징(110)의 마개(160)를 돌려서 접속부(111)에서 분리한 다음, 하우징(110)의 접속부(111)를 크로스 킷 본체(11)의 입구부(13)에 나선 결합시켜 고정한다.
그리고, 하우징(110) 후방의 고정스풀(150)에 감겨진 와이어(140)를 풀어서 가압판(120)이 이동 가능하게 하면, 가압판(120)이 탄성부재(130)의 탄성력을 받아서 전방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하면서 저장챔버(113) 내의 윤활유를 주입구(112)를 통해 크로스 킷 본체(11)의 윤활유 통로(12) 내측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윤활유 공급장치는 크로스 킷(10)의 외면에 하우징(110)을 장착하여 크로스 킷(10) 내부의 윤활유 통로(12)로 윤활유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윤활유 공급을 위해 유니버설 조인트가 연결된 장비의 가동을 중단하는 일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윤활유의 주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것과 같이 윤활유 공급장치(100)를 크로스 킷(10)의 외측에 장착하여 윤활유를 자동 공급하는 과정에서 하우징(110)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투명한 윈도우(115)를 통해 육안으로 저장챔버(113) 내부의 윤활유의 잔량을 확인하여 윤활유 공급장치(100)의 교체 및 재주입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윤활유 공급장치(100)의 하우징(110) 내부의 윤활유가 모두 소진될 경우, 하우징(110)을 돌려서 접속부(111)를 크로스 킷 본체(11)의 입구부(13)에서 분리한다. 그리고, 와이어(140)를 당겨서 가압판(120)을 하우징(110)의 저장챔버(113)의 최후방으로 이동시켜 저장챔버(113) 내의 공간을 확보한 다음, 주입구(112)를 통해 새로운 윤활유를 공급하여 저장챔버(113) 내측에 가득 채우고, 마개(160)를 접속부(111)에 결합시켜 주입구(112)를 폐쇄한다. 이로써 윤활유 공급장치(100)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윤활유 공급장치(100)를 크로스 킷(10)에서 분리한 후에는 새로 윤활유가 채워진 윤활유 공급장치(100)를 전술한 것과 같이 크로스 킷(10)에 장착하여 사용하면 크로스 킷(10)의 윤활유 통로(12) 내부로 다시 윤활유가 자동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4 : 요크 10 : 크로스 킷
11 : 크로스 킷 본체 12 : 윤활유 통로
13 : 입구부 15 : 캡
100 : 윤활유 공급장치 110 : 하우징
111 : 접속부 112 : 주입구
113 : 저장챔버 115 : 윈도우
120 : 가압판 125 : 실링재
130 : 탄성부재 140 : 와이어
142 : 걸림편 150 : 고정스풀
151 : 회전스풀 160 : 마개

Claims (11)

  1. 2개의 요크(4) 사이에 끼워져 일정한 각도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십자(+) 형태의 크로스 킷(10)을 구비한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킷(10) 내부의 윤활유 통로(12)와 연통되는 주입구(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크로스 킷(10)의 외면에 결합되는 접속부(111)와, 상기 접속부(111)의 주입구(112)와 연통되며 내부에 윤활유가 저장되는 저장챔버(113)를 구비하여, 상기 크로스 킷(10)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형상의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저장챔버(113)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저장챔버(113) 내의 윤활유를 주입구(112)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판(120)과;
    상기 하우징(110)에 대해 가압판(120)에 주입구(112) 쪽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130)와;
    상기 하우징(110)의 접속부(111)의 반대편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공(114)을 통해 상기 가압판(120)에 연결되는 와이어(140)와;
    상기 하우징(110)의 외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140)가 외면에 감겨지는 고정스풀(15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상기 와이어(140)를 당김으로써 가압판(120)이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에 위치하는 와이어(140)의 일단부에는 상기 고정스풀(150)에 걸려져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편(142)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14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회전스풀(15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접속부(111)와 인접한 부분에 저장챔버(113) 내부의 윤활유 잔량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기 위한 투명한 윈도우(11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을 크로스 킷(10)과 분리했을 때 상기 접속부(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주입구(112)를 폐쇄하는 마개(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킷(10)의 윤활유 통로(12)의 입구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10)의 접속부(111)에 상기 윤활유 통로(12)의 나사산에 나선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 간의 결합에 의해 하우징(110)이 크로스 킷(10)에 결합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120)의 테두리 부분에는 하우징(110)의 내면과 밀착되면서 윤활유가 가압판(120)의 테두리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재(12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10. 2개의 요크(4) 사이에 끼워져 일정한 각도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십자(+) 형태의 크로스 킷(10)을 구비한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킷(10) 내부의 윤활유 통로(12)와 연통되는 주입구(112)가 형성되어 있으며 크로스 킷(10)의 외면에 결합되는 접속부(111)와, 상기 접속부(111)의 주입구(112)와 연통되며 내부에 윤활유가 저장되는 저장챔버(113)를 구비하여, 상기 크로스 킷(10)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형상의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저장챔버(113)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저장챔버(113) 내의 윤활유를 주입구(112)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판(120)과;
    상기 하우징(110)에 대해 가압판(120)에 주입구(112) 쪽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130)와;
    상기 하우징(110)의 접속부(111)의 반대편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공(114)을 통해 상기 가압판(120)에 연결되는 와이어(140)와;
    상기 하우징(110)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140)가 감겨지는 스풀과;
    상기 하우징(110)의 접속부(111)와 인접한 부분에 저장챔버(113) 내부의 윤활유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기 위해 설치되는 투명한 윈도우(115)와;
    상기 하우징(110)을 크로스 킷(10)과 분리했을 때 상기 접속부(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주입구(112)를 폐쇄하는 마개(160)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챔버(113) 내의 윤활유가 소진되어 가압판(120)이 주입구(112)와 인접한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상기 와이어(140)를 당김으로써 가압판(120)이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하우징(110)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KR1020150169894A 2015-12-01 2015-12-01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KR101626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894A KR101626511B1 (ko) 2015-12-01 2015-12-01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894A KR101626511B1 (ko) 2015-12-01 2015-12-01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6511B1 true KR101626511B1 (ko) 2016-06-01

Family

ID=56138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894A KR101626511B1 (ko) 2015-12-01 2015-12-01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5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318B1 (ko) * 2016-11-10 2017-10-2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KR101879774B1 (ko) * 2016-12-28 2018-07-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KR102061808B1 (ko) 2018-03-29 2020-01-0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심력을 이용한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CN112128601A (zh) * 2020-09-27 2020-12-25 占林峰 一种离心式钻头测量仪器注油机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9741A (ko) 1997-09-29 1999-04-26 갈라스 윌리엄 이 금 도금되는 땜납 재료와 땜납을 이용하여 플럭스 없이 납땜하는 방법
KR19990029741U (ko) * 1997-12-29 1999-07-26 정몽규 반영구적인 프로펠러 샤프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KR19990040907U (ko) * 1998-05-11 1999-12-06 이주호 그리스 주입기
KR200280573Y1 (ko) * 2002-03-25 2002-07-04 윤우종 주유소 기름탱크 유량측량장치
KR100428192B1 (ko) 2002-04-10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동력전달축의 윤활유 자동공급장치
KR200419323Y1 (ko) 2006-03-20 2006-06-19 이종석 유니버셜 조인트의 윤활유 급유장치
KR200434928Y1 (ko) * 2006-09-20 2007-01-02 오수정 그리스 주입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9741A (ko) 1997-09-29 1999-04-26 갈라스 윌리엄 이 금 도금되는 땜납 재료와 땜납을 이용하여 플럭스 없이 납땜하는 방법
KR19990029741U (ko) * 1997-12-29 1999-07-26 정몽규 반영구적인 프로펠러 샤프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KR19990040907U (ko) * 1998-05-11 1999-12-06 이주호 그리스 주입기
KR200280573Y1 (ko) * 2002-03-25 2002-07-04 윤우종 주유소 기름탱크 유량측량장치
KR100428192B1 (ko) 2002-04-10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동력전달축의 윤활유 자동공급장치
KR200419323Y1 (ko) 2006-03-20 2006-06-19 이종석 유니버셜 조인트의 윤활유 급유장치
KR200434928Y1 (ko) * 2006-09-20 2007-01-02 오수정 그리스 주입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318B1 (ko) * 2016-11-10 2017-10-2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KR101879774B1 (ko) * 2016-12-28 2018-07-1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KR102061808B1 (ko) 2018-03-29 2020-01-0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심력을 이용한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CN112128601A (zh) * 2020-09-27 2020-12-25 占林峰 一种离心式钻头测量仪器注油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713B1 (ko)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KR101626511B1 (ko)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US20230380707A1 (en) Swivel hose coupling with outer grip
US8402587B2 (en) Optical connector cleaning tool
US20090314143A1 (en) Screw band locking device
US9243748B2 (en) Grease gun with a quick-release end cover
EP3002496B1 (en) Grease gun
CN106062459A (zh) 安全封闭件和泵送系统
GB2555386A (en) Cleaning appliance
GB2554690A (en) Cleaning appliance
KR101879774B1 (ko)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WO2016158557A1 (ja) グリス塗布装置およびグリス塗布方法
KR101790318B1 (ko)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US3038768A (en) Lubricant-gun follower packing
US9151443B2 (en) Fluid holder and electromechanical lubricator employing same
KR102061808B1 (ko) 원심력을 이용한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CA2753256C (en) Fluid holder and electromechanical lubricator employing same
US3554324A (en) Grease injector fitment
KR200482773Y1 (ko) 그리스 건 노즐 개폐 장치
US2003107A (en) Lubricating device
KR200445454Y1 (ko) 직접 취부형 그리스 자동 주입 장치
CN211325293U (zh) 旋钮组件及医用吻合器
KR200485475Y1 (ko) T자형 니플 보호캡
KR101701831B1 (ko) 자동 그리스 주유장치
US20150075304A1 (en) Hand-operating starting device with clutch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