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713B1 -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713B1
KR101609713B1 KR1020150169922A KR20150169922A KR101609713B1 KR 101609713 B1 KR101609713 B1 KR 101609713B1 KR 1020150169922 A KR1020150169922 A KR 1020150169922A KR 20150169922 A KR20150169922 A KR 20150169922A KR 101609713 B1 KR101609713 B1 KR 101609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ubricating oil
hollow shaft
yoke
universal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인수
이상필
김효석
김지현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69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97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16Universal joints in which flexibility is produced by means of pivots or sliding or rolling connect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9/00Special means in lubricating arrangements or systems providing for the indication or detection of undesired conditions; Use of devices responsive to conditions in lubricating arrangeme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14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the lubricant being conveyed from the reservoir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니버설 조인트의 요크가 연결된 축 내부에 쉽게 장착하여 축 내부에서부터 윤활유를 인출하여 크로스 킷 내부의 윤활유 통로로 윤활유를 자동 공급할 수 있으며, 재활용이 가능하고, 공급 가능한 윤활유의 잔량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는, 중공축의 끝단에 연결된 요크와 축 또는 구조물과 연결된 요크 사이에 끼워져 일정한 각도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십자(+) 형태의 크로스 킷을 구비한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윤활유가 저장되는 저장챔버가 형성된 통 형상으로 되어 상기 요크와 연결된 중공축의 내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심부에 상기 저장챔버와 연통되어 윤활유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구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는 관접속부가 전방면에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과; 일단이 상기 관접속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크로스 킷 내부의 윤활유 통로와 연통되는 유연한 재질의 오일공급관과; 상기 하우징의 저장챔버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저장챔버 내의 윤활유를 전방의 토출구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판과; 상기 하우징에 대해 가압판에 전방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Appratus for Automatically Feeding Lubrication Oil in Universal Joint}
본 발명은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요크가 연결된 축의 내부에 설치되어 크로스 킷(cross kit)(일명 '십자축' 또는 'journal cross assembly'라고도 함) 내부의 윤활유 통로로 자동으로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는 윤활유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니버설 조인트란 두 축이 비교적 떨어진 위치에 있거나 이 두 축의 각도가 유동적일 경우에 이 두 축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동력전달장치이다. 현재 시중에 생산 판매되어지는 유니버설 조인트는 산업현장에서 동력전달이 필요한 대부분의 기계시스템에 주로 사용되며, 특히 제철소에서 후판, 열연 등 이송을 위한 컨베어에 널리 사용되어 지고 있다. 이러한 작업장은 일반적으로 작업 공간이 협소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큰 곳이 많다.
통상의 유니버설 조인트는 '+' 형태의 크로스 킷(cross kit) 부품이 스냅 링에 의하여 플랜지 요크(flange yoke)에 고정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냅 링의 역할은 크로스 킷이 일정 자세를 유지하면서 동력전달을 할 수 있게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크로스 킷의 십자 형태로 된 끝단부는 회전가능한 니들베어링이 포함된 캡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유니버설 조인트는 니들베어링이나 기타 회전부위에 마모가 발생하거나 그 마모로 인해 소음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리스 등의 윤활유의 충진이 필수적이고 일정한 주기 또는 수시로 보충을 해주어야 한다. 제철소 등에서는 이 윤활유의 교체는 전체 시스템(작업)을 정지한 후 윤활유 토출구를 통하여 윤활유를 주입한다.
하지만 전술한 것과 같이, 유니버설 조인트가 제철소의 후판, 열연 강판 등의 이송에 사용되는 경우 작업 공간이 협소하여 작업이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지며, 작업중단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등록실용 제20-0419323호 등에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크로스 킷 부품에 윤활유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윤활유 공급장치(급유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유니버설 조인트 윤활유 공급장치는 대부분 유니버설 조인트의 연결축의 내측 또는 외측에 윤활유를 저장하거나 호스를 통해 외부에서 윤활유를 공급받을 수 있는 용기를 설치하고, 상기 용기의 윤활유를 요크를 통과하는 공급관을 통해 크로스 킷 내부로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종래에 개발된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실제 적용이 어렵고, 한 번 사용 후 재활용이 안되어 저장된 윤활유의 사용이 종료되면 다시 윤활유 공급장치를 분리하여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윤활유의 사용 상태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공급장치의 교체 시기를 알 수 없어 윤활유가 모두 소진된 상태에서 계속 유니버설 조인트를 사용하여 유니버설 조인트가 파손되거나 소음, 진동이 심하게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 제20-0419323호(2006년 06월 13일 등록)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29741호(1999년 07월 26일 공개) 등록특허 제10-0428192호(2004년 04월 09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니버설 조인트의 요크가 연결된 축 내부에 쉽게 장착하여 축 내부에서부터 윤활유를 인출하여 크로스 킷 내부의 윤활유 통로로 윤활유를 자동 공급할 수 있으며, 재활용이 가능하여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급 가능한 윤활유의 잔량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는, 중공축의 끝단에 연결된 요크와 축 또는 구조물과 연결된 요크 사이에 끼워져 일정한 각도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십자(+) 형태의 크로스 킷을 구비한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윤활유가 저장되는 저장챔버가 형성된 통 형상으로 되어 상기 요크와 연결된 중공축의 내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심부에 상기 저장챔버와 연통되어 윤활유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구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는 관접속부가 전방면에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과; 일단이 상기 관접속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크로스 킷 내부의 윤활유 통로와 연통되는 유연한 재질의 오일공급관과; 상기 하우징의 저장챔버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저장챔버 내의 윤활유를 전방의 토출구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판과; 상기 하우징에 대해 가압판에 전방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따른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는, 중공축의 끝단에 연결된 요크와 축 또는 구조물과 연결된 요크 사이에 끼워져 일정한 각도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십자(+) 형태의 크로스 킷을 구비한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윤활유가 저장되는 저장챔버가 형성된 통 형상으로 되어 상기 요크와 연결된 중공축의 내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심부에 상기 저장챔버와 연통되어 윤활유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구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는 관접속부가 전방면에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과; 일단이 상기 관접속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크로스 킷 내부의 윤활유 통로와 연통되는 유연한 재질의 오일공급관과; 상기 하우징의 저장챔버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저장챔버 내의 윤활유를 전방의 토출구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판과; 상기 하우징에 대해 가압판에 전방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가압판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중공축의 측면에 개방되게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가 외면에 감겨지는 스풀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에 설치되는 투명한 내측 윈도우와; 상기 중공축에 상기 내측 윈도우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투명한 외측 윈도우와; 상기 오일공급관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크로스 킷 내부의 윤활유 통로의 입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 형태의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요크가 연결된 중공축의 내부에 윤활유가 채워진 하우징이 설치되고, 하우징과 연결된 오일공급관을 통해서 크로스 킷 내부의 윤활유 통로에 윤활유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윤활유 공급을 위해 유니버설 조인트가 연결된 장비의 가동을 중단하는 일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윤활유의 주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윤활유 공급장치의 하우징은 중공축 내부에 설치되므로 중공축의 직경과 길이에 대응하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대용량의 윤활유를 채워서 크로스 킷에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에 윤활유를 재급유하여 충전하는 주기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및 중공축에 형성된 투명한 내측 윈도우 및 외측 윈도우를 통해 하우징 내부의 윤활유의 잔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윤활유 충전 시기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윤활유가 모두 소진된 상태에서 유니버설 조인트가 장시간 동안 동작하여 유니버설 조인트가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윤활유 공급장치의 하우징 내의 윤활유를 모두 소진한 다음, 하우징을 축에서 분리하고 와이어를 이용하여 가압판을 후방으로 당겨서 복귀시킴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윤활유 공급장치의 교체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윤활유 공급장치가 적용된 유니버설 조인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공급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윤활유 공급장치의 작동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공급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윤활유 공급장치가 적용된 유니버설 조인트를 나타낸 것으로, 유니버설 조인트(1)는 구동축(2)에 위치하는 요크(4)의 결합공(6)과 종동축(3)에 위치하는 요크(4)의 결합공(6)에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크로스 킷(10)(cross kit)을 포함한다. 상기 2개의 요크(4) 중 어느 하나는 축에 연결되지 않고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또는 동력을 전달받는 종동부의 구조물에 연결되는 플랜지 요크(flange yoke)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크로스 킷(10)은 상기 요크(4)의 결합공(6)에 삽입되도록 사방으로 뻗은 원통형의 축결합부(11a)를 갖는 십자 형태의 크로스 킷 본체(10)('스파이더'라고도 함)와, 상기 크로스 킷 본체(11)의 축결합부(11a)의 외측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니들베어링(17)을 매개로 결합되어 회전하는 캡(15)과, 상기 캡(15)이 상기 요크(4)의 결합공(6)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공(6)의 내주면에 형성된 스냅홈(7)에 끼움고정되어 일측면이 캡(5)에 접촉되는 스냅링(21), 및 캡(15) 내의 오일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일실(2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크로스 킷 본체(11)의 내부에는 윤활유가 저장 및 이동하는 윤활유 통로(12)가 상기 축결합부(11a)의 내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크로스 킷 본체(11)의 중앙부에는 상기 윤활유 통로(12)의 중앙부와 연통되는 입구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입구부(13)의 외주면에는 본 발명의 윤활유 공급장치와의 결합을 위하여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크(4)와 연결된 구동축(2) 또는 종동축(3)은 속이 비어 있는 중공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공축(2 또는 3)의 내부에는 상기 크로스 킷 본체(11)의 입구부(13)를 통해 윤활유 통로(12) 내측으로 윤활유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윤활유 공급장치(100)가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공급장치(100)는, 통형상의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구성되어 윤활유를 외측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수행하는 가압판(120)과 탄성부재, 상기 하우징(110)의 후방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와이어(140), 상기 하우징(110)의 후방면에 설치된 와이어 권취용 고정스풀(150),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저장된 윤활유를 상기 크로스 킷(10)의 입구부(13)를 통해 윤활유 통로(12)로 공급하는 오일공급관(160) 등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10)은 속이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중공축(2 또는 3) 내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중공축(2 또는 3)의 내면과 상기 하우징(110)의 외면 사이에는 중공축(2 또는 3)에 대해 하우징(1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메인베어링(181)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전방면 중앙에는 상기 중공축(2 또는 3)의 일단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요크(4)의 내측 공간으로 돌출되며, 상기 오일공급관(160)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관접속부(111)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접속부(111)의 중심부에는 상기 저장챔버(113)와 연통되어 윤활유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구(112)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저장챔버(113) 내의 윤활유가 가압판(120)에 의해 전방으로 가압되어 토출구(112)를 통해 토출되면, 토출된 윤활유가 오일공급관(160)을 통해 크로스 킷(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관접속부(111)의 외면과 구멍의 내주면 사이에는 관접속부(11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보조베어링(182)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10)의 관접속부(111)와 인접한 부분, 즉 하우징(110)의 전방부에는 저장챔버(113) 내부의 윤활유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기 위한 투명한 내측 윈도우(115)가 설치되고, 상기 중공축(2 또는 3)에도 상기 내측 윈도우(115)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투명한 외측 윈도우(175)가 설치된다. 상기 내측 윈도우(115) 및 외측 윈도우(175)는 투명한 수지 또는 유리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필요시 중공축(2 또는 3)의 후단부를 통해서 외부로 분리가 가능하다.
상기 가압판(120)은 상기 저장챔버(113)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원반형으로 되어, 상기 저장챔버(113)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저장챔버(113) 내의 윤활유를 토출구(112) 쪽으로 가압하여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가압판(120)의 테두리 부분에는 하우징(110)의 내면과 밀착되면서 윤활유가 가압판(120)의 테두리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재(125)가 설치된다. 상기 실링재(125)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유연한 수지로 된 오링(O-ring)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110)에 대해 가압판(120)에 토출구(112) 쪽으로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가압판(120)이 윤활유를 토출구(112) 쪽으로 밀어내게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하우징(110)의 후방면과 가압판(120)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압축코일스프링(131)으로 구성되거나, 하우징(110)의 전방면과 가압판(120)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인장코일스프링(1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충전되는 윤활유의 점성이 크고 용량이 많을 경우에는 상기 가압판(120)이 윤활유를 밀어내는 힘이 커야 하므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압축코일스프링(131)과 인장코일스프링(132)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와 다르게 압축코일스프링(131)과 인장코일스프링(132) 중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후방면 중앙에는 상기 와이어(140)가 통과하는 관통공(1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140)는 가압판(120)의 후방면 중앙에 결합된다. 따라서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상기 와이어(140)를 당기면 가압판(120)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되어 재활용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와이어(140)를 당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중공축(2 또는 3)의 측면에 개구부(171)가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71)에는 개구부(171)를 개폐하는 도어(172)가 슬라이딩 이동 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와이어(140)를 당겨 가압판(120)을 복귀시켜 재활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도어(172)를 개구부(171)의 외측으로 슬라이딩시키거나 회전시켜 개구부(171)를 개방하고, 개구부(171)를 통해 손을 넣어 와이어(140)를 당길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에 위치하는 와이어(140)의 일단부에는 와이어(140)를 고정스풀(150)에 감았을 때 고정스풀(150)에 걸려서 고정되는 걸림편(142)이 구비되어, 와이어(140)가 고정스풀(150)에 완전히 감긴 후 걸림편(142)을 고정스풀(150)에 걸어서 고정하여 와이어(140)가 풀리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걸림편(142)은 관통공(114)보다는 큰 크기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와이어(140)가 하우징(110) 내측으로 딸려 들어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재활용을 위해 와이어(140)를 당길 경우에는 사용자가 걸림편(142)을 잡아 당김으로써 더욱 쉽게 와이어(140)에 당기는 힘을 가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144는 상기 하우징(110) 후방면 외측에 설치되어 와이어(140)가 원활하게 풀릴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핀이다.
상기 와이어(140)는 상기 하우징(110)의 후방면 외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스풀(150)에 감겨진다. 따라서, 윤활유 공급장치(100)의 하우징(110) 내부에 윤활유를 재공급하여 재활용할 때에는 상기 와이어(140)를 고정스풀(150)에 감아서 가압판(120)이 하우징(110)의 후방에서 전진하지 않게 하고, 윤활유 공급장치(100)를 통해서 크로스 킷(10)에 윤활유를 공급하고자 할 경우에 와이어(140)를 고정스풀(150)에서 풀어서 가압판(120)이 자유롭게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와 다르게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우징(110)의 후방면에 와이어(140)가 감겨지는 회전스풀(151)을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면, 가압판(120)이 하우징(110)의 전방으로 이동할 때 와이어(140)가 점차적으로 회전스풀(151)에서 풀리면서 가압판(120)이 자연스럽게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가압판(120)이 하우징(110)의 최전방으로 이동하여 윤활유가 소진되었을 때 회전스풀(151)을 회전시키면 와이어(140)가 회전스풀(151)에 감기면서 가압판(120)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편리하게 가압판(120)을 하우징(110)의 후방으로 복귀시켜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스풀(151)의 끝단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돌리기 용이하도록 손잡이(152)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공급관(160)은 일단부가 상기 하우징(110)의 관접속부(11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크로스 킷(10) 내부의 윤활유 통로(12)와 연통되어 하우징(110)에서 토출된 윤활유를 크로스 킷(10) 내부의 윤활유 통로(12)로 안내한다. 상기 오일공급관(160)은 요크(4)와 크로스 킷(1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며 유니버설 조인트의 요크(4)와 크로스 킷(10) 간의 상대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유연한 수지 재질의 플렉시블(flexible) 호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공급관(160)의 끝단부에는 상기 크로스 킷(10) 내부의 윤활유 통로(12)의 입구부(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 형태의 소켓(161)이 설치된다. 상기 소켓(161)의 내주면에는 상기 윤활유 통로 입구부(13)의 나사산에 나선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소켓(161)과 입구부(13)의 나사산 간의 결합에 의해 소켓(161)이 크로스 킷(10)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윤활유 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하우징(110) 내부에 윤활유가 가득 채워진 상태에서 하우징(110) 후방의 고정스풀(150)에 감겨진 와이어(140)를 풀어서 가압판(120)이 이동 가능하게 하면, 가압판(120)이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받아서 전방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하면서 저장챔버(113) 내의 윤활유를 토출구(112)를 통해 토출된다.
상기 토출구(112)를 통해 하우징(110)의 외부로 토출된 윤활유는 오일공급관(160)을 통해서 크로스 킷 본체(11)의 입구부(13)로 유입되어 윤활유 통로(12) 내측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윤활유 공급장치는 요크(4)가 연결된 중공축(2 또는 3)의 내부에 윤활유가 채워진 하우징(110)이 설치되고, 하우징(110)과 연결된 오일공급관(160)을 통해서 크로스 킷(10) 내부의 윤활유 통로(12)에 윤활유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윤활유 공급을 위해 유니버설 조인트가 연결된 장비의 가동을 중단하는 일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윤활유의 주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윤활유 공급장치의 하우징(110)은 중공축(2 또는 3) 내부에 설치되므로 중공축(2 또는 3)의 직경과 길이에 대응하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대용량의 윤활유를 채워서 크로스 킷(10)에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110)에 윤활유를 재공급하는 주기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것과 같이 윤활유 공급장치(100)를 크로스 킷(10)의 외측에 장착하여 윤활유를 자동 공급하는 과정에서 하우징(110)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투명한 내측 윈도우(115) 및 중공축(2 또는 3)의 외측 윈도우(175)를 통해 육안으로 하우징(110) 내부의 윤활유의 잔량을 확인하여 윤활유 충전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윤활유 공급장치(100)의 하우징(110) 내부의 윤활유가 모두 소진될 경우에는, 중공축(2 또는 3)의 도어(172)를 열고 와이어(140)를 당기면서 고정스풀(150)에 감아서 가압판(120)을 하우징(110)의 저장챔버(113)의 최후방으로 이동시켜 저장챔버(113) 내의 공간을 확보한 다음, 오일공급관(160)을 관접속부(111)에서 분리하고 토출구(112)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새로운 윤활유를 공급하여 저장챔버(113) 내측에 가득 채우고, 다시 오일공급관(160)을 관접속부(111)에 연결한다. 이로써 윤활유 공급장치(100)의 재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윤활유 공급장치(100)의 하우징(110) 내부에 새로운 윤활유를 충전한 다음, 와이어(140)를 고정스풀(150)에서 풀면 다시 가압판(120)이 전방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고, 전술한 것처럼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판(120)이 윤활유를 가압하여 다시 크로스 킷(10)의 윤활유 통로(12)로 윤활유를 자동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 : 유니버설 조인트 2, 3 : 중공축
4 : 요크 10 : 크로스 킷
11 : 크로스 킷 본체 12 : 윤활유 통로
13 : 입구부 15 : 캡
100 : 윤활유 공급장치 110 : 하우징
111 : 관접속부 112 : 토출구
113 : 저장챔버 114 : 관통공
115 : 내측 윈도우 120 : 가압판
125 : 실링재 131 : 압축코일스프링
132 : 인장코일스프링 140 : 와이어
142 : 걸림편 150 : 고정스풀
151 : 회전스풀 160 : 오일공급관
161 : 소켓 171 : 개구부
172 : 도어 175 : 외측 윈도우

Claims (14)

  1. 중공축(2 또는 3)의 끝단에 연결된 요크(4)와 축 또는 구조물과 연결된 요크(4) 사이에 끼워져 일정한 각도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십자(+) 형태의 크로스 킷(10)을 구비한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윤활유가 저장되는 저장챔버(113)가 형성된 통 형상으로 되어 상기 요크(4)와 연결된 중공축(2 또는 3)의 내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심부에 상기 저장챔버(113)와 연통되어 윤활유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구(112)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는 관접속부(111)가 전방면에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110)과;
    일단이 상기 관접속부(11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크로스 킷(10) 내부의 윤활유 통로(12)와 연통되는 유연한 재질의 오일공급관(160)과;
    상기 하우징(110)의 저장챔버(113)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저장챔버(113) 내의 윤활유를 전방의 토출구(112)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판(120)과;
    상기 하우징(110)에 대해 가압판(120)에 전방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하우징(110)의 후방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공(114)을 통과하여 상기 가압판(120)에 연결되는 와이어(140)와;
    상기 중공축(2 또는 3)의 측면에 개방되게 형성된 개구부(171)를 개폐하는 도어(172);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172)를 개방한 상태에서 중공축(2 또는 3)의 외부에서 상기 와이어(140)를 당김으로써 가압판(120)이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외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140)가 외면에 감겨지는 고정스풀(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외측에 위치하는 와이어(140)의 일단부에는 상기 고정스풀(150)에 걸려져 고정되는 걸림편(14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와이어(140)가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회전스풀(15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전방부에 투명한 내측 윈도우(115)가 설치되며, 상기 중공축(2 또는 3)에는 상기 내측 윈도우(115)와 대응하는 위치에 투명한 외측 윈도우(175)가 설치되어, 상기 내측 윈도우(115) 및 외측 윈도우(175)를 통해 저장챔버(113) 내부의 윤활유 잔량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접속부(111)는 중공축(2 또는 3)의 일단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요크(4)의 내측 공간으로 돌출되며, 관접속부(111)의 외면과 구멍의 내주면 사이에는 관접속부(11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보조베어링(18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공급관(160)의 끝단부에는 상기 크로스 킷(10) 내부의 윤활유 통로(12)의 입구부(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 형태의 소켓(16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킷(10)의 윤활유 통로(12)의 입구부(13)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소켓(161)에 상기 윤활유 통로 입구부(13)의 나사산에 나선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산 간의 결합에 의해 소켓(161)이 크로스 킷(10)에 결합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축(2 또는 3)의 내면과 상기 하우징(110)의 외면 사이에는 중공축(2 또는 3)에 대해 하우징(1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메인베어링(181)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120)의 테두리 부분에는 하우징(110)의 내면과 밀착되면서 윤활유가 가압판(120)의 테두리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재(125)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하우징(110)의 후방면과 가압판(120)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압축코일스프링(131) 및, 하우징(110)의 전방면과 가압판(120)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인장코일스프링(132)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13. 중공축(2 또는 3)의 끝단에 연결된 요크(4)와 축 또는 구조물과 연결된 요크(4) 사이에 끼워져 일정한 각도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십자(+) 형태의 크로스 킷(10)을 구비한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윤활유가 저장되는 저장챔버(113)가 형성된 통 형상으로 되어 상기 요크(4)와 연결된 중공축(2 또는 3)의 내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심부에 상기 저장챔버(113)와 연통되어 윤활유를 외부로 배출하는 토출구(112)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는 관접속부(111)가 전방면에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110)과;
    일단이 상기 관접속부(11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크로스 킷(10) 내부의 윤활유 통로(12)와 연통되는 유연한 재질의 오일공급관(160)과;
    상기 하우징(110)의 저장챔버(113)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저장챔버(113) 내의 윤활유를 전방의 토출구(112) 쪽으로 가압하는 가압판(120)과;
    상기 하우징(110)에 대해 가압판(120)에 전방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하우징(110)의 후방부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공(114)을 통과하여 상기 가압판(120)에 연결되는 와이어(140)와;
    상기 중공축(2 또는 3)의 측면에 개방되게 형성된 개구부(171)를 개폐하는 도어(172)와;
    상기 하우징(110)의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140)가 외면에 감겨지는 스풀과;
    상기 하우징(110)의 전방부에 설치되는 투명한 내측 윈도우(115)와;
    상기 중공축(2 또는 3)에 상기 내측 윈도우(115)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투명한 외측 윈도우(175)와;
    상기 오일공급관(160)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크로스 킷(10) 내부의 윤활유 통로(12)의 입구부(1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관 형태의 소켓(16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하우징(110)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KR1020150169922A 2015-12-01 2015-12-01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KR101609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922A KR101609713B1 (ko) 2015-12-01 2015-12-01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922A KR101609713B1 (ko) 2015-12-01 2015-12-01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9713B1 true KR101609713B1 (ko) 2016-04-20

Family

ID=55917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922A KR101609713B1 (ko) 2015-12-01 2015-12-01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971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318B1 (ko) * 2016-11-10 2017-10-2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WO2017188745A1 (ko) * 2016-04-27 2017-11-02 주식회사 아원 그리스 주입기
KR102061808B1 (ko) * 2018-03-29 2020-01-0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심력을 이용한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KR20220046865A (ko) * 2020-10-08 2022-04-1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장형 윤활유 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유니버설 조인트
CN114396432A (zh) * 2022-01-25 2022-04-26 广东皓耘科技有限公司 万向节传动装置和自动润滑控制系统
CN115533131A (zh) * 2022-09-05 2022-12-30 安徽省春谷3D打印智能装备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金属3d打印机用避震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573Y1 (ko) 2002-03-25 2002-07-04 윤우종 주유소 기름탱크 유량측량장치
KR200434928Y1 (ko) 2006-09-20 2007-01-02 오수정 그리스 주입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573Y1 (ko) 2002-03-25 2002-07-04 윤우종 주유소 기름탱크 유량측량장치
KR200434928Y1 (ko) 2006-09-20 2007-01-02 오수정 그리스 주입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8745A1 (ko) * 2016-04-27 2017-11-02 주식회사 아원 그리스 주입기
KR101790318B1 (ko) * 2016-11-10 2017-10-2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KR102061808B1 (ko) * 2018-03-29 2020-01-0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심력을 이용한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KR20220046865A (ko) * 2020-10-08 2022-04-1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장형 윤활유 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유니버설 조인트
KR102396393B1 (ko) * 2020-10-08 2022-05-1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장형 윤활유 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유니버설 조인트
CN114396432A (zh) * 2022-01-25 2022-04-26 广东皓耘科技有限公司 万向节传动装置和自动润滑控制系统
CN115533131A (zh) * 2022-09-05 2022-12-30 安徽省春谷3D打印智能装备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金属3d打印机用避震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713B1 (ko)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KR101626511B1 (ko)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공급장치
US20230380707A1 (en) Swivel hose coupling with outer grip
CN101094699B (zh) 包含扭簧驱动的用于流体制品的定量给药设备
US8950627B2 (en) Method of dispensing material from a bag using a segmented piston
US9987432B2 (en) Rotation resistant friction adapter for plunger driver of drug delivery device
US8162184B2 (en) Follower packing unit for grease guns and the like
US9243748B2 (en) Grease gun with a quick-release end cover
US8087436B2 (en) Modular connector
EP3002496B1 (en) Grease gun
US10518277B2 (en) Grease application device and grease application method
KR101879774B1 (ko)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CN105264723B (zh) 具有可互换工作头的作业工具
KR101790318B1 (ko)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KR20140021562A (ko) 중앙 윤활장치를 재충전하는 구성체
US20100206901A1 (en) Filling system for the metered delivery of a lubricant
KR102061808B1 (ko) 원심력을 이용한 유니버설 조인트의 윤활유 자동 공급장치
KR102360358B1 (ko) 페이스티 물질들을 투여하기 위한 장치
KR101604062B1 (ko) 윤활유 공급장치
KR101765519B1 (ko) 스웨이징 장치
KR102396393B1 (ko) 내장형 윤활유 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유니버설 조인트
KR200482773Y1 (ko) 그리스 건 노즐 개폐 장치
CN218971404U (zh) 机械泵
KR200445454Y1 (ko) 직접 취부형 그리스 자동 주입 장치
US2049182A (en) Lubric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