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323B1 - 숙취해소용 청정자연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숙취해소용 청정자연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323B1
KR102229323B1 KR1020200168784A KR20200168784A KR102229323B1 KR 102229323 B1 KR102229323 B1 KR 102229323B1 KR 1020200168784 A KR1020200168784 A KR 1020200168784A KR 20200168784 A KR20200168784 A KR 20200168784A KR 102229323 B1 KR102229323 B1 KR 102229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chisandra chinensis
weight
dried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호
Original Assignee
청정이슬내린(주) 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정이슬내린(주) 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청정이슬내린(주) 농업회사법인
Priority to KR1020200168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3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23F3/405Flavouring with flavours other than natural tea flavour or tea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2200/00Special fea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물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추출물과 상기 오미자 추출물에 헛개 추출물, 돌배 추출물, 곽향 추출물, 칡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추 추출물, 마가목 추출물, 감초 추출물, 미나리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숙취해소용 청정자연차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purity natural tea for eliminating hangover}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물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추출물과 상기 오미자 추출물에 헛개 추출물, 돌배 추출물, 곽향 추출물, 칡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추 추출물, 마가목 추출물, 감초 추출물, 미나리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미자(五味子, Schisandra chinensis)는 오미자과의 낙엽 덩굴식물로서, 열매는 대부분 원형이고 8~9월에 홍색으로 익으며 1~2개의 종자가 들어 있고 신맛이 강하고 약용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시잔드린(Schizandrin), 고미신(Gomisin), 시트럴(Citral), 사과산(Mal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등의 성분이 들어 있어 심장을 강하게 하고 혈압을 내리며 면역력을 높여 주어 강장제로 이용하고 있으며, 폐기능을 강하게하고 진해, 거담 작용이 있어서 기침이나 갈증 등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생오미자는 그 5가지 맛 중 유독 강한 신맛과 상대적으로 낮은 당도로 인하여 그 자체만으로는 섭취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일반적인 알코올 대사과정은 알코올을 섭취하면 주로 위장 또는 소장에서 흡수되어 사람에 따라 최대 1/3 정도는 위장에서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에 의하여 분해됨으로써 혈액을 통하여 알코올이 흡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나머지는 간으로 옮겨져 대사된다. 간에 도달한 알코올의 약 90%는 ADH에 의하여 아세트알데하이드(acetaldehyde)로 산화된 후 아세트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에 의하여 아세트산(acetic acid)으로 산화된다. 나머지 10% 정도의 알코올은 카탈라제에 의하여 아세트알데하이드로 대사된다.
섭취된 알코올의 상기 대사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생기는 1차 대사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는 급성알코올 숙취의 가장 큰 원인, 즉 메스꺼움, 구토, 현기증, 갈증, 무기력증 등을 유발하여 일반인의 업무능력 저하로 이어진다. 또한 알코올성 지방간이나 알코올성 간염이 생기고 간이 나쁜 상태에서 계속 술을 마시게 되면 간경변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 음주로 인한 지방축적과 간 손상 보호 및 숙취해소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지만 명확한 메커니즘은 알려져 있지 않으므로 여기에 대한 과학적인 검증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05-0090648호에는 천마와 지구나무 열매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차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726741호에는 굼벵이 및 대추를 포함하는 숙취해소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숙취해소용 청정자연차의 제조방법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오미자 열매를 이용하여 기능성 및 관능적 특성이 증진된 오미자 추출물과 이를 이용한 숙취해소차를 제조하기 위해, 재료 전처리, 부재료 종류 및 배합 등의 제조조건을 최적화하여 숙취해소에 도움을 주면서, 재료 특유의 이취 및 쓴맛은 적고 맛이 부드러워 소비자들의 기호도에 적합할 수 있는 오미자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숙취해소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1) 돌배 껍질, 오미자박 및 설탕을 혼합한 혼합물을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2) 물에 엿기름 및 오미자박을 첨가하고 발효한 후 여과하여 당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오미자 열매를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숙성물에 침지한 후 꺼내어 방치하고 건조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건조한 오미자 열매를 상기 (2)단계의 제조한 당화액에 침지한 후 꺼내어 방치하고 건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4)단계의 건조한 건오미자에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미자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오미자 추출물과 헛개 추출물, 돌배 추출물, 곽향 추출물, 칡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추 추출물, 마가목 추출물, 감초 추출물, 미나리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은 숙취해소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오미자 특유의 강한 신맛과 쓴맛은 저감되어 소비자들에 손쉽게 섭취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차는 오미자와 다양한 숙취해소에 좋은 소재들의 풍미가 조화를 이루어, 소비자들이 더욱 선호하는 맛과 향을 지니는 차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돌배 껍질, 오미자박 및 설탕을 혼합한 혼합물을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2) 물에 엿기름 및 오미자박을 첨가하고 발효한 후 여과하여 당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오미자 열매를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숙성물에 침지한 후 꺼내어 방치하고 건조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건조한 오미자 열매를 상기 (2)단계의 제조한 당화액에 침지한 후 꺼내어 방치하고 건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4)단계의 건조한 건오미자에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미자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1)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돌배 껍질 36~44 중량%, 오미자박 27~33 중량% 및 설탕 27~33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20~25℃에서 6~8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2) 물 1.8~2.2 L에 엿기름 450~550 g 및 오미자박 80~120 g을 첨가한 후 50~60℃에서 4~6시간 동안 발효한 후 여과하여 당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오미자 열매를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숙성물에 8~12분 동안 침지한 후 꺼내어 20~25℃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고 50~55℃에서 2~4일 동안 건조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건조한 오미자 열매를 상기 (2)단계의 제조한 당화액에 8~12분 동안 침지한 후 꺼내어 20~25℃에서 50~70분 동안 방치하고 50~55℃에서 2~4일 동안 건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4)단계의 건조한 건오미자에 물을 4~6배(v/w) 첨가하여 75~85℃에서 4~6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1)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돌배 껍질 40 중량%, 오미자박 30 중량% 및 설탕 30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20~25℃에서 7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2) 물 2 L에 엿기름 500 g 및 오미자박 100 g을 첨가한 후 55℃에서 5시간 동안 발효한 후 여과하여 당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오미자 열매를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숙성물에 10분 동안 침지한 후 꺼내어 20~25℃에서 3시간 동안 방치하고 52℃에서 3일 동안 건조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건조한 오미자 열매를 상기 (2)단계의 제조한 당화액에 10분 동안 침지한 후 꺼내어 20~25℃에서 60분 동안 방치하고 52℃에서 3일 동안 건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4)단계의 건조한 건오미자에 물을 5배(v/w) 첨가하여 80℃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오미자 열매를 전처리한 후 추출하는 것이 오미자 특유의 강한 신맛과 쓴맛은 저감되면서 부드러운 맛은 증가할 뿐만 아니라 품질이 우수한 오미자 추출물로 제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오미자 추출물과 헛개 추출물, 돌배 추출물, 곽향 추출물, 칡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추 추출물, 마가목 추출물, 감초 추출물, 미나리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차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혼합은 바람직하게는 숙취해소차 총 중량 기준으로, 오미자 추출물 58~62 중량%, 헛개 추출물 4.5~5.5 중량%, 돌배 추출물 7~9 중량%, 곽향 추출물 4.5~5.5 중량%, 칡 추출물 1.2~1.8 중량%, 녹차 추출물 1.2~1.8 중량%, 대추 추출물 1.6~2.4 중량%, 마가목 추출물 1.6~2.4 중량%, 감초 추출물 5.5~6.5 중량%, 미나리 추출물 2.7~3.3 중량% 및 생강 추출물 5.5~6.5 중량%를 혼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숙취해소차 총 중량 기준으로, 오미자 추출물 60 중량%, 헛개 추출물 5 중량%, 돌배 추출물 8 중량%, 곽향 추출물 5 중량%, 칡 추출물 1.5 중량%, 녹차 추출물 1.5 중량%, 대추 추출물 2 중량%, 마가목 추출물 2 중량%, 감초 추출물 6 중량%, 미나리 추출물 3 중량% 및 생강 추출물 6 중량%를 혼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숙취해소차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오미자 추출물을 농축한 형태로 첨가하는 경우 혼합은 바람직하게는 숙취해소차 총 중량 기준으로, 오미자 추출물 48~52 중량%, 헛개 추출물 7~9 중량%, 돌배 추출물 9~11 중량%, 곽향 추출물 4.5~5.5 중량%, 칡 추출물 1.2~1.8 중량%, 녹차 추출물 1.2~1.8 중량%, 대추 추출물 1.6~2.4 중량%, 마가목 추출물 1.6~2.4 중량%, 감초 추출물 9~11 중량%, 미나리 추출물 4.5~5.5 중량% 및 생강 추출물 4.5~5.5 중량%를 혼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숙취해소차 총 중량 기준으로, 오미자 추출물 50 중량%, 헛개 추출물 8 중량%, 돌배 추출물 10 중량%, 곽향 추출물 5 중량%, 칡 추출물 1.5 중량%, 녹차 추출물 1.5 중량%, 대추 추출물 2 중량%, 마가목 추출물 2 중량%, 감초 추출물 10 중량%, 미나리 추출물 5 중량% 및 생강 추출물 5 중량%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오미자 추출물을 주재료로 하면서 부재료를 적정량 배합하여 숙취해소차를 제조하는 것이 숙취해소 효과를 극대화하면서 재료들의 향과 맛이 잘 어우러져 관능적 특성이 향상된 숙취해소차로 제조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건오미자 추출물
(1) 항아리에 자연건조한 돌배 껍질 40 중량%, 오미자를 착즙하고 남은 오미자박 30 중량% 및 설탕 30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20~25℃에서 7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였다.
(2) 물 2 L에 엿기름 500 g 및 오미자를 착즙하고 남은 오미자박 100 g을 첨가한 후 55℃에서 5시간 동안 발효한 후 여과하여 당화액을 제조하였다.
(3) 오미자 열매를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숙성물에 10분 동안 침지한 후 꺼내어 20~25℃에서 3시간 동안 방치하고 52℃에서 3일 동안 건조하였다.
(4) 상기 (3)단계의 건조한 오미자 열매를 상기 (2)단계의 제조한 당화액에 10분 동안 침지한 후 꺼내어 20~25℃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고 52℃에서 3일 동안 건조하였다.
(5) 상기 (4)단계의 건조한 건오미자에 정제수를 5배(v/w) 첨가하여 80℃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건오미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건오미자 추출물
(1) 오미자 열매를 52℃에서 3일 동안 건조하였다.
(2) 상기 (1)단계의 건조한 건오미자에 정제수를 5배(v/w) 첨가하여 80℃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건오미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건오미자 추출물
(1) 항아리에 자연건조한 돌배 껍질 40 중량%, 오미자를 착즙하고 남은 오미자박 30 중량% 및 설탕 30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20~25℃에서 7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였다.
(2) 오미자 열매를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숙성물에 10분 동안 침지한 후 꺼내어 20~25℃에서 3시간 동안 방치하고 52℃에서 3일 동안 건조하였다.
(3) 상기 (2)단계의 건조한 건오미자에 정제수를 5배(v/w) 첨가하여 80℃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건오미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건오미자 추출물
(1) 물 2 L에 엿기름 500 g 및 오미자를 착즙하고 남은 오미자박 100 g을 첨가한 후 55℃에서 5시간 동안 발효한 후 여과하여 당화액을 제조하였다.
(2) 오미자 열매를 상기 (1)단계의 제조한 당화액에 10분 동안 침지한 후 꺼내어 20~25℃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고 52℃에서 3일 동안 건조하였다.
(3) 상기 (2)단계의 건조한 건오미자에 정제수를 5배(v/w) 첨가하여 80℃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건오미자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청정자연차
청정자연차 총 중량 기준으로, 제조예 1의 건오미자 추출물 60 중량%와 헛개 추출물(정제수를 5배(v/w) 첨가하여 85℃에서 6시간 동안 추출) 5 중량%, 돌배 추출물(정제수를 3배(v/w) 첨가하여 95℃에서 3시간 동안 추출) 8 중량%, 곽향 추출물(정제수를 3배(v/w) 첨가하여 75℃에서 8시간 동안 추출) 5 중량%, 건칡 추출물(정제수를 7배(v/w) 첨가하여 80℃에서 2시간 동안 추출) 1.5 중량%, 녹차 추출물(정제수를 10배(v/w) 첨가하여 85℃에서 1시간 동안 추출) 1.5 중량%, 대추 추출물(정제수를 10배(v/w) 첨가하여 95℃에서 3시간 동안 추출) 2 중량%, 마가목 추출물(정제수를 7배(v/w) 첨가하여 85℃에서 5시간 동안 추출) 2 중량%, 감초 추출물(정제수를 5배(v/w) 첨가하여 90℃에서 3시간 동안 추출) 6 중량%, 건미나리 추출물(정제수를 10배(v/w) 첨가하여 75℃에서 1시간 동안 추출) 3 중량% 및 생강 추출물(정제수를 5배(v/w) 첨가하여 95℃에서 1시간 동안 추출) 6 중량%를 혼합한 후 살균처리하였다.
제조예 3. 청정자연차
(1) 상기 제조예 1의 건오미자 추출물을 60℃에서 12시간 동안 농축하여 건오미자 추출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2) 청정자연차 총 중량 기준으로, 상기 (1)단계의 제조한 건오미자 추출 농축액 50 중량%와 헛개 추출물 8 중량%, 돌배 추출물 10 중량%, 곽향 추출물 5 중량%, 건칡 추출물 1.5 중량%, 녹차 추출물 1.5 중량%, 대추 추출물 2 중량%, 마가목 추출물 2 중량%, 감초 추출물 10 중량%, 건미나리 추출물 5 중량% 및 생강 추출물 5 중량%를 혼합한 후 살균처리하였다.
상기 헛개 추출물, 돌배 추출물, 곽향 추출물, 건칡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추 추출물, 마가목 추출물, 감초 추출물, 건미나리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의 추출조건은 제조예 2와 동일하다.
실시예 1. ALDH(Acetaldehyde dehydrogenase) 활성 측정
ALDH(Acetaldehyde dehydrogenase)의 활성은 아세트알데히드 키트(Cat. No. 10 668 613 035, Roche Co., 미국)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NAD 타블렛(tablet, 0.8 mg/each)을 포타슘 디포스페이트 버퍼(potassium diphosphate buffer, pH 9.0) 3 mL에 녹이고, 상기 혼합용액 1.5 mL에 시료 0.1 mL를 첨가하였다. 그 후 상온에서 5분 동안 반응시킨 후 증류수 0.6 mL에 용해시킨 ALDH(4U/each) 0.025 mL를 첨가한 후 다시 상온에서 20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계산식 ALDH 활성(%)=[(시료 OD-시료 OD(0')) / (대조군 OD-대조군 OD(0'))]×100에 의하여 활성도를 산출하였다. 이때, 대조군은 시료 대신 증류수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건오미자 추출물의 ALDH 활성
구분 ALDH 활성(%)
제조예 1 22.6
비교예 1 15.0
비교예 2 18.2
비교예 3 19.5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의 분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효소인 ALDH의 활성에 대하여 비교한 결과, 제조예 1의 건오미자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ADH(Alcohol dehydrogenase) 활성 측정
ADH(Alcohol dehydrogenase)의 활성은 에탄올 키트(Cat. No. 10 176 290 035, Roche Co., 미국)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NAD 타블렛(tablet, 4 mg/each)을 포타슘 디포스페이트 버퍼(potassium diphosphate buffer, pH 9.0) 3 mL에 녹이고, 상기 혼합용액 1.5 mL에 시료 0.05 mL를 첨가하였다. 그 후 상온에서 5분 동안 반응시킨 후 ADH(7000U/1.6 mL) 용액을 0.025 mL 첨가한 후 다시 상온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그 후 3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계산식 ADH 활성(%)=[(시료 OD-시료 OD(0')) / (대조군 OD-대조군 OD(0'))]×100에 의하여 활성도를 산출하였다. 이 때 대조군은 시료 대신 증류수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건오미자 추출물의 ADH 활성
구분 ADH 활성(%)
제조예 1 46.6
비교예 1 30.3
비교예 2 39.4
비교예 3 40.2
체내 알코올 대사 1차 관여 효소인 ADH의 활성을 비교한 결과, 제조예 1의 추출물이 비교예들의 추출물에 비해 높은 ADH 활성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건오미자 추출물은 숙취 해소 기능을 갖는 식품 개발을 위한 유효성분으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3. 숙취해소차 관능검사
관능검사는 성인남녀 30명을 대상으로 제조예 2 및 3과 재료 배합비를 달리한 숙취해소차(비교예 4 및 5)를 각각 시음하게 하고, 향, 맛 및 전반적인 기호도를 구분하여 1점: 매우 나쁘다, 4점: 나쁘다, 3점: 보통이다, 4점: 좋다, 5점: 매우 좋음을 나타나는 5점 기호척도법으로 3 반복한 후 평균을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숙취해소차 재료 배합비
재료 종류 제조예 2 제조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건오미자 추출물 60 - 35 -
건오미자 추출 농축액 - 50 - 66
헛개 추출물 5 8 20 1
돌배 추출물 8 10 4 13
곽향 추출물 5 5 10 2
건칡 추출물 1.5 1.5 0.5 3
녹차 추출물 1.5 1.5 3.5 1
대추 추출물 2 2 1 3
마가목 추출물 2 2 3 1
감초 추출물 6 10 13 1
건미나리 추출물 3 5 8 1
생강 추출물 6 5 2 8
합계 100 100 100 100
숙취해소차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제조예 3의 숙취해소차가 향, 맛 및 종합 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그 다음으로 제조예 2가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제조예 2 및 3의 숙취해소차는 소비자들의 기호에 가장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숙취해소차의 관능검사
시료 전반적인 기호도
제조예 2 4.5 4.3 4.4
제조예 3 4.6 4.5 4.6
비교예 4 4.0 3.9 3.9
비교예 5 4.0 4.0 4.0

Claims (6)

  1. (1) 돌배 껍질, 오미자박 및 설탕을 혼합한 혼합물을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2) 물에 엿기름 및 오미자박을 첨가하고 발효한 후 여과하여 당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오미자 열매를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숙성물에 침지한 후 꺼내어 방치하고 건조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건조한 오미자 열매를 상기 (2)단계의 제조한 당화액에 침지한 후 꺼내어 방치하고 건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4)단계의 건조한 건오미자에 물을 첨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미자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1)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돌배 껍질 36~44 중량%, 오미자박 27~33 중량% 및 설탕 27~33 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20~25℃에서 6~8일 동안 숙성시켜 숙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2) 물 1.8~2.2 L에 엿기름 450~550 g 및 오미자박 80~120 g을 첨가한 후 50~60℃에서 4~6시간 동안 발효한 후 여과하여 당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3) 오미자 열매를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숙성물에 8~12분 동안 침지한 후 꺼내어 20~25℃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하고 50~55℃에서 2~4일 동안 건조하는 단계;
    (4) 상기 (3)단계의 건조한 오미자 열매를 상기 (2)단계의 제조한 당화액에 8~12분 동안 침지한 후 꺼내어 20~25℃에서 50~70분 동안 방치하고 50~55℃에서 2~4일 동안 건조하는 단계; 및
    (5) 상기 (4)단계의 건조한 건오미자에 물을 4~6배(v/w) 첨가하여 75~85℃에서 4~6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미자 추출물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추출물.
  4. 제3항의 오미자 추출물과 헛개 추출물, 돌배 추출물, 곽향 추출물, 칡 추출물, 녹차 추출물, 대추 추출물, 마가목 추출물, 감초 추출물, 미나리 추출물 및 생강 추출물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차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은 숙취해소차 총 중량 기준으로, 오미자 추출물 58~62 중량%, 헛개 추출물 4.5~5.5 중량%, 돌배 추출물 7~9 중량%, 곽향 추출물 4.5~5.5 중량%, 칡 추출물 1.2~1.8 중량%, 녹차 추출물 1.2~1.8 중량%, 대추 추출물 1.6~2.4 중량%, 마가목 추출물 1.6~2.4 중량%, 감초 추출물 5.5~6.5 중량%, 미나리 추출물 2.7~3.3 중량% 및 생강 추출물 5.5~6.5 중량%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차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은 숙취해소차 총 중량 기준으로, 오미자 추출물 48~52 중량%, 헛개 추출물 7~9 중량%, 돌배 추출물 9~11 중량%, 곽향 추출물 4.5~5.5 중량%, 칡 추출물 1.2~1.8 중량%, 녹차 추출물 1.2~1.8 중량%, 대추 추출물 1.6~2.4 중량%, 마가목 추출물 1.6~2.4 중량%, 감초 추출물 9~11 중량%, 미나리 추출물 4.5~5.5 중량% 및 생강 추출물 4.5~5.5 중량%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차의 제조방법.
KR1020200168784A 2020-12-04 2020-12-04 숙취해소용 청정자연차의 제조방법 KR102229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784A KR102229323B1 (ko) 2020-12-04 2020-12-04 숙취해소용 청정자연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784A KR102229323B1 (ko) 2020-12-04 2020-12-04 숙취해소용 청정자연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9323B1 true KR102229323B1 (ko) 2021-03-18

Family

ID=75232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784A KR102229323B1 (ko) 2020-12-04 2020-12-04 숙취해소용 청정자연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3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0932B1 (ko) * 2021-06-10 2021-12-01 청정이슬내린(주) 농업회사법인 피로회복 면역증진 천연자연차
KR102370235B1 (ko) * 2021-11-30 2022-03-04 청정이슬내린오스카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숙취해소용 순수자연차의 제조방법
KR20220161567A (ko) 2021-05-27 2022-12-07 네이처퓨어코리아 주식회사 칡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546A (ko) * 1999-07-02 2001-02-05 김승교 떫은맛이 제거된 오미자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63617A (ko) * 2013-11-29 2015-06-10 한국농수산대학 산학협력단 C3g 성분 함유 감주 제조방법
KR20190060023A (ko) * 2017-11-23 2019-06-03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오미자와 아로니아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음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546A (ko) * 1999-07-02 2001-02-05 김승교 떫은맛이 제거된 오미자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63617A (ko) * 2013-11-29 2015-06-10 한국농수산대학 산학협력단 C3g 성분 함유 감주 제조방법
KR20190060023A (ko) * 2017-11-23 2019-06-03 재단법인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오미자와 아로니아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음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음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1567A (ko) 2021-05-27 2022-12-07 네이처퓨어코리아 주식회사 칡 추출물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330932B1 (ko) * 2021-06-10 2021-12-01 청정이슬내린(주) 농업회사법인 피로회복 면역증진 천연자연차
KR102370235B1 (ko) * 2021-11-30 2022-03-04 청정이슬내린오스카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숙취해소용 순수자연차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9323B1 (ko) 숙취해소용 청정자연차의 제조방법
KR101183605B1 (ko) 오이식초를 함유한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KR101260466B1 (ko) 감국식초의 제조방법
KR102151371B1 (ko) 발효 노니를 포함하는 당뇨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71464B1 (ko) 오미자 식초의 제조방법
KR20220013451A (ko) 유산균 발효숙성 노니 및 코코넛 슈가를 포함하는 유산균 발효 노니 식초 및 유산균 발효숙성 노니의 제조방법
CN104560576A (zh) 玛卡养生酒及其制备方法
US20080193592A1 (en) Method for preparing alcoholic beverage using incubated wild ginseng root
KR20120055135A (ko) 감국와인의 제조방법
KR102127411B1 (ko) 복합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 및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006029B1 (ko) 허브 와인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40942A (ko) 인삼열매주 및 그 제조방법
KR100815195B1 (ko) 약쑥 탁주 및 그 제조방법
KR101859722B1 (ko) 배 퓨레를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1835313B1 (ko) 흑삼흑초의 제조방법
KR102370235B1 (ko) 숙취해소용 순수자연차의 제조방법
KR101336215B1 (ko) 활성형 산삼 추출물을 이용한 막걸리 제조방법
KR101144329B1 (ko) 해당화 식초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33898B1 (ko) 발효곶감을 이용한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754248B1 (ko) 오미자를 이용한 식초의 제조방법
CN104560579A (zh) 补肝益肾保健白酒及其制备方法
KR102330932B1 (ko) 피로회복 면역증진 천연자연차
JPS625589B2 (ko)
KR102572734B1 (ko) 금화규를 이용한 과일 소주의 제조방법
CN114766574B (zh) 一种银杏芦荟复合功能茶饮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