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901B1 - 렌즈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렌즈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901B1
KR102228901B1 KR1020167010732A KR20167010732A KR102228901B1 KR 102228901 B1 KR102228901 B1 KR 102228901B1 KR 1020167010732 A KR1020167010732 A KR 1020167010732A KR 20167010732 A KR20167010732 A KR 20167010732A KR 102228901 B1 KR102228901 B1 KR 102228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finished product
rear surface
suction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0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5529A (ko
Inventor
스테파노 손조니
Original Assignee
엠이아이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이아이 에스알엘 filed Critical 엠이아이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60075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3/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or polishing optical surfaces on lenses or surfaces of similar shape on other work; Accessories therefor
    • B24B13/005Blocking means, chucks or the like; Alignmen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 B24B9/1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of optical work, e.g. lenses, pr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 B24B9/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24B9/08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 B24B9/1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materials specific to articles to be ground of non-metallic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of glass of optical work, e.g. lenses, prisms
    • B24B9/146Accessories, e.g. lens m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932Combined cutting and grind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 Turning (AREA)
  • Eyeglasse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Prostheses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마감제품(20)의 전체 표면가공 싸이클 동안 작동되는 석션파지력을 통해 반마감제품(20)을 파지하는 단계; 반마감제품(20)의 피가공면(20b)에 표면가공 싸이클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면(20b)에 표면가공 싸이클 동안 반마감제품(20)에 가해진 기계적 스트레스의 수준에 따라 보압력을 작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렌즈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렌즈가공 방법{Process for machining a lens}
본 발명은 렌즈가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에 국한한 목적이 아닌, 렌즈를 만들기 위한 블랭크를 표면 컷팅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렌즈는 2개의 완벽하게 연마된 광학면들로 두 전면 및 후면에서 종료되는, 색조를 띠거나 띠지 않을 수 있는, 투광성층으로 제조된다. 이런 면들은 얻고자 하는 특정 광학적 결과에 따라 완전한 구형에서 더 복잡한 형태로 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렌즈 가공시, 하나의 면들을 제조하는 데 있어 정확도 이외에, 이런 면들은 축상으로 및 각도 상으로 서로 완벽히 정렬되는 것이 또한 필수적이다. 그렇지 않으면, 렌즈는 설계된 광학적 효과를 제공할 수 없다.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기기들은 원재료 또는 반마감, 즉, 또한 반마감 제품이라고 하는 전면 또는 볼록면이 마감된 재료의 블록으로부터 특정한 기정의된 광학기로 렌즈를 얻을 수 있다.
얻고자 하는 결과와 특정 가공에 따라, 이런 기기들은 초기에 가령 광학면의 밀링 또는 터닝을 통해 컷팅을 한 후 사전계산된 3차원 프로파일을 수행한다. 그후, 가공면의 연마 및 코팅단계가 발생한다.
제 2 면의 가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확한 위치에 반마감 제품을 단단히 고정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므로, 두 표면들 간에 정확한 정렬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최신기술로, 반마감제품을 적소에 파지하기 위해, 정확한 각도와 축 위치에 기마감면, 일반적으로 전면에 접착제로 도포된 기준블록이 사용된다.
이런 기준블록은 제 2 면의 컷팅단계 동안 홀딩 시스템에 대한 파지 경계면으로서 작용하고 또한 컷팅 동작에 의해 받은 스트레스를 상쇄하도록 반마감제품에 충분한 강도를 더 제공한다. 더욱이, 블록으로 구성된 기준점으로 인해, 가공의 소정의 정확도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이점들을 제공하나, 홀딩 시스템의 파지 경계면으로서 기준블록의 사용에 몇가지 단점이 있다.
이미 가공된 면에 블록을 부착하는 단계는 일반적으로 수지 또는 접착제의 사용을 통해 발생되므로, 접착재료를 얹히고 냉각시키는데 긴 시간이 든다. 대안으로, 블록은 납 기반의 저용융합금을 통해 부착된다.
유사하게, 가공을 마쳤을 때, 블록을 렌즈에서 제거하는 단계도 또한 상당한 양의 기술적 시간이 든다. 그러므로, 가공공정의 시간이 전반적으로 늘어난다.
더욱이, 접착재료 또는 납의 사용으로 폐기물의 발생뿐만 아니라 접착재료 및 납 그 자체의 있을 수 있는 독성으로 인해 매일 렌즈가공과 연루된 작업자들에 발생가능한 건강문제도 야기된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기마감면에 부착될 기준블록을 사용할 필요없는 반마감제품을 가공하는 방법을 고안하는 것이 중요함을 인식했다.
가령 참조문헌 WO 98/43778에 기술된 방법과 같이 이런 블록의 사용을 제거하기 위해 시도했던 방안들이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반대 면의 전체 가공단계 동안 기마감면 또는 전면에 가해진 진공발생 시스템을 통해 반마감제품이 파지되는 것을 예상한다. 반마감제품의 외주면을 가공하는 것이 또한 예상된다. 외주면의 가공 동안 홀딩 시스템은 사전에 석션시스템을 비활성화며 압력시스템을 전용한다.
US 5,454,748은 렌즈의 외주면과 표면을 가공하기 위한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인에 따르면, 후면, 즉, 전면에 대한 맞은편 면의 가공 동안 석션시스템의 사용은 이런 후면의 전체 가공 사이클 동안 반마감제품이 받는 기계적 스트레스를 신뢰할 수 있게 상쇄할 수 있을 것 같지 않다. 일반적으로, 반마감제품은 회전하고, 정렬을 벗어나는 경향이 있는 접선방향 스트레스 및/또는 측면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는 반경방향 스트레스를 받는다.
본 출원인은 후면의 표면 가공동안 반마감제품이 받는 기계적 스트레스가 특정 가공단계, 즉, 황삭(rough cutting) 또는 가공, 피니싱 및 연마 컷팅 뿐만 아니라 특정 도구의 작업위치에 따라 변할 수 있음을 관찰했다.
특히, 본 출원인은 마감 및 연마단계들에 대해 황삭단계에서 기계적 스트레스가 더 큰 것을 알았다. 보다 상세하게, 황삭단계에서, 스트레스는 컷팅 도구들이 후면의 가장자리 가까이 있을 때 더 크고 이런 도구들이 후면의 중심 가까이에 작용할 때 더 작다.
본 출원인은 후면을 만들기 위해 시간에 걸쳐 제거되는 재료의 양에 따라 기계적 스트레스가 또한 변하는 것을 알았다.
그러므로, 본 출원인은 짧은 시간에 상당량의 재료를 제거하기 위해 후면의 표면 가공단계 동안 반마감제품을 적소에 파지하기 위해 흡입력의 작동만으로는 전체 가공 싸이클 동안 반마감제품이 적소에 파지되는 것을 충분히 보장할 수 없음에 주목했다.
특히, 스트레스가 큰 경우, 가령, 황삭단계에서, 도구가 반마감제품의 후면 가장자리 가까이에 작용할 때, 심지어 석션시스템으로부터 이런 가장자리의 분리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기초로 상기 문제는 특히 기준블록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체 가공 사이클 동안 위치의 정확도 및 반마감제품의 파지 신뢰도 모두를 보장할 수 있는 렌즈를 가공하는 방법을 고안함으로써 상술한 단점들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따른 렌즈를 가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렌즈를 가공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특징들은 종속항들에 제시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반마감제품의 전체 표면가공 싸이클 동안 작동되는 석션파지력을 통해 반마감제품을 파지하는 단계;
반마감제품의 가공면에 표면가공 싸이클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면에 표면가공 싸이클 동안 반마감제품에 가해진 기계적 스트레스의 수준에 따라 보압력을 작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렌즈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션력 이외에 보압력의 선택적 사용으로 인해, 기준블록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처리될 면의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가공방법은 실제로 전체 표면가공 싸이클 동안 반마감제품의 신뢰할 수 있는 파지를 보장한다.
렌즈가공방법의 이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조합될 수 있는 하기의 추가적인 세부내용을 통해 더 향상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보압력은 피가공면에 대해 표면가공 싸이클에서 기계 도구에 의해 취해진 순간적 위치에 따라 보압력이 작용된다. 상술한 도구의 순간적 위치에 따라 기계적 스트레스가 변한다면, 순간적인 면 가공위치에 따라 보압력을 작용시키거나 작용시키지 않음으로써, 큰 기계적 스트레스를 상쇄할 수 있고 동시에 처리될 면에 완전한 접근을 보장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기로, 기계 도구가 피가공면의 외부 가장자리 가까이에 있을 때 보압력이 작용되게 유지된다.
이런 위치에서, 실제로, 기준블록이 없는 상태에서 또한 반마감제품을 신뢰할 수 있게 파지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결합된 석션작용과 보압작용을 필요로 해 기계적 스트레스가 더 크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계 도구가 피가공면의 중앙부 가까이에 있을 때 보압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이런 위치에서, 실제로, 심지어 석션력만의 동작을 통해서도 반마감제품을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어 기계적 스트레스가 더 낮다. 따라서, 가공을 방해함이 없이 처리될 면에 자유로운 접근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피가공면의 중앙부는 블랭크 반경의 약 5%-10%와 같은 반경방향 확장을 갖는다.
바람직하기로, 표면가공 싸이클은 석션파지력과 보압력 모두의 적용에 의해 반마감제품이 파지되는 제 1 단계와, 단지 석션파지력의 적용에 의해 반마감제품이 파지되는 연이은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렌즈제조를 위해, 관련된 반마감제품이 가장자리 부근에서 발생한 제 1 표면가공단계에서 받는 큰 스트레스를 상쇄시키는 파지력이 동시에 작용하는 제 1 단계와, 단지 파지력만이 작용해 반마감제품의 나머지 표면 부분을 기계 도구에 접근시킬 수 있게 하는 연이은 단계를 실행하는 것이 이점적이다.
바람직하기로, 석션파지력은 피가공면에 대해 맞은 편에 있는 반마감제품의 제 1 면에 작용한다.
이런 식으로, 석션파지동작은 처리될 면의 가공에 방해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기로, 보압력은 반마감제품의 제 2 면에 작용한다.
이런 반마감제품의 제 2 면은 바람직하게는 피가공면이다. 이런 식으로, 보압력은 특히 자신의 영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석션력의 영향에 더하며 효과적이다.
대안으로, 반마감제품의 제 2 면은 상기 반마감제품의 외주면이다. 이 경우, 보유력의 적용은 피가공면에 도구의 접근을 어떤 식으로든 방해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석션에 의한 파지단계는 반마감제품의 제 1 전면이 제 1 로터리 샤프트에 배열된 석션챔버에 놓일 때 석션그룹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절한 석션수단들이 직접적으로 로터리 샤프트의 형태로 렌즈의 지지부 내부에 수행되어, 벌크의 상당한 절감이 야기되는 것을 예상하기 때문에, 이런 실시예가 특히 이점적이다.
바람직하기로, 보유력을 작용하는 단계는 제 1 로터리 샤프트에 나란한 제 2 로터리 샤프트를 반마감제품의 피가공면과 접촉한 동작 위치로 데려오는 단계 및 이런 피가공면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이점적인 실행에 따라, 피가공면과 직접 접촉함으로써 동작하고, 따라서 석션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제 2 로터리 샤프트의 형태로 형성된 적절한 보압수단이 예상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로, 석션파지력을 통한 파지단계 전에, 반마감제품의 제 1 면의 형태에 변형가능한 지지소자를 맞추는 단계가 있다.
따라서, 반마감제품의 전면에 대해 최적의 지지면이 만들어지고, 그 형태는 제 1 면의 형태와 완벽히 일치한다. 반마감제품에서 기계적 스트레스의 균일한 분포도 또한 전체 가공 싸이클 동안 달성된다.
변형가능한 지지소자를 맞추는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제 1 면의 형태와 일치하는 형태를 이런 변형가능한 지지소자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변형가능한 지지소자에 반마감제품의 제 1 면을 놓는 단계; 및 이런 일치한 형태로 지지소자를 적소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런 식으로, 지지소자는 제 1 면과 일치하는 초기에 설정된 형태를 유지하고, 전체 표면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 반추력(counter-thrust)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한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진다. 특히 특정 조합으로부터 발생한 이점들에서 이득을 보는 게 필요하면, 필요에 따라 단일 형태의 다른 특징들은 상기 설명에 따라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가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반마감제품의 파지그릅의 제 1 실시예의 제 1 동작형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제 2 동작형태에 있는 도 1의 파지그룹의 개략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가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반마감제품의 파지그룹의 제 2 실시예의 개략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도면을 설명하기 위해, 동일한 참조부호는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렌즈가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반마감제품의 파지그룹이 도시되고 전체적으로 10으로 나타나 있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반마감제품(20)은 렌즈가 되게 되어 있는 반마감제품의 블록이다.
이런 반마감제품(20)은 전면 또는 볼록면이라고 하는 기 가공된 제 1 면(20a), 및 가령 전면(20a)의 맞은 편인 후면(20b)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제 2 면, 및/또는 외주 측면(20c)을 포함한다.
후면(20b)은 일반적으로 가공면이 되도록 되어 있다.
파지그룹(10)은 석션파지장치(10a)를 포함한다. 이런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제 1 면(20a)과 접촉하도록 되어 있는 단부에서 석션챔버(12)로 끝나는 제 1 로터리 샤프트(rotary shaft) 또는 후면 맨드릴(rear mandrel)을 포함한다.
석션챔버(12)는 진공을 발생하기 위한 석션그룹(미도시)에 연결되고 이런 씰링소자들이 전면(20a)에 놓인 다음 유체밀봉결합을 할 수 있는 개시킷(13) 또는 다른 타입의 씰링소자들을 포함한다.
파지그룹(10)은 또한 보압장치(pressure holding)(10b)를 포함한다. 이런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후면(20b)에 압력을 가하는데 적합한 제 1 로터리 샤프트(11)에 나란히 배열된 제 2 로터리 샤프트 또는 전면 맨드릴(14)을 포함한다.
제 2 로터리 샤프트(14)는 후면(20b)과 접촉하고 따라서 이런 후면(20b)에 직접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도 1에 도시된 제 1 동작위치 및 후면(20b)에서 떨어져 있고 따라서 이런 후면(20b)의 기계 도구, 가령 터닝 플레이트 또는 밀링 커터와 같은 컷팅 도구(30)에 자유로운 접근을 하게 하는 도 2에 도시된 제 2 동작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도면은 순전히 예로써 터닝 플레이트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 컷팅 도구(30)에 의해 실행된 제 1 외주의 황삭단계의 마지막에 남아 있는 반마감제품(20)의 부속물(20d)에 기대어 있는 제 2 로터리 샤프트(14)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동작위치 사이의 로터리 샤프트(14)의 이동과 피가공면(20b)에 가해진 압력은 가령 공압식 또는 유압식 액츄에이터(미도시)를 통해 제어된다.
미도시된 다른 실시예로, 보압장치는 반마감제품(20)의 외주면(20c)에 반경방향 압력을 가하기 위한 것으로, 따라서 이런 외주면(20c)과 접촉하고 반경방향 압력을 가하는 제 1 동작위치와 소자들이 외주면(20c)과 접촉하지 않는 제 2 동작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소자들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람직하나 국한되지 않는 실시예에 따르면, 파지그룹(10)은 또한 석션챔버(12)에 형성된, 바람직하게는 셀프록킹 타입의 변형가능한 지지소자(16)를 포함한다.
이점적으로, 변형가능한 지지소자(16)는 복수의 스프링들과 같이 탄성수단(16b)의 개입을 통해 석션챔버(12)의 베이스(12a)에 놓이는 복수의 동심링들(16a)을 포함한다. 동심링들(16a)은 렌즈(20)에 놓이도록 형성된 자유단부에서 원형 개스킷들(16c)로 종료된다. 도면을 명확히 하기 위해, 참조부호(16a 및 16b)는 몇몇 상술한 동심링들과 탄성수단만으로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구조로 인해 지지소자(16)는 형태가 전면(20a)의 형태와 완벽히 일치하게 반마감제품(20)의 전면(20a)의 지지면을 만들도록 형태를 맞출 수 있다.
특히, 초기에 반마감제품(20)이 파지그룹(10)에 적재될 때, 여전히 두께가 있고 따라서 이런 탄성수단(16b)의 힘으로 반마감제품(20)이 파손되지 않게 탄성수단(16b)의 작용을 상쇄시키기에 충분한 힘이 있다.
동심링(16a)의 자유단부들에 반마감제품(20)의 전면(20a)을 놓음으로써, 동심링들은 이런 전면(20a)의 특정 형태에 의해 결정된 축방향 위치를 취한다.
전면(20a)과 일치한 형태에 도달한 다음, 복수의 동심링들(16a)은 가령 기계식 또는 유압식의 잠금장치(17)의 작동을 통해 적소에 고정된다.
이런 식으로, 지지소자(16)는 심지어 렌즈의 두께가 상당히 감소된 후에도 초기에 설정된 형태를 유지하고, 또한 전체 전면(20a)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된 반추력(counter-thrust)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탄성지지소자에 대한 대안으로서 유체식 또는 반유체식의 변형가능한 지지소자(16)의 사용을 예상한다.
하기에 비제한적인 예로서 렌즈제조방법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렌즈가공방법을 설명한다. 이런 렌즈가공방법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한다.
렌즈가 되도록 되어 있는 반마감제품(20)이 파지그룹(10)에 적재된 다음, 석션파지장치(10a)가 작동되어 전체 가공 사이클 똥안 동작을 유지한다. 이런 식으로, 반마감제품(20)은 전체 가공 사이클 동안 석션파지력을 통해 파지된다.
이후, 렌즈를 제조하는 특정한 경우에 가장자리에 가까운 가공에서부터 이런 면(20b)의 중앙부의 가공으로 지나가며 먼저 반마감제품(20)의 피가공면(20b)의 러프가공 또는 황삭을 포함한 가공 사이클이 개시된다.
피가공면(20b)의 가장자리 가까이에 황삭단계 동안, 석션파지장치(10a) 외에, 보압장치(10b)가 또한 작동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설명에서, 파지장치(10a)의 석션그룹은 반마감제품(20)의 전면(20a)이 제 1 로터리 샤프트(11)에 배열된 석션챔버(12)에 놓일 때 작동된다.
이후, 보압장치(10b)의 액츄에이터가 작동되어 제 2 로터리 샤프트(14)를 반마감제품(20)의 처리될 면(20b)과 접촉한 동작위치에 데려가, 이런 피가공면(20b)에 압력을 가하는 상태로 두게 한다.
따라서, 결합된 석션파지동작 및 보압동작도 또한 이런 동작 동안 렌즈가 받는 더 큰 기계적 스트레스를 상쇄시키게 하므로 반마감제품(20)의 가장자리 가까이에 피가공면(20b)의 황삭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마감제품(20)의 가장자리 가까이에 피가공면(20b)의 황삭동작이 종료되면, 보압장치(10b)가 비활성화되어 피가공면(20b)의 중앙부에 자유로운 접근을 제공하게 된다.
제 2 로터리 샤프트(14)가 피가공면(20b)에서 떨어진 동작위치로 데려와 진 후에, 반마감제품(20)의 전진속도는 실제로 고속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싸이클 시간 면에서 최소 손실을 수반한다.
실제로, 이점적으로, 컷팅 도구(30)는 진공파지력과 상쇄될 수 있는 낮은 컷팅력을 포함한 반마감제품(20)의 중심 가까이에 동작한다.
따라서, 반마감제품(20)의 중심 가까이에 황삭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이런 구성으로, 관련 도구들을 통해 면(20b)의 피니싱 및 연마 컷팅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이런 동작은 또한 실제로 석션파지장치(10a)의 동작을 통해 상쇄될 수 있는 낮은 스트레스를 발생한다.
도 3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석션파지장치(10a)를 동작하는 단계 전에, 반마감제품(20)의 전면(20a) 형태에 변형가능한 지지소자(16)를 맞추는 단계가 있다.
이런 단계는 전면(20a)의 형태에 맞춰지고 이와 일치하며 이런 형태로 지지소자(16)의 위치에 고정되는 형태를 지지소자에 제공하기 위해 반마감제품(20)의 전면(20a)을 지지소자(16)에 놓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렌즈가공방법의 특징을 이루었던 상기 설명으로부터, 관련된 이점들도 또한 명백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렌즈가공방법은 전체 가공 싸이클 동안 완벽하게 위치의 정확도 및 반마감제품의 파지 신뢰도를 모두 보장할 수 있고, 더욱이 이는 기준블록이 없는 상태에서도 이런 식으로 이와 같은 블록의 사용으로부터 발생한 모든 결함들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기술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술한 실시예들의 다른 변형들도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는 비제한적인 예로서 렌즈제조방법을 언급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렌즈를 가공하기 위해 동시에 진행될 수 있도록 반마감제품을 효과적으로 파지하는데 필요한 렌즈가공을 위한 어떠한 적용에도 작동될 수 있다.
더욱이, 일련의 석션파지력 및 보압력의 작동단계는 순전히 예로서 기술된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그렇지 않고, 본 발명의 개념은 또한 석션파지력이 동작하는 스트레스가 낮은 제 1 가공단계와 보압력이 또한 추가로 동작하는 스트레스가 큰 제 2 가공단계를 예상한 가공단계들 또는 이런 단계들의 임의의 조합에도 확장된다.
마지막으로, 렌즈가공단계는 수많은 변형 및 변경들을 받을 수 있음이 명백하며, 이 모두는 본 발명에 의해 포함되어 있다; 더욱이, 모든 세부내용들은 기술적으로 동일한 요소들로 대체될 수 있다. 실제로, 사용된 재료뿐만 아니라 크기는 기술요건에 따라 무엇이든지 될 수 있다.

Claims (12)

  1. 전면(20a), 상기 전면(20a)의 맞은 편에 후면(20b) 및 외주 측면(20c)을 포함하는 반마감제품(20)의 전체 표면가공 싸이클 동안 상기 전면(20a)에 작용되는 석션파지력을 통해 반마감제품(20)을 파지하는 단계;
    기계 도구를 통하여 상기 후면(20b)에 표면가공 싸이클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후면(20b)에 표면가공 싸이클 동안 반마감제품(20)에 가해진 기계적 스트레스의 수준에 따라 보압력을 작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렌즈가공방법으로서,
    상기 후면(20b)에 작용되는 표면가공 싸이클은 상기 전면(20a)에 석션파지력과 상기 후면(20b)에 보압력 모두의 적용에 의해 반마감제품(20)이 파지되고 상기 기계 도구(30)는 상기 반마감제품(20)의 상기 후면(20b)을 상기 후면(20b)의 외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후면(20b)의 중앙부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제 1 단계와, 상기 전면(20a)에 단지 석션파지력의 적용에 의해 반마감제품(20)이 파지되고 상기 기계 도구(30)는 상기 후면(20b)의 중앙부에 도달하는 연이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보압력은 표면가공 싸이클에서 상기 후면(20b) 상에 상기 기계 도구(30)에 의해 취해진 순간적 위치에 따라 보압력이 작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공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기계 도구(30)가 후면(20b)의 외부 가장자리 가까이에 있을 때 보압력이 작용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공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기계 도구(30)가 후면(20b)의 중앙부 가까이에 있을 때 보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공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석션파지력을 통한 파지단계는 전면(20a)이 제 1 로터리 샤프트(11)에 배열된 석션챔버(12)에 놓일 때 석션그룹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공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석션파지력을 통한 파지단계 전에, 전면(20a)의 형태에 변형가능한 지지소자(16)를 맞추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공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변형가능한 지지소자(16)를 맞추는 단계는:
    - 전면(20a)의 형태와 일치하는 형태를 이런 변형가능한 지지소자(16)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변형가능한 지지소자(16)에 반마감제품(20)의 전면(20a)을 놓는 단계; 및
    - 이런 일치한 형태로 지지소자(16)를 적소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공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보압력을 작용시키는 단계는 제 1 로터리 샤프트(11)에 나란한 제 2 로터리 샤프트(14)를 후면(20b)과 접촉한 동작 위치로 데려오는 단계 및 이런 후면(20b)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가공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67010732A 2013-10-22 2014-10-15 렌즈가공 방법 KR1022289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1758A ITMI20131758A1 (it) 2013-10-22 2013-10-22 Processo di lavorazione di una lente
ITMI2013A001758 2013-10-22
PCT/EP2014/072075 WO2015059007A1 (en) 2013-10-22 2014-10-15 Process for machining a l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529A KR20160075529A (ko) 2016-06-29
KR102228901B1 true KR102228901B1 (ko) 2021-03-18

Family

ID=49958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0732A KR102228901B1 (ko) 2013-10-22 2014-10-15 렌즈가공 방법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10926370B2 (ko)
EP (1) EP3060386B1 (ko)
JP (1) JP6509843B2 (ko)
KR (1) KR102228901B1 (ko)
CN (1) CN105873747B (ko)
BR (1) BR112016009061B1 (ko)
CA (1) CA2926995C (ko)
CL (1) CL2016000962A1 (ko)
DK (1) DK3060386T3 (ko)
ES (1) ES2868274T3 (ko)
HR (1) HRP20210776T1 (ko)
HU (1) HUE054719T2 (ko)
IT (1) ITMI20131758A1 (ko)
LT (1) LT3060386T (ko)
MX (1) MX2016005328A (ko)
PL (1) PL3060386T3 (ko)
PT (1) PT3060386T (ko)
RS (1) RS61880B1 (ko)
SG (1) SG11201602729SA (ko)
SI (1) SI3060386T1 (ko)
TW (1) TWI656943B (ko)
WO (1) WO20150590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7597A1 (en) * 2015-10-21 2017-04-27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Systems for and methods of surfacing a composite lens blank with functional layer
CN109968108B (zh) * 2019-03-28 2020-02-11 三明福特科光电有限公司 一种z值<0.1的弯月透镜定芯磨边加工工艺
EP4029648B1 (en) * 2021-01-14 2024-05-22 MEI S.r.l. Block-free lens support for lenses surface machining
DE102021004831A1 (de) 2021-09-24 2023-03-30 Satisloh Ag Verfahren zur spanenden bearbeitung von optischen werkstücken, insbesondere brillenlinsen aus kunststoff
DE102021005202A1 (de) 2021-10-19 2023-04-20 Satisloh Ag Aufnahme für die Bearbeitung von optischen Werkstücken, insbesondere Brillenlinsen
DE102021005399A1 (de) 2021-11-01 2023-05-04 Satisloh Ag Verfahren zur spanenden bearbeitung von brillenlinsen und werkstück- haltekopf für optische werkstücke, wie brillenlinsen
WO2023110939A1 (de) 2021-12-13 2023-06-22 Satisloh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rillenlinsen und positionieraufnahme für/mit einem brillenlinsen-halbzeug
EP4257287A1 (en) * 2022-04-05 2023-10-11 Essilor International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manufacturing system for manufacturing by machining an ophtalmic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4748A (en) * 1991-09-05 1995-10-03 Wernicke & Co. Gmbh Process, block for sucker or a machine for grinding or machining the edge of eyeglass lenses and a process for grinding eyeglass lense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83202A (en) * 1944-08-03 1946-12-11 American Optical Corp Improvements in supporting devices for lenses and other articles which are to be subjected to grinding, polishing and other operations
JPH02109671A (ja) * 1988-10-20 1990-04-23 Olympus Optical Co Ltd レンズ研削機およびレンズ加工方法
JPH03121763A (ja) 1989-10-05 1991-05-23 Topcon Corp 吸着加工治具
JP2681120B2 (ja) 1990-04-24 1997-11-26 フジオーゼックス株式会社 エンジンバルブの傘部加工方法
US5210695A (en) * 1990-10-26 1993-05-11 Gerber Optical, Inc. Single block mounting system for surfacing and edging of a lens blank and method therefor
US5567198A (en) * 1994-11-17 1996-10-22 Coburn Optical Industries, Inc. Compression sleeve ophthalmic lens chuck
US5720649A (en) * 1995-12-22 1998-02-24 Gerber Optical, Inc. Optical lens or lap blank surfacing machine, related method and cutting tool for use therewith
DE19713222A1 (de) * 1997-03-31 1998-10-01 Wernicke & Co Gmbh Vorrichtung zum Bearbeiten einer Fläche und des Randes einer Linse und insbesondere eines Brillenglas-Blanks in einer Aufspannung
US6110016A (en) * 1998-06-22 2000-08-29 Ppg Industries Ohio, Inc. Lens block and method of processing lenses
JP3778707B2 (ja) * 1998-09-29 2006-05-24 株式会社ニデック 眼鏡レンズ加工装置
DE19920204C2 (de) * 1999-05-03 2001-10-31 Wernicke & Co Gmbh Aufnahmevorrichtung für ein Brillenglas
DE10003291C2 (de) * 2000-01-27 2001-11-22 Leica Camera Ag Aufnahmefutter für optische Bauteile zum Feinschleifen und/oder Polieren
DE10013650C1 (de) * 2000-03-18 2001-11-15 Wernicke & Co Gmbh Verfahren zum Bearbeiten von Brillengläsern mittels einer CNC-gesteuerten Brillenglasbearbeitungsmaschine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2003039203A (ja) 2001-07-25 2003-02-12 Topcon Corp レンズセル加工装置
DE102005038063A1 (de) * 2005-08-10 2007-02-15 Schneider Gmbh + Co. Kg Vorgeformtes Blockstück mit drei Auflagepunkten
FR2895293B1 (fr) * 2005-12-27 2008-02-01 Essilor Int Dispositif de blocage pour element optique.
FR2937574A1 (fr) * 2008-10-29 2010-04-30 Guy Monnoyeur Dispositif et procede d'usinage et/ou de polissage de lentille
JP2010137352A (ja) 2008-12-15 2010-06-24 Olympus Corp 心取り加工方法および心取り加工装置
KR101623582B1 (ko) * 2009-07-31 2016-05-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 응답시간 보상방법
US8636360B2 (en) 2009-08-12 2014-01-28 Ronald C. Wiand Beveling wheel, method for forming a beveled lens for use with eyeglasses and a beveled lens
JP6338039B2 (ja) 2012-03-09 2018-06-06 株式会社ニデック カップ取り付けユニットを有する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4748A (en) * 1991-09-05 1995-10-03 Wernicke & Co. Gmbh Process, block for sucker or a machine for grinding or machining the edge of eyeglass lenses and a process for grinding eyeglass len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868274T3 (es) 2021-10-21
CA2926995A1 (en) 2015-04-30
RS61880B1 (sr) 2021-06-30
HRP20210776T1 (hr) 2021-10-01
JP2016537208A (ja) 2016-12-01
CL2016000962A1 (es) 2016-12-09
CA2926995C (en) 2022-01-04
HUE054719T2 (hu) 2021-09-28
BR112016009061A2 (ko) 2017-08-01
DK3060386T3 (da) 2021-05-10
JP6509843B2 (ja) 2019-05-08
PL3060386T3 (pl) 2021-08-23
WO2015059007A1 (en) 2015-04-30
US20160243667A1 (en) 2016-08-25
KR20160075529A (ko) 2016-06-29
EP3060386A1 (en) 2016-08-31
CN105873747B (zh) 2018-11-02
TWI656943B (zh) 2019-04-21
US10926370B2 (en) 2021-02-23
CN105873747A (zh) 2016-08-17
SG11201602729SA (en) 2016-05-30
ITMI20131758A1 (it) 2015-04-23
SI3060386T1 (sl) 2021-08-31
TW201518030A (zh) 2015-05-16
EP3060386B1 (en) 2021-04-07
MX2016005328A (es) 2016-12-14
BR112016009061B1 (pt) 2021-11-03
PT3060386T (pt) 2021-05-11
LT3060386T (lt) 202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8901B1 (ko) 렌즈가공 방법
EP1656248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phthalmic lenses using circular blanks
CN106061676B (zh) 磨削机以及用于磨削具有轴向孔以及具有在两侧需要加工的平坦的外部面的工件的方法
US20150375355A1 (en) Integrated part fixturing for lathing processes
JP2015188999A (ja) 単歯割出し研削法による傘歯車の研削加工方法
US20130255453A1 (en) Vacuum blocking for manufacturing optical devices
JP2012076173A5 (ko)
CN107443026A (zh) 振动摆镜加工方法
CN108127128A (zh) 一种薄壁齿圈外圆面精车方法
CN118043170A (zh) 用于加工特别是眼镜镜片的光学工件的保持器
EP3338948B1 (en) Lens separating apparatus and lens separating method
CN106825614B (zh) 一种航空压气机罩轮廓面加工方法
EP3608055B1 (en) Method for machining an optical surface of an optical lens
EP4029648B1 (en) Block-free lens support for lenses surface machining
EP3636422A1 (en) Lamination machine and method with an improved blocker support
CN104999092A (zh) 薄壁齿圈外圆面精车方法
CN103753370A (zh) 一盘多件式抛光模装置
Beaucamp et al. Shape adaptive grinding of optical surfaces for scientific applications and consumer products
JPH09508075A (ja) レンズ・ブランクを機械的に加工する装置
JP2011073132A (ja) 円板ワークの高速回転ジャイロ加工方法とその円板ワークの高速回転ジャイロ加工装置
WO2018029147A3 (de) Verfahren zum spanenden bearbeiten von werkstuecken mittels einer schleifmaschine sowie schleifmas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