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671B1 - 쉘터형 냉난방장치 - Google Patents

쉘터형 냉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671B1
KR102228671B1 KR1020180145037A KR20180145037A KR102228671B1 KR 102228671 B1 KR102228671 B1 KR 102228671B1 KR 1020180145037 A KR1020180145037 A KR 1020180145037A KR 20180145037 A KR20180145037 A KR 20180145037A KR 102228671 B1 KR102228671 B1 KR 102228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shelter
heat
cooling
exchan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9825A (ko
Inventor
이전한
이상봉
Original Assignee
(주)메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메타솔루션 filed Critical (주)메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145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671B1/ko
Publication of KR20200059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Compression cycle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2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8Closures; Awnings; Sunsh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4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withdrawing non-condensible gases
    • F25B43/043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withdrawing non-condensible gases for compression ty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2Mounting a compressor unit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7Water-cooled cond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쉘터형 냉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라, 쉘터막; 쉘터막 하부로 열교환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송풍구를 구비하고 쉘터막을 지지하는 본체 하우징; 본체 하우징에 구비되며, 압축기, 제1 열교환기, 제1 팬, 제2 열교환기, 제2 팬 및 제1 및 제2 열교환기 사이에 배치된 팽창유닛을 포함하는 냉난방유닛을 포함하고, 제1 팬은 제1 열교환기를 거쳐 열교환된 외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제2 팬은 제2 열교환기를 거쳐 열교환된 외기를 송풍구를 통해 쉘터막 하부로 배출하고, 냉방동작 시 제1 열교환기는 응축기로 동작하고 제2 열교환기는 팽창유닛에서 팽장된 냉매를 제공받아 증발기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터형 냉난방장치가 제안된다.

Description

쉘터형 냉난방장치{SHELTER-TYPE COOLING AND H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냉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야외나 밀폐되지 않은 공간 또는 지붕이 높은 창고 내지 공장 등의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쉘터형 냉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조장치는 실내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냉방기와 실내의 공기를 가열하는 난방기를 모두 포함하여 일컫는 것으로, 근래에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냉방 및 난방이 모두 가능한 냉난방겸용 공조장치가 실용화되어 있다. 냉난방 겸용 공조장치는 하나의 본체 내에 냉방용 증발기 및 온풍 난방용 열교환기를 분리 설치하여 냉방 및 난방을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이러한 냉난방 겸용장치는 일반적으로 압축기, 제1 열교환기, 제2 열교환기, 팽창밸브 및 사방밸브를 구비하여 제1 및 제2 열교환기가 각각 냉방과 난방 시에 증발기와 응축기 역할을 번갈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통상 냉난방 겸용장치는 건물 등에 고정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예컨대 압축기와 제1 열교환기는 실외기 형식으로 그리고 제2 열교환기는 외부와 차단된 공간에서 냉방 내지 난방을 목적으로 실내기 형식으로 설치하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냉난방 장치를 실외에서 또는 밀폐되지 않은 트인 공간에서 냉방 또는/및 난방 목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나 혹은 외부와 차단되더라도 지붕이 높게 설치되어 있어 통상의 개별 냉난방 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냉방이나 난방이 곤란하거나 효율이 너무 떨어져 사용하기 어려웠다.
특히 야외에서 경비 등의 업무를 보는 등의 경우 냉방 시 선풍기 외에 공조기기를 사용하는데는 어려움이 많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86761호(2006. 8. 1.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10361호(2001. 12. 17.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70317호(2014. 12. 8.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야외나 밀폐되지 않은 공간 또는 지붕이 높은 창고 내지 공장 등의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쉘터형 냉난방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라, 쉘터막; 쉘터막 하부로 열교환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송풍구를 구비하고 쉘터막을 지지하는 본체 하우징; 본체 하우징에 구비되며, 압축기, 제1 열교환기, 제1 팬, 제2 열교환기, 제2 팬 및 제1 및 제2 열교환기 사이에 배치된 팽창유닛을 포함하는 냉난방유닛을 포함하고, 제1 팬은 제1 열교환기를 거쳐 열교환된 외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제2 팬은 제2 열교환기를 거쳐 열교환된 외기를 송풍구를 통해 쉘터막 하부로 배출하고, 냉방동작 시 제1 열교환기는 응축기로 동작하고 제2 열교환기는 팽창유닛에서 팽장된 냉매를 제공받아 증발기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터형 냉난방장치가 제안된다.
이때, 난방동작 시 제1 열교환기는 팽창유닛에서 팽장된 냉매를 제공받아 증발기로 동작하고 제2 열교환기는 응축기로 동작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본체 하우징은 냉난방유닛이 설치되는 하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단이 개방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상부 지지기둥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은, 제1 열교환기를 외기에 노출시키는 하측 개구가 구비되며 압축기, 제1 열교환기 및 제1 팬을 수용하는 하부공간과, 제2 열교환기를 외기에 노출시키는 상측 개구가 구비되며 제2 열교환기 및 제2 팬을 수용하는 상부공간과, 하부공간과 상부공간을 분리하며 제1 열교환기와 접촉하는 외기의 흐름과 제2 열교환기와 접촉하는 외기의 흐름을 분리하는 분리판을 구비하고, 상측 개구의 상측에 송풍구를 구비할 수 있다. 쉘터막은 상부 지지기둥의 상단부 둘레에 형성되어 지지되고, 제1 팬은 제1 열교환기를 거쳐 열교환된 외기를 상부 지지기둥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본체 하우징은 상부 지지기둥의 개방된 상단에 지지되는 상부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부커버는 상부 지지기둥을 통해 수직으로 배출되는 열교환된 외기를 수평방향 다층구조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수평방향 다층구조를 형성하는 분리판이 절곡되어 상부 지지기둥의 상단 내부까지 삽입되게 형성된다.
또 하나의 예에서, 본체 하우징은 압축기, 제2 열교환기 및 제2 팬을 수용하는 하부 하우징, 제1 열교환기 및 제1 팬을 수용하는 상부 하우징 및 하부 및 상부 하우징을 연결하는 지지기둥을 포함하고, 제1 열교환기는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외기에 노출되고 제2 열교환기는 하부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외기에 노출되고, 하부 하우징은 제2 열교환기를 노출시키는 개구의 상측에 송풍구를 구비하고, 상부 하우징은 제1 팬에 의해 외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더 구비하고, 쉘터막은 지지기둥의 상단부 둘레에 형성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쉘터막에 의해 제1 열교환기와 접촉하는 외기의 흐름과 제2 열교환기와 접촉하는 외기의 흐름이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에서, 쉘터막은 가장자리에 커튼부를 구비하고, 커튼부는 송풍구를 통해 쉘터막의 하부로 상향, 경사진 상향 또는 수평 배출되는 열교환된 외기가 쉘터막 하부를 따라 방사상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부분적으로 억제하며 와류형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팽창유닛은 각각 팽창밸브 및 체크밸브가 병렬된 제1 및 제2 밸브세트로 이루어지고, 냉방동작 시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제1 열교환기, 제1 밸브세트의 체크밸브, 제2 밸브세트의 팽창밸브 및 제2 열교환기 경로로 순환하고, 난방동작 시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냉매가 제2 열교환기, 제2 밸브세트의 체크밸브, 제1 밸브세트의 팽창밸브 및 제1 열교환기 경로로 순환할 수 있다.
예컨대, 냉난방유닛은 압축기의 토출구 측에 사방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방밸브는 냉방 시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제1 열교환기로 제공하고 제2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압축기로 제공하고 난방 시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제2 열교환기로 순환시키고 제1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압축기로 순환시킨다.
이때 하나의 예에서, 냉난방유닛은 액분리기를 더 포함하고, 액분리기는 증발기로 동작하는 제2 또는 제1 열교환기를 거쳐 사방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열교환된 냉매의 액성분을 분리시켜 압축기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예에서, 냉난방유닛은 제2 열교환기 하부에 설치된 응축수 받이 및 제1 열교환기 상부에 설치되어 냉방동작 시 응축수 받이로부터 제공된 응축수를 제1 열교환기 상부에서 분사시키는 스프레이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하나의 예에서, 냉난방유닛은 하부 하우징 내에 설치된 응축수 탱크를 더 포함하고, 응축수 탱크는 냉방동작 시 제2 열교환기의 주위에서 외기가 응축되어 형성된 응축수를 제공받아 제1 열교환기의 상부에서 분사되도록 펌핑 공급할 수 있다.
삭제
또한, 하나의 예에 따르면, 쉘터형 냉난방장치는 제2 열교환기의 전방측에 에너지원을 공급받아 열을 방출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히터는 냉방동작 시 오프되고 난방동작 시 냉난방유닛과 함께 또는 선택적으로 온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쉘터형 냉난방장치를 야외나 밀폐되지 않은 공간 또는 지붕이 높은 창고 내지 공장 등의 공간에서 여름철 냉방용이나 겨울철 난방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및 변형 예들에 포함되는 구성 내지 다양한 구성들의 특징으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의 이해 범위 내에서 다양한 특징적 효과가 도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쉘터형 냉난방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에 따른 쉘터형 냉난방장치의 부분절개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쉘터형 냉난방장치의 부분절개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3b 각각은 도 1에 따른 쉘터형 냉난방장치의 냉방사이클 및 난방사이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4b 각각은 도 2b에 따른 쉘터형 냉난방장치의 냉방사이클 및 난방사이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쉘터형 냉난방장치의 냉난방유닛 및 히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설명에 있어서, 동일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고,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부차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의 관계에서 연결 내지 결합 등의 결합관계 등을 형성하는 경우 '직접'이라는 한정이 없는 이상, '직접적인' 결합관계 등의 형태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관계됨으로써 매개체에 의한 결합관계 등의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전방'과 '후방' 등의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들은 기준이 되는 요소에 대한 상대적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비록 단수로 표현된 구성일지라도, 발명의 개념에 반하거나 모순되게 해석되지 않는 이상 복수의 구성들 전체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게다가,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등의 단어 및 그들로부터 파생된 용어의 기재는 본래의 요소 내지 요소들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부가, 조합 내지 결합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으며, 나아가, '구비하다', '구성되다' 등의 의미를 갖는 단어 및 그들로부터 파생된 용어의 기재도 본래의 요소 내지 요소들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부가, 조합 내지 결합에 의하여 본래의 요소 내지 요소들이 자신의 특징, 기능 및/또는 성질이 상실되지 않는 경우라면 그러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부가 내지 결합 가능성이 배제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써, 모양, 크기, 두께 등은 기술적 특징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되거나 축소되게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도면에서 실시예의 구성들 중의 일부는 발명 전체의 이해 내지 나머지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생략되거나 또는 설명만으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모습에 따른 쉘터형 냉난방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때, 참조되는 도면에 기재되지 않은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는 다른 도면에서의 도면부호일 수 있다. 이때, 각 도면에 개시된 구성들은 실시예의 변형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고, 각 도면에서는 발명의 필수적 구성이라고 할지라도 다른 구성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생략되어 설명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쉘터형 냉난방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는 도 1에 따른 쉘터형 냉난방장치의 부분절개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쉘터형 냉난방장치의 부분절개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 및 3b 각각은 도 1에 따른 쉘터형 냉난방장치의 냉방사이클 및 난방사이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a 및 4b 각각은 도 2b에 따른 쉘터형 냉난방장치의 냉방사이클 및 난방사이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 따른 쉘터형 냉난방장치의 냉난방유닛 및 히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나의 예에 따른 쉘터형 냉난방장치는 쉘터막(100), 본체 하우징(200), 냉난방유닛(300)을 포함한다. 예컨대, 도 5를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쉘터형 냉난방장치는 히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쉘터막(100)은 예컨대 그늘형성 또는/및 비가림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쉘터막(100)은 우산 모양일 수 있다. 본체 하우징(200)은 송풍구(210)를 구비하고 쉘터막(100)을 지지한다. 이때, 송풍구(210)는 쉘터막(100) 하부로 열교환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다. 냉난방유닛(300)은 본체 하우징(200)에 구비된다. 예컨대, 냉난방유닛(300)은 본체 하우징(20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냉난방유닛(300)의 일부 구성이 본체 하우징(200)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냉난방유닛(300)은 압축기(310), 제1 열교환기(330a), 제1 팬(340a), 제2 열교환기(330b), 제2 팬(340b) 및 제1 및 제2 열교환기(330a, 330b) 사이에 배치된 팽창유닛(350)을 포함하는 냉난방유닛(300)을 포함한다. 이때, 제1 팬(340a)은 제1 열교환기(330a)를 거쳐 열교환된 외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제2 팬(340b)은 제2 열교환기(330b)를 거쳐 열교환된 외기를 송풍구(210)를 통해 쉘터막(100) 하부로 배출한다. 냉방동작 시, 제1 열교환기(330a)는 응축기로 동작하고 제2 열교환기(330b)는 팽창유닛(350)에서 팽장된 냉매를 제공받아 증발기로 동작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예에 따른 쉘터형 냉난방장치를 야외나 밀폐되지 않은 공간 또는 지붕이 높은 창고 내지 공장 등의 공간에서 여름철 냉방용 또는/및 겨울철 난방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쉘터형 냉난방장치의 사용이 적합한 야외 공간의 예로는 초소 경비 등의 야외 근무자 공간, 고속도로 등의 휴게소의 미니 휴식공간, 야외 행사장 등의 휴식 내지 준비 공간 등을 들 수 있고, 밀폐되지 않은 공간의 예로는 골프연습장 등의 공간 등을 들 수 있고, 실내 공간의 예로는 지붕이 높은 창고 내지 공장 등의 공간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쉘터막(100)]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 따른 쉘터형 냉난방장치의 쉘터막(100)은 본체 하우징(200)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쉘터막(100)은 본체 하우징(200)의 송풍구(210)를 통해 냉난방유닛(300)을 거쳐 배출되는 열교환된 공기를 쉘터막(100) 하부에 부분적으로 가두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쉘터막(100)은 야외에서 그늘이나 비가림을 형성할 수 있다. 쉘터막(100)은 예컨대 우산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2b를 참조하면, 쉘터막(100)은 본체 하우징(200)의 상단부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2b를 참조하면, 쉘터막(100)은 본체 하우징(200)의 지지기둥 내지 상부 지지기둥(200b)의 상단부 둘레에 형성되어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기둥 내지 상부 지지기둥(200b)은 쉘터막(10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쉘터막(100)은 예컨대 가장자리에 커튼부(1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커튼부(110)는 송풍구(210)를 통해 쉘터막(100)의 하부로 배출되는 열교환된 외기가 쉘터막(100) 하부를 따라 방사상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부분적으로 억제하며 와류형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송풍구(210)를 통해 쉘터막(100)의 하부로 상향, 경사진 상향 또는 수평 배출되는 열교환된 외기가 쉘터막(100)의 하부를 따라 바깥쪽으로 흐르다가 쉘터막(100)의 가장자리에서 커튼부(110)에 막히며 하향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예컨대 제2 팬(340b)의 흡입력에 의해 제2 열교환기(330b)로 외기가 흐르게 되며 순환하는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커튼부(110)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순환되도록 하며 와류형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와류형 순환은 커튼부(110)에 의해 공기의 흐름방향이 바뀌며 제2 팬(340b)과의 상호작용으로 순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본체 하우징(200)의 둘레를 따라 송풍구(210)가 구비되는 경우 본체 하우징(200) 주위의 쉘터막(100) 하부에서 와류형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2a 내지 2b를 참조하면, 쉘터막(100)은 본체 하우징(200)에 지지되며 방사상으로 펼쳐진 리브들(ribs)(100a) 및 리브들(ribs)(100a)에 의해 지지되는 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리브들(ribs)(100a)은 우산에서 처럼 접었다 펼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 하우징(200)]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체 하우징(200)은 송풍구(210)를 구비하고 쉘터막(100)을 지지한다. 이때, 송풍구(210)는 쉘터막(100) 하부로 열교환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송풍구(210)는 본체 하우징(200)의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 예컨대 2 또는 4개 구비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송풍구(210)의 갯수는 하나의 설정구역 내에서 다수의 슬릿이 규칙적으로 형성되거나 규칙적인 메쉬망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설정구역 전체를 하나의 송풍구(210)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송풍구(210)의 갯수는 예컨대 본체 하우징(200)의 둘레 방향에 따른 구분된 설정구역의 갯수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면부호 210으로 지정된 구역에서 슬릿은 2개이나 하나의 송풍구(210)로 정의될 수 있다.
본체 하우징(200)은 냉난방유닛(300)을 구비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예컨대, 본체 하우징(200) 내에 냉난방유닛(300)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냉난방유닛(300)의 일부 구성이 본체 하우징(200)에 형성된 개구(220, 230)를 통해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a 내지 2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본체 하우징(200)은 상하측 개구(220, 230)를 더 구비한다. 이때, 제1 열교환기(330a)는 상하측 개구(220, 23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노출되고 제2 열교환기(330b)는 나머지 개구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상측 개구(230)와 하측 개구(220) 각각은 하나 이상의 개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컨대 둘레를 따라 2개씩 또는 4개씩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측 개구(230)와 하측 개구(220) 각각의 갯수는 하나의 설정구역 내에서 규칙적인 구조, 예컨대 메쉬망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설정구역 전체를 하나의 개구로 정의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a에서 하나의 상측 개구(230)와 하나의 하측 개구(220) 각각은 메쉬망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상측 개구(230)와 하측 개구(220) 각각의 갯수는 예컨대 본체 하우징(200)의 둘레 방향에 따른 구분된 설정구역의 갯수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도 1 내지 3b를 참조하여 본체 하우징(200)을 더 살펴본다.
먼저, 도 1 및 2a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본체 하우징(200)은 냉난방유닛(300)이 설치되는 하부 하우징(200a) 및 하부 하우징(200a)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단이 개방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상부 지지기둥(20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하부 하우징(200a)은 상측과 하측에 개구(220, 230)를 구비하고, 하측에 형성된 개구(220)를 통해 제1 열교환기(330a)를 외기에 노출시키고 상측에 형성된 개구(230)를 통해 제2 열교환기(330b)를 외기에 노출시킬 수 있다. 예컨대, 하부 하우징(200a)에 구비되는 상측 개구(230)와 하측 개구(220) 각각은 하나 이상의 개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부 하우징(200a)은 제2 열교환기(330b)를 노출시키는 상측 개구(230)의 상측에 송풍구(210)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상측 개구(230)와 송풍구(210)의 갯수는 대응되게 구비되거나 송풍구(210)의 갯수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1, 2a,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200a) 내에 구비되는 분리판(201a)에 의해 제2 열교환기(330b)에 접촉되는 외기와 제1 열교환기(330a)에 접촉되는 외기의 흐름이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제2 열교환기(330b)에 접촉되는 외기의 순환에서 제2 열교환기(330b)로 흐르며 제2 열교환기(330b)에 접촉되는 외기의 진입흐름과 제2 팬(340b)에 의해 송풍구(210)를 통해 배출되는 외기의 배출흐름도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제2 열교환기(330b)를 수용하는 하부 하우징(200a)의 상부공간과 송풍구(210)가 형성된 하부 하우징(200a)의 배출공간은 분리판(202a)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지지기둥(200b)의 상단부 둘레에 쉘터막(100)이 형성되어 지지된다. 이때, 제1 열교환기(330a)를 거쳐 열교환된 외기가 제1 팬(340a)에 의해 상부 지지기둥(200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 및 2a를 계속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본체 하우징(200)은 상부 지지기둥(200b) 상단에 형성된 상부커버(200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커버(200d)는 상부 지지기둥(200b)의 개방된 상단에 지지된다. 예컨대, 도 1 및 2a를 참조하면, 상부커버(200d)는 상부 지지기둥(200b)을 통해 수직으로 배출되는 열교환된 외기를 수평방향 다층구조로 배출시킬 수 있다. 즉, 상부커버(200d)가 다층의 겹을 이루며 사이공간을 통해 열교환된 외기의 배출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및 2a를 참조하면, 수평방향 다층구조를 형성하는 분리판이 절곡되어 상부 지지기둥(200b)의 상단 내부까지 삽입되게 형성되며, 이때, 상부 지지기둥(200b)을 통해 배출되던 열교환된 외기가 상부 지지기둥(200b)의 상단 내부의 분리판에 의해 분리되어 수평방향 다층구조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물론 상부커버(200d)는 다층구조가 아닌 단일층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본체 하우징(200)은 하부 하우징(200a), 상부 하우징(200c) 및 지지기둥(200b)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200a)은 압축기(310), 제2 열교환기(330b) 및 제2 팬(340b)을 수용하고, 상부 하우징(200c)은 제1 열교환기(330a) 및 제1 팬(340a)을 수용한다. 지지기둥(200b)은 하부 및 상부 하우징(200a, 200c)을 연결한다. 지지기둥(200b)의 상단부 둘레에 쉘터막(100)이 지지된다. 예컨대, 팽창유닛(350)이 제1 및 제2 밸브세트(350a, 350b)로 이루어진 경우 제1 밸브세트(350a)는 상부 하우징(200c)에, 그리고 제2 밸브세트(350b)는 하부 하우징(200a)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하부 및 상부 하우징(200a, 200c)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200c)에 형성된 개구(230)를 통해 제1 열교환기(330a)가 외기에 노출되고, 하부 하우징(200a)에 형성된 개구(220)를 통해 제2 열교환기(330b)가 외기에 노출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200a)은 제2 열교환기(330b)를 노출시키는 개구(220)의 상측에 송풍구(210)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하부 하우징(200a)에 형성된 개구(220)와 송풍구(210)의 갯수는 대응되게 구비되거나 송풍구(210)의 갯수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부 하우징(200c)은 제1 팬(340a)에 의해 외기가 배출되는 배출구(240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상부 하우징(200c)의 배출구(240c)는 상부 하우징(200c)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고, 이때 도시되지 않았으나, 배출구(240c) 상단에 상부커버(200d)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부커버(200d)는 도 1 및 2a를 참조하여 이해하기로 한다.
게다가 도 2b, 4a 및 4b를 참조하면 또 하나의 예에서, 하부 하우징(200a) 내에 응축수 탱크(39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냉난방유닛(300)]
도 1 내지 2b를 참조하면, 냉난방유닛(300)은 본체 하우징(200)에 구비된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냉난방유닛(300)은 압축기(310), 제1 열교환기(330a), 제1 팬(340a), 제2 열교환기(330b), 제2 팬(340b) 및 제1 및 제2 열교환기(330a, 330b) 사이에 배치된 팽창유닛(350)을 포함한다. 이때, 제1 팬(340a)은 제1 열교환기(330a)를 거쳐 열교환된 외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제2 팬(340b)은 제2 열교환기(330b)를 거쳐 열교환된 외기를 송풍구(210)를 통해 쉘터막(100) 하부로 배출한다. 도 3a 및 4a 각각은 하나의 예에 따른 쉘터형 냉난방장치의 냉방사이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 및 4b 각각은 하나의 예에 따른 쉘터형 냉난방장치의 난방사이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제1 및 제2 열교환기(330a, 330b)와 제1 및 제2 팬(340a, 340b)을 살펴본다. 도 3a 및 4a를 참조하면 냉방동작 시, 제1 열교환기(330a)는 응축기로 동작하고 제2 열교환기(330b)는 팽창유닛(350)에서 팽장된 냉매를 제공받아 증발기로 동작한다. 한편, 후술되는 바를 참조하면, 난방동작 시 냉난방유닛(300)의 동작은 선택적일 수 있다. 예컨대 도 3b 및 4b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쉘터형 냉난방장치의 난방동작 시 제1 열교환기(330a)는 팽창유닛(350)에서 팽장된 냉매를 제공받아 증발기로 동작하고 제2 열교환기(330b)는 응축기로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열교환기(330a)가 증발기로 동작하고 제2 열교환기(330b)가 응축기로 동작하는 경우는 난방을 위해 냉난방유닛(300)이 동작하는 경우에 한정되어 이해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열교환기(330a, 330b)는 핀코일식 열교환기일 수 있고, 제1 및 제2 팬(340a, 340b)은 흡입팬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팬(340a, 340b)은 외기 흐름상 제1 및 제2 열교환기(330a, 330b) 각각의 전방측에 설치되며 제1 및 제2 열교환기(330a, 330b) 각각으로 외기를 흡입시켜 열교환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팬(340a)은 흡입력으로 외기가 제1 열교환기(330a) 외부를 거치도록 하고 열교환된 외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제2 팬(340b)은 흡입력으로 외기가 제2 열교환기(330b) 외부를 거치도록 하고 열교환된 외기를 쉘터막(100) 하부로 송풍구(210)를 통해 배출한다.
예컨대, 도 3a 내지 4b를 참조하면, 제1 열교환기(330a)와 접촉하는 외기의 흐름과 제2 열교환기(330b)와 접촉하는 외기의 흐름이 분리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 2a,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200a) 내에 구비되는 분리판(201a) 내지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상 하부 하우징(200a)과 상부 하우징(200c) 사이에 위치되는 쉘터막(100)에 의해 냉각되는 외기와 가열되는 외기의 흐름이 분리될 수 있다.
도 3a 내지 5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또는 제2 팬(340a, 340b) 각각은 외기 흐름상 제1 및/또는 제2 열교환기(330a, 330b) 각각의 후방측에 설치되며 제1 및/또는 제2 열교환기(330a, 330b) 각각으로 외기를 불어넣고 열교환기 외부를 거쳐 외부 및/또는 쉘터막(100) 하부 각각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본체 하우징(200)이 상하측 개구(220, 230)를 구비하는 경우, 제1 열교환기(330a)는 상하측 개구(220, 23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노출되고 제2 열교환기(330b)는 나머지 개구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상측 개구(230)와 하측 개구(220) 각각은 하나 이상의 개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제1 및 제2 열교환기(330a, 330b) 각각은 노출시키는 개구의 갯수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1, 2a, 3a 및 3b에서와 같이 본체 하우징(200)이 하부 하우징(200a)과 상부 지지기둥(20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제2 열교환기(330b)는 하부 하우징(200a)의 상측 개구(230)의 수에 대응되게 그리고 제1 열교환기(330a)는 하부 하우징(200a)의 하측 개구(220)의 수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때, 제2 팬(340b)은 제2 열교환기(330b)의 갯수에 대응되게 구비되거나 송풍구(210)의 갯수에 대응되게 구비되거나 또는 하나만 구비될 수 있고, 제1 팬(340a)은 제1 열교환기(330a)의 갯수에 대응되게 구비되거나 하나만 구비되어 상부 지지기둥(200b)을 통해 외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1, 2a, 3a 및 3b를 참조하면, 하부 하우징(200a)은 하측 개구(220)가 구비되며 압축기(310), 제1 열교환기(330a) 및 제1 팬(340a)을 수용하는 하부공간과 상측 개구(230)가 구비되며 제2 열교환기(330b) 및 제2 팬(340b)을 수용하는 상부공간이 예컨대 분리판(201a)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부 지지기둥(200b)은 하부 하우징(200a)의 상단과 하부 하우징(200a)의 상부공간을 관통하며 하부공간에 수용되는 제2 팬(340b)의 출구 측과 연통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200a)의 하부공간과 상부공간이 분리됨에 따라 제1 열교환기(330a)와 접촉하는 외기와 제2 열교환기(330b)와 접촉하는 외기가 혼합되지 않게 된다. 예컨대 이때, 냉방동작 시 지열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부 하우징(200a) 하부공간 주위에 있는 외기는 하부 하우징(200a)의 하부공간을 통해 제1 열교환기(330a)를 거치며 열을 더 흡수하여 상부 지지기둥(200b)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열교환에 따라 냉각되어 하부 하우징(200a)의 상측부에 위치된 송풍구(210)를 통해 배출되는 외기는 쉘터막(100) 하부에서 하강하며 상부공간 주위의 다른 외기들과 함께 다시 하부 하우징(200a)의 상부공간을 통해 제2 열교환기(330b)를 거치며 열을 빼앗기며 순환하게 된다.
또는, 도 2b에서와 같이 본체 하우징(200)이 하부 하우징(200a), 지지기둥(200b) 및 상부 하우징(200c)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제2 열교환기(330b)는 하부 하우징(200a)에 형성된 개구(220)의 수에 대응되게 그리고 제1 열교환기(330a)는 상부 하우징(200c)에 형성된 개구(230)의 수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때, 제2 팬(340b)은 제2 열교환기(330b)의 갯수에 대응되게 구비되거나 송풍구(210)의 갯수에 대응되게 구비되거나 또는 하나만 구비될 수 있고, 제1 팬(340a)은 제1 열교환기(330a)의 갯수에 대응되게 구비되거나 하나만 구비되어 상부 하우징(200c)의 배출구(240c)를 통해 외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2b, 4a 및 4b를 참조하면, 제2 열교환기(330b)와 접촉하는 외기의 순환과 제1 열교환기(330a)와 접촉하는 외기의 흐름이 쉘터막(100)에 의해 분리된다.
다음으로, 도 3a 내지 5를 참조하여 팽창유닛(350)을 살펴본다. 도 3a 내지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팽창유닛(350)은 제1 및 제2 열교환기(330a, 330b) 사이에 배치되며 냉매를 팽창시켜 증발기로 동작하는 열교환기로 제공한다. 예컨대, 냉방동작 시 팽창유닛(350)을 통과한 냉매가 제2 열교환기(330b)로 제공되도록 한다.
예컨대, 도 3a 내지 5를 참조하면, 팽창유닛(350)은 각각 팽창밸브(351) 및 체크밸브(353)가 병렬된 제1 및 제2 밸브세트(350a, 35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밸브세트(350a, 350b) 중 하나의 세트에서는 팽창밸브(351) 방향으로만 냉매가 흐르고 나머지 세트에서는 체크밸브(353) 방향으로만 냉매가 흐른다. 즉, 도 3a 및 4a를 참조하면 냉방동작 시 압축기(310)에서 토출된 냉매가 제1 열교환기(330a), 제1 밸브세트(350a)의 체크밸브(353), 제2 밸브세트(350b)의 팽창밸브(351) 및 제2 열교환기(330b) 경로로 냉매가 순환하고, 도 3b 및 4b를 참조하면 난방동작 시 압축기(310)에서 토출된 냉매가 냉매가 제2 열교환기(330b), 제2 밸브세트(350b)의 체크밸브(353), 제1 밸브세트(350a)의 팽창밸브(351) 및 제1 열교환기(330a) 경로로 냉매가 순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a 내지 5를 참조하여 또 하나의 실시예를 살펴본다. 하나의 예에서, 냉난방유닛(300)은 압축기(310)의 토출구 측에 사방밸브(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방밸브(320)는 도 3a 및 4a를 참조하면 냉방 시 압축기(310)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제1 열교환기(330a)로 제공하고 제2 열교환기(330b)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압축기(310)로 제공하고, 도 3b 및 4b를 참조하면 난방 시 압축기(310)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제2 열교환기(330b)로 순환시키고 제1 열교환기(330a)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압축기(310)로 순환시킨다.
또한, 도 3a 내지 5를 참조하여 또 하나의 예를 살펴보면, 냉난방유닛(300)은 액분리기(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액분리기(360)는 증발기로 동작하는 제2 또는 제1 열교환기(330a)를 거쳐 사방밸브(320)를 통해 유입되는 열교환된 냉매의 액성분을 분리시켜 압축기(310)로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도 3a 내지 5를 참조하여 또 하나의 예를 살펴보면, 냉난방유닛(300)은 응축수 받이(370) 및 스프레이 노즐(3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응축수 받이(370)는 제2 열교환기(330b) 하부에 설치된다. 응축수 받이(370)는 냉방동작 시 외기가 제2 열교환기(330b)의 외부를 거치며 응축되어 제2 열교환기(330b) 외부에 맺히는 응축수가 떨어지는 것을 받는다. 스프레이 노즐(380)은 제1 열교환기(330a) 상부에 설치되어 냉방동작 시 응축수 받이(370)로부터 제공된 응축수를 제1 열교환기(330a) 상부에서 분사시킨다.
하나의 예에서, 도 2b에서와 같이 본체 하우징(200)이 하부 하우징(200a), 지지기둥(200b) 및 상부 하우징(200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우,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냉난방유닛(300)은 하부 하우징(200a) 내에 설치된 응축수 탱크(3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응축수 탱크(390)는 냉방동작 시 제2 열교환기(330b)의 주위에서 외기가 응축되어 형성된 응축수를 제공받아 제1 열교환기(330a)의 상부에서 분사되도록 펌핑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응축수 탱크(390)는 하부 하우징(200a)에 배치된 제2 열교환기(330b)의 하부에 설치된 응축수 받이(370)로부터 응축수를 제공받아 상부 하우징(200c)에 배치된 제1 열교환기(330a)의 상부에 설치된 스프레이 노즐(380)로 응축수를 예컨대 드레인 펌프(390a)를 이용하여 펌핑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응축수 탱크(390)는 수위조절기(390b)를 구비하여 드레인 펌프(390a)에 의한 펌핑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히터(400)]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예에서, 쉘터형 냉난방장치는 히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냉각사이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히터(400)는 제2 열교환기(330b)의 전방측에 구비되고 에너지원을 공급받아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이때, 제2 열교환기(330b)의 전방측은 열교환된 외기가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한 전방측을 말한다. 예컨대, 제2 팬(340b)이 제2 열교환기(330b)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열교환된 외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송출하도록 형성된 경우, 히터(400)는 제2 열교환기(330b)와 제2 팬(34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히터(400)는 예컨대 도 5a와 같이 냉방동작 시 오프되고, 도시되지 않았으나 쉘터형 냉난방장치의 난방동작 시 냉난방유닛(300)과 함께 또는 선택적으로 온 동작할 수 있다. 즉, 난방동작 시, 히터(400)는 오프상태가 되고 냉난방유닛(300)만 동작하거나 히터(400)가 온 상태로 동작하며 냉난방유닛(300)은 오프되거나 함께 온 동작할 수 있다. 예컨대, 쉘터형 냉난방장치의 난방동작 시 냉난방유닛(300) 및/또는 히터(400)의 온/오프 동작은 매뉴얼 조작 내지 설정에 따른 자동조작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히터(400)의 에너지원은 전력, 가스 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실시 예들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이때,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라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자명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구성요소들의 다양한 조합에 따라 다양한 변형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전술된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 실시 예들을 포함하고 있다.
100: 쉘터막 100a: 리브
110: 커튼부 200: 본체 하우징
200a: 하부 하우징 200b: 지지기둥 내지 상부 지지기둥
200c: 상부 하우징 200d: 상부커버
210: 송풍구 220: 하측 개구
230: 상측 개구 240c: 배출구
300: 냉난방유닛 310: 압축기
320: 사방밸브 330a: 제1 열교환기
330b: 제2 열교환기 340a: 제1 팬
340b: 제2 팬 350: 팽창유닛
350a: 제1 밸브세트 350b: 제2 밸브세트
351: 팽창밸브 353: 체크밸브
360: 액분리기 370: 응축수 받이
380: 스프레이노즐 390: 응축수 탱크
400: 히터

Claims (13)

  1. 쉘터막;
    상기 쉘터막 하부로 열교환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송풍구를 구비하고 상기 쉘터막을 지지하는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에 구비되며, 압축기, 제1 열교환기, 제1 팬, 제2 열교환기, 제2 팬 및 상기 제1 및 제2 열교환기 사이에 배치된 팽창유닛을 포함하는 냉난방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팬은 상기 제1 열교환기를 거쳐 열교환된 외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제2 팬은 상기 제2 열교환기를 거쳐 열교환된 외기를 상기 송풍구를 통해 상기 쉘터막 하부로 배출하고,
    냉방동작 시 상기 제1 열교환기는 응축기로 동작하고 상기 제2 열교환기는 상기 팽창유닛에서 팽장된 냉매를 제공받아 증발기로 동작하고, 난방동작 시 상기 제1 열교환기는 상기 팽창유닛에서 팽장된 냉매를 제공받아 상기 증발기로 동작하고 상기 제2 열교환기는 상기 응축기로 동작하고,
    상기 본체 하우징은 상기 냉난방유닛이 설치되는 하부 하우징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단이 개방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상부 지지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은 상기 제1 열교환기를 외기에 노출시키는 하측 개구가 구비되며 상기 압축기, 상기 제1 열교환기 및 상기 제1 팬을 수용하는 하부공간과, 상기 제2 열교환기를 외기에 노출시키는 상측 개구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열교환기 및 상기 제2 팬을 수용하는 상부공간과, 상기 하부공간과 상기 상부공간을 분리하며 상기 제1 열교환기와 접촉하는 외기의 흐름과 상기 제2 열교환기와 접촉하는 외기의 흐름을 분리하는 분리판을 구비하고, 상기 상측 개구의 상측에 상기 송풍구를 구비하고,
    상기 쉘터막은 상기 상부 지지기둥의 상단부 둘레에 형성되어 지지되고 가장자리에 커튼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튼부는 상기 송풍구를 통해 상기 쉘터막의 하부로 상향, 경사진 상향 또는 수평 배출되는 상기 열교환된 외기가 상기 쉘터막 하부를 따라 방사상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부분적으로 억제하며 와류형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1 팬은 상기 제1 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열교환된 외기를 상기 상부 지지기둥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고,
    상기 본체 하우징은 상기 상부 지지기둥의 개방된 상단에 지지되는 상부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커버는 상기 상부 지지기둥을 통해 수직으로 배출되는 상기 열교환된 외기를 수평방향 다층구조로 배출시키되, 상기 수평방향 다층구조를 형성하는 분리판이 절곡되어 상기 상부 지지기둥의 상단 내부까지 삽입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터형 냉난방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서,
    상기 팽창유닛은 각각 팽창밸브 및 체크밸브가 병렬된 제1 및 제2 밸브세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냉방동작 시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상기 제1 열교환기, 상기 제1 밸브세트의 체크밸브, 상기 제2 밸브세트의 팽창밸브 및 상기 제2 열교환기 경로로 순환하고,
    난방동작 시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상기 냉매가 상기 제2 열교환기, 상기 제2 밸브세트의 체크밸브, 상기 제1 밸브세트의 팽창밸브 및 상기 제1 열교환기 경로로 순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터형 냉난방장치.
  4. 청구항 3에서,
    상기 냉난방유닛은 상기 압축기의 토출구 측에 사방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방밸브는 냉방 시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상기 제1 열교환기로 제공하고 상기 제2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상기 압축기로 제공하고 난방 시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되는 냉매를 상기 제2 열교환기로 순환시키고 상기 제1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를 상기 압축기로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터형 냉난방장치.
  5. 청구항 4에서,
    상기 냉난방유닛은 액분리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분리기는 증발기로 동작하는 상기 제2 또는 제1 열교환기를 거쳐 상기 사방밸브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열교환된 냉매의 액성분을 분리시켜 상기 압축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터형 냉난방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서,
    상기 냉난방유닛은 상기 제2 열교환기 하부에 설치된 응축수 받이 및 상기 제1 열교환기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방동작 시 상기 응축수 받이로부터 제공된 응축수를 상기 제1 열교환기 상부에서 분사시키는 스프레이 노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터형 냉난방장치.
  8. 청구항 1에서,
    상기 쉘터형 냉난방장치는 상기 제2 열교환기의 전방측에 에너지원을 공급받아 열을 방출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냉방동작 시 오프되고 난방동작 시 상기 냉난방유닛과 함께 또는 선택적으로 온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터형 냉난방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80145037A 2018-11-22 2018-11-22 쉘터형 냉난방장치 KR102228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037A KR102228671B1 (ko) 2018-11-22 2018-11-22 쉘터형 냉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037A KR102228671B1 (ko) 2018-11-22 2018-11-22 쉘터형 냉난방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437A Division KR20200121765A (ko) 2020-09-10 2020-09-10 쉘터형 냉난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825A KR20200059825A (ko) 2020-05-29
KR102228671B1 true KR102228671B1 (ko) 2021-03-16

Family

ID=70912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037A KR102228671B1 (ko) 2018-11-22 2018-11-22 쉘터형 냉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67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364B1 (ko) * 2006-01-11 2007-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히터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0361B1 (ko) 1998-07-15 2001-12-17 윤종용 냉난방겸용공조기기와그제어방법
KR100459769B1 (ko) * 2002-12-04 2004-12-03 박춘경 공기조화장치
KR20060086761A (ko) 2005-01-27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난방겸용 공조장치
KR101470317B1 (ko) 2013-04-05 2014-12-08 세일정밀 공업 주식회사 냉난방장치가 장착되는 옥외 부스
KR20160015656A (ko) * 2014-07-31 2016-02-15 김영대 냉난방 파라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364B1 (ko) * 2006-01-11 2007-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히터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825A (ko) 2020-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3433B2 (en) Air conditioner
JP4383902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CN110360622A (zh) 厨房空气调节系统
US6845629B1 (en) Vertical counterflow evaporative cooler
ES2892327T3 (es) Unidad interior de dispositivo de acondicionamiento de aire
JP4494807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CN105992917A (zh) 空调的室外单元
KR20170021045A (ko) 열회수용 환기 덕트
US20170067655A1 (en) Air conditioner units having improved apparatus for providing make-up air
JP2008298384A (ja) 換気空調装置
JP2008145094A (ja) 換気空調装置
KR102228671B1 (ko) 쉘터형 냉난방장치
JP6675057B2 (ja) 熱交換形換気装置
KR20200121765A (ko) 쉘터형 냉난방장치
JP2020003179A (ja) 屋外空気調和装置
KR100384702B1 (ko) 고층건물의 공조시스템
JP2002310450A (ja) 空調装置
JP3526367B2 (ja) 空気調和機
JP4016988B2 (ja) 農産業用空気熱源ヒートポンプ式空調機
EP3505844B1 (en) Air conditioner with plural vanes
JP5040464B2 (ja) 換気空調システム
JP4419522B2 (ja) エアコン設備の室外機カバー
KR100918948B1 (ko) 제트 공조기 토출팬 유닛의 결합구조
JP2008020107A (ja) 浴室空調装置
KR102336692B1 (ko) 수적분리가 가능한 공기순환식 냉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