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325B1 - 단전지와 스페이서의 조립체 - Google Patents

단전지와 스페이서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325B1
KR102228325B1 KR1020197008173A KR20197008173A KR102228325B1 KR 102228325 B1 KR102228325 B1 KR 102228325B1 KR 1020197008173 A KR1020197008173 A KR 1020197008173A KR 20197008173 A KR20197008173 A KR 20197008173A KR 102228325 B1 KR102228325 B1 KR 102228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unit cell
metal layer
electrode tab
battery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2635A (ko
Inventor
마사히로 나카모토
츠토무 이구치
다카오 이와사키
야스히로 야나기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인비젼 에이이에스씨 재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87446A external-priority patent/JP686100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187428A external-priority patent/JP686100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인비젼 에이이에스씨 재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인비젼 에이이에스씨 재팬
Publication of KR20190042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12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01M50/129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with two or more layers of only 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금속층의 단부가 노출된 밀봉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결로에 기인한 누전을 억제하면서 소형화할 수 있는 단전지를 제공한다. 단전지(110)는 전지 본체(110H)와 전극 탭(112)(애노드측 전극 탭(112A) 및 캐소드측 전극 탭(112K))과 밀봉 부재(라미네이트 필름(113))를 갖고 있다. 전지 본체는 발전 요소를 포함하여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애노드측 전극 탭 및 캐소드측 전극 탭은 전지 본체로부터 도출되어 있다. 1쌍의 라미네이트 필름은, 시트형의 금속층(113M)과, 금속층을 양면으로부터 피복하여 절연하는 시트형의 절연층(113N)을 포함하고, 전지 본체를 끼워서 밀봉하고 있다. 여기서, 1쌍의 라미네이트 필름(113)은, 전지 본체로부터 연장된 외측 에지(113d)의 적어도 일부를 절곡하면서 금속층이 노출된 단부(113e)를 절연층의 표면(113f)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있다.

Description

단전지와 스페이서의 조립체
본 발명은 단전지와 스페이서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지 본체(전지 요소)를 1쌍의 밀봉 부재(외장 필름)에 의하여 끼워서 밀봉한 단전지(비수계 이차 전지)가 있다. 밀봉 부재는, 시트형의 금속층(방습층)을 시트형의 절연층(합성 수지층)에 의하여 피복하여 구성하고 있다. 1쌍의 밀봉 부재의 외측 에지(변측 에지부)는 꺾여 중첩되어 있다(특허문헌 1을 참조).
또한 전극 탭에 과대한 전류가 흘렀을 때에 전극 탭에 배치된 브리지를 용단시켜, 밀봉 부재(라미네이트 외장체) 내에 수납된 전지 본체(전극체)를 보호하는 단전지(라미네이트 외장 전지)가 있다. 밀봉 부재는 스페이스 절약화를 위하여, 긴 쪽 방향을 따른 양측의 외측 에지가 절곡되어 있다(특허문헌 2를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5185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4-49228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단전지에서는, 1쌍의 밀봉 부재의 외측 에지(변측 에지부)를 꺾어서 중첩시키고 있는 점에서 소형화할 수 있기는 하지만, 결로에 의하여 생긴 수적이, 예를 들어 밀봉 부재의 표면을 타고 외측 에지까지 이동한 경우, 노출되어 있는 금속층의 단부에 부착되어 누전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층의 단부가 노출된 밀봉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결로에 기인한 누전을 억제하면서 소형화할 수 있는, 단전지와 스페이서의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전지와 스페이서의 조립체는, 발전 요소를 포함하고 편평하게 형성한 전지 본체와, 상기 전지 본체로부터 도출한 전극 탭과, 시트형의 금속층과 상기 금속층을 양면으로부터 피복하여 절연하는 시트형의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지 본체를 끼워서 밀봉한 밀봉 부재를 갖는 단전지와, 상기 단전지를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갖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전지 본체는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전지 본체로부터 연장된 외측 에지의 적어도 일부가 하방을 향하여 절곡되고, 상기 금속층이 노출된 단부를 상기 절연층의 표면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밀봉 부재에 있어서의 절곡된 상기 금속층이 노출된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용부는, 하방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고,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외측 에지에 접촉하여 상기 외측 에지의 각도를 규제하여, 상기 밀봉 부재에 있어서의 절곡된 상기 금속층이 노출된 단부를 상기 수용부의 내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규제부를 갖는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조전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조전지로부터 가압 유닛(상부 가압판과 하부 가압판과 좌우의 측판)을 떼어내고, 또한 버스바 유닛의 일부(보호 커버와 애노드측 터미널과 캐소드측 터미널)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적층된 단전지의 전극 탭에 버스바를 접합한 상태의 요부를 단면에 의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를 측방으로부터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적층체로부터 버스바 홀더와 버스바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제1 셀 서브어셈블리와 제2 셀 서브어셈블리를 버스바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하는 제1 셀 서브어셈블리(병렬 접속하는 3조의 단전지)를 단전지별로 분해하고, 또한 그 중 하나(최상부)의 단전지로부터 제1 스페이서와 제2 스페이서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조립체(단전지와 제1 스페이서)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조립체의 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 있어서, 각 부재의 크기나 비율은 실시 형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과장하여 실제의 크기나 비율과는 상이한 경우가 있다.
각 도면에 있어서, X, Y 및 Z로 나타내는 화살표를 이용하여 조전지(100)의 방위를 나타내고 있다. X에 의하여 나타내는 화살표의 방향은 조전지(100)의 긴 쪽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Y에 의하여 나타내는 화살표의 방향은 조전지(100)의 짧은 쪽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Z에 의하여 나타내는 화살표의 방향은 조전지(100)의 적층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조전지(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조전지(100)로부터 가압 유닛(120)(상부 가압판(121)과 하부 가압판(122)과 좌우의 측판(123))을 떼어내고, 또한 버스바 유닛(130)의 일부(보호 커버(135)와 애노드측 터미널(133)과 캐소드측 터미널(134))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적층된 단전지(110)의 전극 탭(112)에 버스바(132)를 접합한 상태의 요부를 단면에 의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를 측방으로부터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적층체(110S)로부터 버스바 홀더(131)와 버스바(132)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제1 셀 서브어셈블리(110M)와 제2 셀 서브어셈블리(110N)를 버스바(132)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하는 제1 셀 서브어셈블리(110M)(병렬 접속하는 3조의 단전지(110))를 단전지(110)별로 분해하고, 또한 그 중 하나(최상부)의 단전지(110)로부터 제1 스페이서(114)와 제2 스페이서(115)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조립체(100A)(단전지(110)와 제1 스페이서(114))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조립체(100A)의 요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8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에 따른 단전지(110)는,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전지 본체(110H)와 전극 탭(112)(애노드측 전극 탭(112A) 및 캐소드측 전극 탭(112K)에 상당함)과 밀봉 부재(라미네이트 필름(113)에 상당함)를 갖고 있다. 전지 본체(110H)는 발전 요소(111)를 포함하여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애노드측 전극 탭(112A) 및 캐소드측 전극 탭(112K)은 전지 본체(110H)로부터 도출되어 있다. 1쌍의 라미네이트 필름(113)은, 시트형의 금속층(113M)과, 금속층(113M)을 양면으로부터 피복하여 절연하는 시트형의 절연층(113N)을 포함하고, 전지 본체(110H)를 끼워서 밀봉하고 있다. 여기서, 1쌍의 라미네이트 필름(113)은, 전지 본체(110H)로부터 연장된 외측 에지(113d)의 적어도 일부를 절곡하면서 금속층(113M)이 노출된 단부(113e)를 절연층(113N)의 표면(113f)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있다.
도 3a 및 도 8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에 따른 단전지(110)는,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단전지(110)와, 단전지(110)를 지지하는 스페이서(제1 스페이서(114) 및 제2 스페이서(115)에 상당함)를 갖고 있다. 여기서, 제1 스페이서(114) 및 제2 스페이서(115)는, 금속층(113M)이 노출된 단부(113e)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예를 들어 절연성의 수용부(114j)를 구비하고 있다.
단전지(110)와 스페이서(제1 스페이서(114) 및 제2 스페이서(115))의 조립체(100A)를 포함하는 조전지(100)는, 전기 자동차와 같은 차량에 복수 탑재되어 차량용 모터를 구동시키는 전원으로서 사용된다. 조전지(100)는, 복수의 단전지(110)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110S)를 가압 유닛(120)에 의하여 가압한 상태에 있어서, 버스바 유닛(13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구성하고 있다. 이하, 단전지(110)와 스페이서(제1 스페이서(114) 및 제2 스페이서(115))의 조립체(100A)를 포함하는 조전지(100)의 각 구성을 설명한다.
적층체(110S)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적층체(110S)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병렬 접속한 3개의 단전지(110)로 이루어지는 제1 셀 서브어셈블리(110M)와, 전기적으로 병렬 접속한 3개의 단전지(110)로 이루어지는 제2 셀 서브어셈블리(110N)를 교대로 직렬 접속하여 구성하고 있다.
제1 셀 서브어셈블리(110M)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전지(100)에 있어서, 1단째(최하단), 3단째, 5단째 및 7단째(최상단)에 위치하는 3개의 단전지(110)에 상당한다. 제2 셀 서브어셈블리(110N)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전지(100)에 있어서, 2단째, 4단째 및 6단째에 위치하는 3개의 단전지(110)에 상당한다.
제1 셀 서브어셈블리(110M)와 제2 셀 서브어셈블리(110N)는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단, 제1 셀 서브어셈블리(110M)와 제2 셀 서브어셈블리(110N)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단전지(110)의 아래위를 뒤집어 넣음으로써 3개의 애노드측 전극 탭(112A)과 3개의 캐소드측 전극 탭(112K)이 Z 방향을 따라 교대로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제1 셀 서브어셈블리(110M)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애노드측 전극 탭(112A)이 도면 중 우측에 위치하고, 모든 캐소드측 전극 탭(112K)이 도면 중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2 셀 서브어셈블리(110N)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애노드측 전극 탭(112A)이 도면 중 좌측에 위치하고, 모든 캐소드측 전극 탭(112K)이 도면 중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 3개의 단전지(110)별로 그 위아래를 단순히 뒤집어 넣기만 해서는 전극 탭(112)의 선단부(112d)의 방향이 Z 방향의 상하로 변동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모든 단전지(110)의 전극 탭(112)의 선단부(112d)의 방향이 정렬되도록 각각의 선단부(112d)를 하방으로 굴절시키고 있다.
단전지(110)는,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상당한다. 단전지(110)는 차량용 모터의 구동 전압의 사양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직렬로 복수 접속한다. 단전지(110)는 전지의 용량을 확보하여 차량의 주행 거리를 늘이기 위하여 병렬로 복수 접속한다.
단전지(11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방전을 행하는 발전 요소(111)를 포함하여 편평하게 형성한 전지 본체(110H), 발전 요소(111)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전극 탭(112), 및 발전 요소(111)를 밀봉하는 라미네이트 필름(113)을 포함하고 있다.
발전 요소(111)는, 옥외의 충전 스탠드 등으로부터 전력을 충전한 후에 차량용 모터 등에 대하여 방전하여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다. 발전 요소(111)는, 세퍼레이터에 의하여 분리된 애노드와 캐소드를 복수 조 적층하여 구성하고 있다.
전극 탭(112)은, 도 3a, 도 3b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전 요소(111)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이다. 전극 탭(112)은 애노드측 전극 탭(112A) 및 캐소드측 전극 탭(112K)으로 구성하고 있다. 애노드측 전극 탭(112A)의 기단측은, 하나의 발전 요소(111)에 포함되는 모든 애노드에 접합되어 있다. 애노드측 전극 탭(112A)는 박판형으로 형성되며, 애노드의 특성에 맞추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다. 캐소드측 전극 탭(112K)의 기단측은, 하나의 발전 요소(111)에 포함되는 모든 캐소드에 접합되어 있다. 캐소드측 전극 탭(112K)은 박판형으로 형성되며, 캐소드의 특성에 맞추어 구리로 이루어진다.
전극 탭(112)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전 요소(111)와 인접하는 기단부(112c)로부터 선단부(112d)에 걸쳐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극 탭(112)의 선단부(112d)는 Z 방향의 하방을 따라 굴절되어 있다. 전극 탭(112)의 선단부(112d)의 형상은 L자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극 탭(112)은, 선단부(112d)를 더 연장시키고, 그 연장 부분을 발전 요소(111)측으로 꺾도록 하여 U자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전극 탭(112)의 기단부(112c)는 파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만곡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해도 된다. 전극 탭(112)의 선단부(112d)는 버스바(132)와 면 접촉한다.
라미네이트 필름(113)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쌍으로 이루어지며, 전지 본체(110H)를 Z 방향을 따른 상하로부터 끼워서 밀봉하는 것이다. 1쌍의 라미네이트 필름(113)은, Y 방향을 따른 일단부(113a)의 간극으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애노드측 전극 탭(112A) 및 캐소드측 전극 탭(112K)을 도출시키고 있다.
라미네이트 필름(113)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형의 금속층(113M)과, 금속층(113M)을 양면으로부터 피복하여 절연하는 시트형의 절연층(113N)을 포함하고 있다. 1쌍의 라미네이트 필름(113)은,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전지(110)의 X 방향을 따른 양측에 있어서, 전지 본체(110H)로부터 연장된 외측 에지(113d)를 절곡하고 있다. 외측 에지(113d)는, 단전지(110)의 적층 방향인 Z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절곡하고 나서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합계 2회 절곡하고 있다. 절곡한 부분의 외측 에지(113d)는, 금속층(113M)이 노출된 단부(113e)가 전지 본체(110H)측에 대향하도록 Z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여기서, 1쌍의 라미네이트 필름(113)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층(113M)이 노출된 단부(113e)를 절연층(113N)의 표면(113f)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있다.
단전지(11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쌍의 스페이서(제1 스페이서(114) 및 제2 스페이서(115))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된다.
1쌍의 스페이서(제1 스페이서(114) 및 제2 스페이서(115))는,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전지(110)를 Z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고 있다. 제1 스페이서(114)는, 전극 탭(112)을 구비한 측의 단전지(110)를 지지한다. 제2 스페이서(115)는, 제1 스페이서(114)와 단전지(110)의 X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도록, 전극 탭(112)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측의 단전지(110)를 지지한다.
제1 스페이서(114)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철을 구비한 긴 판 형상으로 형성하며, 마주보게 한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제1 스페이서(114)는 1쌍의 라미네이트 필름(113)의 일단부(113a)에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1 스페이서(114)는, 도 3b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탄한 지지면(114b)에 의하여 라미네이트 필름(113)의 일단부(113a)를 지지하고 있다. 제1 스페이서(114)는, 지지면(114b)과 인접하고 Z 방향을 따른 벽면에 맞닿음면(114h)을 구비하고 있다. 맞닿음면(114h)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 탭(112)의 선단부(112d)를 X 방향을 따라 위치 결정하고 있다. 제1 스페이서(114)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면(114b)의 Y 방향을 따른 양단에, 각각 상방을 향하여 돌출된 1쌍의 연결 핀(114c)을 구비하고 있다. 1쌍의 연결 핀(114c)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라미네이트 필름(113)의 일단부(113a)의 Y 방향을 따른 양단에 개구된 연결 구멍(113c)에 삽입됨으로써 단전지(110)를 위치 결정하고 있다.
복수의 제1 스페이서(114)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제1 스페이서(114)의 상면(114a)과 다른 제1 스페이서(114)의 하면(114d)이 맞닿아 있다. 복수의 제1 스페이서(114)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제1 스페이서(114)의 상면(114a)으로부터 돌출된 원기둥 형상의 위치 결정 핀(114e)과, 다른 제1 스페이서(114)의 하면(114d)에 개구된 위치 결정 구멍(114f)을 끼워맞춤으로써 서로 위치 결정하고 있다. 제1 스페이서(114)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Y 방향을 따른 양단에, 로케이트 구멍(114g)를 양단에 구비하고 있다. 로케이트 구멍(114g)에는, 복수의 조전지(100)끼리를 Z 방향을 따라 위치 결정하면서 연결하는 볼트를 삽입한다.
또한, 제1 스페이서(114)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층(113M)이 노출된 단부(113e)를 수용하는, 예를 들어 절연성의 수용부(114j)를 구비하고 있다. 수용부(114j)는, 제1 스페이서(114)의 상면(114a)의 일부와, 그 상면(114a)과 인접하는 지지면(114b)의 일부를 상방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절결하도록 형성하며, 직사각 형상의 저면(114p)를 구비한 오목형의 구멍으로 구성하고 있다.
수용부(114j)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저면(114p)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높이가 상이하고 볼록형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114r)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돌출부(114r)는, 단전지(110)의 Y 방향을 따라, 오목형의 수용부(114j)에 있어서의 높이가 상이한 측벽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1 돌출부(114r)는, 절곡된 라미네이트 필름(113)의 외측 에지(113d)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접촉하여 외측 에지(113d)의 위치를 규제하고 있다. 즉, 제1 돌출부(114r)는, 금속층(113M)이 노출된 단부(113e)를 수용부(114j)의 저면(114p)으로부터 띄우도록 강제적으로 이격시키는 규제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1 돌출부(114r)는, 단전지(110)의 Y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측벽(114t)에 대하여, 금속층(113M)이 노출된 단부(113e)가 접촉하지 않도록 외측 에지(113d)의 각도를 규제하고 있다. 즉, 제1 돌출부(114r)는, 금속층(113M)이 노출된 단부(113e)를 수용부(114j)의 측벽(114t)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규제부로서 기능한다.
수용부(114j)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측면(114q)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볼록형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114s)를 구비하고 있다. 제2 돌출부(114s)는, 단전지(110)의 Y 방향을 따라 오목형의 수용부(114j)의 측벽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제2 돌출부(114s)는, 절곡된 라미네이트 필름(113)의 외측 에지(113d)에 대하여 측방으로부터 접촉하여 위치를 규제하고 있다. 즉, 제2 돌출부(114s)는, 금속층(113M)이 노출된 단부(113e)를 수용부(114j)의 내측면(114q)으로부터 강제적으로 이격시키는 규제부로서 기능한다.
제2 스페이서(115)는 전극 탭(112)을 지지할 필요가 없는 점에서, 제1 스페이서(114)를 간략화하여 구성하고 있다. 제2 스페이서(115)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스페이서(114)와 마찬가지로, 라미네이트 필름(113)의 타단부(113b)를 지지하는 지지면(115b), 제2 스페이서끼리를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핀(115e), 단전지(110)를 위치 결정하는 연결 핀(115c), 및 복수의 조전지(100)끼리를 위치 결정하면서 연결하는 볼트를 삽입하는 로케이트 구멍(115g)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 스페이서(115)는 제1 스페이서(114)와 마찬가지로, 금속층(113M)이 노출된 단부(113e)를 수용하는, 예를 들어 절연성의 수용부, 수용부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볼록형의 제1 돌출부, 수용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볼록형의 제2 돌출부 등을 구비하고 있다.
가압 유닛(12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가압 유닛(120)은, 적층체(110S)의 각각의 단전지(110)의 발전 요소(111)를 상하로부터 가압하는 상부 가압판(121)과 하부 가압판(122), 및 적층체(110S)를 가압한 상태의 상부 가압판(121) 및 하부 가압판(122)을 고정하는 1쌍의 측판(123)을 포함하고 있다.
상부 가압판(12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가압판(122)과 함께, 적층체(110S)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전지(110)를 상하로부터 끼워서 보유 지지하면서 각각의 단전지(110)의 발전 요소(111)를 가압하는 것이다. 상부 가압판(121)은 요철을 구비한 판형으로 형성하며, 충분한 강성을 구비한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부 가압판(121)은 수평면 상에 마련되어 있다. 상부 가압판(121)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전 요소(111)를 하방을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면(121a)을 구비하고 있다. 가압면(121a)은 평탄하게 형성되며, 상부 가압판(121)의 중앙의 부분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상부 가압판(121)은, 조전지(100)끼리를 연결하는 볼트를 삽입하는 로케이트 구멍(121b)을 구비하고 있다. 로케이트 구멍(121b)은 관통 구멍으로 이루어지며, 상부 가압판(121)의 네 코너에 개구되어 있다.
하부 가압판(122)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가압판(121)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부 가압판(121)의 아래위를 역전시키도록 마련되어 있다. 하부 가압판(122)은 상부 가압판(121)과 마찬가지로, 발전 요소(111)를 상방을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면(122a), 및 조전지(100)끼리를 Z 방향을 따라 위치 결정하면서 연결하는 볼트를 삽입하는 로케이트 구멍(122b)을 구비하고 있다.
1쌍의 측판(12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체(110S)를 가압한 상태의 상부 가압판(121) 및 하부 가압판(122)을 고정하는 것이다. 즉, 1쌍의 측판(123)은 상부 가압판(121) 및 하부 가압판(122)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또한 1쌍의 측판(123)은, 적층된 단전지(110)의 X 방향을 따른 측면을 피복하여 보호한다. 측판(123)은 평판형으로 형성되며,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1쌍의 측판(123)은, 적층된 단전지(110)의 X 방향을 따른 양 측면에 대향하도록 기립하여 마련되어 있다. 1쌍의 측판(123)은 상부 가압판(121) 및 하부 가압판(122)에 대하여 용접되어 있다.
버스바 유닛(13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버스바 유닛(130)은, 복수의 버스바(132)를 일체적으로 보유 지지하는 버스바 홀더(131), 상하로 배열된 단전지(110)의 전극 탭(112)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버스바(132),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단전지(110)의 애노드측의 종단을 외부의 입출력 단자에 마주보게 하는 애노드측 터미널(133),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단전지(110)의 캐소드측의 종단을 외부의 입출력 단자에 마주보게 하는 캐소드측 터미널(134), 및 버스바(132) 등을 보호하는 보호 커버(135)를 포함하고 있다.
버스바 홀더(131)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버스바(132)를 일체적으로 보유 지지하는 것이다. 버스바 홀더(131)는, 복수의 버스바(132)를, 적층체(110S)의 각각의 단전지(110)의 전극 탭(112)에 대면하도록 매트릭스형으로 일체적으로 보유 지지하고 있다. 버스바 홀더(131)는 절연성을 구비한 수지로 이루어지며,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버스바 홀더(13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전지(110)의 전극 탭(112)을 지지하고 있는 쪽의 제1 스페이서(114)의 긴 쪽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Z 방향을 따라 기립한 1쌍의 지주부(131a)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1쌍의 지주부(131a)는 제1 스페이서(114)의 측면에 끼워맞춰진다. 1쌍의 지주부(131a)는, Z 방향을 따라 시인한 경우에 L자형이며, Z 방향을 따라 연장한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버스바 홀더(131)는, 제1 스페이서(114)의 긴 쪽 방향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도록, Z 방향을 따라 기립한 1쌍의 보조 지주부(131b)를 이격시켜 구비하고 있다. 1쌍의 보조 지주부(131b)는 Z 방향을 따라 연장한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버스바 홀더(131)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Z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버스바(132) 사이에 각각 돌출되는 절연부(131c)를 구비하고 있다. 절연부(131c)는, Y 방향을 따라 연장한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절연부(131c)는 지주부(131a)와 보조 지주부(131b) 사이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있다. 절연부(131c)는, Z 방향을 따라 인접하는 버스바(132) 사이를 절연함으로써 방전을 방지한다.
버스바 홀더(131)는,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한 지주부(131a)와 보조 지주부(131b) 및 절연부(131c)를 서로 접합하여 구성해도 되고, 지주부(131a)와 보조 지주부(131b) 및 절연부(131c)를 일체적으로 성형하여 구성해도 된다.
버스바(132)는, 도 3a, 도 3b,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배열된 단전지(110)의 전극 탭(112)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버스바(132)는 하나의 단전지(110)의 애노드측 전극 탭(112A)과 다른 단전지(110)의 캐소드측 전극 탭(112K)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버스바(13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 셀 서브어셈블리(110M)의 상하로 3개 배열된 애노드측 전극 탭(112A)과 제2 셀 서브어셈블리(110N)의 상하로 3개 배열된 캐소드측 전극 탭(112K)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즉, 버스바(13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 셀 서브어셈블리(110M)의 3개의 애노드측 전극 탭(112A)을 병렬 접속하고, 또한 제2 셀 서브어셈블리(110N)의 3개의 캐소드측 전극 탭(112K)을 병렬 접속한다. 또한 버스바(132)는 제1 셀 서브어셈블리(110M)의 3개의 애노드측 전극 탭(112A)과 제2 셀 서브어셈블리(110N)의 3개의 캐소드측 전극 탭(112K)을 직렬 접속한다. 버스바(132)는, 하나의 단전지(110)의 애노드측 전극 탭(112A)과 다른 단전지(110)의 캐소드측 전극 탭(112K)에 대하여 레이저 용접되어 있다.
버스바(132)는, 도 3a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노드측 버스바(132A)와 캐소드측 버스바(132K)를 접합하여 구성하고 있다. 애노드측 버스바(132A)와 캐소드측 버스바(132K)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각각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버스바(132)는, 도 3a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노드측 버스바(132A)의 굴절된 일단과 캐소드측 버스바(132K)의 굴절된 일단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접합부(132c)에 의하여 일체화되어 있다. 버스바(132)를 구성하는 애노드측 버스바(132A) 및 캐소드측 버스바(132K)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Y 방향을 따른 양단에 버스바 홀더(131)와 접합되는 측부(132d)를 구비하고 있다.
애노드측 버스바(132A)는 단전지(110)의 애노드측 전극 탭(112A)과 마찬가지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다. 캐소드측 버스바(132K)는 단전지(110)의 캐소드측 전극 탭(112K)과 마찬가지로 구리로 이루어진다. 상이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애노드측 버스바(132A)와 캐소드측 버스바(132K)는 초음파 접합에 의하여 서로 접합되어 접합부(132c)를 형성하고 있다.
매트릭스형으로 배치한 버스바(132) 중, 도 4의 도면 중 우측 상방에 위치하는 버스바(132)는 21개의 단전지(110)(3병렬 7직렬)의 애노드측의 종단에 상당하며, 애노드측 버스바(132A)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애노드측 버스바(132A)는, 적층된 단전지(110) 중 최상부의 3개의 단전지(110)의 애노드측 전극 탭(112A)에 대하여 레이저 접합되어 있다.
매트릭스형으로 배치한 버스바(132) 중, 도 4의 도면 중 좌측 하방에 위치하는 버스바(132)는 21개의 단전지(110)(3병렬 7직렬)의 캐소드측의 종단에 상당하며, 캐소드측 버스바(132K)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캐소드측 버스바(132K)는, 적층된 단전지(110) 중 최하부의 3개의 단전지(110)의 캐소드측 전극 탭(112K)에 대하여 레이저 접합되어 있다.
애노드측 터미널(13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단전지(110)의 애노드측의 종단을 외부의 입출력 단자에 마주보게 하는 것이다. 애노드측 터미널(133)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트릭스형으로 배치한 버스바(132) 중, 도면 중 우측 상방에 위치하는 애노드측 버스바(132A)에 접합된다. 애노드측 터미널(133)은, 양단을 굴절시킨 판형으로 형성되며, 도전성을 구비한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캐소드측 터미널(134)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단전지(110)의 캐소드측의 종단을 외부의 입출력 단자에 마주보게 하는 것이다. 캐소드측 터미널(134)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트릭스형으로 배치한 버스바(132) 중, 도면 중 좌측 하방에 위치하는 캐소드측 버스바(132K)에 접합된다. 캐소드측 터미널(134)은 애노드측 터미널(133)과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아래위를 반전시키고 있다.
보호 커버(13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바(132) 등을 보호하는 것이다. 즉, 보호 커버(135)는, 복수의 버스바(132)를 일체적으로 피복함으로써, 각각의 버스바(132)가 다른 부재 등과 접촉하여 전기적인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보호 커버(135)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Z 방향을 따라 기립한 측면(135a)의 일단(135b)과 타단(135c)을 플랜지처럼 X 방향을 향하여 굴절시키며, 절연성을 구비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보호 커버(135)는 측면(135a)에 의하여 각각의 버스바(132)를 피복하면서, 일단(135b)과 타단(135c)에 의하여 버스바 홀더(131)을 상하로부터 끼워서 고정하고 있다. 보호 커버(135)는, 직사각 형상의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애노드측 터미널(133)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제1 개구(135d)와, 직사각 형상의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캐소드측 터미널(134)을 외부에 노출시키는 제2 개구(135e)를 각각 측면(135a)에 구비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단전지(110)는, 전지 본체(110H)와, 애노드측 전극 탭(112A) 및 캐소드측 전극 탭(112K)과, 1쌍의 라미네이트 필름(113)을 갖고 있다. 전지 본체(110H)는 발전 요소(111)를 포함하여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애노드측 전극 탭(112A) 및 캐소드측 전극 탭(112K)은 전지 본체(110H)로부터 도출되어 있다. 1쌍의 라미네이트 필름(113)은, 시트형의 금속층(113M)과, 금속층(113M)을 양면으로부터 피복하여 절연하는 시트형의 절연층(113N)을 포함하고, 전지 본체(110H)를 끼워서 밀봉하고 있다. 여기서, 1쌍의 라미네이트 필름(113)은, 전지 본체(110H)로부터 연장된 외측 에지(113d)의 적어도 일부를 절곡하면서 금속층(113M)이 노출된 단부(113e)를 절연층(113N)의 표면(113f)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있다.
조립체(100A)는, 상기 단전지(110)와, 단전지(110)를 지지하는 스페이서(제1 스페이서(114) 및 제2 스페이서(115))를 갖고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제1 스페이서(114)는, 금속층(113M)이 노출된 단부(113e)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부(114j)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단전지(110) 및 조립체(100A)에 의하면, 라미네이트 필름(113)의 외측 에지(113d)를 절곡한 상태에 있어서, 그 외측 에지(113d)의 금속층(113M)이 노출된 단부(113e)를 라미네이트 필름(113)의 표면(113f)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있다. 즉, 결로에 의하여 생긴 수적, 수막, 또는 수주가 라미네이트 필름(113)의 표면(113f)을 타고 이동하더라도 금속층(113M)의 단부(113e)에 대한 접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단전지(110) 및 조립체(100A)에 의하면, 라미네이트 필름(113)의 외측 에지(113d)를 절곡하고 있는 점에서 체적 효율을 향상시켜 소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단전지(110), 및 단전지(110)와 스페이서(제1 스페이서(114) 및 제2 스페이서(115))의 조립체(100A)에 의하면, 금속층(113M)의 단부(113e)가 노출된 라미네이트 필름(113)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결로에 기인한 누전을 억제하면서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금속층(113M)의 단부(113e)를, 절연성을 구비한 부재에 의하여 절연하는 구성을 채용한 경우, 제조 원가가 증대되게 된다.
단전지(110)에 있어서, 외측 에지(113d)는 전지 본체(110H)측을 향하여 절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전지(110)에 의하면, 단전지(110)의 주위의 부재에 있어서 결로에 의하여 생긴 수적이 단전지(110)의 라미네이트 필름(113)측으로 이동하더라도 그 수적을 금속층(113M)의 단부(113e)에 접촉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단전지(110)는 결로에 기인한 누전을 억제할 수 있다.
단전지(110)에 있어서, 외측 에지(113d)는 복수 회 절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전지(110)에 의하면, 결로에 의하여 생긴 수적이 라미네이트 필름(113)의 표면(113f)을 타고 이동하더라도 그 수적을 금속층(113M)의 단부(113e)까지 도달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단전지(110)는 결로에 기인한 누전을 억제할 수 있다.
단전지(110)에 있어서, 전지 본체(110H)는 수평으로 배치하고, 외측 에지(113d)는 하방으로 절곡하고 나서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절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전지(110)에 의하면, 결로에 의하여 생겨 자연 낙하하는 수적을 금속층(113M)의 단부(113e)에 접촉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결로에 의하여 생겨 자연 낙하하는 수적이 금속층(113M)의 단부(113e)에 접촉하더라도 그 수적을 금속층(113M)의 단부(113e)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전지(110)는 결로에 기인한 누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금속층(113M)이 노출된 단부(113e)를 상방으로 향하게 하고 있는 점에서, 하방에 위치하는 구성 부재(예를 들어 제1 스페이서(114))를 크게 절결할 필요가 없어 그 구성 부재(예를 들어 제1 스페이서(114))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조립체(100A)에 있어서, 수용부(114j)는, 금속층(113M)이 노출된 단부(113e)를 수용부(114j)의 내면(예를 들어 저면(114p) 또는 내측면(114q))으로부터 이격 시키도록 외측 에지(113d)에 접촉하여 외측 에지(113d)의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부(예를 들어 제1 돌출부(114r) 또는 제2 돌출부(114s))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립체(100A)에 의하면, 결로에 의하여 생겨 수용부(114j)에 전해지는 수적과, 규제부에 의하여 수용부(114j)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 금속층(113M)의 단부(113e)를 접촉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체(100A)는 결로에 기인한 누전을 억제할 수 있다.
조립체(100A)에 있어서, 전지 본체(110H)는 수평으로 배치하고, 외측 에지(113d)는 하방을 향하여 절곡하고, 수용부(114j)는, 하방을 향하여 개구된 오목형의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규제부는, 수용부(114j)의 저면(114p)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된 볼록형의 제1 돌출부(114r)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립체(100A)에 의하면, 결로에 의하여 생겨 수용부(114j)의 저면(114p)에 고인 수적이나 수막과, 제1 돌출부(114r)에 의하여 저면(114p)으로부터 이격된 금속층(113M)의 단부(113e)를 접촉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체(100A)는 결로에 기인한 누전을 억제할 수 있다.
조립체(100A)에 있어서, 전지 본체(110H)는 수평으로 배치하고, 외측 에지(113d)는 하방을 향하여 절곡하고, 수용부(114j)는, 하방을 향하여 개구된 오목형의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규제부는, 수용부(114j)의 내측면(114q)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된 볼록형의 제2 돌출부(114s)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립체(100A)에 의하면, 결로에 의하여 생겨 수용부(114j)의 내측면(114q)을 타고 가는 수적이나 수주와, 제2 돌출부(114s)에 의하여 내측면(114q)으로부터 이격된 금속층(113M)의 단부(113e)를 접촉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체(100A)는 결로에 기인한 누전을 억제할 수 있다.
조립체(100A)는 단전지(110)와 스페이서(제1 스페이서(114) 및 제2 스페이서(115))를 갖고 있다. 단전지(110)는, 전지 본체(110H)와, 애노드측 전극 탭(112A) 및 캐소드측 전극 탭(112K)과, 1쌍의 라미네이트 필름(113)을 구비하고 있다. 전지 본체(110H)는 발전 요소(111)를 포함하여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애노드측 전극 탭(112A) 및 캐소드측 전극 탭(112K)은 전지 본체(110H)로부터 도출되어 있다. 1쌍의 라미네이트 필름(113)은, 시트형의 금속층(113M)과, 금속층(113M)을 양면으로부터 피복하여 절연하는 시트형의 절연층(113N)을 포함하고, 전지 본체(110H)를 끼워서 밀봉하면서, 전지 본체(110H)로부터 연장된 외측 에지(113d)의 적어도 일부를 절곡하고 있다. 스페이서(제1 스페이서(114) 및 제2 스페이서(115))는, 금속층(113M)이 노출된 단부(113e)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절연성의 수용부(114j)를 구비하며, 단전지(110)를 지지한다.
이러한 조립체(100A)에 의하면, 라미네이트 필름(113)의 외측 에지(113d)를 절곡한 상태에 있어서, 그 외측 에지(113d)의 금속층(113M)이 노출된 단부(113e)를 수용부(114j)에 수용하고 있다. 즉, 조립체(100A)는, 금속층(113M)의 단부(113e)가 주위의 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립체(100A)에 의하면, 라미네이트 필름(113)의 외측 에지(113d)를 절곡하고 있는 점에서 체적 효율을 향상시켜 소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체(100A)에 의하면, 금속층(113M)의 단부(113e)가 노출된 라미네이트 필름(113)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주위의 부재와의 도통(단락이나 누전)을 방지하면서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금속층(113M)의 단부(113e)를, 절연성을 구비한 부재에 의하여 절연하는 구성을 채용한 경우, 제조 원가가 증대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조립체(100A)에 의하면, 라미네이트 필름(113)의 외측 에지(113d)를 절곡한 상태에 있어서, 그 외측 에지(113d)의 금속층(113M)이 노출된 단부(113e)를 수용부(114j)에 수용하고 있는 점에서, 결로가 생겼을 때의 수막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체(100A)는 결로에 기인한, 주위의 부재와의 도통(단락이나 누전)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립체(100A)에 의하면,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제1 스페이서(114)의 상면(114a)과 다른 제1 스페이서(114)의 하면(114d)를 맞닿도록 하여 복수의 스페이서를 밀(密)하게 적층한 조전지(100)에 충분히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체(100A)는, 라미네이트 필름(113)의 금속층(113M)이 노출된 단부(113e)를 스페이서(제1 스페이서(114) 및 제2 스페이서(115))의 수용부(114j)에 의하여 격리함으로써, 특히 도통되기 쉬운 금속제의 부재와의 공간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은,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구성에 기초하여 다양한 개변이 가능하며, 그들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범주이다.
예를 들어 1쌍의 라미네이트 필름(113)의 외측 에지(113d)를 단전지(110)의 적층 방향을 따라 상방을 향하여 절곡하고, 스페이서(제1 스페이서(114) 및 제2 스페이서(115))의 수용부(114j)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개구된 구멍으로서 구성해도 된다.
또한 1쌍의 라미네이트 필름(113)에 의하여 전지 본체(110H)를 끼워서 밀봉한 구성으로서 설명하였지만, 1매의 라미네이트 필름(113)을 절곡하여 전지 본체(110H)를 끼워서 밀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더라도, 단부끼리를 중첩시키는 측의 측면의 부분에는 금속층이 노출되는 점에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삭제
본 출원은, 2016년 9월 26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제2016-187446호 및 일본 특허 출원 번호 제2016-187428에 기초하고 있으며, 그 개시 내용은 참조되어 전체로서 도입되어 있다.
100: 조전지
100A: 조립체
110: 단전지
110M: 제1 셀 서브어셈블리
110N: 제2 셀 서브어셈블리
110S: 적층체
110H: 전지 본체
111: 발전 요소
112: 전극 탭
112A: 애노드측 전극 탭
112K: 캐소드측 전극 탭
113: 라미네이트 필름(밀봉 부재)
113M: 금속층
113N: 절연층
113d: 외측 에지
113e: 단부
113f: 표면
114: 제1 스페이서
114j: 수용부
114p: 저면
114q: 내측면
114r: 제1 돌출부
114s: 제2 돌출부
114t: 측벽
115: 제2 스페이서
120: 가압 유닛
121: 상부 가압판
122: 하부 가압판
123: 측판
130: 버스바 유닛
131: 버스바 홀더
132: 버스바
132A: 애노드측 버스바
132K: 캐소드측 버스바
133: 애노드측 터미널
134: 캐소드측 터미널
135: 보호 커버
X: 단전지(110)의 긴 쪽 방향
Y: 단전지(110)의 짧은 쪽 방향
Z: 단전지(110)의 적층 방향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발전 요소를 포함하고 편평하게 형성한 전지 본체와, 상기 전지 본체로부터 도출한 전극 탭과, 시트형의 금속층과 상기 금속층을 양면으로부터 피복하여 절연하는 시트형의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지 본체를 끼워서 밀봉한 밀봉 부재를 갖는 단전지와,
    상기 단전지를 지지하는 스페이서를 갖고,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전지 본체로부터 연장된 외측 에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스페이서측을 향하여, 상기 금속층이 노출된 단부를 상기 절연층의 단부 이외의 상기 절연층의 표면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로 절곡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밀봉 부재에 있어서의 절곡된 상기 금속층이 노출된 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오목형의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부의 저면, 또는 측면, 또는 양자 모두로부터 볼록형으로 돌출되고,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외측 에지에 접촉하여 상기 외측 에지의 위치를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외측 에지의 단부가 상기 스페이서의 모든 부분으로부터 이격되는, 단전지와 스페이서의 조립체.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하방을 향하여 개구된 오목형의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수용부의 저면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된 볼록형의 제1 돌출부를 갖는, 단전지와 스페이서의 조립체.
  8.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하방을 향하여 개구된 오목형의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된 볼록형의 제2 돌출부를 갖는, 단전지와 스페이서의 조립체.
  9.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절연성을 구비한, 단전지와 스페이서의 조립체.
KR1020197008173A 2016-09-26 2017-08-30 단전지와 스페이서의 조립체 KR1022283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87428 2016-09-26
JP2016187446A JP6861005B2 (ja) 2016-09-26 2016-09-26 単電池、および単電池とスペーサとの組立体
JPJP-P-2016-187446 2016-09-26
JP2016187428A JP6861004B2 (ja) 2016-09-26 2016-09-26 単電池とスペーサとの組立体
PCT/JP2017/031238 WO2018056012A1 (ja) 2016-09-26 2017-08-30 単電池、および単電池とスペーサとの組立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635A KR20190042635A (ko) 2019-04-24
KR102228325B1 true KR102228325B1 (ko) 2021-03-17

Family

ID=61689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173A KR102228325B1 (ko) 2016-09-26 2017-08-30 단전지와 스페이서의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51484B2 (ko)
EP (1) EP3522249B1 (ko)
KR (1) KR102228325B1 (ko)
CN (1) CN109792006B (ko)
WO (1) WO20180560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6183B2 (en) * 2018-12-25 2024-02-27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Bipolar battery and power storage device
KR20220043543A (ko) * 2020-09-29 2022-04-05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단자대 보호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CN113314812A (zh) * 2021-06-25 2021-08-27 东莞新能安科技有限公司 电池组及用电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4524A (ja) * 2001-04-24 2002-11-08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87568A (ja) * 2009-05-15 2010-12-24 Nissan Motor Co Ltd 積層型電池
JP2013101950A (ja) * 2004-11-30 2013-05-23 Nec Corp フィルム外装電気デバイス用ケースおよび該フィルム外装電気デバイス用ケースの製造方法
JP5638183B2 (ja) * 2006-07-13 2014-12-10 株式会社Gsユアサ 扁平形電池の複数個を積層した組電池
JP2016139494A (ja) * 2015-01-26 2016-08-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ラミネート型電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2974A (en) * 1978-06-16 1979-05-08 National Presto Industries, Inc. Hot air corn popper
JP2000251855A (ja) 1999-02-25 2000-09-14 Mitsubishi Chemicals Corp 非水系二次電池
JP3736529B2 (ja) * 2002-02-06 2006-01-18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KR100796097B1 (ko) * 2004-10-26 2008-01-21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배터리 모듈
JP2006339032A (ja) * 2005-06-02 2006-12-14 Toshiba Corp 電池パック
JP4379467B2 (ja) * 2006-12-11 2009-12-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5196900B2 (ja) * 2007-07-30 2013-05-15 三洋電機株式会社 ラミネート外装電池
JP4775436B2 (ja) * 2008-02-29 2011-09-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4539742B2 (ja) 2008-03-18 2010-09-08 Tdk株式会社 電気化学デバイス
KR20110049864A (ko) * 2009-02-05 2011-05-12 파나소닉 주식회사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를 구비한 전지 팩, 그리고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JP5488035B2 (ja) * 2010-02-22 2014-05-14 株式会社デンソー ラミネート電池構造体
KR101255542B1 (ko) * 2011-05-12 2013-04-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JP2014049228A (ja) 2012-08-30 2014-03-17 Sanyo Electric Co Ltd ラミネート外装電池および電池パック
KR101732285B1 (ko) * 2012-11-09 2017-05-02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조전지 및 조전지의 제조 방법
KR20140123007A (ko) * 2013-04-11 2014-10-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라운드 코너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650044B1 (ko) * 2013-12-30 2016-08-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케이스의 수납부 형상에 따라 절곡된 실링부 단부 상에 전기적 절연성 물질이 부가되어 있는 구조의 전지셀
JP2017168183A (ja) * 2014-08-01 2017-09-21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6487669B2 (ja) * 2014-11-05 2019-03-20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
JP6394964B2 (ja) * 2014-12-22 2018-09-2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蓄電モジュール
KR101776898B1 (ko) * 2014-12-24 2017-09-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JP6633643B2 (ja) * 2015-10-22 2020-01-22 株式会社エンビジョンAescジャパン 組電池および組電池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4524A (ja) * 2001-04-24 2002-11-08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3101950A (ja) * 2004-11-30 2013-05-23 Nec Corp フィルム外装電気デバイス用ケースおよび該フィルム外装電気デバイス用ケースの製造方法
JP5638183B2 (ja) * 2006-07-13 2014-12-10 株式会社Gsユアサ 扁平形電池の複数個を積層した組電池
JP2010287568A (ja) * 2009-05-15 2010-12-24 Nissan Motor Co Ltd 積層型電池
JP2016139494A (ja) * 2015-01-26 2016-08-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ラミネート型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76727A1 (en) 2020-06-04
EP3522249B1 (en) 2021-02-17
CN109792006A (zh) 2019-05-21
EP3522249A1 (en) 2019-08-07
KR20190042635A (ko) 2019-04-24
WO2018056012A1 (ja) 2018-03-29
CN109792006B (zh) 2021-10-26
US11251484B2 (en) 2022-02-15
EP3522249A4 (en)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6488B1 (ko) 원통형 셀 연결 분리형 버스바와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및 제조 방법
KR101688489B1 (ko) 배터리 모듈
US20140295235A1 (en) Battery module
KR102228325B1 (ko) 단전지와 스페이서의 조립체
KR102272804B1 (ko) 조전지
EP2843731A2 (en) Battery module
CN111033794A (zh) 电池模块
KR102124735B1 (ko) 스페이서, 조전지 및 조전지의 제조 방법
CN109844986B (zh) 间隔件和组电池
CN114586229A (zh) 电源装置和使用该电源装置的电动车辆以及蓄电装置
JP6737577B2 (ja) 組電池
JP6861004B2 (ja) 単電池とスペーサとの組立体
JP6861005B2 (ja) 単電池、および単電池とスペーサとの組立体
JP6676330B2 (ja) 組電池
KR101549171B1 (ko) 전극 접속구조가 개선된 이차전지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이차전지와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