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144B1 - 플륨관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플륨관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144B1
KR102227144B1 KR1020190050552A KR20190050552A KR102227144B1 KR 102227144 B1 KR102227144 B1 KR 102227144B1 KR 1020190050552 A KR1020190050552 A KR 1020190050552A KR 20190050552 A KR20190050552 A KR 20190050552A KR 102227144 B1 KR102227144 B1 KR 102227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frame
inner plate
concrete mortar
side plates
p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6653A (ko
Inventor
심덕기
Original Assignee
심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덕기 filed Critical 심덕기
Priority to KR1020190050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144B1/ko
Publication of KR20200126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6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 B28B7/168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for holders or similar hollow articles, e.g. vaults, sewer p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외부틀의 양쪽 측판에 각각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내측판을 근접시켜 이들 사이 및 외부틀의 바닥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함으로써, 플륨관이 현장에서 직접 성형되므로 미리 제작된 무거운 플륨관을 운반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특히 콘크리트의 양생 후 외부틀은 땅에 묻히고 상기 내측판은 제거되어 콘크리트만 노출되므로 상품성이 뛰어난 플륨관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ㄷ"형 외부틀과 상기 외부틀의 양쪽 측판에 일정간격 떨어져 놓이는 한쌍의 내측판 사이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ㄷ"형 플륨관을 성형하는 플륨관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틀과 내측판은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연속 사출되어 일정 길이 절단 사용되며; 상기 외부틀의 양쪽 측판과 각 내측판의 상단 및 하단에 다수의 상부간격유지구 및 하부간격유지구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각 내측판과 측판의 사이 및 상기 외부틀의 내부 바닥에 콘크리트몰탈이 타설되고; 상기 콘크리트몰탈의 양생으로 플륨관이 성형되면 상기 상부간격유지구, 하부간격유지구 및 내측판이 제거되고, 상기 외부틀은 땅에 묻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플륨관 성형장치{Pipe tube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플륨관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외부틀의 양쪽 측판에 각각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내측판을 근접시켜 이들 사이 및 외부틀의 바닥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함으로써, 플륨관이 현장에서 직접 성형되므로 미리 제작된 무거운 플륨관을 운반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특히 콘크리트의 양생 후 외부틀은 땅에 묻히고 상기 내측판은 제거되어 콘크리트만 보이므로 상품성이 뛰어난 플륨관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륨관은 윗면이 노출되도록 형성된 개방형 관으로서 농작물 경작지를 비롯하여, 도로변이나 공원 등지에서 물흐름을 좋게 하기 위한 배수로의 구성요소이다. 특히 도로변의 배수로는 단일의 플륨관을 소켓식으로 연결하여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물이 잘 빠지도록 길 양쪽을 따라 만든 도랑에 상기 플륨관을 매입하여 소켓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수로를 형성시키며, 고이는 물을 적절히 배수시켜 도로침수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게 된다.
종래 일반적인 플륨관은 공장에서 거푸집에 콘크리트몰탈을 부어 양생시킨 것으로서, 약 2M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플륨관은 작업자 혼자 운반할 수 없는 무게를 갖는 것이므로 2인 1조로 길 양쪽의 도랑에 소켓식으로 연결하였다. 특히 평지가 아닌 비탈면에 시공할 경우 포크레인 같은 중장비를 이용할 수 없으므로 운반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종래 공개특허 제10-2016-0123053호는 폐비닐을 이용하여 플륨관을 제조한 것으로서, 경량이므로 운반에 어려움이 없었다.
그러나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토사압력으로 인하여 플륨관이 쉽게 뒤틀리고 여름철 태양에 장시간 노출되면 쉽게 노후화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폐비닐을 이용하기 때문에 검은색을 띠어 미관상 좋지 않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외부틀의 양쪽 측판에 각각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내측판을 근접시켜 이들 사이 및 외부틀의 바닥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함으로써, 플륨관이 현장에서 직접 성형되므로 미리 제작된 무거운 플륨관을 운반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특히 콘크리트의 양생 후 외부틀은 땅에 묻히고 상기 내측판은 제거되어 콘크리트만 노출되므로 상품성이 뛰어난 플륨관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ㄷ"형 외부틀과 상기 외부틀의 양쪽 측판에 일정간격 떨어져 놓이는 한쌍의 내측판 사이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ㄷ"형 플륨관을 성형하는 플륨관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틀과 내측판은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연속 사출되어 일정 길이 절단 사용되며; 상기 외부틀의 양쪽 측판과 각 내측판의 상단 및 하단에 다수의 상부간격유지구 및 하부간격유지구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각 내측판과 측판의 사이 및 상기 외부틀의 내부 바닥에 콘크리트몰탈이 타설되고; 상기 콘크리트몰탈의 양생으로 플륨관이 성형되면 상기 상부간격유지구, 하부간격유지구 및 내측판이 제거되고, 상기 외부틀은 땅에 묻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에서 플륨관이 성형되므로 공장에서 양생된 무거운 플륨관을 운반하는데 따른 어려움이 없으며, 특히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외부틀의 양쪽 측판에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내측판이 근접된 상태에서 콘크리트몰탈이 타설되어 플륨관이 성형된다. 그리고 콘크리트의 양생 후 내측판은 제거되고 외부틀은 땅에 묻혀 콘크리트만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제품의 완성도가 높은 이점이 있다. 그리고 외부틀이 콘크리트를 감싸고 있으므로 콘크리트의 균열이 억제되어 내구성이 향상되고 또한 재활용 플라스틱이 사용되므로 자원 재활용 측면에서 유리한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성형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성형장치의 조립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성형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성형장치로 만들어진 플륨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성형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성형장치로 만들어진 플륨관의 단면도
도 1 내지 도 4에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성형장치는 플륨관의 거푸집 역할을 하는 외부틀(10)이 구비되는데, 상기 외부틀(10)은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사출된다. 사출은 연속으로 이뤄지므로 필요한 길이로 절단 사용하는데, 보통 2M ∼ 4M 이내로 절단되며, 현장에서 필요한 길이로 절단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외부틀(10)은 단면이 "ㄷ"형으로써, 밑판(12)의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진 한쌍의 측판(1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각 측판(11)과 대응되게 한쌍의 내측판(20)이 구비되는데, 상기 내측판(20) 역시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사출되며, 필요한 길이로 절단 사용된다.
상기 각 내측판(20)은 상기 외부틀(10)의 내부로 들어가서 상기 각 측판(11)과 일정간격 떨어지게 놓이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각 내측판(20)의 상단을 잡아주는 상부간격유지구(30)와 상기 각 내측판(20)의 하단을 잡아주는 하부간격유지구(31)가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상부간격유지구(30)의 양측에는 상기 측판(11)의 상단으로 억지 끼워지는 측판끼움부(32) 및 상기 측판끼움부(32)와 떨어져서 상기 내측판(20)의 상단이 억지 끼워지는 내측판끼움부(33)가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간격유지구(31)는 양단이 상기 각 측판(11)에 밀착되고 상기 내측판끼움부(33)와 대응되는 양측에는 상기 내측판(20)의 하단에 억지끼워지는 내측판끼움부(33)가 각각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내측판끼움부(33)는 절개부(34)를 통하여 상기 하부간격유지구(31)와 연결되는데, 콘크리트 양생 후 상기 내측판끼움부(33)가 콘크리트에 묻히면 상기 하부간격유지구(31)가 절개부(34)를 통하여 떨어져서 플륨관에서 제거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플륨관 성형장치는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외부틀(10) 및 내측판(20)이 사출성형되므로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현장에서 외부틀(10)과 내측판(20)이 상부간격유지구(30) 및 하부간격유지구(31)를 통하여 조립된 후 콘크리트몰탈이 타설되므로 공장에서 미리 양생된 무거운 플륨관을 운반하는 어려움이 없다.
이러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성형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플륨관이 설치될 장소에 도랑이 길게 파고 그 곳에 외부틀(10)을 넣는다. 외부틀(10)은 일정 길이 제작되는데, 연속으로 이어서 설치한다. 그리고 한쌍의 내측판(20) 하단에 다수의 하부간격유지구(31)를 내측판끼움부(33)로 연결하고, 상기 각 내측판(20) 상단에 상부간격유지구(30)를 내측판끼움부(33)로 연결한다. 이후 상기 상부간격유지구(30)의 양단에 구비된 측판끼움부(32)를 상기 외부틀(10) 양측의 측판(11) 상단에 끼워서 상기 각 내측판(20)이 상기 외부틀(10)의 측판(11)과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한다.
이후 상기 외부틀(10)의 밑판(12) 및 상기 측판(11)과 내측판(20) 사이 공간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ㄷ"형 플륨관이 만들어지도록 한다. 상기 콘크리트몰탈은 압축강도 210kg/㎠, 슬럼프 8cm로써 무근구조물용이다. 따라서 콘크리트몰탈은 타설후 측판(11)과 내측판(20) 사이에서 흘러나오지 않고 원형을 유지하며 단시간에 양생되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내측판(20)의 상단과 측판(11)의 상단은 상기 상부간격유지구(30)의 내측판끼움부(33) 및 측판끼움부(32)를 통하여 일정간격 유지되고, 상기 내측판(20)의 하단은 상기 하부간격유지구(31)의 내측판끼움부(33)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하부간격유지구(31)의 양단이 측판(11)과 밀착되므로 상기 내측판(20)은 상기 측판(11)과 일정간격 고정되므로 콘크리트몰타의 타설시 간격이 벌어지지 않고 원형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하부간격유지구(31)는 콘크리트몰탈에 묻히지 않으므로 플륨관의 성형후 절개부(34)를 통하여 절단하면 하부간격유지구(31)가 제거된다. 또한 내측판(20)과 상부간격유지구(30)도 플륨관에서 제거되고, 상기 외부틀(10)은 흙에 묻히므로 "ㄷ"형 콘크리트만 외부로 노출되어 기존 플륨관과 동일 형태를 갖는다.
또한 플륨관의 외부로 외부틀(10)이 감싸고 있으므로 플륨관이 파손되더라도 유실되지 않으며, 내구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거된 내측판(20)과 상부간격유지구(30)는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절감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플륨관 성형장치로써, "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다른 실시예의 플륨관 성형장치는 "ㄴ"형 외부틀(10)이 구비되고, 상기 외부틀(10)의 양측에는 한쪽은 높고 반대쪽은 낮은 한쌍의 측판(1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높은 쪽의 측판(11)과 대응되는 내측판(20)이 구비되고, 상기 측판(11)과 내측판(20)의 상단은 측판끼움부(32) 및 내측판끼움부(33)를 통하여 연결되는 상부간격유지구(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판(20)의 하단과 상기 낮은 쪽의 측판(11) 상단은 내측판끼움부(33) 및 측판끼움부(32)를 통하여 연결되는 하부간격유지구(31)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간격유지구(31)는 내측판끼움부(33)에서 절개부(34)로 이어진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성형장치는 본 발명 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사출되는 것으로서, 외부틀(10)과 내측판(20)은 필요한 길이로 절단 사용된다. 먼저 다수 외부틀(10)을 플륨관이 설치될 도랑에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설치하고, 하부간격유지구(31)의 측판끼움부(32)를 낮은 쪽의 측판(11)에 억지끼움식으로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간격유지구(31)의 내측판끼움부(33)를 내측판(20)의 하단에 끼운 뒤 상기 내측판(20)과 측판(11)의 상단에 상부간격유지구(30)의 내측판끼움부(33) 및 측판끼움부(32)를 각각 억지끼움하여 내측판(20)이 측판(11)과 일정간격 유지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내측판(20)과 측판(11)의 사이 및 외부틀(10)의 바닥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양생시키고 양생 후 상부간격유지구(30)와 내측판(20)을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간격유지구(31)는 절개부(34)를 통하여 절단하여 제거하면 외측판(11)은 흙에 묻힌 상태에서 콘크리트만 외부로 노출되므로 일반 플륨관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특히 본 발명 한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의 플륨관은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연속으로 타설하여 이음부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종래 2M 간격으로 제작되어 연결부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종래에는 연결부에서 물이 누수되어 지반이 침하되고 플륨관이 뒤틀어져 시공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이 해소되는 이점이 있다.
10 : 외부틀 11 : 측판
12 : 밑판 20 : 내측판
30 : 상부간격유지구 31 : 하부간격유지구
32 : 측판끼움부 33 : 내측판끼움부
34 : 절개부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ㄷ"형 외부틀과 상기 외부틀의 양쪽 측판에 일정간격 떨어져 놓이는 한쌍의 내측판 사이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ㄷ"형 플륨관을 성형하되, 상기 외부틀과 내측판은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연속 사출되어 일정 길이 절단 사용되며; 상기 외부틀의 양쪽 측판과 각 내측판의 상단 및 하단에 다수의 상부간격유지구 및 하부간격유지구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각 내측판과 측판의 사이 및 상기 외부틀의 내부 바닥에 콘크리트몰탈이 타설되고; 상기 콘크리트몰탈의 양생으로 플륨관이 성형되면 상기 상부간격유지구, 하부간격유지구 및 내측판이 제거되고, 상기 외부틀은 땅에 묻히도록 한 플륨관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상부간격유지구에는 양측으로 상기 측판 및 내측판의 상단에 억지 끼워지는 측판끼움부 및 내측판끼움부가 구비되고;
    상기 각 하부간격유지구는 양단이 상기 각 측판과 밀착되고, 양측에는 상기 내측판의 하단에 억지 끼워지는 내측판끼움부가 구비되며, 콘크리트몰탈의 타설시 상기 하부간격유지구는 노출되며;
    상기 각 하부간격유지구는 상기 양측의 내측판끼움부와 절개부를 통하여 연결되어서 콘크리트양생 후 상기 절개부에서 상기 각 하부간격유지구가 떨어져나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륨관 성형장치.
KR1020190050552A 2019-04-30 2019-04-30 플륨관 성형장치 KR102227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552A KR102227144B1 (ko) 2019-04-30 2019-04-30 플륨관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552A KR102227144B1 (ko) 2019-04-30 2019-04-30 플륨관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653A KR20200126653A (ko) 2020-11-09
KR102227144B1 true KR102227144B1 (ko) 2021-03-11

Family

ID=73429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552A KR102227144B1 (ko) 2019-04-30 2019-04-30 플륨관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14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553Y1 (ko) 2005-10-27 2006-01-10 이계식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
KR101430922B1 (ko) * 2014-03-31 2014-08-18 박순덕 U형측구시공용 이동식 거푸집조립체
KR101553338B1 (ko) * 2014-12-17 2015-09-15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배수관거 성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1816U (ja) * 1984-07-31 1986-02-26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ト成形用型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553Y1 (ko) 2005-10-27 2006-01-10 이계식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
KR101430922B1 (ko) * 2014-03-31 2014-08-18 박순덕 U형측구시공용 이동식 거푸집조립체
KR101553338B1 (ko) * 2014-12-17 2015-09-15 주식회사 엘에스폼웍 배수관거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653A (ko) 202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836B1 (ko)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
US20050025572A1 (en) Modular trench drain
CN111236389A (zh) 装配式排水装置
KR102227144B1 (ko) 플륨관 성형장치
KR100982819B1 (ko) 조립식 배수로
JP7124224B2 (ja) 浅深度部への応用のための地下流体管理用のモジュール及びアセンブリ
KR101868974B1 (ko)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KR101027078B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KR101965801B1 (ko) 흄관 연결용 조립식 맨홀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770268B1 (ko) 우수 침투 및 저류를 위한 저류 단위블록, 저류조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0265397B1 (ko) 현장타설형 조립식 암거
CN212078172U (zh) 装配式排水装置
KR101437672B1 (ko) 조립식 피시빔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110124117A (ko) 보강구조를 갖는 환경수로블럭과 그 제조장치
KR102326135B1 (ko) 벤치 풀륨관 방향 전환 소켓
KR101065261B1 (ko) 수로구조물과 그의 시공방법
KR101047895B1 (ko) 누수방지 및 조립편의성을 위한 수로용 조립식 수로모듈
KR200234617Y1 (ko) 드레인 필터 수로관
KR20160140122A (ko) 지하 건축구조물의 배수로용 관로 트렌치
KR101047896B1 (ko) 비대칭 h빔 연결재를 갖는 누수방지 및 조립편의성을 위한 조립식 수로
KR200226490Y1 (ko) 조립식 라이닝
KR101984238B1 (ko) 도시침수 예방용 암거 연결용 슬라이드 철골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053677B1 (ko) 관을 조립한 후 일체형을 성형하는 맨홀과 그 제조방법
KR10246133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부 지수판
GB2406602A (en) Drainage channel s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