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553Y1 -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553Y1
KR200405553Y1 KR2020050030520U KR20050030520U KR200405553Y1 KR 200405553 Y1 KR200405553 Y1 KR 200405553Y1 KR 2020050030520 U KR2020050030520 U KR 2020050030520U KR 20050030520 U KR20050030520 U KR 20050030520U KR 200405553 Y1 KR200405553 Y1 KR 2004055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case
bolt
formwork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5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식
Original Assignee
이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식 filed Critical 이계식
Priority to KR20200500305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5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5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5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04G17/0658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remaining completely or partially embedded in the cas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 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푸집에 설치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제작이 용이하고 간격유지봉이 고정구에 이탈되지 않도록 확실하게 고정되는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거푸집널의 내측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양단이 결합되는 간격유지봉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전후방벽과 양측벽으로 둘러싸여 상방으로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전방벽에 간격유지봉이 진입되기 위한 유지봉 삽입 절개부가 형성되며, 후방벽에 소정의 볼트가 진입되기 위한 볼트 삽입 절개부가 형성되고, 양측벽 상부 가장자리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걸림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좌우로 대칭되게 U자형으로 만곡되고, 그 만곡된 저부에 나사부가 요철형태로 형성되며, 양측 상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그 말단이 상기 나사부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제1걸림편이 형성되고, 만곡된 저부와 상기 제1걸림편이 절곡된 부분 사이에서 블랭킹되어 그 말단부가 상기 나사부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내측으로 돌출되게 제2걸림편이 형성되며, 양측의 절곡된 부분이 상기 케이스의 걸림부에 걸리도록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된 지지구와; 헤드부가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그 헤드부의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볼트 삽입 절개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걸리도록 볼트부가 상기 볼트 삽입 절개부에 삽 입된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간격유지봉은, 양단부에 상기 지지구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구의 상부에서 삽입되어 상기 제1걸림편 및 상기 제2걸림편을 지나 상기 제1 및 제2 걸림부의 말단에 걸리도록 나사가 상기 지지구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거푸집, 간격유지장치

Description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DEVICE FOR SPACING CONCRETE SHEATHING BOARD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에서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에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거푸집널
2 간격유지장치
3 고정구
10 케이스
11,12,13,14 전후 및 양측벽
15 유지봉 삽입 절개부
15a 돌부
16 볼트 삽입 절개부
17 걸림부
20 지지구
21 나사부
22 제1걸림편
23 제2걸림편
24 보강부
30 고정볼트
31 헤드부
32 볼트부
4 간격유지봉
5 부착구
본 고안은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 유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푸집에 설치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제작이 용이하고 간격유지봉이 고정구에 이탈되지 않도록 확실하게 고정되는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간격유지장치는 거푸집이 제거된 후에도 콘크리트와 일체화되어 콘크리트의 인장강도 등을 보강하기 위해 거푸집 설치시 거푸집널 사이에 설치되는 부재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 5를 참조하면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2)는 거푸집 설치시 서로 마주보는 거푸집널(1) 사이에 간격유지봉(4)의 양단부가 거푸집널(1)의 내측면에 고정된 고정구(3)에 결합됨으로써 설치된다.
통상의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에서 간격유지봉(4)을 고정구(3)에 결합시키는 작업은 매우 번거롭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원터치식으로 간격유지봉을 고정구에 결합시키도록 한 시도가 많이 있었다. 이러한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20-0215932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132228호에는 고정구 케이스의 수용홈에 분할너트를 설치하고 상기 분할너트에 간격유지봉의 양단부를 진입시킴으로써 분할너트가 닫히면서 간격유지봉과 분할너트가 결합되는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간격유지봉을 원터치식으로 고정구에 결합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는 그 설치가 용이한데 반하여 간격유지봉의 양단부가 나사 결합된 분할너트가 고정구의 케이스(또는 고정구 케이스)로부터 이탈이 잘 되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20-0215932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132228호에 개시된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는 고정구의 케이스(또는 고정구 케이스)에 간격유지봉의 양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분할너트가 걸리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고정구의 케이스(또는 고정구 케이스)에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에서 상기와 같이 고정구 케이스에 분할너트가 걸리기 위한 돌출부를 형성하는 작업은 매우 복잡하고 여러 단계의 작업 과정을 거쳐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의 제조는 비교적 복잡해진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는 상기 고정구의 케이스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는 비교적 완만한 곡선을 갖는다. 이에 따라 분할너트는 상기 돌출부를 타고 넘어 상기 고정구의 케이스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은 여전히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격유지봉을 고정구 케이스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격유지봉의 양단부가 결합되는 지지구를 프레스가공으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을 부여하여 케이스로 진입되면 그 케이스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간격유지봉이 지지구에 확실하게 결합되는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거푸집널의 내측에서 서 로 대향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양단이 결합되는 간격유지봉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전후방벽과 양측벽으로 둘러싸여 상방으로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전방벽에 간격유지봉이 진입되기 위한 유지봉 삽입 절개부가 형성되며, 후방벽에 소정의 볼트가 진입되기 위한 볼트 삽입 절개부가 형성되고, 양측벽 상부 가장자리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걸림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좌우로 대칭되게 U자형으로 만곡되고, 그 만곡된 저부에 나사부가 요철형태로 형성되며, 양측 상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그 말단이 상기 나사부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제1걸림편이 형성되고, 만곡된 저부와 상기 제1걸림편이 절곡된 부분 사이에서 블랭킹되어 그 말단부가 상기 나사부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내측으로 돌출되게 제2걸림편이 형성되며, 양측의 절곡된 부분이 상기 케이스의 걸림부에 걸리도록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된 지지구와; 헤드부가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그 헤드부의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볼트 삽입 절개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걸리도록 볼트부가 상기 볼트 삽입 절개부에 삽입된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간격유지봉은, 양단부에 상기 지지구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구의 상부에서 삽입되어 상기 제1걸림편 및 상기 제2걸림편을 지나 상기 제1 및 제2 걸림부의 말단에 걸리도록 나사가 상기 지지구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는, 상기 지지구의 탄성강도를 증가되도록 전후방 가장자리가 그 가장자리를 따라 일측으로 절곡되어 보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는, 상기 유지봉 삽입 절개부 또는 상기 나사 삽입 절개부에는 양측 가장자리에서 서로 마주보게 돌출된 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2)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거푸집널(1) 사이에 설치된다. 즉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2)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거푸집널(1)의 내측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구(3)와, 상기 고정구(3)에 양단이 결합되는 간격유지봉(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구(3)는 케이스(10), 지지구(20), 고정볼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전후방벽(11,12)과 양측벽(13,14)으로 둘러싸여 상방으로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대략 상광하엽의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전방벽(11)에는 간격유지봉(4)이 진입되기 위한 유지봉 삽입 절개부(15)가 형성되며, 후방벽(12)에는 상기 고정볼트(30)가 진입되기 위한 볼트 삽입 절개부(16)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유지봉 삽입 절개부(15)에는 양측 가장자리에서 서로 마주보게 돌출된 돌부(15a)가 형성되어 그 돌부(15a)에 상기 유지봉 삽입 절개부(15)에 삽입된 간격유지봉(4)가 걸린다. 마찬가지로 상기 나사 삽입 절개부(16)에는 양측 가장자리에서 서로 마주보게 돌출된 돌부(도면에 미도시)가 형성되어 그 돌부에 상기 볼트 삽입 절개부(16)에 삽입된 고정볼트(30)가 걸려 빠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에는 양측벽 상부 가장자리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걸림부(17)가 형성되며, 그 걸림부(17)에는 상기 지지구(20)이 걸려 상기 케이스(10)에 삽입된 지지구(20)이 상기 케이스(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지지구(2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간격유지봉(4)의 말단부가 결합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구(20)는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좌우로 대칭되게 U자형으로 만곡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만곡된 저부에는 상기 간격유지봉(4)의 말단에 형성된 나사가 체결되기 위한 나사부(21)가 요철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구(20)의 양측 상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그 말단이 상기 나사부(21)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제1걸림편(22)이 형성되고, 만곡된 저부와 상기 제1걸림편(22)이 절곡된 부분 사이에서 블랭킹되어 그 말단부가 상기 나사부(21)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내측으로 돌출되게 제2걸림편(23)이 형성된다. 상기 제1걸림편(22) 및 제2걸림편(23)은 상기 지지구(20)의 내 측으로 삽입된 간격유지봉(4)이 상기 나사부(21)로 밀착되도록 상기 간격유지봉(4)을 탄성지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간격유지봉(4)은 상기 제1걸림편(22) 및 제2걸림편(23)에 걸려 빠지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구(20)는 U자형으로 만곡된 부분이 펼쳐지려는 탄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지지구의 탄성강도는 소정 크기 이상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구(20)는 탄성강도가 증가되도록 전후방 가장자리에 그 가장자리를 따라 일측으로 절곡되어 보강부(2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지지구(20)는 양측에서 제1걸림편(22)를 형성하기 위해 절곡된 부분이 상기 케이스(10)의 걸림부(17)에 걸리도록 상기 케이스(10)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된다.
상기 고정볼트(30)는 부착구(5)가 체결되어 상기 고정구(3)를 거푸짚널(1)에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헤드부(31)와 볼트부(3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볼트(30)는 상기 헤드부(31)가 케이스(10)의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그 헤드부(31)의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볼트 삽입 절개부(16)의 양측 가장자리에 걸리도록 볼트부(32)가 상기 볼트 삽입 절개부(16)에 삽입된다.
상기 간격유지봉(4)은 양단부에 상기 지지구(20)의 나사부(21)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구(20)의 상부에서 삽입되어 상기 제1걸림편(22) 및 상기 제2걸림편(23)을 지나 상기 제1 및 제2 걸림편(22)(23)의 말단에 걸리도록 나사가 상기 지지구(20)의 나사부(21)와 나사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는 간격유지봉을 고정구 케이스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격유지봉의 양단부가 결합된 지지구가 탄성 재질의 형성됨으로써 지지구가 고정구 케이스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간격유지봉이 지지구에 확실하게 결합되는 장점을 갖는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는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거푸집널의 내측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양단이 결합되는 간격유지봉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전후방벽과 양측벽으로 둘러싸여 상방으로 개구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전방벽에 간격유지봉이 진입되기 위한 유지봉 삽입 절개부가 형성되며, 후방벽에 소정의 볼트가 진입되기 위한 볼트 삽입 절개부가 형성되고, 양측벽 상부 가장자리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걸림부가 형성된 케이스와;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좌우로 대칭되게 U자형으로 만곡되고, 그 만곡된 저부에 나사부가 요철형태로 형성되며, 양측 상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그 말단이 상기 나사부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제1걸림편이 형성되고, 만곡된 저부와 상기 제1걸림편이 절곡된 부분 사이에서 블랭킹되어 그 말단부가 상기 나사부를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내측으로 돌출되게 제2걸림편이 형성되며, 양측의 절곡된 부분이 상기 케이스의 걸림부에 걸리도록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된 지지구와; 헤드부가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그 헤드부의 양측 가장자리가 상기 볼트 삽입 절개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걸리도록 볼트부가 상기 볼트 삽입 절개부에 삽입된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간격유지봉은, 양단부에 상기 지지구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구의 상부에서 삽입되어 상기 제1걸림편 및 상기 제2걸림편을 지나 상기 제1 및 제2 걸림부의 말단에 걸리도록 나사가 상기 지지구의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의 탄성강도를 증가되도록 전후방 가장자리가 그 가장자리를 따라 일측으로 절곡되어 보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봉 삽입 절개부 또는 상기 나사 삽입 절개부에는 양측 가장자리에서 서로 마주보게 돌출된 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
KR2020050030520U 2005-10-27 2005-10-27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 KR2004055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520U KR200405553Y1 (ko) 2005-10-27 2005-10-27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520U KR200405553Y1 (ko) 2005-10-27 2005-10-27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553Y1 true KR200405553Y1 (ko) 2006-01-10

Family

ID=41757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520U KR200405553Y1 (ko) 2005-10-27 2005-10-27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55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653A (ko) * 2019-04-30 2020-11-09 심덕기 플륨관 성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6653A (ko) * 2019-04-30 2020-11-09 심덕기 플륨관 성형장치
KR102227144B1 (ko) 2019-04-30 2021-03-11 심덕기 플륨관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95197B2 (ja) 板材の取り付け具
KR100970986B1 (ko) 플라스틱 파스너
CA2521976A1 (en) Electrical outlet box having attachable walls
JP2011072085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プロテクタ
KR200405553Y1 (ko)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
KR100562998B1 (ko) 천정패널 고정행거
US20070126259A1 (en) Unit carrier comprising an integrated lock fix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door
KR200409062Y1 (ko) 케이블 고정용 정렬클립
KR100745825B1 (ko) 박스와 브라켓 결합구조
US5641086A (en) Enclosure for installation, insulation and encapsulation of electric, electronic and pneumatic instruments and devices
KR20210000034U (ko) 방충망 결합구조
KR200442526Y1 (ko) 커넥터하우징
JP2007037254A (ja) 配線器具取り付け具
KR101062424B1 (ko) 간판용 프레임
KR200360249Y1 (ko) 천정패널 고정행거
JP4782536B2 (ja) 天井下地部材の取付け構造
KR200392055Y1 (ko) 콘크리트 거푸집널의 간격유지장치
KR200150890Y1 (ko) 쿼터 클라스 마운팅장치
JP2003056532A (ja) クランプ
JP6953368B2 (ja) セッティングブロック
KR930006265Y1 (ko) 세탁기 뚜껑의 투명창 체결장치
KR200314519Y1 (ko) 환기구용 마감재
KR19990019704U (ko) 드럼세탁기 톱프레이트의 체결구조
KR200389224Y1 (ko) 프레임 조립구조
KR200275170Y1 (ko) 커텐레일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