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019B1 - 황국균을 이용한 콩 단백질 분말 - Google Patents

황국균을 이용한 콩 단백질 분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019B1
KR102226019B1 KR1020200049039A KR20200049039A KR102226019B1 KR 102226019 B1 KR102226019 B1 KR 102226019B1 KR 1020200049039 A KR1020200049039 A KR 1020200049039A KR 20200049039 A KR20200049039 A KR 20200049039A KR 102226019 B1 KR102226019 B1 KR 102226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in powder
content
soy protein
present
amino aci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9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찬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굿모닝효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굿모닝효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굿모닝효소
Priority to KR1020200049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1/00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 A23J1/14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from leguminous or other vegetable seeds; from press-cake or oil-bearing seeds
    • A23J1/148Obtaining 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Bulk opening of eggs and separation of yolks from whites from leguminous or other vegetable seeds; from press-cake or oil-bearing seeds by treatment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14Vegetable proteins
    • A23J3/16Vegetable proteins from soybea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숙한 탈지 콩에 황국균을 접종하여 발효과정을 진행한 다음, 건조하여 콩 단백질 분말이 제조되고, 완성된 상기 콩 단백질 분말에 포함된 18 종의 필수/비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은 1000-2000 mg/100g이며, 완성된 상기 콩 단백질 분말에 포함된 분지쇄아미노산(BCAA)의 함량은 다음과 같고: (a) 발린 : 30-40 mg/100g; (b) 이소류신 : 15-25 mg/100g; 및 (c) 류신 : 50-80 mg/100g, 완성된 상기 콩 단백질 분말에 포함된 단백질 중 분자량 15 kDa 이하의 저분자 단백질 함량은 25-35%이며, 완성된 상기 콩 단백질 분말에 포함된 분해효소의 함량은 다음과 같은: (a) 탄수화물분해효소 : 10-15 unit/g; 및 (b) 단백질분해효소 : 1-3 unit/g 황국균을 이용한 콩 단백질 분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단백질 분말은 단백질의 흡수율이 뛰어나고, 18 종의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풍부며, 3종 균육생성 아미노산(BCAA) 함량이 풍부한 것은 물론, 단백질 분해효소 및 탄수화물 분해효소의 함량도 현저히 높은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황국균을 이용한 콩 단백질 분말{Preparing Soy Protein Powder Using Aspergillus oryzae}
본 발명은 황국균을 이용한 콩 단백질 분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탈지 대두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탈지 대두에 특정 아스퍼질러스 오리제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과정을 진행하는 단계 및 이를 건조하여 분말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황국균을 이용한 콩 단백질 분말에 관한 것이다.
콩(soybean, Glycine max L.) 단백질은 인류가 이용하는 단백질의 대부분을 공급하는 대표적인 식물성 단백질이 며, 동물성 단백질에 비하여 비교적 값이 싸고 양질의 단백질과 필수 아미노산 등을 제공하여 면역증강, 항혈전, 혈압강하, 칼슘흡수촉진, 항콜레스테롤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콩 단백질은 형태 그대로 섭취하기 보다는 저분자화된 펩타이드 형태로 섭취하는 경우 용해도가 높고, 산알칼리에 의한 침전물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용액상태에서의 낮은 점도, 인체 내 빠른 흡수속도 및 알러지 유발 가능성이 낮아 건강식품, 병원식, 유아식, 화장품 소재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1,000 Da 이상 크기의 저분자 펩타이드는 소장 내의 담즙산 및 콜레스테롤과 결합하여 배출되므로 단백질 형태로 섭취하는 경우에 비하여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를 낮추는 효과와 항종양, 항고혈압, 면역증강 등의 생리활성 효과가 더 크다고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저분자화된 콩 단백질은 강산 또는 강알칼리로 가수분해하거나, 분해효소를 사용하여 콩 단백질을 저분자화한 후 추출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강산 또는 강알칼리를 이용하여 저분자화하는 방법은 장시간 고온 처리하는 과정에서 단백질이 응고(coagulation)되어 단백질 변성에 따른 이화학적 품질 특성이 변질됨과 동시에 생산 수율이 떨어진다.
효소를 이용한 방법은 처리시간이 오래 걸리고, 효소의 조합, 반응조건(콩 단백질 투입량, 온도, pH 등), 단백질의 성분 및 전처리 조건 등에 따라 효소의 활성이 달라지며, 효소 분해 시 발생하는 강한 쓴맛(고미, bitterness)을 제거하기 위한 활성탄 또는 알코올을 이용한 선택추출, 여러 다른 매트 릭스(matirx)를 활용한 크로마토그래피적 제거방법 등의 과정에서 유용 펩타이드가 함께 제거되거나 생산 수율이 떨어지고, 특정 장비의 필요성 및 고비용이 소요되는 등의 다양한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콩 단백질의 유용성분 변화 없이 안전하게 저분자화 하는 방법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한국의 장류 식품인 된장 및 간장은 우리 조상이 수백 년 동안 섭취해온 음식으로서 특별한 부작용이 없는 식품이며, 항산화 효과, 혈전용해 효과, 혈압강하 효과 등을 유발하는 각종 유익한 생리활성 물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국내에서 장류의 산업적 생산은 대부분 아스퍼질러스 오리제를 이용한 개량식 장류의 대량생산이 주를 이루고 있다.
관련 선행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284580호 "팥에 균주로서 아스퍼질러스 오리제를 접종하여 누룩 및 상기 누룩을 이용한 발효주의 제조방법", 제10-1056546호 "콩알메주를 이용하여 한국 전통 풍미를 지닌 장류 및 이의 제조방법" 및 등록특허 제10-0597953호 "이취와 풍미가 개선된 장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들은 기존의 아스퍼질러스 오리제 균주를 이용하여 생산된 개량식 장류에 관한 것이나, 콩과 아스퍼질러스 오리제 균주를 이용한 단백질 식품에 대해서는 개시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단백질의 흡수율이 뛰어나고, 18 종의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풍부한 것은 물론, 3종 균육생성 아미노산(BCAA) 함량이 풍부한 콩을 이용한 단백질 식품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탈지 대두에 특정 아스퍼질러스 오리제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과정을 진행한 다음, 이를 건조하여 분말화시킬 경우 단백질의 흡수율이 뛰어나고, 18 종의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풍부며, 3종 균육생성 아미노산(BCAA) 함량이 풍부한 것은 물론, 단백질 분해효소 및 탄수화물 분해효소의 함량도 현저히 높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황국균을 이용한 콩 단백질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콩 단백질 분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단백질 분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단백질의 흡수율이 뛰어나고, 18 종의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풍부한 것은 물론, 3종 균육생성 아미노산(BCAA) 함량이 풍부한 콩을 이용한 단백질 식품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탈지 대두에 특정 아스퍼질러스 오리제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과정을 진행한 다음, 이를 건조하여 분말화시킬 경우 단백질의 흡수율이 뛰어나고, 18 종의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풍부며, 3종 균육생성 아미노산(BCAA) 함량이 풍부한 것은 물론, 단백질 분해효소 및 탄수화물 분해효소의 함량도 현저히 높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증숙한 탈지 콩에 황국균을 접종하여 발효과정을 진행한 다음, 건조하여 콩 단백질 분말이 제조되고, 완성된 상기 콩 단백질 분말에 포함된 18 종의 필수/비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은 1000-2000 mg/100g이며, 완성된 상기 콩 단백질 분말에 포함된 분지쇄아미노산(BCAA)의 함량은 다음과 같고: (a) 발린 : 30-40 mg/100g; (b) 이소류신 : 15-25 mg/100g; 및 (c) 류신 : 50-80 mg/100g, 완성된 상기 콩 단백질 분말에 포함된 단백질 중 분자량 15 kDa 이하의 저분자 단백질 함량은 25-35%이며, 완성된 상기 콩 단백질 분말에 포함된 분해효소의 함량은 다음과 같은: (a) 탄수화물분해효소 : 10,000-15,000 unit/g; 및 (b) 단백질분해효소 : 1,000-3,000 unit/g 황국균을 이용한 콩 단백질 분말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황국균’은 누룩곰팡이의 대표균으로 청주, 된장, 간장 제조에 사용되는 누룩 제조용 곰팡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탈지’는 어떤 물체가 포함하고 있는 지방의 전부 또는 일부가 배출된 일체의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증숙’은 수증기를 이용해서 가열하는 일체의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분지쇄아미노산’은 필수아미노산(essential amino acid) 가운데 발린(valine), 류신(leucine), 이소류신(isoleucine)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탄수화물분해효소’는 다당류를 보다 작은 다당류 또는 다당류로 분해하는 일체의 효소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단백질분해효소’는 단백질에 직접 작용하여 펩타이드결합을 가수분해하여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 혼합물을 만드는 일체의 효소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단계 (a)의 콩은 바람직하게는 세척하여 건조한 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단계 (a)의 콩은 바람직하게는 대두, 서리태, 렌틸콩, 완두콩, 강낭콩, 녹두 및 이들의 혼합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두, 서리태, 렌틸콩 및 이들의 혼합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대두 또는 서리태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장 바람직한 콩으로 대두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다수의 실험결과 대두에 황국균을 접종하여 단백질 파우더를 제조할 경우 서리태 등 다른 콩을 이용하여 단백질 파우더를 제조한 경우와 비교하여 필수아미노산 등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단계 (a)의 탈지 콩은 바람직하게는 압착 방식으로 지방을 제거한 대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탈지 콩을 이용하여 단백질 파우더를 제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탈지과정을 거친 콩에 황국균을 접종하여 발효과정을 진행하여 제조한 단백질 파우더는 탈지과정을 거치지 않은 콩에 황국균을 접종하여 발효과정을 진행하여 제조한 단백질 파우더에 비해 단백질의 흡수율이 뛰어난 저분자량의 단백질 함량과 18 종의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현저히 높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압착 방식을 이용하여 콩을 탈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압착 방식을 이용하여 콩을 탈지할 경우 화학적 방식을 이용하여 탈지를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완성된 단백질 파우더에 포함된 3종 균육생성 아미노산(BCAA) 함량, 단백질 분해효소 함량 및 탄수화물 분해효소 함량이 현저히 높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증숙 시 온도 조건은 바람직하게는 섭씨 80-150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섭씨 100-130도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섭씨 105-115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증숙 시 처리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120 분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60 분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0-40 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단계 (c)의 황국균은 바람직하게는 Aspergillus oryzae(KACC 93210P)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황국균이 Aspergillus oryzae(KACC 93210P)인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다수의 실험결과, 황국균으로 Aspergillus oryzae(KACC 93210P)를 사용할 경우 일반 황국균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단백질의 흡수율이 뛰어나고, 18 종의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풍부며, 3종 균육생성 아미노산(BCAA) 함량이 풍부한 것은 물론, 단백질 분해효소 및 탄수화물 분해효소의 함량도 현저히 높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단계 (d)의 발효 시 발효 조건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a) 온도 : 섭씨 34-39도; (b) 습도 : 55-65%; 및 (c) 시간 : 40-60 시간.
본 발명에서 섭씨 36-39도 온도에서 발효과정을 진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다수의 실험결과, 섭씨 34도 미만의 온도에서 발효과정을 진행하거나 39도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발효과정을 진행할 경우 단백질의 흡수율, 18 종의 필수 아미노산 함량, 3종 균육생성 아미노산(BCAA) 함량, 단백질 분해효소 함량 및 탄수화물 분해효소의 함량이 약 50-70% 감소하는 것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단계 (e)의 건조 시 건조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섭씨 40-60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단계 (e)의 건조 시 건조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30-60 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완성된 상기 콩 단백질 분말에 포함된 18 종의 필수/비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000-2000 mg/100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완성된 상기 콩 단백질 분말에 포함된 분지쇄아미노산(BCAA)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a) 발린 : 30-40 mg/100g; (b) 이소류신 : 15-25 mg/100g; 및 (c) 류신 : 50-80 mg/100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완성된 상기 콩 단백질 분말에 포함된 단백질 중 분자량 15 kDa 이하의 저분자 단백질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25-3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완성된 상기 콩 단백질 분말에 포함된 분해효소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a) 탄수화물분해효소 : 10,000-15,000 unit/g; 및 (b) 단백질분해효소 : 1,000-3,000 unit/g.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황국균을 이용한 콩 단백질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콩의 지방을 제거하여 탈지 콩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탈지 콩을 증숙하여 증숙된 콩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증숙된 콩에 황국균(Aspergillus oryzae)를 접종하여 황국균이 접종된 콩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의 황국균이 접종된 콩을 발효하여 발효된 콩을 제조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d)의 발효된 콩을 건조하여 건조된 콩을 제조하는 단계; 및 (f) 상기 단계 (e)의 건조된 콩을 분쇄하여 콩 단백질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본 명세서에서 황국균을 이용한 콩 단백질 분말 제조방법과 관련된 사항은 상술한 황국균을 이용한 콩 단백질 분말과 공통된 관계상 본 명세서가 과도하게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세한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황국균을 이용한 콩 단백질 분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식품 조성물로 제조되는 경우, 유효성분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포함한다. 상술한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올리고당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이 드링크제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유효성분 이외에 구연산, 액상과당, 설탕, 포도당, 초산, 사과산, 과즙, 두충 추출액, 대추 추출액, 감초 추출액 등을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황국균을 이용한 콩 단백질 분말과 관련된 사항은 상술한 황국균을 이용한 콩 단백질 분말의 제조방법과 공통된 관계상 본 명세서가 과도하게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세한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증숙한 탈지 콩에 황국균을 접종하여 발효과정을 진행한 다음, 건조하여 콩 단백질 분말이 제조되고, 완성된 상기 콩 단백질 분말에 포함된 18 종의 필수/비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은 1000-2000 mg/100g이며, 완성된 상기 콩 단백질 분말에 포함된 분지쇄아미노산(BCAA)의 함량은 다음과 같고: (a) 발린 : 30-40 mg/100g; (b) 이소류신 : 15-25 mg/100g; 및 (c) 류신 : 50-80 mg/100g, 완성된 상기 콩 단백질 분말에 포함된 단백질 중 분자량 15 kDa 이하의 저분자 단백질 함량은 25-35%이며, 완성된 상기 콩 단백질 분말에 포함된 분해효소의 함량은 다음과 같은: (a) 탄수화물분해효소 : 10,000-15,000 unit/g; 및 (b) 단백질분해효소 : 1,000-3,000 unit/g 황국균을 이용한 콩 단백질 분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단백질 분말은 단백질의 흡수율이 뛰어나고, 18 종의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풍부며, 3종 균육생성 아미노산(BCAA) 함량이 풍부한 것은 물론, 단백질 분해효소 및 탄수화물 분해효소의 함량도 현저히 높은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황국균을 이용한 콩 단백질 분말 중 단백질의 분자량이 15kDa 이하인 저분자 단백질 비율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황국균을 이용한 콩 단백질 분말에 포함된 18종의 필수/비필수 아미노산 함량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황국균을 이용한 콩 단백질 분말에 포함된 BCAA 함량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황국균을 이용한 콩 단백질 분말에 포함된 탄수화물분해효소 및 단백질분해효소의 함량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제조예 : 황국균을 이용한 콩 단백질 분말의 제조
제조예 1 : 실시예 황국균을 이용한 콩 단백질 분말의 제조
대두콩을 세척 및 건조 후 압착하여 기름(지방)을 제거한 압착탈지대두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압착탈지대두를 섭씨 100-110도 스팀으로 30분간 증숙하였다. 증숙한 압착탈지대두의 온도를 섭씨 50도 이하로 식힌 뒤 황국균(KACC 93210P) 분말을 압착탈지대두 중량기준 1-2 중량%를 배합하였다. 채반에 면포를 깔고 황국균을 배합한 압착탈지대두를 4-5 cm 높이로 쌓은 뒤 위에 면포를 덮고, 항온항습기에 넣어 온도 섭씨 36-39도, 습도 55-65% 환경에서 45-50시간 발효과정을 진행하였다. 발효 후 면포 덮개를 제거하고 열풍건조기에서 섭씨 45도 온도로 40-48시간 건조하였다. 건조 후 분말로 분쇄하여 실시예의 단백질 분말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 비교예 황국균을 이용한 콩 단백질 분말의 제조
비교예 단백질 분말은 상술한 제조예 1의 단백질 분말 제조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일부 조건을 변경하여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제조방법 차이는 하기 표 1과 같다.
공정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압착탈지여부 비탈지 탈지 탈지 탈지 탈지
황국균 종류 KACC93210P 일반누룩 KACC93210P KACC93210P KACC93210P
발효온도 섭씨 36-39 36-39 31-35 26-30 21-25
실험예 : 유효성분 함량 측정
실험예 1 : 실시예 및 비교예 유효성분 함량 측정
완성된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 단백질 분말의 저분자 단백질(15 kDa 이하) 함량, 18종 필수/비필수 아미노산 함량, BCAA 함량, 탄수화물분해효소 함량 및 단백질분해효소 함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저분자
단백질
(%)
아미노산
(mg/100g)
BCAA
(mg/100g)
탄수화물
분해효소
(unit/g)
단백질
분해효소
(unit/g)
발린 이소류신 류신
실시예 30 1623 34.14 19.86 68.56 12,151.0 1,807.2
비교예 1 11 253 7.12 4.18 12.36 7,124.1 1,107.3
비교예 2 9 145 6.34 3.32 9.96 6,365.4 1,148.1
비교예 3 17 342 11.12 7.72 12.64 5,745.2 1,008.4
비교예 4 14 298 9.63 5.97 10.85 5,329.4 1,211.3
비교예 5 12 198 6.45 4.32 9.16 6,254.3 1,108.7
실험예 2 : 실시예 및 대조구 유효성분 함량 측정
완성된 실시예 및 대조구 단백질 분말의 저분자 단백질(15 kDa 이하) 함량, 18종 필수/비필수 아미노산 함량, BCAA 함량, 탄수화물분해효소 함량 및 단백질분해효소 함량을 측정하였다. 대조구로는 농축유청단백질(대조구1), 분리대두단백질(대조구2) 및 일반 콩분말(대조구3)을 사용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3 및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냈다.
저분자
단백질
(%)
아미노산
(mg/100g)
BCAA
(mg/100g)
탄수화물
분해효소
(unit/g)
단백질
분해효소
(unit/g)
발린 이소류신 류신
실시예 30 1623 34.14 19.86 68.56 12,151.0 1,807.2
대조구1 9 134.5 6.07 4.18 11.49 0 0
대조구2 1 109.9 3.53 2.23 5.15 0 0
대조구3 3 427.3 6.06 4.83 4.40 0 0

Claims (8)

  1. 증숙한 탈지 콩에 황국균을 접종하여 발효과정을 진행한 다음, 건조하여 제조되는 콩 단백질 분말에 있어서,
    상기 콩은 대두, 서리태, 렌틸콩, 완두콩, 강낭콩, 녹두 및 이들의 혼합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세척하여 건조한 콩이고,
    상기 탈지 콩은 압착 방식으로 지방을 제거한 대두이며,
    상기 증숙 시 증숙 온도는 섭씨 100-130도이고, 증숙 시간은 1-120 분이고,
    상기 황국균은 Aspergillus oryzae(KACC 93210P)이며,
    상기 발효 과정의 조건은 섭씨 34-39도, 습도 55-65%, 40-60 시간이고,
    상기 건조 시 건조 온도는 섭씨 40-60도이고, 건조 시간은 30-60 시간이며,
    상기 콩 단백질 분말에는 18 종의 필수/비필수 아미노산이 1000-2000 mg/100g 함량으로 포함되고, 분지쇄아미노산(BCAA)이 발린 30-40 mg/100g, 이소류신 15-25 mg/100g, 및 류신 50-80 mg/100g 함량으로 포함되며, 분자량 15 kDa 이하의 저분자 단백질이 25-35% 함량으로 포함되고, 분해효소가 탄수화물분해효소 10,000-15,000 unit/g, 단백질분해효소 1,000-3,000 unit/g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국균을 이용한 콩 단백질 분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049039A 2020-04-23 2020-04-23 황국균을 이용한 콩 단백질 분말 KR102226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039A KR102226019B1 (ko) 2020-04-23 2020-04-23 황국균을 이용한 콩 단백질 분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9039A KR102226019B1 (ko) 2020-04-23 2020-04-23 황국균을 이용한 콩 단백질 분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6019B1 true KR102226019B1 (ko) 2021-03-10

Family

ID=75147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9039A KR102226019B1 (ko) 2020-04-23 2020-04-23 황국균을 이용한 콩 단백질 분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01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9855A (ja) * 1997-02-14 1998-09-02 Teruo Kumagai 海藻の醗酵食品の製造方法
KR20060011238A (ko) * 2004-07-29 2006-02-03 (주)진바이오텍 발효대두분말을 이용한 효소를 함유한 건강식인 발효콩식 조성물과 다이어트를 위한 발효콩식 조성물
KR20130136865A (ko) * 2012-06-05 2013-12-13 (주)하이모 황국균 및 유산균 복합발효기술을 이용한 발효효소식품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9855A (ja) * 1997-02-14 1998-09-02 Teruo Kumagai 海藻の醗酵食品の製造方法
KR20060011238A (ko) * 2004-07-29 2006-02-03 (주)진바이오텍 발효대두분말을 이용한 효소를 함유한 건강식인 발효콩식 조성물과 다이어트를 위한 발효콩식 조성물
KR20130136865A (ko) * 2012-06-05 2013-12-13 (주)하이모 황국균 및 유산균 복합발효기술을 이용한 발효효소식품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학위논문(조정숙, '3단 발효법에 의한 탈지대두의 품질 특성', 경상대학교, 2004년 02월)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3735B2 (ja) ビールテイスト飲料
JP4782620B2 (ja) 低変性脱脂米糠の製造方法
JPH03168066A (ja) フレーバ付与剤の製造方法
JP4874532B2 (ja) 睡眠改善剤
JPH05123119A (ja) 透明なローヤルゼリー溶液の製造法
WO2017168718A1 (ja) 容器詰飲料
US3897570A (en) Preparation of an acidic beverage
KR101660796B1 (ko) 녹두 식혜의 제조방법
KR101629218B1 (ko) 닭 백숙 향미를 가진 조미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26019B1 (ko) 황국균을 이용한 콩 단백질 분말
CN108094674A (zh) 一种冷冻干燥技术制备大豆肽的方法
JPH03277247A (ja) 薬用ニンジンを用いた食用素材の製造法
WO2017168717A1 (ja) 容器詰飲料
KR102225000B1 (ko) 황국균을 이용한 콩 단백질 분말의 제조방법
KR20090029528A (ko) 홍삼 및 실크펩타이드를 주재로 한 건강보조식품의제조방법 및 그 건강보조식품
JP2004187672A (ja) 果物外皮を含む発酵物の製造方法
KR20170080837A (ko) 신규 김치유산균 Weissella cibaria MFST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대추씨 조성물
JP3522599B2 (ja) 調味液の製造方法
JP2000106826A (ja) クロレラペプチド含有組成物
KR102356983B1 (ko) 두유의 제조방법
KR20040098612A (ko) 발효콩 분말을 포함하는 죽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07697B1 (ko) 생청국장 및 그 제조방법
JPWO2018025298A1 (ja) 容器詰飲料
JP4592106B2 (ja) 大豆類クエン酸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244331A (zh) 一种极易溶解的大豆肽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