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402B1 - 항균장갑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균장갑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402B1
KR102224402B1 KR1020200006100A KR20200006100A KR102224402B1 KR 102224402 B1 KR102224402 B1 KR 102224402B1 KR 1020200006100 A KR1020200006100 A KR 1020200006100A KR 20200006100 A KR20200006100 A KR 20200006100A KR 102224402 B1 KR102224402 B1 KR 102224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yarn
doc
silver chloride
antibac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근수
윤대완
윤대영
Original Assignee
윤근수
윤대완
윤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근수, 윤대완, 윤대영 filed Critical 윤근수
Priority to KR1020200006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4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3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 A41D19/0017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with slits for the fingers or part of the h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2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6Deoderising or perfum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20Wove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A41D2500/54Synthetic resins or rubbers in coated form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2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working activ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면, 잡사 또는 재생원단 중 적어도 하나를 파쇄한 원사로 장갑을 제조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염화은과 닥섬유를 포함하는 함침용액에 장갑을 함침시켜 상기 닥섬유가 장갑 원사에 달라 붙는 성질을 이용하여 장갑 표면에 부착된 염화은이 이탈되지 않게 함으로써 우수하고 지속적인 항균성과 소취성을 부여할 수 있고, 세척 공정을 통해 잔털부푸러기와 같은 장갑 표면의 이물질 및 오염물을 제거하여 위생성을 향상시킨 항균장갑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항균장갑과 그 제조방법{ANTI-BACTERIAL GLOV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항균장갑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낙면, 잡사 또는 재생원단 중 적어도 하나를 파쇄한 원사로 장갑을 제조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염화은과 닥섬유를 포함하는 함침용액에 장갑을 함침시켜 상기 닥섬유가 장갑 원사에 달라 붙는 성질을 이용하여 장갑 표면에 부착된 염화은이 이탈되지 않게 도포됨으로써 우수하고 지속적인 항균성과 소취성을 부여할 수 있고, 세척 공정을 통해 잔털부푸러기와 같은 장갑 표면의 이물질 및 오염물을 제거하여 위생성을 향상시킨 항균장갑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건강은 여러 종류의 미생물 유기체들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미생물 유기체를 사람이나 다른 포유동물에 접종하면 종종 여러 가지 질병 및 질환을 나타낸다. 이러한 오염에 대한 공중인식은 최근 몇 년간 일어난 식중독과 연쇄상구균 감염 등의 증가로 인해 고조되고 있다. 따라서, 의료관계자들은 일반적으로 신체의 일부분 (예, 손 씻기), 음식물(예, 조리되지 않은 고기, 야채, 과일 등), 조리기구(예, 주방조리대, 싱크대) 및 조리용 장갑, 수세미 등과 같은 감염된 면들과 접촉하게 되는 모든 영역을 청결히 하도록 적극 권장하고 있다.
위와 같은 방법들은 다른 접촉면뿐만 아니라 사람의 피부 특히 손으로부터 병을 발생시키는 미생물 유기체를 제거하려는 시도로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식품 제조 및 가공시 사용되는 장갑은 즉각적인 병균 감소를 나타내는 항균, 항바이러스 전용 장갑이라는 개념이 없었고 일반 면 또는 나일론 장갑이나 비닐 장갑, 또는 라텍스 코팅된 장갑을 사용하는 것이 전부였다.
또한, 종래에는 하나의 장갑으로 육류, 어류, 야채, 과일, 모든 식품군 등의 가공시 사용함으로써 눈에 보이지 않는 세균을 차단시키는 것에 대해 매우 부족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육류나 어패류 식품 가공시 종래의 일반 장갑을 사용할 경우 일반 장갑은 그저 손 외부에 씌어진 하나의 일방 막에 불구하며, 이러한 장갑을 사용하면 장갑이 세균의 온상으로서 조리하고 운반되는 식품에 세균을 감염시킬 수 있는 원인을 제공 할 수 있다. 따라서 육류 및 어패류 조리 작업과정에서 발생하는 세균 및 냄새와 오염 물질에 대한 방어막이 존재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손을 비롯한 인체와 가공중인 식품에 대한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사실이며 식품 건강 안전 예방에 대한 매우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킨다. 대기중과 가공 식품 상에는 무수한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 곰팡이가 존재하며 특히 유해한 MRSA균, 대장균, 황색포도상균 등에 의한 균의 확산 오염에 문제를 안고 있다. 이것은 인간의 건강이나 위생 측면의 중요한 사항으로서 식품을 섭취하는 사람으로서 간과할 수 없는 과제로 남아있다.
또한, 최근 위생상의 문제 해결 방법으로 유기항균제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항균제에는 탄화수소, 페놀, 카본산류, 아민류, 제4급 암모늄화합물, 에폭시화합물, 아미드화합물 등의 물질이 사용된다. 이는 의학상의 제2, 제3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유기항균제의 내성 및 유해성 등이 문제가 되어 식품가공 시에는 부적합 것이며, 식품환경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표면을 항균 물질로 코팅한 장갑이 일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갑은 코팅막이 화학 물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항균성을 일부 확보한다 하더라도 반대로 환경 호르몬이나 인체에 유해한 기타 성분이 식품을 취급하는 과정에서 손에 닿거나 또는 식품에 묻어 또 다른 위생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것이었다.
한편, 면 소재의 장갑은 원사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여 착용시 작업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표면으로부터 잔실 또는 부푸러기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잔실 또는 부푸러기는 식품의 습기와 닿아 빠지게 되고 심한 경우 식품 내에 이물질로 들어가게 되어 작업 공간 내의 위생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위생적인 용도의 장갑으로 사용시 효율성이 지나치게 낮았다.
또한, 종래의 면 장갑 중에서 제작비를 줄이기 위해 원사의 주성분으로 등급이 낮은 낙면, 잡사 및 재생원단의 파쇄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매우 낮은 수준의 위생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항균처리 등이 전혀 되어있지 않아 일정 수준의 위생성을 요구하는 용도로는 전혀 활용할 수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7877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5-000594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한 재료로 제작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우수하고 장시간 유지되는 항균성 및 탈취성을 제공하여 병원성 세균들로부터 착용자의 손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갑 표면에 붙어있는 잔실 또는 부푸러기들과 각종 이물질 및 오염물을 제거하여 위생성이 요구되는 식품 및 의료 분야에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항균장갑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낙면, 잡사 또는 재생원단 중 적어도 하나를 파쇄하고 방적하여 마련된 원사로 이루어지고, 손목커버부, 착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이 수용되는 메인바디부 및 손가락수용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편직하여 이루어지며, 표면에 염화은과 닥섬유가 부착되되, 상기 닥섬유의 섬유질이 장갑 원사의 섬유질과 얽히면서 달라붙어 장갑에 부착된 상기 염화은의 이탈이 억제되도록 하는 항균장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낙면, 잡사 또는 재생원단 중 적어도 하나를 파쇄하고 방적하여 마련된 원사로 이루어지고, 손목커버부, 착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이 수용되는 메인바디부 및 손가락수용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편직하여 이루어지며, 표면에 염화은이 부착되고, 상기 염화은을 커버하도록 닥 마이크로 분말을 포함하는 코팅막이 형성되되, 상기 닥 마이크로 분말의 섬유질이 장갑 원사의 섬유질과 얽히면서 달라붙어 장갑에 부착된 상기 염화은의 이탈이 억제되도록 하는 항균장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낙면, 잡사 또는 재생원단 중 적어도 하나를 파쇄하고 방적하여 원사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원사를 개방된 부분을 갖는 손목커버부, 착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이 수용되는 메인바디부 및 손가락수용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편직하여 장갑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장갑 표면에 뭍은 오염물, 이물질과 잔실 또는 부푸러기들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장갑을 염화은 및 닥섬유가 포함된 제1 함침용액으로 함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장갑에 상기 염화은이 부착되되, 상기 닥섬유의 섬유질이 상기 장갑의 원사의 섬유질과 얽히면서 달라붙어 상기 장갑에 부착된 상기 염화은의 이탈이 억제되도록 하는 항균장갑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닥섬유는 닥을 포함하는 방적사, 닥을 포함하는 한지사 또는 닥 마이크로 분말 중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함침용액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염화은 0.3 내지 0.5중량부와, 닥섬유 2 내지 7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낙면, 잡사 또는 재생원단 중 적어도 하나를 파쇄하고 방적하여 원사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원사를 개방된 부분을 갖는 손목커버부, 착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이 수용되는 메인바디부 및 손가락수용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편직하여 장갑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장갑 표면에 뭍은 오염물, 이물질과 잔실 또는 부푸러기들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장갑을 염화은이 포함된 제2 함침용액으로 함침하는 단계; 및 함침이 완료된 장갑 표면에 폴리우레아와 닥 마이크로 분말을 포함하는 코팅액을 분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닥 마이크로 분말의 섬유질이 상기 장갑의 원사의 섬유질과 얽히면서 달라붙어 상기 염화은을 상기 장갑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코팅하는 항균장갑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닥 마이크로 분말은, 닥나무 껍질을 복수의 조각으로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조각들을 급속 냉동 파쇄, 볼밀을 이용한 습식 가공 또는 버티칼 에어젯밀을 이용한 건식 가공 중 하나로 분쇄하여 1,000 메쉬 초과, 8,000 메쉬 이하 크기의 알갱이 형태로 미세분말화 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함침용액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염화은 0.5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코팅액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우레아 40 내지 70중량부 및 닥 마이크로 분말 2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항균장갑은, 낙면, 잡사 또는 재생원단 중 적어도 하나를 주재료로 하여 제조되므로 제조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고, 닥섬유와 은 이온을 발산시키는 염화은을 포함하는 함침용액으로 함침하여 상기 닥섬유가 장갑 원사에 달라 붙는 성질을 이용하여 세탁시에도 장갑 표면에 부착된 염화은이 이탈되지 않게 함으로써 장시간 유지되는 항균성 및 탈취성을 가질 수 있으며, 함침 전에 장갑을 세척하는 공정을 진행하여 장갑 표면에 붙어있는 잔실 또는 부푸러기들과 각종 이물질과 오염물을 제거하여 우수한 위생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닥나무의 우수한 특성이 그대로 반영되고 염화은의 음 이온 성분에 의해 지속적으로 장시간 유지되는 우수한 항균성 및 탈취성을 제공할 수 있어서, 위생성이 요구되는 식품을 취급하는 분야에 사용시 작업자의 손은 물론 취급하는 식품에 대한 위생상태를 더욱 청결히 할 수 있어 식품 건강 안전 예방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며, 수술실과 같은 의료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항균장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장갑에 염화은이 부착된 것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방적사 타입의 닥솜 섬유를 5배 확대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닥섬유의 소취성을 나타낸 표이다.
도 5는 각종 재료의 건조 성능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항균장갑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항균장갑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항균장갑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항균장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인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항균장갑(100)은 착용자가 손(H)을 집어 넣을 수 있도록 개방된 부분을 갖는 손목커버부(110), 착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이 수용되는 메인바디부(120) 및 착용자의 손가락 부분이 수용되는 손가락수용부(130)를 포함하는 형태로 편직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손목커버부(110)는 생략이 될 수도 있는데, 이는 구부림 변형이 발생되어 착용시 손목을 움직이기 용이하도록 복수의 주름을 가지는 신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본 실시 예의 항균장갑(100)에는 소정간격을 두고 다량의 염화은과 소량의 닥섬유가 부착된다.
상기 염화은은 항균장갑(100)에 항균성과 소취성을 부여하는 주성분이다. 상기 염화은은 천연은에서 추출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진(Polygiene)이란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진은 천연은에서 추출한 염화은을 이용한 항균방취성분으로서, 유럽 BPR, 미국 FDA, 미국 환경청 EPA승인을 받은 제품이며, 피부 안전 면에서는 일본 후생성, 영국 Medical Class 1의 승인 제품으로서, 이미 전세계 300여 곳의 유수 브랜드들이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염화은은 인체에 무해하면서 여러 종류의 박테리아, 곰팡이 또는 바이러스를 제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염화은은 공기 중의 냄새를 흡수하거나 제거하는 작용 또는 공기 중의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 아니며, 염화은으로부터 발생된 은 이온(Ag+)이 박테리아, 곰팡이 또는 바이러스 등이 구성하는 단백질 시스테인의 -SH기와 결합되어 DNA 복제를 못하게 하여 이러한 유해 성분들의 증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염화은은 무기질 성분으로 시간이 지나면 소멸되는 유기항균제와는 달리 한번 처리되면 영구적으로 항균 및 탈취 기능이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염화은으로부터 발생된 은 이온이 작용하는 박테리아로는 대장균, 클레프시엘라균(장내균), 장구균, 포도상구균, 메타실린내성황색포도구균, 프로테우스불가리스균, 살모렐라균 쥐티프스균,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진균, 슈도모나스균, 레지오넬라균, 연쇄구균, 화농연쇄구균, 살로넬라 장염균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은 이온이 작용하는 진균류 또는 곰팡이로는 누룩곰팡이, 캔디다알비칸스균, 백선균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은 이온이 작용하는 바이러스로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조류인풀루엔자 등이 있다.
한편, 집먼지 진드기의 경우, 피부 각질을 직접 섭취하는 것이 아니라 곰팡이가 각질을 녹여 주어야 섭취할 수 있는데, 상기 은 이온이 곰팡이 발생을 억제함으로서 집먼지 진드기가 생존 번식할 수 없는 환경을 조성하여 집먼지 진드기의 발생 및 증식을 방지하여, 이에 알레르기와 천식을 유발하는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갑에 염화은이 부착되는 경우에 염화은은 섬유의 표면에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이 단순히 붙어 있게 되므로 장갑의 세척시에 염화은이 떨어져 나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염화은이 항균장갑에 표면에 강력하게 부착하면서도 항균성 및 소취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닥섬유를 추가로 사용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섬유는 종류가 다르더라도 인접한 섬유와 잘 달라 붙는 성질이 있다. 상기 닥섬유는 항균장갑을 구성하는 원사와 같이 섬유질을 갖는 물질이므로, 닥섬유의 섬유질이 항균장갑을 구성하는 원사의 섬유질과 서로 얽히면서 염화은과 같이 원사에 달라붙어 결착되고, 이에 닥섬유가 항균장갑의 섬유표면상에 부착된 염화은이 세탁시 항균장갑의 원사로부터 빠져나가거나 이탈되는 것을 억제하는 바인더로서의 역할을 하여 항균장갑의 항균성 및 소취성을 오랜 동안 유지할 수 있다.
닥나무는 뽕나무과 낙엽 활엽 관목으로 한국, 중국의 중부와 남부 및 일본 등에 주로 서식하며, 한지의 주재료로 사용되고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보면 우수한 내구성이 입증되어 있다. 특히, 4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닥나무는 섬유장이 길어 인결 강도 및 인장 강도가 매우 우수하다. 최근에 유럽, 미국, 중국, 일본 등 국가별 환경 규제 지침에 의해 납, 수은, 카드뮴, 6가 크롬, 폴리브로미네이티드 비페닐(PBB), 폴리브로미네이티드와 같은 유해 물질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닥나무는 상기의 유해 물질은 물론 장기 접촉시 피부암 등을 유발하는 아릴아민 및 새집 증후군 발생 물질로서 호흡기를 자극하고 폐수증 및 비염 유발의 원인이 되는 포름알데히드 등의 독성 성분이 없는 친환경 소재로서, 화학 소재에 대한 면역력이 부족한 유아와 노약자에게도 무해한 이점을 가진다. 닥나무와 인간의 상생 관계는 오랜 문헌에도 기록될 만큼 옛 선조 때부터 생필품과 식품, 의약품에서 중요한 요소로 쓰이고 있다. 이에 닥섬유 자체로도 장갑에 소정의 항균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닥섬유는 닥을 포함하는 방적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닥을 포함하는 방적사는 닥나무 껍질을 이용하여 솜을 만들고, 이 솜으로 연사 공정을 통해 섬유원사(실)를 제조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닥섬유는 닥을 포함하는 한지사가 있다. 상기 한지사는 종이로 꼬아 만들 실로서, 본 실시 예에서 한지사는 닥나무로 만든 전통 한지를 얇게 썰어낸 후 꼬아서 폴리 또는 나일론으로 외피를 커버링하여 섬유원사(실)를 제조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가공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적사 또는 한지사는 닥섬유 고유의 구조상으로 성분의 입도(량)과 닥 분포도가 균일하지 못하고 장력이 약해 직조(편직)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고, 닥나무가 가지는 고유의 특성 및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 닥나무의 기능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 예에서는 닥섬유로 더 바람직하게 닥나무를 미세하게 분말화한 닥 마이크로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닥섬유는 우수한 소취성과 속건성을 가지고 있다. 도 4는 닥섬유의 소취성을 나타낸 표로서, 가스검지관법에 의해 탈취율을 평가한 것이다. 상기 가스검지관법은 5L의 테트라백에 (10×10)㎝의 제시 시료를 넣고 초기 농도로 조정한 가스 3L를 주입한 후 2시간 후 가스 농도를 검지관으로 측정하여 악취 제거 특성인 소취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닥 마이크로 분말은 3대 악취 중 하나인 암모니아에 대하여 99.5% 이상의 매우 우수한 제거율을 나타낸다. 더불어, 상기 닥 마이크로 분말은 포름알데히드에 대해서는 33.3%, 벤젠에 대해서는 15.0%, 톨루엔에 대해서는 15.0%의 제거율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닥섬유는 소취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장갑에 적용시 식품용 위생장갑의 재료 등 항균장갑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해진다.
상기 속건성은 인체의 땀과 수분을 신속히 흡수하고 발산시키는 특성으로서,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장갑에 닥섬유가 부착되면 일반적인 면 장갑 대비 착용 또는 사용시 쾌적한 상태를 오랜 시간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각종 재료의 건조성능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의 건조성능은 유사한 조직과 중량을 가진 면섬유(Cotton), PET섬유와의 수분에 대한 증산성(보켄법 II)을 평가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닥섬유는 면사와 PET 섬유의 중간 정도의 발산성을 가질 수 있으며, 기존의 면 섬유 보다 2배 이상의 빠른 수분 발산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항균장갑은 표면에 닥섬유가 부착되어 적절한 수분 함유량을 지니게 되므로 보습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항균장갑은 우수한 건조성능을 가지게 되어 식품용 위생장갑이나 의료용 장갑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해진다.
한편, 다른 예로서, 본 실시 예의 항균장갑은 표면에 염화은과 닥섬유를 동시에 부착하는 대신에, 장갑 표면에 염화은이 먼저 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염화은을 커버하도록 닥 마이크로 분말을 포함하는 코팅막이 추가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닥 마이크로 분말의 섬유질이 장갑 원사의 섬유질과 얽히면서 강력하게 달라붙어 장갑에 부착된 상기 염화은의 이탈이 억제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항균장갑 제조방법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항균장갑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로서, 상기 항균장갑은 아래와 같은 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낙면, 잡사 또는 재생원단 중 적어도 하나를 파쇄하고 방적하여 항균장갑의 주재료가 되는 원사를 마련한다(S10). 본 실시 예에서, 면 장갑을 제조하기 위한 원사(실)의 주성분은 비교적 등급이 낮은 낙면, 잡사, 재생파쇄품으로 이러한 재료로 연사되어 장갑으로 제조하는 약한 제조현실의 기준평가로 보면 위생장갑을 만들기 위해서는 몇가지 후속공정을 필수적으로 거칠 수 밖에 없다.
다음으로, 상기 원사를 개방된 부분을 갖는 손목커버부, 착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이 수용되는 메인바디부 및 손가락수용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편직 편직하여 장갑을 제조한다(S20). 이때, 장갑 표면에는 재료에 묻어 있던 오염물질들과 함께 잔실, 솜털 또는 부푸러기들이 잔뜩 붙어 더러운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다음 공정으로, 상기 장갑을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하여 상기 장갑 표면에 뭍은 오염물질과 이물질은 물론 장갑 표면에 잔뜩 붙어 있는 잔실 또는 부푸러기들을 제거한다(S30). 이에 장갑의 위생성을 높이고, 시각적으로 또는 촉감적으로도 품질이 향상된 항균장갑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장갑 표면에 다량의 염화은을 고르게 부착하여 항균처리를 실시한다.
상기 항균처리는, 상기 장갑을 물과, 물에 녹아 있는 다량의 염화은(AgCl) 및 소량의 닥섬유를 포함하는 제1 함침용액이 담긴 용기에 넣어 함침한다(S40). 이때, 상기 제1 함침용액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염화은 0.3 내지 0.5중량부와, 닥섬유 2 내지 7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화은이 0.3 중량부 미만인 경우 염화은의 효과가 제대로 구현되지 못할 수 있고, 상기 염화은이 0.5 중량부를 초과하더라도 염화은의 효과가 더 이상 크게 향상되지 못하기 때문에 염화은의 최대치는 0.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장갑을 일정시간 뒤 꺼내어 건조시키면 장갑에 소정간격을 두고 염화은이 부착되어 장갑에 항균성 및 탈취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장갑은 세탁을 하거나 하면 장갑에 부착된 염화은이 떨어져 나갈 수 있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닥섬유의 섬유질이 장갑의 원사의 섬유질에 함께 쫙 달라붙어 서로 얽히면서 결착되고, 이에 항균장갑의 섬유표면상에 부착된 염화은이 세탁시에도 항균장갑의 원사로부터 빠져나가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닥섬유가 2 중량부 미만인 경우 염화은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제대로 구현되지 못할 수 있고, 상기 닥섬유가 7 중량부를 초과하더라도 닥섬유의 효과가 더 이상 크게 향상되지 못하기 때문에 닥섬유의 최대치는 7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닥섬유는 방적사 또는 한지를 이용한 한지사를 선택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닥 마이크로 분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닥 마이크로 분말은 닥섬유 고유의 구조가 파괴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닥나무가 가지는 고유의 특성 및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덧붙여, 이렇게 닥섬유를 닥 마이크로 분말로 구성하면 닥 방적사의 잔실 또는 부푸러기가 심하게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항균장갑이 시각적으로 또는 촉감적으로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먼저 닥나무(Paper Mulberry) 껍질을 세절기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소정 크기를 갖는 복수의 조각으로 절단한다.
일반적으로 닥나무 껍질은 흑피와 백피로 이루어져 있고,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닥나무 껍질 조각을 천연 잿물로 세척한 후, 닥나무 껍질 조각을 증기로 찐 후 흑피를 벗겨 백피를 추출한다. 그리고, 이후 백피를 포함하는 닥나무 껍질 조각들은 후 공정에서 사용하기 위해 차아염소산 수용액과 같은 표백제 등을 이용하여 세척함으로써 닥나무 껍질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 기본 재료를 마련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분쇄하여 1,000 메쉬 초과, 8,000 메쉬 이하 크기의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로 미세분말화 한다. 이때, 닥 마이크로 분말의 크기는 제조 비용 대비 닥섬유의 효과를 고려하여 1,000 메쉬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닥 마이크로 분말의 크기가 8,000 메쉬를 초과하면 이러한 닥 마이크로 분말을 적용하여 생산되는 제품의 품질은 높아지지만 닥 마이크로 분말의 효과 대비 가공 비용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장갑을 생산하는 공정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때, 상기 미세분말화 과정은, 급속 냉동 파쇄, 볼밀을 이용한 습식 가공, 버티칼 에어젯밀을 이용한 건식 가공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종래의 공지된 방법으로는 닥나무 섬유사를 미세한 가루와 같은 알갱이 형태로 만드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닥나무 껍질을 일정한 수분 함유량을 갖도록 가습한 후 급속 질소 냉각한 후 분쇄하거나 또는 가공 횟수를 조정하여 볼밀을 이용한 습식 가공 또는 버티칼 에어젯밀을 이용한 건식 가공으로 분쇄하면 1,000 메쉬 초과, 8,000 메쉬 이하 크기의 미세한 파쇄형 알갱이로 만들 수 있다. 이하, 미세분말화 과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급속 냉동 파쇄 공정은, 먼저 상기 가본 재료인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수분 함유량이 5 내지 30중량%가 되도록 가습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가습 후 닥나무 껍질 조각의 수분 함유량은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중량%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습 공정은 후술하는 급속 질소 냉각 공정을 위해 닥나무 껍질 조각에 적정량의 수분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이때 상기 가습 공정은 분무 또는 함침 등의 여러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해당 공정은 필요시 동일한 조건에서 수 차례 반복하여 진행할 수 있으며, 닥나무 껍질 조각의 최종 수분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에 오게 된다면 가습 조건 및 가습 횟수, 구체적인 방법 등이 특정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닥나무 껍질 조각들의 최종 수분 함유량이 5중량% 미만이 되면 후술하는 냉각 공정에서 얼음과 같은 형태로 제대로 얼지 않게 되어 그 이후의 미세분말화 공정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닥나무 껍질 조각들의 최종 수분 함유량이 3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후술하는 냉각 공정에서 얼음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 미세분말화 공정에서 닥나무 껍질 조각이 1,000 메쉬를 초과하는 두께로 분쇄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분 함유량이 5 내지 30중량%로 맞춰진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200 내지 -250℃에서 급속 질소 냉각하여, 얼음과 같은 상태로 동결시키는 단계(S30)를 진행한다. 이때, 냉각 온도가 -250℃보다 더 낮으면 효율 대비 작업 공정상 과다한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냉각 온도가 -200℃보다 높으면 닥나무 껍질 조각들 중 일부가 얼음 형태로 완전히 냉각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급속 냉각된 얼음 형태의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공지된 분쇄기 등을 이용하여 1,000 메쉬 초과, 8,000 메쉬 이하의 초미세한 크기를 갖는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로 미세분말화 한다.
그리고, 상기 볼밀을 이용하는 습식 가공과 상기 버티칼 에어젯밀을 이용하는 건식 가공 중 하나를 선택하여 미세분말화를 진행하면, 볼밀의 볼 또는 제트기류에 의한 분자 충돌로 닥 마이크로 분말의 입자 크기를 1,000 메쉬 초과 4,000 메쉬 이하로 미세분말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습식 가공 또는 건식 가공을 1회 반복하면 닥 마이크로 분말의 입자 크기를 6,000 메쉬까지 더 미세분말화 할 수 있고, 상기의 습식 가공 또는 건식 가공을 2회 반복하면 닥 마이크로 분말의 입자 크기를 8,000 메쉬까지 더 미세분말화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습식 가공 또는 건식 가공의 경우, 가공하는 횟수를 조정하여 닥 마이크로 분말의 크기를 원하는 범위 내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항균장갑은 앞에서 설명한 염화은과 닥나무가 고르게 부착되어 있어서 우수한 항균성 및 탈취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항균장갑은 속건성을 가지고 있어서, 종래의 일반적인 면 장갑 대비 착용 또는 사용시 쾌적한 상태를 오랜 시간 유지할 수 있다. 땀 자체는 냄새가 없지만 박테리아가 증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냄새는 땀과 박테리아가 합쳐져서 발생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염화은과 닥섬유의 우수한 속건성 및 소취성과 함께 냄새를 유발할 수 있는 땀을 제거하면서 박테리아나 곰팡이의 성장 및 증식을 억제하여 매우 우수한 탈취 효과를 제공하는 항균장갑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요리하는 과정이나 또는 식품을 제조 및 취급하는 과정에서 손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품용 위생장갑은, 식품이라는 취급 대상의 특성상 독성이 없는 면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된 제품이 가장 흔히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히 종래의 면 소재의 식품용 위생장갑은 항균성 및 탈취성이 거의 없어서 한번 사용하고 나면 세균 등에 쉽게 오염이 되고 이에 재사용을 하게 되면 이전에 취급했던 식품의 이물질이나 균 등이 장갑에 그래도 묻어 있는 상태로서 작업자의 손을 물론 새로 취급하게 되는 식품에 오염을 전가시키는 것은 물론 위생 상태를 현저히 저하시키는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염화은과 장갑에 고르게 부착되어 있고, 염화은으로부터 발생되는 은 이온이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여 항균장갑에 집먼지 진드기가 생존 번식할 수 없는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본 실시 예에 의해 제조된 항균장갑을 식품용 위생장갑으로 사용하는 경우 집먼지 진드기의 발생 및 증식을 방지하여 알레르기와 천식을 유발하는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
변형 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항균장갑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제2 실시 예에서, 원사를 마련하여 장갑을 제조하고, 장갑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 예와 유사하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앞서 설명한 제1 실시 예와 상이한 특징을 갖는 항균처리 과정을 중심으로 항균장갑 제조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낙면, 잡사 또는 재생원단 등을 파쇄하고 방적하여 항균장갑의 재료가 되는 원사를 마련한다(S10).
다음으로, 상기 원사를 편지 편직하여 장갑을 제조하고(S20), 상기 장갑을 세척하여 상기 장갑 표면에 뭍은 오염물질과 이물질은 물론 장갑 표면에 잔뜩 붙어 있는 잔실 또는 부푸러기들을 제거한다(S30).
다음으로 상기 장갑에 항균처리를 실시한다. 상기 항균처리는, 먼저 상기 장갑을 물과, 물에 녹아 있는 염화은을 포함하는 제2 함침용액이 담긴 용기에 넣어 함침한다(S50). 이때, 상기 제2 함침용액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염화은 0.5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화은이 0.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은 이온이 제대로 발생되지 않아 장갑의 항균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염화은의 함량이 1 중량부를 초과하더라도 비용 대비 항균성이 더 이상 크게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비용 측면에서 염화은의 최대 값은 1 중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장갑을 일정시간 뒤 꺼내면 장갑에 소정간격을 두고 염화은이 부착되어 장갑에 항균성 및 탈취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때, 경우에 따라 장갑을 꺼낸 후 건조작업을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함침이 완료된 장갑에 미세 노즐이 장착된 장치를 이용하여 염화은이 묻어 있는 장갑 표면에 코팅액을 분사하여(S60) 상기 코팅액으로 장갑 표면을 도포한다. 상기 코팅액은 폴리우레아와 닥 마이크로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갑에 폴리우레아와 닥 마이크로 분말이 포함된 코팅액을 분사하면, 코팅액이 건조되면서 닥 마이크로 분말의 섬유질이 상기 장갑의 원사의 섬유질과 얽히면서 달라 붙게 된다.
이때, 닥 마이크로 분말이 염화은을 상기 장갑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커버하여 잡아주게 되므로 세탁을 여러 번 하더라도 장갑으로부터 염화은이 떨어져나가지 않고 계속 유지되어 항균성 및 소취성이 오랜 동안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장갑 표면에 코팅된 닥 마이크로 분말로부터 닥나무의 여러 특성과 효과, 예를 들어 항균성, 소취성, 속건성 등도 함께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코팅액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우레아 40 내지 70중량부 및 닥 마이크로 분말 2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아는 무독성 코팅 성분으로서, 본 실시 예에서는 닥 마이크로 분말과 혼합되어 코팅액으로 제조되고, 이러한 코팅액으로 장갑 표면에 스프레이 분사로 코팅을 하게 되면 장갑 표면에 슬립 방지 및 기능 보호와 안전막 효율을 높이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폴리우레아의 함량이 40중량부 미만이면 코팅액의 건조시간이 너무 지연되어 닥 마이크로 분말이 염화은을 코팅하기 전에 염화은이 장갑 표면으로부터 흘러 내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폴리우레아의 함량의 70중량부를 초과하면 폴리우레아에 의한 효과가 더 이상 크게 증가되지 않기 때문에 비용 측면에서 폴리우레아의 함량은 70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닥 마이크로 분말의 함량이 2중량부 미만이면 닥 마이크로 분말이 염화은을 코팅하여 염화은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가 제대로 구현되지 못할 수 있고, 닥 마이크로 분말의 함량이 5중량부를 초과해도 그 효과가 크게 증가되지 않기 때문에 비용 측면에서 닥 마이크로 분말의 최대치는 5중량부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파쇄, 방적(실), 편직의 여러 공정을 거치는 동안 직조물에 오염과 필요 이상의 잔털부푸러기(솜털)이 파생되는데, 세탁, 헹굼, 탈수 및 건조를 통해 안전성 장갑으로 변환함과 동시에 천연은염과의 함침을 거쳐 표준 규격 조직으로 재세팅되어 최종적으로 항균장갑으로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함침과정에서 마이크로 단위의 미세닥분말을 희석함으로써 닥 기능성이 첨가되어 알러지 방지, 항균성, 흡한성, 속건성 등의 기능을 유지하고 닥 마이크로 분말을 함침 또는 분사하는 공정을 통해 천연은염 입자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또는 이탈이 방지되도록 결속막을 형성하여 천연은염의 기능을 지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장갑은 일례로서, 한 켤레의 중량을 20g에서 가닥수를 첨가한 60g까지 할 수 있고, 장갑제조에 사용되는 원사는 총 중량을 40g을 기준으로 할 때, 폴리에스터 150D(데니어) 3올, 순면 30수(단사) 1올, 방적사 타입의 닥섬유 30수(단사) 1올, 고무사 65번 1올 및 접착사 1올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고무사는 폴리에스트 사를 고무사 중심으로 좌우꼬임으로 커버링하여 가공되는 고무사 w6을 사용할 수 있고, 접착사는 스판덴스 20D, 나이론 70D 또는 PE접착사 50D 중 1올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앞서 설명한 함침 또는 분사 등의 공정을 통해 염화은와 닥섬유가 원사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이다.
시험 예
표 1은 FITI 시험연구원에서 JIS L 1902, 균액흡수법-평판배양법을 이용하여 비교 예인 일반적인 면 100%로 이루어진 면 장갑과, 제1 실시 예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면 장갑(실시 예 1)과, 제2 실시 예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한 면 장갑(실시 예 2)의 항균 활성치를 각각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본 시험의 데이터는, 각 샘플 별로 초기 개체군(접촉시간 0시간)과 비교하여 샘플 목록의 표면과 18시간 동안 접촉한 후의 개체군의 차이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비교 예, 실시 예 1 및 실시 예 2는 원사의 재료를 모두 동일하게 하였고, 실시 예 1은 원사를 물 100중량부에 대해 염화은 10중량부와 방적사 타입의 닥섬유 2중량부가 포함된 제1 함침용액으로 함침한 것이고, 실시 예 2는 원사를 물 100중량부에 대해 염화은 10중량부가 포함된 제2 함침용액으로 함침한 후, 물 100중량부에 대해 닥 마이크로 분말 2중량부와 폴리우레아 50중량부가 포함된 코팅액으로 코팅한 것이다. 또한, 사용공시균주는, 균주 1의 경우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을 사용하고, 균주 2의 경우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8739)을 사용한다. 이때, 바이온계면활성제 TWEEN 80을 접종균액에 각각 0.05중량% 첨가하였다.
비교 예 실시 예 1 실시 예 2
균주 1 초기균수 38,000 40,000 40,000
18시간 후 12,000,000 < 20 < 20
항균 활성치 - 99.9% 99.9%
균주 2 초기균수 38,000 45,000 45,000
18시간 후 42,000,000 < 20 < 20
항균 활성치 - 99.9% 99.9%
표 1을 참조하면, 균주 1을 이용한 시험에서, 비교 예의 초기 개체군의 황색포도상구균의 개수는 38,000개이다. 그러나, 비교 예의 경우 18시간 이후 황색포도상구균의 개수가 12,000,000개로 급속히 증가하였다. 반면에, 실시 예 1과 실시 예 2의 경우 황색포도상구균의 개수가 초기에 비해 99.9% 이상 크게 감소하였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염화은과 닥섬유를 포함하는 항균장갑의 경우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균주 2를 이용한 시험에서, 비교 예의 초기 대장균의 개수는 38,000개이다. 그러나, 비교 예의 경우 18시간 이후 대장균의 개수가 42,000,000개로 급속히 증가하였다. 반면에, 실시 예 1 및 실시 예 2의 경우 대장균의 개수가 초기에 비해 99.9% 이상 크게 감소하였다. 즉, 본 발명의 염화은과 닥섬유를 포함하는 항균장갑의 경우 대장균에 대한 항균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2는 실시 예 1의 면 장갑을 세탁 전후로 하여 항균 활성치를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시험방법은 표 1에서와 동일하게 한다.
세탁 전 1회 세탁 후 2회 세탁 후
균주 1 초기균수 40,000 40,000 40,000
18시간 후 < 20 < 20 < 20
항균 활성치 99.9% 99.9% 99.9%
균주 2 초기균수 45,000 45,000 45,000
18시간 후 < 20 < 20 < 20
항균 활성치 99.9% 99.9% 99.9%
표 2를 참조하면, 균주 1을 이용한 시험에서, 실시 예 1의 초기 개체군의 황색포도상구균의 개수는 33,000개이고, 세탁 전은 물론, 1회 세탁 후 및 2회 세탁 후에도 18시간 이후 황색포도상구균의 개수가 초기에 비해 99.9% 이상 크게 감소하였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염화은과 닥섬유를 포함하는 항균장갑의 경우 2회 세탁을 한 이후에도 염화은이 장갑에 대부분 남아 있어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성을 그대로 유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균주 2를 이용한 시험에서, 실시 예 1의 초기 대장균의 개수는 42,000개이고, 세탁 전은 물론, 1회 세탁 후 및 2회 세탁 후에도 18시간 이후 대장균의 개수가 초기에 비해 99.9% 이상 크게 감소하였다. 즉, 본 발명의 염화은과 닥섬유를 포함하는 항균장갑의 경우 2회 세탁을 한 이후에도 대장균에 대한 항균성을 그대로 유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항균장갑
110: 손목커버부
120: 메인바디부
130: 손가락수용부

Claims (9)

  1. 낙면, 잡사 또는 재생원단 중 적어도 하나를 파쇄하고 방적하여 마련된 원사로 이루어지고,
    손목커버부, 착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이 수용되는 메인바디부 및 손가락수용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편직하여 이루어지며,
    표면에 염화은과 닥섬유가 부착되되, 상기 닥섬유의 섬유질이 장갑 원사의 섬유질과 얽히면서 달라붙어 장갑에 부착된 상기 염화은의 이탈이 억제되도록 하는 항균장갑.
  2. 낙면, 잡사 또는 재생원단 중 적어도 하나를 파쇄하고 방적하여 마련된 원사로 이루어지고,
    손목커버부, 착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이 수용되는 메인바디부 및 손가락수용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편직하여 이루어지며,
    표면에 염화은이 부착되고, 상기 염화은을 커버하도록 닥 마이크로 분말을 포함하는 코팅막이 형성되되, 상기 닥 마이크로 분말의 섬유질이 장갑 원사의 섬유질과 얽히면서 달라붙어 장갑에 부착된 상기 염화은의 이탈이 억제되도록 하는 항균장갑.
  3. 낙면, 잡사 또는 재생원단 중 적어도 하나를 파쇄하고 방적하여 원사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원사를 개방된 부분을 갖는 손목커버부, 착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이 수용되는 메인바디부 및 손가락수용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편직하여 장갑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장갑 표면에 뭍은 오염물, 이물질과 잔실 또는 부푸러기들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장갑을 염화은 및 닥섬유가 포함된 제1 함침용액으로 함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장갑에 상기 염화은이 부착되되, 상기 닥섬유의 섬유질이 상기 장갑의 원사의 섬유질과 얽히면서 달라붙어 상기 장갑에 부착된 상기 염화은의 이탈이 억제되도록 하는 항균장갑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닥섬유는 닥을 포함하는 방적사, 닥을 포함하는 한지사 또는 닥 마이크로 분말 중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장갑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닥섬유는 닥 마이크로 분말이고,
    상기 닥 마이크로 분말은,
    닥나무 껍질을 복수의 조각으로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급속 냉동 파쇄, 볼밀을 이용한 습식 가공 또는 버티칼 에어젯밀을 이용한 건식 가공 중 하나로 분쇄하여 1,000 메쉬 초과, 8,000 메쉬 이하 크기의 알갱이 형태로 미세분말화 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장갑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함침용액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염화은 0.3 내지 0.5중량부와, 닥섬유 2 내지 7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장갑 제조방법.
  7. 낙면, 잡사 또는 재생원단 중 적어도 하나를 파쇄하고 방적하여 원사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원사를 개방된 부분을 갖는 손목커버부, 착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이 수용되는 메인바디부 및 손가락수용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편직하여 장갑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장갑 표면에 뭍은 오염물, 이물질과 잔실 또는 부푸러기들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장갑을 염화은이 포함된 제2 함침용액으로 함침하는 단계; 및
    함침이 완료된 장갑 표면에 폴리우레아와 닥 마이크로 분말을 포함하는 코팅액을 분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닥 마이크로 분말의 섬유질이 상기 장갑의 원사의 섬유질과 얽히면서 달라붙어 상기 염화은을 상기 장갑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코팅하는 항균장갑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닥 마이크로 분말은,
    닥나무 껍질을 복수의 조각으로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급속 냉동 파쇄, 볼밀을 이용한 습식 가공 또는 버티칼 에어젯밀을 이용한 건식 가공 중 하나로 분쇄하여 1,000 메쉬 초과, 8,000 메쉬 이하 크기의 알갱이 형태로 미세분말화 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장갑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함침용액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염화은 0.5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액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우레아 40 내지 70중량부 및 닥 마이크로 분말 2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장갑 제조방법.
KR1020200006100A 2020-01-16 2020-01-16 항균장갑과 그 제조방법 KR102224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100A KR102224402B1 (ko) 2020-01-16 2020-01-16 항균장갑과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100A KR102224402B1 (ko) 2020-01-16 2020-01-16 항균장갑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402B1 true KR102224402B1 (ko) 2021-03-08

Family

ID=75185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100A KR102224402B1 (ko) 2020-01-16 2020-01-16 항균장갑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402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6014U (ja) * 1992-04-15 1993-12-27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使い捨て手袋
KR950005940A (ko) 1993-08-18 1995-03-20 김학기 항균체를 함유한 장갑
JPH07243180A (ja) * 1994-02-28 1995-09-19 Meisei:Kk 抗菌性繊維の製造法
KR100478775B1 (ko) 2004-10-05 2005-03-29 (주)한성크린소재 항균 및 탈취제 조성물이 도포된 식품가공용 장갑
KR20060025085A (ko) * 2004-09-15 2006-03-20 황성진 은수용액과 닥을 적절히 혼합하여 만든 은을 겹지하여만드는 겹지은치 제작방법
KR100882850B1 (ko) * 2008-08-28 2009-02-10 주식회사 에넨 에어로젤과 닥섬유를 이용한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90226Y1 (ko) * 2017-04-25 2019-10-14 롱 존 숭 라이트 인더스트리알 씨오., 엘티디 재생 직물 및 편직 갑피 원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6014U (ja) * 1992-04-15 1993-12-27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使い捨て手袋
KR950005940A (ko) 1993-08-18 1995-03-20 김학기 항균체를 함유한 장갑
JPH07243180A (ja) * 1994-02-28 1995-09-19 Meisei:Kk 抗菌性繊維の製造法
KR20060025085A (ko) * 2004-09-15 2006-03-20 황성진 은수용액과 닥을 적절히 혼합하여 만든 은을 겹지하여만드는 겹지은치 제작방법
KR100478775B1 (ko) 2004-10-05 2005-03-29 (주)한성크린소재 항균 및 탈취제 조성물이 도포된 식품가공용 장갑
KR100882850B1 (ko) * 2008-08-28 2009-02-10 주식회사 에넨 에어로젤과 닥섬유를 이용한 복합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90226Y1 (ko) * 2017-04-25 2019-10-14 롱 존 숭 라이트 인더스트리알 씨오., 엘티디 재생 직물 및 편직 갑피 원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72749B (zh) 一种抗菌抗病毒无纺布及其制备方法、包含其的口罩
EP1943302B1 (en) Antimicrobial treatment of nonwoven materials for infection control
EP1919996B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KR102071475B1 (ko) 식품용 위생장갑 및 그 제조 방법
KR102150828B1 (ko) 향균장갑의 제조방법
EP1973579A1 (en) Germicidal surface-covering assembly
KR20130094686A (ko) 합성 부직 텍스타일의 항미생물성 처리
KR200492331Y1 (ko) 항균 마스크
CN106388087B (zh) 可重复使用的手术衣
CN106388088B (zh) 一种手术衣
JP2022048201A (ja) 抗微生物性布帛アセンブリ
WO2013085875A1 (en) Antimicrobial tennis ball
KR102224402B1 (ko) 항균장갑과 그 제조방법
KR200415108Y1 (ko) 은나노가 흡착된 항균 청소용 걸레
KR102196545B1 (ko) 닥나무 융합사와 그 제조 방법, 및 닥나무 융합사를 포함하는 식품용 위생장갑과 그 제조 방법
JP4723333B2 (ja) 抗アレルゲン清掃用繊維製品
Sauperl Textiles for protection against microorganism
KR102280100B1 (ko) 소취기능이 향상된 방호복
KR102069499B1 (ko) 닥나무 융합사 및 그 제조 방법
KR102229776B1 (ko) 구리원사를 포함하는 항균성을 갖는 기능성 직물과 이를 이용한 마스크
KR200390864Y1 (ko) 나노실버와 향이 함유된 안전모
KR20070082091A (ko) 대나무 직물층을 갖는 마스크
CN101972072A (zh) 杀菌钱包制造工艺
CN206213353U (zh) 一种手术衣
KR20230029299A (ko) 항균 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