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475B1 - 식품용 위생장갑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식품용 위생장갑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475B1
KR102071475B1 KR1020180130914A KR20180130914A KR102071475B1 KR 102071475 B1 KR102071475 B1 KR 102071475B1 KR 1020180130914 A KR1020180130914 A KR 1020180130914A KR 20180130914 A KR20180130914 A KR 20180130914A KR 102071475 B1 KR102071475 B1 KR 102071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ood
doc
gloves
b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0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대완
윤대영
Original Assignee
윤대완
윤대영
(주)드림글러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대완, 윤대영, (주)드림글러브 filed Critical 윤대완
Priority to KR1020180130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14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03Gloves with ambidextrous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44Cuff portions
    • A41D19/0048Cuff portions with cuff securing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76Protective gloves made of a patchwork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4Appliances for making gloves; Measuring devices for glove-mak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30Antimicrobial, e.g. antibac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6Deoderising or perfum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52Dispos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1Gloves

Abstract

본 발명은, 주성분인 고분자 물질과 은 이온을 발산시키는 염화은을 포함하여 길게 실 형태로 형성되는 원사 바디 및 닥나무 껍질을 분쇄하여 500 내지 1,000 메쉬(mesh) 크기의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사 바디 내에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고르게 분산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을 포함하는 융합사를 편직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시각적으로 및 촉감적으로 품질이 향상되도록 하고, 지속적으로 장시간 유지되는 항균성 및 탈취성을 제공하여 식품 취급시 병원성 세균들로부터 착용자의 손과 식품의 오염을 방지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장갑의 표면으로부터 잔실 또는 부푸러기가 발생하지 않아 기존의 면장갑에서 잔실 또는 부푸러기가 식품의 습기와 닿아 빠지면서 식품 내에 이물질로 들어가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식품용 위생장갑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식품용 위생장갑 및 그 제조 방법{SANITARY GLOVES FOR FO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F THE SAME}
본 발명은 지속적인 항균성과 탈취성을 제공하며 이물질이 식품 내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조되는 식품용 위생장갑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항균성 및 탈취성을 갖는 융합사를 개방된 부분을 갖는 손목커버부, 착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이 수용되는 메인바디부 및 손가락수용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재봉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융합사는, 주성분인 고분자 물질과 은 이온을 발산시키는 염화은(AgCl)을 포함하고 길게 실 형태로 형성되는 원사 바디, 및 닥나무 껍질을 분쇄하여 미세한 크기의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사 바디 내에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분산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을 포함하여, 시각적으로 및 촉감적으로 장갑의 품질이 향상되도록 하고, 닥 마이크로 분말과 염화은이 발산하는 은 이온(Ag+)에 의해 지속적으로 장시간 유지되는 항균성 및 탈취성을 제공하여 식품 취급시 병원성 세균들로부터 착용자의 손과 식품의 오염을 방지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장갑의 표면으로부터 잔실 또는 부푸러기가 발생하지 않아 기존의 면 장갑에서 잔실 또는 부푸러기가 식품의 습기와 흡착되어 빠지면서 식품 내에 이물질로 들어가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식품용 위생장갑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인간의 건강은 여러 종류의 미생물 유기체들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미생물 유기체를 사람이나 다른 포유동물에 접종하면 종종 여러 가지 질병 및 질환을 나타낸다. 이러한 오염에 대한 공중인식은 최근 몇 년간 일어난 식중독과 연쇄상구균 감염 등의 증가로 인해 고조되고 있다. 따라서, 의료관계자들은 일반적으로 신체의 일부분 (예, 손 씻기), 음식물(예, 조리되지 않은 고기, 야채, 과일 등), 조리기구(예, 주방조리대, 싱크대) 및 조리용 장갑, 수세미 등과 같은 감염된 면들과 접촉하게 되는 모든 영역을 청결히 하도록 적극 권장하고 있다.
위와 같은 방법들은 다른 접촉면뿐만 아니라 사람의 피부 특히 손으로부터 병을 발생시키는 미생물 유기체를 제거하려는 시도로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식품 제조 및 가공시 사용되는 장갑은 즉각적인 병균 감소를 나타내는 항균, 항바이러스 전용 장갑이라는 개념이 없었고 일반 면 또는 나일론 장갑이나 비닐 장갑, 또는 라텍스 코팅된 장갑을 사용하는 것이 전부였다.
이러한 일반적인 장갑으로 육류, 어류, 야채, 과일, 모든 식품군 등의 가공시 사용함으로써 눈에 보이지 않는 세균을 차단시키는 것에 대해 매우 부족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육류나 어패류 식품 가공시 일반 장갑을 사용할 경우 일반 장갑은 그저 손 외부에 씌어진 하나의 일방 막에 불구하며, 항균처리 조차되지 않은 장갑은 세균의 온상으로서 조리하고 운반되는 식품에 세균을 감염시킬 수 있는 원인을 제공 할 수 있다. 따라서 육류 및 어패류 조리 작업과정에서 발생하는 세균 및 냄새와 오염 물질에 대한 방어막이 존재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손을 비롯한 인체와 가공중인 식품에 대한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사실이며 식품 건강 안전 예방에 대한 매우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킨다. 대기중과 가공 식품 상에는 무수한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 곰팡이가 존재하며 특히 유해한 MRSA균, 대장균, 황색포도상균 등에 의한 균의 확산 오염에 문제를 안고 있다. 이것은 인간의 건강이나 위생 측면의 중요한 사항으로서 식품을 섭취하는 사람으로서 간과할 수 없는 과제로 남아있다.
또한, 최근 위생상의 문제 해결 방법으로 유기항균제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항균제에는 탄화수소, 페놀, 카본산류, 아민류, 제4급 암모늄화합물, 에폭시화합물, 아미드화합물 등의 물질이 사용된다. 이는 의학상의 제2, 제3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유기항균제의 내성 및 유해성 등이 문제가 되어 식품가공 시에는 부적합 것이며, 식품환경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편, 면 소재의 장갑은 원사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여 착용시 작업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표면으로부터 잔실 또는 부푸러기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잔실 또는 부푸러기는 식품의 습기와 닿아 빠지게 되고 심한 경우 식품 내에 이물질로 들어가게 되어 작업 공간 내의 위생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식품용 위생장갑으로 사용시 효율성이 지나치게 낮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표면을 항균 물질로 코팅한 위생장갑이 일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코팅 위생장갑은 코팅막이 화학 물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항균성을 일부 확보한다 하더라도 반대로 환경 호르몬이나 인체에 유해한 기타 성분이 식품을 취급하는 과정에서 손에 닿거나 또는 식품에 묻어 또 다른 위생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것이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78775호 (2005.3.16.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6714호 (2012.5.10.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이 평평하고 매끄러워 품질, 착용감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장시간 유지되는 항균성 및 탈취성을 제공하여 식품 취급시 병원성 세균들로부터 착용자의 손과 식품의 오염을 방지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표면으로부터 잔실 또는 부푸러기의 발생이 방지되어 위생성이 요구되는 식품을 취급하는 분야에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식품용 위생장갑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항균성 및 탈취성을 갖는 융합사를 개방된 부분을 갖는 손목커버부, 착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이 수용되는 메인바디부 및 손가락수용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편직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융합사는, 주성분인 고분자 물질과 은 이온을 발산시키는 염화은(AgCl)을 포함하고 길게 실 형태로 형성되는 원사 바디, 및 닥나무 껍질을 분쇄하여 500 내지 1,000 메쉬(mesh)의 크기의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사 바디 내에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분산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위생장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융합사는, 상기 융합사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닥 마이크로 분말이 10 내지 30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융합사는, 상기 융합사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염화은이 0.3 내지 0.5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염화은은 상기 원사 바디의 표면에 코팅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닥나무 껍질을 복수의 조각으로 절단하는 제1 단계; 상기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수분 함유량이 5 내지 30%가 되도록 가습하는 제2 단계; 수분 함유량이 맞춰진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200 내지 -250℃에서 급속 질소 냉각하여 얼음과 같은 형태로 동결하는 제3 단계; 얼음 형태의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분쇄하여 500 내지 1,000 메쉬 크기의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로 미세분말화 하는 제4 단계; 고분자 물질, 염화은(AgCl) 분말 및 상기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마련하는 제5 단계; 상기 혼합물을 방사 공정으로 압출하여 상기 고분자 물질 내에 상기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이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분산되게 혼합 배치되고 항균성 및 탈취성을 가지는 융합사로 성형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융합사를 개방된 부분을 갖는 손목커버부, 착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이 수용되는 메인바디부 및 손가락수용부(130)를 포함하는 형태로 편직하여 장갑을 제조하는 제7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위생장갑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닥나무 껍질을 복수의 조각으로 절단하는 제1 단계; 상기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수분 함유량이 5 내지 30%가 되도록 가습하는 제2 단계; 수분 함유량이 맞춰진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200 내지 -250℃에서 급속 질소 냉각하여 얼음과 같은 형태로 동결하는 제3 단계; 얼음 형태의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분쇄하여 500 내지 1,000 메쉬 크기의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로 미세분말화 하는 제4 단계; 고분자 물질과 상기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마련하는 제5 단계; 상기 혼합물을 방사 공정으로 압출하여 상기 고분자 물질 내에 상기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이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분산되게 배치되는 융합사로 성형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융합사를 개방된 부분을 갖는 손목커버부, 착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이 수용되는 메인바디부 및 손가락수용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편직하여 장갑을 제조하는 제7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7 단계 이전에, 상기 융합사를 염화은이 용해된 수산화암모늄(NH4OH) 용액에 침지하여 상기 융합사가 항균성 및 탈취성을 갖도록 상기 융합사 표면에 염화은을 코팅하는 단계를 먼저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위생장갑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닥 마이크로 분말이 융합사의 용도와 융합사의 굵기에 따라 10 내지 30중량%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성분인 고분자 물질과 은 이온을 발산시키는 염화은을 포함하여 길게 실 형태로 형성되는 원사 바디 및 닥나무 껍질을 분쇄하여 500 내지 1,000 메쉬(mesh) 크기의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사 바디 내에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고르게 분산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을 포함하는 융합사를 편직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식품용 위생장갑의 표면이 평평하고 매끄러워 시각적으로 및 촉감적으로 품질이 향상될 수 있고 착용감 및 착용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닥 마이크로 분말에 의해 닥나무의 우수한 특성이 그대로 반영되면서 음 이온 성분에 의해 지속적으로 장시간 유지되는 항균성 및 탈취성을 제공할 수 있어서 식품 취급시 병원성 세균으로부터 착용자의 손과 식품의 오염을 방지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장갑의 표면으로부터 잔실 또는 부푸러기가 발생하지 않아 기존의 면 장갑에서 잔실 또는 부푸러기가 식품의 습기와 흡착되어 빠지면서 식품 내에 이물질로 들어가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서 작업자의 손은 물론 취급하는 식품에 대한 위생상태를 더욱 청결히 할 수 있어 식품 건강 안전 예방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식품용 위생장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품용 위생장갑에 사용되는 융합사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도 1의 A부분을 크게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KS K 0693:2011의 시험방법으로 황색포도상구균과 폐렴균에 대해 항균성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4a 및 도 4b는 황색포도상구균의 대조편과 시료편의 18시간 배양 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 사진이다.
도 5a 및 도 5b는 폐렴균의 대조편과 시료편의 18시간 배양 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닥섬유의 소취성을 나타낸 표이다.
도 7은 각종 재료의 원적외선 방사율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는 각종 재료의 건조 성능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식품용 위생장갑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닥나무 융합사의 제조 공정 중 천연 잿물로 세척 후 닥나무 껍질의 흑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흑피 제거 후 추출된 백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2은 닥나무 껍질의 닥나무 섬유질을 확대하여 나타낸 현미경사진이다.
도 13은 도 12의 닥나무 껍질을 기계적인 방법으로 절단 후 섬유질을 확대하여 나타낸 현미경사진이다.
도 14는 IBRG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Research Group) Tier 1 방직 방법(Textile Method)에 기초한 시험을 이용하여 일반 섬유와 본 발명의 융합사에 대한 항균 활성을 측정한 시험 보고서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JIS L 1902, 균액흡수법-평판배양법을 이용하여 일반 섬유와 본 발명의 융합사로 제조한 식품용 위생장갑의 항균 활성치를 각각 측정한 시험 보고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식품용 위생장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식품용 위생장갑(100)은 착용자가 손(H)을 집어 넣을 수 있도록 개방된 부분을 갖는 손목커버부(110), 착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이 수용되는 메인바디부(120) 및 착용자의 손가락 부분이 수용되는 손가락수용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손목커버부(110)는 구부림 변형이 발생되어 착용시 손목을 움직이기 용이하도록 복수의 주름을 가지는 신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식품용 위생장갑(100)은 아래 설명하는 융합사(10)를 이용하여 편직함으로써 우수한 항균성 및 탈취성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요리하는 과정이나 또는 식품을 제조 및 취급하는 과정에서 손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품용 위생장갑은, 식품이라는 취급 대상의 특성상 독성이 없는 면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된 제품이 가장 흔히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면 소재의 식품용 위생장갑은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항균성 및 탈취성이 거의 없어서 한번 사용하고 나면 세균 등에 쉽게 오염이 되고 이에 재사용을 하게 되면 이전에 취급했던 식품의 이물질이나 균 등이 장갑에 그래도 묻어 있는 상태로서 작업자의 손을 물론 새로 취급하게 되는 식품에 오염을 전가시키는 것은 물론 위생 상태를 현저히 저하시키는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식품용 위생장갑(100)에 사용되는 융합사(10)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도 1의 A부분을 크게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식품용 위생장갑(100)의 편직시 사용되는 융합사(10)는, 원사 바디(1)와, 원사 바디(1) 내에 고르게 분산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2)을 포함한다.
원사 바디(1)는 압출 성형하여 길게 실 형태로 형성되며, 표면이 평평하고 매끄러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원사 바디(1)는 주성분인 고분자 물질과 은 이온을 발산시키기 위한 염화은(AgCl; 3)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염화은(3)은 원사 바디(1) 내에 녹아 염화은 입자의 상태로 포함되거나, 또는 다른 실시 예로서 원사 바디(1)의 표면에 코팅막 형태로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물질은 바람직하게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Polyacryl)계 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수지, 올레핀계(Olefinic) 수지,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계 수지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수지 등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염화은(3)은 천연 은에서 추출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진(Polygiene)이란 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진은 천연은에서 추출한 염화은을 이용한 항균 방취 성분으로서, 유럽 BPR, 미국 FDA, 미국 환경청 EPA승인을 받은 제품이며, 피부 안전 면에서는 일본 후생성, 영국 Medical Class 1의 승인 제품으로서, 이미 전세계 300여 곳의 유수 브랜드들이 채택하고 있다.
염화은(3)은 인체에 무해하면서 여러 종류의 박테리아, 곰팡이 또는 바이러스를 제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염화은(3)은 공기 중의 냄새를 흡수하거나 제거하는 작용 또는 공기 중의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염화은(3)으로부터 발생된 은 이온(Ag+)이 박테리아, 곰팡이 또는 바이러스 등이 구성하는 단백질 시스테인의 -SH기와 결합되어 DNA 복제를 못하게 하여 이러한 유해 성분들의 증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염화은(3)은 무기질 성분으로 시간이 지나면 소멸되는 유기항균제와는 달리 한번 처리되면 영구적으로 항균 및 탈취 기능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염화은(3)은 융합사(10)의 총 중량에 대하여, 0.3 내지 0.5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염화은(3)의 총 함량이 0.3중량% 미만인 경우 은 이온이 제대로 발생되지 않아 항균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염화은(3)의 총 함량이 0.5중량%를 초과하면 항균성이 더 이상 크게 증가되지 않기 때문에 비용 측면에서 염화은의 최대치는 0.5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염화은(3)으로부터 발생된 은 이온이 작용하는 박테리아로는 대장균, 클레프시엘라균(장내균), 장구균, 포도상구균, 메타실린내성황색포도구균, 프로테우스불가리스균, 살모렐라균 쥐티프스균,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진균, 슈도모나스균, 레지오넬라균, 연쇄구균, 화농연쇄구균, 살로넬라 장염균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은 이온이 작용하는 진균류 또는 곰팡이로는 누룩곰팡이, 캔디다알비칸스균, 백선균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은 이온이 작용하는 바이러스로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조류인풀루엔자 등이 있다.
또한, 집먼지 진드기의 경우, 피부 각질을 직접 섭취하는 것이 아니라 곰팡이가 각질을 녹여 주어야 섭취할 수 있는데, 상기 은 이온이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므로 식품용 위생장갑에 집먼지 진드기가 생존 번식할 수 없는 환경을 조성하여 집먼지 진드기의 발생 및 증식을 방지하여 알레르기와 천식을 유발하는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
닥 마이크로 분말(2)은 닥나무(Paper Mulberry)의 껍질을 분쇄하여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지고, 원사 바디(1) 내에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분산되어 혼합 배치된다. 닥나무는 뽕나무과 낙엽 활엽 관목으로 한국, 중국의 중부와 남부 및 일본 등에 주로 서식하며, 한지의 주재료로 사용되고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보면 우수한 내구성이 입증되어 있다. 최근에 유럽, 미국, 중국, 일본 등 국가별 환경 규제 지침에 의해 납, 수은, 카드뮴, 6가 크롬, 폴리브로미네이티드 비페닐(PBB), 폴리브로미네이티드와 같은 유해 물질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또한, 닥나무는 상기의 유해 물질은 물론 장기 접촉시 피부암 등을 유발하는 아릴아민 및 새집 증후군 발생 물질로서 호흡기를 자극하고 폐수증 및 비염 유발의 원인이 되는 포름알데히드 등의 독성 성분이 없는 친환경 소재로서, 화학 소재에 대한 면역력이 부족한 유아와 노약자에게도 무해한 이점을 가진다. 닥나무와 인간의 상생 관계는 오랜 문헌에도 기록될 만큼 옛 선조 때부터 생필품과 식품, 의약품에서 중요한 요소로 쓰이고 있다.
이러한 각각의 닥 마이크로 분말(2)은 원사 바디(1)의 굵기 보다 현저히 작은 크기를 가지며, 더 구체적으로는 500 내지 1,000 메쉬(mesh)의 크기를 가진다. 이때, 닥 마이크로 분말(2)의 크기를 500 메쉬 미만으로 하더라도 효과가 더 크게 상승되지는 않기 때문에 비용 측면에서 닥 마이크로 분말(2)의 최소 크기는 500 메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닥 마이크로 분말(2)의 크기가 1,000 메쉬를 초과하면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2)이 원사 바디(1) 내에 고르게 분산되지 못하고 일부가 서로 뭉치면서 원사 바디(1)의 표면을 가압하거나 심한 경우 원사 바디(1) 밖으로 돌출되어 융합사(10)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게 되고 심한 경우 융합사(10)의 표면을 우들두들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융합사(10)가 가늘게 제조될수록 더욱 심화되므로, 200데니어 이하의 매우 가늘게 제조되는 미세사에서도 이러한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닥 마이크로 분말(2) 크기의 상한 값이 위와 같이 1,000 메쉬 이하여야 한다.
또한, 닥 마이크로 분말(2)은 융합사(10)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30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닥 마이크로 분말(2)의 총 함량이 10중량% 미만인 경우 융합사(10)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닥나무 섬유질의 여러 특성 및 기능이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닥 마이크로 분말(2)의 총 함량이 30중량%를 초과하면 원사 바디(1) 내에서 닥 마이크로 분말(2)이 고르게 분산되지 못하고 국부적으로 뭉치는 현상이 생겨 원사 바디(1)가 지나치게 딱딱해지거나 또는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2)이 서로 뭉치면서 원사 바디(1)의 표면을 가압하여 융합사(10)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게 되고 심한 경우 닥 마이크로 분말(2)이 원사 바디(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융합사(10)의 표면이 우들두들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종래의 닥 섬유와 같은 지사(종이)를 커팅하여 사용하는 솜 방적 분말이 가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없으며, 얇은 굵기로 된 실을 생산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융합사(10)는 식품용 위생장갑의 여러 특성 및 기능을 더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제로서, 필요에 따라, 가소제, 난연제, 산화방지제 및 내마모성 향상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닥나무 섬유질은 길이 방향으로 긴 선형의 형태를 띄므로, 종래의 공지된 분쇄 방법으로는 닥나무를 아무리 잘게 부수더라도 이러한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섬유질의 형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닥나무 섬유사를 미세한 가루와 같은 알갱이 형태로 만드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그러나, 위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융합사(10)는 닥나무가 섬유질이 아니라 미세한 크기를 갖는 파쇄형 소입자 형태의 닥 마이크로 분말(2)로 되어 이러한 닥 마이크로 분말(2) 복수 개가 원사 바디(1) 내에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고르게 분산되어 배치되는 구조가 되고, 기존의 닥나무 섬유질을 이용한 원사에 비해 실의 밀도와 장력 및 실의 굵기 대비 닥의 투입 함량(입자 분포) 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융합사(10)로 식품용 위생장갑(100)을 제조하면 융합사(10)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지게 되어 종래의 바늘의 귀에 울퉁불퉁한 원사의 중간 부분이 걸리던 현상을 방지하여 재봉에 의해 기존의 면 섬유 제품 대비 가벼우면서도 인열 강도 및 인장 강도가 우수한 제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융합사(10)가 닥나무 섬유질을 이용하여 제조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닥섬유가 잔실 또는 부푸러기가 심하게 발생하고 전체적으로 원사의 표면이 우들두들한 형태가 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융합사의 표면이 평평하고 매끄럽게 형성되고 잔실 및 부푸러기의 발생이 억제되므로, 이러한 융합사(10)를 이용하여 제조된 식품용 위생장갑이 시각적으로 또는 촉감적으로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융합사(10)는 원사 바디(1) 내에 포함된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2)에 의해 우수한 항균성, 소취성 및 속건성 등의 특성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이하 각 시험의 설명에서 닥섬유 또는 한지, 한지사는 본 실시 예의 닥 마이크로 분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성분으로 간주한다.
상기 항균성은 전염성 질환의 원인이 되는 박테리아, 곰팡이 등을 사멸시키는 작용을 하는 특성을 의미한다. 도 3은 일정시간 경과 후 감소세균수/ml와 정균감소율(%)을 평가하기 위해 KS K 0693:2011의 시험방법으로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과 폐렴균(Klebsiella pneumonia ATCC 4352)에 대해 항균성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4a 및 도 4b는 황색포도상구균의 대조편과 시료편의 18시간 배양 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 사진이고, 도 5a 및 도 5b는 폐렴균의 대조편과 시료편의 18시간 배양 후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 사진이다. 여기서 대조편은 면사를 사용하고 시료편은 한지사를 사용하였다.
도 3과 도 4a 내지 5b를 참조하면, 시료편의 경우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해서는 99.9%, 폐렴균에 대해서도 99.9%의 정균감소율(%)을 나타내므로, 본 실시 예의 융합사(10)가 우수한 항균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질적으로 본 실시 예의 융합사(10)는 총 중량에 대하여 닥 마이크로 분말(2)이 7중량% 포함되는 경우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해 33.3%, 폐렴균에 대해 15.0%의 정균감소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닥 마이크로 분말(2)의 함량을 증가시키면 이러한 항균성은 더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융합사(10)는 우수한 항균성을 가지므로 식품용 위생장갑의 재료로 활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6은 닥섬유의 소취성을 나타낸 표로서, 가스검지관법에 의해 탈취율을 평가한 것이다. 상기 가스검지관법은 5L의 테트라백에 (10x10)㎝의 제시 시료를 넣고 초기 농도로 조정한 가스 3L를 주입한 후 2시간 후 가스 농도를 검지관으로 측정하여 악취 제거 특성인 소취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닥 마이크로 분말(2)은 3대 악취 중 하나인 암모니아에 대하여 99.5% 이상의 매우 우수한 제거율을 나타낸다. 더불어, 본 실시 예의 닥 마이크로 분말(2)은 포름알데히드에 대해서는 33.3%, 벤젠에 대해서는 15.0%, 톨루엔에 대해서는 15.0%의 제거율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융합사(10)는 소취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식품용 위생장갑의 재료로 활용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속건성은 인체의 땀과 수분을 신속히 흡수하고 발산시키는 특성으로서, 본 실시 예의 닥나무 융합사(10)로 제조된 식품용 위생장갑은 면 제품 대비 착용 또는 사용시 쾌적한 상태를 오랜 시간 유지할 수 있다. 땀 자체는 냄새가 없지만 박테리아가 증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냄새는 땀과 박테리아가 합쳐져서 발생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닥 마이크로 분말(2)의 우수한 속건성 및 소취성과 함께 염화은(3)의 추가 작용에 의해 냄새를 유발할 수 있는 땀을 제거하면서 박테리아나 곰팡이의 성장 및 증식을 억제하여 매우 우수한 탈취 효과를 제공하는 식품용 위생장갑(10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각종 재료의 원적외선 방사율(10~30㎛)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의 원적외선 방사율은 FT-IR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40℃에서 시험한 것이며 한지를 흑체(black body) 대비 측정한 결과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융합사(10)는 닥 마이크로 분말(2)에 의해 면 소재의 일반적인 섬유류 보다 적어도 9배 이상의 원적외선 방사 투과율을 가질 수 있으며, 참숯, 자기 또는 황토와 유사한 0.9 수준의 원적외선 방사 투과율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원적외선은 인체의 생리작용을 활성화시키고 살균력 등의 유익한 기능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각종 재료의 건조성능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의 건조성능은 유사한 조직과 중량을 가진 면섬유(Cotton), PET섬유와의 수분에 대한 증산성(보켄법 II)을 평가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닥섬유(한지)는 면사와 PET 섬유의 중간 정도의 발산성을 가질 수 있으며, 면 섬유 보다 2배 이상의 빠른 수분 발산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융합사(10)는 닥 마이크로 분말(2)에 의해 적절한 수분 함유량을 지니고 있어 보습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융합사(10)는 건조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식품용 위생장갑의 재료로 활용하기에 적합하다.
한편, 본 실시 예의 닥 마이크로 분말(2)은 약 6.7pH의 산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닥 마이크로 분말(2)이 원사 바디(1) 내부에서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분산되게 배치되도록 고분자 물질과 융합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므로, 세탁을 여러 번 하더라도 원사 바디(1)에 의해 커버된 닥 마이크로 분말(2)의 항균성 및 소취 효과 등이 오랜 동안 지속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융합사(10)는 식품용 위생장갑의 재료로 활용하기에 적합하다.
시험 예 1
아래 표 1은 영국 시험연구원의 산업 미생물 서비스 주식회사에서 IBRG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Research Group) Tier 1 방직 방법(Textile Method)에 기초한 시험을 이용하여 비교 예인 일반 섬유와 실시 예인 본 발명의 융합사에 대한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것이다(Determination of Antibacterial Activity).
샘플 균종 접촉시간 감소 (초기)
0시간 24시간 Log 10 %
비교 예 1 대장균 1.8E+04 2.5E+0.6
실시 예 1 대장균 1.8E+04 ≥6.25% ≥3.46 ≥99.97%
실시 예 2 대장균 1.8E+04 ≥6.25% ≥3.46 ≥99.97%
비교 예 2 황색포도상구균 1.5E+04 8.9E+03
실시 예 3 황색포도상구균 1.5E+04 ≥6.25% ≥3.37 ≥99.96%
실시 예 4 황색포도상구균 1.5E+04 ≥6.25% ≥3.37 ≥99.96%
표 1의 데이터는 35℃ 이하의 상대습도 95% 조건에서, 각 샘플 별로 초기 개체군(접촉시간 0시간)과 비교하여 샘플 목록의 표면과 24시간 동안 접촉한 후의 개체군의 차이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비교 예 1 및 2는 면 100%로 이루어진 섬유이고, 실시 예 1 내지 4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성분으로 본 발명의 닥 마이크로 분말이 10중량%, 염화은이 0.4중량% 포함된 융합사이다.
표 1을 참조하면, 대장균을 이용한 시험에서, 초기 개체군의 대장균 개수는 18,000개이다. 그러나, 비교 예 1의 경우 24시간 이후 대장균의 개수가 2,500,000개로 급속히 증가하였다. 반면에, 실시 예 1의 경우 대장균의 개수가 99.97% 이상 감소하였고, 실시 예 2의 경우에도 실시 예 1과 유사한 수준으로 초기 대비 99.97% 이상의 대장균이 감소하였다. 즉, 본 발명의 융합사를 사용하여 제조된 식품용 위생장갑의 경우 대장균에 대한 항균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항균 효과가 15회 이상 세척 후에도 유사하게 나타나는바 수 차례 재사용이 가능한 수명이 긴 제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황색포도상구균을 이용한 시험에서, 초기 황색포도상구균의 개수는 15,000개이다. 그러나, 비교 예 2의 경우 24시간 이후 대장균의 개수가 8900개로 일부 감소하였다. 반면에, 실시 예 3의 경우 대장균의 개수가 99.96% 이상 크게 감소하였고, 실시 예 4의 경우에도 실시 예 3과 유사한 수준으로 초기 대비 99.96% 이상의 대장균이 감소하였다. 즉, 본 발명의 융합사를 사용하여 제조된 식품용 위생장갑의 경우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항균 효과가 15회 이상 세척 후에도 유사하게 나타나는바 수 차례 재사용이 가능한 수명이 긴 제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 예 2
도 15 내지 도 18은 FITI 시험연구원에서 JIS L 1902, 균액흡수법-평판배양법을 이용하여 비교 예인 일반 섬유와 본 발명의 융합사로 제조한 식품용 위생장갑의 항균 활성치를 각각 측정한 시험 보고서이다. 여기서, 도 16은 식품용 위생장갑 시료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고, 도 17은 균주 1에 대한 비교 예와 실시 예의 항균력 시험 결과를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18은 균주 2에 대한 비교 예와 실시 예의 항균력 시험 결과를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시험의 데이터는, 각 샘플 별로 초기 개체군(접촉시간 0시간)과 비교하여 샘플 목록의 표면과 18시간 동안 접촉한 후의 개체군의 차이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비교 예(BLANK)는 면 100%로 이루어진 섬유로 제조된 식품용 위생장갑을 사용하였고, 실시 예(#1)의 장갑을 제조하기 위한 섬유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성분으로 본 발명의 닥 마이크로 분말이 10중량%, 염화은이 0.4중량% 포함된 융합사를 사용하였다. 또한, 사용공시균주는, 균주 1의 경우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이고, 균주 2의 경우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8739)이다. 이때, 바이온계면활성제 TWEEN 80을 접종균액에 0.05중량% 첨가하였다.
도 15을 참조하면, 균주 1을 이용한 시험에서, 초기 개체군의 황색포도상구균의 개수는 42,000개이다. 그러나, 비교 예의 경우 18시간 이후 황색포도상구균의 개수가 92,000,000개로 급속히 증가하였다. 반면에, 실시 예의 경우 대장균의 개수가 99.9% 이상 크게 감소하였다. 즉, 본 발명의 식품용 위생장갑의 경우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균주 2를 이용한 시험에서, 초기 대장균의 개수는 38,000개이다. 그러나, 비교 예의 경우 18시간 이후 대장균의 개수가 42,000,000개로 급속히 증가하였다. 반면에, 실시 예의 경우 대장균의 개수가 99.9% 이상 크게 감소하였다. 즉, 본 발명의 식품용 위생장갑의 경우 대장균에 대한 항균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닥나무 섬유사는 원사로부터 잔실 또는 부푸러기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는, 닥나무 섬유질이 닥 마이크로 분말(2)로 이루어져 융합사(10)의 표면으로부터 잔실 또는 부푸러기의 발생이 없어 식품을 취급할 때 사용하는 식품용 위생장갑의 재료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식품용 위생장갑(100)은 잔실 또는 부푸러기의 발생이 없으면서도 장갑의 전체 표면이 코팅막으로 커버되는 구조가 아니므로 통기성이 우수하여 착용자의 손에서 발산하는 땀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고, 이에 장갑의 착용감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식품용 위생장갑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식품용 위생장갑을 제조하는 방법을 일 실시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 예의 식품용 위생장갑은 먼저 편직을 하기 위한 융합사를 제조하여야 하는데, 본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융합사를 제조하기 위해 닥나무 껍질과 원사 바디를 형성하기 위한 주성분으로 사용되는 고분자 물질 및 염화은을 필요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먼저 닥나무 껍질을 세절기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소정 크기의 조각들로 절단하는 제1 단계(S11)를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닥나무 껍질은 흑피와 백피로 이루어져 있고,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닥나무 껍질 조각을 천연 잿물로 세척한 후(S12), 닥나무 껍질 조각을 증기로 찐 후 흑피를 벗겨 백피를 추출한다(S13). 도 11은 천연 잿물로 세척 후 닥나무 껍질의 흑피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12는 흑피 제거 후 추출된 백피를 나타낸 사진이다.
그리고, 이후 백피를 포함하는 닥나무 껍질 조각들은 후 공정에서 사용하기 위해 차아염소산 수용액과 같은 표백제 등을 이용하여 세척(S14)함으로써 닥나무 껍질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 기본 재료를 마련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기본 재료인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수분 함유량이 10 내지 30%가 되도록 가습하는 제2 단계(S20)를 진행한다. 이때, 가습 후 닥나무 껍질 조각의 수분 함유량은 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습 공정은 후술하는 급속 질소 냉각 공정을 위해 닥나무 껍질 조각에 적정량의 수분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이때 상기 가습 공정은 분무 및 함침 등의 여러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해당 공정은 필요시 동일한 조건에서 수 차례 반복하여 진행할 수 있으며, 닥나무 껍질 조각의 최종 수분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에 오게 된다면 가습 조건 및 가습 횟수, 구체적인 방법 등이 특정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닥나무 껍질 조각들의 최종 수분 함유량이 5% 미만이 되면 후술하는 냉각 공정에서 얼음과 같은 형태로 제대로 얼지 않게 되어 그 이후의 미세분말화 공정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닥나무 껍질 조각들의 최종 수분 함유량이 30%를 초과하게 되면 후술하는 냉각 공정에서 얼음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 미세분말화 공정에서 닥나무 껍질 조각이 1,000 메쉬 이하로 분쇄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분 함유량이 5 내지 30%로 맞춰진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200 내지 -250℃에서 급속 질소 냉각하여, 얼음과 같은 상태로 만드는 제3 단계(S30)를 진행한다. 이때, 냉각 온도가 -250℃ 보다 더 낮으면 효율 대비 작업 공정상 과다한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냉각 온도가 -200℃ 보다 높으면 닥나무 껍질 조각들 중 일부가 얼음 형태로 완전히 냉각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급속 냉각된 얼음 형태의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공지된 분쇄기 등을 이용하여 500 내지 1,000 메쉬의 미세한 크기를 갖는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로 미세분말화 하는 제4 단계(S40)를 진행한다. 이때, 닥 마이크로 분말의 입자 크기가 500 내지 1,000 메쉬의 범위를 벗어나면, 후술하는 고분자 물질과의 혼합 과정에서 만족스러운 결과가 도출되지 못하고 완성된 융합사에서 두께가 고르지 못하거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여 재봉된 식품용 위생장갑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90 내지 300℃의 용해 온도 조건을 갖는 압출 용해로에 고분자 물질, 염화은 분말 및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을 투입하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마련하는 제5 단계(S50)를 진행한다.
상기 고분자 물질은 융합사의 원사 바디를 구성하는 주성분 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 등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닥 마이크로 분말의 총 함량은 상기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30중량%가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닥 마이크로 분말의 총 함량이 10중량% 미만인 경우 제조된 융합사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닥나무의 여러 특성 및 기능이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며 항균성 및 탈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닥 마이크로 분말의 총 함량이 30중량%를 초과하면 제조된 융합사가 지나치게 딱딱해지거나 융합사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게 되거나 심한 경우 융합사의 표면이 우들두들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출 용해로의 온도가 90℃ 미만인 경우 이상 유동 현상이 발생하여 작업성이 저하되어 융합사의 품질도 같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압출 용해로의 온도가 300℃를 초과하면 열분해가 발생하여 고분자 물질의 분자량이 저하되어 융합사의 강도가 낮아지면서 융합사의 일부가 손실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상기 혼합물 마련시 상기 압출 용해로에 가소제, 난연제, 산화방지제 및 내마모성 향상제 등의 첨가제를 더 투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압출 용해로에 마련된 미세 노즐에 실린더로 기계적 압력을 가하여 상기 혼합물을 방사 공정으로 압출하여 길게 실 형태로 된 융합사를 성형하는 제6 단계(S60)를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닥나무 껍질은 길이 방향으로 긴 선형의 형태를 띄는 섬유질을 가지며, 통상의 기계적 방법으로는 닥나무를 아무리 잘게 부수더라도 이러한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섬유질의 형태가 계속하여 유지되기 때문에. 닥나무 껍질을 이용하여 원사를 제조하면 원사에 포함된 닥나무 섬유질의 길이가 원사의 굵기 보다 더 길거나 하여 닥나무 섬유질의 단부가 원사의 내측면을 누르거나 원사의 표면을 통해 돌출되면서 전체적으로 원사의 굵기가 일정하지 않고 원사의 표면이 우들두들한 형태가 되는 문제와 원사에 균일도와 장력(힘)이 약해 원사가 쉽게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더욱이 이러한 문제는 원사의 굵기가 가늘어질수록 더욱 심화되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원사의 굵기가 일정하지 않으면 귀의 구멍 크기가 원사의 평균 굵기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바늘의 경우 바느질을 하는 도중에 원사가 귀의 구멍에 걸려 제대로 작업을 할 수가 없게 되므로 장갑을 제대로 재봉하여 제조하기 힘든 것은 물론, 제품을 완성하더라도 시각적으로 또는 촉감적으로 장갑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었다.
즉, 종래의 기계적인 방법으로는 닥나무 껍질을 아무리 잘게 부수어도 섬유질이 일정 길이를 갖는 형태가 유지되어 닥나무 섬유사의 굵기가 일정하지 않고 표면이 우들두들해질 수 밖에 없지만,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닥나무 껍질을 일정한 수분 함유량을 갖도록 가습한 후 급속 질소 냉각하여 분쇄하면 500 내지 1,000 메쉬 크기의 알갱이로 만들 수 있으므로, 이러한 닥 마이크로 분말이 고분자 물질로 된 원사 바디 내에서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분산되게 배치되어 제조된 융합사의 굵기가 균일해지고 표면이 우들두들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편직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이 융합사로 식품용 위생장갑을 제조하면 외형적 품질이 우수하면서 편직을 통해 융합사으 장력을 향상시키고, 압출 노줄 통과로 인해 융합사에 정밀도를 부여할 수 있으며, 우수한 항균성 및 탈취성을 더 부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염화은은 분말이 아닌 액상으로도 첨가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앞서 제5 단계에서 혼합물 제조시 염화은 분말을 첨가하지 않고, 6단계를 거쳐 실 형태로 성형된 융합사를 염화은이 용해된 수산화암모늄(NH4OH) 용액이 담긴 수조 등에 침지하여 융합사 표면에 염화은 성분을 도포하여 코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염화은은 바람직하게는 나노입자화 되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수산화암모늄은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없기 때문에 본 실시 예의 융합사의 용매로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융합사를 이용하여 개방된 부분을 갖는 손목커버부, 착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이 수용되는 메인바디부 및 손가락수용부를 포함하는 장갑 형태로 편직하여 식품용 위생장갑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원사 바디
2: 닥 마이크로 분말
3: 염화은 입자
10: 융합사
100: 식품용 위생장갑
110: 손목커버부
120: 메인바디부
130: 손가락수용부

Claims (8)

  1. 항균성 및 탈취성을 갖는 융합사를 개방된 부분을 갖는 손목커버부, 착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이 수용되는 메인바디부 및 손가락수용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재봉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융합사는, 주성분인 고분자 물질과 음 이온을 발산시키는 염화은(AgCl)을 포함하고 길게 실 형태로 형성되는 원사 바디, 및 닥나무 껍질을 분쇄하여 500 내지 1,000 메쉬(mesh)의 크기의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사 바디 내에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혼합 분산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위생장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합사는, 상기 융합사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닥 마이크로 분말이 10 내지 3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위생장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합사는, 상기 융합사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염화은이 0.3 내지 0.5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위생장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은이 상기 원사 바디의 표면에 코팅막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위생장갑.
  5. 닥나무 껍질을 복수의 조각으로 절단하는 제1 단계;
    상기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수분 함유량이 5 내지 30%가 되도록 가습하는 제2 단계;
    수분 함유량이 맞춰진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200 내지 -250℃에서 급속 질소 냉각하여 얼음과 같은 형태로 동결하는 제3 단계;
    얼음 형태의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분쇄하여 500 내지 1,000 메쉬 크기의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로 미세분말화 하는 제4 단계;
    고분자 물질, 염화은(AgCl) 분말 및 상기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마련하는 제5 단계;
    상기 혼합물을 방사 공정으로 압출하여 상기 고분자 물질 내에 상기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이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분산되게 배치되고 항균성 및 탈취성을 가지는 융합사로 성형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융합사를 개방된 부분을 갖는 손목커버부, 착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이 수용되는 메인바디부 및 손가락수용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재봉하여 장갑을 제조하는 제7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위생장갑의 제조 방법.
  6. 닥나무 껍질을 복수의 조각으로 절단하는 제1 단계;
    상기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수분 함유량이 5 내지 30%가 되도록 가습하는 제2 단계;
    수분 함유량이 맞춰진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200 내지 -250℃에서 급속 질소 냉각하여 얼음과 같은 형태로 동결하는 제3 단계;
    얼음 형태의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분쇄하여 500 내지 1,000 메쉬 크기의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로 미세분말화 하는 제4 단계;
    고분자 물질과 상기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마련하는 제5 단계;
    상기 혼합물을 방사 공정으로 압출하여 상기 고분자 물질 내에 상기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이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혼합 분산되게 배치되는 융합사로 성형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융합사를 개방된 부분을 갖는 손목커버부, 착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이 수용되는 메인바디부 및 손가락수용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편직하여 장갑을 제조하는 제7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7 단계 이전에, 상기 융합사를 염화은이 용해된 수산화암모늄(NH4OH) 용액에 침지하여 상기 융합사가 항균성 및 탈취성을 갖도록 상기 융합사 표면에 염화은을 코팅하는 단계를 먼저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위생장갑의 제조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닥 마이크로 분말이 10 내지 30중량% 포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위생장갑의 제조 방법.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융합사는, 상기 융합사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염화은이 0.3 내지 0.5중량% 포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 위생장갑의 제조 방법.
KR1020180130914A 2018-10-30 2018-10-30 식품용 위생장갑 및 그 제조 방법 KR102071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914A KR102071475B1 (ko) 2018-10-30 2018-10-30 식품용 위생장갑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0914A KR102071475B1 (ko) 2018-10-30 2018-10-30 식품용 위생장갑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1475B1 true KR102071475B1 (ko) 2020-03-02

Family

ID=69805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0914A KR102071475B1 (ko) 2018-10-30 2018-10-30 식품용 위생장갑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14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357A (ko) 2020-03-26 2021-10-07 구상호 살균 장갑
KR20210148614A (ko) 2020-06-01 2021-12-08 이정희 손가락 장갑
AT17682U1 (de) * 2020-07-21 2022-11-15 Frankenwaelder E Held Gmbh & Co Kg Handschuh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266A (ko) * 2002-05-27 2003-12-03 최상열 숯성분이 함유된 신발깔창의 제조방법
KR100478775B1 (ko) 2004-10-05 2005-03-29 (주)한성크린소재 항균 및 탈취제 조성물이 도포된 식품가공용 장갑
KR20120046714A (ko) 2009-06-12 2012-05-10 에이지 바이오 테크, 엘엘씨 은이 화학적 및/또는 물리적으로 결합된 셀룰로오스 매트릭스의 항균성 면 섬유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항균성 면 섬유
KR101145166B1 (ko) * 2011-09-02 2012-05-14 대성정밀주식회사 편백나무-섬유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325839B1 (ko) * 2012-09-06 2013-11-05 민승기 닥나무를 이용한 화섬혼방사 제조방법
KR20160010650A (ko) * 2013-06-12 2016-01-27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다공성 폴리올레핀 섬유
KR101823915B1 (ko) * 2017-05-25 2018-01-31 허순영 셀룰로오스 및/또는 분말 활성탄이 함침된 공기정화 필터의 제조 방법
JP2018515193A (ja) * 2015-04-28 2018-06-14 コンバテック・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Convatec Technologies Inc 抗細菌性ナノファイバ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266A (ko) * 2002-05-27 2003-12-03 최상열 숯성분이 함유된 신발깔창의 제조방법
KR100478775B1 (ko) 2004-10-05 2005-03-29 (주)한성크린소재 항균 및 탈취제 조성물이 도포된 식품가공용 장갑
KR20120046714A (ko) 2009-06-12 2012-05-10 에이지 바이오 테크, 엘엘씨 은이 화학적 및/또는 물리적으로 결합된 셀룰로오스 매트릭스의 항균성 면 섬유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항균성 면 섬유
KR101145166B1 (ko) * 2011-09-02 2012-05-14 대성정밀주식회사 편백나무-섬유 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325839B1 (ko) * 2012-09-06 2013-11-05 민승기 닥나무를 이용한 화섬혼방사 제조방법
KR20160010650A (ko) * 2013-06-12 2016-01-27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다공성 폴리올레핀 섬유
JP2018515193A (ja) * 2015-04-28 2018-06-14 コンバテック・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Convatec Technologies Inc 抗細菌性ナノファイバー
KR101823915B1 (ko) * 2017-05-25 2018-01-31 허순영 셀룰로오스 및/또는 분말 활성탄이 함침된 공기정화 필터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0357A (ko) 2020-03-26 2021-10-07 구상호 살균 장갑
KR20210148614A (ko) 2020-06-01 2021-12-08 이정희 손가락 장갑
AT17682U1 (de) * 2020-07-21 2022-11-15 Frankenwaelder E Held Gmbh & Co Kg Handschu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1475B1 (ko) 식품용 위생장갑 및 그 제조 방법
CN111172749B (zh) 一种抗菌抗病毒无纺布及其制备方法、包含其的口罩
EP1919996B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TWI378773B (en) Antimicrobial compositions and fibres incorporating the same
CN108495961B (zh) 抗菌性非织造部件、抗菌性无纺布、和抗菌性缓冲材料
JP2009510270A (ja) 感染防止のための不織布材料の抗微生物処理
JP2009505804A (ja) 抗微生物性組成物
JP7066628B2 (ja) 抗微生物性布帛アセンブリ
WO2007078412A1 (en) Germicidal surface-covering assembly
KR102224402B1 (ko) 항균장갑과 그 제조방법
KR200415108Y1 (ko) 은나노가 흡착된 항균 청소용 걸레
KR102196545B1 (ko) 닥나무 융합사와 그 제조 방법, 및 닥나무 융합사를 포함하는 식품용 위생장갑과 그 제조 방법
KR102069499B1 (ko) 닥나무 융합사 및 그 제조 방법
KR102280100B1 (ko) 소취기능이 향상된 방호복
Zikeli Production process of a new cellulosic fiber with antimicrobial properties
KR20070082091A (ko) 대나무 직물층을 갖는 마스크
CN219133415U (zh) 一种抗菌防螨面料
KR102661420B1 (ko) 항균 손목밴딩 장갑
Lorenzi et al. Persistent bactericidal action by a silver disinfectant on surfaces of hospital furniture.
CN106958071A (zh) 抗菌保健面料
KR20230029299A (ko) 항균 장갑
KR200389599Y1 (ko) 패딩의류
CN106366338B (zh) 一种抗菌键盘的制作工艺
JP2004162249A (ja) 抗菌・防カビ性手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64513A (ja) インナー手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