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0357A - 살균 장갑 - Google Patents

살균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0357A
KR20210120357A KR1020200036955A KR20200036955A KR20210120357A KR 20210120357 A KR20210120357 A KR 20210120357A KR 1020200036955 A KR1020200036955 A KR 1020200036955A KR 20200036955 A KR20200036955 A KR 20200036955A KR 20210120357 A KR20210120357 A KR 20210120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ing
glove
pad
sterilization
steriliz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상호
Original Assignee
구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상호 filed Critical 구상호
Priority to KR1020200036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0357A/ko
Publication of KR20210120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3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2Gloves with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30Antimicrobial, e.g. antibac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 장갑에 관한 것으로, 살균제를 함유하고 있는 살균패드(100)가 장갑 외부 또는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살균패드(100)에서 살균제가 스며나오거나 또한 장갑을 끼고 있는 손바닥 등으로 터치함으로써 장갑 전체에 살균제를 묻혀 살균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장갑으로 인한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전파를 막을 수 있는 살균 장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살균 장갑{glove}
본 발명은 장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살균능력을 보유하여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전파를 방지할 수 있는 살균 장갑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장갑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기본적으로 손을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데, 가정이나 산업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재질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섬유가 직조되어서 형성된 것, 고무, 합성수지, 가죽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장갑은 사용하면서 다양한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노출되게 된다. 물건을 만지는 과정에서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장갑에 묻을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장갑에 묻은 세균이나 바이러스는 언제라도 다른 사람이나 물건에 전파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전파는 질병을 전파시키는 것이 되므로 이를 방지하여야 할 필요가 있음은 당연하다. 그런데 기존의 장갑은 사용자의 세균이 타인에게 전염되는 것을 예방하거나 사용자의 손이 외부로부터의 직접적으로 감염되는 것을 피할 수 있을 뿐, 장갑 겉면이 닿은 부분이 살균되지는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장갑에 묻어 있는 세균이 다른 곳으로 전파되는 상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는 것이었다.
한편, 장갑에 묻은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전파를 막기 위해 살균을 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이는 별도의 살균 장치를 이용해 살균을 하거나, 또는 살균제를 스프레이와 같은 분사 수단으로 분사하여서 살균을 하고 있는 실정인바, 이는 상당히 불편하여 실제 작업 현장에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이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0714750000호(2020.01.22)
근래 코로나 바이러스의 전세계적인 대 유행에 따라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전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야 할 필요가 강력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장갑 겉면에 묻어 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살균함으로써 장갑을 통해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물건이나 사람에게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살균제를 함유하고 있는 장갑을 제안하여 장갑에 묻어 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상기 살균제를 통해 수시로 살균할 수 있도록 하고, 그 결과 장갑을 끼고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다른 곳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갑을 끼고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살균패드에서 살균제가 지속적으로 스며나오며 살균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전파를 방지함과 아울러 사용자 또한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감염 우려를 감소시키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살균 장갑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살균패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살균 장갑에 살균패드가 설치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살균패드가 포켓에 수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본 발명에서는 살균제를 함유하고 있는 장갑을 제안하여 장갑에 묻어 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상기 살균제를 통해 수시로 살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살균제를 함유하고 있는 살균패드가 장갑 외부 또는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살균패드에서 살균제가 스며나오면 장갑을 착용한 손바닥등으로 살균패드를 터치하여 장갑 전체에 묻혀 살균함으로써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전파를 막을 수 있게 형성되는 살균 장갑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살균패드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살균 장갑에 살균패드가 설치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살균패드가 포켓에 수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살균 장갑은 표면에 살균패드(100)가 형성된다. 살균패드(100)는 손등 부분이나 손바닥 부분, 손목 부분 등필요한 위치에 단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장갑의 외부 또는 내부에서 어디라도 필요에 따라 형성이 가능하다.
살균패드(100)는 살균제를 함유한다. 상기 살균제는 살균패드(100)에 함유되어 있다가 손바닥 등으로 터치하면 살균제가 스며나와 장갑의 표면이나 장갑을 끼고 잡는 물체를 살균하게 된다.
살균패드(100)는 부직포로 형성되는 부직포층(120)이 구비될 수 있다. 부직포는 다공성 재질로 살균제를 함유하게 되고, 외부에서 일정 정도 압력이 가해지면 부직포가 수축되면서 살균제가 스며 나오게 된다. 즉, 장잡을 끼고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물건을 잡거나 양 손을 사용하여 부직포층(120)을 누르거나 비비면 자연스럽게 살균제가 스며나와 장갑 일부 또는 전체에 묻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부직포의 두께나 조직의 밀도와 같은 조건에 따라 살균제가 스며 나올 수 있는 시간이 조절된다.
살균패드(100)는 부직포 외에도 SAP(고흡수성 수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재질은 주로 기저귀와 같은 물품에 사용되고 있는 재질로서, 살균제를 안정적으로 함유할 수 있으면서도 부드러워 형태 변형이 자유롭다. 다만 상기 외에도 살균제를 효과적으로 함유하고 형태 변형이 자유로운 재질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채택할 수 있다.
살균패드(100)는 상기와 같은 부직포층(120)에 더해 살균제 캡슐을 함유하고 있는 캡슐층(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직포층(120) 아래에 적층되는 구조를 이루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캡슐층(140) 또한 부직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살균제 캡슐은 살균제가 내부에 채워진 것으로 외력에 의해 압력을 받으면 파괴되면서 살균제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캡슐층(140)을 형성하게 되면, 먼저 부직포층(120)에 함유된 살균제가 스며나와 사용되다가 일정 시간 사용되면 소진되는데, 이때 상기 살균제 캡슐에 압력을 가해 파괴함으로써 살균제가 계속 스며 나오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살균제가 스며나오는 시간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부직포층(120)과 캡슐층(140)의 적층구조에서 캡슐층(140) 아래에 다시 부직포층(120)이 더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부직포층(120)을 복수의 층으로 형성하게 되는 구조로, 필요에 따라 채택하게 되고, 캡슐층(140) 아래에 적층되는 부직포층(120)은 SAP(고흡수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살균제 캡슐을 파괴하기 위해 가하는 압력은 양손 중 한쪽 손으로 가할 수 있다. 또한 물체에 장갑을 낀 손을 대고 눌러서 파괴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살균패드(100)는 커버(102)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보호되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102)는 방수 재질 또는 완전 방수는 아니지만 일정 정도 방수성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102) 표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투수공(104)이 형성된다. 따라서 살균제가 투수공(104)을 통해 외부로 흘러 나올 수 있게 되는바, 투수공(104)의 크기나 수를 조절함으로써 살균제가 흘려 나오는 양을 조절하여 살균패드(100)의 사용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투수공(104)에는 스티커(106)가 부착될 수 있다. 스티커(106)는 떼어내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부착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커버(102) 외부로 살균제가 흘러나오지 않게 되므로, 본 발명에 의한 장갑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스티커(106)를 부착하여 살균제가 스며 나오지 않도록 하다가 사용할 때만 스티커(106)를 제거하여 투수공(104)을 개방함으로써 살균제가 흘러 나오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살균패드(100)는 자체로 또는 커버(102)가 형성된 상태로 포켓(200)에 수용될 수 있다. 포켓(200)은 장갑 표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장갑 표면에 미리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마련되어 장갑 표면에 착탈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살균패드(100)가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공될 수 있다.
포켓(200)은 살균제가 스며나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입구가 형성되어 살균패드(100)를 교환하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입구는 절개된 상태에서 절개 지점이 상하로 중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입구를 벌려 포켓(200) 내부로 살균패드(100)를 끼워 넣으면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기 입구는 점착제를 도포되는 구조를 이루어 반복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입구가 형성됨으로써 살균패드(100)의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반복 사용이 가능한 장갑에 본 발명에 의한 살균패드(100)를 필요한 시기에 장착하거나 교체하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장갑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살균패드에서 살균제가 스며나오며 살균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캡슐층(140)을 형성함으로써 부직포층(120)에 함유된 살균제가 소진된 경우 살균제 캡슐을 파괴하여 지속적으로 살균제를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장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살균제를 공급하면서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전파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자신 또한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감염 우려를 감소시키면서 안전하게 장갑을 끼고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살균패드, 102 : 커버,
104 : 투수공, 106 : 스티커,
120 : 부직포층, 140 : 캡슐층,
200 : 포켓.

Claims (5)

  1. 살균제를 함유하고 있는 살균패드(100)가 장갑 외부 또는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살균패드(100)에서 살균제가 스며나오며 살균함으로써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전파를 막을 수 있게 형성되는 살균 장갑.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패드(100)는 살균제를 함유하고 있는 부직포층(120)과 살균제 캡슐을 함유하고 있는 캡슐층(140)을 포함하여,
    상기 부직포층(120)에 함유된 살균제가 소진되면 상기 살균제 캡슐을 압력을 가해 파괴함으로써 살균제가 계속 스며나올 수 있게 되는 살균 장갑.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패드(100)는 방수재질로 형성되는 커버(102) 내부에 수용되어 보호되되,
    상기 커버(102)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투수공(104)이 형성되어 살균제가 상기 투수공(104)을 통해 외부로 스며 나올 수 있게 되는 살균 장갑.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투수공(104)에는 스티커(106)가 부착되되,
    상기 스티커(106)를 부착 및 제거하여 상기 투수공(104)을 개폐할 수 있게 되는 살균 장갑.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에는 포켓(200)이 형성되어 상기 살균패드(100)가 포켓(200)에 수용되되,
    상기 포켓(200)은 입구가 형성되어 상기 살균패드(100)를 교환하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살균 장갑.
KR1020200036955A 2020-03-26 2020-03-26 살균 장갑 KR202101203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955A KR20210120357A (ko) 2020-03-26 2020-03-26 살균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955A KR20210120357A (ko) 2020-03-26 2020-03-26 살균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357A true KR20210120357A (ko) 2021-10-07

Family

ID=78114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955A KR20210120357A (ko) 2020-03-26 2020-03-26 살균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035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475B1 (ko) 2018-10-30 2020-03-02 윤대완 식품용 위생장갑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475B1 (ko) 2018-10-30 2020-03-02 윤대완 식품용 위생장갑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0000B2 (ja) 表面装着可能な供給デバイス
US20090013441A1 (en) Fingertip cover
US6019103A (en) Disposable sanitary eye protector
KR20210120357A (ko) 살균 장갑
KR20100011715U (ko) 각종 장갑에 부착하거나 장갑과의 일체형으로 사용하는 패치형 살균·소독 장치
CA3185820A1 (en) On-demand agent dispensing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9796161B2 (en) Disposable card barrier assembly for personal skin hygiene
JP3208281U (ja) 足及び手の装着具
CN106132361B (zh) 拇指吮吸制止设备
KR200452172Y1 (ko) 꿈치용 보습팩
EP2200569B1 (en) Kit for care of foot and/or hand
US20230123500A1 (en) On-demand agent dispensing devices and related methods
KR20220011923A (ko) 자체 소독이 가능한 휴대용 스틱
KR102185207B1 (ko) 버튼 터치용 소독펜
KR102426857B1 (ko) 항균 위생 장갑
CN211747227U (zh) 一种具有消毒功能的乳胶手套
KR101675564B1 (ko) 손 소독용 패치
KR102380519B1 (ko) 일회용 장갑용지 및 이를 제공하는 디스펜서
WO2022146157A1 (en) The smart finger aid for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KR100621352B1 (ko) 컴퓨터용 마우스 커버
KR200302534Y1 (ko) 1회용컴퓨터 마우스위생덮개
WO2024086820A1 (en) Agent dispensing devices, kits and related methods
US20230263249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glove and a glove
KR200357973Y1 (ko) 바르는 약이 들어 있는 일회용 반창고
WO2021220304A1 (en) Novel self-sanitizing glo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