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857B1 - 항균 위생 장갑 - Google Patents

항균 위생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857B1
KR102426857B1 KR1020200072951A KR20200072951A KR102426857B1 KR 102426857 B1 KR102426857 B1 KR 102426857B1 KR 1020200072951 A KR1020200072951 A KR 1020200072951A KR 20200072951 A KR20200072951 A KR 20200072951A KR 102426857 B1 KR102426857 B1 KR 102426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adhesive
antibacterial
glove
antibacterial sani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5846A (ko
KR102426857B9 (ko
Inventor
권현진
Original Assignee
권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현진 filed Critical 권현진
Priority to KR1020200072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857B1/ko
Priority to JP2021099412A priority patent/JP2021195718A/ja
Publication of KR20210155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857B1/ko
Publication of KR102426857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857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34Retai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nitrogen compounds
    • A01N33/02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01N33/12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41D13/081Hand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06Gloves made of several layers of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13Gloves with openings, e.g. for the nails or for exposing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2Hygroscopic; Water retain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30Antimicrobial, e.g.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46Compounds containing quaternary nitroge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8Closures using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20Wove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30Non-wove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 A41D2500/52Synthetic resins or rubbers in sheet form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1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xicology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위생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착용 시에, 적어도 손의 바닥면을 덮도록 손을 커버하는 손 보호부; 손 보호부를 착용자의 손에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부;를 구비하고, 손 보호부의 노출면에는, 나노 크기의 침상 형태의 살균 표면이 형성되어 있도록 하여, 손 보호부에 노출면에 부착되는 병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세포막을 침상부로 물리적으로 파괴시킴으로써, 장갑을 착용한 후 얼굴 등의 호흡기를 만지는 등의 행위에 의한 2차 감염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균 위생 장갑{ANTIMICROBIAL GLOVE}
본 발명은 항균 위생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료종사자 들이 오염원이 발생한 지역에서 의료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착용시에 심미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고, 통기성 부여가 가능한 항균 위생 장갑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감염병의 확산에 따라 마스크, 위생장갑 등 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호흡기에 대해서는 일정 등급 이상의 마스크 착용을 통해 일부 해소되고 있으나, 마스크의 착용과 벗을 때 일어나는 접촉 및 일상 생활에서 비말 등 다양한 오염원에 대한 접촉 후, 접촉된 손으로 얼굴 및 호흡기, 눈, 입 등을 만지는 등의 접촉에 의한 2차 문제에서는 한계성이 있다.
이에 기인하여 손에 의한 접촉을 막기 위해 일회용 위생 비닐 장갑, 라텍스 장갑 등의 다양한 제품을 사용하나, 항균 및 살균제가 적용되어 있지 않아 장갑의 표면에 묻은 오염물질에 의한 2차 오염을 막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특허문헌 1과 같이 항균제가 적용된 위생 장갑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항균 위생 장갑의 경우에는 항균제가 적용되어 있더라도 장갑 자체에서 세균 증식을 막는 수준 또는 항균제와 접촉된 부분만 항균되어 장갑 표면에 묻은 오염원 완전히 제거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의 위생 장갑의 경우 대부분 통기성이 확보되지 않아 땀 등에 의해 착용감이 떨어지며 오랜 시간 착용 시, 습진 등의 피부질환의 문제를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일부 제품의 경우 구리성분을 함유한 면 소재를 사용하는 항균면장갑이 있으나 가격적인 부분에 있어서 일회용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으며, 구리 소재를 사용한 항균 장갑의 경우 살균에 4시간 정도 소요되며 그 사이 오염원에 대한 2차 접촉을 방지하기 어려우며, 직조의 크기가 커서 오염원이 장갑의 표면을 통과하여 피부에 전달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7549호 (2012.04.20.)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항균 성능을 강화하여 오염원에 의한 2차 오염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는 한편, 통풍성도 강화할 수 있는 항균 위생 장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위생 장갑은, 착용 시에, 적어도 손의 바닥면을 덮도록 손을 커버하는 손 보호부; 손 보호부를 착용자의 손에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부;를 구비하고, 손 보호부의 노출면에는, 나노 크기의 침상 형태의 살균 표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살균 표면에 형성된 침상부에 의해, 손 보호부에 부착된 병균이나 바이러스의 세포막을 물리적으로 파괴함으로써, 세포를 사멸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장갑 사용 시의 오염원에 의한 2차 오염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살균 표면은, 4차 암모늄 화합물을 전기 스프레이 도포하여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침상부의 재질을 항균 성능이 뛰어난 4차 암모늄 화합물로 하여 항균 효과를 더욱 극대화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지부는 상기 손 보호부의 상기 손바닥과 맞닿는 면에 접착제가 도포됨으로써 형성되는 접착부이다. 이 경우, 접착부를 손바닥에 맞닿게 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손 보호부를 손에 유지시킬 수 있으며, 오염 위험이 크지 않은 손등과 대응되는 부분의 구성은 생략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착부는 손 보호부의 손가락 및 손바닥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면을 따라 연장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통해, 손 보호부가 손바닥과 손가락의 바닥면 상에 보다 단단히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손 보호부에 연결되고, 엄지부와 손목부 사이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손목 조임부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바람직하게는 손목 조임부는, 한쪽 단부가 상기 손 보호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접착 테이프 또는 벨크로에 의해 손목 보호부의 타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손 보호부는, 주먹을 쥔 상태에서 노출되는 손등 부분을 개방하는 개방부를 구비한다. 이를 통해, 외부에서 장갑 착용 사실을 쉽게 인지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바닥면에 대향하는 손의 상기 이면을 덮는 부분에 형성된 복수의 타공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손등 부분에 대한 통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손 보호부는, 통기성이 부여된 부직포, 직물 또는 방사(紡絲)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손등 부분에 대한 통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손등 부분을 개방하는 개방부가 투명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외부에서 장갑 착용 사실을 쉽게 인지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장갑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 보호부는, 손의 바닥면을 보호하기 위한 하면부와, 바닥면을 제외한 손등과 손가락의 상면을 보호하기 위한 상면부로 구성되고,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가 맞닿는 면을 따라 절취선이 연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면부와 하면부를 분리함으로써, 용이하게 장갑을 탈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지부는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있어서 손과 맞닿는 면에 접착제가 도포됨으로써 형성되는 접착부이고, 상기 살균 표면은,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 중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면의 외부로 향한 노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장갑 사용 시에, 항균 기능이 필요한 면 이외의 면을 분리하여 손을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통기성 및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 보호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손 보호부 중 적어도 손바닥 부분에 해당하는 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살균부를 더 구비하고, 살균 표면은, 살균부의 외부로 향한 노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살균 표면이 형성된 살균부와 손 보호부가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기 때문에, 살균 기능이 불필요 할 경우, 살균부를 분리해 낼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 시에는 살균부만 분리하여 교체함으로써 살균 기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 보호부는, 섬유상 재질의 다공성 시트로 이루어지는 안감과 폴리우레탄(PU)과 같은 수지 재질의 다공성 시트로 이루어지는 겉감으로 구성되고, 살균 표면은 안감과 겉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겉감을 강도가 우수한 폴리우레탄(PU)으로 형성하여 내구성을 확보하는 한편, 손과 직접 맞닿는 부분인 안감은 섬유상 재질(페브릭)로 구성함으로써,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겉감과 안감 모두 다공성 시트로 구성함으로써, 통기성을 향상시키고 땀 배출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안감에는 흡습제가 충진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안감에 고흡수성 수지(SAP)등을 충진시킴으로써, 손에서 발생하는 땀을 신속하게 흡수하여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 보호부의 노출면에 나노 크기의 침상 형태의 살균 표면을 형성함으로써, 침상 형태 살균 표면으로 하여금 병균이나 바이러스의 세포막을 관통하도록 하여 세포를 치사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장갑에 오염원이 접촉 하는 경우에 빠른 시간에 감염원(병균 또는 바이러스)를 사멸시킴으로써, 장갑을 착용한 후 얼굴 등의 호흡기를 만지는 등의 행위에 의한 2차 감염을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비닐 재질의 위생 장갑의 문제를, 부직포와 같은 통기성이 부여된 재질로 구성하거나, 또는 손바닥 등의 오염원 접촉부를 제외한 손가락 및 손등 부위에 통기성을 부여하기 위한 타공부를 형성함으로써, 장갑을 장기간 착용하여도 땀 등에 의한 착용감 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손 보호부는, 주먹을 쥔 상태에서 노출되는 손등 부분을 개방하는 개방부를 구비함으로써, 장갑 착용 여부를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매업 종사자와 같이, 장갑 착용 사실이 외부에서 알려지는 것이 곤란한 직종에서도 적극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균 위생 장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균 위생 장갑의 손 보호부의 노출면에 형성된 침상 형태의 살균 표면을 나타내는 주사 현미경 사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균 위생 장갑의 침상 형태의 살균 표면에서 행해지는 살균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접착 테이프 형태의 손목 조임부를 구비한 항균 위생 장갑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접착 테이프 형태의 손목 조임부를 구비한 항균 위생 장갑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균 위생 장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손 보호부의 상면부에 복수의 타공부가 형성된 항균 위생 장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손 보호부의 상면부에, 손등을 노출시키는 개방부가 형성된 항균 위생 장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손 보호부의 상면부에, 타공부 및 손등을 노출시키는 개방부가 형성된 항균 위생 장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균 위생 장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균 위생 장갑의 손 보호부를 구성하는 겉감의 확대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균 위생 장갑의 손 보호부를 구성하는 안감의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균 위생 장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균 위생 장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균 위생 장갑은 손 보호부(110) 및 유지부(120)로 이루어진다.
손 보호부(110)는, 손바닥과 손가락의 바닥면과 같이, 물건을 파지하거나 외부와 접촉이 잦은 손의 바닥면을 보호하기 위한 하면부(110b)와, 바닥면을 제외한 손등과 손가락의 상면을 보호하기 위한 상면부(110a)로 구성될 수 있다. 상면부(110a)와 하면부(110b)는 각각의 외주에 걸쳐 서로 접합되어 일체로 된 손 보호부(110)를 구성한다. 또한 손 보호부(110)는 바람직하게는 통기성이 부여된 부직포, 직물 또는 방사(紡絲)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장시간의 장갑 착용 시에 발생하는, 땀 등에 의한 착용감이 저하 문제 및 습진 등의 피부질환의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외부와의 접촉이 잦은 손 보호부(110)의 하면부(110b)는 전술한 통기성이 부여된 부직포, 직물 또는 방사형 소재로 구성하는 한편, 상면부(110a)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투명 재질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주먹을 쥔 상태에서는 장갑 착용 여부를 시각적으로 즉시 확인하는 것이 곤란한바, 소매업 종사자와 같이, 장갑 착용 사실이 외부에서 알려지는 것이 곤란한 직종에서도 적극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 보호부(110)는, 섬유상 재질로 이루어지는 안감과 폴리우레탄(PU)과 같은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겉감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때, 겉감과 안감은, 각각 도 9a 및 도 9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한 구멍이 형성된 다공성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손 보호부(110)는 안감과 겉감을 합지한 후 융착시켜 일체화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융착 방법으로는 초음파 융착이나 열 융착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살균 표면은 오염물과 접촉이 빈번한 겉감에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안감과 겉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기만 해도 된다.
손 보호부(110)를 상기와 같은 겉감과 안감의 이중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겉감을 강도가 우수한 폴리우레탄(PU)과 같은 수지 재질로 형성하여 내구성을 확보하는 한편, 손과 직접 맞닿는 부분인 안감은 섬유상 재질(페브릭)로 구성함으로써,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겉감과 안감 모두 다공성 시트로 구성함으로써, 통기성을 향상시키고 땀 배출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감에는 흡습제가 충진될 수 있다. 흡습제로서는 3차원 망상 구조를 가지면서 다량의 친수기를 갖는 고분자 물질인 고흡습성 수지(SAP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충진 방법으로서는, 고흡습성 수지를, 안감의 내측면에 도포하거나 또는, 안감을 고흡습성 수지에 침지시킴으로써 충진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손에서 발생하는 땀을 안감에 충진된 흡습제에 의해 신속하게 흡수하여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안감의 외측면에 상대적으로 통기성이 부족한 겉감이 구비된 경우에도 쾌적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다.
유지부(120)는 손 보호부(110)를 착용자의 손에 유지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유지부(120)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손 보호부(110)에 연결되고, 사용자의 엄지와 손목 사이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손목 조임부(120)로 구성 될 수 있다. 이 때, 손목 조임부(120)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항균 위생 장갑(100)을 착용할 때에는, 사용자의 손 크기에 맞도록 신장하여 항균 위생 장갑(100)의 착용을 돕는 한편, 착용이 완료된 이후에는 다시 수축하여 손목 부분을 조여 항균 위생 장갑(100)이 손에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유지부(120)의 다른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균 위생 장갑(100)은, 손 보호부(110)의 노출면에 나노 크기의 침상 형태의 살균 표면이 형성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균 위생 장갑의 손 보호부의 노출면에 형성된 침상 형태의 살균 표면을 나타내는 주사 현미경 사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균 위생 장갑(100)의 침상 형태의 살균 표면에서 행해지는 살균 작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살균 표면은 나노 형태의 침상부(130)의 어레이가 항균 위생 장갑(100)의 손 보호부(110)의 노출면 상에 배열된 형태를 가진다.
상기한 살균 표면에 의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균 또는 바이러스의 세포(200)가 살균 표면과 접촉할 때에, 세포(200)의 세포막의 일부가 침상부(130)의 선단의 예리한 팁(a)에 의해 천공됨으로써 세포막을 터뜨려 세포를 치사 상태로 이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침상부(130)는 표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이상 연장되는 한편, 팁(a)은 예리한 형상을 가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침상부(130)의 팁(a)은 그 직경이 수 나노 단위의 크기를 갖는 한편, 표면으로부터 높이(b)가 대략 100~600nm 이고, 높이(b)의 1/2인 지점에서의 직경이 대략 20~300nm 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살균 표면은, 사용되는 재료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제조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장갑의 소재가 되는 기재에 자외선 리소그래피나 열화학 나노 리소그래피와 같은 리소그래피 공정 또는 반응성 이온 에칭(RIE) 공정 등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항균 효율을 더욱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한쪽 극성으로 대전된 액상의 항균액을 반대쪽 극성으로 대전된 섬유의 표면에 분무하는 전자 분무(electro spray)를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항균액으로서는, 폴리헥사메틸렌비구아니드와 같은 중합체 4차 암모늄 화합물이나, 염화벤잘코늄 및 알킬 치환된 유도체, 디-장쇄 알킬(C6-C18) 4차 암모늄 화합물과 같은 소분자 4차 암모늄 화합물이 소정 농도(예컨대, 0.20 중량% 이상)포함된 항균액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부(110a)와 하면부(110b)가 맞닿는 면을 따라 절취선(112)이 연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지부(120)에 의해, 손 보호부(110)가 손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착용자가 상면부(110a)와 하면부(110b) 중 어느 하나를 파지하여 잡아 당김으로써, 절취선(112)을 따라 상면부(110a)와 하면부(110b)가 분리되도록 하여, 용이하게 장갑을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유지부(120)는 상면부(110a)와 하면부(110b)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있어서 손과 맞닿는 면에 접착제가 도포됨으로써 형성되는 접착부이고, 살균 표면은, 상면부(110a)와 하면부(110b) 중 접착제가 도포된 면의 외부로 향한 노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장갑을 착용하여 유지부(120)에 의해 손 보호부(110)가 유지된 상태에서, 살균 표면이 형성되지 않은 면을 파지하여 잡아당기는 경우, 항균 기능이 필요한 면 이외의 면을 손쉽게 분리해 낼 수 있다. 따라서, 손의 상면과 바닥면 중 항균 기능이 필요한 면은 살균 표면이 형성된 상면부(110a) 또는 하면부(110b)에 의해 보호하는 한편, 항균 기능이 필요하지 않는 면은 그대로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항균 기능을 보유하면서 동시에, 통기성 및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항균 위생 장갑(100)을 구성하는 유지부(120)의 바람직한 변형예와 관련하여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접착 테이프 형태의 손목 조임부(120)를 구비한 항균 위생 장갑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밸크로 형태의 손목 조임부를 구비한 항균 위생 장갑에 관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손목 조임부(120)는 그 일단이 손 보호부(110)의 상면부(110a)에 고정되어 돌출 형성되고, 그 자유단인 타단에 있어서 상면부(110a)와 맞닿는 면에 테이프 형태의 접착부(120a)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항균 위생 장갑(100)의 사용전의 초기 상태에서는 접착부(120a)의 접착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이형지가 접착부(120a)의 접착면 상에 부착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항균 위생 장갑(100)의 착용 후에 손목 조임부(120)의 타단을 잡아 당겨 항균 위생 장갑(100)의 손목 부분을 조인 다음, 이형지를 제거하고, 접착부(120a)를 손 보호부(110)의 상면부(110a)의 임의의 위치에 부착시킴으로써, 손목 조임부(120)를 손 보호부(110)의 상면부(110a)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때의 접착부(120a)는 조임 위치 조정을 위해 자유로운 재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접착력이 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b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 3a에서 도시된 테이프 형식의 접착 방식 대신 밸크로(120b) 방식에 의해 손목 조임부(120)를 손 보호부(110)의 상면부(110a)에 고정시키고 있다. 이를 위해, 손목 조임부(120)의 길이 방향으로 일측 밸크로가 연장 형성되고, 손 보호부(110)의 상면부(110a) 중 손목 부분을 가로지는 방향으로 타측 밸크로가 연장 형성된다. 사용자는 항균 위생 장갑(100)의 착용 후에 손목 조임부(120)의 타단을 잡아 당겨 항균 위생 장갑(100)의 손목 부분을 조인 다음 양측의 밸크로를 서로 소정의 위치에 맞닿게 함으로써, 손목 조임부(120)를 손 보호부(110)의 상면부(110a)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b의 실시예의 경우, 도 3a의 실시예와 같이, 접착부를 덮는 이형지가 불필요하다는 점에서도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균 위생 장갑(100)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의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항균 위생 장갑(100)의 손 보호부(110)는 손의 바닥면을 보호하기 위한 하면부(110b)만을 구비한다. 물건을 파지하거나 외부와 접촉이 잦은 하면부(110b)와 달리 상면부(110a)는 항균 처리나 보호의 필요성이 떨어지는 반면, 주먹을 쥐었을 때에 외부로 노출되는 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장갑 착용 사실이 외부에 쉽게 인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도 4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손 보호부(110)에 있어서 상면부(110a)의 구성을 삭제하고, 하면부(110b)만을 구비하고, 하면부(110b)의 외부로 노출하는 노출면 상에 전술한 항균 표면이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도 4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손 보호부(100)를 사용자의 손에 유지하기 위하여, 손목 조임부(120) 대신 접착부(111)를, 사용자의 손을 향한 손 보호부(100)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111)는 각 손가락의 연장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손바닥의 외주부분과 손목 부분을 따라 연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항균 위생 장갑(100)의 사용 개시 전에는 손 보호부(100)의 내측면이 이형지로 덮여지도록 구성하여, 사용시에 사용자가 이형지를 분리한 후 접착부(111)의 부착면을 따라 손바닥에 손 보호부(100)를 부착시키는 형태로 사용 가능하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장갑 착용 시에도 손등부는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외부에서 장갑 착용 사실을 인지하기 어려운 반면 손 바닥부는 항균 처리가 된 손 보호부(100)로 덮어, 외부의 오염원에 의해 손바닥 및 손가락의 바닥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통기성 및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항균 위생 장갑(10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손 보호부의 상면부에 복수의 타공부가 형성된 항균 위생 장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통기성 확보를 위해, 손 보호부(100)의 상면부(110a) 상에는 복수의 타공부(140)가 형성된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타공부(140)는 각 손가락에 대응되는 부분에 있어서 손가락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열될 수도 있으며, 손등에 대응되는 부분에 있어서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타공부(140)를 통해 손등에서 발생하는 땀등이 쉽게 배출할 수 있으며, 외부 공기와 손등 부분을 직접 접촉시킬 수 있어,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손 보호부의 상면부에, 손등을 노출시키는 개방부가 형성된 항균 위생 장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손 보호부(100)의 상면부(110a) 중 적어도 손등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절개된 개방부(150)가 구비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150)는 바람직하게는 장방형의 형태를 갖는다. 도 5에서 도시된 타공부(140)가 형성된 실시예와 달리, 상면부(110a)에 대면적의 개방부(150)를 구비함으로써, 통기성을 더욱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상면부(110a) 중 주먹을 쥔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절개되어 손등을 외부로 노출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장갑 착용 사실을 인지하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개방부(150)는 손 보호부(100)의 상면부(110a)의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손등을 바로 노출시키도록 형성하는 대신, 절개부에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 투명창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손 보호부(100)의 상면부(110a)의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손등을 바로 노출시키는 경우, 손 보호부(100)의 강도가 떨어지게 되어, 장착성과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개방부(150)를 투명창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손등이 외부로 투명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하여, 외부에서 장갑 착용 사실을 인지하기 어렵게 할 수 있으며, 동시에 손 보호부(100)의 강도를 보강하여 앞서 서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손 보호부(100)의 상면부(110a)의 일부가 절개되어 개방부(150)를 구성하는 경우나, 투명창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유지부를 구성하는 손목 조임부도 투명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손 보호부의 상면부에, 타공부 및 손등을 노출시키는 개방부가 형성된 항균 위생 장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손 보호부(100)의 상면부(110a) 중 주먹을 쥐었을 때에 노출되는 손등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을 절개하여 개방부(150)를 형성하는 한편, 각 손가락의 상면부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타공부(140)를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외부에서 장갑 착용 사실을 인지하기 어렵게 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손가락 부분에서의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균 위생 장갑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도 8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손 보호부(110)와는 별도로 살균부(160)를 더 구비하고, 손 보호부(110)와 살균부(160)는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항균 기능이 중요시 되는 부분을 보호할 수 있도록, 살균부(160)는 손 보호부(110) 중 적어도 손바닥 부분에 해당하는 면을 커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살균부(160)는, 손바닥의 외주의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섬유상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항균 기능을 확보하기 위해, 살균부(160)는 외부로 향한 노출면 상에, 도 2a에 도시된 침상 형태의 살균 표면을 포함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살균부(160)는, 살균부(160)를 손 보호부(110)에 유지하기 위하여, 접착부(161)를, 손 보호부(110)를 향한 살균부(160)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부(161)는 각 손가락의 연장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손바닥의 외주부분과 손목 부분을 따라 연장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항균 위생 장갑(100)의 사용 개시 전에는 살균부(160)의 내측면이 이형지로 덮여지도록 구성하여, 사용시에 사용자가 이형지를 분리한 후 접착부(161)의 부착면을 따라 손 보호부(110)를 부착시키는 형태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살균부(160)를 손 보호부(110)에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은 접착부(161)로 한정되지 않으며, 살균부(160)와 손 보호부(110)에 각각 형성된 밸크로에 의해 고정시켜도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살균 기능이 불필요 할 경우, 살균부(160)를 손 보호부(110)로부터 분리해 낼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 시에는 살균부(160)만 분리하여 교체함으로써 살균 기능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항균 위생 장갑 110: 손 보호부
110a: 상면부 110b: 하면부
111: 접착부(유지부) 120: 손목 조임부(유지부)
130: 침상부 130a: 팁부
140: 타공부 150: 개방부

Claims (15)

  1. 항균 위생 장갑에 있어서,
    착용 시에, 적어도 손의 바닥면을 덮도록 손을 커버하는 손 보호부;
    상기 손 보호부를 착용자의 손에 유지시키기 위한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 보호부는, 손의 바닥면을 보호하기 위한 하면부와, 바닥면을 제외한 손등과 손가락의 상면을 보호하기 위한 상면부로 구성되고,
    상기 하면부는, 통기성이 부여된 부직포, 직물 또는 방사(紡絲)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면부는 투명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손 보호부의 노출면에는, 나노 크기의 침상부의 어레이가 배열된 형태의 살균 표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살균 표면은, 4차 암모늄 화합물을 전기 스프레이 도포하여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침상부가 상기 노출면의 표면으로부터의 높이가 100~600nm 이고, 상기 높이의 1/2인 지점에서의 직경이 20~300nm 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위생 장갑.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손 보호부의 손바닥과 맞닿는 면에 접착제가 도포됨으로써 형성되는 접착부인, 항균 위생 장갑.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는 상기 손 보호부의 손가락 및 손바닥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면을 따라 연장하도록 설치되는, 항균 위생 장갑.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손 보호부에 연결되고,
    엄지부와 손목부 사이를 가로질러 연장하는 손목 조임부인, 항균 위생 장갑.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손목 조임부는, 한쪽 단부가 상기 손 보호부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접착 테이프 또는 벨크로에 의해 손목 보호부의 타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항균 위생 장갑.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 보호부는, 상기 바닥면에 대향하는 손의 이면을 덮는 부분에 형성된 복수의 타공부를 더 구비하는, 항균 위생 장갑.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가 맞닿는 면을 따라 절취선이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위생 장갑.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있어서 손과 맞닿는 면에 접착제가 도포됨으로써 형성되는 접착부이고,
    상기 살균 표면은, 상기 상면부와 상기 하면부 중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면의 외부로 향한 노출면 상에 형성되는, 항균 위생 장갑.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 보호부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손 보호부 중 적어도 손바닥 부분에 해당하는 면을 커버하도록 구성되는 살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살균 표면은, 상기 살균부의 외부로 향한 노출면 상에 형성되는, 항균 위생 장갑.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는,
    섬유상 재질의 다공성 시트로 이루어지는 안감과
    수지 재질의 다공성 시트로 이루어지는 겉감으로 구성되고,
    상기 살균 표면은 상기 안감과 상기 겉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항균 위생 장갑.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안감에는 흡습제가 충진되어 있는, 항균 위생 장갑.


KR1020200072951A 2020-06-16 2020-06-16 항균 위생 장갑 KR102426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951A KR102426857B1 (ko) 2020-06-16 2020-06-16 항균 위생 장갑
JP2021099412A JP2021195718A (ja) 2020-06-16 2021-06-15 抗菌手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951A KR102426857B1 (ko) 2020-06-16 2020-06-16 항균 위생 장갑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846A KR20210155846A (ko) 2021-12-24
KR102426857B1 true KR102426857B1 (ko) 2022-08-01
KR102426857B9 KR102426857B9 (ko) 2024-01-16

Family

ID=79176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951A KR102426857B1 (ko) 2020-06-16 2020-06-16 항균 위생 장갑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1195718A (ko)
KR (1) KR1024268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776Y1 (ko) * 2000-10-09 2001-10-25 윤상순 일면 밴드 손가락장갑
JP2014504165A (ja) * 2010-10-28 2014-02-2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細菌付着を低減するための加工表面
KR101913393B1 (ko) * 2017-05-15 2018-10-30 문영호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장갑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3314U (ja) * 1982-11-08 1984-05-18 小川 治郎 窓の付いた手袋
JPH0322014U (ko) * 1989-07-10 1991-03-06
US5700544A (en) * 1995-02-28 1997-12-23 W. L. Gore & Associates, Inc. Protective covers with water and air impenetrable seams
JPH10179632A (ja) * 1996-12-19 1998-07-07 Japan Medical Eido:Kk 防水式手保護用カバー
KR20040018756A (ko) * 2002-08-27 2004-03-04 안호성 이지 소프트 위생장갑
US20060140994A1 (en) * 2004-12-27 2006-06-29 Bagwell Alison S Application of an antimicrobial agent on an elastomeric article
KR20100011389U (ko) * 2009-05-14 2010-11-24 이동호 겉면에 통기공을 갖는 비닐 또는 고무재질로 된 장갑
KR101137549B1 (ko) 2010-11-25 2012-04-20 임이종 백토 성분을 함유한 항균 위생장갑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08179U (ko) * 2011-05-20 2012-11-28 함미영 접착식 손바닥 위생커버
JP5753303B1 (ja) * 2014-08-27 2015-07-22 進一 塚本 ケア用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776Y1 (ko) * 2000-10-09 2001-10-25 윤상순 일면 밴드 손가락장갑
JP2014504165A (ja) * 2010-10-28 2014-02-2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細菌付着を低減するための加工表面
KR101913393B1 (ko) * 2017-05-15 2018-10-30 문영호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장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95718A (ja) 2021-12-27
KR20210155846A (ko) 2021-12-24
KR102426857B9 (ko) 202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1949B2 (en) Disposable face mask
EP3217824B1 (en) Cidal metal or cidal metal alloy mask
RU2175259C2 (ru) Многосекционное оголовье и маска респиратора в сборе и способ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US9247775B2 (en) Mask
KR100467924B1 (ko) 탄성중합체복합물로구성된머리띠
KR200489311Y1 (ko) 통기성 천과 비닐을 이용한 일회용 감염방지 가운
WO1992000020A1 (en) Needlestick protective glove
JPH10508910A (ja) 保護グローブ
KR101569139B1 (ko) 접착식 방진 마스크
US20200121004A1 (en) Surgical and industrial face mask
JP2011224094A (ja) マスク用フィルタ材及びマスク
JP3719668B2 (ja) 布地製立体形状マスク
KR20210152351A (ko) 목화솜 필터와 기능성 부직포를 포함하는 마스크
CN106343635A (zh) 防感染手术衣
KR102426857B1 (ko) 항균 위생 장갑
JP3143595U (ja) 感染症防護服
KR101454181B1 (ko) 재사용이 가능한 분리형 수술가운
US20220339475A1 (en) Mask and Removable Cidal Metal or Cidal Metal Alloy Insert
JP2018007758A (ja) 保護眼帯固定用アイマスク及びその個装品
JP3230900U (ja) マスク
KR102272908B1 (ko) 입이 투시되는 위생마스크
JP3208281U (ja) 足及び手の装着具
JP3042131U (ja) 患者用防護手袋
KR102559280B1 (ko) 방역 마스크가 구비된 스마트 일회용 가운
CN212345385U (zh) 一种便于消毒处理的医用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