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3393B1 -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장갑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393B1
KR101913393B1 KR1020170060026A KR20170060026A KR101913393B1 KR 101913393 B1 KR101913393 B1 KR 101913393B1 KR 1020170060026 A KR1020170060026 A KR 1020170060026A KR 20170060026 A KR20170060026 A KR 20170060026A KR 101913393 B1 KR101913393 B1 KR 101913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cut
hand
gloves
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호
Original Assignee
문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영호 filed Critical 문영호
Priority to KR1020170060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3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55Plastic or rubber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06Gloves made of several layers of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52Dispos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70Remov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Landscapes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장갑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손에 착용되고, 여러 겹의 장갑으로 이루어진 제1 장갑부; 상기 장갑 각각에 형성되되, 상기 장갑에 착용된 손의 양측면과 대응되는 부분에 절취 가능하도록 형성된 절취부; 및 상기 제1 장갑부의 최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1 장갑부와 다른 재질로 형성된 제2 장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장갑부는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어 대상물을 파지하되, 상기 제1 장갑부의 장갑 중 최 외측 장갑에 형성된 절취부가 사용자에 의해 절취되어 절취된 부분이 잡아당겨지면, 상기 최 외측 장갑이 상기 제1 장갑부에서 분리되며 뒤집혀, 상기 제1 장갑부에 파지된 대상물이 상기 최 외측 장갑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양측면에 절취부가 형성되고, 여러 겹으로 이루어진 제1 장갑부를 구비함으로써, 실외에서 애완동물이 배변할 경우, 제1 장갑부로 배설물을 파지한 후 절취부를 통해 절취한 다음 한 겹을 버릴 수 있어서 위생적이며 배설물 처리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장갑{GLOVE FOR DISPOSING OF EXCRETA}
본 발명은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장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손으로 처리하기 위해 착용하는 장갑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회의 고령화와 수입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애완동물의 관심과 애정도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애완동물을 기르는 사람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회적 인식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애완동물을 실외에 데리고 나갈 경우, 애완동물이 길거리에 배변하게 되면 이를 바로 처리해주어야 한다. 즉 애완동물의 주인은 애완동물과 같이 외출할 때 상시 일회용 비닐봉투와 휴지를 소지하고 있다.
하지만, 애완동물의 주인은 애완동물이 배변할 경우 배설물을 휴지로 감싼 후 손으로 집어서 일회용 비닐봉투에 넣어야 하는데, 이때 배설물이 손에 묻을 수 있으므로 비위생적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애완동물의 엉덩이 부분에 입혀지는 배변 기저귀가 등장하였으나, 배변 유무를 확인할 수 없으며, 배변 후 애완동물의 배설구 주변이 더러워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애완동물용 배변 기저귀는 부피가 커서 휴대가 불편하고, 야외에서 사용된 후 처리하기에도 곤란한 경우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9254호 (2012.03.07)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4864호 (2011.07.2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 1037671호 (2011.05.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애완동물과 산책 시 애완동물이 배설한 배설물을 장갑으로 위생적이며 용이하게 처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장갑은, 사용자 손에 착용되고, 여러 겹의 장갑으로 이루어진 제1 장갑부; 상기 장갑 각각에 형성되되, 상기 장갑에 착용된 손 중 손날 부위 및 엄지의 외측면 부위가 절취되도록 형성된 절취부; 상기 제1 장갑부의 최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1 장갑부와 다른 재질로 형성된 제2 장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장갑부는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어 대상물을 파지하되, 상기 제1 장갑부의 장갑 중 최 외측 장갑에 형성된 절취부가 사용자에 의해 절취되어 절취된 부분이 잡아당겨지면, 상기 최 외측 장갑이 상기 제1 장갑부에서 분리되며 뒤집혀, 상기 제1 장갑부에 파지된 대상물이 상기 최 외측 장갑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장갑부는 천연 펄프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장갑부는 물에 녹는 비닐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장갑부는 수용성 폴리바이닐 알코올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성 폴리바이닐 알코올은 에틸렌 단위 함량이 2 내지 19몰%이고, 중합도가 200 내지 2,000이며, 비누화도가 80 내지 99.99몰%이고, 카복실기와 락톤환의 총 함량이 0.02 내지 0.4몰%로 이루어지며, 상기 여러 겹의 장갑으로 이루어진 제1 장갑부의 사이사이에 교차되도록 구비되는 제3 장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장갑부는 사용자의 손바닥 중 손목 부위와 인접하는 부분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장갑에 따르면, 양측면에 절취부가 형성되고, 여러 겹으로 이루어진 제1 장갑부를 구비함으로써, 실외에서 애완동물이 배변할 경우, 제1 장갑부로 배설물을 파지한 후 절취부를 통해 절취한 다음 한 겹을 버릴 수 있어서 위생적이며 배설물 처리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장갑부 외면에 결합되고, 손잡이가 형성된 제3 장갑부를 구비함으로써, 제1 장갑으로 배설물을 처리한 다음 제3 장갑부에 수납할 수 있어서 주변에 쓰레기통이 없을 시 쓰레기의 소지가 용이하고, 위생적이며, 별도의 봉지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장갑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장갑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장갑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장갑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장갑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3 장갑부가 결합된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장갑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3 장갑부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장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장갑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장갑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장갑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장갑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장갑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장갑(100)은 제1 장갑부(110), 절취부(120) 및 제2 장갑부(130)를 포함한다.
제1 장갑부(110)는 사용자 손(H)에 착용되고, 여러 겹의 장갑(111)으로 이루어진다.
절취부(120)는 장갑(111)의 양측면에 형성되되, 장갑(111)에 착용된 손(H)의 양측면과 대응되는 부분에 절취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제2 장갑부(130)는 제1 장갑부(110)의 최 내측에 구비되되, 제1 장갑부(110)와 다른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장갑부(110)는 사용자의 손(H)에 착용되어 대상물을 파지하되, 제1 장갑부(110)의 장갑(111) 중 최 외측 장갑(112)에 형성된 절취부(120)가 사용자에 의해 절취되어 절취된 부분이 잡아당겨지면, 최 외측 장갑(112)이 제1 장갑부(110)에서 분리되며 뒤집혀, 제1 장갑부(110)에 파지된 대상물이 최 외측 장갑(112)의 내측으로 위치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1 장갑부(110)는 사용자 손(H)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고, 여러 겹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장갑부(110)는 다섯 손가락이 형성된 장갑이나 벙어리 장갑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장갑 외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때타올처럼 사각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장갑부(110)와는 다른 재질로 형성된 제2 장갑부(130)가 제1 장갑부(110)의 최 내측에 구비된다.
여기서, 제1 장갑부(110)는 천연 펄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장갑부(130)는 비닐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장갑부(110)는 사용자가 착용 후 대상물을 파지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대상물을 애완동물의 배설물(D)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제1 장갑부(110)는 산책 시 애완동물이 배변할 경우 이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산책 시 배설물(D)을 처리하기 위해 휴지와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장갑부(110)를 통해 배설물(D)을 처리할 때 배설물(D)이 제1 장갑부(110)에 흡수되면서 사용자 손에 묻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장갑부(110) 최 내측에 비닐 재질로 형성된 제2 장갑부(1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제2 장갑부(130)는 수용성 폴리바이닐 알코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성 폴리바이닐 알코올 재질은 에틸렌 단위를 갖는 것이 필수적이다. 에틸렌 단위의 함량은 2 내지 19몰% 이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7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5몰%, 가장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13몰%이다. 에틸렌 단위 함량이 2몰% 미만인 경우, 상기 열안정성, 내수성, 가스-차단 특성, 수증기-차단 특성, 저온 보관시 수용액의 안정성 및 생분해성이 적은 정도로만 향상된다. 한편, 에틸렌 단위 함량이 19몰%를 초과할 경우, 수용성 폴리바이닐 알코올의 중요한 특징인 수용해성이 감소될 것이다.
이는, 제2 장갑부(130)를 처리할 시 친환경적으로 처리하기 위함이다. 즉 물에 녹는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제1 장갑부(110)의 장갑(111)들을 다 ?을 경우 마지막으로 남은 제2 장갑부(130)를 야외 화장실 등과 같은 곳에서 물을 통해 처리할 수 있다.
물론, 상황에 따라 제2 장갑부(130)로 배설물(D)을 처리한 다음 제2 장갑부(130)을 벗으면서 뒤집어 배설물(D)과 함께 변기에 넣어 처리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장갑부(110)을 통해 애완동물의 배설물(D)을 처리하는 방법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애완동물이 배변하면, 사용자가 제1 장갑부(110)을 착용한 뒤, 제1 장갑부(110)을 착용한 손(H)으로 배설물(D)을 파지 한다.
그리고 다른 손으로 제1 장갑부(110)의 최 외측 장갑(112)에 형성된 절취부(120)를 절취하면 최 외측 장갑(112)의 후측 부분이 상측면(113)과 하측면(133)으로 나눠지고, 그 두 면을 잡아 당겨 최 외측 장갑(112)가 제1 장갑부(110)에서 분리되도록 하되, 분리되면서 최 외측 장갑(112)이 뒤집어지도록 한다. 이렇게 뒤집힌 최 외측 장갑(112)의 내측에는 배설물(D)이 수용되도록 하여 배설물(D)을 최 외측 장갑(D)으로 감싼 후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3 장갑부가 결합된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장갑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3 장갑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 장갑부(110) 외측에는 비닐 재질로 형성된 제3 장갑부(140)가 한 겹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애완동물과 산책 중 애완동물이 배변할 경우, 제1 장갑부(110)를 통해 애완동물의 배설물(D)을 처리 한 다음, 주변에 쓰레기통이 없으면 배설물 쓰레기(G)를 계속 소지해야 한다. 이때 배설물 쓰레기(G)를 별도로 구비한 쓰레기봉투나 비닐봉지에 넣어야 하는데, 산책할 때마다 애완동물의 배설물(D)을 처리할 휴지와 그 휴지를 담을 쓰레기봉투를 챙기는 것은 여간 귀찮을 수가 없다. 따라서, 제1 장갑부(110)의 외측에 비닐 재질로 형성된 제3 장갑부(140)를 한 겹 더 씌워 구비하도록 한다.
즉, 산책 중 애완동물이 배변할 경우, 처음 겹인 제3 장갑부(140)를 벗겨 소지 한 후, 그 다음 겹인 제1 장갑부(110)를 통해 배설물(D)을 처리하고 그 쓰레기를 제3 장갑부(140)에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제3 장갑부(140)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실외에서 배설물(D)이 담겨 있는 제3 장갑부(140)를 야외에 구비된 쓰레기 통에 버려야 하는데, 주변에 쓰레기통이 없을 시 이를 쓰레기통이 나올 때까지 소지하거나 집에 까지 가져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므로, 배설물(D)이 담긴 제3 장갑부(140)를 땅에 묻어 버려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함이다.
물론, 제1 장갑부(110) 또한 천연 펄프로 제작되어 땅에 묻어 처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3 장갑부(140)는 손(H)의 하측 부분이나 손목 부분에 손잡이(141)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3 장갑부(140)에 배설물 쓰레기(G)를 수납 후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3 장갑부(140)는 제1 장갑부(110)의 사이사이에 겹쳐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최 외측의 첫번째 겹에는 제3 장갑부(140)가 구비되고, 그 다음 겹은 제1 장갑부(110), 그 다음은 제3 장갑부(140), 순으로 제3 장갑부(140)와 제1 장갑부(110)를 교차하며 겹쳐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애완동물과 산책할 경우 애완동물이 수시로 배변을 보는데, 처음 배설물(D)을 제1 장갑부(110)으로 처리한 다음 제3 장갑부(140)에 수납하여 이동하다가 쓰레기통이 나타나면 배설물(D)이 수납된 제3 장갑부(140)를 버린다. 하지만 그 이후에 애완동물이 다시 배변할 경우, 제1 장갑부(110)를 통해 배설물(D)을 처리하게 되는데, 이때는 배설물(D)을 처리한 장갑(111)을 다음 쓰레기통이 나올 때 까지 소지해야 한다.
즉, 애완동물이 두번째 배변을 할 때부터는 발생되는 배설물 쓰레기(G)를 쓰레기통이 나타날 때까지 소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서, 이러한 배설물 쓰레기(G)를 제3 장갑부(140)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장갑에 따르면, 양측면에 절취부가 형성되고, 여러 겹으로 이루어진 제1 장갑부를 구비함으로써, 실외에서 애완동물이 배변할 경우, 제1 장갑부로 배설물을 파지한 후 절취부를 통해 절취한 다음 한 겹을 버릴 수 있어서 위생적이며 배설물 처리가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 장갑부 외면에 결합되고, 손잡이가 형성된 제3 장갑부를 구비함으로써, 제1 장갑으로 배설물을 처리 한 다음 제3 장갑부에 수납할 수 있어서 주변에 쓰레기통이 없을 시 쓰레기의 소지가 용이하고 위생적이며, 별도의 봉지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배설물 처리 장갑 110: 제1 장갑부
111: 장갑 112: 최 외측 장갑
113: 상측면 114: 하측면
120: 절취부 130: 제2 장갑부
140: 제3 장갑부 141: 손잡이
D: 배설물 G: 쓰레기
H: 손

Claims (4)

  1. 사용자 손에 착용되고, 여러 겹의 장갑으로 이루어진 제1 장갑부;
    상기 장갑 각각에 형성되되, 상기 장갑에 착용된 손 중 손날 부위 및 엄지의 외측면 부위가 절취되도록 형성된 절취부;
    상기 제1 장갑부의 최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1 장갑부와 다른 재질로 형성된 제2 장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장갑부는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어 대상물을 파지하되, 상기 제1 장갑부의 장갑 중 최 외측 장갑에 형성된 절취부가 사용자에 의해 절취되어 절취된 부분이 잡아당겨지면, 상기 최 외측 장갑이 상기 제1 장갑부에서 분리되며 뒤집혀, 상기 제1 장갑부에 파지된 대상물이 상기 최 외측 장갑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장갑부는 천연 펄프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장갑부는 물에 녹는 비닐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장갑부는 수용성 폴리바이닐 알코올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성 폴리바이닐 알코올은 에틸렌 단위 함량이 2 내지 19몰%이고, 중합도가 200 내지 2,000이며, 비누화도가 80 내지 99.99몰%이고, 카복실기와 락톤환의 총 함량이 0.02 내지 0.4몰%로 이루어지며,
    상기 여러 겹의 장갑으로 이루어진 제1 장갑부의 사이사이에 교차되도록 구비되는 제3 장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장갑부는 사용자의 손바닥 중 손목 부위와 인접하는 부분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장갑.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60026A 2017-05-15 2017-05-15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장갑 KR101913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026A KR101913393B1 (ko) 2017-05-15 2017-05-15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026A KR101913393B1 (ko) 2017-05-15 2017-05-15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3393B1 true KR101913393B1 (ko) 2018-10-30

Family

ID=64100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026A KR101913393B1 (ko) 2017-05-15 2017-05-15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3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846A (ko) * 2020-06-16 2021-12-24 권현진 항균 위생 장갑
KR20220002077U (ko) * 2021-02-17 2022-08-24 장완 위생용 장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628Y1 (ko) 2005-06-01 2005-10-06 안대영 장갑형 비닐봉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7628Y1 (ko) 2005-06-01 2005-10-06 안대영 장갑형 비닐봉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846A (ko) * 2020-06-16 2021-12-24 권현진 항균 위생 장갑
JP2021195718A (ja) * 2020-06-16 2021-12-27 クォン, ヒョン−ジンKWON, Hyun−Jin 抗菌手袋
KR102426857B1 (ko) * 2020-06-16 2022-08-01 권현진 항균 위생 장갑
KR20220002077U (ko) * 2021-02-17 2022-08-24 장완 위생용 장갑
KR200497310Y1 (ko) * 2021-02-17 2023-10-05 장완 위생용 장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4188A (en) Clean up device
US6611961B2 (en) Reversible mit for disposal of waste debris
US7845694B1 (en) Waste handling and bagging unit
US11220799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training pets and the disposal of waste
US8827334B2 (en) Animal waste collection device
KR101913393B1 (ko)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 장갑
US20150176233A1 (en) Disposable pet waste hybrid mitt/glove
KR20090107265A (ko)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용 위생장갑
US20070181593A1 (en) Manual material collection bag kit with internally attached cleansing towelette
US20050052037A1 (en) Disposable pet waste glove
JP3577074B1 (ja) 犬の糞処理具
KR200486757Y1 (ko) 애완동물 소변처리용 장갑
GB2237973A (en) Glove, mitt, or bag for picking up, inter alia, dog mess
KR200487946Y1 (ko) 애완 동물 오물 처리용 봉투
JP4146503B1 (ja) 汚物処理用手袋
JP2930929B1 (ja) 使い捨て手袋
JPH0240768Y2 (ko)
JP3175615U (ja) 汚物処理シート
JP3067145U (ja) ペット動物の糞処理具
JP2004203479A (ja) ペットの排泄物処理袋
KR101961727B1 (ko) 배설물 처리용 물티슈장갑 및 이를 사용한 배설물 처리방법
KR20090027881A (ko) 애완동물용 오물 수거기
KR200331637Y1 (ko)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용 위생봉투
US20150197903A1 (en) Pet cleaning bag
US20110316296A1 (en) Dog litter glo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