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8756A - 이지 소프트 위생장갑 - Google Patents

이지 소프트 위생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8756A
KR20040018756A KR1020020050724A KR20020050724A KR20040018756A KR 20040018756 A KR20040018756 A KR 20040018756A KR 1020020050724 A KR1020020050724 A KR 1020020050724A KR 20020050724 A KR20020050724 A KR 20020050724A KR 20040018756 A KR20040018756 A KR 20040018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easy
gloves
sof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호성
Original Assignee
안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호성 filed Critical 안호성
Priority to KR1020020050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8756A/ko
Publication of KR20040018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75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06Gloves made of several layers of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52Dispos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습패드를 장갑필름 내측면에 복합시킨, 이지 소프트 위생장갑에 관한 것이다. 장갑필름과 손과의 접촉마찰로 인한 착용의 번거로움과, 착용 중에 발생되는 땀 등에 의한 축축한 불쾌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상하측 개구기단부간의 단차를 갖는 필름 내측 면에, 각각 흡습성이 양호한 상하면 흡습패드를 복합시킴에 따라 형성된 흡습층에 의해 습기를 실시간으로 흡습 가능하도록 했다. 따라서 착용이 간편하고, 착용 중에도 항상 보송보송하게 작업을 상쾌하게 진행 할 수가 있어, 실수요자들의 잠재적 불만을 해소시켜줄 수가 있으므로, 신규 및 대체수요도 가능하다 하겠다.

Description

이지 소프트 위생장갑{Easy Soft Sanitary Gloves}
본 발명은 장갑필름 내측면에 흡습패드를 복합시킨 이지 소프트 위생장갑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필름소재 등으로 구성된 위생장갑에 있어서, 그 내측면을 땀이나 습기 등을 흡습할 수 있는 흡습패드를 복합시켜, 착용 중 항상 보송보송한 상태를 유지시켜주며, 상하측 개구기단부간의 단차를 주어 간결하게 착용할 수 있는 이지 소프트 위생장갑에 관한 것이다.
위생장갑은 폴리에틸렌(PE)이나 비닐 등의 매우 얇은 필름 2겹의 원단을 이송 로울러와 권취로울러에 의해 이송되게 하여, 그 중간에 위치한 소정형상의 성형기에 의해 열 가압 융착 및 절형을 시킴으로서, 공지의 위생장갑을 성형 가공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생산 판매되는 위생장갑은 단지 일회용 이라는 것에, 또는 초저가 제품이라는 것에만 안주하고 있어, 다양화되고 고도화되어가고 있는 소비자의 욕구와 잠재된 불만들을 외면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요자들은 50-100개가 팩인 되어있는 디스펜서로부터 필요에 따라 위생장갑을 인출하여 사용하게 되나, 그 두께는10-30㎛내외의 매우 얇은 필름으로 성형 가공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측 각 개구기단부들은 서로 완전 밀착되어, 개구부 개방을 위한 틈새조차 확보하기 어려워, 두 필름을 서로 수차례 비벼주며 개방한 후 사용하게 된다.
또한 손을 넣을 수 있는 개구부가 개방 되었다 하더라도 손에 다소간의 땀이나 물기 등이 묻어 있으면, 얇은 필름과 닿자마자 바로 흡착돼 버림으로 위생장갑을 착용하기란 결코 간단하지만은 않은 것이며, 다소 무리를 하여 착용하려 든다면 장갑필름이 늘어나거나 찢어지게 되는 낭패를 보게 된다.
따라서 공급업체에서는 항상 손의 물기와 땀을 제거토록한 뒤에 착용하도록 하는 사용상의 주의를 요구하거나, 아예 수요자들의 손의 크기보다 다소 큰 사이즈의 위생장갑을 공급하여 해소하려 하고 있으나, 오히려 착용상의 헐거움을 가질 수밖에 없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수요자들의 이러한 불편은 착용방법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근본적인 잠재적 불만은 착용 후부터 발생하게 된다. 즉 위생장갑이 매우 얇은 필름 소재로 되어 있다고는 하지만, 기밀성과 수밀성이 유지되고 있기에 착용과 동시에 공기유통이 되지 않아, 계절이나 실내외 온도조건 등 주위 환경여건에 따라, 또한 조리, 정비, 가공, 오염물처리, 진료 등의 작업종류에 따라, 그리고 태양, 태음, 소양, 소음인등의 수요자의 체질에 따라 얼마 지나지 않아 바로 손에 땀이 배어나올 수밖에 없으므로, 손에 장갑필름이 쩍쩍 달라붙는 매우 불쾌한 축축한 느낌의 착용감을 가지며 작업을 진행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제반 문제점들이 수요자들로서 다소 불편함을 격을 수도 있다는 차원으로 간과 된다면, 수요자에 따라 사용 환경여건에 따라 바람직하지 않는 결과가 초래될 수도 있으며, 아울러 이미 시행되고 있는 제조물책임 법(PL)으로부터도 결코 자유롭지만은 않으리라 본다. 즉 항상 잠재적 접촉피부염에 노출되기 쉬운 주부들이 주방에서 각종 생선이나 고기 등 즙이 발생되는 내용물이나, 마늘, 파, 생강, 고추 등 자극성이 강한 양념을 다루고자할 때, 또는 아토피성 체질로 인해 사전 예방차원의 위생장갑을 착용하고자할 때, 외부의 자극요소와는 관계없이 그 접촉피부염은 작업 중 위생장갑 내에서 발생될 수밖에 없는 땀에 의해서 반응하여, 주부습진으로 심각하게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위생장갑 착용의 노력을 무색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또한 병원 내 환자들의 각종 병원감염을 막기 위해 의사나 간호사들이 위생장갑을 착용하거나 손을 씻음으로서, 심각한 병원감염 원인균의 전파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는 병원감염관리 수칙을 일찌감치 실시하고 있는 미국 등의 선진국에서 병원감염의 30%를 감소시키고 있음으로 해서 증명되고 있고, 국내 의료계 각 논문에서도 비슷한 결과 도출에 대한 내용을 발표하고 있는 바이다.
그러나 의사나 간호사들이 이 환자에서 저 환자로 쉴새없이 진료를 해야 하는 현실을 감안 한다면, 더군다나 손에 옮겨진 병원균의 생존시간은 최소 60분에 달하고, 그 병원균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5분 이상 손을 씻어야 효과를 볼 수 있다면, 이러한 현실 속에서 의사나 간호사들의 손이 항상 청결성이 유지되고 있다고 기대 하는 것에는 다소 무리가 따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해당 환자들을 진료시마다 손을 씻을 수 없다면, 차선책으로 반드시 위생장갑을 착용해야 할 것이지만, 여기에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착용상의 번거로움이나 착용시간의 지체가 되지 않아야 하고, 또한 환자를 다루는 상황이기에 편안하고 부드러운 느낌의 착용감으로 섬세한 진료가 가능하도록 해야 하지만, 상술된 바와 같이 기제품들은 현실적 요구사항과 너무나 괴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최근 국내외적인 사회 환경변화에 따라, 개인 위생증진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있어, 위생장갑의 착용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으나, 단지 일회용 장갑이라 하여 수요자들에게 일방적인 불편함만을 강요하고 있는, 상기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은 위생장갑 필름 면 내측의 일측 면 혹은 양측 면에 흡습성이 탁월한 흡습패드를 복합시킴으로서, 개방된 장갑개구부를 통해 손에 다소 물기기 잔존 하더라도 간결하고 신속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고, 착용 중에 손에서 배어나오는땀도 실시간적으로 흡습되도록 함으로서, 항상 보송보송한 착용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흡습패드 층이 복합되지 않은 위생장갑에 있어서도 장갑 상하면필름의 개구기단부간의 단차를 주어 필름상호간 완전 밀착되어있다 하더라도 수월하게 개구부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한, 이지 소프트 위생장갑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지 소프트 위생장갑의 사시도.
도2는 도1에 나타난 장갑의 각 흡습패드 층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3은 도1의 X-X선 단면도.
도4는 도1의 Y-Y선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지 소프트 위생장갑의 사시도.
도6은 도5에 나타난 장갑의 흡습패드 층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7은 도5의 X-X선 단면도.
도8은 도5의 Y-Y선 단면도.
도9a,도9b,도9c는 본 발명의 흡습패드 소재 중 다양한 질감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9a는 섬유결합구조를 평행하게 규칙적으로 처리한 상태도.
도9b는 축융된 섬유결합구조에 엠보싱을 처리한 상태도.
도9c는 섬유결합구조에 소정패턴의 에어셀을 형성시킨 상태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따른 이지 소프트 위생장갑을 착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 예시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라 상하측 개구기단부를 달리하여 연속 융착 및 절형을하기위해 이송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제1 실시예의 장갑 15: 히트실링라인
20: 하면 흡습패드 22: 하면필름
23: 그립 가이드부 24: 하측 개구기단부
25: 상면필름 26: 상측 개구기단부
27. 개구부 30: 상면 흡습패드
40: 제2 실시예의 장갑 50: 섬유결합조직
53: 엠보싱 55: 에어셀
60: 제3 실시예의 장갑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따른 이지 소프트 위생장갑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이지 소프트 위생장갑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의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지 소프트 위생장갑을 형성 시킨다. 폴리에틸렌(PE)이나 비닐 등의 상하면필름 2겹을 대응시켜, 소정형태의 융착 성형기로 히트실링 및 절형을 하여 통상의 위생장갑을 형성시킴에 있어서, 그 수밀성의 상하면필름(25)(22)내측면에 각기 상면흡습패드(30)와 하면흡습패드(20)를 사전 복합 처리하여, 이지 소프트 위생장갑(10)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구체예에 있어서 상하면필름(25)(22)과 상하면 흡습패드(30)(20)간의 복합은 최초 필름원단 가공 공정에서부터 비롯되며, 라미네이팅 공정 또는 롤 코팅공정, 그리고 접합공정 등, 흡습패드의 재질과 질감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시켜 가공할 수 있다.
도5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지 소프트 위생장갑을 형성 시킨다. 상술된 제1의 실시예와 유사하나, 단지 상기 상하면필름(25)(22)중하면필름(22)내측면에만 하면흡습패드(20)를 복합시킴으로서, 단일 흡습층만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직접적으로 땀이 배어 나오는 손바닥을 선별적으로 흡습하도록 하여 이지 소프트 위생장갑(40)이 형성되도록 한다.
제1의 실시예와 제2의 실시예에 따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하면필름(25)(22) 내측면에 복합되는 흡습패드(30)(20)는 천연 및 합성소재 등에 제한을 받지 아니하며, 또한 소재의 종류에 있어서도, 소정의 소재를 발포 가공시킨 기포성 다공질의 흡습성이 양호한 스폰지(SPONGE)에서부터, 소정의 섬유(FIBER)를 축융 가공시킨 부직포에 이르기까지, 그 다양한 소재에 있어 수분친화성을 갖는 모든 소재를 포함 한다. 따라서 다양한 소재들의 반복된 실험을 통해, 그리고 사용자들의 피부반응도에 따른 실증적 소재의 선별에 따라, 흡습성이 양호하고 환경친화적인 직물성 천연 섬유소재의 부직포가 대체로 효율적이므로, 에어레이드(AIR LAID)공법이나 서멀본드(THERMAL BOND)공법 등으로, 그리고 저 융점의 열가소성 합성섬유를 다소 혼합시켜, 공지의 열융착 제조공정에 의해 이지 소프트 위생장갑이 형성 되도록 한다.
아울러 흡습성, 피부보호성, 양산성, 시장성 등이 대체로 양호한 부직포 소재의 특성을 보다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도9a 도9b 도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습패드의 섬유결합조직(50)구조를 평행 또는 부정방향으로 가공하거나, 다양한 형태의 표면 엠보싱(53) 처리를 하여 단위표면적을 증대하여 주고, 그리고 소정패턴의 에어셀(55)을 주어 습기와 공기와의 역학적 관계를 고려하여, 흡습패드의 단위면적당 흡습효과가 극대화 되도록 한다.
상기의 수밀성 상하면필름(25)(22) 내측면에 복합되는 상하면흡습패드(30)(20)는 임의 두께를 가지며, 얇고 가는 섬유(Fibre)결합조직간의 공극에 의해 습기와 공기를 적정한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 있는 최적의 소재가 선택 결정되어 지는 것이며, 임의 두께 내에 존재하는 섬유결합조직(50)간의 공극에 피부보호제를 함침 건조시키고 향균처리 시킴으로서, 연약한 피부의 수요자도 착용가능 하도록 한다.
도10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지 소프트 위생장갑을 형성 시킨다. 상기 상하면필름(25)(22)의 상하측 개구기단부(26)(24)간의 C폭 만큼의 단차를 주고, 상면필름(25)은 B폭의 범위내에서, 하면필름(22)은 C의폭의 범위 내에서 상호 대응되어 융착 및 절형되도록 하여 이지 소프트 위생장갑(60)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상하측 개구기단부(26)(24)간의 단차 폭에 의해 형성된 그립가이드부(23)를 통해 보다 간결하게 개구부(27)가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도면 중 미 설명부호(15)는 히트실링라인 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10 에 도시된바와 같이, 일측 손으로 그립가이드부(23)를 잡으면, 자연스럽게 상측개구기단부(26)가 벌어져 개구부(27)가 개방됨으로서 손쉽게 손을 집어넣을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의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 에서와 같이 상하면필름(25)(22) 내측면에 복합된 상하면 흡습패드(30)(20)로 인해, 손에 물기나 땀이 잔존 하더라도 필름과의 접촉마찰로 인한 방해를 받지 않게 됨으로, 간결하고 신속하게 손을 집어넣으며 착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장갑필름이 늘어나거나 찢어질 염려가 없고, 또한 필요이상의 큰 장갑을 헐겁게 착용할 필요도 없어, 작업 중 장갑이 쉽게 벗겨질 염려가 없게 된다.
일단 착용 된 장갑은 손바닥 면 혹은 손등 면까지 흡습패드(30)(20)의 흡습층으로 손을 감싸주고 있음으로, 다양한 작업으로 인해 손바닥에서 배어 나온 땀 등을 실시간으로 흡수해 줌으로서, 소정의 작업을 마칠 때까지 항상 보송보송 하고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며 작업을 상쾌하게 할 수 있게 됨으로서 작업능률을 배가 시킬 수 있게 된다.
사용 후 종료 시에도 착용과 반대순서로 그립가이드부(23)를 일측 손으로 잡고 벗겨내면 부드럽게 이탈된다.
그리고 피부가 연약하여 접촉피부염에 노출되기 쉬운 수요자들을 위하여, 상하면 흡습패드(30)(20) 섬유결합조직(50) 공극에 함침 건조시킨 피부보호제는, 사용자의 작업으로 인한 적정의 땀이 손에서 배어나옴으로서, 비로소 아주 미세한 고체분말 형태의 피부보호제가 땀과 함께 용해되어 피부에 도포되어, 그 역할을 다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개구부를 통해 간결하고 신속하게 착용 가능하여 번거로움을 극복시켜줄 수가 있으며, 착용 중 손 에서 배어 나오는 땀 등을 실시간으로 흡습하여 줌으로서, 항상 보송보송하고 부드러운 촉감으로 상쾌하게 작업 진행이 가능하다. 따라서 위생장갑 착용을 기피하게 되는 수요자들의 잠재적 불만을 해소 시켜줌은 물론 사용상의 혁신을 주게 됨으로서, 신규 및 대체수요 창출을 통해 국내외 해당 시장에서의 마켓쉐어를 선점해 나갈 수 있다 하겠다.

Claims (5)

  1. 상하면 필름을 상호 대응 열융착 및 절형을 하여 형성되는 위생장갑에 있어서, 상기 장갑의 상면필름과 하면필름 중 적어도 하나의 필름 내측면에, 흡습성이 양호한 흡습패드를 복합시켜 흡습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 소프트 위생장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패드는 상기 하면필름의 내측면에만 복합시켜 단일의 흡습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 소프트 위생장갑.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패드는 그 섬유결합구조, 엠보싱형태, 또는 에어셀구조패턴에 의해 단위 면적당 흡습성을 극대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 소프트 위생장갑.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패드는 피부보호제가 함침되어 있고, 항균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 소프트 위생장갑.
  5. 상하면 필름의 상하측 개구기단부간의 단차를 형성하여 상호 대응 열융착 및 절형을 하여 형성함으로써, 그 개구부가 개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지 소프트 위생장갑.
KR1020020050724A 2002-08-27 2002-08-27 이지 소프트 위생장갑 KR200400187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724A KR20040018756A (ko) 2002-08-27 2002-08-27 이지 소프트 위생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724A KR20040018756A (ko) 2002-08-27 2002-08-27 이지 소프트 위생장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756A true KR20040018756A (ko) 2004-03-04

Family

ID=3732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724A KR20040018756A (ko) 2002-08-27 2002-08-27 이지 소프트 위생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87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846A (ko) * 2020-06-16 2021-12-24 권현진 항균 위생 장갑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72428U (ko) * 1972-10-07 1974-06-24
KR920001924A (ko) * 1990-06-08 1992-01-30 김광호 필드검출회로
KR950007828U (ko) * 1993-09-17 1995-04-15 일회용 비닐 위생장갑
JPH08144112A (ja) * 1994-11-14 1996-06-04 White Max:Kk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製手袋
KR960030121U (ko) * 1995-03-24 1996-10-22 배덕수 천공구를 갖는 위생장갑
KR200193752Y1 (ko) * 2000-03-06 2000-08-16 신언기 일회용 비닐장갑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72428U (ko) * 1972-10-07 1974-06-24
KR920001924A (ko) * 1990-06-08 1992-01-30 김광호 필드검출회로
KR950007828U (ko) * 1993-09-17 1995-04-15 일회용 비닐 위생장갑
JPH08144112A (ja) * 1994-11-14 1996-06-04 White Max:Kk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製手袋
KR960030121U (ko) * 1995-03-24 1996-10-22 배덕수 천공구를 갖는 위생장갑
KR200193752Y1 (ko) * 2000-03-06 2000-08-16 신언기 일회용 비닐장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846A (ko) * 2020-06-16 2021-12-24 권현진 항균 위생 장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5330A (en) Disposable cosmetic glove
US4122554A (en) Disposable cosmetic glove
US4186445A (en) Disposable cosmetic glove
KR101234417B1 (ko) 신장성 및 투과성 부직포 보호 장갑
KR20070095896A (ko) 통기성 보호용 물품
EP0273977B1 (en) Cleansing puff
US20080034466A1 (en) Handwear item having a flexible impermeable liner
JP3157135U (ja) スキンケアのための手袋及び靴下
KR20070018490A (ko) 흡습성 패드
KR200422032Y1 (ko) 항균가공처리된 부직포장갑이 내피로 결합된 고무장갑
KR100856714B1 (ko) 땀 및 습기를 흡수하는 고무장갑용 속장갑
KR20040018756A (ko) 이지 소프트 위생장갑
JP5388207B2 (ja) 洗浄用具
KR200442676Y1 (ko) 땀 흡수 기능을 갖는 일회용 비닐장갑
KR200304325Y1 (ko) 부직포와 폴리에틸렌이 합지된 이중소재의 위생장갑
KR102112055B1 (ko)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
KR200461059Y1 (ko) 수족 미용 또는 수족질환 치료용 포대
KR100614571B1 (ko) 장갑형태의 핸드 팩용구
JP2011127265A (ja) ゴム手袋
JP6384804B1 (ja) 足指のための吸水性包帯および吸水性包帯群
KR20190091641A (ko) 숯 성분이 포함된 화장솜
KR200425460Y1 (ko) 땀 및 습기를 흡수하는 고무장갑용 속장갑
KR200242189Y1 (ko) 반창고
KR200264027Y1 (ko) 옥돌가루가 부착된 때밀이 타월
JP3086122U (ja) 収れん化粧水用化粧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