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545B1 - 닥나무 융합사와 그 제조 방법, 및 닥나무 융합사를 포함하는 식품용 위생장갑과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닥나무 융합사와 그 제조 방법, 및 닥나무 융합사를 포함하는 식품용 위생장갑과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6545B1 KR102196545B1 KR1020190140530A KR20190140530A KR102196545B1 KR 102196545 B1 KR102196545 B1 KR 102196545B1 KR 1020190140530 A KR1020190140530 A KR 1020190140530A KR 20190140530 A KR20190140530 A KR 20190140530A KR 102196545 B1 KR102196545 B1 KR 1021965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yarn
- doc
- food
- fusion
- mulberry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5
- 240000006248 Broussonetia kazinoki Species 0.000 title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40000000249 Morus alb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5000008708 Morus alb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9940 knit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9
- HKZLPVFGJNLROG-UHFFFAOYSA-M silver mon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Ag+] HKZLPVFGJNLROG-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64
- 229910021607 Silver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29910052640 jade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41000933832 Broussoneti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1 silver 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12766 Cannabis sativa ssp. sativa var.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12765 Cannabis sativa ssp. sativa var. spontane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09120 camo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05607 chanvre indie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1487 hemp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781 deodorant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VHUUQVKOLVNVRT-UHFFFAOYSA-N Ammon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NH4+].[OH-] VHUUQVKOLVNVR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908 ammonium hydr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4000305267 Quercus macrolepis Species 0.000 claims 10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5923 long-las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41000219492 Quercus Species 0.000 description 95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41000191967 Staphylococcus aureus Speci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4247 hand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41000588724 Escherichia coli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41000238711 Pyroglyph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40046533 house dust mites Drug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97 mechanical methods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UHOVQNZJYSORNB-UHFFFAOYSA-N Benze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UHOVQNZJYSORN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385 bacterio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43 dye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77 ja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8620 Fagopyrum esculent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419 Fagopyrum esculen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0751 Hypersensi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410 Micro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41000218231 Mo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4017 Streptococc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59592 Taran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815 allerg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6673 asthm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136 cultur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WSFSSNUMVMOOMR-NJFSPNSNSA-N methanone Chemical compound O=[14CH2] WSFSSNUMVMOOMR-NJFSPNSN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58 micro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14 plastic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45 polyester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11 pyroxe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927 skin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645 Atop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5789 Bombyx mor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22122 Candida albica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VEXZGXHMUGYJMC-UHFFFAOYSA-M Chl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473 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43 DNA repl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4232 Ente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1070 Escherichia coli ATCC 8739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6952 Food poison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331 Foodborn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3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979 Influenza in Bird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225 Klebsiella pneumon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88747 Klebsiella pneumoni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89248 Legionell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86781 Lis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039951 Lithocarpus glabe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5664 Pneumon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5717 Pneumonia klebsiell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88767 Prote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589516 Pseudomona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395651 Quercus kellog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3176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0453 Skin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CDBYLPFSWZWCQE-UHFFFAOYSA-L Sod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Na+].[O-]C([O-])=O CDBYLPFSWZWCQE-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06010041925 Staphylococcal infection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1940 Staphylococ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372 Streptococcal infec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30764 Tin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474 Tin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UELITFHSCLAHKR-UHFFFAOYSA-N acibenzolar-S-methyl Chemical compound CSC(=O)C1=CC=CC2=C1SN=N2 UELITFHSCLAHK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4 agglom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336 alk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935 allerg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WYTGDNHDOZPMIW-RCBQFDQVSA-N alstonine Natural products C1=CC2=C3C=CC=CC3=NC2=C2N1C[C@H]1[C@H](C)OC=C(C(=O)OC)[C@H]1C2 WYTGDNHDOZPMIW-RCBQFDQV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2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129 an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50 an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0 anti-vi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4097 avian influenz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44 bleach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3 cad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BDOSMKKIYDKNTQ-UHFFFAOYSA-N cadmium atom Chemical compound [Cd] BDOSMKKIYDKNT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5731 candida albicans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21 carbon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OPOVCBBYLSVDA-UHFFFAOYSA-N chromium(6+) Chemical compound [Cr+6] JOPOVCBBYLSVD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UJNEKJLAYXESH-UHFFFAOYSA-N cysteine Natural products SCC(N)C(O)=O XUJNEKJLAYXES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417 cyste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ZUOUZKKEUPVFJK-UHFFFAOYSA-N diphenyl Chemical group C1=CC=CC=C1C1=CC=CC=C1 ZUOUZKKEUPVFJ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765 diseases and disorder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475 disord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83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9622 heart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QWPPOHNGKGFGJK-UHFFFAOYSA-N hypochlorous acid Chemical compound ClO QWPPOHNGKGFGJ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0 impreg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1 inoc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54 inocul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10 ino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68 intest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169 kidne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6370 kidney failur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6 lat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26 latex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7554 medical produc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SHDDOUJBYECFT-UHFFFAOYSA-N mercury Chemical compound [Hg] QSHDDOUJBYEC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3 mercur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688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0 moistu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252 non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00 non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JRZJOMJEPLMPRA-UHFFFAOYSA-N olefin Natural products CCCCCCCC=C JRZJOMJEPLMPR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989 phen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90 physiological processes and func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72 polyolefin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82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53 polysorbate 80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749 polyuretha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73 porcela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40007042 proteus vulgaris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56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67 refin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45 respiratory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083 rhin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01 scrubb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842 sick building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RMAQACBXLXPBSY-UHFFFAOYSA-N silicic acid Chemical compound O[Si](O)(O)O RMAQACBXLXPBS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39 silicon di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0849 skin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979 thermal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68 transpi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8—Paper yarns or thread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44—Cuff portions
- A41D19/0048—Cuff portions with cuff securing featur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30—Antimicrobial, e.g. antibacterial
-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8—Yarns or threads for use in medical appl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9—Yarns or threads with antibacterial properties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1—Gloves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lov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 물질을 주성분으로 하여 길게 실 형태로 형성되는 원사 바디 및 닥나무 껍질을 분쇄하여 1,000 메쉬(mesh) 초과, 10,000 메쉬 이하 크기의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사 바디 내에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분산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을 포함함으로써, 평평하고 매끄러운 표면과 균일한 두께를 가지며, 압출사 타입으로 제조가 가능하여 잔실 또는 부푸러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닥나무 융합사와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닥나무 융합사를 편직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시각적으로 및 촉감적인 품질이 향상되고, 지속적으로 장시간 유지되는 항균성 및 탈취성을 제공하여 식품 취급시 병원성 세균들로부터 착용자의 손과 식품의 오염을 방지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장갑의 표면으로부터 잔실 또는 부푸러기가 발생하지 않아 기존의 면장갑에서 잔실 또는 부푸러기가 식품의 습기와 닿아 빠지면서 식품 내에 이물질로 들어가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닥나무 융합사를 포함하는 식품용 위생장갑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국 산지에서 자생하는 친환경 소재인 닥나무를 밀입자 가공하여 압출을 통해 제조되는 닥나무 융합사와 그 제조 방법, 및 닥나무 융합사를 포함하는 식품용 위생장갑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방법으로 미세분말화 할 수 없었던 닥나무 껍질을 복수의 조각으로 절단하고 상기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분쇄하여 1,000 메쉬 초과, 10,000 메쉬 이하 크기의 미세한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로 만든 후 상기 닥 마이크로 분말들과 고분자 물질을 혼합하고 방사 공정으로 압출하여 고분자 물질 내에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이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고르게 분산되게 배치되는 융합사로 성형함으로써, 평평하고 매끄러운 표면과 균일한 두께를 가지고, 압출사 타입으로 제조가 가능하여 원사로부터 잔실 또는 부푸러기가 발생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고, 닥나무의 우수한 항균성과 소취성 등을 통해 위생 장갑과 같이 식품을 취급하는 분야에 사용되는 섬유 제품 또는 수술용 장갑과 같이 의료 분야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섬유 제품의 재료 등으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닥나무 융합사와 그 제조 방법, 및 지속적인 항균성과 탈취성을 제공하며 이물질이 식품 내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항균성 및 탈취성을 갖는 상기의 닥나무 융합사를 개방된 부분을 갖는 손목커버부, 착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이 수용되는 메인바디부 및 손가락수용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심리스(seamless) 직조하여 이루어지며, 시각적으로 및 촉감적으로 장갑의 품질이 향상되도록 하고, 닥 마이크로 분말과 염화은이 발산하는 은 이온(Ag+)에 의해 지속적으로 장시간 유지되는 항균성 및 탈취성을 제공하여 식품 취급시 병원성 세균들로부터 착용자의 손과 식품의 오염을 방지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장갑의 표면으로부터 잔실 또는 부푸러기가 발생하지 않아 기존의 면 장갑에서 잔실 또는 부푸러기가 식품의 습기와 흡착되어 빠지면서 식품 내에 이물질로 들어가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닥나무 융합사를 포함하는 식품용 위생장갑과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닥나무는 뽕나무과 낙엽 활엽 관목으로 한국, 중국의 중부와 남부 및 일본 등에 주로 서식하며, 한지의 주재료로 사용되고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보면 우수한 내구성이 입증되어 있다. 특히, 4계절이 뚜렷한 한국의 닥나무는 섬유장이 길어 인결 강도 및 인장 강도가 매우 우수하다. 그러나, 이러한 닥나무의 껍질에서 채취되는 닥나무 섬유질은 동종 계통의 인피 섬유 중에서도 섬유질이 비교적 강하고 섬유장은 길기 때문에 섬유 제품으로는 거의 활용되지 않으며 주로 한지와 같은 종이류의 제조에 이용되어 왔다. 즉 닥나무는 기본적으로 경도와 섬유질이 높아 가공에 어려움이 많고, 여러 공정을 거친 뒤 종이포를 만들어 재가공한 조직을 얇게 찢어 솜을 만들어 혼합하는 것이 일반적인 가공기술이다.
다만, 상기 닥나무 섬유질은 천연 성분으로 항균성, 생분해성, 내취성, 내구성 및 염색성 등의 우수한 특성 및 기능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닥나무 섬유질을 이용하여 섬유사와 같은 제품을 제조하고자 하는 개발 시도는 계속 있어왔다. 종래에는 닥나무로 초지를 만들어 스플릿사(split yarn)을 만들고 꼬아서 종이 섬유를 제조하는데, 조현 산업에서 닥나무 인피 섬유를 활용하여 종이 섬유, 즉 닥섬유를 제조하고 P&G 코리아에서 "닥센"이란 상품으로 판매하고 있다. 현재 주로 한지사는 전주 익산에 있는 ㈜쌍영방적에서 생산되며, 닥나무로 만든 전통 한지를 얇게 썰어낸 후 이를 꼬아서 만들고 있다.
또한, 최근에 문종이로 사용되는 한지사를 가늘게 커팅한 후 폴리 또는 나일론으로 외피를 커버링하는 방법으로 제조되어 높은 시장성 평가를 취하고 있는 방적사가 있다. 그러나, 상기 가공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방적사는 원사의 연산이 편직 요건에 맞지 않아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방적사를 제조하더라도 닥섬유 고유의 구조가 파괴되면서 닥나무가 가지는 고유의 특성 및 기능이 현저히 저하되어 당 업계에서 요구하는 수준에 부합하지 못하여 제조된 섬유 제품의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닥나무 껍질은 길이 방향으로 긴 선형의 형태를 띄는 섬유질을 가지며, 통상의 기계적 방법으로는 닥나무를 아무리 잘게 부수더라도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섬유질의 형태가 계속하여 유지되기 때문에, 닥나무 껍질을 이용하여 원사를 제조하면 원사에 포함된 닥나무 섬유질의 길이가 원사의 굵기 보다 더 길거나 하여 닥나무 섬유질의 단부가 원사의 내측면을 누르거나 원사의 표면을 통해 돌출되면서 전체적으로 원사의 굵기가 일정하지 않고 원사의 표면이 우들두들한 형태가 되는 문제와 원사에 균일도와 장력(힘)이 약해 원사가 쉽게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더욱이 이러한 문제는 원사의 굵기가 가늘어질수록 더욱 심화되는 것이다.
이렇게 원사의 굵기가 일정하지 않으면 귀의 구멍 크기가 원사의 평균 굵기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바늘의 경우 바느질을 하는 도중에 원사가 귀의 구멍에 걸려 제대로 작업을 할 수가 없게 되므로 옷이나 장갑 등의 섬유 제품을 제대로 편직하여 제조하기 힘든 것은 물론, 제품을 완성하더라도 시각적으로 또는 촉감적으로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었다.
한편, 상기 닥나무 섬유사를 방적사 타입으로 제조하는 기술이 일부 개시되어 있는데, 이 경우 원사로부터 잔실 또는 부푸러기가 많이 발생하게 되고, 만약 이러한 닥나무 섬유사로 식품을 취급하는 분야 등에서 사용하는 섬유 제품을 제조한다면 잔실 또는 부푸러기가 음식의 습기와 흡착되어 빠지게 되면서 심한 경우 식품에 이물질이 들어갈 수 있는 가능성이 높고, 수술실과 같은 곳에서 사용하는 섬유 제품을 제조한다면 잔실 또는 부푸러기가 빠지면서 수술 중에 환자 몸에 묻거나 들어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할 수 있는 분야에도 제한을 받게 된다.
또한, 직물 제품의 품질을 결정하는 필수 요건은 원사의 구조와 성질에 있으며, 시장 적합성을 위해 닥나무 성분의 함량 이외에도 유연성, 장력, 탄성 등 제품 생산시 편직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한편, 인간의 건강은 여러 종류의 미생물 유기체들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미생물 유기체를 사람이나 다른 포유동물에 접종하면 종종 여러 가지 질병 및 질환을 나타낸다. 이러한 오염에 대한 공중인식은 최근 몇 년간 일어난 식중독과 연쇄상구균 감염 등의 증가로 인해 고조되고 있다. 따라서, 의료관계자들은 일반적으로 신체의 일부분 (예, 손 씻기), 음식물(예, 조리되지 않은 고기, 야채, 과일 등), 조리기구(예, 주방조리대, 싱크대) 및 조리용 장갑, 수세미 등과 같은 감염된 면들과 접촉하게 되는 모든 영역을 청결히 하도록 적극 권장하고 있다.
위와 같은 방법들은 다른 접촉면뿐만 아니라 사람의 피부 특히 손으로부터 병을 발생시키는 미생물 유기체를 제거하려는 시도로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식품 제조 및 가공시 사용되는 장갑은 즉각적인 병균 감소를 나타내는 항균, 항바이러스 전용 장갑이라는 개념이 없었고 일반 면 또는 나일론 장갑이나 비닐 장갑, 또는 라텍스 코팅된 장갑을 사용하는 것이 전부였다.
이러한 일반적인 장갑으로 육류, 어류, 야채, 과일, 모든 식품군 등의 가공시 사용함으로써 눈에 보이지 않는 세균을 차단시키는 것에 대해 매우 부족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육류나 어패류 식품 가공시 일반 장갑을 사용할 경우 일반 장갑은 그저 손 외부에 씌어진 하나의 일방 막에 불구하며, 항균처리 조차되지 않은 장갑은 세균의 온상으로서 조리하고 운반되는 식품에 세균을 감염시킬 수 있는 원인을 제공 할 수 있다. 따라서 육류 및 어패류 조리 작업과정에서 발생하는 세균 및 냄새와 오염 물질에 대한 방어막이 존재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손을 비롯한 인체와 가공중인 식품에 대한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사실이며 식품 건강 안전 예방에 대한 매우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킨다. 대기중과 가공 식품 상에는 무수한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 곰팡이가 존재하며 특히 유해한 MRSA균, 대장균, 황색포도상균 등에 의한 균의 확산 오염에 문제를 안고 있다. 이것은 인간의 건강이나 위생 측면의 중요한 사항으로서 식품을 섭취하는 사람으로서 간과할 수 없는 과제로 남아있다.
또한, 최근 위생상의 문제 해결 방법으로 유기항균제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항균제에는 탄화수소, 페놀, 카본산류, 아민류, 제4급 암모늄화합물, 에폭시화합물, 아미드화합물 등의 물질이 사용된다. 이는 의학상의 제2, 제3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유기항균제의 내성 및 유해성 등이 문제가 되어 식품가공 시에는 부적합 것이며, 식품환경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편, 면 소재의 장갑은 원사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여 착용시 작업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표면으로부터 잔실 또는 부푸러기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잔실 또는 부푸러기는 식품의 습기와 닿아 빠지게 되고 심한 경우 식품 내에 이물질로 들어가게 되어 작업 공간 내의 위생성을 크게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식품용 위생장갑으로 사용시 효율성이 지나치게 낮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표면을 항균 물질로 코팅한 위생장갑이 일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코팅 위생장갑은 코팅막이 화학 물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항균성을 일부 확보한다 하더라도 반대로 환경 호르몬이나 인체에 유해한 기타 성분이 식품을 취급하는 과정에서 손에 닿거나 또는 식품에 묻어 또 다른 위생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균일한 굵기를 가지고 표면이 평평하며 우들두들한 형태가 되지 않도록 하여 편직이 용이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섬유 제품의 품질의 저하를 방지하고 항균성 및 탈취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잔실 또는 부푸러기의 발생을 방지하여 위생성이 요구되는 식품을 취급하는 분야 또는 의료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는 섬유 제품의 재료로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는 닥나무 융합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닥나무의 우수한 특성이 그대로 반영되도록 하여 닥나무의 기능성 저하를 방지하면서 매끄러운 표면과 균일한 굵기를 가지며 잔실 또는 부푸러기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압출사 타입으로 제조가 가능한 닥나무 융합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면이 균일하고 부드럽고 감성적인 촉감으로 착용감 및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장시간 유지되는 항균성 및 탈취성을 제공하여 식품 취급시 병원성 세균들로부터 착용자의 손과 식품의 오염을 방지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표면으로부터 잔실 또는 부푸러기의 발생이 방지되어 위생성이 요구되는 식품을 취급하는 분야에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닥나무 융합사를 포함하는 식품용 위생장갑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고, 길게 실 형태로 형성되는 원사 바디; 및 닥나무 껍질을 분쇄하여 1,000 메쉬(mesh) 초과, 10,000 메쉬 이하 크기의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사 바디 내에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분산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나무 융합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닥나무 융합사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염화은 0.3 내지 0.5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항균성 및 탈취성을 갖는 융합사를 개방된 부분을 갖는 손목커버부, 착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이 수용되는 메인바디부 및 손가락수용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편직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융합사는, 주성분인 고분자 물질과 은 이온을 발산시키는 염화은을 포함하고 길게 실 형태로 형성되는 원사 바디, 및 닥나무 껍질을 분쇄하여 1,000 메쉬 초과, 10,000 메쉬 이하의 크기의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사 바디 내에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분산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나무 융합사를 포함하는 식품용 위생장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닥나무 융합사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닥 마이크로 분말이 2.5 내지 30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닥나무 융합사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염화은이 0.3 내지 0.5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닥나무 융합사는 마(Linen) 입자, 경옥 입자 또는 연옥 입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식품용 위생장갑에서, 상기 염화은이 상기 원사 바디의 표면에 코팅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닥나무 껍질을 복수의 조각으로 절단하는 제1 단계; 상기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분쇄하여 1,000 메쉬 초과, 10,000 메쉬 이하 크기의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로 미세분말화 하는 제2 단계; 고분자 물질과 상기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마련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방사 공정으로 압출하여 상기 고분자 물질 내에 상기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이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분산되게 배치된 융합사를 성형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나무 융합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닥 마이크로 분말이 2.5 내지 30중량%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혼합물 마련시, 상기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염화은이 0.3 내지 0.5중량% 더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혼합물 마련시, 마 입자, 경옥 입자 또는 연옥 입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단계 이후에, 상기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천연 잿물로 세척하는 단계; 상기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증기로 찐 후 흑피를 벗겨 백피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백피를 세척하는 단계; 를 순서대로 더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수분 함유량이 5 내지 30중량%가 되도록 가습하는 단계; 수분 함유량이 맞춰진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200 내지 -250℃에서 급속 질소 냉각하여 얼음과 같은 형태로 동결하는 단계; 및 얼음 형태의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분쇄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볼밀을 이용한 습식 가공 또는 버티칼 에어제트밀(분자 충돌)을 이용한 건식 가공으로 분쇄하되 가공 횟수를 조정하여 닥 마이크로 분말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닥나무 껍질을 복수의 조각으로 절단하는 제1 단계; 상기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분쇄하여 1,000 메쉬 초과, 10,000 메쉬 이하 크기의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로 미세분말화 하는 제2 단계; 고분자 물질, 복수의 염화은 분말 및 상기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마련하는 제3 단계; 상기 혼합물을 방사 공정으로 압출하여 상기 고분자 물질 내에 상기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과 상기 복수의 염화은 분말이 소정 간격을 두고 분산되게 배치되어 항균성 및 탈취성을 가지는 융합사를 성형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융합사를 개방된 부분을 갖는 손목커버부, 착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이 수용되는 메인바디부 및 손가락수용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편직하여 장갑을 제조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나무 융합사를 포함하는 식품용 위생장갑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혼합물은, 상기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염화은이 0.3 내지 0.5중량%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혼합물은, 상기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닥 마이크로 분말이 2.5 내지 30중량%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닥나무 껍질을 복수의 조각으로 절단하는 제1 단계; 상기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분쇄하여 1,000 메쉬 초과, 10,000 메쉬 이하 크기의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로 미세분말화 하는 제2 단계; 고분자 물질과 상기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마련하는 제3 단계; 상기 혼합물을 방사 공정으로 압출하여 상기 고분자 물질 내에 상기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이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분산되게 배치되는 융합사를 성형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융합사를 개방된 부분을 갖는 손목커버부, 착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이 수용되는 메인바디부 및 손가락수용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편직하여 장갑을 제조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5 단계 이전에, 상기 융합사를 염화은이 용해된 수산화암모늄(NH4OH) 용액에 침지하여 상기 융합사가 항균성 및 탈취성을 갖도록 상기 융합사 표면에 염화은을 코팅하는 단계를 먼저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나무 융합사를 포함하는 식품용 위생장갑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융합사는, 상기 융합사의 총 중량에 대하여, 염화은이 0.3 내지 0.5중량%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융합사는, 상기 융합사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닥 마이크로 분말이 2.5 내지 30중량%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혼합물 마련시, 마 입자, 경옥 입자 또는 연옥 입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닥나무 융합사는, 닥나무 껍질이 분쇄되어 1,000 메쉬 초과, 10,000 메쉬 이하의 초미세한 크기를 갖는 알갱이 형태의 닥 마이크로 분말로 이루어져 고분자 물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원사 바디 내에 닥 마이크로 분말 복수 개가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고르게 분산되도록 배치되어, 융합사가 표면은 평평하고 부드러워지며 두께는 균일해져 편직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닥나무 껍질이 포함된 융합사로 섬유 제품을 제조하더라도 섬유 제품의 시각적 및 촉감적인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음 이온 성분에 의해 지속적으로 장시간 유지되는 항균성 및 탈취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닥나무 융합사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닥나무 껍질을 이용하여 원사를 제조하되 종래의 방적사 타입이 아닌 압출사 타입으로 제조할 수 있어서, 닥나무의 우수한 특성이 그대로 반영되면서 융합사의 기능성 및 위생성이 우수하게 나타나고, 제조된 닥나무 융합사는 평평하고 매끄러운 표면과 균일한 두께를 가지며 잔실 또는 부푸러기가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며, 닥나무의 우수한 항균성과 소취성 등을 통해, 위생성이 요구되는 식품을 취급하는 분야 또는 수술실과 같은 의류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는 섬유 제품의 재료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성분인 고분자 물질과 염화은을 포함하여 길게 실 형태로 형성되는 원사 바디 및 1,000 메쉬(mesh) 초과, 10,000 메쉬 이하 크기의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사 바디 내에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고르게 분산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을 포함하는 융합사를 편직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식품용 위생장갑의 표면이 평평하고 매끄러워 시각적으로 및 촉감적으로 품질이 향상될 수 있고 착용감 및 착용시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닥 마이크로 분말에 의해 닥나무의 우수한 특성이 그대로 반영되면서 염화은의 음 이온 성분에 의해 지속적으로 장시간 유지되는 항균성 및 탈취성을 제공할 수 있어서 식품 취급시 병원성 세균으로부터 착용자의 손과 식품의 오염을 방지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장갑의 표면으로부터 잔실 또는 부푸러기가 발생하지 않아 기존의 면 장갑에서 잔실 또는 부푸러기가 식품의 습기와 흡착되어 빠지면서 식품 내에 이물질로 들어가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서 작업자의 손은 물론 취급하는 식품에 대한 위생상태를 더욱 청결히 할 수 있어 식품 건강 안전 예방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닥나무 융합사가 감긴 보빈의 사시도와 닥나무 융합사의 일부를 절개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방적사 타입으로 제조되는 닥솜 섬유를 5배 확대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제조되는 닥나무 융합사로서 폴리 나이론을 5배 확대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KS K 0693:2011의 시험방법으로 황색포도상구균과 폐렴간균에 대해 항균성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5는 닥섬유의 소취성을 나타낸 표이다.
도 6은 각종 재료의 원적외선 방사율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각종 재료의 건조 성능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닥나무 융합사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는 닥나무 융합사의 제조 공정 중 천연 잿물로 세척 후 닥나무 껍질의 흑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흑피 제거 후 추출된 백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식품용 위생장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식품용 위생장갑에 사용되는 융합사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도 11의 A부분을 크게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식품용 위생장갑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JIS L 1902, 균액흡수법-평판배양법을 이용하여 일반 섬유와 본 발명의 닥나무 융합사로 제조한 식품용 위생장갑의 항균 활성치를 각각 측정한 시험 보고서이다.
도 2는 종래의 방적사 타입으로 제조되는 닥솜 섬유를 5배 확대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제조되는 닥나무 융합사로서 폴리 나이론을 5배 확대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KS K 0693:2011의 시험방법으로 황색포도상구균과 폐렴간균에 대해 항균성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5는 닥섬유의 소취성을 나타낸 표이다.
도 6은 각종 재료의 원적외선 방사율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각종 재료의 건조 성능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닥나무 융합사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는 닥나무 융합사의 제조 공정 중 천연 잿물로 세척 후 닥나무 껍질의 흑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은 흑피 제거 후 추출된 백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식품용 위생장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식품용 위생장갑에 사용되는 융합사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도 11의 A부분을 크게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식품용 위생장갑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JIS L 1902, 균액흡수법-평판배양법을 이용하여 일반 섬유와 본 발명의 닥나무 융합사로 제조한 식품용 위생장갑의 항균 활성치를 각각 측정한 시험 보고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닥나무 융합사가 감긴 보빈의 사시도와 닥나무 융합사의 일부를 절개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닥나무(Paper Mulberry) 융합사(10)는 원사 바디(1)와, 원사 바디(1) 내에 고르게 분산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2)을 포함한다.
원사 바디(1)는 압출 성형하여 길게 실 형태로 형성되며, 표면이 평평하고 매끄러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원사 바디(1)는 고분자 물질을 주성분으로 하고, 음 이온을 발산시키기 위한 염화은(AgCl; 3)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물질은 바람직하게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Polyacryl)계 수지, 폴리에스테르(Polyester)계 수지, 올레핀계(Olefinic) 수지,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계 수지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수지 등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염화은(3)은 닥나무 융합사의 항균 기능성을 극대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염화은(3)은 원사 바디(1) 내에 녹아 염화은 입자의 상태로 포함되거나, 또는 다른 실시 예로서 원사 바디(1)의 표면에 코팅막 형태로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염화은(3)은 천연 은에서 추출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진(Polygiene)이란 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진은 천연은에서 추출한 염화은을 이용한 항균 방취 성분으로서, 유럽 BPR, 미국 FDA, 미국 환경청 EPA승인을 받은 제품이며, 피부 안전 면에서는 일본 후생성, 영국 Medical Class 1의 승인 제품으로서, 이미 전세계 300여 곳의 유수 브랜드들이 채택하고 있다.
또한, 염화은(3)은 융합사(10)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3 내지 0.5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염화은(3)의 함량이 0.3중량% 미만인 경우 은 이온이 제대로 발생되지 않아 항균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염화은(3)의 함량이 0.5중량%를 초과하면 항균성이 더 이상 크게 증가되지 않기 때문에 비용 측면에서 염화은의 최대치는 0.5중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화은(3)은 인체에 무해하면서 여러 종류의 박테리아, 곰팡이 또는 바이러스를 제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염화은(3)은 공기 중의 냄새를 흡수하거나 제거하는 작용 또는 공기 중의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 아니며, 염화은(3)으로부터 발생된 은 이온(Ag+)이 박테리아, 곰팡이 또는 바이러스 등이 구성하는 단백질 시스테인의 -SH기와 결합되어 DNA 복제를 못하게 하여 이러한 유해 성분들의 증식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염화은(3)은 무기질 성분으로 시간이 지나면 소멸되는 기존의 유기항균제와는 달리 한번 처리되면 영구적으로 항균 및 탈취 기능이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염화은(3)으로부터 발생된 은 이온이 작용하는 박테리아로는 대장균, 클레프시엘라균(장내균), 장구균, 포도상구균, 메타실린내성황색포도구균, 프로테우스불가리스균, 살모렐라균 쥐티프스균,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진균, 슈도모나스균, 레지오넬라균, 연쇄구균, 화농연쇄구균, 살로넬라 장염균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은 이온이 작용하는 진균류 또는 곰팡이로는 누룩곰팡이, 캔디다알비칸스균, 백선균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은 이온이 작용하는 바이러스로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조류인풀루엔자 등이 있다.
한편, 집먼지 진드기의 경우, 피부 각질을 직접 섭취하는 것이 아니라 곰팡이가 각질을 녹여 주어야 섭취할 수 있는데, 상기 은 이온이 곰팡이 발생을 억제함으로서 집먼지 진드기가 생존 번식할 수 없는 환경을 조성하여 집먼지 진드기의 발생 및 증식을 방지하게 되고, 이에 알레르기와 천식을 유발하는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
닥 마이크로 분말(2)은 닥나무(Paper Mulberry)의 껍질을 분쇄하여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지고, 원사 바디(1) 내에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분산되어 혼합 배치된다.
닥나무는 뽕나무과 낙엽 활엽 관목으로 한국, 중국의 중부와 남부 및 일본 등에 주로 서식하며, 한지의 주재료로 사용되고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보면 우수한 내구성이 입증되어 있다. 최근에 유럽, 미국, 중국, 일본 등 국가별 환경 규제 지침에 의해 납, 수은, 카드뮴, 6가 크롬, 폴리브로미네이티드 비페닐(PBB), 폴리브로미네이티드와 같은 유해 물질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또한, 닥나무는 상기의 유해 물질은 물론 장기 접촉시 피부암 등을 유발하는 아릴아민 및 새집 증후군 발생 물질로서 호흡기를 자극하고 폐수증 및 비염 유발의 원인이 되는 포름알데히드 등의 독성 성분이 없는 친환경 소재로서, 화학 소재에 대한 면역력이 부족한 유아와 노약자에게도 무해한 이점을 가진다. 닥나무와 인간의 상생 관계는 오랜 문헌에도 기록될 만큼 옛 선조 때부터 생필품과 식품, 의약품에서 중요한 요소로 쓰이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각각의 닥 마이크로 분말(2)은 제조되는 원사 바디(1)의 굵기 보다 현저히 작은 크기를 가져야 한다. 본 실시 예의 융합사(10)는 이러한 융합사(10)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편직물의 용도에 따라 실의 굵기가 40 내지 1,800 데니어의 다양한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실의 굵기를 가지는 융합사(10)에 선택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도록, 본 실시 예에서 각각의 닥 마이크로 분말(2)은 1,000 메쉬(mesh) 초과, 10,000 메쉬 이하, 바람직하게는 8,000 메쉬 이하에서 편직물의 종류에 따라 적정한 크기로 조정되는 초미세한 크기를 가진다.
이때, 닥 마이크로 분말(2)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융합사(10)를 제조하는 비용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닥 마이크로 분말(2)의 크기는 융합사(10)의 제조 비용 대비 융합사(10)에 포함되는 닥나무의 다양한 효과를 고려하여, 실의 굵기가 1,800 데니어인 융합사(10)의 경우, 이러한 융합사(10)로 편직된 편직물의 표면이 우들두들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편직물의 촉감 또한 지나치게 딱딱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1,000 메쉬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예의 융합사(10)는 가장 얇은 제품이 40 데니어의 굵기를 기자게 되므로, 닥 마이크로 분말(2)의 크기가 10,000 메쉬를 초과하면 적용하는 실과 맞지 않게 필요 이상의 저밀도 공정으로 입도 밀도를 높이는게 되어 융합사 제조 비용 등 제품의 원가만 크게 상승하게 되는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닥 마이크로 분말(2)의 크기는 10,000 메쉬 이하가 되도록 한다.
또한, 닥 마이크로 분말(2)은 융합사(10)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30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닥 마이크로 분말(2)의 총 함량이 2.5중량% 미만인 경우 융합사의 내구성이 너무 약해져 이러한 융합사(10)로 제조된 편직물이 외부 자극 등에 의해 쉽게 찢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더불어 융합사(10)에서 닥나무로부터 얻고자 하는 여러 기능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특히, 융합사(10)의 굵기가 1,800 데니어로 매우 두꺼운 제품의 경우, 닥 마이크로 분말(2)의 함량이 2.5중량% 미만이면 닥나무의 항균성, 소취성 등의 효과를 제대로 구현할 수 없다.
또한, 닥 마이크로 분말(2)의 총 함량이 30중량%를 초과하면 원사 바디(1) 내에서 닥 마이크로 분말(2)이 고르게 분산되지 못하고 국부적으로 뭉치는 현상이 발생하여 유연성이 크게 저하되고 원사 바디(1)가 지나치게 딱딱해지거나 또는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2)이 서로 뭉치면서 원사 바디(1)의 표면을 가압하여 융합사(10)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게 되고 심한 경우 닥 마이크로 분말(2)이 원사 바디(1)의 표면으로 돌출되면서 융합사(10)의 표면이 우들두들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종래의 닥 섬유와 같은 지사(종이)를 커팅하여 사용하는 솜 방적 분말이 가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없으며, 유연성을 필요로 하거나 또는 아주 얇은 굵기로 된 실을 생산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본 실시 예의 닥나무 융합사(10)는 땀 흡수 기능을 향상시키고 통풍성, 내열성,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마(Line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는 융합사(10)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2.5 내지 30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마의 함량이 2.5중량% 미만이면 마의 땀 흡수 기능, 통풍성, 내열성 및 강도 향상 효과 등이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용도에 따라 상기 마의 함량이 30중량%을 기준하여 적정량을 초과하면 정밀 측정 필요가 있고, 융합사(10)에 장력이 심하게 증가하여 융합사(10)의 유연성이 저하되는 문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의 닥나무 융합사는 경옥 입자 또는 연옥 입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옥(Jade)은 경옥과 연옥으로 구분된다. 경옥은 휘석족에 속하는 납 휘석조 광물이고 규산, 산화 알루미늄 및 소다를 포함하는 단사정계 물질이다. 이러한 경옥은 경도가 치밀하고 흑색, 청록 또는 녹색의 빛을 띄며 투명 또는 반투명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연옥은 이노규산염의 단사정계 휘섬석 광물체로서, 고토질 대리암중 연옥과 사문석화 초 염기성 연옥으로 구분되고 투각섬석-양기석 아키코가 속조와 섬유로 되는 조세한 정도로 품질이 결정되고 섬유가 극히 가늘수록 품질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연옥은 섬유질 및 머리털과 같은 무수한 크리스탈과 미립 집합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체에 유익한 칼슘, 철분 및 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 하여 고혈압, 당뇨병 순환기 장애, 심장병 및 신장 장애로 인한 병의 치유에 도움을 주고 중금속을 제거하거나 냉장고의 악취를 제거하는 등의 불순물 제거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최근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옥은 이러한 효능에도 불구하고 목걸이, 팔찌 및 반지 등의 보석 장신구로서의 이용이 한정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 이러한 옥을 분말화한 후 합성사의 표면에 도포하여 원사로 제작한 후 사용하는 기술이 일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경옥 입자 또는 연옥 입자가 합성사의 표면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발라져 있거나 합성사의 표면에 듬성듬성 부착되어 있는 구조로서, 합성사의 표면을 통해 돌출되는 경옥 입자 또는 연옥 입자에 의해 원사가 촉감적으로 까실까실한 느낌을 가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편안하고 매끄러운 촉감을 필요로 하는 제품에는 적용할 수가 없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경옥과 연옥 입자를 미세화하여 원사 바디(1) 내에 포함시켜 융합사를 구성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경옥 입자 또는 연옥 입자는 융합사(10)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5 내지 30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경옥 입자 또는 연옥 입자의 총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경옥 입자와 연옥 입자의 여러 특성 및 기능이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고 융합사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경옥 입자와 연옥 입자의 총 함량이 30중량%를 초과하면 원사 바디(1) 내에서 경옥 입자 또는 연옥 입자가 고르게 분산되지 못하고 국부적으로 뭉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심한 경우 융합사(10)가 지나치게 딱딱해지거나 경옥 입자 또는 연옥 입자가 융합사(10) 바깥으로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닥나무 융합사(10)는 여러 특성 및 기능을 더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제로서, 필요에 따라 가소제, 난연제, 산화방지제, 내마모성 향상제 및 항균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공지된 방법으로는 닥나무 섬유사를 미세한 가루와 같은 알갱이 형태로 만드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그러나, 위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닥나무 융합사(10)는 닥나무가 섬유질이 아니라 초미세한 크기를 갖는 파쇄형 소입자 형태의 닥 마이크로 분말(2)로 되어, 이러한 닥 마이크로 분말(2) 복수 개가 원사 바디(1) 내에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고르게 분산되어 배치되는 구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융합사(10)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지게 되어 종래의 바늘의 귀에 울퉁불퉁한 원사의 중간 부분이 걸리던 현상을 방지하여 재봉에 의해 섬유 제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면 섬유 대비 가벼우면서도 인열 강도 및 인장 강도가 우수하고, 기존의 닥나무 섬유질을 이용한 원사에 비해 실의 밀도와 장력 및 실의 굵기 대비 닥의 투입 함량(입자 분포) 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종래의 방적사 타입으로 제조되는 닥솜 섬유를 5배 확대하여 나타낸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해 제조되는 닥나무 융합사로서 폴리 나이론을 5배 확대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존의 닥솜 섬유는 표면이 우들두들하고 두께가 불균일하며 잔실 또는 부푸러기가 심하게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에서와 같이, 닥나무 융합사(10)가 닥나무 껍질을 이용하여 제조됨에도 불구하고 표면이 평평하고 매끄럽게 형성되고 균일한 두께를 가지며 잔실 및 부푸러기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닥나무 융합사(10)를 이용하여 제조된 섬유 제품은 시각적으로 또는 촉감적으로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닥나무 융합사(10)는 원사 바디(1) 내에 포함된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2)에 의해 우수한 항균성, 소취성 및 속건성 등의 특성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이하 각 시험의 설명에서 닥섬유 또는 한지, 한지사는 본 실시 예의 닥 마이크로 분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성분으로 간주한다.
상기 항균성은 전염성 질환의 원인이 되는 박테리아, 곰팡이 등을 사멸시키는 작용을 하는 특성을 의미한다. 도 3은 일정시간 경과 후 감소세균수/ml와 정균감소율(%)을 평가하기 위해 KS K 0693:2011의 시험방법으로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과 폐렴균(Klebsiella pneumonia ATCC 4352)에 대해 항균성을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시료편의 경우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해서는 99.9%, 폐렴균에 대해서도 99.9%의 정균감소율(%)을 나타내므로, 본 실시 예의 닥나무 융합사(10)가 우수한 항균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질적으로 본 실시 예의 닥나무 융합사(10)는 총 중량에 대하여 닥 마이크로 분말(2)이 7중량% 포함되는 경우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해 33.3%, 폐렴균에 대해 15.0%의 정균감소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닥 마이크로 분말(2)의 함량을 증가시키면 이러한 항균성은 더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의 닥나무 융합사(10)는 우수한 항균성을 가지므로 아토피 어린이용 의류, 치료용 거즈 또는 바이오 필터류 등의 재료로 활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5는 닥섬유의 소취성을 나타낸 표로서, 가스검지관법에 의해 탈취율을 평가한 것이다. 상기 가스검지관법은 5L의 테트라백에 (10x10)㎝의 제시 시료를 넣고 초기 농도로 조정한 가스 3L를 주입한 후 2시간 후 가스 농도를 검지관으로 측정하여 악취 제거 특성인 소취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닥 마이크로 분말(2)은 3대 악취 중 하나인 암모니아에 대하여 99.5% 이상의 매우 우수한 제거율을 나타낸다. 더불어, 본 실시 예의 닥 마이크로 분말(2)은 포름알데히드에 대해서는 33.3%, 벤젠에 대해서는 15.0%, 톨루엔에 대해서는 15.0%의 제거율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의 닥나무 융합사(10)는 소취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병원복이나 노년층의 의류와 같은 섬유 제품의 재료로 활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후술하는 식품용 위생장갑의 재료로 활용하기에도 적합하다.
상기 속건성은 인체의 땀과 수분을 신속히 흡수하고 발산시키는 특성으로서, 본 실시 예의 닥나무 융합사(10)로 제조된 섬유 제품은 면 제품 대비 착용 또는 사용시 쾌적한 상태를 오랜 시간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각종 재료의 원적외선 방사율(10~30㎛)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의 원적외선 방사율은 FT-IR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40에서 시험한 것이며 한지를 흑체(black body) 대비 측정한 결과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닥나무 융합사(10)는 닥 마이크로 분말(2)에 의해 면 소재의 일반적인 섬유류 보다 적어도 9배 이상의 원적외선 방사 투과율을 가질 수 있으며, 참숯, 자기 또는 황토와 유사한 0.9 수준의 원적외선 방사 투과율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원적외선은 인체의 생리작용을 활성화시키고 살균력 등의 유익한 기능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각종 재료의 건조성능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의 건조성능은 유사한 조직과 중량을 가진 면섬유(Cotton), PET섬유와의 수분에 대한 증산성(보켄법 II)을 평가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닥섬유(한지)는 면사와 PET 섬유의 중간 정도의 발산성을 가질 수 있으며, 면 섬유 보다 2배 이상의 빠른 수분 발산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실시 예의 닥나무 융합사(10)는 닥 마이크로 분말(2)에 의해 적절한 수분 함유량을 지니고 있어 보습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의 닥나무 융합사(10)는 건조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아웃도어, 양말, 속옷 등의 섬유 제품의 재료로 활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후술하는 식품용 위생장갑의 재료로 활용하기에도 적합하다.
한편, 본 실시 예의 닥 마이크로 분말(2)은 약 6.7pH의 산도를 가지고 있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닥 마이크로 분말(2)이 원사 바디(1) 내부에서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분산되게 배치되도록 고분자 물질과 융합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므로, 세탁을 여러 번 하더라도 원사 바디(1)에 의해 커버된 닥 마이크로 분말(2)의 항균성 및 소취 효과 등이 오랜 동안 지속될 수 있다.
이에 닥나무 융합사(10)를 아동섬유류, 내의류, 중의류, 외의류, 침구류, 장갑, 양말, 위생의류, 타올, 인솔, 메디컬 제품 및 그 외 기타 특수 목적의 직조물 등 다양한 종류의 섬유 제품과, 더욱이 잔실 또는 부푸러기의 발생이 없어 필요시 식품을 취급할 때 사용하는 식품용 위생장갑과 같은 섬유 제품이나 또는 수술용 장갑과 같은 의료 분야 등 위생이 요구되는 분야의 제품 재료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닥나무 융합사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닥나무 융합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일 실시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 예의 닥나무 융합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닥나무 껍질과 염화은 및 원사 바디를 형성하기 위한 주성분으로 사용되는 고분자 물질이 필요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먼저 닥나무 껍질을 세절기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소정 크기의 조각들로 절단하는 제1 단계(S11)를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닥나무 껍질은 흑피와 백피로 이루어져 있고,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닥나무 껍질 조각을 천연 잿물로 세척한 후(S12), 닥나무 껍질 조각을 증기로 찐 후 흑피를 벗겨 백피를 추출한다(S13). 도 9는 천연 잿물로 세척 후 닥나무 껍질의 흑피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10은 흑피 제거 후 추출된 백피를 나타낸 사진이다.
그리고, 이후 백피를 포함하는 닥나무 껍질 조각들은 후 공정에서 사용하기 위해 차아염소산 수용액과 같은 표백제 등을 이용하여 세척(S14)함으로써 닥나무 껍질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한 기본 재료를 마련하게 된다.
다음으로,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1,000 메쉬 초과, 10,000 메쉬 이하의 초미세한 크기를 갖는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로 미세분말화 하는 제2 단계(S40)를 진행한다.
이때, 닥 마이크로 분말의 입자 크기가 1,000 메쉬 초과, 10,000 메쉬 이하의 범위를 벗어나면, 후술하는 고분자 물질과의 혼합 과정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만족스러운 결과가 도출되지 못하고 완성된 닥나무 융합사의 두께가 고르지 못하며 표면이 심하게 우들두들해지는 등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현상이 발생한 닥나무 융합사로 식품용 위생장갑을 제조하면 편직된 식품용 위생장갑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고르지 못하고 표면이 매끄럽지 못한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미세분말화 과정은, 급속 냉동 파쇄, 볼밀을 이용한 습식 가공, 버티칼 에어젯밀을 이용한 건식 가공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급속 냉동 파쇄 공정은, 먼저 상기 가본 재료인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수분 함유량이 5 내지 30중량%가 되도록 가습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가습 후 닥나무 껍질 조각의 수분 함유량은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중량%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습 공정은 후술하는 급속 질소 냉각 공정을 위해 닥나무 껍질 조각에 적정량의 수분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이때 상기 가습 공정은 분무 또는 함침 등의 여러 방법을 이용할 수 있고, 해당 공정은 필요시 동일한 조건에서 수 차례 반복하여 진행할 수 있으며, 닥나무 껍질 조각의 최종 수분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에 오게 된다면 가습 조건 및 가습 횟수, 구체적인 방법 등이 특정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닥나무 껍질 조각들의 최종 수분 함유량이 5중량% 미만이 되면 후술하는 냉각 공정에서 얼음과 같은 형태로 제대로 얼지 않게 되어 그 이후의 미세분말화 공정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닥나무 껍질 조각들의 최종 수분 함유량이 30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후술하는 냉각 공정에서 얼음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져 미세분말화 공정에서 닥나무 껍질 조각이 10,000 메쉬 이하로 분쇄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분 함유량이 5 내지 30중량%로 맞춰진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200 내지 -250에서 급속 질소 냉각하여, 얼음과 같은 상태로 동결시키는 단계를 진행한다. 이때, 냉각 온도가 -250보다 더 낮으면 효율 대비 작업 공정상 과다한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냉각 온도가 -200보다 높으면 닥나무 껍질 조각들 중 일부가 얼음 형태로 완전히 냉각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급속 냉각된 얼음 형태의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공지된 분쇄기 등을 이용하여 초미세한 크기를 갖는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로 미세분말화 한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볼밀을 이용하는 습식 가공과 버티칼 에어제트밀을 이용하는 건식 가공 중 하나를 선택하여 미세분말화를 1회 진행하면, 볼밀의 볼 또는 제트기류에 의한 분자 충돌로 인해 닥 마이크로 분말의 입자 크기를 1,000 메쉬 초과 4,000 메쉬 이하로 미세분말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습식 가공 또는 건식 가공을 1회 반복하면 닥 마이크로 분말의 입자 크기를 최대 6,000 메쉬까지 더 미세분말화 할 수 있고, 상기의 습식 가공 또는 건식 에어제트밀 가공을 다수 회차 반복하면 닥 마이크로 분말의 입자 크기를 최대 10,000 메쉬까지 초 미세한 크기로 더 미세분말화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습식 가공 또는 건식 가공의 횟수를 조정하여 닥 마이크로 분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이렇게 다양한 크기로 미세분말화 된 닥 마이크로 분말을 사용하여 후술하는 공정을 계속 진행하면 적용되는 제품에 따라 제조 비용 대비 불량이 없고 원사의 두께가 얇더라도 닥나무의 특성이 그대로 반영될 수 있는 우수한 품질을 가지는 닥나무 융합사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90 내지 300의 용해 온도 조건을 갖는 압출 용해로에 고분자 물질과 염화은과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을 투입하고 혼합하여 혼합물을 마련하는 제3 단계(S50)를 진행한다.
상기 고분자 물질은 융합사의 원사 바디를 구성하는 주성분 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및 폴리우레탄 수지 등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닥 마이크로 분말의 총 함량은 상기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30중량%가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닥 마이크로 분말의 총 함량이 2.5중량% 미만인 경우 제조된 융합사의 장력과 내구성이 크게 저하되고 닥나무의 여러 특성 및 기능이 거의 구현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닥 마이크로 분말의 총 함량이 30중량%를 초과하면 제조된 융합사의 유연성이 크게 저하되고 융합사가 지나치게 딱딱해지거나 융합사의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게 되거나 심한 경우 융합사의 표면이 우들두들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출 용해로의 온도가 90미만인 경우 이상 유동 현상이 발생하여 작업성이 저하되어 융합사의 품질도 같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상기 압출 용해로의 온도가 300를 초과하면 열분해가 발생하여 고분자 물질의 분자량이 저하되어 융합사의 강도가 낮아지면서 융합사의 일부가 손실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3 단계에서, 상기 혼합물은 땀 흡수 기능을 향상시키고 통풍성, 내열성,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마(Linen)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는 미세한 크기로 된 마 입자의 상태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3 단계에서, 상기 혼합물은 경옥 입자 또는 연옥 입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상기 혼합물 마련시 상기 압출 용해로에 가소제, 난연제, 산화방지제, 내마모성 향상제 및 항균제 등의 첨가제를 더 투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압출 용해로에 마련된 미세 노즐에 실린더로 기계적 압력을 가하여 상기 혼합물을 방사 공정으로 압출하여 길게 실 형태로 된 융합사를 성형하는 제4 단계(S60)를 진행한다. 이때, 융합사는 고분자 물질 내에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이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고르게 분산되게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렇게 성형된 융합사는 필요시 별도의 권취 공정을 통해 도 1에서와 같이 보빈 등에 감아둘 수 있다.
이후 건조 과정을 거쳐 완성되는 닥나무 융합사는 앞서 혼합물을 마련하는 단계에서 첨가제를 조정하고 본 압출 단계에서 미세 노즐의 규격을 조절하여 필요에 따라 폴리 나이론, 마이크로 화이바 및 극세사 등의 다양한 종류와 굵기를 갖는 원사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닥나무 융합사는 바람직하게 40 내지 1,800 데니어의 특성을 가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기계적인 방법으로는 닥나무 껍질을 아무리 잘게 부수어도 닥나무의 섬유질이 일정 길이를 갖는 형태가 유지되어 닥나무 섬유사의 굵기가 일정하지 않고 표면이 우들두들해질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닥나무 껍질을 일정한 수분 함유량을 갖도록 가습한 후 급속 질소 냉각한 후 분쇄하거나 또는 가공 횟수를 조정하여 볼밀을 이용한 습식 가공 또는 버티칼 에어제트밀을 이용한 건식 가공으로 분쇄하면 1,000 메쉬 초과, 10,000 메쉬 이하에서 작업자가 원하는 선택된 크기의 미세한 알갱이로 만들 수 있으므로, 이러한 닥 마이크로 분말이 고분자 물질로 된 원사 바디 내에서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분산되게 배치되어 굵기가 균일해지면서 표면이 우들두들해지는 것이 방지된 닥나무 융합사룰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필요에 따라 제4 단계 이후에 염색 단계(S70)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염색 단계는 닥나무 융합사에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색을 입히는 공정으로, 성형이 완료된 닥나무 융합사를 천연 또는 인공 염료에 담가 색을 입힐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식품용 위생장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식품용 위생장갑(100)에 사용되는 융합사(10)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도 11의 A부분을 크게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식품용 위생장갑(100)은 착용자가 손(H)을 집어 넣을 수 있도록 개방된 부분을 갖는 손목커버부(110), 착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이 수용되는 메인바디부(120) 및 착용자의 손가락 부분이 수용되는 손가락수용부(130)를 포함한다. 이때, 손목커버부(110)는 구부림 변형이 발생되어 착용시 손목을 움직이기 용이하도록 복수의 주름을 가지는 신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식품용 위생장갑(100)은 앞에서 설명한 닥나무 융합사(10)를 이용하여 편직함으로써 우수한 항균성 및 탈취성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요리하는 과정이나 또는 식품을 제조 및 취급하는 과정에서 손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품용 위생장갑은, 식품이라는 취급 대상의 특성상 독성이 없는 면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된 제품이 가장 흔히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면 소재의 식품용 위생장갑은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항균성 및 탈취성이 거의 없어서 한번 사용하고 나면 세균 등에 쉽게 오염이 되고 이에 재사용을 하게 되면 이전에 취급했던 식품의 이물질이나 균 등이 장갑에 그래도 묻어 있는 상태로서 작업자의 손을 물론 새로 취급하게 되는 식품에 오염을 전가시키는 것은 물론 위생 상태를 현저히 저하시키는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 닥나무 융합사(10)에는 염화은(3)이 포함되어 있고, 이 염화은(3)으로부터 발생되는 은 이온이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여 식품용 위생장갑(100)에 집먼지 진드기가 생존 번식할 수 없는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집먼지 진드기의 발생 및 증식을 방지하여 알레르기와 천식을 유발하는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라 닥나무 융합사(10)로 식품용 위생장갑(100)을 제조하면 닥나무 융합사(10)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지게 되어 종래의 바늘의 귀에 울퉁불퉁한 원사의 중간 부분이 걸리던 현상을 방지하여 재봉에 의해 기존의 면 섬유 제품 대비 가벼우면서도 인열 강도 및 인장 강도가 우수한 식품용 위생장갑(100)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닥나무 융합사(10)가 닥나무 섬유질을 이용하여 제조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닥섬유가 잔실 또는 부푸러기가 심하게 발생하고 전체적으로 원사의 표면이 우들두들한 형태가 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닥나무 융합사(10)의 표면이 평평하고 매끄럽게 형성되고 잔실 및 부푸러기의 발생이 억제되므로, 이러한 닥나무 융합사(10)를 이용하여 제조된 식품용 위생장갑이 시각적으로 또는 촉감적으로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예의 닥나무 융합사(10)로 제조된 식품용 위생장갑은 속건성을 가지고 있어서, 면 장갑 대비 착용 또는 사용시 쾌적한 상태를 오랜 시간 유지할 수 있다. 땀 자체는 냄새가 없지만 박테리아가 증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냄새는 땀과 박테리아가 합쳐져서 발생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닥 마이크로 분말(2)의 우수한 속건성 및 소취성과 함께 염화은(3)의 추가 작용에 의해 냄새를 유발할 수 있는 땀을 제거하면서 박테리아나 곰팡이의 성장 및 증식을 억제하여 매우 우수한 탈취 효과를 제공하는 식품용 위생장갑(100)을 형성할 수 있다.
시험 예 1
도 14 내지 도 17은 FITI 시험연구원에서 JIS L 1902, 균액흡수법-평판배양법을 이용하여 비교 예인 일반 섬유와 본 발명의 닥나무 융합사로 제조한 식품용 위생장갑의 항균 활성치를 각각 측정한 시험 보고서이다. 여기서, 도 15는 식품용 위생장갑 시료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고, 도 16은 균주 1에 대한 비교 예와 실시 예의 항균력 시험 결과를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17은 균주 2에 대한 비교 예와 실시 예의 항균력 시험 결과를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시험의 데이터는, 각 샘플 별로 초기 개체군(접촉시간 0시간)과 비교하여 샘플 목록의 표면과 18시간 동안 접촉한 후의 개체군의 차이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비교 예(BLANK)는 면 100%로 이루어진 섬유로 제조된 식품용 위생장갑을 사용하였고, 실시 예(#1)의 장갑을 제조하기 위한 섬유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성분으로 본 발명의 닥 마이크로 분말이 10중량%, 염화은이 0.4중량% 포함된 융합사를 사용하였다. 또한, 사용공시균주는, 균주 1의 경우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P)이고, 균주 2의 경우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8739)이다. 이때, 바이온계면활성제 TWEEN 80을 접종균액에 0.05중량% 첨가하였다.
도 14를 참조하면, 균주 1을 이용한 시험에서, 초기 개체군의 황색포도상구균의 개수는 38,000개이다. 그러나, 비교 예의 경우 18시간 이후 황색포도상구균의 개수가 12,000,000개로 급속히 증가하였다. 반면에, 실시 예의 경우 황색포도상구균의 개수가 99.9% 이상 크게 감소하였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닥나무 융합사를 포함하는 식품용 위생장갑의 경우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균주 2를 이용한 시험에서, 초기 대장균의 개수는 38,000개이다. 그러나, 비교 예의 경우 18시간 이후 대장균의 개수가 42,000,000개로 급속히 증가하였다. 반면에, 실시 예의 경우 대장균의 개수가 99.9% 이상 크게 감소하였다. 즉, 본 발명의 닥나무 융합사를 포함하는 식품용 위생장갑의 경우 대장균에 대한 항균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닥나무 섬유사는 원사로부터 잔실 또는 부푸러기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서는, 닥나무 섬유질이 닥 마이크로 분말(2)로 이루어져 닥나무 융합사(10)의 표면으로부터 잔실 또는 부푸러기의 발생이 없어 식품을 취급할 때 사용하는 식품용 위생장갑의 재료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식품용 위생장갑(100)은 잔실 또는 부푸러기의 발생이 없으면서도 장갑의 전체 표면이 코팅막으로 커버되는 구조가 아니므로 통기성이 우수하여 착용자의 손에서 발산하는 땀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고, 이에 장갑의 착용감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식품용 위생장갑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식품용 위생장갑을 제조하는 방법을 일 실시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 예의 닥나무 융합사를 포함하는 식품용 위생장갑은 먼저 편직을 하기 위한 닥나무 융합사를 제조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닥나무 융합사의 제조방법은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반적으로 닥나무 껍질은 길이 방향으로 긴 선형의 형태를 띄는 섬유질을 가지며, 통상의 기계적 방법으로는 닥나무를 아무리 잘게 부수더라도 이러한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섬유질의 형태가 계속하여 유지되기 때문에. 닥나무 껍질을 이용하여 원사를 제조하면 원사에 포함된 닥나무 섬유질의 길이가 원사의 굵기 보다 더 길거나 하여 닥나무 섬유질의 단부가 원사의 내측면을 누르거나 원사의 표면을 통해 돌출되면서 전체적으로 원사의 굵기가 일정하지 않고 원사의 표면이 우들두들한 형태가 되는 문제와 원사에 균일도와 장력(힘)이 약해 원사가 쉽게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더욱이 이러한 문제는 원사의 굵기가 가늘어질수록 더욱 심화되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원사의 굵기가 일정하지 않으면 귀의 구멍 크기가 원사의 평균 굵기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바늘의 경우 바느질을 하는 도중에 원사가 귀의 구멍에 걸려 제대로 작업을 할 수가 없게 되므로 장갑을 제대로 편직하여 제조하기 힘든 것은 물론, 제품을 완성하더라도 시각적으로 또는 촉감적으로 장갑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었다.
즉, 종래의 기계적인 방법으로는 닥나무 껍질을 아무리 잘게 부수어도 섬유질이 일정 길이를 갖는 형태가 유지되어 닥나무 섬유사의 굵기가 일정하지 않고 표면이 우들두들해질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닥나무 껍질을 일정한 수분 함유량을 갖도록 가습한 후 급속 질소 냉각한 후 분쇄하거나 또는 가공 횟수를 조정하여 습식 가공 또는 건식 가공하여 분쇄하면 필요에 따라 크기를 조절하여 1,000 메쉬 초과, 10,000 메쉬 이하 크기의 알갱이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닥 마이크로 분말이 고분자 물질로 된 원사 바디 내에서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분산되게 배치되어 제조된 닥나무 융합사의 굵기가 균일해지고 표면이 우들두들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편직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이러한 닥나무 융합사로 식품용 위생장갑을 제조하면 외형적 품질이 우수하면서 편직을 통해 융합사의 장력을 향상시키고, 압출 노줄 통과로 인해 융합사에 정밀도를 부여할 수 있으며, 우수한 항균성 및 탈취성을 더 부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염화은은 분말이 아닌 액상으로도 첨가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앞서 제5 단계에서 혼합물 제조시 염화은 분말을 첨가하지 않고, 6단계를 거쳐 실 형태로 성형된 닥나무 융합사를 염화은이 용해된 수산화암모늄(NH4OH) 용액이 담긴 수조 등에 침지하여 닥나무 융합사의 표면에 염화은 성분을 도포하여 코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염화은은 바람직하게는 나노입자화 되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수산화암모늄은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없기 때문에 본 실시 예의 융합사의 용매로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융합사를 이용하여 개방된 부분을 갖는 손목커버부, 착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이 수용되는 메인바디부 및 손가락수용부를 포함하는 장갑 형태로 심리스 편직하여 재봉하여(S80) 식품용 위생장갑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원사 바디
2: 닥 마이크로 분말
3: 염화은
10: 융합사
100: 식품용 위생장갑
110: 손목커버부
120: 메인바디부
130: 손가락수용부
2: 닥 마이크로 분말
3: 염화은
10: 융합사
100: 식품용 위생장갑
110: 손목커버부
120: 메인바디부
130: 손가락수용부
Claims (12)
-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고, 길게 실 형태로 형성되는 원사 바디; 및
닥나무 껍질을 분쇄하여 1,000 메쉬(mesh) 초과, 10,000 메쉬 이하 크기의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사 바디 내에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분산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나무 융합사. - 제1항에 있어서,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닥 마이크로 분말은 2.5 내지 30중량%가 포함되고,
염화은 0.3 내지 0.5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나무 융합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닥나무 융합사는, 마(Linen) 입자, 경옥 입자 또는 연옥 입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나무 융합사. - 닥나무 껍질을 복수의 조각으로 절단하는 제1 단계;
상기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분쇄하여 1,000 메쉬 초과, 10,000 메쉬 이하 크기의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로 미세분말화 하는 제2 단계;
고분자 물질과 상기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마련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방사 공정으로 압출하여 상기 고분자 물질 내에 상기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이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분산되게 배치된 융합사를 성형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나무 융합사의 제조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닥 마이크로 분말이 2.5 내지 30중량% 포함되도록 하고,
상기 혼합물 마련시, 상기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염화은이 0.3 내지 0.5중량% 더 포함되도록 하고,
상기 혼합물 마련시, 마 입자, 경옥 입자 또는 연옥 입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나무 융합사의 제조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볼밀을 이용한 습식 가공 또는 버티칼 에어제트밀(분자 충돌)을 이용한 건식 가공으로 분쇄하되, 가공 횟수를 조정하여 닥 마이크로 분말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나무 융합사의 제조 방법. - 항균성 및 탈취성을 갖는 융합사를 개방된 부분을 갖는 손목커버부, 착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이 수용되는 메인바디부 및 손가락수용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편직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융합사는, 주성분인 고분자 물질과 은 이온을 발산시키는 염화은을 포함하고 길게 실 형태로 형성되는 원사 바디, 및 닥나무 껍질을 분쇄하여 1,000 메쉬 초과, 10,000 메쉬 이하 크기의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사 바디 내에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분산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나무 융합사를 포함하는 식품용 위생장갑.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융합사는,
상기 융합사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닥 마이크로 분말은 2.5 내지 30중량%가 포함되고,
상기 염화은은 0.3 내지 0.5중량%가 포함되고,
마(Linen) 입자, 경옥 입자 또는 연옥 입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나무 융합사를 포함하는 식품용 위생장갑. - 닥나무 껍질을 복수의 조각으로 절단하는 제1 단계;
상기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분쇄하여 1,000 메쉬 초과, 10,000 메쉬 이하 크기의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로 미세분말화 하는 제2 단계;
고분자 물질, 복수의 염화은 분말 및 상기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마련하는 제3 단계;
상기 혼합물을 방사 공정으로 압출하여 상기 고분자 물질 내에 상기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과 상기 복수의 염화은 분말이 소정 간격을 두고 분산되게 배치되어 항균성 및 탈취성을 가지는 융합사를 성형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융합사를 개방된 부분을 갖는 손목커버부, 착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이 수용되는 메인바디부 및 손가락수용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편직하여 장갑을 제조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염화은 분말 0.3 내지 0.5중량%와 닥 마이크로 분말 2.5 내지 30중량%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나무 융합사를 포함하는 식품용 위생장갑의 제조 방법. - 닥나무 껍질을 복수의 조각으로 절단하는 제1 단계;
상기 닥나무 껍질 조각들을 분쇄하여 1,000 메쉬 초과, 10,000 메쉬 이하 크기의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로 미세분말화 하는 제2 단계;
고분자 물질과 상기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마련하는 제3 단계;
상기 혼합물을 방사 공정으로 압출하여 상기 고분자 물질 내에 상기 복수의 닥 마이크로 분말이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분산되게 배치되는 융합사를 성형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융합사를 개방된 부분을 갖는 손목커버부, 착용자의 손등과 손바닥이 수용되는 메인바디부 및 손가락수용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편직하여 장갑을 제조하는 제5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5 단계 이전에, 상기 융합사를 염화은이 용해된 수산화암모늄(NH4OH) 용액에 침지하여 상기 융합사가 항균성 및 탈취성을 갖도록 상기 융합사 표면에 염화은을 코팅하는 단계를 먼저 진행하고,
상기 제5 단계 이후에, 융합사는 융합사의 총 중량에 대하여, 염화은 0.3 내지 0.5중량%와, 닥 마이크로 분말 2.5 내지 30중량%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나무 융합사를 포함하는 식품용 위생장갑의 제조 방법. -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혼합물 마련시, 마 입자, 경옥 입자 또는 연옥 입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닥나무 융합사를 포함하는 식품용 위생장갑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0530A KR102196545B1 (ko) | 2019-11-05 | 2019-11-05 | 닥나무 융합사와 그 제조 방법, 및 닥나무 융합사를 포함하는 식품용 위생장갑과 그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0530A KR102196545B1 (ko) | 2019-11-05 | 2019-11-05 | 닥나무 융합사와 그 제조 방법, 및 닥나무 융합사를 포함하는 식품용 위생장갑과 그 제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96545B1 true KR102196545B1 (ko) | 2021-01-08 |
Family
ID=74127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0530A KR102196545B1 (ko) | 2019-11-05 | 2019-11-05 | 닥나무 융합사와 그 제조 방법, 및 닥나무 융합사를 포함하는 식품용 위생장갑과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6545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51794B1 (ko) | 1996-03-07 | 1998-10-15 | 김준한 | 연옥분이 함침된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
KR100478775B1 (ko) | 2004-10-05 | 2005-03-29 | (주)한성크린소재 | 항균 및 탈취제 조성물이 도포된 식품가공용 장갑 |
KR20070041808A (ko) | 2005-10-17 | 2007-04-20 | 이견부직포 유한회사 | 닥 실 및 그 제조방법 |
KR20120038061A (ko) * | 2010-10-13 | 2012-04-23 | 양혜지 | 닥나무를 주원료로 하는 스타킹 |
KR20120046714A (ko) | 2009-06-12 | 2012-05-10 | 에이지 바이오 테크, 엘엘씨 | 은이 화학적 및/또는 물리적으로 결합된 셀룰로오스 매트릭스의 항균성 면 섬유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항균성 면 섬유 |
KR101325839B1 (ko) | 2012-09-06 | 2013-11-05 | 민승기 | 닥나무를 이용한 화섬혼방사 제조방법 |
KR20130126137A (ko) * | 2012-05-11 | 2013-11-20 | 안석철 | 섬유질의 닥 펄프 지료를 포함하는 복합 기능 장신구 |
JP2015140501A (ja) * | 2014-01-29 | 2015-08-03 | 帝人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 抗菌防炎性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抗菌防炎性ポリエステル布帛および繊維製品 |
-
2019
- 2019-11-05 KR KR1020190140530A patent/KR10219654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51794B1 (ko) | 1996-03-07 | 1998-10-15 | 김준한 | 연옥분이 함침된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
KR100478775B1 (ko) | 2004-10-05 | 2005-03-29 | (주)한성크린소재 | 항균 및 탈취제 조성물이 도포된 식품가공용 장갑 |
KR20070041808A (ko) | 2005-10-17 | 2007-04-20 | 이견부직포 유한회사 | 닥 실 및 그 제조방법 |
KR20120046714A (ko) | 2009-06-12 | 2012-05-10 | 에이지 바이오 테크, 엘엘씨 | 은이 화학적 및/또는 물리적으로 결합된 셀룰로오스 매트릭스의 항균성 면 섬유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항균성 면 섬유 |
KR20120038061A (ko) * | 2010-10-13 | 2012-04-23 | 양혜지 | 닥나무를 주원료로 하는 스타킹 |
KR20130126137A (ko) * | 2012-05-11 | 2013-11-20 | 안석철 | 섬유질의 닥 펄프 지료를 포함하는 복합 기능 장신구 |
KR101325839B1 (ko) | 2012-09-06 | 2013-11-05 | 민승기 | 닥나무를 이용한 화섬혼방사 제조방법 |
JP2015140501A (ja) * | 2014-01-29 | 2015-08-03 | 帝人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 抗菌防炎性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抗菌防炎性ポリエステル布帛および繊維製品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7212666A1 (ja) | 菌対策用電荷発生糸、菌対策用布、布、衣料、医療部材、生体作用電荷発生糸、および物質吸着用電荷発生糸 | |
KR101940049B1 (ko) | 항균소취 기능성 방적사 및 그 제조방법, 항균소취 기능성 원단 | |
KR102150828B1 (ko) | 향균장갑의 제조방법 | |
KR102071475B1 (ko) | 식품용 위생장갑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016794B1 (ko) | 신축성 및 쾌적성이 우수한 하계용 항균소취원단의 제조방법 | |
CN106409105B (zh) | 教学用手术衣 | |
KR101896361B1 (ko) | 항균성 및 소취성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의류 | |
KR102196545B1 (ko) | 닥나무 융합사와 그 제조 방법, 및 닥나무 융합사를 포함하는 식품용 위생장갑과 그 제조 방법 | |
CN106637911A (zh) | 一种功能型民用防护聚烯烃无纺布及其制备方法 | |
KR102069499B1 (ko) | 닥나무 융합사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224402B1 (ko) | 항균장갑과 그 제조방법 | |
US20090124152A1 (en) | Composite Thread and Obtained Textile | |
KR102184455B1 (ko) | 항균력이 우수한 나노 은(銀) 피착방법 및 그 나노 은(銀)이 피착된 사물 | |
CN207886181U (zh) | 珍珠纤维清洁用品和清洁工具 | |
KR200390864Y1 (ko) | 나노실버와 향이 함유된 안전모 | |
CN214496607U (zh) | 一种具有抗菌性健康舒适的混纺纱线 | |
KR20090050578A (ko) | 이중표면구조의 천연광물 함유 다기능성 원단 | |
KR940011536B1 (ko) | 천연석을 함유하는 인조섬유 및 그 섬유제품 | |
KR20070082091A (ko) | 대나무 직물층을 갖는 마스크 | |
CN205800402U (zh) | 一种防潮抗菌的涤纶经编毛毯 | |
KR200402425Y1 (ko) | 기능성 가운 | |
KR102381536B1 (ko) | 무해성 원단 | |
US11814753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antibacterial copper nanofiber yarn | |
CN221576874U (zh) | 一种防紫外线的羊毛衫 | |
KR200389599Y1 (ko) | 패딩의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