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9776B1 - 구리원사를 포함하는 항균성을 갖는 기능성 직물과 이를 이용한 마스크 - Google Patents

구리원사를 포함하는 항균성을 갖는 기능성 직물과 이를 이용한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9776B1
KR102229776B1 KR1020200114088A KR20200114088A KR102229776B1 KR 102229776 B1 KR102229776 B1 KR 102229776B1 KR 1020200114088 A KR1020200114088 A KR 1020200114088A KR 20200114088 A KR20200114088 A KR 20200114088A KR 102229776 B1 KR102229776 B1 KR 102229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abric
extract
blended fabric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4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식
나경
반봉찬
Original Assignee
김중식
나경
반봉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식, 나경, 반봉찬 filed Critical 김중식
Priority to KR1020200114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9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9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97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01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 D06M15/17Natural resins, resinous alcohols, resinous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92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antimicrobial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냉감성 및 소취율이 우수하고, 항균 효과를 가지는 혼방 직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혼방 직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혼방 직물을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마스크 제조가 가능하다.

Description

구리원사를 포함하는 항균성을 갖는 기능성 직물과 이를 이용한 마스크{Functional textile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comprising copper fiber and mask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감성 및 소취율이 우수하고, 항균 효과를 가지는 혼방 직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혼방 직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공기 중 미세물질을 차단하여 사람의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마스크는 용도에 따라 여러 형태로 분류되는데, 보건 마스크의 경우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을 막기 위해 사용한다.
마스크 제품 착용 시 인체에서 분비되는 땀 등에 의해 세균이나 미생물이 번식하게 되며 이러한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면서 악취를 발생시키거나 신체 접촉에 의해 피부 질병을 유발하기도 한다.
편백나무는 노송나무, 회목(檜木)이라고도 하고, 겉씨식물인 측백나무과(Cupressaceae)에 속하는 상록비늘잎교목이다. 그리고 편백나무 원목에는 피톤치드라는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피톤치드는 식물이 병원균, 해충, 곰팡이에 저항하려고 내뿜거나 분비하는 물질로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당분야에서는 친환경적인 제품을 만들고자 편백나무의 활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0500115호에는 비타민 및 음이온이 포함된 직물지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06-0004632호에는 위생 기능성 혼합물이 도포된 직물지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항균성을 갖는 기능성 직물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는 항균 및 소취작용이 향상되고 냉감성이 우수하여 쾌적하고 시원한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는 혼방 직물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나일론, 폴리우레탄 및 구리원사를 직조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직조된 직물에는 편백 정유, 라임 착즙액, 쑥부쟁이 추출액 및 터리풀 추출액이 혼합된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방 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혼방 직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혼방 직물은 냉감성이 우수하고 소취율이 높아 쾌적하면서 시원하고, 항균 효과를 지녀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방 직물은 다양한 종류의 마스크 제조에 사용할 수 있고, 가벼운 상의, 병원용 가운 등에도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나일론, 폴리우레탄 및 구리원사를 직조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직조된 직물에는 편백 정유, 라임 착즙액, 쑥부쟁이 추출액 및 터리풀 추출액이 혼합된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방 직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혼방 직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직조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터 87.5~88.6 중량%, 나일론 6~6.6 중량%, 폴리우레탄 4~5 중량% 및 구리원사 0.8~1.2 중량%를 직조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터 88.1 중량%, 나일론 6.3 중량%, 폴리우레탄 4.6 중량% 및 구리원사 1 중량%를 직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혼방 직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편백 정유 85~87 중량%, 라임 착즙액 4~6 중량%, 쑥부쟁이 추출액 4~6 중량% 및 터리풀 추출액 3~5 중량%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편백 정유 86 중량%, 라임 착즙액 5 중량%, 쑥부쟁이 추출액 5 중량% 및 터리풀 추출액 4 중량%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쑥부쟁이 추출액은 바람직하게는 쑥부쟁이 열매에 쑥부쟁이 열매 대비 물 4~6배(v/w) 첨가한 후 70~90℃에서 50~7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쑥부쟁이 열매에 쑥부쟁이 열매 대비 물 5배(v/w) 첨가한 후 80℃에서 6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리풀 추출액은 바람직하게는 터리풀 잎에 터리풀 잎 대비 물 8~12배(v/w) 첨가한 후 70~90℃에서 50~7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터리풀 잎에 터리풀 잎 대비 물 10배(v/w) 첨가한 후 80℃에서 6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방 직물의 제조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터 87.5~88.6 중량%, 나일론 6~6.6 중량%, 폴리우레탄 4~5 중량% 및 구리원사 0.8~1.2 중량%를 직조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직조된 직물에는 상기 직물 대비,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편백 정유 85~87 중량%, 라임 착즙액 4~6 중량%, 쑥부쟁이 추출액 4~6 중량% 및 터리풀 추출액 3~5 중량%가 혼합된 혼합물이 0.08~0.12%(w/w) 함유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터 88.1 중량%, 나일론 6.3 중량%, 폴리우레탄 4.6 중량% 및 구리원사 1 중량%를 직조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직조된 직물에는 상기 직물 대비 편백 정유 86 중량%, 라임 착즙액 5 중량%, 쑥부쟁이 추출액 5 중량% 및 터리풀 추출액 4 중량%가 혼합된 혼합물이 0.1%(w/w)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혼방 직물을 제공한다. 상기 혼방 직물은 마스크 본체의 겉감, 안감 그리고 필터 등 다양한 형태로 마스크 제조가 가능하고, 비말 차단용 마스크 및 덴탈 마스크 제조가 가능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1. 편백 정유 추출
편백나무의 가지와 잎을 분쇄하여 그물망에 적재한 후 스팀을 공급하여 강제로 피톤치드를 기화시킨 후 피톤치드가 함유된 수증기를 다시 응축시켜 물과 분리하여 고순도의 편백 정유를 추출하였다.
실시예 1. 혼방 직물 제조
(1) 라임 열매를 착즙한 후 여과하여 라임 착즙액을 준비하였다.
(2) 쑥부쟁이 열매에 쑥부쟁이 열매 대비 정제수 5배(v/w) 첨가한 후 8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쑥부쟁이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3) 터리풀(Filipendula ulmaria) 잎에 터리풀 잎 대비 정제수 10배(v/w) 첨가한 후 8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터리풀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4) 편백 정유 86 중량%, 상기 (1)단계의 준비한 라임 착즙액 5 중량%,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쑥부쟁이 추출액 5 중량% 및 상기 (3)단계의 제조한 터리풀 추출액 4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5) 폴리에스터 88.1 중량%, 나일론 6.3 중량%, 폴리우레탄 4.6 중량% 및 구리원사(구리사, 구리섬유) 1 중량%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직조하여 직물을 제조하였다.
(6) 상기 (5)단계의 제조한 직물에 상기 직물 대비 상기 (4)단계의 혼합물이 0.1%(w/w) 포함되도록 도포하여 코팅하고, 자연건조하였다.
비교예 1. 혼방 직물 제조
폴리에스터 88.1 중량%, 나일론 6.3 중량%, 폴리우레탄 4.6 중량% 및 구리원사 1 중량%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직조하여 직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혼방 직물 제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혼방 직물을 제조하되, (4)단계에서 혼합물 제조 시 쑥부쟁이 추출액 및 터리풀 추출액을 사용하지 않고, 편백 정유 86 중량% 및 라임 착즙액 14 중량%를 사용하여, 혼방 직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혼방 직물 제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혼방 직물을 제조하되, (4)단계에서 혼합물 제조 시 편백 정유 및 라임 착즙액을 사용하지 않고, 쑥부쟁이 추출액 50 중량% 및 터리풀 추출액 50 중량%를 사용하여, 혼방 직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혼방 직물 제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혼방 직물을 제조하되, (4)단계에서 혼합물 제조 시 라임 착즙액 및 터리풀 추출액을 사용하지 않고, 편백 정유 86 중량% 및 쑥부쟁이 추출액 14 중량%를 사용하여, 혼방 직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안면 마스크
얼굴의 곡률에 맞게 형성되고 입과 코를 차폐하도록 구성된 마스크 본체와, 상기한 마스크 본체의 양측에 형성되어 귀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된 귀걸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마스크 제조 시, 마스크 본체는 실시예 1의 혼방 직물을 사용하여, 안면 마스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안면 마스크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안면 마스크를 제조하되, 실시예 1의 혼방 직물을 사용하지 않고, 비교예 1의 혼방 직물을 사용하여, 안면 마스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안면 마스크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안면 마스크를 제조하되, 실시예 1의 혼방 직물을 사용하지 않고, 비교예 2의 혼방 직물을 사용하여, 안면 마스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안면 마스크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안면 마스크를 제조하되, 실시예 1의 혼방 직물을 사용하지 않고, 비교예 3의 혼방 직물을 사용하여, 안면 마스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8. 안면 마스크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안면 마스크를 제조하되, 실시예 1의 혼방 직물을 사용하지 않고, 비교예 4의 혼방 직물을 사용하여, 안면 마스크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항균 시험
본 발명에 따른 혼방 직물에 대해 한국의류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항균 시험에 대한 결과는 하기 표 1에 비교하였다.
항균성 시험(시험방법: KS K 0693:2011 준용)
혼방 직물 종류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1.3×106 CFU/ml
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
1.3×106 CFU/ml
제조예 1 99.9% 감소 88.6% 감소
비교예 1 51.3% 감소 45.0% 감소
비교예 2 91.0% 감소 81.1% 감소
비교예 3 77.4% 감소 64.4% 감소
비교예 4 83.3% 감소 72.6% 감소
그 결과, 제조예 1의 혼방 직물 샘플에서 황색포도상구균과 폐렴균의 병원균이 각각 99.9%와 88.6% 감소되어, 항균성이 가장 높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혼방 직물의 특성
시험예 1에서 항균성이 가장 높았던 혼방 직물인 제조예 1의 냉감성 및 소취율을 한국의류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측정하였다.
혼방 직물의 특성
냉감성 측정(J/cm2/s): THERMOFEEL, PF-QMM-01 QMAX 0.137
소취율(%), 가스검지관법, 시험시간 120분 96
그 결과, 제조예 1의 혼방 직물은 소취율이 높고, 적절한 냉감성을 지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혼방 직물을 이용한 마스크 선호도
제조예 2와 비교예 5 내지 8의 마스크를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각각 입과 코를 차폐되도록 써보게 한 후, 냄새, 쾌적함, 선호도를 5점 척도법으로 평가하도록 하고 평균값을 표 3에 나타내었다.
혼방 직물을 이용한 마스크 선호도
마스크 종류 냄새 쾌적함 선호도
제조예 2 4.5 4.6 4.6
비교예 5 3.5 3.3 3.4
비교예 6 4.1 4.2 4.1
비교예 7 4.0 3.8 3.9
비교예 8 4.2 4.1 3.8
그 결과, 제조예 2의 마스크가 가장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고, 비교예 5의 마스크가 가장 낮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Claims (5)

  1. 쑥부쟁이 열매에 쑥부쟁이 열매 대비 물 4~6배(v/w) 첨가한 후 70~90℃에서 50~7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쑥부쟁이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터리풀 잎에 터리풀 잎 대비 물 8~12배(v/w) 첨가한 후 70~90℃에서 50~70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터리풀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혼합물 총 중량 기준으로, 편백 정유 85~87 중량%, 라임 착즙액 4~6 중량%와 상기 제조한 쑥부쟁이 추출액 4~6 중량% 및 상기 제조한 터리풀 추출액 3~5 중량%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폴리에스터 87.5~88.6 중량%, 나일론 6~6.6 중량%, 폴리우레탄 4~5 중량% 및 구리원사 0.8~1.2 중량%를 직조하여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한 직물에 상기 직물 대비 상기 제조한 혼합물이 0.08~0.12%(w/w) 포함되도록 도포하여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렙시엘라 뉴모니애(Klebsiella pneumoniae)에 대한 항균 활성이 증진된 혼방 직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클렙시엘라 뉴모니애(Klebsiella pneumoniae)에 대한 항균 활성이 증진된 혼방 직물.
  5. 제4항의 혼방 직물은 안면 마스크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방 직물.
KR1020200114088A 2020-09-07 2020-09-07 구리원사를 포함하는 항균성을 갖는 기능성 직물과 이를 이용한 마스크 KR102229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088A KR102229776B1 (ko) 2020-09-07 2020-09-07 구리원사를 포함하는 항균성을 갖는 기능성 직물과 이를 이용한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4088A KR102229776B1 (ko) 2020-09-07 2020-09-07 구리원사를 포함하는 항균성을 갖는 기능성 직물과 이를 이용한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9776B1 true KR102229776B1 (ko) 2021-03-19

Family

ID=75262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088A KR102229776B1 (ko) 2020-09-07 2020-09-07 구리원사를 포함하는 항균성을 갖는 기능성 직물과 이를 이용한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97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287A (ko) *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 이엘컴퍼니 향기 패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7184A (ko) * 2007-04-04 2009-12-09 이에스 화이바비젼즈 가부시키가이샤 항균ㆍ탈취성 섬유, 섬유 성형품, 및 섬유 제품
KR20100128619A (ko) * 2009-05-28 2010-12-0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은사 메쉬 및 이를 이용한 항균마스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7184A (ko) * 2007-04-04 2009-12-09 이에스 화이바비젼즈 가부시키가이샤 항균ㆍ탈취성 섬유, 섬유 성형품, 및 섬유 제품
KR20100128619A (ko) * 2009-05-28 2010-12-0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은사 메쉬 및 이를 이용한 항균마스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7287A (ko) * 2021-04-27 2022-11-03 주식회사 이엘컴퍼니 향기 패치
KR102554842B1 (ko) * 2021-04-27 2023-07-12 주식회사 이엘홀딩스 향기 패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19231A (zh) 一种抗菌、保健面料生产工艺
KR102229776B1 (ko) 구리원사를 포함하는 항균성을 갖는 기능성 직물과 이를 이용한 마스크
KR20180115169A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CN107789659A (zh) 一种医用防护垫
KR101366599B1 (ko) 편백나무 수피와 잎 추출물이 포함된 다 기능성 한지 섬유의 제조방법
CN103255487A (zh) 纳米元素天然纤维的青少年健身防护服
KR101852377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기능성 마스크
CN105887484A (zh) 抗菌毛巾生产方法
KR20160118129A (ko) 항균성 및 소취성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의류
CN106319727A (zh) 一种抗菌、防过敏纺织面料及其制备工艺
CN104413075A (zh) 橱柜防霉剂
KR102540377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식물 추출 항균 조성물
CN106418743A (zh) 一种植物抗菌防臭袜及其制备方法
CN105544188A (zh) 一种抗菌防臭的亚麻纤维
KR20200064724A (ko) 제올라이트와 숯을 이용한 편백수 제조방법
KR101520274B1 (ko) 유향수지(乳香樹脂)를 이용한 베개 충전재 및 그의 제조방법
CN116236555A (zh) 一种含有中草药活性成分的口罩香氛喷雾及制备方法
KR20220005133A (ko) 항균, 항바이러스 및 유해물질 차단용 인체에 무해한 안전한 천연 스프레이 조성물
KR102272572B1 (ko) 기능성 3d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0390861Y1 (ko) 항균 모자
KR102323867B1 (ko) 기능성 의료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2323864B1 (ko) 기능성 면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82091A (ko) 대나무 직물층을 갖는 마스크
KR101334390B1 (ko) 편백정유를 함유하는 기능성 타올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기능성 타올
KR102609205B1 (ko) 식물성 항균 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