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041B1 -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확장노즐이 구비된 헤어 드라이어 - Google Patents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확장노즐이 구비된 헤어 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041B1
KR102224041B1 KR1020190032552A KR20190032552A KR102224041B1 KR 102224041 B1 KR102224041 B1 KR 102224041B1 KR 1020190032552 A KR1020190032552 A KR 1020190032552A KR 20190032552 A KR20190032552 A KR 20190032552A KR 102224041 B1 KR102224041 B1 KR 102224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nozzle
infrared rays
sintering
far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3093A (ko
Inventor
서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터보이온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터보이온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터보이온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032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041B1/ko
Publication of KR20200113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0Hair dry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4Hot-air producers
    • A45D20/08Hot-air producers heated electrically
    • A45D20/10Hand-held drying devices, e.g. air douches
    • A45D20/12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e.g. nozzles, sta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03C8/02Frit compositions, i.e. in a powdered or comminuted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5Radiation, e.g. UV, infrar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확장노즐이 구비된 헤어 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확장노즐 표면에 소결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소결함으로써, 원적외선이 방사 효율이 극대화되며, 모발 건조 시간 단축, 모발에 윤기 제공, 두피 활성화를 통한 탈모 방지 등에 효과적인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확장노즐이 구비된 헤어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확장노즐이 구비된 헤어 드라이어{Hair dryer with expansion nozzle to emit far infrared rays}
본 발명은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확장노즐이 구비된 헤어 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확장노즐 표면에 소결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소결함으로써, 원적외선이 방사 효율이 극대화되며, 모발 건조 시간 단축, 모발에 윤기 제공, 두피 활성화를 통한 탈모 방지 등에 효과적인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확장노즐이 구비된 헤어 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 드라이기는 젖은 모발을 말려주거나 손질하기 위해 사용되는 생활 가전도구로서 발열부에서 나오는 열을 모발을 향하여 송풍 팬으로 송출해 줌으로써 젖은 모발을 뜨거운 바람을 통하여 말려주거나 자신이 원하는 헤어스타일로 셋팅(Setting) 할 때 사용되고 있다.
원적외선은 인체에 가장 유익한 파장 8~20㎛ 이며, 원적외선의 가장 강력한 특징은 인체 깊숙이 파고드는 성질이 있다, 이때 인체 내 세포를 구성하는 수분과 단백질 분자에 방사되어 1분에 약 2,000번씩 미세한 진동으로 공진시켜 세포의 활동을 왕성하게 하며 신진대사가 강화되고 조직재생력이 증가하면서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다만, 현재 시판되고 있는 원적외선 드라이들은 내부에 원적외선 램프나, 단순히 세라믹 소재를 드라이어 내부 부품에 도포하는 방식을 채택하였으나, 대부분 가시광선이나 근적외선이 방사될 뿐,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것은 거의 없고, 원적외선이 방사되더라도 방사 에너지가 작다고 봐도 과언이 아닌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0399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72830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확장 노즐에 소결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소결함으로써, 원적외선이 방사 효율이 극대화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확장노즐이 구비된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적외선 방사 효율이 높기 때문에 일반 헤어 드라리어(모발건조기)보다 모발을 약 30% 빨리 건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머리카락이 긴 여성들이 바쁜 아침시간에 머리카락을 건조시키는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헤어 드라이어에서 방사된 원적외선은 모발 깊숙이 침투하는 성질이 있어 신속한 모발건조와 함께 손상된 모발을 복원시켜 주며, 건조 후 모발에 윤기가 생기고, 원적외선이 두피 깊숙이 침투하여 두피 세포를 활성화시켜 탈모 방지에도 탁월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확장노즐이 구비된 헤어 드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확장노즐이 구비된 헤어 드라이어는 내부에 일정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전방에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열선이 권취되는 보빈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배출구의 후단에 배치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주면 표면에 소결층이 형성되는 확장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소결층은 상기 확장 노즐의 내주면 표면에 소결용 조성물을 도포한 다음, 열처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확장노즐이 구비된 헤어 드라이어에 있어서, 상기 확장 노즐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빈은 전기절연 소재로 이루어지고, 표면에는 소결용 조성물을 도포한 다음 열처리하여 형성되는 소결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확장노즐이 구비된 헤어 드라이어에 있어서, 상기 소결용 조성물은 유리질 유약용 제1분말과, 원적외선 방출용 제2분말과, 물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확장노즐이 구비된 헤어 드라이어에 있어서, 소결층은 상기 유리질 유약용 제1분말과, 원적외선 방출용 제2분말과, 물을 혼합한 소결용 조성물을 상기 확장 노즐 또는 보빈 표면에 도포한 다음 1차로 150±20℃에서 10±3분 동안 건조하고, 건조된 확장 노즐 또는 보빈을 2차로 550~800℃에서 30초 내지 5분 동안 소결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확장노즐이 구비된 헤어 드라이어에 있어서, 유리질 유약용 제1분말은 규석, 장석 및 석회석을 포함하며, 상기 원적외선 방출용 제2분말은 규조토,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알루미나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확장노즐이 구비된 헤어 드라이어에 의하면, 확장 노즐에 소결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소결함으로써, 원적외선이 방사 효율이 극대화되며, 모발 건조 시간 단축, 모발에 윤기 제공, 두피 활성화를 통한 탈모 방지 등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확장노즐이 구비된 헤어 드라이어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운모를 주성분으로 만든 보빈 조립용 판을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3b는 실시예 1에서 소결용 조성물을 보빈 조립용 판에 도포하여 건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3c는 실시예 1에서 보빈 조립용 판에 소결층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확장노즐이 구비된 헤어 드라이어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확장노즐이 구비된 헤어 드라이어(10)는 내부에 일정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전방에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1a)가 마련된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표면에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소결층(13c)이 형성된 보빈(13)과, 상기 보빈(13)에 권취되는 열선(미도시)과, 상기 프레임(11)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배출구(11a)의 후단에 배치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주면 표면에 소결층이 형성되는 확장 노즐(1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열선에서 발열이 되어 열풍이 분사되는 경우 확장 노즐(12) 또는 보빈(13) 표면에 형성된 소결층에서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을 주요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 노즐은 스테인레스강(서스,sus)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는데,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는 경우 소결시 용융되거나 타기 때문에 융점이 높아 소결시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 노즐(12)의 외주면에는 반원 형상의 확장 노즐 덮개(12a)가 조립한 다음 초음파로 융착하여 확장 노즐과 접합하게 된다.
열풍이 배출구 직후방에 배치된 확장 노즐을 통과할 때 원적외선이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원적외선 방사에 따른 유익한 효과를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보빈(13)은 열선이 감기기 때문에 전기 절연성을 가져야 하고, 열선에서 발생하는 열에 대한 내열성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운모와 같은 절기절연 소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보빈(13)은 절개홈(13b)이 형성된 두 개의 판(13a)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절개홈(13b)을 서로 끼워 '┼' 형태의 단면이 되도록 조립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보빈을 조립한 다음 소결층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각 판의 표면에 먼저 소결층을 형성한 다음, 2개의 판을 조립하여 소결층이 형성된 보빈을 제조하였다.
상기 소결층은 확장노즐 또는 보빈을 구성하는 각 판의 표면에 소결용 조성물을 도포한 다음, 열처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소결용 조성물은 유리질 유약용 제1분말과, 원적외선 방출용 제2분말과, 물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유리질 유약용 제1분말은 규석, 장석 및 석회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규석은 유리질 유약의 주성분이며, 장석은 융제 역할을 하며, 석회석은 표면 광택에 영향을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원적외선 방출용 제2분말은 고령토,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견운모, 사문석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소결층은 상기 유리질 유약용 제1분말과, 원적외선 방출용 제2분말과, 물을 혼합한 소결용 조성물을 볼밀 장치에 투입한 다음, 제1분말과 제2분말이 균일한 평균 입도를 가지도록 함께 분쇄한다. 여기서, 상기 소결용 조성물 내의 분말의 평균 입도는 0.1~10㎛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그 다음, 페이스트 상태의 소결용 조성물을 확장노즐 또는 보빈을 구성하는 판의 표면에 도포한 다음 1차로 건조한 다음, 건조된 판을 2차로 소결하면 소결층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소결용 조성물에 대한 1차 건조는 150±20℃에서 10±3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2차 소결은 550~800℃에서 30초 내지 5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550℃ 미만의 온도에서 30초 미만으로 소결하게 되면 운모를 주성분으로 하는 판과의 접착력이 저하되어 소결층이 쉽게 탈리되고, 800℃ 초과의 온도에서 5분을 초과하게 되면 접착력을 우수하나 보빈의 경우 운모를 주성분으로 하는 판의 강도가 현저히 저하되어 쉽게 부서지게 되므로, 상술한 범위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2차 소결을 550~800℃에서 30초 내지 5분 동안 수행하는 경우, 헤어 드라이어의 작동 온도 범위에서 원적외선 방출 성능이 크게 향상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확장노즐이 구비된 헤어 드라이어에 있어서, 소결층을 형성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운모를 주성분으로 하는 보빈 조립용 판을 마련한다.(도 1a 참조)
규석, 장석 및 석회석이 1 : 0.4 : 0.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유리질 유약용 제1분말을 마련한다.
고령토,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견운모, 사문석을 1 : 0.3 : 0.3 : 0.2 : 0.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원적외선 방출용 제2분말을 마련한다.
제1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제2분말 50중량부와, 물 110중량부를 볼밀 장치에 넣고 혼합 분쇄하여 소결용 조성물을 마련한다.
상기 소결용 조성물을 보빈 조립용 판의 표면에 도포한 다음 오븐에 넣고 160℃에서 10분 동안 건조한다.(도 1b 참조)
건조된 판을 소결로에 넣고 680℃에서 1분 동안 소결하여 소결층 형성을 완료하였다.(도 1c 참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소결 온도가 710℃이고, 소결 시간이 2분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소결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소결 온도가 740℃이고, 소결 시간이 3분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소결층을 형성하였다.
위 실시예 1 내지 3에 대한 시편과, 도 1b에서 건조 과정만 수행하고 소결을 하지 않은 대조군 시편에 대하여 온도를 달리하여 원적외선 방사율과, 방사에너지를 측정한 결과를 아래 표 1에 기재하였다. 원적외선 측정 시험은 한국원적외선응용평가연구원에 의뢰하여 수행하였다.
구 분 온도(℃) 방사율(3~20㎛)[%] 방사에너지[W/㎡·㎛]

실시예 1

37 89.4 3.45×102
70 88.9 5.36×103
150 88.5 1.26×104
500 84.0 1.43×104

실시예 2

37 89.6 3.47×102
70 88.8 5.41×103
150 88.3 1.31×104
500 83.9 1.44×104

실시예 3
37 89.5 3.45×102
70 88.5 5.44×103
150 88.1 1.35×104
500 83.8 1.46×104

대조군
37 81.2 3.01×102
70 80.9 7.56×102
150 80.1 6.26×103
위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소결층의 경우 온도가 높아질수록 원적외선 방사에너지가 증가하며, 특히 헤어드라이어에서 방출되는 열풍 온도와 유사한 70℃에서의 방사에너지는 37℃에서 측정한 방사에너지에 비해 대략 15배 정도 크며, 보빈의 가열온도와 유사한 150℃에서의 방사에너지는 500℃에서의 방사에너지와 대비할 때 큰 차이가 없을 정도로 높았다.
즉, 헤어드라이어의 사용온도 범위에 해당하는 70~150℃에서 원적외선 방사에너지가 극대화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던 반면, 소결 과정을 생략한 대조군의 경우에는 실시예 1 내지 3과 대비할 때 70~150℃에서 원적외선 방사에너지가 현저히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소결 온도를 500℃에서 3분 동안 소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소결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1의 소결층은 육안으로 볼 때, 표면 일부가 보빈 조립용 판 표면에 부착되지 않고 들떠있어 정상적인 제품으로 사용할 수 없는 불량 상태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소결 온도를 850℃에서 10분 동안 소결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소결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2는 보빈 조립용 판 자체가 손가락으로 가압하면 부서질 정도로 약화되어 제품으로 사용할 수 없었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제1분말을 생략하고 소결용 조성물을 제2분말 150중량부와, 물 110중량부를 혼합한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소결층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제2분말은 실시예 1과 달리 고령토,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를 1 : 0.6 : 0.3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3의 시편에 대하여 온도를 달리하여 원적외선 방사율과, 방사에너지를 측정한 결과를 아래 표 2에 기재하였다.
구 분 온도(℃) 방사율(3~20㎛)[%] 방사에너지[W/㎡·㎛]

비교예 3
37 88.5 3.26×102
70 87.9 3.38×103
150 87.1 1.02×104
위 표 2의 비교예 3에 대한 방사에너지를 표 1의 실시예 1 내지 3의 방사에너지와 대비해보면, 모든 온도에서 방사에너지가 저하되는데, 이 결과를 통해 제1분말과 제2분말이 혼합된 경우 원적외선 방사에너지가 크게 향상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헤어 드라이어
11 : 프레임
11a : 배출구
12 : 확장 노즐
12a : 확장 노즐 덮개
13 : 보빈
13a : 판
13b : 절개홈
13c : 소결층

Claims (5)

  1. 확장노즐을 마련하는 단계와;
    규석, 장석 및 석회석이 1 : 0.4 : 0.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유리질 유약용 제1분말을 마련하는 단계와;
    고령토, 벤토나이트, 제올라이트, 견운모, 사문석을 1 : 0.3 : 0.3 : 0.2 : 0.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원적외선 방출용 제2분말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유리질 유약용 제1분말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원적외선 방출용 제2분말 50중량부와, 물 110중량부를 볼밀 장치에 넣고 혼합 분쇄하여 소결용 조성물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소결용 조성물을 확장노즐의 내표면에 도포한 다음 150±20℃에서 10±3분 동안 건조하는 단계와;
    건조된 확장노즐을 소결로에 넣고 680 내지 740℃에서 1 내지 3분 동안 소결하여 소결층을 형성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노즐이 구비된 헤어 드라이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32552A 2019-03-21 2019-03-21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확장노즐이 구비된 헤어 드라이어 KR102224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552A KR102224041B1 (ko) 2019-03-21 2019-03-21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확장노즐이 구비된 헤어 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552A KR102224041B1 (ko) 2019-03-21 2019-03-21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확장노즐이 구비된 헤어 드라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093A KR20200113093A (ko) 2020-10-06
KR102224041B1 true KR102224041B1 (ko) 2021-03-09

Family

ID=72826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552A KR102224041B1 (ko) 2019-03-21 2019-03-21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확장노즐이 구비된 헤어 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0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0484B2 (ja) * 1991-05-09 2000-11-20 三井化学株式会社 脂環式化合物の部分酸化物の製造方法
JP3130650B2 (ja) * 1992-06-09 2001-01-31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5−フェニルヒダントインの製造法
KR100346884B1 (ko) 2000-08-16 2002-08-03 박주민 원적외선 방사체를 가진 헤어드라이어
KR100537918B1 (ko) 2005-10-31 2005-12-20 김형규 원적외선 헤어드라이기
KR101389878B1 (ko) 2012-07-16 2014-04-29 방소윤 헤어 드라이어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2610B2 (ja) * 1992-06-01 1996-11-13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ヘアードライヤ
KR0135493Y1 (ko) * 1994-09-07 1999-03-30 전성원 자동차의 전조등
KR100372830B1 (ko) 1999-03-05 2003-02-20 우신건축환경크리닉(주) 고경도 부식 방지 코팅 조성물
KR20030084414A (ko) * 2002-04-26 2003-11-01 주식회사 화성세라믹 원적외선 방사체 및 그 제조방법
JP3110484U (ja) * 2005-02-17 2005-06-23 道雄 津郷 ヘアドライヤー
KR100703994B1 (ko) 2005-10-24 2007-04-04 주식회사 한지백전자 전자파 흡수, 항균 및 음이온/원적외선 방사용 헤어드라이기의 제조방법
JP3130650U (ja) * 2007-01-22 2007-04-05 祖彦 董 ドライヤー
KR20110131861A (ko) * 2010-06-01 2011-12-07 불루세라믹 주식회사 원적외선 히터를 이용하는 헤어드라이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0484B2 (ja) * 1991-05-09 2000-11-20 三井化学株式会社 脂環式化合物の部分酸化物の製造方法
JP3130650B2 (ja) * 1992-06-09 2001-01-31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5−フェニルヒダントインの製造法
KR100346884B1 (ko) 2000-08-16 2002-08-03 박주민 원적외선 방사체를 가진 헤어드라이어
KR100537918B1 (ko) 2005-10-31 2005-12-20 김형규 원적외선 헤어드라이기
KR101389878B1 (ko) 2012-07-16 2014-04-29 방소윤 헤어 드라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093A (ko) 202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86630B1 (en) Hair dryer
CN109561736A (zh) 一种加热可抽吸材料的加热器及其加热不燃烧发烟设备
US3585390A (en) Zirconia ceramics and infrared ray radiation elements utilizing the same
KR102224041B1 (ko)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확장노즐이 구비된 헤어 드라이어
KR102086954B1 (ko)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프론트 그릴이 구비된 헤어 드라이어
KR102214271B1 (ko)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헤어 드라이어
KR20130079469A (ko) 바이오 세라믹 조리기
JPH0362798B2 (ko)
TW201402039A (zh) 燙髮裝置
KR102135465B1 (ko) 헤어스타일링이 용이한 원적외선이 코팅된 드라이기
KR20020014112A (ko) 원적외선 방사체를 가진 헤어드라이어
KR101924771B1 (ko) 온수용 매트리스 사출성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온수용 매트
JPS60134126A (ja) 遠赤外線輻射体
JPS62238823A (ja) 芯鞘複合糸およびその加工法
JPH0238355A (ja) 遠赤外線を放射する導電性セラミック発熱体
JP2009528850A (ja) 機能性ヘアードライヤー
JPH0321501B2 (ko)
KR100695339B1 (ko) 운모 면상발열체의 제조방법
KR20130063523A (ko) 원적외선방사 불판
JP3035302U (ja) 多目的遠赤外線放射バンド
JPH0311606Y2 (ko)
KR101777862B1 (ko)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기능성 침구
KR100509927B1 (ko) 토스터기
JPH0532872B2 (ko)
JPS5826794B2 (ja) 遠赤外線放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