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410B1 - 부분 전극 및 다수의 히트 파이프를 갖는 대전류 진공 차단기 - Google Patents

부분 전극 및 다수의 히트 파이프를 갖는 대전류 진공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410B1
KR102223410B1 KR1020157035233A KR20157035233A KR102223410B1 KR 102223410 B1 KR102223410 B1 KR 102223410B1 KR 1020157035233 A KR1020157035233 A KR 1020157035233A KR 20157035233 A KR20157035233 A KR 20157035233A KR 102223410 B1 KR102223410 B1 KR 102223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assembly
coil member
contact
stem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1114A (ko
Inventor
마틴 루센캄프
리 유
Original Assignee
이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021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52Cooling of switch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62Heating or cooling of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52Cooling of switch parts
    • H01H2009/523Cooling of switch parts by using heat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52Cooling of switch parts
    • H01H2009/526Cooling of switch parts of the high voltage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4Contacts; Arc-extinguishing means, e.g. arcing rings
    • H01H33/6644Contacts; Arc-extinguishing means, e.g. arcing rings having coil-like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contact rod and the proper contact

Landscapes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Abstract

회로 차단기(10)용 전극 조립체(70)가 제공된다. 전극 조립체(70)는 전도성 조립체(90) 및 열전달 조립체(200)를 포함한다. 전도성 조립체(90)는 스템 부분(92) 및 접점 부분(94)을 포함한다. 열전달 조립체(200)는 다수의 기다란 본체(202), 제 1 열전달면(204), 및 제 2 열전달면(206)을 포함한다. 제 1 열전달면(204)은 전도성 조립체(90) 상에 배치된다. 각 열전달 조립체 본체(202)는 제 2 열전달면(206)을 포함한다. 각 열전달 조립체 본체(202)는 제 1 열전달면(204)이 다수의 제 2 열전달면(206)에 연결된 상태로 전도성 조립체(90)에 연결된다.

Description

부분 전극 및 다수의 히트 파이프를 갖는 대전류 진공 차단기{A HIGH CURRENT VACUUM INTERRUPTER WITH SECTIONAL ELECTRODE AND MULTI HEAT PIPES}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특허출원은 2013년 6월 14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 13/918,031 호에 대한 우선권 및 그 이점을 주장하며, 상기 특허문헌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발명의 분야)
개시되고 청구된 개념은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열전달 조립체를 밀폐하는 전극을 포함하는 진공 회로 차단기와 같은 진공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회로 차단기 및 다른 이러한 장치는 전류 과부하, 단락, 및 저레벨 전압 상태와 같은 전기 결함 상태로부터 전기 시스템의 보호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회로 차단기는 비정상적인 상태에 반응하여 전기 시스템 내의 도체를 통한 전류를 방해하도록 전기적 접점을 개방하는 스프링 작동 기구를 포함한다. 특히, 진공 회로 차단기는 하우징 내의 절연되고 기밀하게 밀봉된 진공 챔버 내에 배치된 분리 가능한 메인 접점을 포함한다. 접점은 스템(stem) 및 접점 부재를 포함하는 전극의 일부이다. 일반적으로, 전극 중 하나는 하우징에 대해 고정된다. 다른 전극은 하우징 및 다른 전극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진공 회로 차단기에 있어서, 가동 전극 조립체는 보통, 진공 챔버 내에 밀폐된 일 단부에서의 접점 부재, 및 진공 챔버의 외부에 있는 타 단부에서의 구동 기구를 구비하는 원형 단면의 구리 스템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진공 차단기는 중전압 교류(alternating current; AC) 전류, 그리고 또한 수천 암페어 이상의 고압 AC 전류를 방해하는데 사용되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의 진공 차단기는 다상 회로의 각 상을 위해 제공되고, 몇 개의 상을 위한 진공 차단기는 공동의 작동 기구에 의해 동시에, 또는 개별 작동 기구에 의해 개별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작동된다. 전극은 폐쇄, 개방 및 접지의 3가지 상태를 취할 수 있다.
전극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접점 부재는 전기 연통되고, 전기는 이를 통해 흐른다. 이 구성에 있어서, 전극은 가열된다. 일반적으로, 발생된 열의 양은 전극의 단면적 및 전류량의 함수이다. 즉, 보다 작은 전극 및/또는 보다 높은 전류는 보다 많은 열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종래의 전극을 사용하면, 보다 높은 전류로 정격된 회로 차단기를 구비하기 위해서, 전극은 보다 커져야 한다.
그러나, 보다 큰 전극은 여러 단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보다 큰 전극은 보다 고가이고, 또한 보다 고가인 보다 강인한 작동 기구를 필요로 한다. 또한, 보다 큰/보다 강인한 작동 기구는 작동되기 위해 보다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그러므로 사용하기에도 보다 고가이다. 그러므로, 높은 전류로 정격되고, 보다 소형의 크기 및/또는 체적을 갖는 전극이 필요하다. 기존의 회로 차단기와 작동 가능한 이러한 전극을 또한 필요로 한다.
이러한 필요 및 다른 것들은 회로 차단기를 위한 전극 조립체를 제공하는 개시된 개념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의해 충족된다. 전극 조립체는 전도성 조립체 및 열전달 조립체를 포함한다. 전도성 조립체는 스템 부분 및 접점 부분을 포함한다. 열전달 조립체는 다수의 기다란 본체, 제 1 열전달면 및 제 2 열전달면을 포함한다. 제 1 열전달면은 전도성 조립체 상에 배치된다. 각 열전달 조립체 본체는 제 2 열전달면을 포함한다. 각 열전달 조립체 본체는 제 1 열전달면이 다수의 제 2 열전달면에 연결된 상태로 전도성 조립체에 연결된다.
열전달 조립체는 열이 전극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게 하여 전극을 냉각시킨다.
개시된 개념의 완전한 이해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읽을 때, 개시된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도 1은 진공 회로 차단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는 진공 차단기 조립체의 단면 등각도,
도 3은 전극 조립체의 단면 등각도,
도 4는 다수의 코일 부재의 등각도,
도 5a는 다수의 코일 부재의 일 실시예의 저면도,
도 5b는 다수의 코일 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저면도,
도 6은 전극 조립체의 등각도,
도 7은 지지 부재의 등각도.
본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되고 이하의 설명에 기재된 특정 요소는 도시의 목적을 위해서만 비-한정 예시로서 제공되는, 개시된 개념의 단순한 예시적인 실시예임이 인식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관련된 특정 치수, 배향 및 다른 물리적 특성은 개시된 개념의 범위에 대해 한정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방향 문구, 예를 들어,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 좌측, 우측, 상부, 하부, 상향, 하향 및 이들의 파생어는 도면에 도시된 요소의 배향에 관련되고, 본 명세서에 명확히 기재되지 않는 한 특허청구범위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하나", "하나의" 및 "그"의 단수형은 달리 문맥이 명확히 지시되지 않는 한 복수의 참조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부분 또는 구성요소가 "연결된" 상태는 이 부분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함께, 즉 링크(link)가 발생하기만 하면, 하나 이상의 중간 부분 또는 구성요소를 통해 결합 또는 작동된다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직접 연결된"은 2개의 요소가 서로 직접 접촉하여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고정적으로 연결된" 또는 "고정된"은 2개의 구성요소가 서로에 대해 일정한 배향을 유지하면서 모두 함께 이동하기 위해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2개의 요소가 연결될 때, 이러한 요소의 모든 부분은 연결된다. 그러나, 제 2 요소에 연결되는 제 1 요소, 예를 들면 제 1 휠에 연결되는 축 제 1 단부의 특정 부분의 설명은, 제 1 요소의 특정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제 2 요소에 근접하게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밀봉적으로 연결된, 직접 연결된 또는 고정된"은 상당한 양의 유체가 연결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연결된 요소가 시일과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밀봉적으로 연결된, 직접 연결된 또는 고정된" 요소는 연장된 기간 동안 진공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부분 또는 구성요소가 서로 "결합"하는 상태는 하나 이상의 중간 부분 또는 구성요소에 직접, 또는 이들 부분 또는 구성요소를 통해 서로에 대해 힘을 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단어 "일체의"는 구성요소가 단일 피스 또는 유닛으로 생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개별적으로 생성되고, 그 다음에 유닛으로서 함께 연결되는 피스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일체의" 구성요소 또는 본체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수"는 일 또는 일보다 큰 정수(다수)를 의미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연결 조립체"는 2개 이상의 연결 또는 연결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연결 또는 연결 조립체의 구성요소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요소 또는 다른 구성요소의 일부가 아니다. 이와 같이 "연결 조립체"의 구성요소는 이하의 설명에서 동시에 설명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연결" 또는 "연결 구성요소(들)"는 연결 조립체의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이다. 즉, 연결 조립체는 함께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2개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연결 조립체의 구성요소는 서로 양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결 조립체에 있어서, 하나의 연결 구성요소가 스냅 소켓(snap socket)이라면 다른 연결 구성요소는 스냅 플러그이고, 또는 하나의 연결 구성요소가 볼트이면 다른 연결 구성요소는 너트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관련된"은 요소가 동일한 조립체의 일부이거나, 및/또는 함께 작동하거나, 또는 동일한 방식으로 서로에 의해/서로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는 4개의 타이어 및 4개의 허브 캡(hubcap)을 구비한다. 모든 요소는 자동차의 일부분으로서 연결되고, 각 허브 캡은 특정 타이어와 "관련된"다는 것이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대응하다"는 2개의 구조적 구성요소가 서로 유사하도록 크기설정 및 형상설정되고, 최소량의 마찰로 연결될 수도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부재에 "대응하는" 개구부는 그 부재가 최소량의 마찰로 개구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부재보다 약간 크게 크기설정된다. 이러한 정의는, 2개의 구성요소가 함께 "꼭 맞게" 끼워맞춤 또는 "꼭 맞게 대응한다"고 하는 경우에 변경된다. 이 상황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크기 사이의 차이는 보다 작아지고, 그에 의해 마찰량이 증가한다. 개구부를 형성하는 요소 및/또는 개구부 내로 삽입된 구성요소가 변형 가능 또는 압축 가능한 재료로 제조된다면, 개구부는 심지어 이 개구부 내로 삽입되는 구성요소보다 약간 더 작아질 수도 있다. 이러한 정의는 또한, 2개의 구성요소가 "실질적으로 대응하다"고 하는 경우에 변경된다. "실질적으로 대응하다"는 개구부의 크기가 그 내부로 삽입되는 요소의 크기에 매우 근접, 즉 "대응 끼워맞춤", 즉 "약간 큰" 끼워맞춤보다 많은 접점 및 마찰을 갖는 스너그 끼워맞춤(snug fit)만큼, 상당한 마찰을 야기하기에 매우 근접하지는 않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차단기(10)는 다수의 진공 차단 조립체(3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회로 차단기(10)는 하우징 조립체(12), 및 제어 패널(14), 상부 단자(16), 하부 단자(18), 작동 기구(20)뿐만 아니라, 상술된 진공 차단 조립체(30)를 포함한다. 회로 차단기 하우징 조립체(12)는 제어 패널(14) 및 작동 기구(20)에 연결, 직접 연결 또는 고정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회로 차단기 하우징 조립체(12)는 제어 패널(14) 및 작동 기구(20)를 부분적으로 밀폐 및 지지한다. 제어 패널(14)은 작동 기구(20)를 수동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작동 기구(20)는 개방 구성과 폐쇄 구성 사이에서 전극(72, 74)(이하에 설명됨)을 이동시킨다. 하우징 조립체(12)는 또한 상부 단자(16) 및 하부 단자(18)에 연결, 직접 연결 또는 고정된다. 즉,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회로 차단기 하우징 조립체(12)는 상부 단자(16) 및 하부 단자(18)를 지지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 있어서, 회로 차단기(10)는 추가의 단자를 포함한다. 상부 단자(16) 및 하부 단자(18)는 라인 입력 단자(line-in)(도시되지 않음) 및 부하(도시되지 않음)에 각각 연결, 직접 연결 또는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회로 차단기(10)는 제어 패널(14)에 인접한 저압 부분(22) 및 진공 차단 조립체(30)를 포함하는 고압 부분(24)을 구비한다.
진공 차단 조립체(30)는 진공 챔버 지지 하우징(32), 진공 챔버(34), 및 한 쌍의 분리 가능한 전극(36)을 포함한다. 즉,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분리 가능한 전극(36)은 이하에 설명되는 2개의 실질적으로 유사한 전극 조립체(70)(도 3)를 포함한다. 하나의 전극 조립체(70)는 정지의 제 1 전극 조립체(72)이고, 다른 전극 조립체(70)는 가동의 제 2 전극 조립체(74)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챔버 지지 하우징(32)은 진공 챔버(34)에 연결, 직접 연결 또는 고정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진공 챔버 지지 하우징(32)은 진공 챔버(34)를 실질적으로 밀폐한다.
진공 챔버(34)는 측벽(40) 및 벨로즈(bellows)(42)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진공 챔버 측벽(40)은 중공의 대체로 원통형 부재(44), 제 1 대체로 평평한 원환(torus) 부재(46), 및 제 2 대체로 평평한 원환 부재(48)를 포함한다. 즉, 제 1 및 제 2 원환 부재는 중앙 개구부[이하에서, 각각 제 1 개구부(50) 및 제 2 개구부(52)]를 갖는 대체로 원형이다. 진공 챔버 측벽의 원통형 부재(44)는 제 1 단부(54) 및 제 2 단부(56)를 포함한다. 제 1 원환 부재(46)는 진공 챔버 측벽의 제 1 단부(54)에 밀봉적으로 연결, 직접 연결 또는 고정된다. 제 2 원환 부재(48)는 진공 챔버 측벽의 제 2 단부(56)에 밀봉적으로 연결, 직접 연결 또는 고정된다. 따라서, 진공 챔버 측벽(40)은 실질적으로 밀폐된 공간(38)을 형성한다.
벨로즈(42)는 제 1 단부(62) 및 제 2 단부(64)를 구비하는 연장 가능한 본체(60)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벨로즈 본체(60)는 환상체이다. 벨로즈 본체의 제 1 단부(62)는 제 2 원환 부재(48)에 밀봉적으로 연결, 직접 연결 또는 고정되고, 제 2 개구부(52)에 대해 연장된다.
고정 전극 조립체(72) 및 가동 전극 조립체(74)는 진공 챔버의 밀폐된 공간(38) 내에 실질적으로 배치된다. 즉, 고정 전극 조립체(72) 및 가동 전극 조립체(74)는 기다란 스템 부분(80), 및 접점 부분(82)을 각각 포함한다. 고정 전극 조립체 스템 부분의 근위 단부(88)는 제 1 개구부(50)에서 진공 챔버 측벽(40)을 통해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진공 챔버 측벽(40)은 고정 전극 조립체 스템 부분의 근위 단부(88)에 밀봉적으로 연결, 직접 연결 또는 고정된다. 가동 전극 조립체 스템 부분의 근위 단부(88)는 벨로즈(42)를 통해 연장된다. 벨로즈 제 2 단부(64)는 가동 전극 조립체 스템 부분의 근위 단부(88)에 밀봉적으로 연결, 직접 연결 또는 고정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 분리 가능한 전극(36)은 진공 챔버의 밀폐된 공간(38) 내에 실질적으로 밀봉된다. 또한, 가동 전극 조립체 스템 부분의 근위 단부(88)는 상부 단자(16)에 연결, 직접 연결 또는 고정되고, 상부 단자(16)와 전기 연통된다. 가동 전극 조립체 스템 부분의 근위 단부(88)는 하부 단자(18)에 연결, 직접 연결 또는 고정되고, 하부 단자(18)와 전기 연통된다.
전극 조립체(72 및 74)를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 기구(20)에 대한 상세는 미국 특허 번호 제 US 4,743,876 호에 상세하게 기재된다. 일반적으로, 작동 기구(20)는 개방의 제 1 위치와 폐쇄의 제 2 위치 사이에서 분리 가능한 전극(36)을 이동시키며, 이러한 개방의 제 1 위치에서는 가동 전극 조립체(74)가 고정 전극 조립체(72)로부터 이격되고, 이 전극 조립체(72)와 전기 연통하지 않고, 이러한 폐쇄의 제 2 위치에서는 가동 전극 조립체(74)가 고정 전극 조립체(72)에 연결 또는, 직접 연결되고, 이 전극 조립체(72)와 전기 연통된다. 고정 전극 조립체(72) 및 가동 전극 조립체(74)는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조립체(70)는 스템 부분(80) 및 접점 부분(82)을 포함한다. 전극 조립체의 스템 부분(80)은 기다랗고, 종축(84)뿐만 아니라, 원위 단부(86) 및 근위 단부(88)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전극 조립체 스템 부분의 원위 단부(86)는 진공 챔버(34) 내에 배치된 단부이고, 전극 조립체 스템 부분의 근위 단부(88)는 진공 챔버(34)를 통해 연장되는 단부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전극 조립체 접점 부분(82)은 대체로 평면 부재(89)이다. 전극 조립체 접점 부분(82)의 평면은 전극 조립체 스템 부분의 종축(84)에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이하에 설명되는 전극 조립체(70)의 다른 요소는 전극 조립체 스템 부분(80) 및/또는 전극 조립체 접점 부분(82) 중 한쪽 또는 양자의 일부이다. 용어 "스템 부분" 및 "접점 부분"은 전극 조립체(70)의 다른 요소의 부분의 위치, 또는 대략적인 위치, 및/또는 형상을 식별하는 형용사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예를 들어, 요소가 "스템 부분"으로 식별되는 경우에, 이 요소는 기다랗고, 요소가 "접점 부분"으로 식별되는 경우에, 이 요소는 대체로 평평하거나 평면 내에 배치된다는 것이 이해된다.
전극 조립체(70)는 전도성 조립체(90) 및 열전달 조립체(200)를 더 포함한다. 전도성 조립체(90)는 스템 부분(92) 및 접점 부분(94)을 포함한다. 이하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제 1 열전달면(204)은 또한 전도성 조립체(90) 내로 통합된다. 전도성 조립체(90)는 다수의 기다란 코일 부재(100), 단부 캡(140), 및 접점 부재(160)를 포함한다. 또한, 코일 부재(100)는 스템 부분(104) 및 접점 부분(106)을 각각 포함한다. 전도성 조립체 스템 부분(92)은 코일 부재 스템 부분(104) 및 단부 캡(140)을 포함한다. 전도성 조립체 접점 부분(94)은 코일 부재 접점 부분(106) 및 접점 부재(160)를 포함한다.
다수의 코일 부재(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원형, 또는 원통형의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조립된 전도성 부재이다. 따라서, 각 코일 부재(100)는 아크에 걸쳐서 연장된다. 코일 부재(100)의 개수는 각 코일 부재(100)의 크기 및 곡률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코일 부재(100)가 있는 경우에, 각 코일 부재(100)는 약 90도의 아크에 걸쳐서 연장되는 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코일 부재(100)를 갖는 실시예에 있어서, 각 코일 부재는 약 120도의 아크에 걸쳐서 연장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각 코일 부재(100)의 아크는 360/N이고, N은 코일 부재(100)의 개수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 부재(100)는 실질적으로 유사하고, 이러한 하나의 코일 부재만이 설명될 것이다. 코일 부재(100)는 스템 부분(104) 및 접점 부분(106)을 구비하는 본체(102)를 포함한다. 코일 부재 스템 부분(104)은 기다랗고, 대체로 아치형 단면을 구비한다. 따라서, 코일 부재 스템 부분(104)은 종축(107), 제 1 측방향 측부(108) 및 제 2 측방향 측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지적된 바와 같이, 코일 부재 스템 부분(104)의 아크는 코일 부재(100)의 개수에 관련된다. 또한,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인접한 코일 부재(100) 사이에는 갭(130)이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 부재 스템 부분(104)의 아크는 360/N보다 약간 작고, N은 코일 부재(100)의 개수이다. 또한, 코일 부재 스템 부분(104)은 제 1 단부(112) 및 제 2 단부(114)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부재 스템 부분의 제 1 단부(112)는 전극 조립체 스템 부분의 원위 단부(86)에 배치되고, 코일 부재 스템 부분의 제 2 단부(114)는 전극 조립체 스템 부분의 근위 단부(88)에 배치된다.
코일 부재 접점 부분(106)은 내부 아치형 부분(118), 반경 방향 부분(120) 및 원주 방향 부분(122)을 포함한다. 코일 부재 접점 부분의 내부 아치형 부분(118)[이하, "코일 부재 아치형 부분(11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 부재 스템 부분(104)과 일체화되고,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 부재 스템 부분의 제 2 단부(114)의 연장부이다. 코일 부재 접점 부분의 반경 방향 부분(120)[이하, "코일 부재 반경 방향 부분(120)"]은 코일 부재 아치형 부분(118)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코일 부재 스템 부분의 종축(107)에 대체로 수직이다. 즉, 코일 부재 반경 방향 부분(120)은 코일 부재 아치형 부분(118)과 연결, 직접 연결, 고정 또는 일체화된다. 코일 부재 반경 방향 부분(12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 부재 스템 부분(104)의 아크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은 아크형으로 연장된다.
코일 부재 접점 부분의 원주 방향 부분(122)[이하, "코일 부재 원주 방향 부분(122)"]은 대체로 평평한 아치형 부재이다. 코일 부재 원주 방향 부분(122)은 코일 부재 반경 방향 부분(120)과 연결, 직접 연결, 고정, 또는 일체화된다. 코일 부재 원주 방향 부분(122)은 코일 부재 스템 부분(104)으로부터 이격된다. 코일 부재 스템 부분(104)에 유사하게, 코일 부재 원주 방향 부분(122)의 아크는 코일 부재(100)의 개수에 관련된다. 또한, 이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인접한 코일 부재(100) 사이에는 갭(130)이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 부재 원주 방향 부분(122)의 아크는 360/N보다 약간 더 작고, N은 코일 부재(100)의 개수이다. 코일 부재 원주 방향 부분(122)은 평면에 배치되고, 코일 부재 스템 부분의 종축(107)에 대체로 수직이다.
코일 부재 점접 부분(106)은 외부의 제 1 면(124) 및 내부의 제 2 면(126)을 포함한다. 코일 부재의 접점 부분 제 1 및 제 2 면(124, 126)에 관련하여, "외부"는 2개의 전극 조립체(70)가 서로 결합하는 지점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의미하고, "내부"는 2개의 전극 조립체(70)가 서로 결합하는 지점을 향하는 것을 의미한다. 코일 부재 접점 부분의 제 1 면(124)은 코일 부재 반경 방향 부분(120)의 외부면 및 코일 부재 원주 방향 부분(122)을 포함한다. 코일 부재 접점 부분의 제 2 면(126)은 코일 부재 아치형 부분(118)의 내부면, 코일 부재 반경 방향 부분(120), 및 코일 부재 원주 방향 부분(122)을 포함한다.
단부 캡(140)은 전도성 부재이고,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의 제 1 면(144), 내부의 제 2 면(146) 및 반경 방향 면(148)을 구비하는 대체로 평평한 디스크형 본체(142)를 포함한다. 또한, 단부 캡(140)은 단부 캡 본체(142)를 통해 연장되는 다수의 통로(150)를 포함한다. 단부 캡 반경 방향 면(148)은 전극 조립체(70)의 위치에 따라, 진공 챔버 제 1 원환 부재(46) 또는 벨로즈 본체 제 2 단부(64)에 밀봉적으로 연결, 직접 연결 또는 고정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코일 부재(100)는 단부 캡(140)과 연결, 직접 연결, 고정, 또는 일체화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 부재(100)는 단부 캡 제 2 면(146)으로부터 연장된다. 다수의 코일 부재(100)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전극 조립체 스템 부분의 종축(84)인 공통 종축에 대해 배치된다. 상기 지적된 바와 같이, 코일 부재 스템 부분(104)의 아크는 360/N보다 약간 더 작고, N은 코일 부재(100)의 개수이다. 따라서, 코일 부재(100)가 공통 종축에 대해 균등하게 이격될 때, 인접한 코일 부재의 스템 부분 측방향 측부(108, 110) 사이에는 갭(130)이 있다. 즉, 제 1 코일 부재 스템 부분의 제 1 측방향 측부(108)는 제 2 인접한 코일 부재 스템 부분의 제 2 측방향 측부(110)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전도성 조립체 스템 부분(92)에 걸쳐서 연장되는 다수의 종방향 갭(130)이 있다.
전도성 조립체 접점 부분(94)은 상술된 코일 부재 접점 부분(106), 및 접점 부재(160)를 포함한다. 접점 부재(160)는 전도성 부재이고,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대체로 평평한 디스크형 본체(162)이다. 접점 부재 본체(162)는 외부의 제 1 면(164) 및 내부의 제 2 면(166)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전극 조립체(72) 및 가동 전극 조립체(74)와 같은 2개의 전극 조립체(70)는 서로에 대항하여 배치되고, 2개의 접점 부재 제 2 면(166)은 서로 결합되고, 접점 조립체(70)가 폐쇄의 제 2 위치에 있을 때 전기 연통된다. 접점 부재 제 1 면(164)은 각 코일 부재(100)에 연결, 직접 연결, 또는 고정되고, 이 코일 부재(100)와 전기 연통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코일 부재 접점 부분(106), 즉 각 코일 부재 반경 방향 부분(120) 및 각 코일 부재 원주 방향 부분의 제 2 면(126)은 접점 부재 제 1 면(164)에 연결, 직접 연결, 또는 고정되고, 이 접점 부재 제 1 면(164)과 전기 연통된다. 또한, 이 구성에 있어서, 전도성 조립체(90)는 고효율의 전류 밀도를 허용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전도성 조립체(90)는 약 20㎜ 또는 그보다 큰 직경을 구비한다.
열전달 조립체(200)는 다수의 기다란 본체(202), 제 1 열전달면(204), 및 제 2 열전달면(206)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기다란 본체(202)는 히트 파이프(208)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히트 파이프"는 중공 튜브형 부재이고,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튜브형 부재 내에 진공 및 와이어 메쉬 윅(wire mesh wick)(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하는 밀봉 부재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열전달 본체(202)는 대체로 원형의 단면을 구비한다. 열전달 본체(202)는 스템 부분(210) 및 접점 부분(212)을 각각 포함한다. 열전달 조립체 본체의 스템 부분(210)은 제 1 단부[이하, "열전달 조립체 본체 제 1 단부(214)"]를 포함하고, 열전달 조립체 본체의 접점 부분(212)은 제 2 단부(216)[이하, "열전달 조립체 본체 제 2 단부(216)"]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열전달 조립체 본체의 접점 부분(212)은 평면에 배치되고, 이 평면은 열전달 조립체 본체의 스템 부분(210)의 종축에 대체로 수직이다. 또한, 열전달 조립체 본체의 접점 부분(212)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대체로 아치형이고, 코일 부재 원주 방향 부분(122)에 대응하는 곡률을 구비한다.
제 1 열전달면(204)은 전도성 조립체(90) 상에 배치된다. 즉, 제 1 열전달면(204)은 또한 전도성 조립체(90)의 일부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열전달면(204)은 전도성 조립체 접점 부분(94)을 통해 연장되는 열전달 통로(220)의 면이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 부재 본체의 외부의 제 1 면(164)은 채널(230)을 포함한다. 접점 부재 채널(230)은 단속(intermittent) 세그먼트 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코일 부재 접점 부분의 제 2 면(126)은 채널(232)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 부재 채널(232)은 코일 부재 아치형 부분(118)의 내부면 상에 배치된다. 코일 부재(100)가 접점 부재(160)에 연결될 때, 접점 부재 채널(230) 및 각 코일 부재 채널(232)은 열전달 통로(220)를 형성하도록 위치된다. 즉, 각 코일 부재 접점 부분의 제 2 면(126)은 접점 부재 제 1 면(164)에 결합되고, 각 코일 부재 접점 부분의 제 2 면 채널(232)은 접점 부재 제 1 면의 채널(230)과 정렬되어, 각 코일 부재 접점 부분의 제 2 면 채널(232) 및 접점 부재 제 1 면의 채널(230)은 열전달 통로(220)를 형성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제 1 열전달면(204)은 열전달 통로(220)의 면에 걸쳐서 실질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열전달 조립체 본체의 접점 부분(212)은 열전달 통로(220)에 대응하도록 크기설정 및 형상설정된다. 따라서, 열전달 조립체 본체의 접점 부분(212)이 대체로 원형의 단면을 구비할 때, 접점 부재 제 1 면의 채널(230) 및 각 코일 부재 접점 부분의 제 2 면 채널(232)은 대체로 반원형의 단면 형상을 구비한다. 조립 시에, 열전달 조립체 본체의 접점 부분(212)은 열전달 통로(220) 내에 배치된다. 이 구성에 있어서, 제 2 열전달면(206)은 각 상기 열전달 조립체 본체의 접점 부분(212)의 면에 걸쳐서 배치된다.
도 5b에 개략적으로 도시되는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전도성 조립체(90)는 대체로 반원형의 열전달 홈(240)을 형성한다. 전도성 조립체 열전달 홈(240)은 이전 실시예에서 보다 큰 반경을 갖고, 접점 부재 본체의 외부의 제 1 면(164)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부재 원주 방향 부분(122)의 내부면 중 하나 상에 배치된다. 도시되지 않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열전달 홈(240)은 코일 부재 아치형 부분(118)과 코일 부재 원주 방향 부분(122) 사이에 배치되고, 열전달 홈(240)은 반원형이고, 열전달 본체 접점 부분(212)의 대체로 원형의 단면 형상에 대응한다. 즉, 각 열전달 본체 접점 부분(212)의 대략 절반부는 열전달 홈(240) 내에 배치되고, 제 2 열전달면(206)은 각각의 열전달 조립체 본체의 접점 부분(212)의 표면의 약 180도에 걸쳐서 배치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열전달 홈(240)은 열전달 본체 접점 부분(212)의 직경 정도로, 또는 이 접점 부분(212)의 직경보다 약간 더 깊다.
상기 지적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고정 전극 조립체(72) 및 가동 전극 조립체(74)는 상술된 바와 같은 전극 조립체(70)이다. 고정 전극 조립체(72) 및 가동 전극 조립체(74)는 진공 챔버(34) 내에, 그리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즉, 각각의 고정 전극 조립체(72) 및 가동 전극 조립체(74)의 접점 부재 제 2 면(166)이 서로 면한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고정 전극 조립체(72) 및 가동 전극 조립체(74)는 개방의 제 1 위치와 폐쇄의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며, 이러한 개방의 제 1 위치에서는 가동 전극 조립체(74)가 고정 전극 조립체(72)로부터 이격되고, 그리고 이 전극 조립체(72)와 전기 연통되지 않고, 이러한 폐쇄의 제 2 위치에서는 가동 전극 조립체(74)가 고정 전극 조립체(72)에 연결, 또는 직접 연결, 그리고 전기 연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열전달 조립체(200)는 히트 싱크(250)를 포함한다. 즉,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열전달 조립체 본체 제 1 단부(214)는 관련된 단부 캡(140)을 통해 그리고 진공 챔버(34)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각 열전달 조립체 본체 제 1 단부(214)는 또한, (개략적으로 도시된) 히트 싱크(250)에 연결, 직접 연결, 고정, 또는 일체화된다. 가동 전극 조립체(74)와 관련된 히트 싱크(250)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작동 기구(20)의 이동 가능한 요소에 연결, 직접 연결, 고정되며, 가동 전극 조립체(74)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가동 전극 조립체(74)와 이동된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전도성 조립체(9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260)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260)는 코일 부재(100)를 밀폐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부재(260)는 스템 부분(262) 및 접점 부분(264)을 포함하는 튜브형 쉘이다.
지지 부재 스템 부분(262)은 조립 시에 코일 부재(100)의 반경에 대응하는 반경을 구비한다. 지지 부재 접점 부분(264)은 접점 부재(160)에 대응하는 반경을 구비한다. 지지 부재 스템 부분(262)과 지지 부재 접점 부분(264) 사이에 테이퍼형 부분(266)이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 부재(260)는 스테인리스 강이다. 지지 부재(260)는 전극 조립체(70)의 전계를 개량하도록 구성된다. 즉, 지지 부재(260)는, 고압에 노출될 때 대체로 원통형의 지지 부재(260)의 표면 주위로 대체로 균일한 전계를 생성하는 대체로 원통형의 체적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개시내용의 전체 교시에 비추어 이러한 상세사항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대안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최대 범위 및 그것의 임의의 그리고 모든 등가물로 주어지는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제한이 아닌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3)

  1. 회로 차단기(10)용 전극 조립체(70)에 있어서,
    스템 부분(92), 접점 부분(94)을 포함하는 전도성 조립체(90)와,
    다수의 기다란 본체(202)를 포함하는 열전달 조립체(200)를 포함하며,
    제 1 열전달면(204)은 상기 전도성 조립체(90) 상에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열전달 조립체 본체(202)는 제 2 열전달면(206)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열전달 조립체 본체(202)는 상기 제 1 열전달면(204)이 다수의 제 2 열전달면(206)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전도성 조립체(90)에 연결되는
    회로 차단기용 전극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열전달 조립체 본체는 히트 파이프(208)인
    회로 차단기용 전극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열전달 조립체 본체(202)는 스템 부분(210) 및 접점 부분(212)을 포함하고,
    각 상기 열전달 조립체 본체의 접점 부분(212)은 대체로 원형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전도성 조립체(90)는 대체로 원형의 열전달 통로(220)를 형성하고,
    각각의 상기 열전달 조립체 본체의 접점 부분(212)은 상기 열전달 통로(220)에 대응하며,
    상기 제 1 열전달면(204)은 실질적으로 상기 열전달 통로(220)의 표면에 걸쳐서 배치되고,
    상기 제 2 열전달면(206)은 각각의 상기 열전달 조립체 본체의 접점 부분(212)의 표면에 걸쳐서 배치되는
    회로 차단기용 전극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열전달 조립체 본체(202)는 스템 부분(210) 및 접점 부분(212)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열전달 조립체 본체의 접점 부분(212)은 대체로 원형 단면을 구비하고,
    상기 전도성 조립체(90)는 대체로 반원형의 열전달 홈(240)을 형성하고,
    각각의 상기 열전달 조립체 본체의 접점 부분(212)은 상기 열전달 홈(240)에 대응하며,
    상기 제 1 열전달면(204)은 상기 열전달 홈(240)의 표면에 걸쳐서 배치되고,
    상기 제 2 열전달면(206)은 각각의 상기 열전달 조립체 본체의 접점 부분(212)의 표면의 약 180도에 걸쳐서 배치되는
    회로 차단기용 전극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조립체 접점 부분(94)은 대체로 평평한 접점 부재(160) 및 다수의 코일 부재 접점 부분(106)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접점 부재(160)는 제 1 면(164) 및 제 2 면(166)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접점 부재 제 1 면(164)은 채널(230)을 형성하고,
    각각의 상기 코일 부재 접점 부분(106)은 제 1 면(124) 및 제 2 면(126)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코일 부재 접점 부분의 제 2 면(126)은 채널(232)을 형성하고,
    각각의 상기 코일 부재 접점 부분의 제 2 면(126)은 각각의 상기 코일 부재 접점 부분의 제 2 면 채널(232)이 상기 접점 부재 제 1 면의 채널(230)과 정렬된 상태로 상기 접점 부재 제 1 면(164)에 연결되어, 각각의 상기 코일 부재 접점 부분의 제 2 면 채널(232) 및 상기 접점 부재 제 1 면의 채널(230)은 열전달 통로(220)를 형성하고,
    각각의 상기 열전달 조립체 본체(202)는 스템 부분(210) 및 접점 부분(212)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열전달 조립체 본체의 접점 부분(212)은 상기 열전달 통로(220)에 대응하며,
    각각의 상기 열전달 조립체 본체의 접점 부분(212)은 상기 열전달 통로(220) 내에 배치되는
    회로 차단기용 전극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조립체(90)는 다수의 코일 부재(100)를 포함하고,
    각각의 코일 부재(100)는 스템 부분(104) 및 상기 코일 부재 접점 부분(106)을 포함하고,
    각각의 코일 부재 접점 부분(106)은 반경 방향 부분(120) 및 원주 방향 부분(122)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코일 부재 스템 부분(104)은 제 1 단부(112), 제 2 단부(114), 및 종축(107)을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코일 부재 반경 방향 부분(120) 및 각각의 상기 코일 부재 원주 방향 부분(122)은 관련된 코일 부재 스템 부분의 제 1 단부(112)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 부재 스템 부분의 종축(107)에 대체로 수직인 평면 내에 배치되는
    회로 차단기용 전극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코일 부재 스템 부분(104)은 제 1 측방향 측부(108) 및 제 2 측방향 측부(110)를 포함하는 아치형의 단면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 부재(100)는 공통의 종축(107) 주위에 배치되고, 각각의 코일 부재 스템 부분의 측방향 측부(108, 110)는 인접한 코일 부재 스템 부분의 측방향 측부(108, 110)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코일 부재(100) 사이에 다수의 종방향 갭(130)이 있으며,
    각각의 상기 열전달 조립체 본체의 스텝 부분(210)은 상기 코일 부재(100) 사이의 종방향 갭(130) 내에 배치되는
    회로 차단기용 전극 조립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조립체 스템 부분(92)은 단부 캡(140)을 포함하고,
    상기 단부 캡(140)은 각각의 코일 부재 제 2 단부(114)에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열전달 조립체 본체의 스템 부분(210)은 제 1 단부(214) 및 제 2 단부(216)를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열전달 조립체 본체의 스템 부분 제 1 단부(214)는 코일 부재 스템 부분의 제 1 단부(112)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열전달 조립체 본체의 스템 부분 제 2 단부(216)는 상기 단부 캡(140)을 통해 연장되는
    회로 차단기용 전극 조립체.
  9. 진공 차단기 조립체(30)에 있어서,
    측벽(40) 및 벨로즈(42)를 포함하는 진공 챔버(34)로서, 상기 진공 챔버 측벽(40)은 밀폐된 공간(38)을 형성하고, 제 1 개구부(50) 및 제 2 개구부(52)를 포함하는, 상기 진공 챔버(34)와,
    제 1 단부(62) 및 제 2 단부(64)를 갖는 본체(60)를 포함하는 벨로즈(42)로서, 상기 벨로즈 본체 제 1 단부(62)는 상기 제 2 개구부(52) 주위에서 상기 진공 챔버 측벽(40)에 밀봉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벨로즈(42)와,
    스템 부분(80) 및 접점 부분(82)을 포함하는 고정 제 1 전극 조립체(72)로서, 상기 제 1 전극 조립체 스템 부분(80)은 상기 측벽 제 1 개구부(50)에서 상기 진공 챔버 측벽(40)에 밀봉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고정 제 1 전극 조립체(72)와,
    스템 부분(80) 및 접점 부분(82)을 포함하는 가동 제 2 전극 조립체(74)로서, 상기 제 2 전극 조립체 스템 부분(80)은 상기 벨로즈 제 2 단부(64)에 밀봉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가동 제 2 전극 조립체(74)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조립체(72, 74)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진공 차단기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조립체(200)는 히트 싱크(250)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열전달 조립체 본체(202)는 상기 히트 싱크(250)에 연결되는
    진공 차단기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250)는 상기 진공 챔버(34)의 외측에 배치되는
    진공 차단기 조립체.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조립체(72)는,
    스템 부분(92) 및 접점 부분(94)을 포함하는 전도성 조립체(90)와,
    다수의 기다란 본체(202)를 포함하는 열전달 조립체(200)를 포함하며,
    제 1 열전달면(204)은 상기 전도성 조립체(90) 상에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열전달 조립체 본체(202)는 제 2 열전달면(206)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열전달 조립체 본체(202)는 상기 제 1 열전달면(204)이 다수의 제 2 열전달면(206)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전도성 조립체(90)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전극 조립체(74)는,
    스템 부분(92) 및 접점 부분(94)을 포함하는 전도성 조립체(90)와,
    다수의 기다란 본체(202)를 포함하는 열전달 조립체(200)를 포함하며,
    제 1 열전달면(204)은 상기 전도성 조립체(90) 상에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열전달 조립체 본체(202)는 제 2 열전달면(206)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열전달 조립체 본체(202)는 상기 제 1 열전달면(204)이 다수의 제 2 열전달면(206)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전도성 조립체(90)에 연결되는
    진공 차단기 조립체.
  13. 회로 차단기(10)에 있어서,
    하우징 조립체(12)와,
    상기 하우징 조립체(12)에 연결된 상부 단자(16)와,
    상기 하우징 조립체(12)에 연결된 하부 단자(18)와,
    상기 하우징 조립체(12)에 연결된 작동 기구(20)와,
    상기 상부 단자(16) 및 상기 하부 단자(18)에 연결되는, 제 9 항에 따른 진공 차단기 조립체(30)를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
KR1020157035233A 2013-06-14 2014-05-16 부분 전극 및 다수의 히트 파이프를 갖는 대전류 진공 차단기 KR102223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18,031 US9006600B2 (en) 2013-06-14 2013-06-14 High current vacuum interrupter with sectional electrode and multi heat pipes
US13/918,031 2013-06-14
PCT/US2014/038336 WO2014200662A1 (en) 2013-06-14 2014-05-16 A high current vacuum interrupter with sectional electrode and multi heat pip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114A KR20160021114A (ko) 2016-02-24
KR102223410B1 true KR102223410B1 (ko) 2021-03-04

Family

ID=50972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233A KR102223410B1 (ko) 2013-06-14 2014-05-16 부분 전극 및 다수의 히트 파이프를 갖는 대전류 진공 차단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06600B2 (ko)
EP (1) EP3008740B1 (ko)
JP (1) JP6419169B2 (ko)
KR (1) KR102223410B1 (ko)
CN (1) CN105308702B (ko)
ES (1) ES2661416T3 (ko)
WO (1) WO20142006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31120A1 (en) * 2012-11-08 2014-05-14 ABB Technology AG Vacuum interrupter arrangement for a medium voltage circuit breaker with cup-shaped TMF-contacts
US9330867B2 (en) * 2014-05-13 2016-05-03 Eaton Corporation Vacuum switching apparatus, and electrode extension assembly and associated assembly method therefor
CN105374597B (zh) * 2015-11-23 2017-12-26 西安交通大学 一种高压大电流真空断路器散热结构
US9842713B2 (en) 2016-03-30 2017-12-12 Eaton Corporation Vacuum circuit interrupter
US10468205B2 (en) 2016-12-13 2019-11-05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Electrical contact alloy for vacuum contactors
CN107452531B (zh) * 2017-09-15 2022-02-11 西安京工智鑫电磁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高重复频率的高压脉冲源主开关
US10580599B1 (en) 2018-08-21 2020-03-03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Vacuum circuit interrupter with actuation having active damping
EP4036947A1 (en) 2021-01-27 2022-08-03 ABB Schweiz AG An electric pole part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2939A (en) * 1968-03-13 1971-10-12 Westinghouse Electric Corp Molecular sieve for vacuum circuit interrupter
US4005297A (en) * 1972-10-18 1977-01-25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Vacuum-type circuit interrupters having heat-dissipating devices associated with the contact structures thereof
US4012707A (en) * 1975-08-27 1977-03-15 Mcgraw-Edison Company Fusible element for electrical apparatus
US4443672A (en) * 1982-02-11 1984-04-17 International Telephone & Telegraph Corporation Low capacitance radio frequency switch
US4650939A (en) * 1986-01-24 1987-03-17 Westinghouse Electric Corp. Vacuum circuit interrupter having heat exchanger for temperature control
JPS636625U (ko) * 1986-06-30 1988-01-18
US4743876A (en) 1987-07-24 1988-05-10 Westinghouse Electric Corp. Circuit interrupter with undervoltage trip mechanism
DE3941388A1 (de) 1989-12-15 1991-06-20 Sachsenwerk Ag Elektrischer schalter
JPH06150784A (ja) 1992-11-04 1994-05-31 Toshiba Corp 真空バルブ
JP2861757B2 (ja) 1992-11-10 1999-02-24 三菱電機株式会社 真空バルブの電極装置
DE10139624C1 (de) * 2001-08-14 2003-04-03 Siemens Ag Elektrisches Schaltgerät für Mittel- oder Hochspannung
JP4667032B2 (ja) 2004-12-10 2011-04-06 三菱電機株式会社 真空バルブ
EP1672655A1 (de) * 2004-12-20 2006-06-21 Abb Research Ltd. Vakuumschalter mit grosser Stromtragfähigkeit
US20060162160A1 (en) 2005-01-27 2006-07-27 Hul-Chun Hsu Gas removal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 pipe
DE102005011405B3 (de) * 2005-03-03 2006-11-16 Siemens Ag Schaltgerät mit Wärmerohr
CN101320651B (zh) * 2008-07-11 2011-08-24 中国科学院电工研究所 一种热管式真空开关
US8575509B2 (en) * 2011-09-27 2013-11-05 Eaton Corporation Vacuum switching apparatus including first and second movable contact assemblies, and vacuum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2683101A (zh) * 2012-06-06 2012-09-19 博山金龙电力设备配件有限公司 中置移开式真空断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19169B2 (ja) 2018-11-07
CN105308702B (zh) 2019-10-11
ES2661416T3 (es) 2018-03-28
EP3008740A1 (en) 2016-04-20
US20140367363A1 (en) 2014-12-18
CN105308702A (zh) 2016-02-03
WO2014200662A1 (en) 2014-12-18
EP3008740B1 (en) 2018-01-10
US9006600B2 (en) 2015-04-14
JP2016522559A (ja) 2016-07-28
KR20160021114A (ko) 2016-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3410B1 (ko) 부분 전극 및 다수의 히트 파이프를 갖는 대전류 진공 차단기
US10153111B2 (en) Vacuum circuit interrupter
US20020036184A1 (en) Circuit breaker having hybrid arc extinguishing function
EP2485235B1 (en) Vacuum interrupter for vacuum circuit breaker
JP2017157453A (ja) 分圧コンデンサ及び多点切り遮断器
US11145476B2 (en) Electric high-voltage circuit breaker
WO2013175565A1 (ja) ガス遮断器
JP6136597B2 (ja) 封止形リレー
CN114334529B (zh) 真空灭弧室及真空开关
US9419413B2 (en) Arc management system for an electrical enclosure assembly
US9111697B2 (en) Power switchgear
CN104465204A (zh) 电极组件和包括电极组件的真空断续器
EP2849193B1 (en) Circuit breaker with compact contact structure
KR102611655B1 (ko) 가스 절연 개폐장치용 도체
KR200465840Y1 (ko) 진공 차단기의 진공 인터럽터
JPH03230436A (ja) 真空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