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986B1 - 필터커버 탈부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필터커버 탈부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986B1
KR102222986B1 KR1020190043501A KR20190043501A KR102222986B1 KR 102222986 B1 KR102222986 B1 KR 102222986B1 KR 1020190043501 A KR1020190043501 A KR 1020190043501A KR 20190043501 A KR20190043501 A KR 20190043501A KR 102222986 B1 KR102222986 B1 KR 102222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astening part
coupling
fastening
filt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1401A (ko
Inventor
정의민
최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to KR1020190043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986B1/ko
Publication of KR20200121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4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or filt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필터커버 탈부착 고정장치는 필터가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커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 및 필터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부재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자석부재와 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는 고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자석부재와 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양단에 구비되는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결합부재 및 상기 제1체결부가 고정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결합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2체결부가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필터커버 탈부착 고정장치{Attachable and Detachable Fixing apparatus for Filter-Cover}
본 발명은 자력에 의하여 본체에 고정되는 필터커버에 있어서, 필터커버에 간편하게 고정되어 본체의 자석과 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에는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구비되고, 각 필터는 주기적인 청소 또는 교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공기청정기의 외관을 형성하면서 필터 교체시 본체에서 분리되는 필터커버는 안정적으로 본체에 결합이 되면서 필터 교체시 사용자가 간편하게 본체에서 분리를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체결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특히 자석을 이용하는 경우 별도의 고정을 위한 구조적인 설계를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필터커버의 구조를 간단하게 가져갈 수 있으면서 사용자가 간편하게 부착 또는 분리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필터커버의 부착에 자력을 이용하는 경우 본체 및 필터커버에 각각 자석을 구비하거나, 어느 하나에 자석, 다른 하나에는 자석과 결합할 수 있는 소재의 고정장치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자력을 통하여 필터커버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커버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자석 또는 자석과 결합을 위한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석과 결합을 위한 고정장치의 경우 다수 개를 나사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경우 작업시간 및 비용 면에서 불리하다는 단점이 있고,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4901호에서의 같이 고정장치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을 하는 방식도 채택이 되었다. 그러나 이 역시 슬라이딩 결합과정에서 고정을 위한 단턱을 넘기 위하여 과도한 힘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결합 후 안정적으로 고정이 되지 않아 정확한 위치에 고정이 되지 않는다는 단점 역시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90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력에 의하여 결합본체에 탈부착되는 필터커버에 간편한 방식으로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필터커버 탈부착 고정장치는 필터가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커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 및 필터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부재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자석부재와 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는 고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자석부재와 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양단에 구비되는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결합부재 및 상기 제1체결부가 고정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결합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2체결부가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결합부에 하향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1체결부가 전면에서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전면이 개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에는 상기 결합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제2체결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2체결부의 하향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부의 하향 이동시 상기 제2체결부 끝단 상부를 고정하는 제2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의 상면과 접촉을 하는 제1고정부의 바닥면으로부터의 거리는 상기 제2체결부의 상면과 접촉을 하는 제2고정부의 바닥면으로부터의 거리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결합부에 하향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부의 절곡된 높이는 상기 제2체결부의 절곡된 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커버 탈부착 고정장치는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간편하게 고정장치를 필터커버에 고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장치가 필터커버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필터커버를 본체에 보다 효과적으로 착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필터커버 탈부착 고정장치가 적용된 공기청정기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필터커버의 배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고정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고정모듈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고정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에 결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에 결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필터커버 탈부착 고정장치는 하나 이상의 필터가 구비되고, 필터의 주기적인 교환이 필요한 장비에 범용적으로 적용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 공기조화기에 적용이 가능하고, 이하 공기청정기에 적용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필터커버 탈부착 고정장치가 적용된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필터커버의 배면사시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공기청정기는 내부에 필터가 구비되는 본체(1) 및 필터의 교환 또는 수리가 가능하도록 본체(1)의 전면을 개폐하는 필터커버(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필터커버(2)를 본체(1)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2개의 자석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하나의 자석부재(1a) 및 자력에 의하여 자석과 결합되는 철 등으로 이루어진 고정모듈(2a)을 통하여 결합되는 경우로 설명한다.
물론 도시된 것과 같은 돌기(2b) 및 고정홈(1b) 등의 기계적인 결합방식이 병용하여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자석부재(1a)가 본체(1)에 구비되고, 고정모듈(2a)이 필터커버(2)의 배면에 위치하는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이와 반대로 배치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고정모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고정모듈이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고정모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고정모듈(2a)는 결합부재(10), 제1고정부재(20) 및 제2고정부재(30)을 포함한다.
결합부재(10)는 본체(1)에 구비되는 자석부재(1a)의 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 결합부재(10)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자석에 자력에 의하여 붙을 수 있는 철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다.
결합부재(10)는 자석부재(1a)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결합부재(10)는 결합부(11), 제1체결부(12) 및 제2체결부(13)을 포함한다.
결합부(11)는 자석부재(1a)의 자력에 의하여 자석부재와 결합을 하는 구성요소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평판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체결부(12) 및 제2체결부(13)는 결합부(11)의 양단에 구비되고, 후술하는 제1고정부(21) 및 제2고정부(31)에 의하여 고정이 되어 전체 결합부재(10)가 안정적으로 고정이 되게 된다.
제1체결부(12) 및 제2체결부(13)는 결합부(11)의 양단에 하향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체결부(12) 및 제2체결부(13)의 상면은 제1고정부(21) 및 제2고정부(31)에 의하여 눌러지면서 고정이 되면서 결합부(11)의 상면은 노출이 되어 자석부재(1a)와 보다 효과적으로 결합을 할 수 있다.
제1체결부(12) 및 제2체결부(13)는 결합부재(10)를 필터커버(2)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고, 자석부재(1a)와 결합을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철 등 자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양산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철 등 자력에 영향을 받는 소재로 성형 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경우 제1체결부(12) 및 제2체결부(13)가 노출이 되지 않더라도 자력에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제1고정부재(20)는 결합부재(10)의 일부와 결합을 하고, 제1고정부(21) 및 제1지지부(22)를 포함한다.
제1고정부(21)는 제1체결부(12)가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채택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이 개구 형성되어 제1체결부(12)가 전면에서 슬라이딩 삽입된다.
제1지지부(22)는 결합부(11)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제1체결부(12)가 결합부(11)에서 하향 절곡되므로, 제1체결부(12)가 제1고정부(21)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부(11)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될 것이다.
그리고 제1지지부(22)에는 결합부(11)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돌기(22a)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재(10)의 좌, 우 방향 양 끝단은 제1고정부(21) 및 제2고정부(31)에 의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고정돌기(22a)는 결합부(11)의 전, 후 방향 폭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한 쌍의 전, 후방에 형성되어 결합부재(10)의 전, 후 방향으로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제2고정부재(30)는 제2체결부(13)을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제2고정부재(30)는 제1고정부재(20)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2지지부(32) 및 제2고정부(31)를 포함한다.
제2지지부(32)는 제2체결부(13)의 하면을 지지한다. 그리고 제2고정부(31)는 제1체결부(13)의 하향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면(31a)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체결부(13)가 하향 이동을 하여 제1체결부(13)의 하면이 제2지지부(32)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제1체결부(13)의 끝단 상부를 고정한다.
즉, 도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체결부(12)가 제1고정부(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체결부(13)가 제2고정부(31)의 상부에 1차적으로 위치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가압을 함에 따라 제2체결부(13)는 제2고정부(31)의 경사면(31a)를 따라 하부로 이동을 하게 된다. 결국 제2체결부(13)의 저면은 제2지지부(32)에 지지되고, 제2체결부(13)의 상부 끝단은 제2고정부(31)에 의하여 고정이 되게 된다.
한편, 제2고정부(31)의 길이는 사용자가 가압을 하는 경우 제2체결부(13)가 변형을 하면서 제2고정부(31)의 하부로 이동이 가능하고, 이동 후 제2체결부(13)의 상면 끝단을 고정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결합부재(10)의 제1고정부재(20) 및 제2고정부재(30)에 결합되는 과정 및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제1체결부(12)를 제1고정부(21)의 개구된 전면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 삽입한다. 이에 따라 제1체결부(12)는 제1고정부(21)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결합부(11) 제1지지부(22)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 때 제2체결부(13)가 제2고정부(31)에 끼워진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도4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결합부(11)의 저면은 제1지지부(22)와 접촉을 하지 않은 상태이다. 그리고 제2체결부(13)의 끝단은 제2고정부(31)의 경사면(31a)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부에서 하부로 힘을 가하면 절곡된 결합부재(10)는 일부 변형을 하면서 제2체결부(13)의 끝단이 경사면(31a)를 따라 제2고정부(31)의 하부로 이동을 하게 된다.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결합부(11)의 하면은 제1지지부(22)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에서 제1체결부(12) 및 제2체결부(13)은 제1고정부(21) 및 제2고정부(31)에 의하여 고정이 된다. 한편 제1고정부(21) 및 제2고정부(31)의 양 끝단은 결합부재(10)의 전체 좌, 아 방향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결합부재(10)의 좌, 우 방향의 이동을 제한된다.
그리고 결합부(11)가 제1지지부(22)의 고정돌기(22a)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결합부재(10)의 전, 후 방향 이동도 제한이 된다. 결국 결합부재(10)는 간편한 방식으로 안정적으로 고정이 되게 된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에 결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에 결합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한편,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이 제1고정부(21) 및 제2고정부(31)가 제1체결부(12) 및 제2체결부(13)의 상면과 접촉을 한 상태에서 제1지지부(22)가 결합부(11)의 하면을 지지한다. 이 경우 보다 안정적인 결합부재(10)의 고정을 위하여 아래와 같은 실시예가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도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제1체결부(112)의 상면과 접촉을 하는 제1고정부(121)의 바닥면으로부터의 거리(d1)가 제2체결부(113)의 상면과 접촉을 하는 제2고정부(131)의 바닥면으로부터의 거리(d2)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 경우 결합부재(10)의 제2체결부(13)는 제1체결부(12)보다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결합부재(10)가 변형을 하면서 결합부(11)와 제1지지부(121)의 밀착력을 증대시켜서 보다 안정적인 고정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7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결합부재(110)의 제1체결부(112)의 절곡된 높이(h1)가 제2체결부(113)의 절곡된 높이(h2)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실시예와 같이 결합부(111)와 제1지지부(21)의 밀착력을 높여 보다 안정적인 고정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결합부재(10)를 제1고정부재(20) 및 제2고정부재(30)에서 분리를 하여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1고정부재(20) 및 제2고정부재(30) 사이의 일정 간격 떨어진 틈을 이용하여 후방에서 전방으로 외력을 가하게 된다.
이 경우 결합부(11)가 고정돌기(22a)를 넘으면서 제2체결부(13)가 제2고정부(31)에서 빠져 나오게 된다. 그 다음 제1체결부(12)를 제1고정부(12)에서 제거하는 하는 방법으로 결합부재(10)의 분리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 본체 2: 필터커버
10: 결합부재 11: 결합부
12: 제1고정부 13: 제2고정부
20: 제1고정부재 21: 제1고정부
22: 제1지지부 30: 제2고정부재
31: 제2고정부 32: 제2지지부

Claims (7)

  1. 필터가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및 필터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부재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자석부재와 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는 고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자석부재와 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양단에 구비되는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결합부재;
    상기 제1체결부가 고정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결합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2체결부가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부재는,
    상기 제2체결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2체결부의 하향 이동을 안내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부의 하향 이동시 상기 제2체결부 끝단 상부를 고정하는 제2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체결부의 상면과 접촉을 하는 제1고정부의 바닥면으로부터의 거리는 상기 제2체결부의 상면과 접촉을 하는 제2고정부의 바닥면으로부터의 거리보가 길게 형성되는 필터커버 탈부착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필터가 구비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및 필터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자석부재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자석부재와 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는 고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자석부재와 자력에 의하여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양단에 구비되는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결합부재;
    상기 제1체결부가 고정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결합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고정부재; 및
    상기 제2체결부가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체결부 및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결합부에 하향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부의 절곡된 높이는 상기 제2체결부의 절곡된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필터커버 탈부착 고정장치.



KR1020190043501A 2019-04-15 2019-04-15 필터커버 탈부착 고정장치 KR102222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501A KR102222986B1 (ko) 2019-04-15 2019-04-15 필터커버 탈부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501A KR102222986B1 (ko) 2019-04-15 2019-04-15 필터커버 탈부착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401A KR20200121401A (ko) 2020-10-26
KR102222986B1 true KR102222986B1 (ko) 2021-03-05

Family

ID=73006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501A KR102222986B1 (ko) 2019-04-15 2019-04-15 필터커버 탈부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9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901B1 (ko) * 2016-03-08 2017-08-04 주식회사 위닉스 공기 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6901B1 (ko) 1996-03-09 1999-05-15 구자홍 간이교환 장치의 국선신호 설정방법
KR100768158B1 (ko) * 2005-11-28 2007-10-1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패키지 에어컨의 마그네트 브래킷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901B1 (ko) * 2016-03-08 2017-08-04 주식회사 위닉스 공기 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401A (ko) 202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05305A1 (en) Display installation apparatus and multi-display having the same
JP2018075353A (ja) ブラケット装置及びブラケット装置を含む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US20070155236A1 (en) Wire holder
JP6215926B2 (ja) 引出し
KR102222986B1 (ko) 필터커버 탈부착 고정장치
KR10063307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3047588A (zh) 背光模组及其液晶显示器
KR101233709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US20220193571A1 (en) Plate connecting assembly
CN103912543B (zh) 锁合组件
KR100913768B1 (ko) 슬라이딩 구조 및 이 구조를 사용한 멀티미디어 장치
KR101302497B1 (ko) 다용도 스크린 테이블
CN104440899A (zh) 桌上机器人
WO2021179767A1 (zh) 防尘装置及投影设备
EP3473466A1 (en) Radiator assembly
KR200442960Y1 (ko) 슬라이딩 랙용 플라콘 지지금구
JPH0982423A (ja) コネクタへのクリップ取付構造
JP2007009579A (ja) スペーサ
JP2012150412A (ja) 表示板
CN109923602B (zh) 框架组件及显示设备
KR860003173Y1 (ko) 편향요크홀더의 구조
KR100682504B1 (ko)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
KR100833778B1 (ko) 슬라이더 힌지 조립체
KR200221356Y1 (ko) 고정용 클립
CN205753921U (zh) 振动电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