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356Y1 - 고정용 클립 - Google Patents

고정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356Y1
KR200221356Y1 KR2019980025315U KR19980025315U KR200221356Y1 KR 200221356 Y1 KR200221356 Y1 KR 200221356Y1 KR 2019980025315 U KR2019980025315 U KR 2019980025315U KR 19980025315 U KR19980025315 U KR 19980025315U KR 200221356 Y1 KR200221356 Y1 KR 2002213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rack
pinion
clip
fix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3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2364U (ko
Inventor
김용표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800253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356Y1/ko
Publication of KR200000123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3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3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356Y1/ko

Link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부재를 피고정부재에 고정한 후 분해시에 분해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보디(11)의 상부에 고정부재(2)를 결합하는 압입부(12)가 형성된 고정돌기(13)를 형성하고, 상기 보디(11)의 하부에 수직으로 지지봉(14)을 형성하여 그 하단에 탄성 고정편(15)을 그 상단이 지지봉(14)과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보디(11)에 공동을 형성하여 보디(11)의 외측에서 조작할 수 있는 피니언(16)을 설치하고, 상기 피니언(16)에 랙(17,17')을 교차되게 설치하여 그 하단을 상기 탄성 고정편(15)에 연결부재(18)로 고정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정용 클립
본 고안은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차량 등의 부품을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분해 결합이 가능하도록 할 경우에는 양부재 혹은 부품과 부재를 밀착시킨 후 그 접촉면에 볼트 결합을 하거나, 영구적인 고정방법을 할 경우에는 리벳팅 또는 용접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 방법은 체결공구 또는 용접기 등의 설비가 필요할 뿐 아니라 고정하는 비용이 많이 들어 강도를 중요시하지 않는 양부재 혹은 부품과 부재간의 고정에는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그대신 양부재 혹은 부품과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클립을 사용하고 있는 바, 상기 클립을 이용한 고정방법은 부재 혹은 부품 등의 고정부재에 클립을 설치한 후 클립을 피고정부재에 끼움을 통해 고정하는 것을 채택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고정용 클립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 부품본체 예를 들어 라디에이터 그릴 등의 고정부재(1)를 패널 또는 프론트 트랜스버스 필러 등의 피고정부재(2)에 고정하기 위하여 클립 본체(3)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피고정부재(2)의 일측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클립 본체(3)는 고정부재(1)의 측부에 형성된 홈(1')에 압입시켜 고정부재(1)에 일체형으로 고정되게 하는 압입부(4)를 형성한 고정돌기(5)가 보디(6)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보디(6)의 하부에는 수직으로 지지봉(7)을 형성하여 그 하단에 피고정부재(2)가 끼워져 걸릴 수 있도록 하는 탄성 고정편(8)을 형성하여서, 탄성 고정편(8)의 상단이 지지봉(7)과 일정간격이 유지된 상태에서 탄성이 발생하게 되어 결합홈(2')에 탄성 고정편(8)이 걸림을 통해서 고정부재(1)와 피고정부재(2)가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클립 본체(3)를 이용하여 고정부재(1)와 피고정부재(2)를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부재(1)와 피고정부재(2)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피고정부재(2)에서 클립 본체(3) 탄성 고정편(8)의 걸림을 해제시켜야 하는데, 탄성 고정편(8)을 해제시키기 위해서는 피고정부재(2)의 측면 혹은 저부측으로 손이나 해제수단을 인입시킨 후, 손이나 해제수단을 이용하여 탄성 고정편(8)을 클립 본체(3)의 중심측으로 압박시킴을 통해 피고정부재(2)에서 탄성 고정편(8)을 이탈시키므로서 고정부재(1)와 피고정부재(2)를 분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고정용 클립은, 고정부재(1)와 피고정부재(2) 분리시 피고정부재(2)의 측면 혹은 저부측으로 손이나 해제수단을 인입시킨 후 분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내에서는 분해작업이 원활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고정부재를 피고정부재에 고정한 후 분해시에 분해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고정용 클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보디의 상부에 고정부재를 결합하는 압입부가 형성된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보디의 하부에 수직으로 지지봉을 형성하여 그 하단에 탄성 고정편을 그 상단이 지지봉과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보디에 공동을 형성하여 보디의 외측에서 조작할 수 있는 피니언을 설치하고, 상기 피니언에 랙을 교차되게 설치하여 그 하단을 상기 탄성 고정편에 연결부재로 고정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고정클립을 나타낸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도 1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고정클립을 이용한 도 1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클립 본체 15: 탄성 고정편 16: 피니언 17,17': 랙
18: 연결부재 19: 조절부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 본체(10)의 보디(11) 중심에 공동을 형성하여 회전을 통해 조작할 수 있는 피니언(16)을 설치하고, 상기 피니언(16)에 피니언(16)의 회전에 따라 양방향에서의 인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랙(17,17')을 설치하며, 상기 랙(17,17')의 단부와 탄성 고정편(15)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8)를 고정한 것이다. 상기 랙(17,17')은 피니언(16)을 기준으로 양방향에서의 인장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피니언(16)의 상측으로 교차되는 제1 랙(17)과, 피니언(16)의 하측으로 교차되는 제2 랙(17')으로 구성되며, 상기 피니언(16)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1 랙(17)과 제2 랙(17')은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는 즉, 제1 랙(17)은 우상으로 이동하고 제2 랙(17')은 좌상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그리고 피니언(16)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피니언(16)의 일측을 클립 본체(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그 돌출부위에 조작을 간단하게 하기 위한 조절부(19)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랙(17)과 제2 랙(17')의 단부와 클립 본체(10)의 탄성 고정편(15)을 연결한 연결부재(18)는 스프링, 판스프링, 와이어, 끈 등으로 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스프링으로 형성한 것이며, 상기 연결부재(18)는 탄성 고정편(15)과 제1 랙(17) 및 제2 랙(17')간에 상호 유동이 발생하도록 하고, 피니언(16)의 조절부(19)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1 랙(17) 및 제2 랙(17')이 이동하면서 탄성 고정편(15)을 점차적으로 당길 수 있도록 하며, 조절부(19)에 가하던 회전력을 차단하게 되면 연결부재(18)의 복원력과 탄성 고정편(15)의 반발력에 의해 제1 랙(17) 및 제2 랙(17')이 원위치로 복원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 랙(17)과 제2 랙(17')은 지지봉(14)의 상측에 형성된 가이드(14')에 끼워진 상태에서 피니언(16)과 치합되게 되어, 피니언(16)과 제1 랙(17) 및 제2 랙(17')은 항상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18)를 탄성 고정편(15)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클립 본체(10) 형성시 고정홈(15')을 형성하여, 고정홈(15')에 연결부재(18)를 끼움을 통해서 랙(17,17')의 단부와 탄성 고정편(15)이 연결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피고정부재(2)의 일측이 개방된 부분에서 사용되는 것이나 피고정부재(2)가 폐쇄된 부분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고정부재(1)의 측부에 형성된 홈(1')에 클립 본체(10)의 고정돌기(13)에 형성된 압입부(12)를 압입시켜 고정부재(1)와 클립 본체(10)를 일체로 고정한 상태에서 피고정부재(2)의 결합홈(2')에 클립 본체(10)의 탄성 고정편(15)을 끼우게 되면, 탄성 고정편(15)이 클립 본체(10)의 중심측으로 신축되면서 끼워지게 되는데, 이때 연결부재(18)는 느슨해짐을 발생하고 탄성 고정편(15)은 클립 본체(10)의 지지봉(14)측으로 수축되게 되나, 제1 랙(17)과 제2 랙(17')은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1)와 피고정부재(2)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먼저 클립 본체(10)의 중심 외측에 돌출된 피니언(16)의 조절부(19)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랙(17)과 제2 랙(17')이 위치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도 2에서 상기 조절부(19)가 회전하게 되면 제1 랙(17)은 피니언(16)을 기준으로 왼쪽상단에서 오른쪽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연결부재(18)를 당기고, 연결부재(18)는 탄성 고정편(15)을 당기어 피고정부재(2)의 결합홈(2')에서 탄성 고정편(15)이 분리되게 되는 것이며, 제1 랙(17)의 위치이동과 동시에 제2 랙(17')은 피니언(16)을 기준으로 왼쪽 하단에서 오른쪽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연결부재(18)를 당기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피고정부재(2)에서 탄성 고정편(15)이 분리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를 피고정부재(2)와 이격시키게 되면, 고정부재(1)와 피고정부재(2)의 분해작업은 끝나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회전을 가하던 조절부(19)의 회전력을 제거하게 되면, 연결부재(18)의 복원 탄성과 탄성 고정편(15)의 복원 반발력에 의해 제1 랙(17)과 제2 랙(17')은 원위치로 위치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고정부재와 피고정부재를 고정한 고정클립 분해시 피고정부재의 저부측으로 손이나 해제수단을 넣지 않고 클립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조절부를 회전시키기만 하면 분해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협소한 공간내에서 분해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보디의 상부에 고정부재를 결합하는 압입부가 형성된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보디의 하부에 수직으로 지지봉을 형성하여 그 하단에 탄성 고정편을 그 상단이 지지봉과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보디에 공동을 형성하여 보디의 외측에서 조작할 수 있는 피니언을 설치하고, 상기 피니언에 랙을 교차되게 설치하여 그 하단을 상기 탄성 고정편에 연결부재로 고정한 고정용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랙은 상기 피니언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교차되게 제1 랙과 제2 랙으로 구성한 고정용 클립.
  3. 제1항에 있어서, 피니언의 일측이 상기 클립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그 돌출부위에 조절부를 형성한 고정용 클립.
KR2019980025315U 1998-12-17 1998-12-17 고정용 클립 KR2002213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315U KR200221356Y1 (ko) 1998-12-17 1998-12-17 고정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315U KR200221356Y1 (ko) 1998-12-17 1998-12-17 고정용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364U KR20000012364U (ko) 2000-07-05
KR200221356Y1 true KR200221356Y1 (ko) 2001-07-19

Family

ID=69507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315U KR200221356Y1 (ko) 1998-12-17 1998-12-17 고정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35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858B1 (ko) * 2001-09-19 2004-07-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케이블 고정 클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364U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99841B1 (en) Control system with bowden wire assembly
WO1999061944B1 (en) Fiber optic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JPH10133153A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JP5183248B2 (ja) 引戸サッシ
KR200221356Y1 (ko) 고정용 클립
KR19980042713A (ko) 릴레이 조정 구조체 및 방법
KR100554124B1 (ko) 차량용레버스위치의구조
EP0111380B1 (en) Door checks
JPH0195957A (ja) 回転継手
EP3473466B1 (en) Radiator assembly
KR20220145632A (ko) 스프링쿨러의 레듀샤 고정용 브라켓트
KR200158342Y1 (ko)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
EP3032930A1 (en) Bracket and mounting device thereof
WO2015041445A1 (en) Air vent dial for vehicle
KR200323294Y1 (ko) 환기창 루버 지지구조
KR20050114493A (ko) 링크 로드 결합용 고정핀의 이탈 방지장치
EP0433245A2 (en) A device for operating movable parts of motor-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s
KR20010046610A (ko) 도어용 댐퍼장치
KR0114980Y1 (ko) 카 오디오용 노브구조
KR970045696A (ko) 자동차의 백 도어 유리 고정용 클립
KR200170676Y1 (ko) 가구도어용 자석식 닫힘기구셋트
KR200155265Y1 (ko) 자동차 클러치의 릴리스 포크와 릴리스 샤프트의 결합구조
KR0126136Y1 (ko) 자동차의 호스류 고정용 클램프
JP3128141U (ja) カーテン吊り下げ具
KR100669999B1 (ko) 토션 스프링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