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3709B1 -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3709B1
KR101233709B1 KR1020110143074A KR20110143074A KR101233709B1 KR 101233709 B1 KR101233709 B1 KR 101233709B1 KR 1020110143074 A KR1020110143074 A KR 1020110143074A KR 20110143074 A KR20110143074 A KR 20110143074A KR 101233709 B1 KR101233709 B1 KR 101233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assembly
base member
camera lens
unit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필
강병길
박철순
Original Assignee
자화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화전자(주) filed Critical 자화전자(주)
Priority to KR1020110143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37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렌즈를 구비한 렌즈 조립체부와, 상기 렌즈 조립체부를 광축방향으로 상, 하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수용하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상기 렌즈 조립체부를 상기 광축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착탈시키는 착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CAMERA LENS ASSEMBLY}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베이스 부재에서 렌즈 조립체부만을 착탈가능하게 구성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카메라 제작 기술의 발달로 소형, 경량화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등장하여 휴대용 통신 장치에도 카메라를 장착할 수 있게 되면서, 광학 렌즈 및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장착된 휴대용 통신 장치가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장착하기 위해 소형화되고 있으며, 소형화된 상태에서도 성능을 적절하게 구현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어야 한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성능을 정하는 배율과 함께 중요한 요소는 해상력이다. 이 해상력이 향상되면, 피사체의 상은 선명해져 세밀한 부분까지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거리인 초점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최적의 초점 거리에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최대의 해상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은 이미지 센서(2a)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2)과, 광축방향으로 개방된 결합홈(3a)이 형성된 베이스(3)와, 상기 베이스(3)내에 결합되는 렌즈(4a)를 구비한 렌즈 조립체(4)와, 상기 렌즈 조립체(4)을 광축방향으로 상, 하 구동시키는 구동부(5)와, 상기 베이스(3)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부(7)로 구성된다.
앞서 언급한 도 1과 같이, 상기 구동부(5)는 자성체(4b)와 지지부재(4c)를 구비하는 렌즈 조립체(4)와, 상기 구동부(5)에 구비되고 상기 자성체(4b)에 대응하여 구동력을 생성하는 코일부(8)와, 상기 렌즈 조립체(4)의 구동을 가이드 하는 한쌍의 가이드부(6)와, 상기 구동부에 구비되는 위치 감지센서부(9)로 구성된다. 상기 위치 감지 센서(9)는 상기 자성체(4a)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홀 센서(hall sensor)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6)들과 상기 지지부재(4b)들의 사이에는 다수의 볼(6a)이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4b)들은 상기 가이드부(6)들에 대면하게 배치되고, 상기 볼(6a)들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6)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도 2와 같이,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구동부(5)와 상기 렌즈 조립체(4)를 조립하고, 이 상태에서, 조립된 상기 구동부(5)와 상기 렌즈 조립체(4)를 상기 베이스(3)의 결합홈(3a)에 광축방향(A1)으로 삽입하여 조립한다. 그 다음 상기 베이스(3)의 상부에 커버(7)를 조립한다. 이때, 상기 커버(7)에는 상기 베이스(3)에 형성된 후크홈(3b)에 체결되는 결속 후크(7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커버(7)가 상기 베이스(3)에 결합되면, 상기 커버(7)의 결속 후크(7a)는 상기 베이스(3)의 후크홈(3b)에 각각 맞물림과 동시에 결속된다.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이미 대한 민국 특허 등록 번호 제 10-1041473호( 2011, 06, 08,등록일자)에 관련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조립이 완성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해상력 불량 발생시 다시 분해해야함으로 먼저, 커버를 분해하고, 구동부와 렌즈 조립체를 함께 분해한 다음 수리 후 다시 조립시 구동부와 렌즈 조립체를 함께 조립해야함으로 조립 공정 손실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조립 공정 시간 증가 및 조립 공정 간소화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커버 조립시 렌즈 조립체가 장시간 노출되면 될수록 이물질에 의한 불량 발생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해상력 불량 발생시 구동부와 렌즈 조립체를 함께 분리하던 것을 렌즈 조립체만 교환가능하게 하여 제품의 조립 공정 손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조립 공정 시간 절감 및 조립 공정을 간소화시키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조립 이후 함께 분리되던 구동부와 렌즈 조립체부를 렌즈 조립체부만을 착탈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해상력 불량 발생시 렌즈 조립체만을 교환가능하여 제품의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할뿐만 아니라, 조립 공정 손실을 방지하고, 이로인해 조립 공정에 따른 비용 및 시간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부재에서 렌즈 조립체부만을 간편하게 착탈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렌즈 조립체부의 조립 공정 시간을 단축시킴과 아울러 렌즈 조립체부의 장시간 노출을 방지하여 이물질에 의한 렌즈 조립체부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렌즈를 구비한 렌즈 조립체부와, 상기 렌즈 조립체부를 광축방향으로 상, 하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수용하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상기 렌즈 조립체부를 상기 광축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착탈시키는 착탈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렌즈 조립체부 및 구동부를 수용하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렌즈 조립체부를 착탈시키는 착탈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의하면,
완성 조립 이후 함께 분리되던 구동부와 렌즈 조립체부를 렌즈 조립체부만을 착탈가능하게 구성하여 제품의 해상력 불량 발생시 렌즈 조립체부만을 재조립하여 제품의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할뿐만 아니라, 조립 공정 손실을 방지하고, 이로인해 조립 공정에 따른 비용 및 시간도 절감할 수 있고, 제품의 조립 공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에서 렌즈 조립체부만을 간편하게 착탈되도록 구성하여 렌즈 조립체부의 조립 공정 시간을 단축시킴과 아울러 렌즈 조립체부의 장시간 노출을 방지하여 이물질에 의한 렌즈 조립체부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성 중 구동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성 중 렌즈 조립체부의 착탈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부 확대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는 베이스 부재(20)와, 코일부(40a) 및 위치감지센서부(40b)를 포함하는 구동부(40)와, 자성체(미도시 됨) 및 지지부재(30a)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부(30)와, 커버부(50) 및 착탈부(6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렌즈 조립체부(30)를 광축방향(A1)으로 상, 하 구동을 가이드 하도록 가이드부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요크부(미도시 됨)와, 상기 코일부(40a) 및 상기 위치감시센서부(40b)를 구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렌즈 조립체부(30)는 렌즈(31)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40)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자성체는 상기 코일부(40a)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부(40b)와 대응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와 대응된다. 상기 베이스 부재(20)는 결합된 상기 구동부(40)를 결합하고, 그 다음 상기 렌즈 조립체부(30)를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20)의 상부에는 상기 커버부(50)가 결합된다.
더욱이, 도 5와 같이, 상기 착탈부(60)는 상기 베이스 부재(20)로부터 상기 렌즈 조립체부(30)를 상기 광축방향(A1)의 수직방향으로 착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20)의 일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착탈부(60)는 상기 베이스 일측에서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조립체부(30)가 상기 베이스 부재(20)내에서 착탈가능하도록 상기 렌즈 조립체부(30)의 높이보다 낮도록 개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탈부(60)는 상기 베이스 부재(20) 일측에서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조립체부(30)가 상기 베이스 부재(20)내에 수용시 상기 렌즈 조립체부(30)의 높이의 1/2이상 개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착탈부(60)는 " U " 자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착탈부(60)는 " U " 자 형상 이외에 다른형상도 가능하다.(예컨대, " V " 자 형상등)
상기 착탈부(60)는 내주면이 곡률 또는 직각의 면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 부재(20)에는 상기 커버부(50)에 형성된 후크홈(51)에 체결되도록 후크부(2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50)에는 상기 착탈부(60)에 대면되게 결합되도록 결합부(52)가 돌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 조립체부(30)는 상기 착탈부(60)에 의해 상기 광축방향(A1)의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부(40)로부터 착탈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40)에는 상기 렌즈 조립체부(30)가 상기 광축방향(A1)의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렌즈 조립체부(30)에 형성된 스토퍼부(32)와 착탈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 착탈부(4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앞서 언급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상기 구동부(40)는, 렌즈 조립체부(30)와, 코일부(40a)와, 한쌍의 가이드부(40d)와 위치감지센서부(40b) 및 다수의 볼(40c)로 구성된다. 상기 렌즈 조립체부(30)는 자성체(미도시 됨)와 상기 지지부재(30a)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 부재(20)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코일부(40a)는 상기 자성체에 대응하여 구동력을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40d)들은 상기 렌즈 조립체부(30)의 구동을 가이드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위치감지센서부(40b)는 상기 자성체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도록 상기 코일부(40a)의 이웃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다수의 볼(40c)들은 상기 가이드부(40d)들과 상기 지지부재(30a)를 이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40d)와 상기 지지부재(30a)의 사이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0a)는 상기 가이드부(40d)에 대면되게 배치되고, 상기 볼(40c)들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40d)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40)와 상기 렌즈 조립체부(30)는 상기 다수의 볼(40c)에 의해 이격된 상태이므로, 상기 렌즈 조립체부(30)를 상기 구동부(40)에서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대표적인 적용예로 휴대용 통신 장치에 적용가능하다. 하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휴대용 통신 장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구비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에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의 예시로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게임기, 노트북, 광고판, 티브이(TV),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앞서 언급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조립 과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와 같이, 먼저, 상기 베이스 부재(20)에 구동부(40)를 조립하고, 그 다음, 상기 구동부(40)에 렌즈 조립체부(30)를 조립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 부재(20)에는 상기 렌즈 조립체부(30)를 상기 광축방향(A1)의 수직방향으로 착탈시키는 착탈부(6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렌즈 조립체부(30)를 상기 베이스 부재(20)의 착탈부(60)로 상기 광축방향(A1)의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구동부(40)에 조립한다.
다시 말해서,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착탈부(60)는 상기 렌즈 조립체부(30)가 상기 베이스 부재(20)내에 조립되도록 상기 렌즈 조립체부(30)의 높이보다 낮도록 개방되어 있으므로, 상기 렌즈 조립체부(30)는 상기 착탈부(60)를 통해 상기 광축방향(A1)의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구동부(40)에 조립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20)내에 안착된다. 이때, 도 6과 같이, 상기 구동부(40)에는 렌즈 조립체부(30)에 형성된 스토퍼부(32)와 착탈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 착탈부(41)(6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렌즈 조립체부(30)가 상기 착탈부(60)를 통해 상기 베이스 부재(20)에 조립됨과 동시에 상기 렌즈 조립체부(30)의 상기 스토퍼부(32)는 상기 스토퍼 착탈부(41)들에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앞서 언급한 도 4와 같이, 상기 베이스 부재(20)의 상면에는 바로 커버부(50)가 조립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50)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20)에 형성된 후크부(21)와 체결되는 상기 후크홈(5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커버부(50)가 상기 베이스 부재(20)에 결합시, 상기 커버부(50)의 후크홈(51)이 상기 베이스 부재(20)의 후크부(21)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50)에는 상기 착탈부(60)에 대면되게 결합되는 결합부(52)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커버부(50)가 상기 베이스 부재(20)에 체결시 상기 커버부(50)의 결합부(52)가 상기 착탈부(60)에 대면되게 결합된다.
한편,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동작 과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코일부(40a)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다면, 상기 자성체는 상기 요크부(미도시 됨)에 구비된 상기 코일부(40a)의 중심방향으로 정렬하려고 이동한다. 즉, 상기 자상체(미도시 됨)는 상기 코일부(40a)의 중심방향으로 정렬한다. 이는 상기 자성체와 상기 코일부(40a) 사이의 인력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렌즈 조립체부(30)가 어떠한 간섭도 받지 않고 상, 하 양방향으로 운동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코일부(40a)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자성체의 중심(A1)이 상기 코일부(40a)의 중심으로 정렬하려는 성향을 가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코일부(40a)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코일부(40a)는 전기장을 발생시키고, 상기 코일부(40a)에 의한 전기장과 상기 자성체의 자기장이 상호 작용하여 상기 렌즈 조립체부(30)를 상, 하 양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여기서, 앞서 언급한 도 4 및 도 5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해상력을 검사한다. 이때,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의 해상력 불량이 발생할 경우, 먼저, 도 5와 같이, 상기 베이스 부재(20)에서 상기 커버부(50)를 분리한다. 그 다음, 상기 렌즈 조립체부(30)는 상기 광축방향(A1)의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베이스 부재(20)에는 상기 렌즈 조립체부(30)를 상기 광축방향(A1)의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착탈부(6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렌즈 조립체부(30)를 잡고 당겨서 상기 광축방향(A1)의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상기 렌즈 조립체부(30)는 착탈부(60)를 통과하여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때, 상기 렌즈 조립체부(30)는 상기 구동부(40)로부터 이탈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 부재(20)로부터 분리된다.
여기서, 앞서 언급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40)와 상기 렌즈 조립체부(30)는 가이드부(40d)와 지지부재(30a)에 사이에 구비된 상기 다수의 볼(40c; 도 3에 도시됨))에 의해 이격된 상태이므로, 상기 렌즈 조립체부(30)를 상기 구동부(40)에서 분리가 간편하다.
이와 같이, 기존의 구동부(5; 도 1 및 도 2에 도시됨)와 렌즈 조립체(4; 도 1 및 도 2에 도시됨)를 함께 분리할 필요없이 해상력이 불량인 렌즈 조립체부(30; 도 5에 도시됨)만을 간단하게 상기 베이스 부재(20; 도 5에 도시됨)에서 분리한다.
여기서, 앞서 언급한 도 5와 같이, 수리가 완료된 렌즈 조립체부(30)는 다시 상기 베이스 부재(20)에 상기 광축방향(A1)의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조립한다. 이때, 상기 렌즈 조립체부(30)는 상기 착탈부(60)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여 통과한 후 상기 구동부(40)에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20)의 상부에는 다시 상기 커버부(50)를 체결한다.
이때, 상기 커버부(50)의 결합부(52)는 다시 상기 착탈부(60)에 대면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커버부(50)의 후크홈(51)은 상기 베이스 부재(20)의 후크부(21)에 다시 체결된다.
따라서, 조립 완료 후 함께 분리되던 기존의 구동부와 렌즈 조립체부를 렌즈 조립체부(30)만을 착탈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해상력 불량 발생시 커버부(50) 분리 후 불량 렌즈 조립체부(30)만을 분리 후 수리가 완료된 렌즈 조립체부(30)를 재조립하고, 바로 다시 커버부(50)를 베이스 부재(20)에 체결하여 제품의 조립 공정을 간편하게 할뿐만 아니라, 조립 공정 손실을 방지하고, 이로인해 조립 공정에 따른 비용 및 시간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불량이 발생된 렌즈 조립체부(30)를 교체 후 베이스 부재(20)에 바로 커버부(50)를 결합함으로서, 렌즈 조립체부(30)의 장시간 노출을 방지하여 이물질에 의한 렌즈(31) 조립체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베이스 부재 : 20 렌즈 조립체부 : 30
구동부 : 40 커버부 : 50
착탈부 : 60 렌즈 : 31
후크부 : 21 후크홈 : 51
결합부 : 52 스토퍼부 : 32
스토퍼 착탈부 : 41

Claims (11)

  1.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렌즈를 구비한 렌즈 조립체부와, 상기 렌즈 조립체부를 광축방향으로 상, 하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수용하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상기 렌즈 조립체부를 상기 광축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착탈시키는 착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베이스 일측에서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조립체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내에서 착탈가능하도록 상기 렌즈 조립체부의 높이보다 낮도록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베이스 일측에서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렌즈 조립체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내에 수용시 상기 렌즈 조립체부의 높이의 1/2 이상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 U " 자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내주면이 곡률 또는 직각의 면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커버부에 형성된 후크홈에 체결되는 후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상기 착탈부에 대면되게 결합되는 결합부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조립체부는 상기 착탈부에 의해 상기 광축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부로부터 착탈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렌즈 조립체부가 상기 광축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상기 렌즈 조립체부에 형성된 스토퍼부와 착탈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 착탈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자성체와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렌즈 조립체부;
    상기 자성체에 대응하여 구동력을 생성하는 코일부;
    상기 렌즈 조립체부의 구동을 가이드 하는 한쌍의 가이드부;
    상기 자성체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부; 및
    상기 가이드부들과 상기 지지부재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부들과 상기 지지부재를 이격시키는 다수의 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1.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렌즈 조립체부 및 구동부를 수용하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렌즈 조립체부를 착탈시키는 착탈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동 장치.
KR1020110143074A 2011-12-27 2011-12-27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1233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074A KR101233709B1 (ko) 2011-12-27 2011-12-27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074A KR101233709B1 (ko) 2011-12-27 2011-12-27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3709B1 true KR101233709B1 (ko) 2013-02-18

Family

ID=47899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074A KR101233709B1 (ko) 2011-12-27 2011-12-27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370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065B1 (ko) 2013-08-30 2015-04-10 자화전자(주) 렌즈 구동용 엑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렌즈 조립체
KR101511748B1 (ko) 2014-10-22 2015-04-13 주식회사 비엘디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US9635268B2 (en) 2013-03-13 2017-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thumbnail data
KR20190014868A (ko) * 2017-08-04 2019-02-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
US10633296B2 (en) 2013-03-13 2020-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thumbnails based on captured imag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6023A (ko) * 2007-09-07 2009-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모듈
KR20100138269A (ko) * 2009-06-24 2010-12-31 자화전자(주) 셔터기능을 구비한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110086935A (ko) * 2010-01-25 2011-08-02 자화전자 주식회사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정 장치
KR101068124B1 (ko) 2010-04-20 2011-09-27 주식회사 뮤타스 카메라 모듈용 보이스 코일 모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6023A (ko) * 2007-09-07 2009-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모듈
KR20100138269A (ko) * 2009-06-24 2010-12-31 자화전자(주) 셔터기능을 구비한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110086935A (ko) * 2010-01-25 2011-08-02 자화전자 주식회사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정 장치
KR101068124B1 (ko) 2010-04-20 2011-09-27 주식회사 뮤타스 카메라 모듈용 보이스 코일 모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35268B2 (en) 2013-03-13 2017-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thumbnail data
US10348971B2 (en) 2013-03-13 2019-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thumbnails based on captured images
US10633296B2 (en) 2013-03-13 2020-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thumbnails based on captured images
US11509807B2 (en) 2013-03-13 2022-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thumbnails based on captured images
KR101511065B1 (ko) 2013-08-30 2015-04-10 자화전자(주) 렌즈 구동용 엑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렌즈 조립체
KR101511748B1 (ko) 2014-10-22 2015-04-13 주식회사 비엘디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14868A (ko) * 2017-08-04 2019-02-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
KR102353920B1 (ko) * 2017-08-04 2022-01-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0291B2 (en) Camera lens module having auto-focusing and optical image stabilizing functions
KR20150113675A (ko) 듀얼 카메라 모듈
US11079565B2 (en) Optical system
US10338341B2 (en) Lens holder driving device and camera-equipped portable terminal
US8594493B2 (en) Image photographing device having function for compensating for hand vibration
EP1691228B1 (en) Lens unit and imaging apparatus
KR101233709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1341623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140033812A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US20170115463A1 (en) Lens holder drive device and camera-equipped portable terminal
KR101285412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동 장치
CN207408653U (zh) 光学驱动机构
CN110231747B (zh) 带抖动修正功能的光学单元
KR102639380B1 (ko) 렌즈 구동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CN103033904B (zh) 透镜驱动装置
KR20160068133A (ko) 광학 손떨림 보정 가능한 카메라 렌즈 모듈
US11689788B2 (en)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US20140071304A1 (en) Camera module
JP2006227103A (ja) 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JP2008287034A (ja) 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撮像機器、ならびに携帯電子機器
JP2013250299A (ja) 手振れ補正機能付きレンズ駆動装置
WO2014042440A1 (ko) 카메라 렌즈 모듈
KR20110078491A (ko) 보이스 코일 모터 및 그 조립 방법
US20220357554A1 (en) Driving mechanism
CN109901276B (zh) 多镜头摄像系统及其驱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