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3812A -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3812A
KR20140033812A KR20120100151A KR20120100151A KR20140033812A KR 20140033812 A KR20140033812 A KR 20140033812A KR 20120100151 A KR20120100151 A KR 20120100151A KR 20120100151 A KR20120100151 A KR 20120100151A KR 20140033812 A KR20140033812 A KR 20140033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unit
camera lens
coil
lens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00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철
김영석
박병찬
김인현
Original Assignee
자화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화전자(주) filed Critical 자화전자(주)
Priority to KR20120100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3812A/ko
Priority to CN201380045800.9A priority patent/CN104583830B/zh
Priority to PCT/KR2013/008170 priority patent/WO2014038920A1/ko
Publication of KR20140033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38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03B17/14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interchangea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와,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되고, 제 1, 2 자성체 또는 코일부 및 위치감지센서부를 구비하는 제 1, 2 구동부와, 상기 제 1, 2 구동부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 1 베어링 결합부 및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1, 2 구동부의 중심에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2 자성체 또는 상기 코일부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 2 베어링 결합부 및 제 2 가이드부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CAMERA LENS ASSEMBLY}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 1, 2 자성체 또는 코일부 및 위치감시센서부를 분리하여 배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카메라 제작 기술의 발달로 소형, 경량화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등장하여 휴대용 통신 장치에도 카메라를 장착할 수 있게 되면서, 광학 렌즈 및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장착된 휴대용 통신 장치가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장착하기 위해 소형화되고 있으며, 소형화된 상태에서도 성능을 적절하게 구현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어야 한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성능을 정하는 배율과 함께 중요한 요소는 해상력이다. 이 해상력이 향상되면, 피사체의 상은 선명해져 세밀한 부분까지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거리인 초점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최적의 초점 거리에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가 최대의 해상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은 이미지 센서(2a)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2)과, 광축방향으로 개방된 베이스(3)와, 상기 베이스(3)내에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이 일체로 구비된 렌즈 홀더(4)와, 상기 렌즈 홀더(4)를 광축방향으로 상, 하 구동시키는 구동부(5)와, 상기 베이스(3)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7)로 구성된다.
앞서 언급한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상기 구동부(5)는 자성체(4a)를 구비하고, 구동 부재(4c)를 일체로 구비하는 렌즈 홀더(4)와, 상기 구동부(5)에 구비되고 상기 자성체(4a)에 대응함과 아울러 구동력을 생성하는 코일부(8)와, 상기 렌즈 홀더(4)의 구동을 가이드 하는 한쌍의 가이드부(6)와, 상기 구동부에 구비되는 위치감지센서부(9)로 구성된다. 상기 위치감지센서(9)는 상기 자성체(4a)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홀 센서(hall sensor)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6)들과 상기 구동 부재(4c)들의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부들(6)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볼 베어링(6a)이 구성된다.
여기서, 도 1과 같이, 상기 베이스(3)에는 상기 구동부(5)의 하부에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부(5)와 상기 렌즈 홀더(4)를 지지하고, 상기 구동부(5)를 가압시 수축되었다가 가압을 없애면 다시 상기 구동부(5)를 원위치 복원시키는 리프 스프링(Leaf Spring)(10)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이미 대한 민국 특허 등록 번호 제 10-1041473호( 2011, 06, 08,등록일자)에 관련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종래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동부의 가이드부들과 볼 베어링들은 구동부의 양측에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들의 사이 공간에 상기 구동부의 코일부와 위치감지센서를 분리하지 않고 함께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코일부와 상기 위치감지센서는 하나의 자성체를 이용하여 구동력 및 상기 자성체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종래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상기 하나의 자성체가 분리없이 함께 구비된 상기 코일부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의 구동 및 위치감지기능을 수행해야 함으로 인해 서로간의 간섭이 발생되고, 이로인해 상기 구동부의 구동 기능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의 감지 기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상기 구동부의 코일부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를 상기 구동부의 공간내에서 서로 분리되게 배치시키고, 이로인해 서로 간섭없이 상기 구동 기능 및 상기 감지기능의 수행할 수 시킬 수 있도록 한 장치가 필요할 실정이다.
또한, 상기 구동부의 공간내에서 상기 코일부 및 상기 위치감시센서를 각각 분리하여 배치시키기 위해 상기 코일부 및 상기 위치감시센서를 각각 대응되도록 자성체를 분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렌즈 홀더는 구동부의 구동 부재와 일체로 구비되는 구조이므로, 카메라 모듈 공정에서 불량 발생시 상기 렌즈 홀더만 분리할 수 없어 카메라 렌즈 모듈의 전체 또는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하거나 불량 제품의 커버를 베이스로부터 분리하고, 구동부와 렌즈 홀더를 순차적으로 분리한 다음 상기 카메라 모듈을 수리 후 다시 상기 구동부와 수리된 상기 렌즈 홀더를 재조립한 다음 다시 베이스에 다시 조립해야함으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조립 공정 시간 증가 및 조립 공정 간소화를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 공정에서 불량 발생시 구동부와 결합된 렌즈 홀더를 분해할 필요없이 카메라 모듈만을 분리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제 2 구동부의 구동 공간의 중심부에 구비함과 아울러 코일부 및 위치감시센서부를 분리하여 배치시킬 수 있도록 제 2 가이드부를 구성함으로써, 코일부 및 위치감지센서부의 분리 배치에 따른 구동부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 하고, 또한, 상기 코일부의 구동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부의 감지기능을 수행시 서로간의 간섭을 방지하고 이로인해 상기 구동부의 구동 기능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부의 감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구동부의 중심부에 구비함과 아울러 제 1, 2 자성체를 분리하여 구비할 수 있도록 제 2 베어링 결합부를 구성함으로써, 분리된 상기 제 1 자성체는 코일부와 일대일로 대응되고, 마찬가지로 분리된 제 2 자성체는 위치감지센서부와 일대일로 대응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 기능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부의 감지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구동부에 렌즈 홀더부와 나사방식으로 조립 및 분해되는 조립부를 구성함으로써, 카메라 모듈 공정에서 불량 발생시 구동부와 렌즈 홀더부를 함께 분리할 필요없이 렌즈 홀더부만을 분해 및 조립가능하도록 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부재에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이물질 유입 차단부를 구성함으로써, 커버부의 개구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과 조립 공정시 발생된 이물질들이 해상력 품질에 영향을 주는 이미지 센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제품의 기능 및 해상력 저하를 방지하도록 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되는 제 1, 2 자성체 또는 코일부 및 위치감지센서부를 구비하는 제 1, 2 구동부;
상기 제 1, 2 구동부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 1 베어링 결합부 및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1, 2 구동부의 중심에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2 자성체 또는 상기 코일부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 2 베어링 결합부 및 제 2 가이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됨과 아울러 제 1, 2 자성체를 구비하고, 볼 베어링과 결합되는 제 1, 2 베어링 결합부를 구비한 제 1 구동부; 및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구동부와 대응되고, 코일부 및 위치감지센서부를 구비하며, 상기 볼 베어링과 결합되는 제 1, 2 가이드부를 구비한 제 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베어링 결합부 및 상기 제 1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2 구동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베어링 결합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2 구동부의 중심부에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2 자성체의 사이 또는 상기 코일부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부의 사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의하면,
제 2 구동부의 구동 공간 중심부에 구비함과 아울러 코일부 및 위치감지센서부의 사이에 분리하여 구비할 수 있도록 제 2 가이드부를 구성하여 구동부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 하고, 또한, 상기 코일부의 구동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부의 감지기능을 수행시 서로간의 간섭을 방지할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부의 구동 기능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부의 감지 기능을 향상시키고, 이로인해 제품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제 2 가이드부에 의해 코일부 및 위치감지센서부가 분리됨으로 인해 제 1, 2 자성체를 분리하도록 제 2 베어링 결합부를 구성함으로써, 분리된 상기 제 1 자성체는 코일부와 일대일로 대응되고, 마찬가지로 분리된 제 2 자성체는 위치감지센서부와 일대일로 대응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 기능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부의 감지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제 1 구동부에 렌즈 홀더부와 나사방식으로 조립 및 분해되는 조립부를 구성함으로써, 카메라 모듈 공정에서 불량 발생시 구동부와 렌즈 홀더부를 함께 분리할 필요없이 렌즈 홀더부만을 분해 및 조립가능하여 조립 공정 시간 절감 및 조립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불량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에 제품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이물질 유입 차단부를 구성하여 커버부의 개구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과 조립 공정시 발생된 이물질들이 해상력 품질에 영향을 주는 이미지 센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제품의 기능 및 해상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성 중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성 중 렌즈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성 중 구동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성 중 렌즈 홀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성 중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A부 확대 측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는 베이스 부재(120)와, 제 1, 2 구동부(130)(14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2 구동부(130)(140)는 렌즈 홀더부(150)를 광축방향으로 상, 하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 1 구동부(130)는 분리된 제 1, 2 자성체(170)(171)를 구비하고, 볼 베어링(160)과 결합되는 제 1, 2 베어링 결합부(130a)(130b)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 부재(120)에 결합된다. 상기 제 2 구동부(140)는 상기 제 1 구동부(130)와 대응되고, 코일부(180) 및 위치감지센서부(190)를 구비하며, 상기 볼 베어링(160)과 결합되는 분리된 제 1, 2 가이드부(140a)(140b)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 부재(120)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베어링 결합부(130a) 및 상기 제 1 가이드부(140a)는 상기 제 1, 2 구동부(130)(140)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베어링 결합부(130b)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140b)는 상기 제 1, 2 구동부(130)(140)의 중심부에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2 자성체(170)(171)의 사이 또는 상기 코일부(180)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부(190)의 사이에 구비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구동부(130)의 제 2 베어링 결합부(130b)의 좌, 우에는 제 1, 2 자성체(170)(171)를 분리하여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 1 자성체(170)는 상기 코일부(180)와 일대일로 대응시켜 구동 기능을 향상시키고, 또한, 상기 제 2 자성체(171)는 상기 위치감지센서부(190)와 일대일로 대응시켜 감지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 2 구동부(140)의 제 2 가이드부(140b)의 좌, 우에는 상기 코일부(180)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부(190)를 분리하여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 2 구동부(140)의 구동 공간(141) 활용을 극대화 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코일부(180)의 구동 기능 및 상기 위치감시센서부(190)의 감지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 도 4 및 도 5에 도시됨)는 대표적인 적용예로 휴대용 통신 장치에 적용가능하다. 하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휴대용 통신 장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를 구비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에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의 예시로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게임기, 노트북, 광고판, 티브이(TV),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2 자성체(170)(171)는 상기 제 2 베어링 결합부(130b)에 의해 분리되어 상기 제 1 구동부(130)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 자성체(170)는 분리된 상기 코일부(180)와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구동용 자성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자성체(171)는 분리된 상기 위치감지센서부(190)와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센서용 자성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의 구성 중 제 1 구동부(13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와 같이, 상기 제 1 구동부(130)는 조립부(131)와, 제 1, 2 안착홈(132)(133)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방지부재(134)를 포함한다. 상기 조립부(131)는 렌즈 홀더부(150)와 나사방식에 의해 조립 및 분해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 안착홈(132)은 상기 제 1 자성체(170)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립부(131)의 이웃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제 2 안착홈(133)은 상기 제 2 자성체(171)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립부(131)의 이웃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회전방지부재(134)들은 상기 베이스 부재(120)에 형성된 결합홈(121)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구동부(13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조립부(131)의 둘레에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 부재(120)의 하부에는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도록 이물질 유입 차단부(200)가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립부(131)는 상기 렌즈 홀더부(150)를 삽입하여 조립 및 분리가능하도록 개구(131a)가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앞서 언급한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성 중 제 2 구동부(14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와 같이, 구동 공간(141)과, 제 1, 2 안착홈(142)(143)과, 이탈방지부(144)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공간(141)은 상기 제 1 가이드부(140a)와, 상기 코일부(180)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부(190)를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코일부(180)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부(190)의 사이에 제 2 가이드부(140b)를 배치시킬 수 있도록 제공한다. 상기 제 1 안착홈(142)은 상기 코일부(180)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 공간(141)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안착홈(143)은 상기 위치감기센서부(190)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 공간(141)에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부(144)는 상기 제 2 구동부(14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구동 공간(141)의 양측에 형성된다.
도 6과 같이, 상기 제 1, 2 가이드부(140a)(140b)는 상기 볼 베어링(160)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코일부(180)의 구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상기 코일부(180)의 양측에 배치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도 5와 같이, 상기 베이스 부재(120)에는 상기 렌즈 홀더부(150)를 구비한 상기 제 1 구동부(13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구동부(130)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구동부(130)가 액티브 얼라인(Active Align)이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20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부재(202)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201)는 판 스프링이외 다른 스프링도 가능하다.(예컨대, 와이어 스프링 및 코일 스크링등)
여기서, 상기 액티브 얼라인(Active Align)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를 초기 정렬 후 상기 제 1 구동부(130)를 상기 베이스 부재(120)에 고정시키는 정렬 방법이다.다시 말해, 상기 탄성 부재(202)는 초기 정렬된 상기 제 1 구동부(130)를 가압시 수축되었다가 가압을 없애면 다시 제 1 구동부(130)를 원위치 복원시킨다.
여기서, 앞서 언급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의 조립 과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 및 도 5와 같이, 먼저, 상기 제 1 구동부(130)의 제 1, 2 안착홈(132)(133)에 제 1, 2 자성체(170)(171)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 1, 2 자성체(170)(171)는 상기 제 1 구동부(130)의 중심에 구비된 제 2 베어링 결합부(130b)에 의해 분리되어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제 1 구동부(130)에 렌즈 홀더부(150)를 나사방식에 의해 조립한다. 그리고, 베이스 부재(120)에 상기 제 1 구동부(130)를 조립한다. 또한, 상기 제 2 구동부(140)의 제 1, 2 안착홈(142)(143)에 코일부(180) 및 위치감지센서부(19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코일부(180)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부(190)는 상기 제 2 구동부(140)의 중심에 구비된 제 2가이드부에 의해 분리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구동부(140)의 일단 및 중심에 구비된 제 1, 2 가이드부(140a)(140b)에는 볼 베어링(160)이 구비된다. 상기 제 2 구동부(140)는 상기 베이스 부재(12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1 구동부(130)의 제 1 자성체(170)는 상기 코일부(180)와 일대일로 대응되고, 상기 제 1 구동부(130)의 제 2 자성체(171)는 상기 위치감지센서부(190)와 일대일로 대응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부재(120)의 상부에 커버부(201)를 결합한다.
즉, 상기 제 2 구동부(140)에 형성된 구동 공간(141)의 중심에 상기 제 2 가이드부(140b)를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가이드부(140b)는 상기 코일부(180)와 상기 위치감지센서부(190)의 사이에 배치된다.
한편,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코일부(18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다면, 분리 배치된 상기 제 1 자성체(170)는 분리 배치된 상기 코일부(180)의 중심방향으로 정렬하려고 이동한다. 상기 코일부(180)는 상기 제 1 자성체(170)와 일대일로 대응되게 위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자성체(170)는 상기 코일부(180)와 바로 일대일로 정렬된다. 이는 상기 제 1 자성체(170)와 상기 코일부(180)사이의 인력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렌즈 홀더부(150)가 어떠한 간섭도 받지 않고 상, 하 양방향으로 운동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코일부(18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자성체(170)와 일대일로 대응되게 상기 코일부(180)가 바로 정렬한다.
이때, 상기 위치감지센서부(190)는 분리된 배치된 상기 제 2 자성체(171)와 일대일로 대응되게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자성체(170)와 상기 코일부(180)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인력의 간섭 없이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초점거리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분리된 배치된 상기 코일부(18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코일부(180)는 전기장을 발생시키고, 상기 코일부(180)에 의한 전기장과 분리 배치된 상기 제 1 자성체(170)의 자기장이 상호 작용하여 상기 렌즈 홀더부(150) 및 상기 제 1 구동부(130)를 상, 하 양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부재(120)에 구비된 탄성 부재(202)는 구동에 따라서 상기 제 1 구동부(130)를 가압시 수축되었다가 가압을 없애면 다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1 구동부(130)를 원위치 복원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구동부(140)의 구동 공간(141)의 중심에 볼 베어링(160)이 구비된 제 2 가이드부(140b)를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가이드부(140b)의 좌, 우에 상기 코일부(180)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부(190)를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구동 공간(141)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 하고, 상기 코일부(180)의 구동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부(190)의 감지기능을 수행시 인력의 영향으로 인해 서로간의 간섭을 방지할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부의 구동 기능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부(190)의 감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 1 구동부(130)의 중심에 제 2 베어링 결합부(130b)를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베어링 결합부(130b)의 좌, 우에 제 1, 2 자성체(170)(171)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 1 자성체(170)는 상기 코일부(180)와 일대일로 대응시켜 구동용 자성체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자성체(171)는 상기 위치감지센서부(190)와 일대일로 대응시켜 센서용 자성체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모듈 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할 경우, 기존에는 먼저, 커버(7; 도 1에 도시됨)를 베이스 부재(3; 도 1에 도시됨)에서 분리하고, 구동부(5 ; 도 1에 도시됨)와 렌즈 홀더(4; 도 1에 도시됨)를 함께 분리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기존의 구동부와 상기 렌즈 홀더를 분리시 상기 구동부가 파손되거나 재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 5와 같이, 제 1 구동부(130)에 렌즈 홀더부(150)와 나사방식에 의해 조립 및 분해되는 조립부(131)를 구성함으로써, 카메라 모듈 공정에서 불량이 발생시 간단하게 렌즈 홀더부(150)만을 상기 제 1 구동부(130)로부터 나사방식으로 회전하여 분해하고, 새로운 렌즈 홀더부(150) 또는 수리가 완료된 렌즈 홀더부(150)를 다시 상기 제 1 구동부(130)에 나사방식으로 재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부재(120)에 다시 커버부(201)를 결합한다.
이와 같이, 완성된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00)에서 렌즈 홀더부(150)(121)만을 조립가능하여 제품의 조립 공정을 간편하게 할뿐만 아니라, 조립 공정 손실을 방지하고, 이로인해 조립 공정에 따른 비용 및 시간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1; 도 1에 도시됨)는 커버(7; 도 1에 도시됨)의 개구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과 이 조립 공정시 유입된 이물질들이 기존의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이미지 센서(2a; 도 1에 도시됨)면으로 이동하여 제품의 해상력 품질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 8 및 도 9와 같이, 상기 베이스 부재(120)에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이물질 유입 차단부(20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이물질 유입 차단부(200)는 유입된 이물질(미도시 됨)들이 상기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이미지 센서면(미도시 됨)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제품의 해상력 저하를 방지하고, 이로인해 제품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제공함과 동시에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베이스 부재 : 120 렌즈 홀더부 : 150
제 1, 2, 구동부 : 130, 140 볼 베어링 : 160
코일부 : 180 위치감지센서부 : 190
조립부 : 131 제 1, 2 안착홈 : 132, 133
회전방지부재 : 134 구동 공간 : 141
제 1, 2 안착홈 : 142, 143 이탈방지부 : 144
이물질 유입 차단부 : 200

Claims (11)

  1.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되고, 제 1, 2 자성체 또는 코일부 및 위치감지센서부를 구비하는 제 1, 2 구동부;
    상기 제 1, 2 구동부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 1 베어링 결합부 및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1, 2 구동부의 중심에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2 자성체 또는 상기 코일부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 2 베어링 결합부 및 제 2 가이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부는 상기 1, 2 자성체를 분리하여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2 베어링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구동부는 상기 코일부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부를 분리하여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2 가이드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3.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에 있어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됨과 아울러 제 1, 2 자성체를 구비하고, 볼 베어링과 결합되는 제 1, 2 베어링 결합부를 구비한 제 1 구동부; 및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구동부와 대응되고, 코일부 및 위치감지센서부를 구비하며, 상기 볼 베어링과 결합되는 제 1, 2 가이드부를 구비한 제 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베어링 결합부 및 상기 제 1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2 구동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베어링 결합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2 구동부의 중심부에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2 자성체의 사이 또는 상기 코일부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부의 사이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자성체는 상기 제 2 베어링 결합부에 의해 분리되어 상기 제 1 구동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자성체는 상기 코일부와 대응되는 구동용 자성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자성체는 상기 위치감시센서부와 대응되는 센서용 자성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부는, 렌즈 홀더부와 나사방식에 의해 조립 및 분해되는 조립부;
    상기 조립부의 이웃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2 자성체를 안착시키는 제 1, 2 안착홈; 및
    상기 조립부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구동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방지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하부에는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이물질 유입 차단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는 개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부는,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코일부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부를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코일부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부의 사이에 제 2 가이드부를 배치시킬 수 있도록 제공하는 구동 공간;
    상기 구동 공간에 형성되어 상기 코일부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부를 안착시키는 제 1, 2 안착홈; 및
    상기 구동 공간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구동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가이드부는 상기 코일부의 양측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제 1 구동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구동부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구동부가 액티브 얼라인(Active Align)이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120100151A 2012-09-10 2012-09-10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14003381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0151A KR20140033812A (ko) 2012-09-10 2012-09-10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CN201380045800.9A CN104583830B (zh) 2012-09-10 2013-09-10 相机镜头组件
PCT/KR2013/008170 WO2014038920A1 (ko) 2012-09-10 2013-09-10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0151A KR20140033812A (ko) 2012-09-10 2012-09-10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46191A Division KR101484586B1 (ko) 2014-10-27 2014-10-27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812A true KR20140033812A (ko) 2014-03-19

Family

ID=50237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00151A KR20140033812A (ko) 2012-09-10 2012-09-10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40033812A (ko)
CN (1) CN104583830B (ko)
WO (1) WO20140389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91862A (zh) * 2015-06-23 2017-01-04 三星电机株式会社 相机模块
CN111045184B (zh) * 2015-12-11 2022-09-23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应用热变驱动器的镜头组件和摄像模组及其自动对焦方法
KR101653762B1 (ko) * 2016-01-20 2016-09-05 (주) 엠디펄스 볼 거리 유지부가 구비된 카메라 모듈
CN107203026A (zh) * 2016-03-18 2017-09-26 三星电机株式会社 摄像头模块
CN206294254U (zh) * 2016-12-20 2017-06-3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组件、双摄像头模组及移动终端
KR102115520B1 (ko) * 2017-04-03 2020-05-2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CN107479165A (zh) * 2017-09-11 2017-12-15 重庆睿恩光电子有限责任公司 相机及其镜头驱动装置
JP7269774B2 (ja) * 2019-03-28 2023-05-09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配線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TWI724412B (zh) 2019-04-24 2021-04-1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鏡頭驅動模組與電子裝置
WO2020243862A1 (zh) * 2019-06-01 2020-12-10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镜头组件
WO2020243855A1 (zh) * 2019-06-01 2020-12-10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镜头组件
CN114200739A (zh) * 2020-09-02 2022-03-18 哈钦森技术股份有限公司 引导式自动对焦组件
CN115185056A (zh) * 2022-01-11 2022-10-14 新思考电机有限公司 光学元件驱动装置、照相机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945B1 (ko) * 2005-06-16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CN101218653A (zh) * 2005-07-07 2008-07-09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致动器组件以及驱动致动器组件的方法和设备
KR101088339B1 (ko) * 2010-01-05 2011-12-01 자화전자(주) 이물질 차단 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20110008714U (ko) * 2010-03-05 2011-09-15 자화전자(주) 렌즈 초점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38920A1 (ko) 2014-03-13
CN104583830A (zh) 2015-04-29
CN104583830B (zh) 2017-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33812A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1484586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150113675A (ko) 듀얼 카메라 모듈
JP5571089B2 (ja) 複合駆動機構レンズアクチュエーター
TWI675230B (zh) 透鏡保持器驅動裝置以及具有照相機的行動終端
KR101341623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CN103309120B (zh) 透镜驱动装置
WO2016103697A1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US8537226B2 (en) Voice coil motor and camera module having same
CN110231747B (zh) 带抖动修正功能的光学单元
CN203275847U (zh) 带手抖修正功能的透镜驱动装置
KR101285412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구동 장치
WO2010067550A1 (ja) レンズ駆動装置
KR20160012455A (ko) 카메라 모듈
CN104204934A (zh) 透镜驱动装置及摄像机
CN103033904B (zh) 透镜驱动装置
US8891176B2 (en) Lens barrel and image capturing device
CN203480109U (zh) 透镜驱动装置
KR20110078491A (ko) 보이스 코일 모터 및 그 조립 방법
WO2010095407A1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1233709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US7728705B2 (en)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device
US20080024016A1 (en) Actuator
KR20130081398A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120100509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