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504B1 -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2504B1
KR100682504B1 KR1020050073941A KR20050073941A KR100682504B1 KR 100682504 B1 KR100682504 B1 KR 100682504B1 KR 1020050073941 A KR1020050073941 A KR 1020050073941A KR 20050073941 A KR20050073941 A KR 20050073941A KR 100682504 B1 KR100682504 B1 KR 100682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array
hook
electronic product
cen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3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3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2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8Casing of switch constituted by a handle serving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Landscapes

  • Mounting Components In General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단 배면을 따라 일부가 개구된 상단플랜지(22)를 구비하며 전자제품의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20)과, 상기 전면패널(20)의 배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배면에 대해 수직으로 근접하고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버튼몸체(32) 상에 버튼(33)이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되어 구성되는 버튼어레이(30)와, 전자제품의 적어도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버튼(33)이 관통하여 노출되는 통공(43)을 가지는 상부커버(40)와, 상기 버튼어레이(30)와 상부커버(40)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40)의 장착시에 상기 버튼어레이(30)를 이동시켜 상기 통공(43)의 중심에 버튼(33)의 중심이 위치되게 하는 센터링돌기(45)와 센터링홈(3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에 의하면 버튼의 장착을 위해 별도의 장비가 필요없어 제품의 양산성이 좋아지고, 버튼이 상부커버의 통공에 정확하게 위치되어 동작특성 및 외관특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전자제품, 버튼, 장착, 센터링

Description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Button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onic appliances}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제품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제품의 버튼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버튼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면패널과 버튼어레이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면패널과 버튼어레이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튼어레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커버를 뒤집어서 보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전면패널 22: 상단플랜지
24: 삽입걸이단 26: 장착바아
28: 걸이후크 29: 걸이턱
30: 버튼어레이 32: 버튼몸체
33: 버튼 34: 걸이단
36: 걸이대 39: 센터링리브
39': 센터링홈 40: 상부커버
42: 선단스컷트 43: 통공
45: 센터링돌기
본 발명은 전자제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론트패널에 설치되고 상부 커버를 통해 노출되는 버튼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전자제품의 외관 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제품의 버튼 설치구조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전자제품의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1)의 내부에는 전자제품을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캐비넷(1)은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캐비넷(1)의 선단에는 전면패널(3)이 설치되어, 전자제품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캐비넷(1)의 상면과 양측면 및 전면의 일부를 상부커버(5)가 형성한다.
전자제품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버튼(7)중 일부가 상기 전면패널(3)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커버(5)를 통해 노출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패널(3)의 배면에 상기 버튼(7)의 버튼몸체(8)가 융착돌기(9)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버튼(7)은 전면패널(3)의 상단플랜지(10)를 통해 노출된다. 상기 상단플랜지(10)로 노출된 버튼(7)은 상기 상부커버(5)에 천공된 통공(도면부호 부여않음)을 통해 상부커버(5)의 상면으로 노출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버튼(7)의 버튼몸체(8)는 상기 전면패널(3)에 융착돌기(9)의 융착에 의해 고정되고, 버튼(7)자체는 상부커버(5)를 통해 노출되므로, 이들 3부품의 위치관계가 정확하게 설정되지 않으면, 버튼(7)이 정확하게 상부커버(5)의 통공을 통해 노출될 수 없다. 이와 같이 되면 버튼(7)의 동작에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외관 또한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몸체(8)를 융착돌기(9)를 융착하여 전면패널(3)에 부착하는 작업은 융착을 위한 장비를 필요로 하는 등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패널에 설치되어 상부커버를 통해 노출되는 버튼의 설치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장비없이 버튼을 장착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배면에 걸이후크가 형성되고 상단 배면을 따라 일부가 개구된 상단플랜지를 구비하며 전자제품의 일측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배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상단플랜지의 상부로 돌출되는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버튼이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버튼몸체의 양단에는 상기 걸이후크에 소정의 유동가능하게 갭을 가지고 결합되는 걸이대를 구비하는 버튼어레이와, 전자제품의 적어도 일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버튼이 관통하여 노출되는 통공을 가지고, 상기 유동가능한 갭을 이용하여 상기 패널 및 버튼어레이와의 조립시 버튼어레이를 이동시켜 상기 통공의 중심에 버튼의 중심이 위치되게 하는 센터링돌기를 구비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튼어레이에는 상기 버튼이 눌러지는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인 패널의 배면 후방으로 연장되는 장착통체가 형성되고, 상기 패널의 배면에는 상기 장착통체에 삽입되는 장착바아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어레이의 버튼몸체 양단에는 상기 상단플랜지에 형성된 삽입걸이단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걸이단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어레이가 패널의 배면을 따라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버튼의 사이에 해당되는 버튼몸체상에는 상기 커버의 센터링돌기가 삽입되는 센터링홈이 형성된 센터링리브가 구비된다.
상기 센터링홈의 입구는 내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고, 적어도 서로 마주보는 면이 상기 센터링돌기를 안내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단 배면을 따라 일부가 개구된 상단플랜지를 구비하며 전자제품의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의 배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배면에 대해 수직으로 근접하고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버튼몸체 상에 버튼이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되어 구성되는 버튼어레이와, 전자제품의 적어도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버튼이 관통하여 노출되는 통공을 가지는 상부커버와, 상기 버튼어레이와 상부커버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의 장착시에 상기 버튼어레이를 이동시켜 상기 통공의 중심에 버튼의 중심이 위치되게 하는 센터링돌기와 센터링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튼어레이에는 상기 버튼이 눌러지는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인 전면패널의 배면 후방으로 연장되는 장착통체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패널의 배면에는 상기 장착통체에 삽입되는 장착바아가 형성되며, 상기 버튼어레이의 버튼몸체 양단에는 상기 상단플랜지에 형성된 삽입걸이단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걸이단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어레이가 전면패널의 배면을 따라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센터링홈의 입구는 내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고, 적어도 서로 마주보는 면이 상기 센터링돌기를 안내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에 의하면 버튼의 장착을 위해 별도의 장비가 필요없어 제품의 양산성이 좋아지고, 버튼이 상부커버의 통공에 정확하게 위치되어 동작특성 및 외관특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단면 사시도로 도 시되어 있으며, 도 5a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면패널과 버튼어레이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b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면패널과 버튼어레이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자제품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20)의 상단을 따라서는 그 후방으로 수직으로 연장되게 상단플랜지(22)가 형성된다. 상기 상단플랜지(22)의 일부는 개구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버튼어레이(30)가 위치된다.
상기 상단플랜지(22)가 개구된 단부에는 각각 삽입걸이단(24)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걸이단(24)은 상기 상단플랜지(22)가 개구된 양단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걸이단(24)에는 버튼어레이(30)가 전면패널(20)의 후방에서부터 삽입되어 걸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면패널(20)의 배면에는 다수개의 장착바아(26)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바아(26)는 상기 전면패널(20)의 배면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장착바아(26)는 본 실시예에서 봉형상으로 구성되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단면 형상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바아(26)는 상기 상단플랜지(22)의 개구된 영역 하부에 위치된다.
상기 장착바아(26)가 구비되는 양단, 즉, 상기 삽입걸이단(24)의 하부에는 걸이후크(28)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후크(28)는 상기 전면패널(20)의 배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걸이후크(28)의 선단에는 걸이턱(29)이 형성되어 있다.
버튼어레이(30)는 버튼몸체(32)에 다수개의 버튼(33)이 구비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여러개의 버튼(33)을 하나의 부품을 만든 것이다. 상기 버튼(33)은 상기 버튼몸체(32)에 대해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는 사용자가 버튼(33)을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다음의 입력을 기다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버튼(33)의 동작과 관련된 부분은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버튼몸체(32)의 양단에는 걸이단(34)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단(34)은 상기 삽입걸이단(24)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단(34)이 상기 삽입걸이단(24)에 삽입됨에 의해 버튼어레이(30)가 상기 전면패널(20)의 배면을 따라 X축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
상기 버튼몸체(32)의 양단에는 또한 걸이대(36)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걸이대(36)는 상기 걸이단(34)보다는 상대적으로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버튼몸체(32)에 대해 직교하게 전면패널(20)의 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상기 걸이대(36)는 상기 걸이후크(28)에 걸어지는 부분으로, 상기 버튼어레이(30)가 전면패널(20)의 후방으로 임의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대(36)의 길이는 상기 걸이후크(28)의 걸이턱(29) 하단까지의 거리보다 약간 짧다. 이는 버튼어레이(30), 보다 상세하게는 버튼(33)이 아래에서 설명될 상부커버(40)의 통공(43) 내에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통공(43)과 버튼(33) 사이의 간격을 동작갭이라고 한다.
상기 버튼몸체(32)에는 상기 장착바아(26)가 관통하는 장착통체(38)가 형성 된다. 상기 장착통체(38)는 상기 장착바아(26)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내부공간을 갖는다. 상기 장착통체(38)에 상기 장착바아(26)가 삽입됨에 의해 상기 버튼어레이(30)의 버튼(33)에 사용자가 힘을 가하더라도 버튼어레이(30) 전체가 하부로 이동되지 않도록 된다. 즉, 상기 장착바아(26)와 장착통체(38)에 의해 상기 버튼어레이(30)의 강도가 보강된다.
상기 버튼몸체(32)중 아래에서 설명될 상부커버(40)의 하면과 마주보는 부분에는 센터링리브(39)가 형성된다. 상기 센터링리브(39)에는 센터링홈(3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센터링홈(39')는 그 입구가 상대적으로 넓고 내측이 상대적으로 좁게 구성된다. 상기 센터링홈(39')의 입구중 적어도 서로 마주보는 부분은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터링리브(39)는 상기 버튼(33)이 연장되어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나, 버튼(33)의 선단보다는 덜 돌출되어야 한다.
상부커버(40)는 전자제품의 상면과 전면 일부 및 양측면 일부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커버(40)의 선단에는 상기 전면패널(20)의 일부를 가리는 선단스컷트(42)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커버(40)에는 상기 전면패널(20)의 상단플랜지(22)의 개구된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버튼(33)이 노출되는 통공(43)이 각각 천공된다. 상기 통공(43)의 직경은 상기 버튼(33)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상기 통공(43)의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상부커버(40)의 하면에는 센터링돌기(45)가 형성된다. 상기 센터링돌기(45)는 상기 상부커버(40)의 하면에서 하부로 수 직으로 연장된다. 상기 센터링돌기(45)는 상기 버튼어레이(30)의 센터링리브(38)와 협력하여 버튼(33)이 정확하게 통공(43)을 통해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센터링돌기(45)는 그 형상이 단면이 사각형인 판상으로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버튼어레이(30)를 전면패널(20)의 배면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상기 전면패널(20)의 배면 후방에 버튼어레이(30)를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걸이단(34)이 상기 삽입걸이단(24)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고, 상기 걸이대(36)가 상기 걸이후크(28)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으며, 상기 장착바아(26)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장착통체(38)가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버튼어레이(30)를 전면패널(20)의 배면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걸이단(34)의 기저부에 해당되는 버튼몸체(32)의 부분이 상기 걸이후크(28)를 탄성변형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걸이단(34)은 상기 삽입걸이단(24)에 삽입되기 시작하고, 상기 장착통체(38)에 상기 장착바아(26)가 삽입되기 시작한다.
상기와 같은 버튼어레이(3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버튼어레이(30)가 상기 전면패널(20)의 배면에 밀착되면, 도 5b의 상태가 된다. 즉, 상기 걸이후크(28)의 걸이턱(29)이 상기 걸이대(36)의 선단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걸이단(34)은 상기 삽입걸이단(24)에 삽입되어 걸어지고, 상기 장착바아(26)는 상기 장착통체(38)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바아(26)와 장착통체(38)는 버튼어레이(30)가 Y축방향으로 처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지만, 버튼어레이(30) 자체가 전면패널(20)의 배면을 따라 X축방향으로도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이는 상기 걸이단(34)과 삽입걸이단(24)이 하는 역할과 유사하다. 따라서, 상기 걸이단(34)과 상기 삽입걸이단(24)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즉,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이들이 없어도 상관없다.
한편, 상기와 같이 버튼어레이(30)가 전면패널(20)의 배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어레이(30)는 상기 걸이대(36)와 걸이후크(28) 사이의 간격(일반적으로 0.5mm)만큼 유동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커버(40)를 캐비넷과 전면패널(20)을 덮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전면패널(20)에 설치되어 있는 버튼어레이(30)의 버튼(33)이 상기 상부커버(40)의 통공(43)을 통해 노출되게 하여야 한다.
즉, 상기 상부커버(40)를 캐비넷과 전면패널(20)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센터링돌기(45)는 상기 버튼어레이(30)의 센터링리브(39)에 형성된 센터링홈(39)에 삽입된다. 실제로 상기 센터링홈(39)의 입구는 상기 센터링돌기(45)의 두께보다 넓어 상부커버(40)의 장착시 자연스럽게 상기 센터링돌기(45)가 상기 센터링홈(39)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된다.
상기 센터링돌기(45)가 상기 센터링홈(39)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버튼어레이(30)는 Z축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상기 걸이대(36)와 걸이후크(28)사이의 유격만큼 상기 버튼어레이(30)가 움직일 수 있고, 이와 같은 버튼어레이(30)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버튼(33)이 상기 상부커버(40)의 통공(43) 중앙에 정확하게 위치 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상기 버튼(33)이 반드시 전자제품의 상면외관으로 노출되는 것이 아니라, 전면패널(20), 버튼어레이(30) 및 상부커버(40) 등과 같은 부품, 다시 말해 전면패널, 버튼어레이 및 하부커버 또는 측면패널, 버튼어레이 및 하부(측면)커버를 구비하는 전자제품에서 전면이나 측면 외관을 통해 노출되도록 된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링리브(39)에 형성된 센터링홈(39')과 센터링돌기(45)는 그 형성위치가 반대로 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상부커버의 센터링돌기와 버튼어레이의 센터링홈에 의해 버튼이 상부커버의 통공에 정확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버튼의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전자제품의 외관품질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버튼어레이가 전면패널에 고정되지 않고 걸이후크와 걸이대에 의해 결합되고, 버튼의 동작갭에 해당되는 만큼 전면패널에 대해 유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상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장비없이도 버튼어레이를 전면패널에 장착할 수 있어 전자제품의 조립작업성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8)

  1. 배면에 걸이후크가 형성되고 상단 배면을 따라 일부가 개구된 상단플랜지를 구비하며 전자제품의 일측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배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상단플랜지의 상부로 돌출되는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버튼이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버튼몸체의 양단에는 상기 걸이후크에 소정의 유동가능하게 갭을 가지고 결합되는 걸이대를 구비하는 버튼어레이와,
    전자제품의 적어도 일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버튼이 관통하여 노출되는 통공을 가지고, 상기 유동가능한 갭을 이용하여 상기 패널 및 버튼어레이와의 조립시 버튼어레이를 이동시켜 상기 통공의 중심에 버튼의 중심이 위치되게 하는 센터링돌기를 구비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버튼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어레이에는 상기 버튼이 눌러지는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인 패널의 배면 후방으로 연장되는 장착통체가 형성되고, 상기 패널의 배면에는 상기 장착통체에 삽입되는 장착바아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버튼장착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어레이의 버튼몸체 양단에는 상기 상단플랜지에 형성된 삽입걸이단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걸이단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어레이가 패널의 배면을 따라 유동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사이에 해당되는 버튼몸체상에는 상기 커버의 센터링돌기가 삽입되는 센터링홈이 형성된 센터링리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홈의 입구는 내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고, 적어도 서로 마주보는 면이 상기 센터링돌기를 안내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
  6. 상단 배면을 따라 일부가 개구된 상단플랜지를 구비하며 전자제품의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의 배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배면에 대해 수직으로 근접하고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버튼몸체 상에 버튼이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되어 구성되는 버튼어레이와,
    전자제품의 적어도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버튼이 관통하여 노출되는 통공을 가지는 상부커버와,
    상기 버튼어레이와 상부커버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 버의 장착시에 상기 버튼어레이를 이동시켜 상기 통공의 중심에 버튼의 중심이 위치되게 하는 센터링돌기와 센터링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버튼장착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어레이에는 상기 버튼이 눌러지는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인 전면패널의 배면 후방으로 연장되는 장착통체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패널의 배면에는 상기 장착통체에 삽입되는 장착바아가 형성되며,
    상기 버튼어레이의 버튼몸체 양단에는 상기 상단플랜지에 형성된 삽입걸이단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걸이단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어레이가 전면패널의 배면을 따라 유동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홈의 입구는 내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고, 적어도 서로 마주보는 면이 상기 센터링돌기를 안내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
KR1020050073941A 2005-08-11 2005-08-11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 KR100682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941A KR100682504B1 (ko) 2005-08-11 2005-08-11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941A KR100682504B1 (ko) 2005-08-11 2005-08-11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2504B1 true KR100682504B1 (ko) 2007-02-15

Family

ID=38106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3941A KR100682504B1 (ko) 2005-08-11 2005-08-11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25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341U (ko) * 1997-10-15 1999-05-15 전주범 노브 스위치 보강구조
KR20000012646U (ko) * 1998-12-19 2000-07-05 전주범 조립이 용이한 전자제품용 버튼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341U (ko) * 1997-10-15 1999-05-15 전주범 노브 스위치 보강구조
KR20000012646U (ko) * 1998-12-19 2000-07-05 전주범 조립이 용이한 전자제품용 버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206590A1 (en) Refrigerator doo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EP3847925B1 (en) Connection device
JP5148774B1 (ja) ワイヤーホルダー取付構造及び表示装置
JP2006278248A (ja) 操作釦を備えた電子機器
KR100682504B1 (ko)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
JP2018104925A (ja) 建具
JP5304486B2 (ja) 照明制御用操作盤
JP4863198B2 (ja) 部材取付構造及びテーブル
JP6782101B2 (ja) 盤パネル嵌め込み構造及び盤パネル嵌め込み方法
KR100443059B1 (ko) 산업용 컴퓨터본체 케이싱
JP2006188851A (ja) 操作盤のロック装置
JPH10303574A (ja) プリント基板の固定構造
KR100774502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벤트그릴 체결구조
KR20230001360U (ko) 스위치의 접점 구조, 그 접점 구조를 포함하는 접점 블록 및 그 접점 블록을 포함하는 스위치
KR20070052626A (ko) 케이블 고정유닛
JP6413984B2 (ja) セキュリティ用通信装置
KR100588673B1 (ko) 차량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어셈블리 마운팅구조
KR920006095Y1 (ko) 도아의 개폐 장치
KR100663863B1 (ko) 컴퓨터의 프론트패널 고정구조
KR0131226Y1 (ko) 전기.전자제품의 쉴드 고정장치
JP2020084627A (ja) クリップ
JP4645459B2 (ja) 引戸における樹脂パネルの取付構造
KR200255261Y1 (ko)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
KR200229350Y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벤트그릴 체결구조
JP2005259622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