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504B1 - Button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onic appliances - Google Patents

Button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onic applian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2504B1
KR100682504B1 KR1020050073941A KR20050073941A KR100682504B1 KR 100682504 B1 KR100682504 B1 KR 100682504B1 KR 1020050073941 A KR1020050073941 A KR 1020050073941A KR 20050073941 A KR20050073941 A KR 20050073941A KR 100682504 B1 KR100682504 B1 KR 100682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array
hook
electronic product
cen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39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대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3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250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5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8Casing of switch constituted by a handle serving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Landscapes

  • Mounting Components In General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A button mounting structure of electronic appliances is provided to improve assembly workability of the electronic appliances by mounting a button array on a front panel without an additional device. A button mounting structure of electronic appliances includes an upper flange(22), a button array(30), and a centering protrusion(45). A hook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upper flange(22). A part of the upper flange(22) is opened along the upper rear surface. A panel forms an external appearance of one side of the electronic appliances. The button array(30) is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a panel(20), and has a button which is protruded to an upper part of the upper flange(22). A hanging bar movably connected to the hook with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on both ends of a button body having the elastic variable button. The centering protrusion(45) forms the external appearance of at least one side of the electronic appliances, and has a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button penetrates. The centering protrusion(45) locates a center of the button on a center of the through-hole by moving the button array(30) when the panel(20) and the button array(30) are assembled by using a movable gap.

Description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Button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onic appliances}Button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onic appliances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제품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general electronic product.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제품의 버튼 설치구조를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tton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버튼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utton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 사시도.Figure 4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면패널과 버튼어레이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5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panel and the button array separa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면패널과 버튼어레이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Figure 5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panel and the button array coupl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튼어레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utton array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부커버를 뒤집어서 보면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p cover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pside dow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전면패널 22: 상단플랜지20: front panel 22: top flange

24: 삽입걸이단 26: 장착바아24: insertion hook end 26: mounting bar

28: 걸이후크 29: 걸이턱28: hook hook 29: hook chin

30: 버튼어레이 32: 버튼몸체30: button array 32: button body

33: 버튼 34: 걸이단33: button 34: hanger

36: 걸이대 39: 센터링리브36: hanger 39: centering rib

39': 센터링홈 40: 상부커버39 ': Centering groove 40: Top cover

42: 선단스컷트 43: 통공42: tip cut 43: through-hole

45: 센터링돌기45: centering protrusion

본 발명은 전자제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론트패널에 설치되고 상부 커버를 통해 노출되는 버튼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produc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unting structure of a button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and exposed through the upper cover.

도 1에는 일반적인 전자제품의 외관 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제품의 버튼 설치구조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전자제품의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1)의 내부에는 전자제품을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캐비넷(1)은 대략 납작한 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캐비넷(1)의 선단에는 전면패널(3)이 설치되어, 전자제품의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캐비넷(1)의 상면과 양측면 및 전면의 일부를 상부커버(5)가 형성한다.1 illustrates an external configuration of a general electronic product, and FIG. 2 illustrates a button installation structure of a conventional electronic product in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this, the various components which comprise an electronic product are installed in the cabinet 1 which comprises the external appearance of an electronic product. The cabinet 1 has a substantially flat hexahedron shape. The front panel 3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cabinet 1 to form a front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product. The upper cover 5 forms a part of the upper surface, both side surfaces,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

전자제품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버튼(7)중 일부가 상기 전면패널(3)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커버(5)를 통해 노출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패널(3)의 배면에 상기 버튼(7)의 버튼몸체(8)가 융착돌기(9)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버튼(7)은 전면패널(3)의 상단플랜지(10)를 통해 노출된다. 상기 상단플랜지(10)로 노출된 버튼(7)은 상기 상부커버(5)에 천공된 통공(도면부호 부여않음)을 통해 상부커버(5)의 상면으로 노출된다. Some of the buttons 7 for manipulat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are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3 and exposed through the upper cover 5.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button body 8 of the button 7 is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3 by the fusion protrusion 9, and the button 7 is the front panel 3. Exposed through the upper flange 10 of the). The button 7 exposed to the upper flange 10 is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5 through a through hole (not shown) perforated in the upper cover 5.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버튼(7)의 버튼몸체(8)는 상기 전면패널(3)에 융착돌기(9)의 융착에 의해 고정되고, 버튼(7)자체는 상부커버(5)를 통해 노출되므로, 이들 3부품의 위치관계가 정확하게 설정되지 않으면, 버튼(7)이 정확하게 상부커버(5)의 통공을 통해 노출될 수 없다. 이와 같이 되면 버튼(7)의 동작에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외관 또한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The button body 8 of the button 7 is fixed to the front panel 3 by fusion of the fusion projection 9, and the button 7 itself is exposed through the upper cover 5, so that these three parts I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is not set correctly, the button 7 cannot be accurately expos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upper cover 5. This not only causes a problem in the operation of the button 7, but also infers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그리고, 상기 버튼몸체(8)를 융착돌기(9)를 융착하여 전면패널(3)에 부착하는 작업은 융착을 위한 장비를 필요로 하는 등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operation of attaching the button body 8 to the front panel 3 by fusing the fusion protrusion 9 has a very troublesome problem such as requiring equipment for fus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패널에 설치되어 상부커버를 통해 노출되는 버튼의 설치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accurately install the button that is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and exposed through the upper cov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장비없이 버튼을 장착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unt a button without any additional equipment.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배면에 걸이후크가 형성되고 상단 배면을 따라 일부가 개구된 상단플랜지를 구비하며 전자제품의 일측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배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상단플랜지의 상부로 돌출되는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버튼이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버튼몸체의 양단에는 상기 걸이후크에 소정의 유동가능하게 갭을 가지고 결합되는 걸이대를 구비하는 버튼어레이와, 전자제품의 적어도 일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버튼이 관통하여 노출되는 통공을 가지고, 상기 유동가능한 갭을 이용하여 상기 패널 및 버튼어레이와의 조립시 버튼어레이를 이동시켜 상기 통공의 중심에 버튼의 중심이 위치되게 하는 센터링돌기를 구비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nel having a hook hook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and the top flange which is partially opened along the upper rear surface and forms one side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product, Being mounted on the back of the panel, having a button protruding to the top of the upper flange, the button body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utton body provided with the elastically deformable to the hook hook having a predetermined flowable gap A button array having a rack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button is exposed by forming at least one surface of an electronic product, and moving the button array during assembly with the panel and the button array using the movable gap. It comprises a cover having a centering protrusion for positioning the center of the button in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

상기 버튼어레이에는 상기 버튼이 눌러지는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인 패널의 배면 후방으로 연장되는 장착통체가 형성되고, 상기 패널의 배면에는 상기 장착통체에 삽입되는 장착바아가 형성된다.The button array is provided with a mounting cylinder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back of the panel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is pressed, and a mounting bar inserted into the mounting cylinder on the back of the panel.

상기 버튼어레이의 버튼몸체 양단에는 상기 상단플랜지에 형성된 삽입걸이단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걸이단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어레이가 패널의 배면을 따라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Both ends of the button body of the button array are formed with a hook end that is inserted into the hook hanger end formed in the upper flange so that the button array does not flow along the back of the panel.

상기 버튼의 사이에 해당되는 버튼몸체상에는 상기 커버의 센터링돌기가 삽입되는 센터링홈이 형성된 센터링리브가 구비된다.A centering rib having a centering groove in which the centering protrusion of the cover is inserted is provided on the button body corresponding to the button.

상기 센터링홈의 입구는 내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고, 적어도 서로 마주보는 면이 상기 센터링돌기를 안내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The inlet of the centering groove is relatively wider than the inner side, and at least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to be curved to guide the centering protrusion.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단 배면을 따라 일부가 개구된 상단플랜지를 구비하며 전자제품의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의 배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배면에 대해 수직으로 근접하고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버튼몸체 상에 버튼이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되어 구성되는 버튼어레이와, 전자제품의 적어도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버튼이 관통하여 노출되는 통공을 가지는 상부커버와, 상기 버튼어레이와 상부커버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의 장착시에 상기 버튼어레이를 이동시켜 상기 통공의 중심에 버튼의 중심이 위치되게 하는 센터링돌기와 센터링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ront flange which is partially opened along an upper rear surface and forms a front appearance of an electronic product, and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with respect to the rear surface. It is mounted so as to move a predetermined distance vertically close and far away, and the button array formed on the button body so that the button is elastically deformable, and to form at least the upper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product, the button is exposed through An upper cover having a through hole, and a centering protrusion and a centering ring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f the button array and the upper cover to move the button array when the upper cover is mounted so that the center of the button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groove.

상기 버튼어레이에는 상기 버튼이 눌러지는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인 전면패널의 배면 후방으로 연장되는 장착통체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패널의 배면에는 상기 장착통체에 삽입되는 장착바아가 형성되며, 상기 버튼어레이의 버튼몸체 양단에는 상기 상단플랜지에 형성된 삽입걸이단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걸이단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어레이가 전면패널의 배면을 따라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The button array is provided with a mounting cylinder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back of the front panel which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is pressed, the back of the front panel is formed with a mounting bar to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cylinder, the button array Both ends of the button body are formed with a hook end that is inserted into the hook hanger end formed in the upper flange so that the button array does not flow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상기 센터링홈의 입구는 내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고, 적어도 서로 마주보는 면이 상기 센터링돌기를 안내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The inlet of the centering groove is relatively wider than the inner side, and at least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to be curved to guide the centering protrusion.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에 의하면 버튼의 장착을 위해 별도의 장비가 필요없어 제품의 양산성이 좋아지고, 버튼이 상부커버의 통공에 정확하게 위치되어 동작특성 및 외관특성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button mounting structure of the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equipment for mounting the button, the mass productivity of the product is improved, and the button is precisely position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upper cover, thereby operating characteristics and appearan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haracteristics are improved.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 button mounting structure of an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단면 사시도로 도 시되어 있으며, 도 5a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면패널과 버튼어레이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b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면패널과 버튼어레이가 결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3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utton mounting structure of the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ross-sectional view, Figure 4 shows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Figure 5a constitute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panel and the button array is separated is shown, Figure 5b shows a state in which the front panel and the button array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자제품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20)의 상단을 따라서는 그 후방으로 수직으로 연장되게 상단플랜지(22)가 형성된다. 상기 상단플랜지(22)의 일부는 개구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버튼어레이(30)가 위치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upper flange 22 is formed to extend vertically along the top of the front panel 20 forming the front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product. A portion of the upper flange 22 is opened so that the button array 30 to be described below is located.

상기 상단플랜지(22)가 개구된 단부에는 각각 삽입걸이단(24)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걸이단(24)은 상기 상단플랜지(22)가 개구된 양단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걸이단(24)에는 버튼어레이(30)가 전면패널(20)의 후방에서부터 삽입되어 걸어지도록 구성된다.Insert end 24 is formed at each end of the upper flange 22 is opened. The insertion hook end 24 is formed to face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upper flange 22 is opened. The insertion hook end 24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button array 30 is inserted from the rear of the front panel 20 to be walked.

상기 전면패널(20)의 배면에는 다수개의 장착바아(26)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바아(26)는 상기 전면패널(20)의 배면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장착바아(26)는 본 실시예에서 봉형상으로 구성되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단면 형상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바아(26)는 상기 상단플랜지(22)의 개구된 영역 하부에 위치된다.A plurality of mounting bars 26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 The mounting bar 26 extends toward the rear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 The mounting bar 26 is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rod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is not necessarily the same, and may have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The mounting bar 26 is located below the open area of the upper flange 22.

상기 장착바아(26)가 구비되는 양단, 즉, 상기 삽입걸이단(24)의 하부에는 걸이후크(28)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후크(28)는 상기 전면패널(20)의 배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걸이후크(28)의 선단에는 걸이턱(29)이 형성되어 있다.Hook hooks 28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mounting bar 26, that is, the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hook end 24. The hook hook 28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 and is configured to allow a predetermined elastic deformation. A hanger jaw 29 is formed at the tip of the hook hook 28.

버튼어레이(30)는 버튼몸체(32)에 다수개의 버튼(33)이 구비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여러개의 버튼(33)을 하나의 부품을 만든 것이다. 상기 버튼(33)은 상기 버튼몸체(32)에 대해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는 사용자가 버튼(33)을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다음의 입력을 기다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버튼(33)의 동작과 관련된 부분은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The button array 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ttons 33 on the button body (32). This is a part made of several buttons 33. The button 33 is elastically deformable with respect to the button body 32. This is to restore the original state when the user removes the force of pressing the button 33 so that the user can wait for the next inpu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art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button 33 is no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버튼몸체(32)의 양단에는 걸이단(34)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단(34)은 상기 삽입걸이단(24)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단(34)이 상기 삽입걸이단(24)에 삽입됨에 의해 버튼어레이(30)가 상기 전면패널(20)의 배면을 따라 X축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Hook ends 34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utton body 32. The hook end 34 is a port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hook hanger 24 is hooked. Since the hook end 3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ok end 24, the button array 30 does not move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 in the X-axis direction.

상기 버튼몸체(32)의 양단에는 또한 걸이대(36)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걸이대(36)는 상기 걸이단(34)보다는 상대적으로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버튼몸체(32)에 대해 직교하게 전면패널(20)의 후방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상기 걸이대(36)는 상기 걸이후크(28)에 걸어지는 부분으로, 상기 버튼어레이(30)가 전면패널(20)의 후방으로 임의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이대(36)의 길이는 상기 걸이후크(28)의 걸이턱(29) 하단까지의 거리보다 약간 짧다. 이는 버튼어레이(30), 보다 상세하게는 버튼(33)이 아래에서 설명될 상부커버(40)의 통공(43) 내에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통공(43)과 버튼(33) 사이의 간격을 동작갭이라고 한다.Both ends of the button body 32 are also provided with a hanger 36, respectively. The hanger 36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than the hanger end 34 and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rear of the front panel 20 perpendicular to the button body 32. The hanger 36 is a part which is hooked to the hanger hook 28, and serves to prevent the button array 30 from moving arbitrarily to the rear of the front panel 20. The length of the hanger 36 is slightly shorter than the distance to the bottom of the hanger 29 of the hanger hook 28. This is to enable the button array 30, more specifically the button 33 can be operated in the through hole 43 of the upper cover 40 to be described below. The gap between the through hole 43 and the button 33 is called an operation gap.

상기 버튼몸체(32)에는 상기 장착바아(26)가 관통하는 장착통체(38)가 형성 된다. 상기 장착통체(38)는 상기 장착바아(26)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내부공간을 갖는다. 상기 장착통체(38)에 상기 장착바아(26)가 삽입됨에 의해 상기 버튼어레이(30)의 버튼(33)에 사용자가 힘을 가하더라도 버튼어레이(30) 전체가 하부로 이동되지 않도록 된다. 즉, 상기 장착바아(26)와 장착통체(38)에 의해 상기 버튼어레이(30)의 강도가 보강된다.The button body 32 is provided with a mounting cylinder 38 through which the mounting bar 26 passes. The mounting cylinder 38 has an inner spac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mounting bar 26. The mounting bar 26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cylinder 38 to prevent the entire button array 30 from moving downward even if a user applies a force to the button 33 of the button array 30. That is, the strength of the button array 30 is reinforced by the mounting bar 26 and the mounting cylinder 38.

상기 버튼몸체(32)중 아래에서 설명될 상부커버(40)의 하면과 마주보는 부분에는 센터링리브(39)가 형성된다. 상기 센터링리브(39)에는 센터링홈(3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센터링홈(39')는 그 입구가 상대적으로 넓고 내측이 상대적으로 좁게 구성된다. 상기 센터링홈(39')의 입구중 적어도 서로 마주보는 부분은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터링리브(39)는 상기 버튼(33)이 연장되어 형성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나, 버튼(33)의 선단보다는 덜 돌출되어야 한다.A centering rib 39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button body 32 f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40 to be described below. The centering rib 39 is formed with a centering groove 39 '. The centering groove 39 'has a relatively wide inlet and a relatively narrow inner side. At least portions of the inlet of the centering groove 39 'facing each other are preferably formed as curved surfaces as shown in FIG. The centering rib 39 extend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33 extends, but should protrude less than the tip of the button 33.

상부커버(40)는 전자제품의 상면과 전면 일부 및 양측면 일부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상부커버(40)의 선단에는 상기 전면패널(20)의 일부를 가리는 선단스컷트(42)가 구비된다.The upper cover 40 forms the appearance of the upper and front portions and both side portions of the electronic product. A tip cut 42 covering a part of the front panel 20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upper cover 40.

상기 상부커버(40)에는 상기 전면패널(20)의 상단플랜지(22)의 개구된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버튼(33)이 노출되는 통공(43)이 각각 천공된다. 상기 통공(43)의 직경은 상기 버튼(33)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The upper cover 40 is perforated with holes 43 through which the button 33 is ex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opened portions of the upper flange 22 of the front panel 20, respectively.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43 is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button 33.

상기 통공(43)의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상부커버(40)의 하면에는 센터링돌기(45)가 형성된다. 상기 센터링돌기(45)는 상기 상부커버(40)의 하면에서 하부로 수 직으로 연장된다. 상기 센터링돌기(45)는 상기 버튼어레이(30)의 센터링리브(38)와 협력하여 버튼(33)이 정확하게 통공(43)을 통해 노출되도록 한다. 상기 센터링돌기(45)는 그 형상이 단면이 사각형인 판상으로 된다.A centering protrusion 45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cover 40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43. The centering protrusion 45 extends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40. The centering protrusion 45 cooperates with the centering rib 38 of the button array 30 so that the button 33 is accurately ex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43. The centering protrusion 45 has a plate shape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utton mounting structure of the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상기 버튼어레이(30)를 전면패널(20)의 배면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상기 전면패널(20)의 배면 후방에 버튼어레이(30)를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걸이단(34)이 상기 삽입걸이단(24)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고, 상기 걸이대(36)가 상기 걸이후크(28)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으며, 상기 장착바아(26)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장착통체(38)가 있도록 한다.In order to mount the button array 30 on the back of the front panel 20, as shown in Figure 5a, once the button array 30 is positioned behind the back of the front panel 20. In this case, the hook end 34 is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hook end 24, the hook stand 36 is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ok hook 28, and corresponds to the mounting bar 26. The mounting cylinder 38 is in the position to b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버튼어레이(30)를 전면패널(20)의 배면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걸이단(34)의 기저부에 해당되는 버튼몸체(32)의 부분이 상기 걸이후크(28)를 탄성변형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걸이단(34)은 상기 삽입걸이단(24)에 삽입되기 시작하고, 상기 장착통체(38)에 상기 장착바아(26)가 삽입되기 시작한다.In this state, when the button array 30 is mov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 a portion of the button body 32 corresponding to the base of the hook end 34 elastically the hook hook 28. Transformed. At the same time, the hook end 34 begins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ok end 24, and the mounting bar 26 begins to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cylinder 38.

상기와 같은 버튼어레이(3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버튼어레이(30)가 상기 전면패널(20)의 배면에 밀착되면, 도 5b의 상태가 된다. 즉, 상기 걸이후크(28)의 걸이턱(29)이 상기 걸이대(36)의 선단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걸이단(34)은 상기 삽입걸이단(24)에 삽입되어 걸어지고, 상기 장착바아(26)는 상기 장착통체(38)에 삽입된다.When the button array 30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 by the movement of the button array 30 as described above, the state of FIG. 5B is obtained. That is, the hook chin 29 of the hook hook 28 is hooked to the tip of the hook 36. The hanger end 3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anger end 24 to be hooked, and the mounting bar 26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cylinder 38.

여기서, 상기 장착바아(26)와 장착통체(38)는 버튼어레이(30)가 Y축방향으로 처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지만, 버튼어레이(30) 자체가 전면패널(20)의 배면을 따라 X축방향으로도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이는 상기 걸이단(34)과 삽입걸이단(24)이 하는 역할과 유사하다. 따라서, 상기 걸이단(34)과 상기 삽입걸이단(24)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즉,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이들이 없어도 상관없다.Here, the mounting bar 26 and the mounting cylinder 38 serves to prevent the button array 30 from sagging in the Y-axis direction, but the button array 30 itself is X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 Do not move in the axial direction. This is similar to the role of the hook stage 34 and the insertion hook stage 24. Therefore, the hook end 34 and the insertion hook end 24 are not necessarily required. In other words, depending on the design conditions, these may not be present.

한편, 상기와 같이 버튼어레이(30)가 전면패널(20)의 배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어레이(30)는 상기 걸이대(36)와 걸이후크(28) 사이의 간격(일반적으로 0.5mm)만큼 유동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a state in which the button array 30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20 as described above, the button array 30 is the interval between the hanger 36 and the hook hook 28 (generally 0.5mm) Flow is possible.

다음으로, 상기 상부커버(40)를 캐비넷과 전면패널(20)을 덮도록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전면패널(20)에 설치되어 있는 버튼어레이(30)의 버튼(33)이 상기 상부커버(40)의 통공(43)을 통해 노출되게 하여야 한다.Next, the upper cover 40 is installed to cover the cabinet and the front panel 20. At this time, the button 33 of the button array 30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20 should be ex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43 of the upper cover 40.

즉, 상기 상부커버(40)를 캐비넷과 전면패널(20)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센터링돌기(45)는 상기 버튼어레이(30)의 센터링리브(39)에 형성된 센터링홈(39)에 삽입된다. 실제로 상기 센터링홈(39)의 입구는 상기 센터링돌기(45)의 두께보다 넓어 상부커버(40)의 장착시 자연스럽게 상기 센터링돌기(45)가 상기 센터링홈(39)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된다.That is, in the process of mounting the upper cover 40 to the cabinet and the front panel 20, the centering protrusion 45 is inserted into the centering groove 39 formed in the centering rib 39 of the button array 30. . In fact, the entrance of the centering groove 39 is wid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entering protrusion 45 so that the centering protrusion 45 is naturally inserted into the centering groove 39 when the upper cover 40 is mounted.

상기 센터링돌기(45)가 상기 센터링홈(39)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버튼어레이(30)는 Z축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상기 걸이대(36)와 걸이후크(28)사이의 유격만큼 상기 버튼어레이(30)가 움직일 수 있고, 이와 같은 버튼어레이(30)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버튼(33)이 상기 상부커버(40)의 통공(43) 중앙에 정확하게 위치 될 수 있게 된다.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centering protrusion 45 into the centering groove 39, the button array 30 moves in the Z-axis direction. That is, the button array 30 may move by the play between the hanger 36 and the hanger hook 28, and the button 33 may move the upper cover 40 by the movement of the button array 30. ) Can be accurately positioned in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43).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상기 버튼(33)이 반드시 전자제품의 상면외관으로 노출되는 것이 아니라, 전면패널(20), 버튼어레이(30) 및 상부커버(40) 등과 같은 부품, 다시 말해 전면패널, 버튼어레이 및 하부커버 또는 측면패널, 버튼어레이 및 하부(측면)커버를 구비하는 전자제품에서 전면이나 측면 외관을 통해 노출되도록 된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33 is not necessarily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nic product, but is a component such as the front panel 20, the button array 30, and the upper cover 40, that is, the front panel.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button array and a lower cover or a side panel, a button array and a lower (side) cover to be exposed through a front or side appearance.

그리고, 상기 센터링리브(39)에 형성된 센터링홈(39')과 센터링돌기(45)는 그 형성위치가 반대로 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entering groove 39 ′ and the centering protrusion 45 formed in the centering rib 39 may have opposite positions.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button mounting structure of the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먼저, 본 발명에서는 상부커버의 센터링돌기와 버튼어레이의 센터링홈에 의해 버튼이 상부커버의 통공에 정확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버튼의 동작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전자제품의 외관품질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can be accurately mount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upper cover by the centering protrusion of the upper cover and the centering groove of the button array. Therefore, the operation of the button is made accurately and the appearance quality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improved.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버튼어레이가 전면패널에 고정되지 않고 걸이후크와 걸이대에 의해 결합되고, 버튼의 동작갭에 해당되는 만큼 전면패널에 대해 유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상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장비없이도 버튼어레이를 전면패널에 장착할 수 있어 전자제품의 조립작업성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도 있다.Nex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array is not fixed to the front panel and is coupled by a hook hook and a rack, and the front panel can be moved as much as the operating gap of the butt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utton array can be mounted on the front panel without any additional equipment,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assembly workability of electronic products.

Claims (8)

배면에 걸이후크가 형성되고 상단 배면을 따라 일부가 개구된 상단플랜지를 구비하며 전자제품의 일측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과,A panel having a hook hook formed on a rear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top flange partially opened along an upper rear surface thereof to form an exterior of an electronic product; 상기 패널의 배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상단플랜지의 상부로 돌출되는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버튼이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비되는 버튼몸체의 양단에는 상기 걸이후크에 소정의 유동가능하게 갭을 가지고 결합되는 걸이대를 구비하는 버튼어레이와,Being mounted on the back of the panel, having a button protruding to the top of the upper flange, the button body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utton body provided with the elastically deformable to the hook hook having a predetermined flowable gap A button array provided with a hanger, 전자제품의 적어도 일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버튼이 관통하여 노출되는 통공을 가지고, 상기 유동가능한 갭을 이용하여 상기 패널 및 버튼어레이와의 조립시 버튼어레이를 이동시켜 상기 통공의 중심에 버튼의 중심이 위치되게 하는 센터링돌기를 구비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버튼장착구조.It forms the appearance of at least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product, has a through-hole exposed through the button, and moves the button array during assembly of the panel and the button array by using the movable gap to the center of the button in the center of the through Button mounting structure of the electronic produc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ver having a centering projection to position 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어레이에는 상기 버튼이 눌러지는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인 패널의 배면 후방으로 연장되는 장착통체가 형성되고, 상기 패널의 배면에는 상기 장착통체에 삽입되는 장착바아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버튼장착구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utton array is formed with a mounting cylinder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back of the panel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is pressed, the back of the panel is formed with a mounting bar inserted into the mounting cylinder. Button mounting structure of electronic product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어레이의 버튼몸체 양단에는 상기 상단플랜지에 형성된 삽입걸이단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걸이단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어레이가 패널의 배면을 따라 유동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The button array is formed on both ends of the button body is provided with a hook end is inserted into the hook end is formed in the upper flange so that the button array does not flow along the back of the panel. The button mounting structure of the electronic product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사이에 해당되는 버튼몸체상에는 상기 커버의 센터링돌기가 삽입되는 센터링홈이 형성된 센터링리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The button mounting structure of claim 3, wherein a centering rib having a centering groove into which the centering protrusion of the cover is inserted is provided on a button body corresponding to the butt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홈의 입구는 내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고, 적어도 서로 마주보는 면이 상기 센터링돌기를 안내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The button mounting structure of claim 4, wherein an inlet of the centering groove is relatively wider than an inner side, and at least opposite surfaces are curved to guide the centering protrusion. 상단 배면을 따라 일부가 개구된 상단플랜지를 구비하며 전자제품의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과,A front panel having a top flange partially opened along the top rear surface and forming a front appearance of an electronic product; 상기 전면패널의 배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배면에 대해 수직으로 근접하고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버튼몸체 상에 버튼이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되어 구성되는 버튼어레이와,A button array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the button array being mounted to be movabl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vertically approaching and rear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ar surface, and having a button elastically deformable on the button body; 전자제품의 적어도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버튼이 관통하여 노출되는 통공을 가지는 상부커버와,An upper cover having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button is exposed to form at least a top surface of an electronic product, 상기 버튼어레이와 상부커버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 버의 장착시에 상기 버튼어레이를 이동시켜 상기 통공의 중심에 버튼의 중심이 위치되게 하는 센터링돌기와 센터링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버튼장착구조.And a centering protrusion and a centering groov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f the button array and the upper cover, and moving the button array when the upper cover is mounted so that the center of the button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Button mounting structure of electronic product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어레이에는 상기 버튼이 눌러지는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인 전면패널의 배면 후방으로 연장되는 장착통체가 형성되고, 상기 전면패널의 배면에는 상기 장착통체에 삽입되는 장착바아가 형성되며,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button array is formed with a mounting cylinder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back of the front panel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button is pressed, the mounting bar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cylinder on the back of the front panel Formed, 상기 버튼어레이의 버튼몸체 양단에는 상기 상단플랜지에 형성된 삽입걸이단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걸이단이 형성되어 상기 버튼어레이가 전면패널의 배면을 따라 유동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Both ends of the button body of the button array is formed with a hook end that is inserted into the hook hanger formed on the upper flange so that the button array does not flow along the back of the front panel button mounting structure of the electronic product .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홈의 입구는 내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고, 적어도 서로 마주보는 면이 상기 센터링돌기를 안내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버튼 장착구조.8. The button mounting structure of claim 6, wherein the inlet of the centering groove is relatively wider than the inner side, and at least opposite surfaces are curved to guide the centering protrusion.
KR1020050073941A 2005-08-11 2005-08-11 Button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onic appliances KR1006825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941A KR100682504B1 (en) 2005-08-11 2005-08-11 Button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onic applian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941A KR100682504B1 (en) 2005-08-11 2005-08-11 Button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onic applian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2504B1 true KR100682504B1 (en) 2007-02-15

Family

ID=38106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3941A KR100682504B1 (en) 2005-08-11 2005-08-11 Button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onic applian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250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341U (en) * 1997-10-15 1999-05-15 전주범 Knob switch reinforcement structure
KR20000012646U (en) * 1998-12-19 2000-07-05 전주범 Easy button assembly for electronic produc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5341U (en) * 1997-10-15 1999-05-15 전주범 Knob switch reinforcement structure
KR20000012646U (en) * 1998-12-19 2000-07-05 전주범 Easy button assembly for electronic produc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4206590A1 (en) Refrigerator doo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EP3847925B1 (en) Connection device
JP5148774B1 (en) Wire holder mounting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JP2006278248A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operation button
KR100682504B1 (en) Button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onic appliances
JP2018104925A (en) Door fitting
JP4863198B2 (en) Member mounting structure and table
JP6782101B2 (en) Board panel fitting structure and board panel fitting method
KR200446839Y1 (en) Combination structure of elevator switch
KR100443059B1 (en) Industrial computer casing
KR20070000218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braun tube
JPH10303574A (en) Structure for fixing printed circuit board
KR100774502B1 (en) A vent grille fastening apparatus for OTR
KR20230001360U (en) A contact structure of a switch, a contact block comprising the contact structure, and a switch comprising the contact block
KR20070052626A (en) Cable fixing unit
JP6413984B2 (en) Security communication device
KR100588673B1 (en) Mounting sturucture for inside handle assembly of vehicle's door
KR100663863B1 (en) Front panel fastening structure in computer
KR0131226Y1 (en) Shield fixing device of electric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20084627A (en) clip
JP4645459B2 (en) Resin panel mounting structure for sliding doors
KR200255261Y1 (en) Assemble structure for the knob switch
JP2003135162A (en) Fitting structure for modesty panel of desk or the like
KR200229350Y1 (en) A vent grille fastening apparatus for OTR
JP2005259622A (en) Electron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