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687B1 - 모바일앱 기반의 측량기준점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앱 기반의 측량기준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687B1
KR102222687B1 KR1020190087475A KR20190087475A KR102222687B1 KR 102222687 B1 KR102222687 B1 KR 102222687B1 KR 1020190087475 A KR1020190087475 A KR 1020190087475A KR 20190087475 A KR20190087475 A KR 20190087475A KR 102222687 B1 KR102222687 B1 KR 102222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point
survey
coordinates
mobile app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0070A (ko
Inventor
권재국
Original Assignee
대진기술정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기술정보 (주) filed Critical 대진기술정보 (주)
Priority to KR1020190087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687B1/ko
Publication of KR20210010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4Permanent marks; Boundary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앱 기반의 측량기준점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 각 지역의 측량기준점에 설치하고 NFC태그(111)를 내장하여 측량기준점 좌표와 기본정보를 저장하는 기준점표지기(110)와, 전국에 설치된 모든 측량기준점에 대한 좌표와 기본정보 및 상세정보를 포함하는 측량기준점DB(121)를 포함하는 통합서버(120)와, NFC태깅모듈(131)을 내장하는 스마트기기로 이루어진 사용자단말(130)과, 사용자단말(130)에 설치하고 상기 기준점표지기(110) 및 통합서버(120)와 데이터통신으로 연동하여 측량기준점 좌표와 기본정보 및 상세정보를 조회 및 수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바일앱(140)으로 이루어지고, 통합서버(120)는 지리정보원의 GPS 상시관측소(160)로부터 산출되어 새로이 계상되고 고시된 측량기준점 좌표를 실시간 제공받아 측량기준점DB(121)에 저장하고, 모바일앱(140)은 사용자단말(130)을 기준점표지기(110)에 태깅하여 상기 측량기준점DB(121)에 저장되어 있는 측량기준점 좌표를 기준점표지기(110)의 NFC태그(111)에 반영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현장에서 전용 모바일앱을 이용해 측량기준점 정보를 보다 간편하게 조회 및 수정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모바일앱 기반의 측량기준점 시스템{CONTROL POINT SYSTEM BASED ON MOBILE APP}
본 발명은 모바일앱 기반의 측량기준점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준점표지기가 설치된 현장에서 모바일앱을 이용해 측량기준점 정보를 간편하게 조회할 수 있고, 특히 기준점표지기의 위치 및 상태 변화에 따른 정보의 변동을 현장에서 보다 용이하게 반영하여 최신의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도상에 특정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선은 영국의 그리니치를 지나는 자오선과 적도선을 출발점으로 위치를 표시하며, 우리나라 내에서는 경도 및 위도의 원점을 수원의 국토지리정보원에 정해 놓고있다.
그러나, 원점으로부터 거리가 먼 지역에서는 해당 위치로부터의 측량이 어려우므로 전국 각 지역마다 일정한 위치에 측량기준점을 마련해두고 있다.
측량기준점은 지도제작이나 건설, 토목 공사용 도면 작성 및 측량의 기준이 되는 좌표점으로 사용하며, 측량의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법률에서 정한 측량기준에 따라 좌표 등으로 표시한다. 삼각점, 수준점, 다각점, 중력점, 자기점 등이 측량기준점에 속한다.
통상적인 측량기준점은 상부에 십자망선을 형성하고 하부를 지중에 매립하여 고정 설치하는 표석으로 이루어진다. 측량기준점은 중앙부처 혹은 각 시도의 소관청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공지된 기술의 일례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1177551 호에는 지중에 매설되되 상부 중앙에 기둥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콘크리트 또는 석재 중 어느 한 가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지지구조물과, 하부가 기둥삽입홈에 삽입되며 상단 중앙에 핀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합성수지, 강재, 콘크리트, 석재 중 선택된 어느 한 가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기둥부재와, 핀삽입홈에 끼워지며 상단에 십자형의 망선이 형성되어 있고 합성수지 또는 강재 중 선택된 어느 한 가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핀부재와, 기둥부재 외주면을 감싸 설치되어 있고 외주면에 다수 개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앙카부재와, 앙카부재가 설치된 기둥부재 및 지지구조물 둘레를 감싸 타설치되어 있는 콘크리트층을 포함하는 측량기준점 표지구를 구성한다.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359649 호에는 지표상에 측량 기준점을 표시할 수 있도록 상부에 일정한 표식이 되어 있는 기준점 표지구 본체와, 기준점 표지구 본체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며 측량 기준점에 대한 고유 ID와 좌표값이 포함된 측량 관련 정보를 디지털적으로 기록하고 있는 IC 칩을 포함하는 측량정보 저장수단을 포함하고, 측량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측량 관련 정보는 별도의 판독기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읽혀질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측량기준점 표지구를 구성한다.
또 다른 예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 - 1019674 호에는 전체적으로 원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중앙부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된 원반형몸체와, 원반형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측량정보가 입력되어 저장되는 RFID태그와, RFID태그와 연결되며 원반형몸체의 내부를 따라 환형으로 설치되는 안테나와, 원반형몸체의 하부면에서 지면을 향하여 돌출된 다수 개의 고정핀을 포함하고, RFID태그에 저장된 측량정보는 RFID리더에 의하여 판독되고, 중공에 기존의 매설형 측량기준점이 위치하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측량기준점 전자표지기를 구성한다.
한국등록특허 제 10 - 1177551 호 (2012.08.27) 한국등록실용신안 제 20 - 0359649 호 (2004.08.21) 한국등록특허 제 10 - 1019674 호 (2011.03.07) 한국등록특허 제 10 - 1010334 호 (2011.01.25)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측량기준점은 지중에 매립하는 소정의 표석 상부에 십자망선을 표시하여 측량 시 기준점을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측량기준점은 표석의 일측에 기준점의 번호를 표시하고 사용자는 기준점 번호를 이용하여 소관청에서 고시한 해당 측량기준점에 대한 정보를 열람함으로써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측량성과의 획득이 이루어지기까지의 과정이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측량기준점 정보가 저장된 전자태그를 측량기준점에 내장하여 판독기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현장에서 보다 쉽게 정보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식 측량기준점이 제공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측량기준점은 지각, 지형의 변동 등 각종 요인에 의해 그 위치가 미세하게 변하므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운영하는 각 지역의 GPS 상시관측소에서 측량기준점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추적하고 있다가 변위량이 허용오차를 벗어나게 되면 변위량을 기준으로 전국에 설치된 측량기준점의 새로운 좌표를 계상하여 소관청에 고시된 기존의 정보를 변경된 정보로 조정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식 측량기준점은 GPS 상시관측소에 의해 새로이 산출되어 고시된 정보와 전자태그에 미리 저장된 정보 간의 오차를 현장에서 파악할 수 없고 전자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사용자가 현장에서 쉽게 수정할 수 없으므로 측량기준점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소관청이 고시하여 제공하는 정보 사이에 혼선이 발생하거나 최신의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등 관리 과정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각 지역의 측량기준점에 설치하고 NFC태그(111)를 내장하여 측량기준점 좌표와 기본정보를 저장하는 기준점표지기(110)와,
전국에 설치된 모든 측량기준점에 대한 좌표와 기본정보 및 상세정보를 포함하는 측량기준점DB(121)를 포함하는 통합서버(120)와,
NFC태깅모듈(131)을 내장하는 스마트기기로 이루어진 사용자단말(130)과,
사용자단말(130)에 설치하고 상기 기준점표지기(110) 및 통합서버(120)와 데이터통신으로 연동하여 측량기준점 좌표와 기본정보 및 상세정보를 조회 및 수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바일앱(14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합서버(120)는 지리정보원의 GPS 상시관측소(160)로부터 산출되어 새로이 계상되고 고시된 측량기준점 좌표를 실시간 제공받아 측량기준점DB(121)에 저장하고,
상기 모바일앱(140)은 사용자단말(130)을 기준점표지기(110)에 태깅 시 상기 측량기준점DB(121)에 저장되어 있는 최신의 측량기준점 좌표를 기준점표지기(110)의 NFC태그(111)에 자동으로 반영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모바일앱을 이용해 현장에서 기준점표지기의 위치 및 상태 변화에 따른 정보의 변동을 용이하게 반영하고 최신의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이용해 전용 모바일앱을 설치하여 측량기준점 정보의 조회는 물론, 기준점표지기의 위치 및 상태 변화에 따라 GPS 상시관측소에 의해 산출 고시된 측량기준점 정보를 기준점표지기에 자동으로 쉽게 반영할 수 있는 모바일앱 기반의 측량기준점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준점표지기가 위치하는 현장과 소관청 및 GPS상시관측소에 의해 산출된 정보 사이의 혼선을 배제하고 보다 정확한 최신의 정보를 신속하게 반영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 및 관리상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측량 작업 전반에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앱 기반의 측량기준점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앱 기반의 측량기준점 시스템의 기준점표지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앱 기반의 측량기준점 시스템의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모바일앱 기반의 측량기준점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의 설명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앱 기반의 측량기준점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앱 기반의 측량기준점 시스템의 기준점표지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앱 기반의 측량기준점 시스템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모바일앱 기반의 측량기준점 시스템은 사용자가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측량기준점 정보를 보다 간편하게 조회할 수 있고, 특히 기준점표지기의 위치 및 상태 변화에 따른 정보의 변동을 용이하게 반영하여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임을 주지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모바일앱 기반의 측량기준점 시스템은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점표지기(110)와 통합서버(120)와 사용자단말(130)의 모바일앱(140)을 상호 연동하여 측량기준점 정보를 조회, 수정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며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다.
상기 기준점표지기(110)는 각 지역의 측량기준점에 설치하고 NFC태그(111)를 내장하여 측량기준점 좌표와 기본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기준점표지기(110)는 통상의 앵커타입 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부착식 표지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측량기준점에 설치하며 헤드부의 내측에는 NFC태그(111)를 내장한다.
상기 기준점표지기(110)에 내장하는 NFC태그(111)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안테나와 메모리칩이 내장되어 있다. 현재 출시되는 대부분의 스마트기기에는 NFC태깅 기능이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는바, 상기 기준점표지기(110)의 제조 과정에서 지표상에 노출되는 헤드부 내에 NFC태그(111)를 삽입하고 사용자는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단말(130)을 이용해 NFC태그(111)를 태깅하여 저장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구비한다.
상기 기준점표지기(110)의 NFC태그(111)에 저장되는 정보는 측량기준점 좌표 및 고시일과 기본정보로 이루어지며, 기본정보에는 기준점표지기(110)의 관리번호, 점의 종류 및 등급, 설치일자, 설치주소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번호는 소관청에서 기준점표지기(110)에 부여하는 고유번호로써 통합서버(120)의 측량기준점DB(121)에는 상기 관리번호를 측량기준점 상세정보의 식별자로 사용하여 저장한다.
상기 기준점표지기(110)에는 NFC태그(111)에 상기 모바일앱(140)의 다운로드 URL을 저장하여 상기 사용자단말(130)이 태깅 시 모바일앱(140)이 미설치된 경우 해당 URL로 접속을 유도하여 자동 설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통합서버(120)는 전국에 설치된 모든 측량기준점에 대한 좌표와 기본정보 및 상세정보를 포함하는 측량기준점DB(121)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통합서버(120)는 측량기준점에 대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도록 DB와 함께 별도의 네트워크 및 보안 인증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후술하게 될 사용자단말(130)의 모바일앱(140)과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통합서버(120)의 측량기준점DB(121)는 측량기준점 기본정보에 포함된 관리번호를 식별자로 각 지역의 기준점표지기(110)가 설치된 측량기준점 좌표와 상세정보, 및 보조점 좌표를 저장한다. 상세정보에는 통상적인 측량기준점 조서에 포함되는 측량기준점의 주소, 이력사항, 위도 및 경도, 방위각, 원점, 지오이드고, 경로 설명, 설치 사진 등의 내용이 포함된다.
상기 통합서버(120)는 지리정보원의 GPS 상시관측소(160)로부터 산출되어 새로이 계상되고 고시되는 측량기준점 좌표를 실시간 제공받아 측량기준점DB(121)에 저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측량기준점 좌표는 예컨대 지진이나 지각 변동 등의 요인으로 좌표값에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지리정보원은 각 지역의 GPS 상시관측소(160)로부터 측정된 변동값을 별도의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새로운 측량기준점 좌표들을 산출한다. 따라서, 상기 통합서버(120)에는 새롭게 산출되어 고시된 측량기준점 좌표를 저장하며, 후술하게 될 모바일앱(140)은 사용자단말(130)을 기준점표지기(110)에 태깅 시 상기 기준점표지기(110)에 저장되어 있는 좌표가 측량기준점DB(121)에 저장되어 있는 좌표와 동일할 경우에는 기준점표지기(110)에 저장되어 있는 좌표를 그대로 두고 기준점표지기(110)에 저장되어 있는 좌표가 측량기준점DB(121)에 저장되어 있는 좌표와 상이할 경우에는 측량기준점DB(121)의 좌표를 기준점표지기(110)에 반영하여 정확한 정보로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사용자단말(130)은 스마트폰, 태플릿PC 등 무선데이터 통신모듈이 탑재되어 있는 모바일 스마트기기로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스마트기기에는 NFC태깅모듈(131)이 기본적으로 내장되어 있어 사용자는 기존에 전자식 측량기준점의 데이터 판독을 위한 별도의 판독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상기 모바일앱(140)은 사용자단말(130)에 설치하고 상기 기준점표지기(110) 및 통합서버(120)와 데이터통신으로 연동하여 측량기준점 좌표와 기본정보 및 상세정보를 조회 및 수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모바일앱(140)은 사용자단말(130)에 설치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써 통상의 앱스토어나 플레이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만일 모바일앱(140)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단말(130)이 기준점표지기(110)의 NFC태그(111)를 태깅 시는 NFC태그(111)내에 저장되어 있는 모바일앱(140)의 다운로드 URL 경로를 통해서 다운로드 링크에 접속하여 설치 가능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모바일앱(140)은 사용자단말(130)을 기준점표지기(110)에 태깅하여 NFC태그(111) 내에 저장된 측량기준점 좌표를 조회하고 상기 측량기준점DB(121)에 저장된 측량기준점 좌표를 기준점표지기(110)에 반영하고 상세정보를 확인하도록 조회모듈(141)과, 비교모듈(142)과, 인증모듈(143)과, 정보수정모듈(144)을 포함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조회모듈(141)은 통합서버(120)의 측량기준점DB(121)에 접속하고 기준점표지기(110)의 NFC태그(111)에 저장된 측량기준점 관리번호를 이용해 측량기준점 좌표 및 상세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구비한다.
동시에 상기 조회모듈(141)은 전용 모바일앱(140)을 사용자단말(130)에 설치한 사용자가 기준점표지기(110)의 NFC태그(111)를 태깅하여 현장에서 측량기준점 좌표와 기본정보 및 상세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비교모듈(142)은 기준점표지기(110)의 NFC태그(111)에 기 저장된 측량기준점 좌표와, 통합서버(120)의 측량기준점DB(121)에 저장되어 있는 측량기준점 좌표를 비교하여 동일 여부를 판별하도록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측량기준점은 지형 변동 등의 각종 요인에 의해 그 위치가 미세하게 변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변경되는 값들은 GPS 상시관측소(160)로부터 산출된 변동값을 이용하여 계상하고 전국에 설치된 측량기준점의 좌표값을 고시한 후 통합서버(120)의 측량기준점DB(121)에 저장된다. 상기 비교모듈(142)은 조회모듈(141)에 의해 통합서버(120)의 측량기준점DB(121)로부터 획득한 측량기준점 좌표와 기준점표지기(110)의 NFC태그(111)에 저장된 측량기준점 좌표를 비교하는 알고리즘을 탑재한다.
상기 정보수정모듈(144)은 비교모듈(142)의 판별 결과에 따라 기준점표지기(110)에 저장되어 있는 좌표가 측량기준점DB(121)에 저장되어 있는 좌표와 동일 할 경우에는 기준점표지기(110)에 저장되어 있는 좌표를 그대로 두고 기준점표지기(110)에 저장되어 있는 좌표가 측량기준점DB(121)에 저장되어 있는 좌표와 상이 할 경우에는 측량기준점DB(121)의 좌표를 기준점표지기(110)의 NFC태그(111)에 자동으로 수정하여 저장하도록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모바일앱(140)은 사용자단말(130)을 기준점표지기(110)에 태깅 시 상기 측량기준점DB(121)에 저장되어 있는 최신의 측량기준점 좌표를 기준점표지기(110)의 NFC태그(111)에 자동으로 반영하도록 구성하는바, 상기 정보수정모듈(144)은 상기 비교모듈(142)과 연동하여 기준점표지기(110)와 통합서버(120) 간에 측량기준점 좌표값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 통합서버(120)의 측량기준점DB(121)에 저장된 좌표 값을 자동으로 임포트하여 NFC태그(111)에 저장되도록 구현하고 사용자단말(130)을 통하여 새로이 저장된 좌표값을 제공하도록 하여 사용자는 항상 정확한 좌표값을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기준점표지기(110)의 NFC태그(111)에는 측량기준점 좌표의 수정 권한을 제한하도록 태그암호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앱(140)에는 상기 태그암호에 상응하는 보안코드를 저장하여 태그암호를 해제하는 인증모듈(143)을 포함한다.
상기 인증모듈(143)은 기준점표지기(110)의 NFC태그(111)에 저장된 정보를 전용 모바일앱(140)에 의해서만 수정이 가능하도록 구현하는 구성이다. 인증모듈(143)에는 NFC태그(111)에 설정된 태그암호를 보안코드를 이용해 해제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탑재하여 타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정보 수정이 불가능하도록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모바일앱 기반의 측량기준점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모바일앱 기반의 측량기준점 시스템은 측량기준점에 설치하는 기준점표지기(110)와, 측량기준점DB(121)를 포함하는 통합서버(120)와, 모바일앱(140)을 설치하는 사용자단말(130)을 모바일 네트워크로 연동하여 구성한다.
상기 기준점표지기(110)에는 NFC태그(111)를 내장하며 NFC태그(111)에는 기준점표지기(110)의 측량기준점 좌표 및 기본정보와 모바일앱(140) 다운로드 URL을 저장한다.
스마트폰 등 사용자단말(130)을 휴대하는 사용자(측량기준점의 관리자 혹은 그 밖의 측량기준점 정보 이용자)는 기준점표지기(110)의 NFC태그(111)를 태깅하거나 앱스토어에 접속하여 전용 모바일앱(140)을 다운로드, 설치한다.
사용자가 사용자단말(130)을 기준점표지기(110)의 NFC태그(111)에 태깅하고 모바일앱(140)을 실행하면 조회모듈(141)과, 비교모듈(142)과, 인증모듈(143)과, 정보수정모듈(144)이 탑재된 모바일앱(14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화면을 통해 제공된다.
상기 모바일앱(140)의 조회모듈(141)은 기준점표지기(110)의 NFC태그(111)에 저장된 관리번호를 이용하여 통합서버(120)에 접속하여 측량기준점DB(121)에 저장된 해당 측량기준점의 좌표 및 기본정보를 조회한다.
상기 모바일앱(140)의 비교모듈(142)은 기준점표지기(110)의 NFC태그(111)에 기 저장된 측량기준점 좌표와 통합서버(120)에 저장된 측량기준점 좌표를 비교하여 동일 여부를 판별한다. 예컨대 지진 등의 발생으로 인한 지형 변동에 의해 기준점표지기(110)의 위치가 이동되었을 경우 통합서버(120)에 저장된 좌표는 GPS 상시관측소(160)에 의한 값으로 산출, 계상되어 고시가 완료된 측량기준점 좌표가 측량기준점DB(121)에 저장되어 있을 것이므로 상기 비교모듈(142)에 의해 양측 좌표값의 동일 여부를 자동으로 판별한다.
상기 모바일앱(140)의 인증모듈(143)은 상기 비교모듈(142)의 판별 결과 양측의 좌표값이 상이할 경우 측량기준점DB(121)에 저장된 좌표값을 기준점표지기(110)의 NFC태그(111)에 새로이 저장하기 위하여 모바일앱(140)내에 저장된 보안코드를 이용해 NFC태그(111)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태그암호를 해제한다.
상기 정보수정모듈(144)은 상기 인증모듈(143)에 의하여 암호가 해제된 NFC태그(111)에 기 저장된 측량기준점 좌표를 삭제하고 새로 고시가 완료되고 통합서버(120)에 저장되어 있는 측량기준점 좌표값 및 고시일을 자동으로 임포트하여 NFC태그(111)에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새로 저장된 좌표값을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앱 기반의 측량기준점 시스템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해 모바일앱(140)을 자동으로 설치하여 측량기준점 정보를 보다 간편하게 조회 및 수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시스템은 기준점표지기(110)의 위치 및 좌표가 변동될 경우 GPS 상시관측소(160)로부터 산출된 변동량을 이용하여 전국의 각 측량기준점에 대하여 새로이 계상하고 고시가 완료된 좌표값을 통합서버(120)에 저장하고 현장에서는 사용자단말(130)을 기준점표지기(110)에 태깅 시 모바일앱(140)에 의해 자동으로 NFC태그(111)에 변경된 좌표를 저장하여 조회 시 반영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최신의 정보를 제공하여 측량 작업 전반에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전용 모바일앱(140)에만 저장되는 보안코드를 이용하여 인증모듈(143)에 의해 기준점표지기(110)의 NFC태그(111)에 설정된 태그암호를 해제하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측량기준점 정보를 현장에서 특별한 행위 없이 자동으로 수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NFC태그(111)에 태그암호를 설정하여 다른 앱이나 타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정보 수정이 불가능 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비해 정보 관리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가진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측량기준점 뿐만 아니라 도시기준점, 국가기준점, 지적도근점, 시설관리점 등 다양한 국가기관시설수준점에도 포괄적으로 적용 가능하므로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110: 기준점표지기
111: NFC태그
120: 통합서버
121: 측량기준점DB
130: 사용자단말
140: 모바일앱
141: 조회모듈
142: 비교모듈
143: 인증모듈
144: 정보수정모듈
160: GPS 상시관측소

Claims (4)

  1. 각 지역의 측량기준점에 설치하고 NFC태그(111)를 내장하여 측량기준점 좌표와 기본정보를 저장하는 기준점표지기(110)와, 전국에 설치된 모든 측량기준점에 대한 좌표와 기본정보 및 상세정보를 포함하는 측량기준점DB(121)를 포함하는 통합서버(120)와, NFC태깅모듈(131)을 내장하는 스마트기기로 이루어진 사용자단말(130)과, 사용자단말(130)에 설치하고 상기 기준점표지기(110) 및 통합서버(120)와 데이터통신으로 연동하여 측량기준점 좌표와 기본정보 및 상세정보를 조회 및 수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바일앱(140)으로 이루어지는 모바일앱 기반의 측량기준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서버(120)는,
    지리정보원의 GPS 상시관측소(160)로부터 산출되어 새로이 계상되고 고시된 측량기준점 좌표를 실시간 제공받아 측량기준점DB(121)에 저장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모바일앱(140)은,
    사용자단말(130)을 기준점표지기(110)에 태깅 시 상기 측량기준점DB(121)에 저장되어 있는 최신의 측량기준점 좌표를 기준점표지기(110)의 NFC태그(111)에 자동으로 반영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모바일앱(140)에는,
    통합서버(120)의 측량기준점DB(121)에 접속하고 기준점표지기(110)의 NFC태그(111)에 저장된 측량기준점 관리번호를 이용해 측량기준점 좌표 및 상세정보를 조회하여 표시하는 조회모듈(141)과,
    기준점표지기(110)의 NFC태그(111)에 기 저장된 측량기준점 좌표와, 통합서버(120)에 저장되어 있는 측량기준점 좌표를 비교하는 알고리즘을 탑재하여 동일 여부를 판별하는 비교모듈(142)과,
    기준점표지기(110)의 NFC태그(111)에 설정된 태그암호에 상응하는 보안코드를 저장하여 전용 모바일앱(140)에 의해서만 수정이 가능하도록 측량기준점 좌표의 수정 권한을 제한하는 인증모듈(143)과,
    비교모듈(142)의 판별 결과에 따라, 기준점표지기(110)에 저장된 좌표가 측량기준점DB(121)에 저장되어 있는 좌표와 동일 할 경우 기준점표지기(110)에 저장되어 있는 좌표를 그대로 두고, 기준점표지기(110)에 저장된 좌표가 측량기준점DB(121)에 저장되어 있는 좌표와 상이 할 경우 측량기준점DB(121)의 좌표를 기준점표지기(110)의 NFC태그(111)에 자동으로 수정하여 저장하는 정보수정모듈(144)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앱 기반의 측량기준점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87475A 2019-07-19 2019-07-19 모바일앱 기반의 측량기준점 시스템 KR102222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475A KR102222687B1 (ko) 2019-07-19 2019-07-19 모바일앱 기반의 측량기준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475A KR102222687B1 (ko) 2019-07-19 2019-07-19 모바일앱 기반의 측량기준점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070A KR20210010070A (ko) 2021-01-27
KR102222687B1 true KR102222687B1 (ko) 2021-03-04

Family

ID=74238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475A KR102222687B1 (ko) 2019-07-19 2019-07-19 모바일앱 기반의 측량기준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6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7980B1 (ko) * 2021-08-20 2023-07-21 한국국토정보공사 맵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지적기준점 관리 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233Y1 (ko) 2012-02-03 2012-09-1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엔에프씨와 큐알 코드를 이용한 위치 정보 표지구
KR101731977B1 (ko) * 2015-06-23 2017-05-04 대진기술정보 (주) 스마트폰과 nfc태그를 이용한 표지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372A (ko) * 2002-02-08 2003-08-14 정윤복 디지털 라인마커를 이용한 지하매설물 조회시스템
KR200359649Y1 (ko) 2004-06-08 2004-08-21 대한지적공사 측량 기준점 표지구 및 이를 이용한 측량 표지관리시스템
US7720436B2 (en) * 2006-01-09 2010-05-18 Nokia Corporation Displaying network objects in mobile devices based on geolocation
KR101019674B1 (ko) 2009-04-08 2011-03-07 대한측량협회 측량기준점 전자표지기
KR101010334B1 (ko) 2010-03-31 2011-01-25 주식회사 대한지오매틱스 조립식 삼각 측량 기준점 표시장치
KR101177551B1 (ko) 2012-03-06 2012-08-27 주식회사 중부기술단 토목 측량 기준점 표지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233Y1 (ko) 2012-02-03 2012-09-1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엔에프씨와 큐알 코드를 이용한 위치 정보 표지구
KR101731977B1 (ko) * 2015-06-23 2017-05-04 대진기술정보 (주) 스마트폰과 nfc태그를 이용한 표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070A (ko)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20955A1 (en) Geographic marking device with RFID transponder
US8610581B2 (en) Securing a land surveyor's mark based on use of a radio frequency identifier tag
US6577921B1 (en) Container tracking system
KR101122185B1 (ko) 정보인식수단을 이용한 지하시설물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64145B1 (ko)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이용한 측량 표지관리 시스템
JP2012198833A (ja) 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KR102222687B1 (ko) 모바일앱 기반의 측량기준점 시스템
KR20120064347A (ko) Rfid를 이용한 측량기준점 관리시스템
KR100481066B1 (ko) 전자 표지석을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027203B1 (ko) 지하 매설물 통합표지기 및 관리 방법
US8872626B2 (en) Detection of buried assets using current location and known buffer zones
KR101442016B1 (ko) 근거리 무선 태그 커넥터 및 모바일 앱을 이용하여 맨홀 또는 변실을 전자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철개의 설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또는 변실의 유지 관리 방법
US20220011108A1 (en) Communicating survey nail, topographical grid,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topography and communicating portable terminal
US20150070138A1 (en) Detection of buried assets using current location and known buffer zones
JP2006004006A (ja) 管理システムおよび管理方法
JP4778696B2 (ja) 埋設物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KR100871613B1 (ko) Rfid를 이용한 좌표화 시공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6292464A (ja) 位置情報記録管理方法
JP5737362B2 (ja) 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US9086441B2 (en) Detection of buried assets using current location and known buffer zones
KR20130065863A (ko) 자재 관리 방법
JP6319478B2 (ja) 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2015165411A (ja) 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EP2866058B1 (en) Improved detection of buried assets using current location and known buffer zones
US8823492B2 (en) Detection of incursion of proposed excavation zones into buried ass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