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649Y1 - 측량 기준점 표지구 및 이를 이용한 측량 표지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측량 기준점 표지구 및 이를 이용한 측량 표지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649Y1
KR200359649Y1 KR20-2004-0015995U KR20040015995U KR200359649Y1 KR 200359649 Y1 KR200359649 Y1 KR 200359649Y1 KR 20040015995 U KR20040015995 U KR 20040015995U KR 200359649 Y1 KR200359649 Y1 KR 2003596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vey
reference point
information
marker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득기
Original Assignee
대한지적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지적공사 filed Critical 대한지적공사
Priority to KR20-2004-0015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6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6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6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5/00Tags attached to, or associated with, an object, in order to enable detection of the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지적측량 또는 토목측량에 필요한 기준점을 표시하기 위하여 지상에 설치되는 측량 기준점 표지구 및 이를 이용한 측량 표지관리 시스템에 관한 개선된 기술이 개시된다. 본 고안은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구성함에 있어 식별 부호, 측량 성과정보 등을 전자적으로 기록/판독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스마트 카드 또는 RFID를 표지물 상에 일체로 장착함으로써 현장 측량 작업의 편리성 및 측량 성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측량 기준점 표지구 및 이와 같은 기준점 표지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고안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지표상에 측량 기준점을 표시할 수 있도록 상부에 일정한 표식이 되어 있는 기준점 표지구 본체; 및, 상기 기준점 표지구 본체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며, 측량 기준점에 대한 고유 ID와 좌표값이 포함된 측량 관련 정보를 디지털적으로 기록하고 있는 IC 칩을 포함하여 된 측량정보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측량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측량 관련 정보는 별도의 판독기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읽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량정보 기록 기능을 가지는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특징적인 기술 구성으로서 제공한다.

Description

측량 기준점 표지구 및 이를 이용한 측량 표지관리 시스템 {Survey Control Point Indicator Device and Survey Indicato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지적측량 또는 토목측량에 필요한 기준점을 표시하기 위하여 지상에 설치되는 측량 기준점 표지구 및 이를 이용한 측량 표지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준점 표지구를 구성함에 있어 식별 부호, 측량 성과정보 등을 전자적으로 기록/판독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스마트 카드 또는 RFID를 표지물 상에 일체로 장착함으로써 현장 측량 작업의 편리성 및 측량 성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측량 기준점 표지구 및 이와 같은 기준점 표지구를 이용한 측량 표지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및 문제점]
일반적으로 지적 측량 또는 토목 측량과 같은 측량 작업을 행함에 있어서 정확한 측량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그 작업의 기준이 되는 기준점을 필요로 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기준점을 지표상에 표시하기 위하여 통상 일정한 표지물을 지중에 매설하여 두고 이를 이용하여 측량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준점 표지물로는 종래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기존에는 주로 석재 기둥의 형태를 갖는 표석을 지중에 매립 설치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합성수지제로 된 표지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이용한 측량 표지 관리에 있어서는 지상에 매립 설치된 도근점과 같은 측량 기준점에 대하여 토탈 스테이션(광파 데오도라이트)과 같은 측량 장비를 사용, 측정점의 좌표를 산출한 다음, 측정점을 관리하기 위하여 기존의 일반적인 종이 도면 상에 수기로 표기하거나 혹은 스케치 방식에 의하여 측정점에 대한 개요도를 작성하고 위치점에 대한 안내 사항을 수기로 표시하고 있었으며, 이와 같이 하여 취득된 자료를 별도의 종합적인 대장을 통하여 관리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측량 표지 관리 방식의 경우, 본격적인 측량 작업에 앞서 표지점의 위치 확인을 하고자 함에 있어 주변 지역의 지형 지물이나 지명, 기타 제반 상황을 참조로 하여 표지점의 위치를 육안에 의해 개략적으로 추적한 다음 그 확인은 별도의 대장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는 바, 이러한 방식의 경우 주로 인력에 의해 표지점의 검색 및 확인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실수에 의해 오류가 발생할 여지가 있어 신뢰도 면에서 문제가 있었으며, 그 과정이 번거로우므로 표지점 확인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인해 작업 효율성도 매우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한편, 최근 들어서는 측량 분야에 있어서도 GPS나 토탈 스테이션과 같은 디지털화된 측량장비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지리적 정보를 수집, 분석, 처리함에 있어서도 컴퓨터 기반의 도구로서 GIS(지리정보 체계; Geographic InformationSystem)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측량표지 관리 방식의 경우 기본적으로 종이 대장에 의한 수기식 관리방식을 따르고 있음으로 인하여 이러한 디지털화된 GPS나 GIS 및 기타 측량장비와 연결하여 실시간적으로 사용할 수는 없는 것인 바, 이러한 장비 및 도구들과 연동하여 자동화된 종합적인 측량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실제 측량 작업에 있어서는 측량 장비에 기준점 좌표를 입력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입력 작업에 있어서 기존에는 표지점 관리 대장에 기록된 좌표값을 작업자가 일일히 손으로 입력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번거로울 뿐 아니라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아울러 측량 결과물의 처리 및 관리에 있어서도 자료의 갱신이나 보완이 상당히 불편하고 제한적이라는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측량 기준점 표지구 및 측량 표지 관리 시스템에서 나타난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측량 기준점 표시를 위한 기준점 표지구를 구성함에 있어 고유 ID, 측량 성과정보 등을 전자적으로 기록/판독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스마트 카드 또는 RFID 칩과 같은 측량정보 저장수단을 표지물 상에 일체로 장착함으로써 현장 측량 작업의 편리성 및 측량 성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측량 표지 관리 시스템으로서 GPS와 같은 디지털화된 측량장치 및 GIS와 같은 전산화된 도구와 실시간으로 연동 운영할 수 있음으로써 기록 자료의 효율적인 관리 및 확인, 갱신이 용이할 뿐 아니라 작업의 편리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개선된 측량 표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측량 기준점 표지구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이용한 전자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본 고안에 따른 측량 기준점 표지구
10 : 본체 11 : 본체 머리부
12 : 본체 나사봉 13 : 지중관
14 : 지중관 플랜지 20 : 측량정보 저장수단
22 : IC 칩 24 : RF 안테나
100 : 측량정보판독기 200 : 정보처리장치
300 : GPS 수신기 400 : 광파 측량기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지표상에 측량 기준점을 표시할 수 있도록 상부에 일정한 표식이 되어 있는 기준점 표지구 본체; 및, 상기 기준점 표지구 본체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며, 측량 기준점에 대한 고유 ID와 좌표값이 포함된 측량 관련 정보를 디지털적으로 기록하고 있는 IC 칩을 포함하여 된 측량정보 저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측량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측량 관련 정보는 별도의 판독기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읽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량정보 기록 기능을 가지는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특징적인 기술 구성으로서 제시하며, 이 때, 상기 측량정보 저장수단은 스마트 카드 또는 RFID 칩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주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시스템으로서, 측량 기준점에 대한 고유 ID와 좌표값이 포함된 측량 관련 정보를 디지털적으로 기록하고 있는 측량정보 저장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측량기준점 표지구;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구에 기록된 측량 관련 정보를 비접촉식으로 읽어 들일 수 있는 측량정보판독기; 상기 측량정보판독기에 의해 읽혀진 측량 관련 정보를 데이터 통신에 의해 전달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며, 내부에 응용 소프트웨어를 구동할 수 있는 연산장치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저장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정보처리장치; 및, 상기 정보처리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전송하는 GPS 수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측량정보 기록 기능을 가지는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이용한 측량 표지관리 시스템을 또 다른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정보처리장치에는 광파 측량기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더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정보처리장치 내에는 GIS 데이터 및 이의 운용을 위한 맵핑 소프트웨어(mapping S/W)가 탑재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측량 기준점 표지구와 이를 이용한 측량 표지관리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는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보호 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 둔다.
[측량 기준점 표지구]
도1은 본 고안의 측량 기준점 표지구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측량 기준점 표지구(1)는 전체적으로 지표상에 측량 기준점을 표시할 수 있도록 상부에 일정한 표식이 되어 있는 기준점 표지구 본체(10) 및 상기 기준점 표지구 본체(10)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측량정보 저장수단(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된 실시예 역시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구성에 따라 이루어진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측량 기준점 표지구(1)는 지적 측량이나 토목 측량과 같은 측량 작업에서 측량의 기준점을 지표상에 표시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통상의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측량 기준점 표지구들 중에서 지적측량의 기준점인 도근점(圖根點)을 표시하기 위한 도근점 표지구를 예로 들어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자형으로 각인된 도근점 표식(11')이 상부면에 형성된 원반체 형상의 머리부(11)를 가지면서 설치시에는 이 머리부(11)만이 지표상에 노출되고 다른 부분들은 지중에 매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라는 점에서 일반적인 도근점 표지구와 근본적으로 동일한 것이나,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와 같은 공지 형태의 측량 기준점 표지구의 일반 구성에 부가하여 측량 기준점에 대한 측량 관련 정보를 디지털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측량정보 저장수단(20)을 더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종래의 일반적인 측량 기준점 표지구들과는 구별되는 구성상의 특징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측량정보 저장수단(20)은 측량과 관련된 정보를 내부에 기록하고 있는 장치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측량정보 저장수단(20)은 측량 관련 정보를 디지털적인 형식으로 저장하여 두고 별도의 판독기(혹은 리더기)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읽혀질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와 같은 형태의 측량정보 저장수단으로는 현재 통신, 금융 등 여러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 카드나 신원확인, 상품 식별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RFID 칩을 사용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스마트 카드나 RFID 칩의 경우 데이터의 읽기/쓰기 기능 및 연산 기능까지 지원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이와 같이 스마트 카드 등을 이용하게 되면 사후 측량 성과 및 각종 부수 정보들을 입력 또는 수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측량 표지의 관리에 있어 유연성 및 효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측량정보 저장수단(20)에 저장되는 정보의 경우 측량에 관련된 정보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여기에는 당해 측량 기준점의 고유 ID 및 좌표값(경,위도 값)이 기본적인 정보로서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것이며, 이 밖에 당해 기준점 표지물의 설치 시기라든지 관리 기관과 같은 부수적인 정보들이 함께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와 같은 측량정보 저장수단(20)으로서 스마트 카드를 적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측량 기준점 표지구(1)를 구성함에 있어 전체적으로 지표상에 노출되는 원반체 형상의 머리부(11)와 지중에 매입되는 지중관(13)으로 분리 구성하고 상기 머리부(11)의 하부측에는 나사봉(12)이 일체로 연장되도록 하여 상기 나사봉(12)이 지중관(13)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지중관(13)의 소정 위치에는 수평으로 플랜지(14)를 일체로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 플랜지(14)는 전술한 바와 같은 측량정보 저장수단(20)을 구현하기 위하여 채택된 것으로, 상기 플랜지(14) 내에는 각종 측량 정보가 판독 가능한 상태로 저장되는 스마트 IC칩(22) 및 RF 안테나(24)가 심겨지도록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구체적 구성 형태는 본 고안에 대한 하나의 예시로서 제시한 것이며, 이와는 다른 형태, 예를 들면, 도근점 머리부 내에 IC칩 및 RF 안테나를 내장시키고 별도의 지중관 없이 바로 지면 상에 타입(打入) 설치하는 형태와 같은 것들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상기와 같은 RF 안테나(24)의 경우 상기 IC 칩(22)을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외부 판독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유도 기전력에 의해 공급받을 수 있도록 수회 감겨져 배선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은 스마트 카드가 아닌 RFID 칩에 의해 본 고안의 측량정보 저장수단(20)을 구현하는 경우는 이와 같은 RF 안테나를 필요로 하지 않고 트랜스폰더(Transponder)의 역할을 하는 RFID 칩만으로 구성될 것이나이 경우에는 정보의 기록 저장 등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전술과 같은 스마트 카드 및 RFID 기술에 대한 사항은 이미 널리 알려져 적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측량 표지 관리 시스템]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측량 표지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이용한 측량 표지 관리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측량 표지 관리 시스템은 측량 기준점에 대한 고유 ID와 좌표값이 포함된 측량 관련 정보를 디지털적으로 기록하고 있는 측량 기준점 표지구(1);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구에 기록된 측량 관련 정보를 정보를 비접촉식으로 읽어 들일 수 있는 측량정보판독기(100); 상기 측량정보판독기(100)에 의해 읽혀진 측량 관련 정보를 데이터 통신에 의해 전달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정보처리장치(200) 및;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전송하는 GPS 수신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먼저,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구(1)는 앞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측량 기준점 표지구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측량에 관련된 정보를 디지털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측량정보 저장수단을 주요 구성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측량 기준점 표지구(1)는 지상의 소정 위치마다 매립 설치되어 측량 기준점을 지표상에 표시하게 되는데, 상기 측량정보 저장수단에는 당해 기준점 표지구의 정확한 실제 위치에 대한 데이터가 기록되어지며, 이와 함께 기준점 표지구의 식별을 위하여 각 기준점 표지구마다의 고유 ID가 함께 저장된다. 이 때, 상기 측량정보 저장수단에 기록, 저장되는 측량 관련 정보는 후술하는 외부의 측량정보판독기(100)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읽혀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하는 것으로 이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공지의 스마트 카드 또는 RFID에 대한 기술이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상기 측량정보판독기(100)는 상기한 측량 기준점 표지구(1)에 기록 저장되어 있는 측량 관련 정보를 읽어 들이기 위한 스마트 카드 리더기나 RFID 트랜시버와 같은 장치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고유 ID 및 좌표점을 포함한 측량 데이터는 이 측량정보판독기(100)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추출되고 이 데이터는 후술하는 정보처리장치(200)로 전달되어 처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측량정보판독기(100)에는 정보처리장치(200)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 구성되며, 상기 측량정보판독기(100)에 의해 읽혀진 측량 관련 정보는 상기 정보처리장치(200)로 전송되어 필요한 목적에 따라 처리됨으로써 일정한측량 결과물을 생성해 내게 된다. 상기 정보처리장치(200)는 내부에 메모리와 같은 저장장치(220)와 응용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일정한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CPU와 같은 연산장치(210)를 갖춘, 즉 컴퓨터와 같은 정보처리 시스템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정보처리장치(200)로는 휴대가 가능하여 측량 현장에 용이하게 이동이 가능한 것(예컨대 노트북 컴퓨터나 PDA)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정보처리장치(200)에는 상기 측량정보판독기(100)로부터 전송된 측량 관련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이 로딩되어 지적도의 작성이나 표지 현황 작성과 같은 일정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내부 저장장치(220)에는 GIS 데이터를 저장하여 두고 이러한 GIS 데이터와 상기 측량정보판독기(10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오버레이 연산 처리하면 측량 표지점에 관한 정보를 전산 도면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GIS 데이터 처리에 있어서는 이를 위한 별도의 맵핑 소프트웨어(mapping S/W)를 탑재하도록 하며, 상기와 같이 GIS 시스템을 구성하게 되면 취득된 측량 정보의 처리가 자동화된 프로세스에 의해 실시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과 동시에 정보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정보처리장치(200)와 측량정보판독기(100) 사이의 데이터 전달 방식으로는 RS-232C(Recommended Standard 232C), USB(Universal Serial Bus) 등을 포함하는 유선 케이블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적외선(IR) 통신, RF(Radio Frequency) 통신, 블루투스(Buletooth) 등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량정보판독기(100) 및정보처리장치(200)에 각각 블루투스 모듈을 장착하여 블루투스 방식에 의한 무선 통신에 의해 데이터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GPS 수신기(300)는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성신호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위성신호에 포함된 위치 데이터를 추출하여 현재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통상적인 GPS 수신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GPS 수신기(300)에 의해 취득된 위치 데이터는 데이터 통신에 의해 상기 정보처리장치(20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GPS 수신기(300)를 주요 구성으로서 포함하고 있음으로써 측량 기준점을 탐색함에 있어서 상기 GPS 수신기(300)에서 전달된 현재 위치에 관한 데이터에 의해 개략적인 위치를 알아낸 다음 상기 측량정보판독기(100)에 의해 쉽게 기준점 표식을 찾아 낼 수 있어 측량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종래의 경우에는 별도의 기준점 표식에 대한 위치 설명도 및 세부 상세 정보가 기록된 대장을 갖추고 이를 통하여 기준점 표식을 육안에 의해 탐색하여야 했으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게 되면, GPS 수신기(300) 및 이와 연동된 GIS 전자 지도를 통해 찾고자하는 기준점에 대한 개략적인 위치를 추적한 후 상기 측량정보판독기(100)를 주변에 위치시키면 스마트 카드(또는 RFID)에 감응하여 사용자가 바로 기준점을 발견할 수 있게 되므로 측량 작업에 대한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정보처리장치(200)에 광파 측량기(400)를 추가로 연결 구성할 수 있으며, 이 역시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본 고안이 가지는 특징 중의 하나이다. 즉, 기존에는 실제 측량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기준점에 대한 좌표를 작업자가 일일히 입력하여야 하였으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입력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부정확한 측량 성과를 얻을 우려가 있었으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시스템에 따르게 되면 측량정보판독기(100)에 의해 읽어들인 기준점 좌표 데이터가 데이터 통신을 통해 자동적으로 광파 측량기(400)에 입력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입력 작업에 드는 노력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측량 결과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광파 측량기(400)와 정보처리장치(200) 간의 연결은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것을 요하며, 이와 같은 연결 방식으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RS-232C 통신을 비롯하여 다양한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경우 기본적으로 측량 표지 관리를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나,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은 다른 분야의 기술에도 응용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응용 분야로는 예컨대 기존의 측량 표지 이외에 지형정보 구축을 위한 지물의 관리와 건축물 대장 관리 부분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위치 추적을 필요로 하는 제반 목적물, 가령 지뢰, 기타 위험물과 같은 군사적 목적물에 대한 위치 추정 및 확인에도 적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측량 기준점 표시를 위한 기준점 표지구를 구성함에 있어 고유 ID, 측량 성과정보 등을 전자적으로 기록/판독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스마트 카드 또는 RFID 칩을 표지물 상에 일체로 장착함으로써 현장 측량 작업의 편리성 및 측량 성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측량 기준점 표지구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측량 표지 관리 시스템으로서 GPS와 같은 디지털화된 측량장치 및 GIS와 같은 전산화된 도구와 실시간으로 연동 운영할 수 있음으로써 기록 자료의 효율적인 관리 및 확인, 갱신이 용이할 뿐 아니라 작업의 편리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개선된 측량 표지 관리 시스템을 제공되는 또 다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지표상에 측량 기준점을 표시할 수 있도록 상부에 일정한 표식이 되어 있는 기준점 표지구 본체; 및,
    상기 기준점 표지구 본체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며, 측량 기준점에 대한 고유 ID와 좌표값이 포함된 측량 관련 정보를 디지털적으로 기록하고 있는 IC 칩을 포함하여 된 측량정보 저장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측량정보 저장수단에 저장된 측량 관련 정보는 별도의 판독기에 의해 비접촉식으로 읽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량정보 기록 기능을 가지는 측량 기준점 표지구.
  2. 제1항에서, 상기 측량정보 저장수단은 스마트 카드 또는 RFID 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량정보 기록 기능을 가지는 측량 기준점 표지구.
  3. 측량 기준점에 대한 고유 ID와 좌표값이 포함된 측량 관련 정보를 디지털적으로 기록하고 있는 측량정보 저장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제1항 기재의 측량 기준점 표지구;
    상기 측량 기준점 표지구에 기록된 측량 관련 정보를 비접촉식으로 읽어 들일 수 있는 측량정보판독기;
    상기 측량정보판독기에 의해 읽혀진 측량 관련 정보를 데이터 통신에 의해전달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며, 내부에 응용 소프트웨어를 구동할 수 있는 연산장치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저장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정보처리장치; 및,
    상기 정보처리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 데이터를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전송하는 GPS 수신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측량정보 기록 기능을 가지는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이용한 측량 표지관리 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측량정보 저장수단은 스마트 카드 또는 RFID 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량정보 기록 기능을 가지는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이용한 측량 표지관리 시스템.
  5. 제3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정보처리장치에는 광파 측량기가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더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량정보 기록 기능을 가지는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이용한 측량 표지관리 시스템.
  6. 제3항 또는 제4항에서, 상기 정보처리장치에는 GIS 데이터 및 이의 운용을 위한 맵핑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량정보 기록 기능을 가지는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이용한 측량 표지관리 시스템.
KR20-2004-0015995U 2004-06-08 2004-06-08 측량 기준점 표지구 및 이를 이용한 측량 표지관리시스템 KR2003596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995U KR200359649Y1 (ko) 2004-06-08 2004-06-08 측량 기준점 표지구 및 이를 이용한 측량 표지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995U KR200359649Y1 (ko) 2004-06-08 2004-06-08 측량 기준점 표지구 및 이를 이용한 측량 표지관리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703A Division KR100564145B1 (ko) 2004-06-08 2004-06-08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이용한 측량 표지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649Y1 true KR200359649Y1 (ko) 2004-08-21

Family

ID=49349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995U KR200359649Y1 (ko) 2004-06-08 2004-06-08 측량 기준점 표지구 및 이를 이용한 측량 표지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64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112B1 (ko) 2011-11-18 2012-06-11 주식회사 고산자 측량기준점에 장착되는 지리적 위치정보가 저장된 rfid 보호장치
KR20210010070A (ko) 2019-07-19 2021-01-27 대진기술정보 (주) 모바일앱 기반의 측량기준점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112B1 (ko) 2011-11-18 2012-06-11 주식회사 고산자 측량기준점에 장착되는 지리적 위치정보가 저장된 rfid 보호장치
KR20210010070A (ko) 2019-07-19 2021-01-27 대진기술정보 (주) 모바일앱 기반의 측량기준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4145B1 (ko) 측량 기준점 표지구를 이용한 측량 표지관리 시스템
EP2035775B1 (en) Apparatus for securing a land survey mark based on the use of a radio frequency identifier tag
US20060220955A1 (en) Geographic marking device with RFID transponder
CA2832188C (en) Underground asset management system
US5825298A (en) Radio frequency transponder method for identifying geographical locations such as survey traverse points
KR100875690B1 (ko) Rfid 태그 내장형 지중표시기 및 그 운용 시스템
KR20120064347A (ko) Rfid를 이용한 측량기준점 관리시스템
CA2777553A1 (en) Locator assembly for detecting, locating and identifying buried objects and method of use
CN104637016A (zh) 一种农村集体土地产权信息调查系统及方法
JP4262218B2 (ja) 測量システム
CN202939643U (zh) 一种可视化地下电缆管理系统
CN105425260A (zh) 一种高定位精度的中远距离智能读写井盖设备及其识别方法
US20030234293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urvey monument system
KR200359649Y1 (ko) 측량 기준점 표지구 및 이를 이용한 측량 표지관리시스템
CN106383358A (zh) 一种基于北斗卫星定位的隐蔽工程数字化标识与探测装置
CN103336933B (zh) 一种森林资源复位系统
CN102036429A (zh) 一种手持设备
KR100847566B1 (ko) 전자태그를 이용한 정보제공 시스템
JP2006292464A (ja) 位置情報記録管理方法
KR20110005744U (ko) 시설물 측량기준점
US201303076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rking surveying points along a property boundary
JP7166013B2 (ja) 土地境界線管理システムおよび土地境界線管理方法
JP2004251859A (ja) 標識
KR101654421B1 (ko) 지적기준점 위치 안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안내방법
EP276554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n o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1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